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9342B1 -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부 불량 선별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부 불량 선별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9342B1
KR100549342B1 KR1020040025833A KR20040025833A KR100549342B1 KR 100549342 B1 KR100549342 B1 KR 100549342B1 KR 1020040025833 A KR1020040025833 A KR 1020040025833A KR 20040025833 A KR20040025833 A KR 20040025833A KR 100549342 B1 KR100549342 B1 KR 1005493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voltage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5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0755A (ko
Inventor
탁태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40025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9342B1/ko
Publication of KR20050100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07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9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93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8Seat covering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3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36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with oxides, hydroxides or mixed oxides; with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38Oxides or hydroxides of elements of Groups 1 or 11 of the Periodic System
    • D06M11/42Oxides or hydroxides of copper, silver or gol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 A61N2005/06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far infrared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생산시 단말기 전원부의 전압 강하를 체크함으로써 전원부 단품 불량 및 단품 실장 작업 불량을 자동으로 선별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부 불량 선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생산 공정 중에 하나인 기능 테스트 단계에서 모형 배터리를 자동 인식하고, 그 때의 전압 강하를 자동으로 체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단말기 전원부의 단품 자체 불량 또는 단품 실장 작업 불량 등을 자동 선별할 수 있게 되며, 이러한 전원부 불량의 자동 선별이 가능해 짐에 따라 이를 위한 별도의 인력 및 공정이나 시간이 불필요하므로 단말기 생산성 및 전원부 불량 선별을 위한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동통신 단말기, 모형 배터리, 전원부 불량, 전력 관리칩, 배터리 감지 회로, 저항, 기능 테스트, 전압 강하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부 불량 선별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Power Supply Unit Inferior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 테스트에 사용되는 모형 배터리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부 불량 선별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부 불량 선별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모형 배터리 20 :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
21 : 배터리 감지 회로부 22 : 전력 관리칩
23 : 과전압 보호 회로부 24 : 단말기 주 회로부
R : 배터리 저항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부 불량 선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 생산시 단말기 전원부의 전압 강하를 체크함으로써 전원부 단품 불량 및 단품 실장 작업 불량을 자동으로 선별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부 불량 선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이동통신 기술이 급속하게 발전하면서 대부분의 사람들은 PCS 폰이나 셀룰러폰, PDA 등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공장에서 생산하는 절차 중에는 일련의 기능 테스트(function test)를 수행하는 단계가 있다.
여기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 테스트는 첨부된 도면 도 1의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은 모형(Mock-up) 배터리를 사용하여 수행하는데, 그 모형 배터리에 도 1의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 '-' 전압을 인가하고, 이를 이동통신 단말기와 연결하여 기능 테스트를 수행한다.
그리고, 전술한 기능 테스트 단계를 통해 배터리 커넥터와 전력 관리칩(예컨대, 퀀텀사의 PM6000) 사이의 퓨즈(Fuse)와 과전압 보호 회로부(Over Voltage Protection Circuit)에서의 전압 강하(Voltage Drop) 여부를 체크함으로써 전원부에서의 단품(예컨대, 과전압 보호 회로) 자체의 불량 및 그 단품의 PCB 실장 작업(S.M.T) 불량을 선별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생산하는데 있어, 전원부에 구비되는 과전압 보호 회로와 같은 단품 자체의 불량 또는 그 단품 실장 작업 상의 불량에 의한 전압 강하 여부를 작업자가 직접 체크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고, 이를 위해 별도의 인력과 공정을 배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 생산시 기능 테스트 단계에서 모형 배터리를 자동 인식하고, 그 때의 전압 강하를 자동으로 체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단말기 전원부의 단품 자체 불량 또는 단품 실장 작업 불량 등과 같은 전원부 불량을 자동 선별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부 불량을 자동 선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를 위한 별도의 인력 및 공정을 배치하지 않도록 하고, 이를 통해 단말기 생산성 및 전원부 불량 선별을 위한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이동통신 단말기 기능 테스트에 필요한 외부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단자를 구비함과 동시에 또 다른 단자에 저항이 연결된 구성을 갖는 모형 배터리와; 상기 모형 배터리 측으로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경로와, 상기 모형 배터리의 저항에 걸리는 전압의 디지 털 값을 읽어들이기 위한 경로를 제공하는 배터리 감지 회로부와; 상기 배터리 감지 회로부를 통해 모형 배터리 측으로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고, 그 모형 배터리의 저항에 걸리는 전압의 디지털 값을 읽어들이며, 배터리 커넥터에서 과전압 보호 회로부를 통해 입력되는 배터리 전압 값을 전달해 주는 전력 관리칩과; 상기 배터리 저항에 걸리는 전압의 디지털 값을 분석하여 단말기에 연결된 배터리가 모형 배터리인지를 확인하고, 모형 배터리로 확인되는 경우 단말기 내부의 전압 강하 소프트웨어를 실행시킨 후, 상기 배터리 전압 값을 분석하여 전압 강하 발생 여부를 판단하며, 전압 강하 발생시 전원부 불량을 통보해 주기 위한 벨 또는 알람을 출력해 주는 단말기 주 회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부 불량 선별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때, 상기 저항은, 전력 관리칩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에 연결된 배터리가 실제 배터리인지, 모형 배터리인지를 확인하는데 필요한 전압의 디지털 값을 읽을 수 있도록 연결된 저항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모형 배터리를 연결하여 단말기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고, 해당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을 온시켜 부팅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모형 배터리 측으로 소정의 전원을 인가하고, 그 모형 배터리의 저항에 걸리는 전압의 디지털 값을 읽어들이는 과정과; 상기 배터리 저항의 디지털 전압 값을 분석하여 단말기에 연결된 배터리가 모형 배터리인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기에 모형 배터리가 연결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전압 강하 소프트웨어를 실행시킨 후에 과전압 보호 회로부를 통해 입력되는 배터리 전압 값 을 읽어들여 전압 강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전압 강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벨 또는 알람을 출력하여 작업자에게 단말기 전원부 불량을 통보해 주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부 불량 선별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 생산시 전원부의 전압 강하에 의한 단품 불량 및 단품 실장 작업 불량을 자동으로 선별할 수 있는 장치를 구현하고자 하는데,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와 모형 배터리 팩은 첨부한 도면 도 2와 같이 연결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부 불량 선별 장치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에 연결되는 모형 배터리(10)와, 그 모형 배터리(10)가 연결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20)에 구성되는 배터리 감지 회로부(21)와, 전력 관리칩(22)과, 과전압 보호 회로부(23) 및 단말기 주 회로부(24)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모형 배터리(10)는 기능 테스트에 필요한 외부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 '-' 단자를 구비함과 동시에 또 다른 단자에 저항(R)이 연결된 구성을 갖는데, 이때 저항(R)은 전력 관리칩(22)에서 그 저항(R)에 걸리는 전압의 디지털 값을 읽음으로써 단말기에 연결된 배터리가 실제 배터리인지, 모형 배터리인지를 확 인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배터리 감지 회로부(21)는 단말기에 연결되는 모형 배터리(10)를 감지하기 위해 전력 관리칩(22)에서 그 모형 배터리(10) 측으로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연결 경로와, 단말기에 연결된 모형 배터리(10)의 저항(R)에 걸리는 전압의 디지털 값을 읽어들이기 위한 연결 경로를 제공한다.
전력 관리칩(22)은 단말기 부팅이 이루어지는 경우 배터리 감지 회로부(21)를 통해 모형 배터리(10) 측으로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고, 그 모형 배터리(10)의 저항(R)에 걸리는 전압의 디지털 값(ADC_MOCK-UP_ID)을 읽어와서 단말기 주 회로부(24)로 전달해 주며, 또한 배터리 커넥터에서 과전압 보호 회로부(23)를 통해 입력되는 배터리 전압 값을 단말기 주 회로부(24)로 전달해 준다.
과전압 보호 회로부(23)는 단말기에 연결되는 배터리로부터 과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그 과전압을 차단시켜 단말기 주 회로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단말기 주 회로부(24)는 전력 관리칩(22)으로부터 전달되는 배터리 저항(R)에 걸리는 전압의 디지털 값을 분석하여 현재 단말기에 연결된 배터리가 실제 배터리인지, 모형 배터리인지를 확인하고, 모형 배터리(10)로 인식되는 경우 단말기 내부의 전압 강하 소프트웨어(Voltage Drop Software)를 실행시킨 후, 과전압 보호 회로부(23)를 통해 전력 관리칩(22)으로 입력되는 배터리 전압 값을 분석하여 전압 강하 발생 여부를 판단하며, 전압 강하 발생시 벨 또는 알람을 출력해 줌으로써 작업자에게 단품 자체의 불량 또는 단품 실장 작업의 불량이 있음을 통보해 준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부 불량 선별 동작을 첨부한 도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이동통신 단말기를 생산하는 공정에 있어, 작업자는 그 단말기의 기능 테스트를 위해 단말기에 모형 배터리(10)를 연결한 후, 외부의 전원 공급기를 이용하여 모형 배터리(10)의 '+', '-' 단자를 통해 일련의 단말기 구동에 필요한 전원, 예컨대 4V의 전원을 공급하고, 해당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을 온(Power On)시키게 된다(스텝 S31).
그러면, 이동통신 단말기 내부에 구현된 단말기 주 회로부(24)에서 부팅 작업이 시작되고, 이때 전력 관리칩(22)은 배터리 감지 회로부(21)의 'VREG_MSMP' 단자를 통해 모형 배터리(10) 측으로 소정의 전원, 예컨대 2.7V의 전원을 인가한 후, 그 모형 배터리(10)의 저항(R)(예컨대, 10㏀의 저항)에 걸리는 전압의 디지털 값(ADC_MOCK-UP_ID)을 읽어와서 단말기 주 회로부(24)로 전달해 주게 된다(스텝 S32).
이에, 단말기 주 회로부(24)는 전력 관리칩(22)으로부터 전달되는 배터리 저항(R)에 걸리는 전압의 디지털 값(ADC_MOCK-UP_ID)을 분석하여 현재 단말기에 연결된 배터리가 실제 배터리인지, 모형 배터리인지를 확인하게 되는데(스텝 S33), 예를 들어,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모형 배터리(10)에 10㏀의 저항(R)이 연결되어 있고, 전력 관리칩(22)에서 그 모형 배터리(10) 측에 2.7V의 전원을 인가한 경우 배터리 저항(R)에 걸리는 전압의 디지털 값이 '100~110' 사이의 값이면 단말기에 연결된 배터리를 모형 배터리로 인식하게 된다.
이때, 배터리 저항(R)에 걸리는 전압의 디지털 값을 분석한 결과, 단말기에 모형 배터리(10)가 연결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단말기 내부의 전압 강하 소프트웨어를 실행시키게 된다(스텝 S34).
또한, 전력 관리칩(22)에서는 배터리 커넥터에서 과전압 보호 회로부(23)를 통해 입력되는 배터리 전압 값을 읽어들이게 되며(스텝 S35), 이에 따라 단말기 주 회로부(24)에서는 과전압 보호 회로부(23)를 통해 전력 관리칩(22)으로 입력되는 배터리 전압 값을 분석하여 전압 강하 발생 여부를 판단하게 되는데(스텝 S36), 예를 들어, 과전압 보호 회로부(23)를 통해 입력되는 배터리 전압 값이 '3.8~4V'이면 전압 강하가 발생하지 않은 정상 상태로 판단하고, '3.7V' 이하이면 전압 강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그리고, 단말기 주 회로부(24)에서는 과전압 보호 회로부(23)를 통해 입력되는 배터리 전압 값을 분석한 결과, 전압 강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단말기를 통해 벨 또는 알람을 출력해 주게 되며(스텝 S37), 이에 따라 작업자는 단말기 전원부에 단품 자체의 불량 또는 단품 실장 작업의 불량이 있음을 알 수 있게 되는 등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부 불량 세트를 선별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상술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과 관련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한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의 대안, 수정 및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생산 공정 중에 하나인 기능 테 스트 단계에서 모형 배터리를 자동 인식하고, 그 때의 전압 강하를 자동으로 체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단말기 전원부의 단품 자체 불량 또는 단품 실장 작업 불량 등을 자동 선별할 수 있게 되며, 이러한 전원부 불량의 자동 선별이 가능해 짐에 따라 이를 위한 별도의 인력 및 공정이나 시간이 불필요하므로 단말기 생산성 및 전원부 불량 선별을 위한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이동통신 단말기 기능 테스트에 필요한 외부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단자를 구비함과 동시에 또 다른 단자에 저항이 연결된 구성을 갖는 모형 배터리와;
    상기 모형 배터리 측으로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경로와, 상기 모형 배터리의 저항에 걸리는 전압의 디지털 값을 읽어들이기 위한 경로를 제공하는 배터리 감지 회로부와;
    상기 배터리 감지 회로부를 통해 모형 배터리 측으로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고, 그 모형 배터리의 저항에 걸리는 전압의 디지털 값을 읽어들이며, 배터리 커넥터에서 과전압 보호 회로부를 통해 입력되는 배터리 전압 값을 전달해 주는 전력 관리칩과;
    상기 배터리 저항에 걸리는 전압의 디지털 값을 분석하여 단말기에 연결된 배터리가 모형 배터리인지를 확인하고, 모형 배터리로 확인되는 경우 단말기 내부의 전압 강하 소프트웨어를 실행시킨 후, 상기 배터리 전압 값을 분석하여 전압 강하 발생 여부를 판단하며, 전압 강하 발생시 전원부 불량을 통보해 주기 위한 벨 또는 알람을 출력해 주는 단말기 주 회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부 불량 선별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은, 전력 관리칩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에 연결된 배터리가 실제 배터리인지, 모형 배터리인지를 확인하는데 필요한 전압의 디지털 값을 읽을 수 있도록 연결된 저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부 불량 선별 장치.
  3. 이동통신 단말기에 모형 배터리를 연결하여 단말기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고, 해당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을 온시켜 부팅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모형 배터리 측으로 소정의 전원을 인가하고, 그 모형 배터리의 저항에 걸리는 전압의 디지털 값을 읽어들이는 과정과;
    상기 배터리 저항의 디지털 전압 값을 분석하여 단말기에 연결된 배터리가 모형 배터리인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기에 모형 배터리가 연결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전압 강하 소프트웨어를 실행시킨 후에 과전압 보호 회로부를 통해 입력되는 배터리 전압 값을 읽어들여 전압 강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전압 강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벨 또는 알람을 출력하여 작업자에게 단말기 전원부 불량을 통보해 주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부 불량 선별 방법.
KR1020040025833A 2004-04-14 2004-04-14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부 불량 선별 장치 및 방법 KR1005493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5833A KR100549342B1 (ko) 2004-04-14 2004-04-14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부 불량 선별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5833A KR100549342B1 (ko) 2004-04-14 2004-04-14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부 불량 선별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0755A KR20050100755A (ko) 2005-10-20
KR100549342B1 true KR100549342B1 (ko) 2006-02-02

Family

ID=37279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5833A KR100549342B1 (ko) 2004-04-14 2004-04-14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부 불량 선별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93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28062B2 (en) 2017-10-18 2022-01-18 Lg Chem, Ltd. Battery pack and power system compris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2642B1 (ko) * 2007-03-23 2008-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28062B2 (en) 2017-10-18 2022-01-18 Lg Chem, Ltd. Battery pack and power system compri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0755A (ko) 2005-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56207B (zh) 过电压检测电路的方法和装置
CN102724343A (zh) 手机硬件模块测试方法及测试装置
US20070001705A1 (en) Integrated circuit and circuit board
CN103646888B (zh) 一种晶圆可接受性测试系统及方法
CN108093118A (zh) 主板上器件的测试方法、测试装置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4991846B (zh) 一种移动终端工作模式的切换系统和方法
KR10054934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부 불량 선별 장치 및 방법
CN102967820A (zh) 移动终端和移动终端的自检方法
KR101837025B1 (ko) 표준화 테스트 모듈들의 가변 조합을 이용하는 검사 장치
CN105547643A (zh) 光电模块检测方法
CN104198921A (zh) 一种印刷电路板的测试方法
CN101719383B (zh) 闪存芯片的测试方法
JP5452965B2 (ja) ポゴタワー電気チャネル自己検査式半導体試験システム
JP2007155640A (ja) 集積回路の検査方法と検査装置
KR101056723B1 (ko) 휴대폰 충전기나 스위칭모드 전원공급장치용 에이징 테스트 장치
CN100501424C (zh) 一种测试时钟或信号驱动负载能力的装置及方法
CN110967615B (zh) 电路板故障诊断装置及诊断方法
KR100356700B1 (ko) 휴대용 컴퓨터의 리튬이온 배터리팩을 검사하는 장치
KR100788501B1 (ko) 키패드 검사 장치 및 검사 방법
CN113852417B (zh) 光模块故障定位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6750667B2 (en) Adapting apparatus with detecting and repairing functions and method thereof
KR102087343B1 (ko)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를 이용한 정밀 하네스 검사 방법
US20080024139A1 (en) Device and a Method for Testing At Least One Conductive Joint Forming an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an Electrical Component and a Printed Circuit
CN115201669B (zh) 一种芯片内部电路检测方法和装置
KR100950176B1 (ko) 휴대폰의 통신 테스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