KR20170100301A - 와상환자를 위한 침대용 굴절매트리스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와상환자를 위한 침대용 굴절매트리스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0301A
KR20170100301A KR1020160022695A KR20160022695A KR20170100301A KR 20170100301 A KR20170100301 A KR 20170100301A KR 1020160022695 A KR1020160022695 A KR 1020160022695A KR 20160022695 A KR20160022695 A KR 20160022695A KR 20170100301 A KR20170100301 A KR 201701003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mattress
angle
plate
pat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2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삼규
최인성
한재영
윤현식
Original Assignee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226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00301A/ko
Publication of KR20170100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03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7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1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with means for turning-over the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08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tiltable around longitudinal axis, e.g. for rol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25Side-bols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대용 매트리스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와상환자의 욕창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침대를 좌우로 요동시킬 때, 와상환자의 낙상(落床)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굴절매트리스의 측면을 상향 조절할 수 있는 전동침대의 굴절매트리스 지지장치를 제공하되,
와상환자의 하지(下肢)에 해당하는 부분과 상체에 해당하는 부분의 위치를 다르게 지지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구성은 다음과 같다.
굴절매트리스(630)를 떠받처주는 지지장치(604) 양단에 지지수단(605)에 의해 회동하도록 지지되되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위치되고, 모터(400)에 의해 회동하는 회동축(606)과,
상기 회동축(606)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은 굴절매트리스(630) 양측에 형성한 분절부(640)의 양측면 하단부를 소정의 각도로 절곡시키는 절곡판(608,608')으로 구성된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장치(604)의 양단에 길이방향으로 설치한 회동축(606)을, 하지회동축(606')과 상체회동축(606")으로 양분시켜, 상기 하지회동축(606')에 상기 하지회동축(606')을 회동시키는 모터(700)를 설치하고, 상기 상체회동축(606")에 상기 상체회동축(606")을 회동시킬 수 있는 제2모터(710)를 갖도록 하되, 상기 지지장치(604)의 양단에 각각 설치된 상기 하지회동축(606)은 서로의 간격이 상기 상체회동축(606")의 서로의 간격에 비해 그 간격이 가까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상환자를 위한 침대용 굴절매트리스 지지장치.

Description

와상환자를 위한 침대용 굴절매트리스 지지장치{SIDE ADJUSTABLE MATTRESS SUPPORT APPARATUS FOR MOTORRIZED BED HAVING ANTI-FALL DEVICE}
본 발명은 침대용 매트리스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와상환자의 욕창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침대를 좌우로 요동시킬 때, 와상환자의 낙상(落床)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굴절매트리스의 측면을 상향 조절할 수 있는 전동침대의 굴절매트리스 지지장치를 제공하되,
와상환자의 하지(下肢)에 해당하는 부분과 상체에 해당하는 부분의 위치를 다르게 지지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즉,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침대가 좌우로 요동할 때 와상환자가 침대의 측면으로 미끌어지듯이 낙상할 경우 환자의 측면(환자의 팔에 해당하는 부분을 측면이라함)을 지지하도록 굴절매트리스의 측면을 상승하는데, 환자의 상체를 지지하는 상측지지부와 환자의 하지에 해당하는 하지지지부의 위치가 다르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본원을 설명함에 있어 이해가 용이하도록, 와상화자의 팔에 해당 하는 부분을 상체측면이라하고, 팔 아래에 해당하는 부분을 '하지측면'이라하며, 양 팔의 거리를 '상체폭'이라 한다 그리고 양팔에 아래에 해당하는 부분을 하지폭'이라하고, 와상환자을 환자라 칭 한다.
현대의학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현대인에게는 생활습관병의 증가에 따른 뇌졸중 등 중증 만성질환의 증가와 고령화에 따른 치매와 관절염 등 노인성 질환의 증가는 물론, 교통사고와 산업재해 등 사고로 인한 신경근골격계의 손상으로 인해 자력(自力)으로 거동이 어려운 와상 환자, 또는, 의식이 없거나 마비로 인해 활동이 불가능한 경우 하루의 대부분을 같은 체위로만 침대에 누워있는 와상환자가 증가하고 있는데, 이로 인한 만성통증, 욕창, 호흡기계 감염, 비뇨기계 감염, 신경기능 퇴행과 악화 등이 중대하고 방대하여 중증의 장애로의 진행을 초래하게 된다.
즉 거동불편하여 거의 침상의존의 와상환자라고 할지라도, 적극적인 전인 치료적 관리가 필수적으로 요구되는데, 이를 치료자나 개호인들이 매일 일정시간마다 주기적이고 반복적으로 체위변동을 실시하거나 중력저항하 수동운동시키거나 일상적인 치료개호적 관리 활동을 수행키는 지극히 힘들거나 어렵다.
특히 거동불편의 와상환자에게는 신체의 특정 돌출부위에 지속적인 체중이 가해져, 그 부위가 압박되어 혈행순환이 원활하지 않게 되어, 돌출부위에 있는 연부조직이 괴사하는 궤양,
즉, 욕창의 경우 병변주위에 발생하는 압력과 이러한 압력이 작용하는 시간이 중요한 인자로 작용하는데, 초기에는 피부표피에 손상이 없으나 점점 시간이 지나면 변색이 되며,
진행될수록 피부 표피조직이 손상되어 상처가 생기기 시작해 하부조직인 진피가 손상되고, 심한 경우 피하지방층이나 심지어는 근육과 골조직까지 손상될 수 있는 무서운 병이며, 한번 발병하면 치료가 어렵기 때문에 여타의 동반 합병증의 관리에서와 마찬가지로 발병전 예방이 지극히 중요하다.
궁극적으로 와상환자에서 불가피하게 발생하게 되는 부동증과 신체 불용성으로 인한 각종 합병증과 속발증은 주기적이고 반복적인 체위변동을 통해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치료개호적 관리(care)되어야 하는 점이 재활의 첫 단계이며 가장 중요한 단계이다.
일반적으로 신체 돌출부위의 지속적인 압박을 피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1~2 시간마다 환자의 체위를 바꾸어 주어야 한다. 이렇게, 자력 거동이 불편한 환자의 체위를 1~2 시간마다 바꾸어 주는 일은 환자 자신의 고통은 물론, 가족, 간병인들에도 실제 수행하기 힘든 아주 어려운 일이다.
따라서, 와상환자의 합병증과 속발증 중 일부 욕창의 경우 환자의 체위를 용이하게 변화시킬 수 있는 의료용 침대가 개발되고 있다.
그 일례로, 한국 등록특허 제10-1003407호에는 상체 하체 회전운동과 굴곡, 신전의 기능이 있는 견인치료기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피시술자의 상체 및 하체를 각각 받치기 위한 것으로서, 상체지지판(4)과 하체지지판(6)을 포함하는 침상(2); 상기 침상(2)이 지면에서 일정한 높이로 설치되도록 하기 위한 베이스프레임(12); 상기 침상(2)에 누운 피시술자의 허리를 굽히거나 펼 수 있도록 상기 하체지지판(6)을 상기 상체지지판(4)과의 경계선에 평행한 제1 축(X1)을 중심으로 힌지방식으로 기동시키며, 나아가 상기 하체지지판(6)을 상기 경계선에 수직을 이루는 제2 축(X2)을 중심으로 좌우로 요동되도록 하는 하체기동부를 포함하는 굴곡, 신전 및 회전 기능을 가지는 견인치료기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한국 등록특허 제10-1056667호에는 메인프레임 상에 분절된 형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등판과 허벅지판을 포함하는 매트리스 지지판과; 상기 메인프레임 하측에 구비되어 슬라이더의 직선운동을 안내하게 되는 슬라이더 가이드와;
상기 슬라이더 가이드 상에 수평 이동하도록 설치되는 등판용 각도검출 슬라이더 및 허벅지판용 각도검출 슬라이더와;
상기 등판용 각도검출 슬라이더 및 허벅지판용 각도검출 슬라이더에 각각 결합되는 등판 연결링크 및 허벅지판 연결링크와; 상기 등판 연결링크와 등판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메인프레임의 일지점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등판용 링크와;
상기 허벅지판 연결링크와 허벅지판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메인프레임의 타측 일지점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허벅지판용 링크와;
상기 등판 하단의 회전부와 허벅지판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가상의 선을 다리판으로 정의할 때, 상기 등판과 다리판의 사이의 한계 각도를 정해진 각도보다 작아지지 않도록 상기 등판용 각도검출 슬라이더와 허벅지판용 각도검출 슬라이더 간의 직선 거리만으로 제어할 수 있는 제어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등판과 다리판의 사이각 제어기능을 구비한 침대 및 그 제어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실시예1]
[0020]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침대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등판각도 및 다리판각도가 조절된 후의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로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침대는, 메인프레임(M) 상에 분절된형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등판(1)과 허벅지판(3)을 포함하는 매트리스 지지판과; 상기 메인프레임(M) 하측에 구비되어 슬라이더의 직선운동을 안내하게 되는 슬라이더 가이드(M2)와; 상기 슬라이더 가이드(M2) 상에 수
평 이동하도록 설치되는 등판용 각도검출 슬라이더(S1) 및 허벅지판용 각도검출 슬라이더(S2)와; 상기 등판용 각도검출 슬라이더(S1) 및 허벅지판용 각도검출 슬라이더(S2)에 각각 결합되는 등판 연결링크(L1) 및 허벅지판 연결링크(L2)와;
상기 등판 연결링크(L1)와 등판(1)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메인프레임(M)의 일지점에 이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등판(1)을 직접적으로 올리거나 내리는 등판용 링크(A1)와; 상기 허벅지판 연결링크(L2)와 허벅지판(3)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메인프레임(M)의 타측 일지점에 이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허벅지판(3)을 직접적으로 올리거나 내리는 허벅지판용 링크(A2)와;
상기 등판(1) 하단의 회전부와 허벅지판(3)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가상의 선을 다리판으로 정의할 때, 상기 등판(1)과 다리판 사이의 각(즉, 끼인각(γ))을 정해진 한계 각도보다 작아지지 않도록 상기 등판용 각도검출 슬라이더(S1)와 허벅지판용 각도검출 슬라이더(S2) 간의 직선 거리만으로 제어 할 수 있는 제어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등판 연결링크(L1) 및 허벅지판 연결링크(L2)가 상기 등판용 각도검출 슬라이더(S1) 및 허벅지판용 각도검출 슬라이더(S2)에 각각 연결되되 서로 교차하는 형태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등판용 각도검출 슬라이더(S1)와 허벅지판용 각도검출 슬라이더(S2)의 접촉을 검출할 수 있는 센서와, 상기 센서의 두 슬라이더간의 접촉 검출신호에 따라 등판 구동기 및 허벅지판 구동기(미도시)를 제어하게 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동기는 구동모터 혹은 기타 여러 방식의 액튜에이터를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서는 상기 등판용 각도검출 슬라이더(S1)와 허벅지판용 각도검출 슬라이더(S2)중 적어도 어느일측에 구비되는 리미트스위치(L/S)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리미트스위치(L/S)가 반드시 상기 등판용 각도검출 슬라이더(S1)나 허벅지판용 각도검출 슬라이더 (S2) 자체에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두 슬라이더나 이에 연결된 링크에 브라켓(미도시)을 설치하고 여기에 리미트스위치(L/S)를 설치하여 두 슬라이더 간의 접촉 혹은 정해진 간격에 도달함에 따라 리미트스 위치(L/S)가 이를 검출하여 등판(1)과 다리판의 사이각인 끼인각(γ)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임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침대에 있어서의 등판(1)과 다리판의 사이각으로 정의되는 끼인각(γ)이 미리 정해진 한계각도 보다 작아지지 않도록 하는 침대의 작용 및 제어과정은 다음과 같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벅지판(3)이 일정 정도 들려 다리판 각도(β)가 일정 각도를 이룬 상태이고,
상기 등판(1)과 다리판의 사이각인 끼인각(γ)이 정해진 한계 각도(예; 90도)보다 큰 상태에서 등판(1)을 올리는 경우를 가정한다.
초기 상태에서 등판 구동기(예;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등판(1)이 상승하면, 도면상 우측에 설치된 등판용 각도검출 슬라이더(S1)가 좌측의 허벅지판용 각도검출 슬라이더(S2)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도 4a의 화살표 참조).
이는 상기 등판용 각도검출 슬라이더(S1) 및 허벅지판용 각도검출 슬라이더(S2)에 각각 결합된 등판 연결링크(L1)와 허벅지판 연결링크(L2)가 서로 교차하는 형태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으로,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는 등판(1) 및 허벅지판(3)이 상승할수록 두 슬라이더 사이의 간격은 가까워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등판(1)이 상승함에 있어 등판각도(α)가 정해진 최대 등판각도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끼인각(γ)이 정해진 한계 각도에 도달하게 되면,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등판(1)은 최대 등판각도까지 계속 상승 하는 대신 상기 허벅지판(3)은 하강함으로써 상기 끼인각(γ)이 정해진 한계 각도보다 작아지지 않도록 하는데,
이는 대부분의 경우를 차지하는 본 발명 침대 사용자인 환자나 고령자의 복부에 압박이 가해지는 위험한 자세를 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예컨대, 등판(1)과 수평면이 이루는 각도인 등판각도가 한국산업규격(KS)에 정해진 최대 등판각도인 85도에 도달하기도 전에 상기 끼인각(γ)이, 예를 들어 정해진 한계 각도인 90도에 도달하게 되면,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등판(1)은 최대 등판각도까지 계속 상승하는 대신 상기 허벅지판(3)은 하강함으로써 상기 끼인각(γ)이정해진 한계 각도인 90도보다 작아지는 현상이 방지된다.
그리고, 등판(1)이 계속 상승하여 등판각도가 85도에 도달하게 되면, 컨트롤러에서는 상기 등판(1)의 상승 작용 및 허벅지판(3)의 하강 작용이 정지되도록 한다. 이때, 등판(1)이 계속 상승하여 등판각도가 85도에 도달하게 되어 등판(1)의 상승작용이 정지되더라도 허벅지판(3)은 계속 하강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한 경우와는 달리, 등판(1)이 상승하여 등판각도(α)가 일정 각도를 이룬 상태에서 다리판 각도(β)를 증가시키는 경우에 있어서는, 상기 등판(1)과 다리판의 사이각인 끼인각(γ)이 정해진 한계 각도에 도달하게되면 더 이상 다리판 각도(β)가 증가하지 않도록 한다. 즉, 등판각도(α)를 낮추지는 않는데 이는 등판각도를 위주로 제어하고자 하는 의도에 따른 것이다.
예컨대, 등판각도(α)가 한국산업규격(KS)에 나와 있는 최대 등판각도인 85를 이룬 상태에서 허벅지판(3)을 들어올려 다리판 각도(β)를 증가시키는 경우, 상기 허벅지판(3)의 상승에 의해 상기 등판(1)과 다리판의 사이각인 끼인각(γ)이, 예를 들어 정해진 한계 각도인 90에 도달하게 되면, 더 이상 다리판 각도(β)가 증가하지 않도록 허벅지판(3)의 상승을 멈추게 된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기술들은 환자의 체위가 바뀌어 신체부위의 지속적인 압박점이 이동되는 효과가 있으나, 침대의 좌우 요동시에 거동불편의 와상환자가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거나 쏠리게 되어 낙상의 우려가 있었다.
안전사고의 예방은 거동불편의 와상환자나 고령자가 사용하는 전동침대에 있어서는 가장 중요한 요소이고 기본적이고 필수적인 사안인데도 불구하고, 와상환자의 낙상을 방지하는 침대는 아직 개발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참고로, 일반적으로 거동이 불편한 환자에게 사용되는 침대는 환자의 등받이부가 상향으로 각도 조절되는 구조로 되어 있어 그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와는 별도로 환자의 다리부에 위치하는 매트리스는 수동조작 또는 전기적인 구동력에 의해 상향으로 각도 조절되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거동이 불편한 환자는 매트리스의 일측을 상승시켜 TV를 시청하거나 독서 및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이러한 매트리스의 각도 조절구조는 구동모터의 회전에 의한 나사축의 승강에 따라 이루어지는 것이며, 환자 스스로 구동
모터의 작동시간을 제어하여 목적하는 각도로 조절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있는 것이다.
본원은 이러한 각도 조절이 가능한 침대라 하더라도 그 침대위에 안치시켜 사용할 수있는 기술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와상환자의 욕창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침대를 좌우로 요동시킬 때, 와상환자의 낙상(落床)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굴절매트리스의 측면을 상향 조절할 수 있는 굴절매트리스 지지장치를 제공하되,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침대가 좌우로 요동할 때 와상환자가 침대의 측면으로 미끌어지듯이 낙상할 경우 환자의 측면(환자의 팔에 해당하는 부분을 측면이라함)을 지지하도록 굴절매트리스의 측면을 상승하는데, 환자의 상체를 지지하는 상측지지부와, 환자의 하지에 해당하는 하지지지부의 위치가 다르게 구성함을 과제로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굴절매트리스(630)를 떠받쳐주는 지지장치(604) 양단에 지지수단(605)에 의해 회동하도록 지지되되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위치되고, 모터(400)에 의해 회동하는 회동축(606)과,
상기 회동축(606)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은 굴절매트리스(630) 양측에 형성한 분절부(640)의 양측면 하단부를 소정의 각도로 절곡시키는 절곡판(608,608')으로 구성된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장치(604)의 양단에 길이방향으로 설치한 회동축(606)을, 하지회동축(606')과 상체회동축(606")으로 양분시켜, 상기 하지회동축(606')에 상기 하지회동축(606')을 회동시키는 모터(700)를 설치하고, 상기 상체회동축(606")에 상기 상체회동축(606")을 회동시킬 수 있는 제2모터(710)를 갖도록 하되, 상기 지지장치(604)의 양단에 각각 설치된 상기 하지회동축(606)은 서로의 간격이 상기 상체회동축(606")의 서로의 간격에 비해 그 간격이 가까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장치(604)는 그 길이방향이 적어도 2개소 이상으로 분절시켜 그 분절 부분을 서로 연결하되 자유롭게 굴절되도록 하는 굴절부분(609)과, 상기 굴절부분(609)에 위치되는 회동축(606)이 굴절되도록 상기 회동축(606)을 양분시켜 유니버설조인트(650)를 설치함을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침대의 좌우 요동시에 분절매트리스 양측면이 상방향으로 들어 올려지므로 거동불편의 와상환자가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거나 쏠리게 되어도 낙상의 우려가 없는, 안전사고의 예방이 가능한 낙상방지 기능을 갖는 분절매트리스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더욱 상세한 효과는 후술로 이어지는 구체적인 내용에서 참고하기 바란다.
도 1은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일부 분해 전체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침상경사수단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침상경사수단의 가로 받침대의 작동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한쪽으로 경사시킨 침상을 여러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침대용 굴절매트리스 지지장치에 종래의 굴절매트리스가 안치된 사시도,
도 6은 종래의 굴절매트리스를 본 발명의 침대용 굴절매트리스 지지장치로부터 분리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침대용 굴절매트리스 지지장치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침대용 굴절매트리스 지지장치의 요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침대용 굴절매트리스 지지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모터에 의해 절곡판이 상승한 설명도,
도 10은 본 발명의 침대용 굴절매트리스 지지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본원의 절곡판 상승으로 굴절매트리스가 굴절된 상태의 설명도,
도 11은 본 발명의 침대용 굴절매트리스 지지장치의 길이방향이 굴절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제 11도의 부분 확대도.
본원의 발명이 이해하기 위해서는 환자용 침대에 있어서 환자가 누워있는 침상면을 폭방향의 좌우로 번갈아가면서 승하강 하는 침대를 이해해야함으로 그 침대를 먼저 살펴보기로 한다.
거동이 불편한 와상(臥床) 환자를 위한 침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대(C) 최상부에 올려지고, 양측이 길이방향으로 접힐 수 있고, 환자가 눕게되는 굴절매트리스(10)와, 상기 굴절매트리스(10)를 안치(安置)시키는 침상프레임(20)과, 상기 침상프레임(20)을 떠받치고 좌우로 경사시키는 침상경사수단(30)과, 상기 침상경사수단(30)에 고정되고, 상기 침상프레임(20)을 길이방향으로 직립 및 하강시키는 침상직립하강수단(40)과, 상기 침상경사수단(30)이 설치 지지되고, 침대(C)를 이동시킬 수 있는 하부지지대(50)와, 침상프레임(20)의 경사각도, 경사주기, 반복회수, 그리고, 침상프레임(20)의 기립각도, 시간 등을 설정 및 제어하고, 구동모터(35)와 리니어모터(41)의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에서 침상프레임(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굴절매트리스(10)를 침대(C)에 안치시키기 위해 침상프레임(20)의 길이방향의 양측에 금속재로 마련되는 침상외측 세로지지대(21)와, 상기 침상외측 세로지지대(21) 사이에 가로방향으로 복수개 설치 고정되어 상기 굴절매트리스(10)를 처지지 않게 받쳐주는 침상가로지지대(22)를 구비한다.
또한, 침상프레임(20)의 길이방향 양단에는 머리판과 발판이 설치되고, 폭방향 양측에는 침대 난간이 설치된다.
그리고, 굴절매트리스(10)가 안치된 침상프레임(20)은 하부에 설치되는 침상 경사수단(30)에 의해 소정의 높이로 지지되고, 또한, 별도의 간병인이나 간호사 도움이 없이도 와상환자(A) 스스로 제어장치와 연결된 작동개시 스위치를 조작하거나, 또는, 설정된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서 침상프레임(20)의 경사각도와 주기적으로 와상환자(A)의 체위를 바꿔 준다.
상기와 같은 침상경사수단(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거리로 이격되고, 상기 침상프레임(20)의 침상외측 세로지지대(21)를 하부에서 가로방향으로 지지하는 2개의 가로받침대(36)와, 상기 가로받침대(36)의 양단 하부에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는 수직지지대(31)와, 상기 각 수직지지대(31) 하단에 링크 결합된 가변 3각다리(32)와, 상기 가변3각다리(31)의 하단에 결합된 3각다리 이동부재(33)와, 상기 3각다리 이동부재(33)를 양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수직지지대(31)의 수직방향 높이를 조절하여 침상프레임(20)의 경사도를 좌우로 조절하는 양방향 스크류(34)와, 상기 좌우 양방향스크류(34) 각각의 일단에 결합되고, 상기 3각다리 이동부재(33)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정역회전하는 구동모터(35)와, 상기 양방향 스크류(34)를 3각다리 이동부재(33)의 중간위치에서 고정시키고, 또한, 회전시키는 스크류 가로고정대(38)를 구비한다.
와상 환자(A)가 누워있는 굴절매트리스(10)를 좌우로 주기적으로 반복해서 경사지게 하기 위해서는 하부지지대(50)의 양측에 침대(C)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침상경사수단(30)의 구동모터(35)에 결합된 양방향스크류(34)를 시간차를 두고 각기 독립적으로 정역회전시킨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상경사수단의 주요구성 부분을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양방향스크류(34)는 양단이 하부지지대(50)의 4각프레임(51) 종단에 베어링(미도시)을 개재하여 고정되고, 다시 양방향스크류(34) 사이에는 4개의 3각다리 이동부재(33)가 삽입된다. 또한, 2개의 3각다리 이동부재(33)가 한쌍이 되고, 각 3각다리 이동부재(33) 쌍의 중간에는 양방향 스크류가로고정대(38)가 가로방향으로 설치되는데, 스크류가로고정대(38) 양단에는 베어링(미도시)이 부착되어, 양방향스크류(34)가 통과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스크류가로고정대(38)를 중심으로 양방향스크류(34)의 나사방향이 반대로 형성되어 있어, 회전방향에 따라 각 3각다리 이동부재(33)쌍이 동시에 서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진다. 예를 들면, 어느 한쪽 방향에 설치된 양방향스크류(34)를 정회전시키면, 3각다리 이동부재(33)쌍이 서로 가까워지고, 즉, 좁혀지면 가변 3각다리(32)의 상부 꼭지점과 수직지지대(31)의 하단이 핀으로 링크되어 있고, 가변 3각다리(32)의 하단의 각각이 3각다리 이동부재(33)와 링크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수직지지대(31)는 수직방향으로 높이가 상승되고, 결과적으로 침상프레임(20)이 상방향으로 들어올려지게 된다. 동시에 다른 한쪽 방향에 설치된 스크류(34)가 역회전되면, 3각다리 이동부재(33)쌍이 서로 멀어지고, 즉, 넓혀지면 가변 3각다리(32)의 상부 꼭지점과 수직지지대(31)의 하단이 핀으로 링크되어 있고, 3각다리 이동부재(33)와 가변 3각다리(32)의 하단이 서로 핀으로 링크되어 있기 때문에 수직지지대(31)는 연직방향으로 높이가 낮아지고, 결과적으로 침상프레임(20)이 아래쪽 방향으로 낮춰지게 된다. 이렇게 양방향스크류(34)를 시간차를 두고 독립적으로 정역회전을 주기적으로 바꾸어 주면, 도 3의 (a), (b),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상프레임(20)을 지지하는 수직지지대(31)의 좌우 높이가 달라지게 되고, 그 결과 침상프레임(20)은 주기적으로 좌우로 경사운동을 반복하게 되고, 도 4(a), (b),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상환자(A)의 체위가 좌우로 기울어지면서, 특정부위에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체중의 압점이 이동되고 압박부위가 일시적으로 해소된다.
이와 같은 환자용 침대에서 반드시 안전을 위해 별도의 굴절매트리스가 요구된다.
그러므로 본원은 상기 종래 기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굴절매트리스를 굴절 할 수 있는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원의 침대용 굴절매트리스용 지지장치의 구성과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실시예는, 굴절매트리스(630)를 떠받쳐주는 지지장치(604) 양단에 지지수단(605)에 의해 회동하도록 지지되되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위치되고, 모터(400)에 의해 회동하는 회동축(606)과, 상기 회동축(606)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은 굴절매트리스(630) 양측에 형성한 분절부(640)의 양측면 하단부를 소정의 각도로 절곡시키는 절곡판(608,608')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장치(604)의 양단에 길이방향으로 설치한 회동축(606)을 하지회동축(606')과 상체회동축(606")으로 양분시킨다.
그 후 상기 하지회동축(606')에 상기 하지회동축(606')을 회동시키는 모터(700)를 설치하고, 상기 상체회동축(606")에 상기 상체회동축(606")을 회동시킬 수 있는
제2모터(710)를 갖도록 한다.
여기서 실시예를 설명하면, 상체회동축(606")에 설치된 제2모터(710)를 동작하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700)와, 제2모터(710)가 회동하면, 모터(700)와 제2모터(710)와 연결된 회동축(106)이 회동한다.
그러므로 회동축(606)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측은 승강되는 절곡판(608)에 의해 굴절매트리스의 분절부(640)를 소정각도 들어올리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장치(604)의 양단에 각각 설치된 상기 하지회동축(606)은 서로의 간격이 상기 상체회동축(606")에 비해 간격에 가까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 상체를 지지하는 양 상체회동축(606")의 간격에 비해 양 하지회동축(606)의 간격을 좁게함으로서 폭이 좁은 하지가 침대가 좌우로 요동하더라도 매트리스 양측면으로 미끄러지지 않아 환자가 난상으로부터 안전하다.
만약, 하지를 하지측면 가까이에서 지지하지 못하게되면, 하지가 매트리스 양 측면으로 미끄러져 중환자인 경우 그에 따른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즉, 상기 상체회동축에 비해 하지회동축의 간격을 좁게한 이유는, 환자의 상체폭에 비해 환자의 하지 폭이 좁은 관계로 양 하지회동축의 간격을 좁게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지지장치(604)는 그 길이방향이 적어도 2개소 이상으로 분절시켜 그 분절 부분을 서로 연결하되 자유롭게 굴절되도록 하는 굴절부분(609)과, 상기 굴절부분(609)에 위치되는 회동축(606)이 굴절되도록 상기 회동축(606)을 양분시켜 유니버설조인트(650)를 설치하였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유니버설조인트(650)를 설치함으로서 굴절부분(609)이 굴절이 가능하여 굴절부분(609)이 도시한 도 11에서 확인되듯이 다양한 각도를 갖더라도 회동축(606)이 회전가능하여 회전판(608, 608')이 굴절메트리스 분절부(640)를 굴절할 수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앞에서 업급한 종래 침대중에서 등받이부가 상향으로 각도 조절되는 구조
일 경우 본원의 굴절매트리스 지지장치를 그 침대위에 안치한다 하더라도 길이방향이 굴절되므로 사용이 용이하다.
도시한, 도 4의 b와 c 같이 좌우로 침상경사수단(30)이 번갈아가면서 승하강하면 본원의 절곡판(608,608") 또한 모터와 회동축(606)의 도움으로 환자의 낙상을 방지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승강판(608)은, 재질이 금속판으로 된 승강판(608)위에 재질이 목재로 된 승강판(608')을 적층 하였다.
이와 같이 함으로서 가벼우면서 저렴하고, 튼튼하며, 목재부분이 굴절매트리스 저면은 떠받치고 있어, 굴절매트리스 손상확률도 낮다. 만약 목재가 아닌 금속판이 굴절매트리스를 떠받치고 있다면 굴절매트리스 손상률도 높고, 무거우며, 가격이 상승되는 등 단점이 더 많다.
604 : 지지장치 605 : 지지수단
606 : 회동축 606" : 상체회동축
606' : 하지회동축 608,608" : 절곡판
609 : 굴절부분 630 : 굴절매트리스
640 ; 분절부 650 : 유니버셜조인트
700 : 모터 710 : 제2 모터

Claims (3)

  1. 굴절매트리스(630)를 떠받처주는 지지장치(604) 양단에 지지수단(605)에 의해 회동하도록 지지되되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위치되고, 모터(400)에 의해 회동하는 회동축(606)과,
    상기 회동축(606)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은 굴절매트리스(630) 양측에 형성한 분절부(640)의 양측면 하단부를 소정의 각도로 절곡시키는 절곡판(608,608')으로 구성된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장치(604)의 양단에 길이방향으로 설치한 회동축(606)을, 하지회동축(606')과 상체회동축(606")으로 양분시켜, 상기 하지회동축(606')에 상기 하지회동축(606')을 회동시키는 모터(700)를 설치하고, 상기 상체회동축(606")에 상기 상체회동축(606")을 회동시킬 수 있는 제2모터(710)를 갖도록 하되, 상기 지지장치(604)의 양단에 각각 설치된 상기 하지회동축(606')은 서로의 간격이 상기 상체회동축(606")의 서로의 간격에 비해 그 간격이 가까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상환자를 위한 침대용 굴절매트리스 지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장치(604)는 그 길이방향이 적어도 2개소 이상으로 분절시켜 그 분절 부분을 서로 연결하되 자유롭게 굴절되도록 하는 굴절부분(609)과, 상기 굴절부분(609)에 위치되는 회동축(606)이 굴절되도록 상기 회동축(606)을 양분시켜 유니버설조인트(650)를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와상환자를 위한 침대용 굴절매트리스 지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장치(604)의 양단에 길이방향으로 설치한 회동축(606)을 하지회동축(606')과 상체회동축(606")으로 양분시키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와상환자를 위한 침대용 굴절매트리스 지지장치.
KR1020160022695A 2016-02-25 2016-02-25 와상환자를 위한 침대용 굴절매트리스 지지장치 KR201701003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2695A KR20170100301A (ko) 2016-02-25 2016-02-25 와상환자를 위한 침대용 굴절매트리스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2695A KR20170100301A (ko) 2016-02-25 2016-02-25 와상환자를 위한 침대용 굴절매트리스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0301A true KR20170100301A (ko) 2017-09-04

Family

ID=59924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2695A KR20170100301A (ko) 2016-02-25 2016-02-25 와상환자를 위한 침대용 굴절매트리스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0030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74952A (zh) * 2017-12-15 2018-04-06 李海荣 一种多功能外科护理装置
CN115778703A (zh) * 2023-02-07 2023-03-14 吉林大学 一种心内护理用防患者坠床用紧急保护装置
KR20230063470A (ko) * 2021-11-02 2023-05-09 주식회사 알파로보틱스 욕창방지용 침대 로봇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74952A (zh) * 2017-12-15 2018-04-06 李海荣 一种多功能外科护理装置
CN107874952B (zh) * 2017-12-15 2019-12-06 李海荣 一种多功能外科护理装置
KR20230063470A (ko) * 2021-11-02 2023-05-09 주식회사 알파로보틱스 욕창방지용 침대 로봇
CN115778703A (zh) * 2023-02-07 2023-03-14 吉林大学 一种心内护理用防患者坠床用紧急保护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73019B2 (en) Mobility aid and rehabilitation device and related components
US20160331615A1 (en) Multi-functional and multipositional bed
WO2014030620A1 (ja) 寝姿勢制御ベッドシステム
US20170056263A1 (en) Hospital bed with apparatus capable of automatically changing bed sheets without disturbing occupied person, also a method of preventing and relieving ulcers
CN109771116A (zh) 一种用于医疗骨科病人的脊椎牵引床
US20170000670A1 (en) Hospital bed with apparatus capable of automatically changing bed sheets without disturbing occupied person, also a method of preventing and relieving ulcers
CN205548859U (zh) 电动360度翻身床
KR101318724B1 (ko) 지능형 케어를 위한 가변 침상
KR20170100301A (ko) 와상환자를 위한 침대용 굴절매트리스 지지장치
KR20180106993A (ko) 침대 리프팅 프레임
KR101320168B1 (ko) 거동불편 와상환자를 위한 다기능 전동침대
CN108852690B (zh) 一种多功能康复护理床
US20160008203A1 (en) Device for spine correction and measurement system
CN108883022A (zh) 用于附接到医院病床且用于翻动患者的床系统
CN114948592A (zh) 一种膝关节康复设备
JP2000139977A (ja) 腰痛治療椅子
US11622896B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to prevent and treat a disease by optimization of sleep posture and assisted rollovers
CN108743199A (zh) 一种四肢损伤恢复椅
CN211067261U (zh) 一种四维整脊牵引床
KR20120060798A (ko) 척추교정기
CN209332539U (zh) 一种折叠床
CN209059780U (zh) 下肢支架器械
CN112545732B (zh) 一种用于颈椎卧式牵引装置
CN220877113U (zh) 一种神经外科护理用约束器
KR101825286B1 (ko) 척추치료 환자 이동이 용이하도록 로울러장치가 탑제된 의료용 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