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9267B1 - 홍삼 추출물과 아스타잔틴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홍삼 추출물과 아스타잔틴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9267B1
KR101689267B1 KR1020140087237A KR20140087237A KR101689267B1 KR 101689267 B1 KR101689267 B1 KR 101689267B1 KR 1020140087237 A KR1020140087237 A KR 1020140087237A KR 20140087237 A KR20140087237 A KR 20140087237A KR 101689267 B1 KR101689267 B1 KR 1016892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taxanthin
red ginseng
ginseng extract
mixture
lo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7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7088A (ko
Inventor
박종군
하세은
이석희
황현익
Original Assignee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87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9267B1/ko
Publication of KR20160007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70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9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92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5Ketones, e.g. benzophen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홍삼 추출물과 아스타잔틴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홍삼 추출물과 아스타잔틴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화 방지용 건강기능성식품 조성물과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홍삼 추출물과 아스타잔틴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홍삼 추출물 또는 아스타잔틴을 단독으로 처리한 것에 비해 자외선 조사에 의해 감소된 콜라겐 생성량을 현저하게 회복시킴으로써 주름 개선제로 이용시 그 효과가 탁월할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홍삼 추출물과 아스타잔틴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skin wrinkle comprising mixture of red ginseng extract and astaxanthin as effective component}
본 발명은 홍삼 추출물과 아스타잔틴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홍삼 추출물과 아스타잔틴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홍삼 추출물과 아스타잔틴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화 방지용 건강기능성식품 조성물과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홍삼의 주요 성분으로는 배당체(glycosides), 인삼향 성분(panacen), 폴리아세틸렌계 화합물, 함질소 성분, 플라보노이드, 비타민 B군, 미량원소, 효소, 항산화물질과 유기산 및 아미노산 등이 함유되어 있다. 홍삼은 중추신경에 대해서 진정작용과 흥분작용이 있고, 조혈작용과 혈당치를 저하시켜 주고, 간을 보호하며, 내분비계에 작용하여 성행동이나 생식효과에 간접적으로 유효하게 작용한다. 또한, 항염 및 항종양작용이 있고, 방사선에 대한 방어효과, 피부를 보호하며 부드럽게 하는 작용도 있다. 홍삼의 효과 중 중요한 것은 소련 과학 아카데미의 약리학자인 Brekhman이 제창한 어댑토겐(adaptogen) 효과이다. 상기 어댑토겐(adaptogen) 효과는 '비정상의 신체적 조건을 비특이적으로 정상화시켜 준다'는 것이다. 즉, 홍삼 등의 인삼은 부신피질 자극 호르몬의 분비를 촉진함으로써 각종 유해한 환경에 대한 신체적 적응 능력의 향상과 피로회복을 촉진하고, 더위 또는 추위 등의 환경 스트레스에 대한 방어효과가 있는 것이다. 인체실험을 통해서 운동 수행능력과 피로회복 촉진 효과가 제시되었으며, 스트레스에 의한 면역기능의 저하를 억제하는 기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인간이 섭취하는 많은 식품에 존재하는 주홍색 또는 밝은 오렌지색의 색소인 아스타잔틴(astaxanthin)은 정상적인 호기적 대사과정 중 발생하는 활성 산소에 의한 세포 내 DNA, 단백질, 지질 등의 손상, 세포 및 조직의 노화와 발암을 유발하는 반응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강력한 생물학적 항산화제로 강한 유리 라디칼(free radical)의 생성을 억제하는 작용을 하므로 지질의 과산화 및 산화적 손상을 방지함으로써 저밀도 콜레스테롤, 세포막 및 조직을 보호한다. 아스타잔틴이 단원자 산소를 제거시킬 수 있는 항산화력은 비타민 E인 α-토코페롤(tocoperol) 보다 100 내지 500배 더 활성이 높고, β-카로틴보다는 10배 이상 더 강력한 항산화제 기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인간은 평생을 살면서 많은 외부자극에 노출되는데, 그 중 가장 위험한 자극 중의 하나가 자외선(ultraviolet radiation, UV)이다. 자외선은 피부 내 세포의 지질, 단백질 및 DNA에 심각한 손상을 유발하여, 세포사멸 또는 돌연변이 유발에 의한 심각한 질병을 발생시킬 수 있다.
유전정보를 담당하는 중요한 물질인 DNA는 방사선, 자외선, 활성산소, 화학물질 등의 환경 속의 변이원에 의해 끊임없이 손상을 받고 있다. 이러한 DNA 손상은 유전자의 복제 및 전사를 저해할 뿐만 아니라, 세포사 및 돌연변이를 유발하고, 더 나아가 개체의 노화 및 암화의 원인이 된다. 자외선에 의한 DNA 손상은 수복기구에 의해 수복되지만, 나이가 듦에 따라 DNA 수복기구가 활성저하된다는 것이 최근 연구에서 밝혀진 바 있다. 또한, DNA 손상에 의한 피부노화의 가속화 가능성이 있고, 자외선에 의한 콜라겐 분해 효소의 발현 증가에 따른 피부의 콜라겐 함량이 감소한다는 것이 밝혀진 바 있다. 따라서, DNA 손상에 의한 피부노화의 예방 및 개선에 사용 가능한 화장품 및 DNA 손상에 의한 노화 방지용 기능성 식품과 약학 조성물에 대한 연구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0970544호에는 '피부외용제용 조성물 및 그의 사용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한국공개특허 제2013-0115477호에는 '피부노화 방지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홍삼 추출물과 아스타잔틴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서는 개시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자외선 조사에 의해 DNA 손상 및 콜라겐 발현량 감소가 유도된 상태에서 홍삼 추출물과 아스타잔틴의 혼합물을 처리했을 때 자외선 조사에 의해 감소한 세포 활성도, 세포고사 저해, DNA 손상 및 감소한 콜라겐 단백질 발현량의 회복되는 정도를 관찰한 결과 아스타잔틴 또는 홍삼 추출물만 단독 처리한 그룹에 비해 현저하게 증진된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홍삼 추출물과 아스타잔틴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홍삼 추출물과 아스타잔틴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화 방지용 건강기능성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홍삼 추출물과 아스타잔틴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화 방지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자외선 조사에 의한 DNA 손상 및 콜라겐 발현량 감소에 있어서 아스타잔틴 또는 홍삼 추출물을 단독으로 처리했을 때보다 홍삼 추출물과 아스타잔틴의 혼합물을 처리했을 때 손상된 DNA 및 감소된 콜라겐 단백질 발현량의 회복에 있어서 그 효과가 현저하게 증진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홍삼 추출물과 아스타잔틴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주름은 자외선과 활성산소에 의해 유도된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자외선 조사에 의해 유도된 것을 특징으로 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홍삼 추출물과 아스타잔틴의 혼합물은 홍삼 추출물 또는 아스타잔틴의 단독 처리구에 비해 주름 개선에 있어서 증진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홍삼 추출물과 아스타잔틴의 혼합물은 아스타잔틴이 6㎍/㎖일 때 홍삼 추출물은 25 내지 500㎍/㎖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화장료 조성물은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임을 특징으로 한다.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이란, 특정 피부의 관리와 예방을 위해 특정 기능을 강조해 만든 화장료 조성물, 또는 유전적, 환경적 요인에 의한 각종 피부질환의 예방과 적당한 관리를 위한 화장료 조성물을 말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주름 예방 및 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품 및 세안제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는데, 특히 피부외용연고, 크림,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팩, 에센스, 헤어토닉, 샴푸, 린스, 헤어컨디셔너, 헤어트리트먼트, 젤,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처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영양에센스, 선스크린,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렌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은 형광물질, 살진균제, 굴수성 유발물질, 보습체, 방향제, 방향제 담체, 단백질, 용해화제, 당유도체, 일광차단제, 비타민 및 식물 추출물 등을 포함하는 부형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홍삼 추출물과 아스타잔틴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화 방지용 건강기능성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건강기능성식품 조성물에서, 상기 노화는 자외선과 활성산소에 의해 유도된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자외선 조사에 의해 유도된 것을 특징으로 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건강기능성식품 조성물에서, 상기 홍삼 추출물과 아스타잔틴의 혼합물은 홍삼 추출물 또는 아스타잔틴의 단독 처리구에 비해 노화 방지에 있어서 현저하게 증진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건강기능성식품 조성물에서, 상기 홍삼 추출물과 아스타잔틴의 혼합물은 아스타잔틴이 6㎍/㎖일 때 홍삼 추출물은 25 내지 500㎍/㎖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홍삼 추출물과 아스타잔틴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식품 첨가물 또는 식품 음료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식품 조성물이 식품 첨가물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또는 개선)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원료에 대하여 15 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홍삼 추출물과 아스타잔틴의 혼합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및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음료수는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홍삼 추출물과 아스타잔틴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의 첨가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수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음료수 100㎖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g이다.
또한,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과일 쥬스,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혼합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홍삼 추출물과 아스타잔틴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화 방지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약학 조성물에서, 상기 노화는 자외선과 활성산소에 의해 유도된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자외선 조사에 의해 유도된 것을 특징으로 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약학 조성물에서, 상기 홍삼 추출물과 아스타잔틴의 혼합물은 홍삼 추출물 또는 아스타잔틴의 단독 처리구에 비해 노화 방지에 있어서 현저하게 증진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약학 조성물에서, 상기 홍삼 추출물과 아스타잔틴의 혼합물은 아스타잔틴이 6㎍/㎖일 때 홍삼 추출물은 25 내지 500㎍/㎖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홍삼 추출물과 아스타잔틴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화 방지용 약학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혼합물을 0.1 내지 9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0 중량%로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조성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환자의 상태 및 질환의 종류 및 진행 정도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약학적 투여 형태는 이들의 약학적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고, 또한 단독으로 또는 타 약학적 활성 화합물과 결합뿐만 아니라 적당한 집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홍삼 추출물과 아스타잔틴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적합하고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보조제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제로는 부형제, 붕해제, 감미제, 결합제, 피복제, 팽창제, 윤활제, 활택제 또는 향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학 조성물은 투여를 위해서 상기 기재한 유효 성분 이외에 추가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포함하여 약제학적 조성물로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홍삼 추출물과 아스타잔틴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홍삼 추출물과 아스타잔틴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을 포함한 다양한 화합물 혹은 기타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혼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1일 0.0001 내지 100㎎/㎏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0㎎/㎏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혼합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 내 경막 또는 뇌혈관 내(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 재료
1. 세포 배양
DNA 손상 반응에 대한 홍삼 추출물과 아스타잔틴의 혼합물(AKRG)의 유전체 안정화 효능을 확인하기 위해 인간 각질 세포주인 HaCaT 세포를 37℃가 유지되는 5% CO2 배양기에서 10% FBS(fetal bovine serum)와 2mM 글루타민이 함유되어 있는 RPMI-1640로 배양하였다. 이후 자외선 B(UVB, 280-320㎚) 200J/m2를 조사하고 배지에 홍삼 추출물(KRG)과 아스타잔틴(Sigma, USA)의 혼합물(AKRG)을 각각 농도별로 처리하여 추가로 배양하였다.
2. 추출물
홍삼 추출물(KRG)은 4~6년근으로 진안에서 건조된 제품을 구매하였으며, 60% 주정 50㎖/g을 넣고 80℃에서, 1시간 동안 환류 추출하였고, 0.2㎛ 필터로 여과한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인간 각질형성 세포주에 자외선을 조사한 후 10μM의 아스타잔틴(astaxanthin)을 처리하고 배양한 후 홍삼 추출물(KRG)을 각각 25, 50, 100, 200 또는 500㎍/㎖로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비처리구과 홍삼 추출물(KRG) 또는 아스타잔틴(astaxanthin)의 단독 처리구을 대조구로 홍삼 추출물과 아스타잔틴의 혼합물(AKRG) 처리구과 효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실시예 1: 자외선 조사 전·후 홍삼 추출물( KRG ), 아스타잔틴( astaxanthin ) 또는 홍삼 추출물과 아스타잔틴의 혼합물( AKRG ) 처리에 따른 세포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세포 활성도는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분석법으로 측정하였다. 홍삼 추출물(KRG), 아스타잔틴(astaxanthin) 또는 홍삼 추출물과 아스타잔틴의 혼합물(AKRG) 함유 배지에서 배양하고 MTT 염료를 처리하였다. 이 때, 살아있는 세포는 처리한 MTT 염료가 미토콘드리아에 있는 환원효소(reductase)에 의해 자주색의 포르마잔(formazan)을 생성하지만 사멸된 세포는 미토콘드리아가 기능을 하지 않기 때문에 포르마잔(formazan)을 생성하지 못한다. 따라서 형성된 포르마잔(formazan)을 570㎚에서 측정하면 처리한 물질이 세포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할 수 있다.
아스타잔틴(astaxanthin) 단독 처리한 결과 아스타잔틴(astaxanthin)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구에 비해 세포 활성도에서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았고, 자외선을 조사한 후 아스타잔틴(astaxanthin)을 처리한 결과에서도 세포 활성도에서 비처리구에 비해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표 1). 그 결과 아스타잔틴(astaxanthin) 단독 처리시 자외선 조사 전·후 세포에 별다른 변화가 없음이 관찰되었다.
자외선 조사 전·후 아스타잔틴(astaxanthin) 처리에 따른 세포 활성도
자외선
(200 J/cm2)
시료 세포 활성도 (%)
0μM 1μM 2μM 5μM 10μM 20μM
- astaxanthin 100.0
±5.4
100.1±2.8 100.8
±4.8
101.1
±2.5
101.1
±3.6
103.4
±5.8
+ astaxanthin 45.5
±2.5
44.9
±3.4
45.7
±4.8
46.1
±3.5
46.7
±3.4
46.9
±3.5
이후, 홍삼 추출물과 아스타잔틴의 혼합물(AKRG)을 처리한 효과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자외선을 조사하지 않은 경우에는 홍삼 추출물(KRG) 단독 처리구 또는 홍삼 추출물과 아스타잔틴의 혼합물(AKRG) 처리구 모두 세포 활성도가 농도 의존적으로 조금씩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자외선을 조사하여 세포 활성도가 약 54%로 감소했을 경우 500㎍/㎖의 KRG를 처리한 결과 약 13% 정도, 500㎍/㎖의 AKRG를 처리한 경우에는 약 23% 세포 활성도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표 2). 혼합물을 처리했을 때 KRG를 처리한 결과에 비해 10% 정도의 세포 활성도가 더 증가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KRG와 AKRG 모두 200㎍/㎖와 500㎍/㎖의 농도로 처리했을 때 세포 활성도에서 통계적 유의차를 보이지 않아 이후 실시예에서는 200㎍/㎖의 농도까지 사용하였다.
자외선 조사 전·후 홍삼 추출물(KRG) 단독 처리 또는 홍삼 추출물과 아스타잔틴의 혼합물(AKRG) 처리에 따른 세포 활성도
자외선
(200 J/cm2)
시료 세포 활성도 (%)
0㎍/㎖ 25㎍/㎖ 50㎍/㎖ 100㎍/㎖ 200㎍/㎖ 500㎍/㎖
-
KRG 100.0±4.5 100.4±3.5 101.5±3.6 102.7±6.2 104.6
±7.0
105.4
±5.8
AKRG 101.1±3.6 102.1±4.7 102.5±5.1 103.7±2.9 104.4
±4.7
104.8
±2.2
+
KRG 45.5
±2.5
48.4±4.1 51.7±5.2 53.4
±5.2
56.1.
±4.4
58.4
±4.8
AKRG 46.7
±3.4
52.5±3.6 57.3±3.4 62.6
±4.5
68.1
±3.2
69.4
±3.2
- AKRG 처리구의 경우 10μM의 아스타잔틴(astaxanthin)을 처리하고 배양한 후 홍삼 추출물을 각각 25, 50, 100, 200 또는 500㎍/㎖로 처리하였다.
실시예 2: 자외선 조사 전·후 홍삼 추출물( KRG ), 아스타잔틴( astaxanthin ) 또는 홍삼 추출물과 아스타잔틴의 혼합물( AKRG ) 처리에 따른 세포사멸( apoptosis)에 미치는 영향
세포사멸은 TUNEL(TdT-mediated dUTP-biotin nick end labelling) 방법의 기본 원리를 DeadEnd Fluorometric TUNEL 시스템(Promega, USA)을 이용하여 판정하였다. 형광현미경으로 TUNEL 양성반응을 보이는 사멸된 세포를 확인한 후, 전체 세포수 대비 사멸한 세포수를 계수하여 세포사멸 비율을 구하였다.
자외선 조사 후 세포사멸 저해 효과를 분석한 결과,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구에 비해 200㎍/㎖의 농도로 처리했을 때 KRG 단독 처리구는 약 26%, AKRG 처리구는 약 44%의 세포사멸을 저해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KRG 처리구 대비 AKRG 처리구는 약 18% 정도로 세포사멸을 저해하는 효과가 더 높게 나타났다(표 3).
자외선 조사 전·후 홍삼 추출물(KRG) 단독 처리 또는 홍삼 추출물과 아스타잔틴의 혼합물(AKRG) 처리에 따른 세포사멸 저해
자외선
(200 J/cm2)
시료 TUNEL positive cells(%)
0㎍/㎖ 25㎍/㎖ 50㎍/㎖ 100㎍/㎖ 200㎍/㎖
-
KRG 1.0±0.4 1.1±0.5 1.6±0.3 2.2±0.6 2.6±0.5
AKRG 1.1±0.6 1.3±0.3 1.5±0.4 2.1±0.5 2.4±0.6
+
KRG 41.2±2.8
(100*)
38.1±2.5
(92.5)
34.2±3.1
(83.0)
32.6±2.2
(79.1)
30.5±2.7
(74.0)
AKRG 38.6±3.1
(93.7)
35.2±2.7
(85.4)
30.5±2.3
(74.0)
28.1±1.8
(68.2)
23.2±4.2
(56.3)
- *, 비처리구에 대한 상대 값
- AKRG 처리구의 경우 10μM의 아스타잔틴(astaxanthin)을 처리하고 배양한 후 홍삼 추출물을 각각 25, 50, 100 또는 200㎍/㎖로 처리하였다.
실시예 3: 자외선 조사 전·후 홍삼 추출물( KRG ), 아스타잔틴( astaxanthin ) 또는 홍삼 추출물과 아스타잔틴의 혼합물( AKRG ) 처리에 따른 DNA 손상 회복에 미치는 영향
자외선에 노출될 경우 자외선에 의해 손상된 DNA 바로 옆에 존재하는 피리미딘(pyrimidine) 염기가 교차결합(cross-link)된 CPD(cyclobutane pyrimidine dimer)가 존재한다. 자외선을 조사한 후 시료를 처리한 세포주에서 게놈 DNA(genomic DNA)를 추출한 후 항-CPD(anti-CPD, COSMO Bio., USA)와 반응시키고 이미지를 분석하였다. 분석한 이미지는 수치화하여 정량 후 백분율로 산출하였다.
자외선 조사 후 DNA 손상 반응에 대한 AKRG 처리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CPD 양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구에 비해 200㎍/㎖의 농도로 처리된 KRG와 AKRG 처리구의 경우 존재하는 CPD의 양이 각각 약 18, 27% 정도로 감소하는 것이 확인되었고, KRG 처리구 대비 AKRG 처리구에서 약 9% 정도의 CPD 양이 더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됐다(표 4).
Figure 112014065225234-pat00001
- AKRG 처리구의 경우 10μM의 아스타잔틴(astaxanthin)을 처리하고 배양한 후 홍삼 추출물을 각각 25, 50, 100 또는 200㎍/㎖로 처리하였다.
8-OHdG(8-Hydroxydeoxyguanosine)는 유리산소(oxygen-radical)에 의해 생성되는 DNA의 산화적 손상시 야기되는 대표적 부가물 중 하나이다. 8-OHdG는 여러 가지 세포내 구성 물질들과 반응하여 세포손상을 일으킬 수 있으며, 세포와 신체의 노화를 일으키는 DNA의 산화적 손상의 마커이다. 분석은 시료를 처리한 인간 각질 형성 세포주에서 게놈 DNA를 추출한 후 항-8-OHdG(anti-8-OHdG, Santa Cruz Biotechnology, USA)와 반응시키고 이미지를 수치화하여 정량 후 백분율로 산출하였다.
그 결과 자외선 조사 후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구에 비해 200㎍/㎖의 농도로 처리된 KRG와 AKRG 처리구에서 각각 약 12, 20% 정도의 8-OHdG 소거량이 나타남이 관찰되었다. 또한 KRG 처리구 대비 AKRG 처리구의 경우 약 10% 정도 높은 소거량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표 5).
자외선 조사 전·후 홍삼 추출물(KRG) 단독 처리 또는 홍삼 추출물과 아스타잔틴의 혼합물(AKRG) 처리에 따른 8-OHdG 변화량
자외선
(200 J/cm2)
시료 8-OHdG(%)
0㎍/㎖ 25㎍/㎖ 50㎍/㎖ 100㎍/㎖ 200㎍/㎖
-
KRG - 2.2±0.4 3.8±0.6 3.2±0.8 3.6±0.3
AKRG 2.6±0.7 3.1±0.2 3.6±0.7 4.3±0.3 4.2±0.8
+
KRG 100±6.8 97.6±3.9 93.1±4.8 90.3±2.7 88.2±6.4
AKRG 98.3±4.6 94.3±4.5 88.2±5.7 83.4±4.2 79.9±4.5
- AKRG 처리구의 경우 10μM의 아스타잔틴(astaxanthin)을 처리하고 배양한 후 홍삼 추출물을 각각 25, 50, 100 또는 200㎍/㎖로 처리하였다.
실시예 4: 자외선 조사 전·후 홍삼 추출물( KRG ), 아스타잔틴( astaxanthin ) 또는 홍삼 추출물과 아스타잔틴의 혼합물( AKRG ) 처리에 따른 콜라겐 단백질 발현 분석
세포에 자외선을 조사한 후 KRG와 AKRG 처리구에서 콜라겐 단백질 발현 수준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발현 수준의 변화는 웨스턴 블랏(Western blot)의 양적 수준에 대한 densitometric scan 결과의 상대적 비율을 구하여 도표화하였다.
아스타잔틴 처리에 대한 콜라겐 단백질 발현량을 확인한 결과, 자외선을 조사하지 않은 대조군에서는 아스타잔틴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자외선을 조사한 후 아스타잔틴을 처리한 실험군의 결과, 자외선에 의해 감소되었던 콜라겐 단백질의 발현량이 농도 의존적으로 약 10% 정도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표 6).
자외선 조사 전·후 아스타잔틴 처리에 따른 콜라겐 단백질 발현량
자외선
(200 J/cm2)
시료 0μM 1μM 2μM 5μM 10μM 20μM
- 아스타잔틴 1.0±0.22 0.99±0.14 0.99±0.26 0.98±0.38 0.97±0.17 0.97±0.51
+ 아스타잔틴 0.40±0.13
(100*)
0.40±0.28
(100)
0.41±0.19
(103)
0.42±0.25
(105)
0.42±0.16
(105)
0.43±0.31
(108)
- 자외선을 조사 후 아스타잔틴(astaxanthin)을 각각 1, 2, 5, 10, 20μM로 처리하였다.
10μM의 아스타잔틴(astaxanthin)을 처리하고 배양한 후 홍삼 추출물을 처리한 결과, 자외선을 조사하지 않은 대조구에 비해 자외선을 조사한 실험군이 콜라겐 단백질 발현량이 0.5배 감소하였다. KRG와 AKRG 처리구에서 자외선에 의해 감소한 콜라겐 단백질의 발현량이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AKRG 처리에 대한 콜라겐 단백질 발현량을 확인한 결과, 자외선에 의해 감소하였던 콜라겐 단백질의 발현량이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구에 비해 약 3배, KRG 처리구 대비 약 1.4배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표 7).
자외선 조사 전·후 홍삼 추출물(KRG) 단독 처리 또는 홍삼 추출물과 아스타잔틴의 혼합물(AKRG) 처리에 따른 콜라겐 단백질 발현량
UVB - + + + + +
시료 0㎍/㎖ 0㎍/㎖ 25㎍/㎖ 50㎍/㎖ 100㎍/㎖ 200㎍/㎖
KRG
1.0±0.22
0.40±0.13
(100*)
0.45±0.32
(113)
0.62±0.35
(155)
0.80±0.41
(200)
0.92±0.12
(230)
AKRG 0.42±0.16
(105)
0.48±0.16
(120)
0.78±0.37
(195)
0.93±0.55
(233)
1.27±0.33
(318)
- AKRG 처리구의 경우 10μM의 아스타잔틴(astaxanthin)을 처리하고 배양한 후 홍삼 추출물을 각각 25, 50, 100 또는 200㎍/㎖로 처리하였다.
따라서, 아스타잔틴 단독 처리 또는 홍삼 추출물 단독 처리에 비해 아스타잔틴과 홍삼 추출물의 혼합물 처리의 경우가 콜라겐 단백질 발현량 증가에 있어 상승 효과(synergistic effect)를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아스타잔틴과 홍삼 추출물의 혼합물은 주름 개선에 현저한 효과를 가질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ARKG 처리구의 경우 비교 대조구인 KRG 단독 처리구보다 세포활성도, 세포사멸 저해율, DNA 손상 반응과 콜라겐 단백질 발현에서 더 증진된 효과를 나타냈고, 이는 KRG를 단독으로 처리했을 때보다 홍삼 추출물과 아스타잔틴의 혼합물(AKRG)을 처리했을 때 유전체 안정화 및 콜라겐 발현량 증가를 통한 항노화에 있어서 증진된 효과가 있는 것을 의미한다.

Claims (7)

  1. 아스타잔틴 6㎍/㎖에 대해 홍삼 추출물은 25 내지 500㎍/㎖의 비율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 추출물과 아스타잔틴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 조사에 의해 유도된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외용연고, 크림,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팩, 에센스, 헤어토닉, 샴푸, 린스, 헤어컨디셔너, 헤어트리트먼트, 젤,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처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영양에센스, 선스크린,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렌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6. 삭제
  7. 삭제
KR1020140087237A 2014-07-11 2014-07-11 홍삼 추출물과 아스타잔틴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892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7237A KR101689267B1 (ko) 2014-07-11 2014-07-11 홍삼 추출물과 아스타잔틴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7237A KR101689267B1 (ko) 2014-07-11 2014-07-11 홍삼 추출물과 아스타잔틴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7088A KR20160007088A (ko) 2016-01-20
KR101689267B1 true KR101689267B1 (ko) 2016-12-23

Family

ID=55307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7237A KR101689267B1 (ko) 2014-07-11 2014-07-11 홍삼 추출물과 아스타잔틴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92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87830A (zh) * 2017-12-01 2019-02-01 天津地天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虾青素预防肿瘤延缓衰老的六种原料保健食品配方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6824B1 (ko) * 2003-04-02 2006-07-03 주식회사한국신약 아스타잔틴, 홍삼 및 펠리누스 속 균주의 균사체에서추출한 다당류를 함유하는 기능성식품
KR20070079596A (ko) * 2007-05-10 2007-08-07 김선일 피부질환 치료 보조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1402565B1 (ko) * 2012-04-12 2014-05-30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피부노화 방지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인터넷 블로그 "기초화장품 추천 영양 크림" http://blog.naver.com/1004wndrnr/80183796558 (2013.03.0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7088A (ko) 2016-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7074B1 (ko) 천연물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059551A (ko) 인삼 새싹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상태 개선 방법
KR101964249B1 (ko) 사상자 추출물 및 카퍼트리펩타이드-1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025367A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472974B1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668357B1 (ko)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상태 개선 방법
KR101689267B1 (ko) 홍삼 추출물과 아스타잔틴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47422A (ko) 육두구 추출물 또는 메이스리그난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환경오염인자로부터 유도되는 피부자극 완화 및 피부보호용 조성물
KR101895572B1 (ko) 울다비오시드 a 화합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조성물
KR101853711B1 (ko) 파이퍼 캄보디아눔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77528B1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012366B1 (ko) 아슈와간다 캘러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1906602B1 (ko) 크리소파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139632A (ko) 생리활성을 가지는 달래추출물
KR102245188B1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60001950A (ko) 알피나 골무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1526435B1 (ko) 머루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KR20190033871A (ko) 피부 노화 개선 복합 화장료 조성물
KR102355138B1 (ko) 대추씨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20180072381A (ko) 투탕카멘 완두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70025364A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306041B1 (ko) 스테비오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025356A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025359A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240070841A (ko) 톱니모자반으로부터 분리된 플라스토퀴논 나노에멀젼을 포함하는 치주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