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0300B1 - 부선의 선회각 감소를 위한 부선 선수형상별 보조재 - Google Patents

부선의 선회각 감소를 위한 부선 선수형상별 보조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0300B1
KR101690300B1 KR1020150032651A KR20150032651A KR101690300B1 KR 101690300 B1 KR101690300 B1 KR 101690300B1 KR 1020150032651 A KR1020150032651 A KR 1020150032651A KR 20150032651 A KR20150032651 A KR 20150032651A KR 101690300 B1 KR101690300 B1 KR 1016903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ge
stern
auxiliary member
shape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2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9029A (ko
Inventor
임금수
박정대
이상민
김부영
Original Assignee
선박안전기술공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박안전기술공단 filed Critical 선박안전기술공단
Priority to KR1020150032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0300B1/ko
Publication of KR20160109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90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0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03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0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 B63B1/04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single hull
    • B63B1/08Shape of aft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0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 B63B1/04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single hull
    • B63B1/06Shape of fore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0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 B63B1/04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single hull
    • B63B1/06Shape of fore part
    • B63B1/063Bulbous b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32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28Barges or ligh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08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 Y02T70/12
    • Y02T70/12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선의 안전향상을 위해 부선 주위의 유동장 및 특성을 조사하고 부선의 선수 형상에 따라 보조재(skeg)를 적합한 위치에 고정하여 예인삭의 각도를 감소시킴과 동시에 예인삭에 가해지는 장력을 감소시켜서 예인삭을 끊어짐을 방지하여 안전 예항이 가능하도록 직진성을 향상시킨 부선의 선회각 감소를 위한 부선 선수형상별 보조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부선(200)의 선수(202)의 형상에 따라 보조재(100)를 경사면이 형성된 선미(204)의 중앙, 좌측 및 우측에 설치하여 예인삭의 각도를 감소시키되, 상기 선미(204)의 하부에는 결합홈과 결합돌기가 형성된 레일(205)이 형성되고, 상기 레일(205)에 끼워지고 선미의 경사면에 밀착되도록 고정되는 연결부재(10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부선의 선회각 감소를 위한 부선 선수형상별 보조재{A SKEG FOR BARGE}
본 발명은 부선의 선회각 감소를 위한 부선 선수형상별 보조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부선의 안전향상을 위해 부선 주위의 유동장 및 특성을 조사하고 부선의 선수 형상에 따라 보조재(skeg)를 적합한 위치에 고정하여 예인삭의 각도를 감소시킴과 동시에 예인삭에 가해지는 장력을 감소시켜서 예인삭을 끊어짐을 방지하여 안전 예항이 가능하도록 직진성을 향상시킨 부선의 선회각 감소를 위한 부선 선수형상별 보조재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중국을 중심으로 서해권의 컨테이너 물동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동북아 물류의 중심으로 도약하기 위해 독보적 경쟁적 우수성을 갖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실정이다.
기존 컨테이너 부두의 수심이 얕고, 크레인 등 하역용량의 제한으로 인해 대형 컨테이너선의 수용이 불가능하였다.
이로 인하여, 종래에는 화물 선적의 경우, 하역 설비 및 부두 여건 제한으로 인해 대형 선박이 화물작업을 한번에 완료하지 못하고 부두에서 부분 선적한 후 외항으로 이동하여 부선(BARGE)으로 싣고 온 화물을 선박의 크레인 또는 예인선을 이용하여 선적작업을 마치게 된다.
이와 같이 부선(BARGE)은 항내, 내해, 하천 등에서 화물을 운반하는 선박을 총칭하는 것으로서, 화물 취급의 편의상 폭이 넓고 바닥이 평평한 모양이 일반적이며, 추진기를 갖추고 자항하는 형식과, 동력이 없어 예인선에 의해 예항되는 형식이 있다.
또, 용도에 따라서는 일반화물용 바지선, 오일바지선 등이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컨테이너 화물 하역(또는 항내 및 내해에서 이동하는)의 경우, 화물을 싣고 온 대형 선박이 부두에 바로 접안하지 못하고 외항에서 선박의 크레인 또는 예인선을 엔인삭으로 연결하여 부선(BARGE)을 끌고 가서 부분 하역을 하고, 부두에 접안하여 나머지 하역작업을 마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부선(BARGE)을 이용하여 선적 및 하역 작업을 하는 경우, 좁은 해상의 조건 즉, 날씨, 파도 등의 영향을 받아서 좌우로 움직이게 되는데 부선을 끌고 가는 예인선의 예인삭이 크게 움직이는 경우, 예인삭에 걸리는 예인장력이 커지고 이로 인하여 안정된 회두각도의 범위내에서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았고 좌우로 움직이는 선회각이 큰 경우에는 예인삭이 끊어지는 등의 안정성이 담보되지 못하여 해상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이유로 해상의 날씨, 파도 등의 조건에 따라 물결에 대한 저항력을 발생시켜서 직진성을 주기 위해 스케그(SKEG)를 설치하고 있으나 이러한 스케그(SKEG)는 부선의 선수 형상과 상관없이 중앙의 한 곳만 고정하도록 되어 있어서 부선의 선수 형상에 따라 파도와 물결의 영향을 받는 부선의 선회각도를 맞출 수 없었고, 예인선과 부선을 연결하고 있는 예인삭에 큰 장력이 발생하여 끊어짐으로써 해양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공개특허 제10-2006-0072847호
본 발명은, 예인선이 부선을 끌고 가는 경우, 좌우로 움직인는 예인삭의 선회각을 최소화시켜서 안전성을 우수하게 향상시킨 부선의 선회각 감소를 위한 부선 선수형상별 보조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스케그를 부선(BARGE)의 선미쪽 하부에 부착하여 예인삭의 회전반경을 작게하여 부선의 선회각을 감소시켜서 예인삭의 끊어짐을 방지하여 부선을 안정되게 끌고 갈 수 있는 부선의 선회각 감소를 위한 부선 선수형상별 보조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부선의 선수형상 즉 사각형, 육각형, 라운드 형태에 따라 보조재를 설치하여 부선의 선회각을 최소화하여 안정되게 예인할 수 있는 부선의 선회각 감소를 위한 부선 선수형상별 보조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선의 선수형상 즉, 사각형, 육각형, 라운드 형태에 따라 보조재를 자유롭게 부착 고정하여 예인삭의 좌우 선회각을 효율적으로 줄여서 예인삭이 끊어지지 않고 안정되게 예인할 수 있는 부선의 선회각 감소를 위한 부선 선수형상별 보조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부선의 선미에 레일홈을 형성하고 선회각도를 감소하기 위한 보조재를 연결 설치하도록 연결부재를 설치하여 예인선의 예인시 부선 선수형상별 보조재를 간격에 적합하게 설치하여 부선의 선회각 감소를 시킬 수 있는 부선의 선회각 감소를 위한 부선 선수형상별 보조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부선(200)의 선수(202)의 형상에 따라 보조재(100)를 경사면이 형성된 선미(204)의 중앙, 좌측 및 우측에 설치하여 예인삭의 각도를 감소시키되, 상기 선미(204)의 하부에는 결합홈과 결합돌기가 형성된 레일(205)이 형성되고, 상기 레일(205)에 끼워지고 선미의 경사면에 밀착되도록 고정되는 연결부재(10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재(100)는, 삼각판형상의 몸체(10)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10)의 상부면에 결합홈부(14)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부(14)에는 상기 연결부재(102)와 연결 고정되는 복수 개의 체결공(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102)는, 사각 몸체(16)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16)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판부(18)와, 상기 몸체(16)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판부(20)로 이루어지되, 상기 하판부(18)는 복수 개의 보조재 체결공(22) 및 복수 개의 선미 체결공(24)을 포함하여 선미의 경사면에 밀착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재 체결공(22)에는 보조재 고정수단(104)을 이용하여 상기 연결부재(102)를 상기 보조재(100)에 고정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선미 체결공(24)에는 선미 고정수단(106)을 이용하여 상기 연결부재(102)를 상기 선미(204)에 고정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선의 선수 형상은 사각형, 육각형, 라운드 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보조재(100)를 좌측, 우측 또는 중앙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재(100)를 사각형 선수의 선미에 설치하되, 예인삭의 각도(θ)가 12-17도 사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재(100)를 라운드형 선수의 선미에 설치하되, 예인삭의 각도(θ)가 20-25도 사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부선의 선회각 감소를 위한 부선 선수형상별 보조재는, 부선의 선수 형상에 따라 보조재를 적합한 위치에 설치하여 침로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예인삭의 장력을 감소시켜서 끊어짐을 방지하여 예인시의 안정성을 우수하게 향상시키며 부선의 안전예항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a) 내지 c)는 본 발명의 부선의 선회각 감소를 위한 부선 선수형상별 보조재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부선의 선회각 감소를 위한 부선 선수형상별 보조재가 설치된 상태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부선의 선회각 감소를 위한 부선 선수형상별 보조재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부선의 선회각 감소를 위한 부선 선수형상별 보조재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부선의 선회각 감소를 위한 부선 선수형상별 보조재가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보조재가 설치된 일부 확대 단면도
도 7 a) 내지 c)는 본 발명의 부선의 선회각 감소를 위한 부선 선수형상별 보조재가 설치된 위치를 보여주는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부선의 선회각 감소를 위한 부선 선수형상별 보조재가 설치된 상태의 실시예의 실험 사진
본 발명은, 부선(200)의 선수(202)의 형상에 따라 보조재(100)를 경사면이 형성된 선미(204)의 중앙, 좌측 및 우측에 설치하여 예인삭의 각도를 감소시키되, 상기 선미(204)의 하부에는 결합홈과 결합돌기가 형성된 레일(205)이 형성되고, 상기 레일(205)에 끼워지고 선미의 경사면에 밀착되도록 고정되는 연결부재(10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등의 용어는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편의상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 도면상의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는 경우, 실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부는 하부로 명명될 수 있고, 하부는 상부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은, 부선의 선회각 감소를 위한 부선 선수형상별 보조재에 적용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이러한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또한 부선의 선회각 감소를 위한 부선 선수형상별 보조재를 사용하는데 있어서 다양한 용도와 목적에 적용될 수 있는 것임을 미리 밝힌다.
도 1 a) 내지 c)는 본 발명의 부선의 선회각 감소를 위한 부선 선수형상별 보조재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부선의 선회각 감소를 위한 부선 선수형상별 보조재가 설치된 상태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부선의 선회각 감소를 위한 부선 선수형상별 보조재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부선의 선회각 감소를 위한 부선 선수형상별 보조재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부선의 선회각 감소를 위한 부선 선수형상별 보조재가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보조재가 설치된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또한, 도 7 a) 내지 c)는 본 발명의 부선의 선회각 감소를 위한 부선 선수형상별 보조재가 설치된 위치를 보여주는 상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부선의 선회각 감소를 위한 부선 선수형상별 보조재가 설치된 상태의 실시예의 실험 사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부선의 선회각 감소를 위한 부선 선수형상별 보조재를 설명하여 보면, 우선,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부선의 선회각 감소를 위한 부선 선수형상별 보조재(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1 a)에 도시된 부선(200)은 선수(202)와 선미(204)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선미(204)의 하부는 일정방향으로 경사면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선미(204)의 경사면에는 레일(205)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일(205)은 부선의 선회각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보조재(100)가 끼워져서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선수(202)는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보조재(100)는 상기 선미(204)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 나아가서는 좌측, 우측 또는 중앙에 각각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재(100)는 스케그(SKEG)임이 바람직하고, 삼각형, 유선형 등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보조재(100)는 상기 선미(204)의 레일(205)에 설치되고 좌측, 우측 및 중앙에 설치될 수 있고, 이때, 상기 부선(200)과 연결되는 예인삭(미도시됨)의 장력이 감속하여 부선의 회두각도가 작아지면서 부선의 선회운동을 감소시킨다.
상기 도 1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선(300)은 선수(302)와 선미(304)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선미(304)의 하부는 일정방향으로 경사면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선미(304)의 경사면에는 레일(305)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일(305)은 부선의 선회각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보조재(100)가 끼워져서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선수(302)는 육각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보조재(100)는 상기 선미(304)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 나아가서는 좌측, 우측 또는 중앙에 각각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재(100)는 스케그(SKEG)임이 바람직하고, 삼각형, 유선형 등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보조재(100)는 상기 선미(304)의 레일(305)에 설치되고 좌측, 우측 및 중앙에 설치될 수 있고, 이때, 상기 부선(300)과 연결되는 예인삭(미도시됨)의 장력이 감속하여 부선의 회두각도가 작아지면서 부선의 선회운동을 감소시킨다.
상기 도 1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선(400)은 선수(402)와 선미(404)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선미(404)의 하부는 일정방향으로 경사면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선미(404)의 경사면에는 레일(405)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일(405)은 부선의 선회각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보조재(100)가 끼워져서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선수(402)는 육각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보조재(100)는 상기 선미(404)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 나아가서는 좌측, 우측 또는 중앙에 각각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재(100)는 스케그(SKEG)임이 바람직하고, 삼각형, 유선형 등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보조재(100)는 상기 선미(304)의 레일(305)에 설치되고 좌측, 우측 및 중앙에 설치될 수 있고, 이때, 상기 부선(300)과 연결되는 예인삭(미도시됨)의 장력이 감속하여 부선의 회두각도가 작아지면서 부선의 선회운동을 감소시킨다.
이어서, 도 2를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여 보면, 선수(202)가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 부선(200)의 선미(204)에 보조재(100)가 설치되는바, 상기 보조재(100)는 삼각판 형상의 몸체(10)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10)의 일면에는 경사면으로 형성된 상부 결합면(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 결합면(12)은 전술된 선미(204)의 경사면과 밀착되도록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 결합면(12)에는 가운데 부분에 결합홈부(14)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홈부(14)는 좌우로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결합홈부(14)의 상부면에는 복수 개의 체결공(1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홈부(14)에는 연결부재(102)가 결합되어진다.
상기 연결부재(102)는 상기 부선(200)의 선미(204)에 형성된 레일(205)에 끼워짐과 동시에 상기 보조재(100)에 고정되어 진다.
상기 연결부재(102)는 상기 레일(205)에 끼워지되, 상기 레일(205)을 다라 좌우로 이동하면서 필요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보조재(102)에 상기 연결부재(102)를 고정하고 상기 연결부재(102)를 레일(205)에 끼운 후, 선미(204)의 좌측, 우측 및 중앙에 위치시켜서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보조재(100)를 좌측 및 우측 그리고 중앙부에 각각 설치할 수 있으므로,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부선(200)의 이동시 예인삭(600)의 장력을 감소하게 되고 이에 따라 부선의 선회각도(θ)를 자게 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102)는 상기 레일(205)에 결합되도록 사각형상의 몸체(16)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몸체(16)의 하부에는 사각판 형상의 하판부(18)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16)의 상부에는 사각판 형상의 상판부(20)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판부(18)와 상판부(20)의 사이에는 레일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레일홈에는 후술되는 레일(205)과 결합되도록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하판부(18)에는 복수 개의 체결공이 형성되는바, 상기 연결부재(102)를 상기 보조재(100)에 고정하기 위한 보조재 체결공(22)이 몸체(16)의 좌우측부에 상하 관통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부재(102)를 상기 부선(200)에 고정하도록 복수 개의 선미 체결공(24)이 상하 관통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상기 보조재 체결공(22)에는 볼트, 너트, 피스, 리벳 등의 보조재 고정수단(104)에 의해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선미 체결공(24)에는 볼트, 너트, 피스, 리벳 등의 선미 고정수단(106)에 의해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와 같이 형성된 연결부재(102)는 상기 레일(205)에 끼워져서 고정되는바, 상기 레일(205)은 상기 보조재(100)의 상판부(20)가 끼워지는 결합홈(2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홈(24)의 하부에는 결합돌기(2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돌기(28)는 전술된 레일홈에 끼워져서 고정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결합돌기(28)가 끼워진 레일홈은 결합돌기(28)와 상판부(20), 결합돌기(28)와 몸체(16) 그리고 결합돌기(28)와 하판부(18) 사이의 공간을 의미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계속해서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여 보면, 본 발명의 보조재(100)는 몸체(10)의 상부에 연결부재(102)가 고정되어 있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102)는 보조재 고정수단(104)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상기 보조재 고정수단(104)은 상기 몸체(10)에 형성된 복수 개의 체결공(13)에 체결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재 고정수단(104)에 의해 고정된 연결부재(102)는 상기 레일(205)에 끼워서 설치한다. 즉, 상기 레일(205)을 따라 이동하면서 좌측 및 우측 또는 중앙에 위치를 잡아준 후, 상기 선미 고정수단(106)을 이용하여 부선(200)의 선미(204)에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보조재(100)는 상기 부선(200)의 선미(204) 어느 위치에 설치하는가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바, 본 발명의 보조재(100)는 그 위치를 다양하게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다양한 위치- 좌측, 우측, 중앙-에 설치되는 보조재(100)에 의하여 예인선과 부선(200)을 연결하고 있는 예인삭(600)에 걸리는 장력을 감소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부선의 선회운동도 감소시키게 된다.
하기의 도 7에서는 본 발명의 보조재의 위치에 따른 설치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먼저, 도7 a)는 본 발명의 보조재(100)가 선미(204)의 후부에 설치된 상태 즉, 중앙(108)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 b)는 본 발명의 보조재(100)가 선미(204)의 후부 좌측(110) 및 우측(112)에 각각 설치된 상태르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7 c)는 본 발명의 보조재(100)가 선미(204)의 후부 중앙(108), 좌측(110), 우측(112)에 모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이때, 상기 중앙(108)에 설치된 보조재(100)는 상기 좌측(110) 및 우측(112)에 설치된 보조재(100)에 비하여 크기가 두 배 정도 더 크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보조재가 설치된 부선을 예인선이 끌고 가는 경우 예인삭에 작용하는 장력과 각도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예인선과 부선(200)이 예인삭(600)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이때, 부선(200)의 선수(202)가 물결의 흐름에 따라 저항하여 선회각도가 발생하는바, 상기 예인삭(600)이 소정의 각도(θ)로 팽팽하게 당겨지게 된다.
상기 예인삭(600)이 벌어지는 소정의 각도(θ)는 15도 내지 45도 각도의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기에는 본 발명의 보조재(100)를 선수형상, 즉 사각형, 육각형, 라운드형상을 갖는 부선(200,300,400)에 따라 설치한 경우 예인삭의 각도와 장력을 실험치로 나타낸 실험결과를 보여주는 표이다.
먼저, 첫째로, 부선(200)의 선수(202)의 형상이 사각형인 경우,
[표1]
Figure 112015022958938-pat00001
검은색선 : 보조재를 설치하지 않았을 경우 발생하는 예인삭의 각도
점선 : 중앙 보조재(100)를 설치했을 때 발생하는 예인삭의 각도
분홍점선 : 좌,우측 보조재(100)를 설치했을 때 발생하는 예인삭의 각도
초록점선 : 중앙 보조재(100) 및 좌,우측 보조재(100)을 설치했을 때의 예인삭의 각도
위 [표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중앙 보조재(100), 좌우측 보조재(100) 및 중앙과 좌우측 보조재(100)를 모두 설치했을 경우에도 예인삭(600)의 각도가 현저하게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표2]
Figure 112015022958938-pat00002
상기 [표2]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보조재(100)를 선수형상에 따라 설치했을 때, 예인삭의 장력도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로, 부선(300)의 선수(302)의 형상이 육각형인 경우,
[표3]
Figure 112015022958938-pat00003
검은색선 : 보조재를 설치하지 않았을 경우 발생하는 예인삭의 각도
점선 : 중앙 보조재(100)를 설치했을 때 발생하는 예인삭의 각도
분홍점선 : 좌,우측 보조재(100)를 설치했을 때 발생하는 예인삭의 각도
초록점선 : 중앙 보조재(100) 및 좌,우측 보조재(100)을 설치했을 때의 예인삭의 각도
위 [표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중앙 보조재(100)만을 설치했을 경우, 큰 차이가 없었으나 좌우측 보조재(100) 또는 중앙과 좌우측 보조재(100)를 모두 설치한 경우 예인삭의 각도가 크게 감소함을 알 수 있다.
[표4]
Figure 112015022958938-pat00004
상기 [표4]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보조재(100)를 선수형상에 따라 설치했을 때, 예인삭의 장력도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로, 부선(400)의 선수(402)의 형상이 라운드형인 경우,
[표5]
Figure 112015022958938-pat00005
상기 [표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중앙 보조재(100)의 경우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좌우측 보조재(100) 또는 중앙과 좌우측 보조재(100)를 설치하였을 경우, 예인삭(600)의 각도가 크게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위 실험의 결과 부선(200)의 선수 형상에 따라서 보조재(100)의 설치 위치에 따라서 예인삭(600)의 각도가 감소하는 효과가 다르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상기 결과에 따르면, 부선(200)의 선수 형상이 사각형인 경우에는 중앙(108)의 보조재(100)를 사용하여 예인삭(600)의 두배의 길이에도 선수(202)의 각도가 54%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즉, 중앙 보조재(100)가 없는 경우 28도의 선수 각도가 발생하였으나 중앙 보조재(100)가 있는 경우 15도의 선수 각도가 발생하여 직진성이 우수해 짐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부선(300)의 선수 형상이 육각형인 경우에는 좌,우측(110,112)의 보조재(100)를 사용하여 예인삭(600)의 두 배의 길이에도 선수(302)의 각도가 55%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즉, 중앙 보조재(100)가 없는 경우 31도의 선수 각도가 발생하였으나 중앙 보조재(100)가 있는 경우 17도의 선수 각도가 발생하여 직진성이 우수해 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부선(400)의 선수 형상이 라운드형인 경우에는 좌,우측(110,112)의 보조재(100)를 사용하여 예인삭(600)의 두 배의 길이에도 선수(402)의 각도가 56%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즉, 중앙 보조재(100)가 없는 경우 43도의 선수 각도가 발생하였으나 중앙 보조재(100)가 있는 경우 24도의 선수 각도가 발생하여 직진성이 우수해 짐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몸체 12 : 상부 결합면
14 : 결합홈부 16 : 몸체
18 : 하판부 20 : 상판부
22 : 보조재 체결공 24 : 선미 체결공
26 : 결합홈` 28 : 결합돌기
100 : 보조재 102 : 연결부재
104 : 보조재 고정수단 106 : 선미 고정수단
200, 300, 400 : 부선 202,302,402 : 선수
204,304,404 : 선미 205,305,405 : 레일홈

Claims (8)

  1. 부선(200)의 선수(202)의 형상에 따라 보조재(100)를 경사면이 형성된 선미(204)의 중앙, 좌측 및 우측에 설치하여 예인삭의 각도를 감소시키되,
    상기 선미(204)의 하부에는 결합홈과 결합돌기가 형성된 레일(205)이 형성되고,
    상기 레일(205)에 끼워지고 선미의 경사면에 밀착되도록 고정되는 연결부재(102)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재(100)는,
    삼각판형상의 몸체(10)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10)의 상부면에 결합홈부(14)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부(14)에는 상기 연결부재(102)와 연결 고정되는 복수 개의 체결공(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선의 선회각 감소를 위한 부선 선수형상별 보조재.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102)는,
    사각 몸체(16)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16)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판부(18)와,
    상기 몸체(16)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판부(20)로 이루어지되,
    상기 하판부(18)는 복수 개의 보조재 체결공(22) 및 복수 개의 선미 체결공(24)을 포함하여 선미의 경사면에 밀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선의 선회각 감소를 위한 부선 선수형상별 보조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재 체결공(22)에는 보조재 고정수단(104)을 이용하여 상기 연결부재(102)를 상기 보조재(100)에 고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부선의 선회각 감소를 위한 부선 선수형상별 보조재.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선미 체결공(24)에는 선미 고정수단(106)을 이용하여 상기 연결부재(102)를 상기 선미(204)에 고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부선의 선회각 감소를 위한 부선 선수형상별 보조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선의 선수 형상은 사각형, 육각형, 라운드 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보조재(100)를 좌측, 우측 또는 중앙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선의 선회각 감소를 위한 부선 선수형상별 보조재.
  7. 제 1항 또는 6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재(100)를 사각형 선수의 선미에 설치하되, 예인삭의 각도(θ)가 12-17도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선의 선회각 감소를 위한 부선 선수형상별 보조재.
  8. 제 1항 또는 6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재(100)를 라운드형 선수의 선미에 설치하되, 예인삭의 각도(θ)가 20-25도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선의 선회각 감소를 위한 부선 선수형상별 보조재.
KR1020150032651A 2015-03-09 2015-03-09 부선의 선회각 감소를 위한 부선 선수형상별 보조재 KR1016903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2651A KR101690300B1 (ko) 2015-03-09 2015-03-09 부선의 선회각 감소를 위한 부선 선수형상별 보조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2651A KR101690300B1 (ko) 2015-03-09 2015-03-09 부선의 선회각 감소를 위한 부선 선수형상별 보조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9029A KR20160109029A (ko) 2016-09-21
KR101690300B1 true KR101690300B1 (ko) 2016-12-27

Family

ID=57080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2651A KR101690300B1 (ko) 2015-03-09 2015-03-09 부선의 선회각 감소를 위한 부선 선수형상별 보조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030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4430B1 (ko) * 2013-05-16 2014-10-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탈부착식 스케그 및 이를 적용한 해양 구조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2847A (ko) 2004-12-24 2006-06-28 인하공업전문대학산학협력단 선미 레이크부에 하이드로포일 스케그가 형성된 바지선 및그 하이드로포일 스케그구조
KR20120029649A (ko) * 2010-09-17 2012-03-2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예인 저항 저감 장치
KR101390868B1 (ko) * 2012-05-31 2014-05-0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양구조물의 예인저항 저감 부가물 및 이를 구비하는 해양구조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4430B1 (ko) * 2013-05-16 2014-10-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탈부착식 스케그 및 이를 적용한 해양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9029A (ko) 2016-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51516B1 (en) Marine barrier gate
US9027496B2 (en) Watercraft mooring standoff
AU749919B2 (en) Cleating device
CA2870686A1 (en) Vessel
KR101690300B1 (ko) 부선의 선회각 감소를 위한 부선 선수형상별 보조재
AU2006333628B2 (en) Method of intercepting and yawing a sailing vessel
US8156884B2 (en) Vessel mooring systems and methods
CN110406641A (zh) 浮式生产储卸油装置干拖运输浮装工艺
CN110949611A (zh) 一种系泊装置、船舶及该系泊装置的布置方法
US6295943B1 (en) Towing apparatus for personal watercraft
KR20150004186A (ko) 부유식 해양구조물용 계류장치
KR101654183B1 (ko)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계류장치 및 계류방법
US3315630A (en) Mooring arrangement for ships
RU93774U1 (ru) Конструкция временного причала для погрузки (выгрузки) объектов грузоперевозок
JP2015137040A (ja) 船舶の係留・曳航装置
KR102237126B1 (ko) 선박의 안벽계류 보조장치, 이를 포함하는 계류장치 및 계류방법
KR20160000160U (ko) 전자석 예인장치를 장착한 예인선
CN206374929U (zh) 一种加强型大抓力锚
CN111483551A (zh) 平躺式锚穴
KR101133798B1 (ko) 육상건조선박의 바지선 진수시 계류로프 자동 장력 유지장치를 이용한 진수 시스템
RU2464200C1 (ru) Судно-катамаран
US20230182866A1 (en) Small watercraft mooring devic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JPH0115448B2 (ko)
RU2384455C2 (ru) Способ выгрузки с судна на несамоходное плавсредство и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до берега различных грузов "поплавок"
KR20100123432A (ko) 선박화물 하역설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