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8092B1 - 휴대통신 단말의 충전불량 진단방법 - Google Patents

휴대통신 단말의 충전불량 진단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8092B1
KR101688092B1 KR1020150030237A KR20150030237A KR101688092B1 KR 101688092 B1 KR101688092 B1 KR 101688092B1 KR 1020150030237 A KR1020150030237 A KR 1020150030237A KR 20150030237 A KR20150030237 A KR 20150030237A KR 101688092 B1 KR101688092 B1 KR 1016880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terminal
portable communication
charging
usb por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0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7471A (ko
Inventor
오승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서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서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서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30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8092B1/ko
Publication of KR20160107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74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8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80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 G08C19/02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in which the signal transmitted is magnitude of current or voltage
    • G01R31/3606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충전불량 진단장치(10)와 접속하여 휴대통신 단말(30)의 충전불량 여부를 진단하는 진단방법에 관한 것으로, ADB 명령어에 의해 상기 휴대통신 단말로부터 단말정보를 수신하여, 단말정보가 정상적으로 수신되면 휴대통신 단말(30)의 USB 포트(31)의 각 핀이 모두 정상인 것으로 판정한다. 만일,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않으면 UART 명령어에 의해 단말정보를 수신하여, 정상적으로 수신되면 USB 포트(31)의 ID 핀만이 정상인 것으로 판정하고,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않으면 모든 핀이 불량인 것으로 판정한다. 또, USB 포트(31)의 각 핀이 모두 정상인 경우에는 휴대통신 단말의 접속 모드를 충전 모드와 USB 모드 사이에서 전환시켜서, 정상적으로 전환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휴대통신 단말의 충전기능이 불량인 것으로 판정한다.

Description

휴대통신 단말의 충전불량 진단방법{TEST METHOD FOR CHARGING FAULTY OF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통신 단말의 배터리의 충전불량 여부를 진단하기 위한 충전불량 진단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으로 대표되는 휴대통신 단말의 보급이 확대되고 있고, 휴대통신 단말의 이상이나 고장 등과 같은 불량에는 그 증상이 지속적으로 재현되는 이른바 재현 불량(再現不良)과 그 증상이 지속적이지 않은 이른바 미재현 불량(未再現 不良)으로 구분할 수 있고, 본 발명자들의 확인에 의하면 미재현 불량의 비율이 재현 불량에 비해 훨씬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들 미재현 불량을 유형별로 보면 전원 리셋, 애플리케이션 오동작, 단말의 동작이 비정상적으로 느려지거나 동작을 멈추는 느림/멈춤, 충전불량, 충전불량 등이 다수를 점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와 같은 미재현 불량은 그 증상이 지속적이지 않으며, 대부분의 증상이 일회성이라는 점에서 고장원인의 진단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휴대통신 단말의 고장이나 이상 등의 불량을 진단하는 장치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는 외부로부터 취득한 진단 폴리시(policy)에 따라서 휴대통신 단말의 고장을 진단하고, 진단결과에 대응하는 에러코드를 생성하여 자체 표시장치에 표시하거나 또는 외부의 진단 서버로 출력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으나, 휴대통신 단말의 고장이나 이상 등의 문제를 불량의 유형별로 검사하기 위한 상세에 대해서는 기재되어 있지 않으며, 특히, 특허문헌 1에는 휴대통신 단말의 미재현 불량의 검사에 대해서는 어떤 방안도 제시하고 있지 않다.
또, 본 발명자들의 조사에 의하면 휴대통신 단말의 미재현 불량의 진단과 관련한 선행기술문헌, 그 중에서도 휴대통신 단말의 배터리 충전불량의 진단에 관한 선행기술문헌은 발견되지 않았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개 2008-271126호 공보(2008. 11. 6. 공개)
본 발명의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휴대통신 단말의 미재현 불량 중 상당한 비율을 차지하는 불량인 휴대통신 단말의 충전불량 여부를 진단하기 위한 휴대통신 단말의 충전불량 진단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휴대통신 단말의 충전불량 진단방법은, 진단장치와 접속하여 휴대통신 단말의 충전불량 여부를 진단하는 휴대통신 단말의 충전불량 진단방법으로, ADB(Android Device Bridge) 명령어에 의해 상기 휴대통신 단말로부터 단말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a)와,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단말정보가 정상적으로 수신되면 당해 휴대통신 단말의 USB 포트를 구성하는 각 핀이 모두 정상인 것으로 판정하는 단계 (b)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단말정보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않으면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 명령어에 의해 상기 휴대통신 단말로부터 단말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c)와,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단말정보가 정상적으로 수신되면 당해 휴대통신 단말의 USB 포트를 구성하는 각 핀 중 ID 핀은 정상인 것으로 판정하는 단계 (d)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단말정보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않으면 당해 휴대통신 단말의 USB 포트를 구성하는 모든 핀이 불량인 것으로 판정하는 단계 (e)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b)에서 상기 휴대통신 단말의 USB 포트를 구성하는 각 핀이 모두 정상인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휴대통신 단말의 접속 모드를 충전 모드와 USB 모드 사이에서 전환시키는 단계 (f)와, 상기 단계 (f)에서 상기 휴대통신 단말의 접속 모드가 충전 모드와 USB 모드 사이에서 전환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당해 휴대통신 단말의 충전기능이 불량인 것으로 판정하는 단계 (g)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진단장치와 상기 휴대통신 단말은 스마트 컨트롤 유닛에 의해 접속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통신 단말의 미재현 불량 중 상당한 비율을 차지하는 불량인 휴대통신 단말의 충전불량 여부를 간단하고도 손쉽게 진단할 수 있는 휴대통신 단말의 충전불량 진단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휴대통신 단말과 충전불량 진단장치의 접속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휴대통신 단말의 충전불량 진단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휴대통신 단말과 충전불량 진단장치의 접속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는 휴대통신 단말(30)의 내부전원 공급장치인 배터리(미 도시)에 대한 외부 충전기로부터의 충전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가 여부, 즉, 휴대통신 단말(30)의 충전불량 여부를 진단하기 위한 충전불량 진단장치(10)에 진단의 대상이 되는 휴대통신 단말(30)이 스마트 컨트롤 유닛(50)을 통해서 접속되어서 진단이 이루어진다.
충전불량 진단장치(10)는 예를 들어 데스크 탑 컴퓨터나 퍼스널컴퓨터와 같은 컴퓨터 시스템으로, 프로세서와 RAM(Random Access Memory) 및 ROM(Read Only Memory)을 구비하고, ROM에 저장된 충전불량 진단프로그램에 따라서 프로세서가 동작함으로써 필요한 처리를 실행하는 컴퓨터 시스템이다.
또, 휴대통신 단말(30)은 당해 휴대통신 단말(30)에 충전불량의 문제가 발생하여 진단의 대상이 된 휴대통신 단말이며, 스마트폰을 비롯하여 다양한 이동통신용 휴대단말장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스마트 컨트롤 유닛(50)은 휴대통신 단말(30)을 충전불량 진단장치(10)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수단이며, 휴대통신 단말(30)의 USB(Universal Serial Port) 포트(31)와 충전불량 진단장치(10)의 USB 포트(11)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이 스마트 컨트롤 유닛(50)은 휴대통신 단말(30)과 충전불량 진단장치(10) 사이의 접속 모드를 충전 모드와 USB 모드 사이에서 전환시키는 충전전류 버튼을 구비하고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휴대통신 단말(30)의 USB 포트(31)는 예를 들어 VBUS 핀과 D- 핀과 D+ 핀과 ID 핀 및 GND 핀을 포함하는 5개의 핀으로 구성되어 있고, 충전불량 진단장치(10)의 USB 포트(11)는 휴대통신 단말(30)의 USB 포트(31)의 VBUS 핀과 D- 핀과 D+ 핀 및 ID 핀과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4개의 핀을 구비하고 있다.
휴대통신 단말(30)의 USB 포트(31)의 5개 핀 중 VBUS 핀은 충전전류를 공급하는 핀이며, 휴대통신 단말(30)이 미 도시의 충전기와 충전용 케이블에 의해 접속되면 이 VBUS 핀을 통해서 휴대통신 단말(30)의 내부전원 공급장치인 배터리(미 도시)에 충전전류가 공급되어서 배터리가 충전된다.
D- 핀과 D+ 핀은 데이터 전송용 핀이고, ID 핀은 범용 컴퓨터 등(본 실시형태에서는 충전불량 진단장치(10))와 휴대통신 단말(30) 사이의 접속상태를 USB 모드 또는 시리얼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전환하기 위한 핀이며, GND 핀은 접지 핀이다. 충전불량 진단장치(10)의 USB 포트(11) 및 휴대통신 단말(30)의 USB 포트(31)의 구성은 공지의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도 2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충전불량 진단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휴대통신 단말의 충전불량 진단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먼저, 스마트 컨트롤 유닛(50)을 이용해서 휴대통신 단말(30)을 충전불량 진단장치(10)에 접속한다(단계 S11).
이어서, 단계 S12에서 ADB(Android Device Bridge) 명령어를 이용해서 휴대통신 단말(30)로부터 단말정보를 수신한다. ADB 명령어는 휴대통신 단말의 운영체제로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휴대통신 단말의 단말정보를 로드하기 위한 명령어이며, USB를 이용하여 휴대통신 단말(30)을 충전불량 진단장치(10)와 연결하면 ADB 명령어를 이용하여 휴대통신 단말의 정보를 호출하여 수신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여기서, 단계 S12에서는 휴대통신 단말(30)과 충전불량 진단장치(10)는 USB 모드로 접속된 상태가 된다.
또, ADB 명령어를 이용해서 휴대통신 단말(30)로부터 수신하는 단말정보로는 예를 들어 당해 휴대통신 단말의 TCP/IP 포트 번호를 수신한다.
이어서, 단계 S13에서 휴대통신 단말(30)로부터 정상적으로 응답이 이루어지는가, 즉, 휴대통신 단말(30)로부터 충전불량 진단장치(10)로 단말정보로 당해 휴대통신 단말의 TCP/IP 포트 번호가 수신되는가를 확인하고, 단말정보가 수신되면(단계 S13=YES) 휴대통신 단말(30)의 USB 포트(31)의 5개의 핀은 모두 정상인 것으로 판정한다. 다시 말해, 휴대통신 단말(30)의 USB 포트(31)의 전기적인 접속기능은 정상인 것으로 판정한다(단계 S14).
만일, 단계 S13에서 휴대통신 단말(30)로부터 충전불량 진단장치(10)로 단말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단계 S13=NO) 단계 S21로 진행하며, 단계 S21에서는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 명령어를 이용하여 휴대통신 단말(30)로부터 단말정보를 수신한다. 이 상태에서는 휴대통신 단말(30)은 충전불량 진단장치(10)와 시리얼 모드(Serial Mode)로 접속된 상태가 된다.
또, UART 명령어를 이용해서 휴대통신 단말(30)로부터 수신하는 단말정보로는 예를 들어 당해 휴대통신 단말의 TCP/IP 포트 번호를 수신한다.
이어서, 단계 S22에서 휴대통신 단말(30)로부터 정상적으로 응답이 이루어지는가, 즉, 휴대통신 단말(30)로부터 충전불량 진단장치(10)로 단말정보로서 당해 휴대통신 단말의 TCP/IP 포트 번호가 수신되는가를 확인하고, 단말정보가 수신되면(단계 S22=YES) 휴대통신 단말(30)의 USB 포트(31)의 5개의 핀 중 ID 핀은 정상이고 나머지 4개 핀은 불량인 것으로 판정한다. 다시 말해, 휴대통신 단말(30)의 USB 포트(31)의 5개 핀 중 ID 핀은 전기적인 접속기능이 접속상태가 정상이나 나머지 4개 핀은 불량인 것으로 판정한다(단계 S23).
만일, 단계 S22에서 휴대통신 단말(30)로부터 충전불량 진단장치(10)로 단말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단계 S22=NO) 휴대통신 단말(30)의 USB 포트(31)의 5개의 핀 모두가 불량인 것으로 판정한다(단계 S24).
이상의 과정을 통해서 휴대통신 단말(30)의 충전불량의 원인이 USB 포트(31)의 불량에 의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복수의 각 핀 중 어느 핀의 불량에 의해 충전불량이 발생하였는가도 판정할 수 있으며, 단계 S25에서 당해 휴대통신 단말(30)의 USB 포트(31)가 불량인 것으로 판정하고 종료한다.
또, 단계 S14에서 휴대통신 단말(30)의 USB 포트(31)의 전기적인 접속기능이 정상인 것으로 판정되면 단계 S15로 진행하여 스마트 컨트롤 유닛(50)의 충전전류 버튼을 온/오프 하면서 휴대통신 단말(30)과 충전불량 진단장치(10) 사이의 접속 모드가 충전 모드와 USB 모드 사이에서의 전환이 이루어지는가를 확인한다(단계 S16).
충전전류 버튼의 온 조작은 스마트 컨트롤 유닛(50)에 설치되어 있는 충전전류 버튼을 대략 6 내지 7초 정도 누름으로써 이루어지며, 이에 의해 휴대통신 단말(30)과 충전불량 진단장치(10) 사이의 접속 모드는 충전 모드가 된다. 또, 충전전류 버튼의 오프 조작은 상기 온 조작에서 누르고 있던 충전전류 버튼의 누름을 해제하는 조작이며, 이때 휴대통신 단말(30)과 충전불량 진단장치(10) 사이의 접속 모드는 USB 모드로 전환된다.
단계 S15에서의 조작에 의해 휴대통신 단말(30)과 충전불량 진단장치(10) 사이의 접속 모드가 충전 모드와 USB 모드 사이에서 모드 전환이 이루어지면(단계 S16=YES) 당해 휴대통신 단말(30)의 충전기능이 정상인 것으로 판정하고(단계 S17) 종료한다.
또, 단계 S15에서의 조작에 의해 휴대통신 단말(30)과 충전불량 진단장치(10) 사이의 접속 모드가 충전 모드와 USB 모드 사이에서 모드 전환이 이루어지지 않으면(단계 S16=NO) 당해 휴대통신 단말(30)의 충전기능이 불량인 것으로 판정하고(단계 S18) 종료한다.
일반적으로 휴대통신 단말에서 충전불량이 발생하는 원인으로는 휴대통신 단말의 USB 포트를 구성하는 각 핀의 불량에 의해 충전기와 휴대통신 단말 간의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지지 않아서 충전불량이 발생하는 경우와 충전기와 휴대통신 단말 간의 전기적인 접속은 이루어지나 휴대통신 단말의 USB 포트 이외의 다른 부분의 불량에 의해 충전불량이 발생하는 경우로 나눌 수 있다.
이상의 진단방법의 흐름 중 단계 S12 내지 단계 S14 및 단계 S21 내지 단계 S24의 과정을 통해서 충전불량의 원인이 휴대통신 단말(30)의 USB 포트(31)를 구성하는 각 핀의 접속불량 등에 의한 충전불량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이 과정에서 휴대통신 단말(30)의 USB 포트(31)의 모든 핀이 정상인 것으로 판정되면 단계 S15 내지 단계 S18의 과정을 더 실행함으로써, 휴대통신 단말(30)의 USB 포트(31)의 각 핀 이외의 다른 원인에 의해 충전불량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또는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단계 S12 및 단계 S21에서 휴대통신 단말(30)의 단말정보로 TCP/IP 포트 번호를 수신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TCP/IP 포트 번호 이외의 다른 단말정보를 수신해도 좋다. 예를 들어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정보, 단말의 고유번호 정보 등 단말의 어떤 정보를 수신해도 좋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휴대통신 단말의 USB 포트가 VBUS 핀과 D- 핀과 D+ 핀과 ID 핀 및 GND 핀을 포함하는 5개의 핀으로 구성된 예를 설명하였으나, 핀의 수는 5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5개보다 적거나 많아도 상관없다. 또, 충전불량 진단장치의 USB 포트의 핀 수도 4개로 한정되지는 않으며, 휴대통신 단말의 USB 포트의 핀 수에 대응하여 변경될 수 있다.
10 충전불량 진단장치
11 USB 포트
30 휴대통신 단말
31 USB 포트
50 스마트 컨트롤 유닛

Claims (5)

  1. 삭제
  2. 진단장치와 접속하여 휴대통신 단말의 충전불량 여부를 진단하는 휴대통신 단말의 충전불량 진단방법으로,
    ADB(Android Device Bridge) 명령어에 의해 상기 휴대통신 단말로부터 단말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a)와,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단말정보가 정상적으로 수신되면 당해 휴대통신 단말의 USB 포트를 구성하는 각 핀이 모두 정상인 것으로 판정하는 단계 (b)와,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단말정보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않으면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 명령어에 의해 상기 휴대통신 단말로부터 단말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c)와,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단말정보가 정상적으로 수신되면 당해 휴대통신 단말의 USB 포트를 구성하는 각 핀 중 ID 핀은 정상인 것으로 판정하는 단계 (d)를 더 포함하는 휴대통신 단말의 충전불량 진단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단말정보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않으면 당해 휴대통신 단말의 USB 포트를 구성하는 모든 핀이 불량인 것으로 판정하는 단계 (e)를 더 포함하는 휴대통신 단말의 충전불량 진단방법.
  4. 진단장치와 접속하여 휴대통신 단말의 충전불량 여부를 진단하는 휴대통신 단말의 충전불량 진단방법으로,
    ADB(Android Device Bridge) 명령어에 의해 상기 휴대통신 단말로부터 단말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a)와,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단말정보가 정상적으로 수신되면 당해 휴대통신 단말의 USB 포트를 구성하는 각 핀이 모두 정상인 것으로 판정하는 단계 (b)와,
    상기 단계 (b)에서 상기 휴대통신 단말의 USB 포트를 구성하는 각 핀이 모두 정상인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휴대통신 단말의 접속 모드를 충전 모드와 USB 모드 사이에서 전환시키는 단계 (f)와,
    상기 단계 (f)에서 상기 휴대통신 단말의 접속 모드가 충전 모드와 USB 모드 사이에서 전환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당해 휴대통신 단말의 충전기능이 불량인 것으로 판정하는 단계 (g)를 더 포함하는 휴대통신 단말의 충전불량 진단방법.
  5. 청구항 2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장치와 상기 휴대통신 단말은 스마트 컨트롤 유닛에 의해 접속되는 휴대통신 단말의 충전불량 진단방법.
KR1020150030237A 2015-03-04 2015-03-04 휴대통신 단말의 충전불량 진단방법 KR1016880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0237A KR101688092B1 (ko) 2015-03-04 2015-03-04 휴대통신 단말의 충전불량 진단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0237A KR101688092B1 (ko) 2015-03-04 2015-03-04 휴대통신 단말의 충전불량 진단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7471A KR20160107471A (ko) 2016-09-19
KR101688092B1 true KR101688092B1 (ko) 2016-12-20

Family

ID=57103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0237A KR101688092B1 (ko) 2015-03-04 2015-03-04 휴대통신 단말의 충전불량 진단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809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20371A (ja) 2004-10-19 2006-05-11 Hitachi Ltd 携帯情報端末、および携帯情報端末の自己診断方法
KR101590399B1 (ko) 2014-10-24 2016-02-03 송응열 충전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71126A (ja) 2007-04-19 2008-11-06 Ntt Docomo Inc 移動端末装置、移動端末装置の診断方法
KR20140039657A (ko) * 2012-09-24 2014-04-02 삼성전자주식회사 호스트 장치, 사용자 단말 장치, 이들을 이용한 충전 방법 및 통신 방법
KR20150001194A (ko) * 2013-06-26 2015-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충전을 제어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 및 이를 위한 충전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20371A (ja) 2004-10-19 2006-05-11 Hitachi Ltd 携帯情報端末、および携帯情報端末の自己診断方法
KR101590399B1 (ko) 2014-10-24 2016-02-03 송응열 충전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7471A (ko) 2016-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519938B (zh) 存储芯片兼容性测试方法、系统和测试主机
US8126453B2 (en) Radio frequency testing system and method of performing radio frequency test on a plurality of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CN113778055B (zh) 一种tbox的检测方法及检测系统
JP7191083B2 (ja) 充電装置のテストボード、テストシステム及びテスト方法
CN111866083A (zh) 设备调试系统、方法、待调试设备、远程调试设备及中转服务器
JP6104578B2 (ja) 検査装置および検査方法
CN108196195B (zh) 电池组装方法、装置及设备
CN109582324B (zh) 一种ic烧录方法及板卡
CN103761198A (zh) 存储器芯片与数据保护方法
KR101688092B1 (ko) 휴대통신 단말의 충전불량 진단방법
CN111245527B (zh) 性能检测系统及其检测方法
KR20210014992A (ko) 불량을 예측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CN104460405B (zh) 输出装置及其诊断方法
KR101626581B1 (ko) 휴대통신 단말의 오류 애플리케이션 진단방법
CN115185724A (zh) 故障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以及存储介质
US7795894B1 (en) Built-in-self-test arrangement for a single multiple-integrated circuit package and methods thereof
CN101964038A (zh) 防止摄像功能被盗用的计算机装置及摄像机电源控制方法
CN112256511A (zh) 一种usb测试电路、方法及存储介质
US20100187526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1628072B1 (ko) 휴대통신 단말의 느림 진단장치 및 진단방법
KR101584783B1 (ko) 휴대통신 단말의 리셋 진단장치 및 진단방법
KR101647396B1 (ko) 휴대통신 단말의 송수신불량 진단장치 및 진단방법
CN113702814B (zh) 一种用于测试bms板的测试方法及其系统
KR10054934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부 불량 선별 장치 및 방법
CN114297009B (zh) 一种服务器测试的方法及装置、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