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4783B1 - 휴대통신 단말의 리셋 진단장치 및 진단방법 - Google Patents

휴대통신 단말의 리셋 진단장치 및 진단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4783B1
KR101584783B1 KR1020140190251A KR20140190251A KR101584783B1 KR 101584783 B1 KR101584783 B1 KR 101584783B1 KR 1020140190251 A KR1020140190251 A KR 1020140190251A KR 20140190251 A KR20140190251 A KR 20140190251A KR 101584783 B1 KR101584783 B1 KR 1015847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et
communication terminal
log
portable communication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0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승열
여세중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서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서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서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90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47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4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47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2Capturing of monitoring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Debugging And Monito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통신 단말(30)과 접속하여 당해 휴대통신 단말의 리셋의 원인을 진단하는 리셋 진단장치(10)로, 휴대통신 단말과 통신하여 덤프 로그를 복사하는 통신부(11)와, 복사한 덤프 로그에서 휴대통신 단말의 리셋 이력인 리셋 로그만을 추출하여 리셋 로그파일로 통합하는 로그 통합부(13)와, 통합된 리셋 로그파일을 파싱하는 파싱부(14)와, 파싱부가 파싱한 덤프 로그에서 휴대통신 단말의 리셋 이력인 리셋 로그를 리셋의 유형별로 분류하는 분류부(15)와, 분류부가 분류한 유형별 리셋 로그로부터 휴대통신 단말의 하드웨어 불량에 의한 리셋이 있었는가를 판정하는 판정부(16)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통신 단말의 리셋 진단장치 및 진단방법{TEST APPARATUS AND METHOD FOR RESET OF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통신 단말의 전원이 비정상적으로 리셋 되는 전원 리셋의 발생원인을 분석하기 위한 리셋 진단장치 및 진단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으로 대표되는 휴대통신 단말의 보급이 확대되고 있고, 본 발명자들의 확인에 의하면 휴대통신 단말의 이상이나 고장 등과 같은 불량으로는 그 증상이 지속적으로 재현되는 이른바 재현 불량(再現不良)과 그 증상이 지속적이지 않는 이른바 미재현 불량(未再現 不良)으로 구분할 수 있고, 이 중 단말을 구성하는 OS(Operating System)나 응용소프트웨어 등의 소프트웨어 불량에 의해 주로 발생하는 미재현 불량의 비율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들 미재현 불량을 유형별로 보면 전원 리셋, 애플리케이션 오동작, 단말의 동작이 비정상적으로 느려지거나 동작을 멈추는 느림/멈춤, 송수신불량, 충전불량 등이 다수를 점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와 같은 미재현 불량은 그 증상이 지속적이지 않으며, 대부분의 증상이 일회성이라는 점에서 고장원인의 확인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휴대통신 단말의 고장이나 이상 등의 불량을 진단하는 장치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은 외부로부터 취득한 진단 포리시(policy)에 따라서 휴대통신 단말의 고장을 진단하고, 진단결과에 대응하는 에러코드를 생성하여 자체 표시장치에 표시하거나 또는 외부의 진단 서버로 출력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으나, 휴대통신 단말의 고장이나 이상 등의 문제를 불량의 유형별로 검사하기 위한 상세에 대해서는 기재되어 있지 않다.
또, 특허문헌 1에는 휴대통신 단말의 미재현 불량의 검사에 대해서는 어떤 방안도 제시하고 있지 않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개 2008-271126호 공보(2008. 11. 6. 공개)
본 발명의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휴대통신 단말의 미재현 불량 중 상당한 비율을 차지하는 불량인 휴대통신 단말의 전원이 비정상적으로 꺼지는 전원 리셋의 발생원인을 분석하기 위한 휴대통신 단말의 리셋 진단장치 및 진단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휴대통신 단말의 리셋 진단장치는, 휴대통신 단말과 접속하여 당해 휴대통신 단말의 리셋의 원인을 진단하는 리셋 진단장치로, 상기 휴대통신 단말과 통신하여 덤프 로그를 복사하는 통신부와, 복사한 상기 덤프 로그를 파싱하는 파싱부와, 상기 파싱부가 파싱한 덤프 로그에서 휴대통신 단말의 리셋 이력인 리셋 로그를 리셋의 유형별로 분류하는 분류부와, 상기 분류부가 분류한 유형별 리셋 로그로부터 상기 휴대통신 단말의 하드웨어 불량에 의한 리셋이 있었는가를 판정하는 판정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복사한 상기 덤프 로그에서 휴대통신 단말의 리셋 이력인 리셋 로그만을 추출하여 리셋 로그파일로 통합하는 로그 통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파싱부는 상기 리셋 로그파일을 파싱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판정부는 상기 리셋이 상기 휴대통신 단말의 애플리케이션 칩의 오동작에 의한 리셋, 또는, 상기 휴대통신 단말의 전원 관련 칩의 오동작으로 인한 오류성 리셋 중 하나 이상에 의해 발생한 리셋인 경우에는 당해 휴대통신 단말에는 하드웨어 불량에 의한 리셋이 있은 것으로 판정한다.
또, 본 발명의 휴대통신 단말의 리셋 원인 진단방법은, 휴대통신 단말과 접속하여 당해 휴대통신 단말의 리셋의 원인을 진단하는 리셋 진단방법으로, 상기 휴대통신 단말에서 덤프 로그를 복사하는 단계와, 복사한 상기 덤프 로그를 파싱하는 파싱단계와, 상기 파싱한 덤프 로그에서 휴대통신 단말의 리셋 이력인 리셋 로그를 리셋의 유형별로 분류하는 분류단계와, 상기 분류단계에서 분류한 유형별 리셋 로그로부터 상기 휴대통신 단말의 하드웨어 불량에 의한 리셋이 있었는가를 판정하는 판정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복사한 상기 덤프 로그에서 휴대통신 단말의 리셋 이력인 리셋 로그만을 추출하여 리셋 로그파일로 통합하는 로그 통합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파싱단계에서는 상기 리셋 로그파일을 파싱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판정단계에서는 상기 리셋이 상기 휴대통신 단말의 애플리케이션 칩의 오동작에 의한 리셋, 또는, 상기 휴대통신 단말의 전원 관련 칩의 오동작으로 인한 오류성 리셋 중 하나 이상에 의해 발생한 리셋인 경우에는 당해 휴대통신 단말에는 하드웨어 불량에 의한 리셋이 있은 것으로 판정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통신 단말의 불량 중 미재현 불량의 하나인 전원이 비정상적으로 리셋 되는 전원 리셋의 발생원인을 그 원인의 유형별로 분석할 수 있고, 이로부터 휴대통신 단말에서 발생한 리셋이 하드웨어의 불량에 기인한 원인으로서 수리를 요하는 리셋인가, 아니면 소프트웨어의 불량에 기인한 리셋으로서 별도의 수리를 필요로 하지 않는 리셋인가를 용이하게 진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휴대통신 단말의 리셋 진단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휴대통신 단말의 리셋 진단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휴대통신 단말의 리셋 진단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휴대통신 단말의 리셋 진단장치는 휴대통신 단말(30)의 전원이 비정상적으로 꺼지는 전원 리셋의 발생원인을 분석하기 위한 리셋 진단장치(10)에 진단의 대상이 되는 휴대통신 단말(30)이 접속케이블(50)을 통해서 접속되어서 진단이 이루어진다.
리셋 진단장치(10)는 예를 들어 데스크 탑 컴퓨터나 퍼스널컴퓨터와 같은 컴퓨터로서, 프로세서와 RAM(Random Access Memory)및 ROM(Read Only Memory)를 구비하며, ROM에 저장된 진단 프로그램에 따라서 프로세서가 동작함으로써 필요한 처리를 실행하는 컴퓨터 시스템이다.
또, 휴대통신 단말(30)은 당해 휴대통신 단말(30)의 전원이 비정상적으로 꺼지는 리셋 현상이 발생하여 진단의 대상이 된 휴대통신 단말이며, 스마트폰을 비롯한 다양한 이동통신용 휴대단말장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접속케이블(50)은 휴대통신 단말(30)을 리셋 진단장치(10)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수단이며, 예를 들어 SCU100 케이블과 같은 접속케이블을 이용할 수 있고, 휴대통신 단말(30)의 USB(Universal Serial Port) 포트를 통해서 리셋 진단장치(10)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통상의 접속수단이다.
리셋 진단장치(10)는 통신부(11)와 메모리(12)와 로그 통합부(13)와 파싱부(14)와 분류부(15)와 판정부(16)와 제어부(17) 및 표시부(18)를 포함한다.
통신부(11)는 접속케이블(50)을 통해서 휴대통신 단말(30)의 통신부(31)와 접속하여 통신을 하면서 휴대통신 단말(30)에 진단용 소프트웨어를 비롯한 각종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거나, 또는, 휴대통신 단말(30) 내의 각종 소프트웨어 정보나 데이터 등을 판독한다.
메모리(12)는 통신부(11)를 통해서 휴대통신 단말(30)로부터 판독한 각종 정보나 데이터를 기억하는 동시에, 리셋 진단장치(10)의 각 부에서 처리한 처리 후의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장치이며, 예를 들어 EPROM 등의 반도체 메모리로 구성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신부(11)는 제어부(17)의 제어에 따라서 휴대통신 단말(30)의 통신부(31) 사이에서 통신을 확립하고, 휴대통신 단말(30)로부터 덤프 로그(dump log)를 복사하여 메모리(12)에 기록한다. 덤프 로그는 메모리나 레지스터, 파일 등의 어느 순간의 내용을 통째로 기록한 로그파일로서, OS나 응용소프트웨어가 비정상적으로 종료한 이상종료 시에 이상종료의 원인을 특정할 수 있도록, 이상종료 순간의 메모리나 레지스터의 내용을 기록한 로그파일이며, 대부분의 휴대통신 단말은 이 덤프 로그를 단말 내부에 기억하고 있다.
로그 통합부(13)는 휴대통신 단말(30)로부터 판독되어 리셋 진단장치(10)의 메모리(12)에 복사된 덤프 로그를 예를 들어 리셋 로그, 송수신 에러, 응용소프트웨어 불량 등과 같이 덤프 로그의 종류별로 분류하여 각각의 로그 단위로 통합한다.
제어부(17)는 휴대통신 단말(30)로부터 메모리(12)에 복사된 덤프 로그가 로그파일의 종류별로 분류되어 있는가를 판정하고, 만일, 메모리(12)에 복사된 덤프 로그가 로그파일 종류별로 분류되어 있지 않으며, 즉, 덤프 로그에 복수 종류의 로그파일이 혼재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로그 통합부(13)를 제어하여 혼재된 로그파일에서 휴대통신 단말(30)의 전원이 리셋(전원이 off 후 다시 on) 된 기록인 리셋 로그만을 추출해서 별도의 파일로 통합하고, 통합된 리셋 로그파일을 메모리(12)에 저장한다.
파싱부(14)는 메모리(12)에 저장된 리셋 로그파일을 파싱(parsing)하여 분류부(15)가 분류하기에 적합한 형태로 가공하고, 가공된 리셋 로그파일을 메모리(12)에 저장한다.
분류부(15)는 파싱에 의해 가공되어서 메모리(12)에 저장된 리셋 로그파일을 리셋 로그의 유형별로 분류하고, 유형별로 분류된 리셋 유형별 로그파일을 메모리(12)에 저장한다. 분류부(15)에서는 휴대통신 단말(30)의 전원 리셋이 발생한 원인에 따라서, 예를 들어 표 1과 같은 유형으로 리셋 로그를 분류하고, 그 결과를 예를 들어 리스트 형태로 메모리(12)에 저장한다.
대분류 코드 내 용


비 고장
NP 정상적으로 전원버튼을 눌러서 Power Off에서 Power On
SP 배터리 연결단자에 이물이 유입된 상태에서 낙하 등의 외부충격에 의해 배터리 연결단자가 탈부착 되는 등, 순간적인 전원공급 불안정 시 발생
MP 전원버튼을 7초 이상 길게 눌러서 강제 리셋
RP 단말 종료메뉴에서 사용자가 재시작을 선택
BP 업그레이드(FOTA 포함)가 완료되어 재부팅

H/W 불량
WP 애플리케이션 칩의 오동작에 의한 리셋으로서, H/W 불량일 가능성이 있으므로 빈번하게 리셋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H/W 점검이 필요함
PP 전원 관련 칩의 오동작으로 인한 오류성 리셋으로서, H/W 불량일 가능성이 있으므로 빈번하게 리셋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H/W 점검이 필요함


S/W 불량

DP 시스템 락업(시스템이 동작하지 않고 멈춰 있거나 과부하 등으로 비정상적으로 동작) 상황에 대해 리셋에 의해 랍업 증상을 복구함
KP 커널 디바이스 및 메모리 불량 등, 커널 오동작으로 발생한 오류성 리셋
TP 단말 온도의 과도한 상승으로 자동으로 리셋시킴
PA 통화 관련 처리를 위한 프로그램이 비정상적으로 종료된 상태
PF OA에서 문제가 발생한 경우에 비정상적으로 종료된 상태
표 1에서 보는 것과 같이 분류부(15)는 리셋 로그를 그 유형별로 미리 정해진 코드와 함께 분류하여 리스트화 한다.
표 1의 리셋 유형 중에서 특히 문제가 되는 유형은 휴대통신 단말(30)의 하드웨어에 문제가 있어서 리셋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는 H/W 불량이며, 비 고장은 휴대통신 단말(30)에서 정상적으로 리셋이 발생한 것이고, S/W 불량은 일시적인 문제의 제거를 위해 휴대통신 단말(30)의 전원에 리셋이 발생한 것이므로 통상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
또, 분류부(15)는 리셋 로그파일을 리셋 로그의 유형별로 분류하는 것에 추가하여, 표 1의 각 유형별로 분류된 리셋 로그 각각에 대해 리셋이 발생한 날짜 및 발생시간 순으로도 분류하여 정리해도 좋다.
판정부(16)는 분류부(15)에 의해 분류되어 메모리(12)에 저장된 리셋 유형별 로그파일로부터 하드웨어 불량에 의해 리셋이 발생한 리셋이 있는가 여부를 판정하고, 그 결과를 표시부(18)에 표시한다.
판정부(16)에 의한 판정은 리셋 유형별 로그파일의 리셋 로그 각각에 대해 리셋 발생의 원인을 판정하며, 특히, 「애플리케이션 칩의 오동작에 의한 리셋으로서, H/W 불량일 가능성이 있으므로 빈번하게 리셋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H/W 점검이 필요함(코드 WP)」와 「전원 관련 칩의 오동작으로 인한 오류성 리셋으로서, H/W 불량일 가능성이 있으므로 빈번하게 리셋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H/W 점검이 필요함(코드 PP)」에 대응하는 리셋은 하드웨어 불량에 의한 리셋으로 판정하고, 그 외의 리셋은 비 고장으로 판정하는 것이다.
표시부(18)는 판정부(16)에 의한 판정결과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며, 표시는 예를 들어 리셋 진단의 대상이 된 휴대통신 단말(30)의 전체 리셋 로그에 대해 각각의 리셋을 고장과 비 고장으로 분류하여 리스트로 표시하거나, 전체 리셋 중 고장은 몇 건, 비 고장은 몇 건과 같이 건수 단위로 표시하거나, 필요에 따라서는 그래프 등과 같은 도형으로 표시해도 좋다.
제어부(17)는 리셋 진단장치(10) 각 부의 동작을 전체적으로 제어한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리셋 진단장치(1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휴대통신 단말의 리셋 진단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먼저, 전원이 비정상적으로 꺼진 적이 있어서 진단의 대상이 된 휴대통신 단말(30)을 접속케이블(50)을 이용하여 리셋 진단장치(10)에 접속한다(단계 S1).
단계 S1에서 리셋 진단장치(10)와 휴대통신 단말(30) 사이의 접속이 이루어지면 단계 S2로 진행하며, 리셋 진단장치(10)의 통신부(11)는 휴대통신 단말(30)의 통신부(31)와 통신을 시도하여 휴대통신 단말(30) 내에 덤프 로그가 생성되어 있는가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휴대통신 단말(30)에 덤프 로그가 생성되어 있으면(단계 S2=YES) 단계 S3으로 진행하여 휴대통신 단말(30)에 생성되어 있는 덤프 로그를 리셋 진단장치(10)의 메모리(12)에 복사한다.
만일, 단계 S2에서 휴대통신 단말(30)에 덤프 로그가 생성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면(단계 S2=NO) 단계 S4로 진행하여 휴대통신 단말(30)과의 접속을 재시도하고, 재접속이 이루어지면 다시 단계 S2의 덤프 로그 생성 여부를 확인하여, 덤프 로그 생성이 확인되면 단계 S3에서 덤프 로그를 메모리(12)에 복사한다.
이어서, 단계 S5에서 제어부(17)는 메모리(12)에 복사된 덤프 로그를 확인하여, 복사된 덤프 로그 파일에 휴대통신 단말(30)의 전원이 리셋 된 기록인 리셋 로그만으로 통합되어 있는가 여부를 확인하고, 만일 리셋 로그가 통합되어 있지 않으면(단계 S5=NO) 제어부(17)는 로그 통합부(13)를 제어하여 메모리(12)에 기억되어 있는 덤프 로그에서 리셋 로그만을 추출하여 통합된 리셋 로그파일을 생성하고, 생성된 리셋 로그파일을 메모리(12)에 저장한다.
이어서, 제어부(17)는 파싱부(14)를 제어하여 메모리(12)에 저장되어 있는 리셋 로그파일을 파싱하고, 파싱된 리셋 로그파일을 메모리(12)에 저장한다(단계 S6).
이어서, 제어부(17)는 분류부(15)를 제어하여 파싱된 리셋 로그파일을 예를 들어 표 1과 같이 리셋의 발생원인별로 분류하고, 분류된 리셋 유형별 로그파일을 메모리(12)에 저장한다(단계 S8).
이어서, 단계 S9에서 제어부(17)는 판정부(16)를 제어하여 리셋 유형별 로그파일의 각 리셋 로그에 대해 리셋의 원인을 확인하여 하드웨어 불량에 의한 리셋이 있는가 여부를 판단하고, 만일 하드웨어 불량에 의한 리셋 로그가 없으면(단계 S9=NO) 단계 S10으로 진행하여 하드웨어 이상 없음, 즉 하드웨어는 정상으로 판정하고, 하드웨어 불량에 의한 리셋 로그가 있으면(단계 S9=YES) 단계 S11로 진행하여 하드웨어 불량으로 판정한다.
여기서, 하드웨어 불량에 의한 리셋 여부의 판정은 예를 들어 리셋 유형별 로그파일 중에 표 1의 코드 WP 또는 PP에 해당하는 리셋이 있는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코드 WP 또는 PP에 해당하는 리셋이 있으면 진단 대상 휴대통신 단말(30)에 하드웨어 불량에 의한 리셋이 있었던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또, 필요에 따라서는 제어부(17)는 표시부(18)를 제어하여 단계 S9의 판정결과를 표시하도록 해도 좋으며, 표시는 예를 들어 리셋 진단의 대상이 된 휴대통신 단말(30)의 전체 리셋 로그에 대해 각각의 리셋을 고장과 비 고장으로 구분하여 리스트 형식으로 표시하거나, 전체 리셋 중 고장은 몇 건, 비 고장은 몇 건과 같이 건수 단위로 표시하거나, 또는 표 1의 리셋 원인 각각에 대해 건수 단위로 구분하여 표시해도 좋고, 필요에 따라서는 그래프 등과 같은 도형과 함께 표시해도 좋다. 이때, 리셋 원인 중 하드웨어 불량에 의한 리셋은 그 원인이 된 하드웨어의 수리가 필요하므로, 하드웨어 불량에 의한 리셋에 대해서는 반드시 그 원인과 함께, 즉, 에를 들어 「WP」, 또는 「PP」와 같은 불량원인과 함께 표시부(18)에 표시하는 것이 좋으며, 이로부터 사용자는 휴대통신 단말(30)의 하드웨어의 수리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또는 변형이 가능함은 당연하다.
10 리셋 진단장치 11 통신부
12 메모리 13 로그 통합부
14 파싱부 15 분류부
16 판정부 17 제어부
18 표시부 30 휴대통신 단말

Claims (6)

  1. 휴대통신 단말과 접속하여 당해 휴대통신 단말의 리셋의 원인을 진단하는 리셋 진단장치로,
    상기 휴대통신 단말과 통신하여 OS나 응용소프트웨어가 비정상적으로 종료한 이상종료 순간의 메모리나 레지스터의 내용을 기록한 로그파일인 덤프 로그를 복사하는 통신부와,
    복사한 상기 덤프 로그를 파싱하는 파싱부와,
    상기 파싱부가 파싱한 덤프 로그에서 휴대통신 단말의 리셋 이력인 리셋 로그를 리셋의 유형별로 분류하는 분류부와,
    상기 분류부가 분류한 유형별 리셋 로그로부터 상기 휴대통신 단말의 하드웨어 불량에 의한 리셋이 있었는가를 판정하는 판정부를 포함하는 휴대통신 단말의 리셋 진단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복사한 상기 덤프 로그에서 휴대통신 단말의 리셋 이력인 리셋 로그만을 추출하여 리셋 로그파일로 통합하는 로그 통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파싱부는 상기 리셋 로그파일을 파싱하는 휴대통신 단말의 리셋 진단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판정부는 상기 리셋이 상기 휴대통신 단말의 애플리케이션 칩의 오동작에 의한 리셋, 또는, 상기 휴대통신 단말의 전원 관련 칩의 오동작으로 인한 오류성 리셋 중 하나 이상에 의해 발생한 리셋인 경우에는 당해 휴대통신 단말에는 하드웨어 불량에 의한 리셋이 있은 것으로 판정하는 휴대통신 단말의 리셋 진단장치.
  4. 휴대통신 단말과 접속하여 당해 휴대통신 단말의 리셋의 원인을 진단하는 리셋 진단장치에 의한 리셋 진단방법으로,
    상기 휴대통신 단말에서 OS나 응용소프트웨어가 비정상적으로 종료한 이상종료 순간의 메모리나 레지스터의 내용을 기록한 로그파일인 덤프 로그를 복사하는 단계와,
    복사한 상기 덤프 로그를 파싱하는 파싱단계,
    상기 파싱한 덤프 로그에서 휴대통신 단말의 리셋 이력인 리셋 로그를 리셋의 유형별로 분류하는 분류단계와,
    상기 분류단계에서 분류한 유형별 리셋 로그로부터 상기 휴대통신 단말의 하드웨어 불량에 의한 리셋이 있었는가를 판정하는 판정단계를 포함하는 휴대통신 단말의 리셋 진단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복사한 상기 덤프 로그에서 휴대통신 단말의 리셋 이력인 리셋 로그만을 추출하여 리셋 로그파일로 통합하는 로그 통합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파싱단계에서는 상기 리셋 로그파일을 파싱하는 휴대통신 단말의 리셋 진단방법.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판정단계에서는 상기 리셋이 상기 휴대통신 단말의 애플리케이션 칩의 오동작에 의한 리셋, 또는, 상기 휴대통신 단말의 전원 관련 칩의 오동작으로 인한 오류성 리셋 중 하나 이상에 의해 발생한 리셋인 경우에는 당해 휴대통신 단말에는 하드웨어 불량에 의한 리셋이 있은 것으로 판정하는 휴대통신 단말의 리셋 진단방법.
KR1020140190251A 2014-12-26 2014-12-26 휴대통신 단말의 리셋 진단장치 및 진단방법 KR1015847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0251A KR101584783B1 (ko) 2014-12-26 2014-12-26 휴대통신 단말의 리셋 진단장치 및 진단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0251A KR101584783B1 (ko) 2014-12-26 2014-12-26 휴대통신 단말의 리셋 진단장치 및 진단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4783B1 true KR101584783B1 (ko) 2016-01-12

Family

ID=55170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0251A KR101584783B1 (ko) 2014-12-26 2014-12-26 휴대통신 단말의 리셋 진단장치 및 진단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47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47017B2 (en) 2021-12-13 2023-12-19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for determining a reset cause of an embedded controller for a vehicle and an embedded controller for a vehicle to which the method is applie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47017B2 (en) 2021-12-13 2023-12-19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for determining a reset cause of an embedded controller for a vehicle and an embedded controller for a vehicle to which the method is applie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27206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faulty touch panel having intermittent field failures
CN109726107A (zh) 测试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07678936B (zh) 业务系统预先稽查方法、服务器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EP2626790A1 (en) Fault monitoring device, fault monitoring method and program
US20210173010A1 (en) Diagnostic tool for traffic capture with known signature database
US20210111967A1 (en)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traffic capture and debugging tool
KR101584783B1 (ko) 휴대통신 단말의 리셋 진단장치 및 진단방법
CN112947964A (zh) 一种芯片的固件更新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09633415B (zh) 一种异常芯片的识别方法及设备
CN111782434A (zh) 异常检测方法、装置和电子设备
CN116738091A (zh) 页面监控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1125990A (zh) 一种寄生参数结果正确性的判断方法
KR102051580B1 (ko) Cdisc 기반 통합 임상 시험 장치
KR101626581B1 (ko) 휴대통신 단말의 오류 애플리케이션 진단방법
CN106528248B (zh) 一种移动终端基于软件完整性的下载方法及系统
CN115147236A (zh) 一种处理方法、处理装置和电子设备
CN115237731A (zh) 应用程序的性能监控方法及装置、存储介质、电子设备
CN114328158A (zh) 异常监控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4372003A (zh) 测试环境监控方法、装置与电子设备
CN104425306A (zh) 具有开路测试的半导体封装构件测试系统和方法
CN112463594A (zh) 一种sas链路调试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CN114356061B (zh) 电源故障检测方法、装置、系统以及检测设备
CN109446013A (zh) 存储设备测试方法、存储设备测试系统及存储介质
CN114860549B (zh) 埋点数据校验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CN115548836A (zh) 一种故障确认方法、装置、准分子激光器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