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7301B1 - 롤투롤 코팅 시스템 - Google Patents

롤투롤 코팅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7301B1
KR101687301B1 KR1020140188180A KR20140188180A KR101687301B1 KR 101687301 B1 KR101687301 B1 KR 101687301B1 KR 1020140188180 A KR1020140188180 A KR 1020140188180A KR 20140188180 A KR20140188180 A KR 20140188180A KR 101687301 B1 KR101687301 B1 KR 1016873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coating
stage
roll
c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8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7817A (ko
Inventor
최유찬
최성원
채호철
이상봉
장범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Priority to KR1020140188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7301B1/ko
Publication of KR20160077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78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7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73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7/00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F17/08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inting on filamentary or elongated articles, or on articles with cylindrical surfaces
    • B41F17/14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inting on filamentary or elongated articles, or on articles with cylindrical surfaces on articles of finite length

Landscapes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롤투롤 코팅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투롤 코팅 시스템은, 기재에 대한 코팅 작업이 진행되는 코팅 작업라인으로 기재를 연속해서 공급하는 기재 언와인딩 장치; 및 공급되는 기재를 흡착하여 이송시키는 이송 스테이지와, 이송 스테이지와 상호작용하여 기재의 코팅면에 코팅 작업을 진행하는 제팅 헤드를 구비하는 코팅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롤투롤 코팅 시스템{Roll to roll coating system}
본 발명은, 롤투롤 코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롤투롤(Roll to Roll)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플렉시블(flexible) 기재의 연속 또는 고속 코팅이 가능하며, 특히 기재를 이송시키면서 기재에 코팅 작업을 진행할 수 있어 종래 방식들보다 코팅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구조가 단순화되어 양산에 적용할 수 있는 롤투롤 코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글라스(glass)나 필름(film) 등의 플렉시블(flexible) 기재의 표면에 코팅(또는 인쇄) 작업을 진행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슬릿코터, 그라비아 옵셋, 리버스 옵셋, 임프린트, 스크린 인쇄, 잉크젯 등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전술한 장치들의 경우, 그 용도에 맞게 다양한 공정에 적용되고 있기는 한데, 전술한 장치들의 코팅 방식은 기재에 대한 매엽 방식의 코팅(또는 인쇄) 방법이기 때문에 기재를 연속적으로 피딩(feeding)시키면서 코팅 작업을 진행하고자 할 때는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즉 연속 코팅을 위해서는 한쪽에서 기재를 언와인딩(unwinding)시키고 다른 쪽에서는 기재를 리와인딩(rewinding)시키면서 그 사이에서 기재에 코팅 작업을 진행해야 하는데, 이때에 적합한 방식이 롤투롤(Roll to Roll) 코팅 시스템이다.
롤투롤 코팅 시스템의 경우, 기재, 즉 플렉시블 기재에 대한 연속 또는 고속 코팅이 가능하기 때문에 단위 시간당 생산성을 향상시키기에 충분하다.
한편, 롤투롤 코팅 시스템을 이용하여 기재에 대한 코팅(또는 인쇄) 작업을 진행함에 있어 기재의 전체 영역이 아닌 기재의 선택적 영역만을 코팅하고자 할 경우가 발생된다.
이처럼 코팅 작업이 중단되지 않고 연속적으로 진행되도록 하면서 기재의 선택적 영역만을 효과적으로 코팅하기 위해서는 정밀한 얼라인 및 피딩 시스템이 구성이 필요하다.
때문에 플렉시블 기재의 선택적 영역에 코팅하기 위해 얼라인 후 립롤에 의한 롤투롤(R2R) 피딩방식, 얼라인 후 그립퍼를 이용한 피딩방식을 대부분 채택하고 있는 실정이기는 하지만 전자나 후자의 방식 모두 코팅의 정밀도를 높이는데 한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 외에도 피딩되는 기재를 정지시키지 않고 연속 구동시키면서 코팅 작업을 진행하는 방식이 연구되고 있으나 기재의 정확한 얼라인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비전 인식마크 표시 기술, 인식마크의 실시간 얼라인과 제팅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매칭하여 정확한 위치에 코팅하는 기술 등이 반드시 필요할뿐더러 사행 등 여러 가지 요인이 추가되어야 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아직까지는 이러한 기술들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수준에 도달하지 못한 게 현실이다.
한편, 전술한 방식들과 별개로서 고정 스테이지 방식의 코팅 시스템을 적용한 예가 있다.
고정 스테이지 방식의 코팅 시스템은 고정 스테이지 상에 기재를 고정시킨 후에 코팅 잉크가 도포되는 제팅 헤드를 이동시켜 가면서 코팅 작업을 진행하는 방식으로서, 롤투롤에 의한 기재의 연속 이송 방식이나 그립퍼를 이용한 스텝 바이 스텝 방식 모두가 적용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하지만, 이와 같은 코팅 시스템의 경우, 고정 스테이지 상에 기재가 위치 고정된 상태에서 제팅 헤드를 이동시켜 가면서 코팅 작업을 진행해야 하는데, 제팅 헤드의 수량이 많은 경우, 제팅 헤드를 이동시키거나 유지보수하기 위한 협력 장치들, 예컨대 드랍 워쳐, 전자저울, 석션 유닛 등이 많이 사용될 수밖에 없어 전체적으로 시스템이 복잡해질 수 있고, 이로 인해 유지 보수를 위한 공간 또한 많이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뿐만 아니라 많은 수량의 제팅 헤드가 고속으로 구동하면서 코팅 작업을 진행하기 때문에 잉크의 불안정성과 더불어 제팅의 정도가 일정하지 않을 수 있어 코팅 정밀도가 떨어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고정 스테이지 방식의 코팅 시스템은 연구용으로는 사용할 수 있으나 기재에 대한 롤투롤 연속 생산 방식에 적용하기에는 코팅 정밀도 등에 있어 해결해야 할 많은 문제점이 있어 양산에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이러한 문제점들을 모두 해결할 수 있는 새롭고 진보된 형태의 코팅 시스템에 대한 연구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3-0056606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1-0068814호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롤투롤(Roll to Roll)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플렉시블(flexible) 기재의 연속 또는 고속 코팅이 가능하며, 특히 기재를 이송시키면서 기재에 코팅 작업을 진행할 수 있어 종래 방식들보다 코팅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구조가 단순화되어 양산에 적용할 수 있는 롤투롤 코팅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기재에 대한 코팅 작업이 진행되는 코팅 작업라인으로 기재를 연속해서 공급하는 기재 언와인딩 장치; 및 공급되는 상기 기재를 흡착하여 이송시키는 이송 스테이지와, 상기 이송 스테이지와 상호작용하여 상기 기재의 코팅면에 코팅 작업을 진행하는 제팅 헤드를 구비하는 코팅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투롤 코팅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코팅 장치는, 상기 이송 스테이지를 구비하며, 상기 기재를 흡착하여 얼라인하는 기재 흡착 및 얼라인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 스테이지는 상기 기재의 흡착이 가능한 포러스 스테이지일 수 있다.
상기 기재 흡착 및 얼라인 장치는, 상기 이송 스테이지와 연결되며, 스텝 바이 스텝 구간이동 방식으로 상기 이송 스테이지를 이송시키는 스테이지 이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재 흡착 및 얼라인 장치는, 상기 이송 스테이지와 상기 스테이지 이송부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스테이지 이송부 상에서 상기 이송 스테이지를 얼라인시키는 스테이지 얼라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재 흡착 및 얼라인 장치는, 상기 이송 스테이지의 상부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이송 스테이지 상의 기재에 대한 코팅 위치를 감지하는 얼라인 비전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팅 장치는, 상기 제팅 헤드를 구비하며, 상기 기재 흡착 및 얼라인 장치와 상호작용하여 상기 코팅 작업을 진행하되 상기 기재의 선택적 영역에 잉크를 도포하는 선택적 잉크 제팅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팅 장치는, 상기 기재 흡착 및 얼라인 장치 및 상기 선택적 잉크 제팅 장치를 지지하는 코팅 작업 테이블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팅 작업 테이블의 일측에는 상기 제팅 헤드에 대한 유지보수를 위하여 유지보수용 메인트 유닛이 설치되는 유지보수용 메인트 유닛 설치 공간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코팅 장치는, 상기 이송 스테이지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기재를 이송 가능하게 가이드하되 해당 위치에서 업/다운(up/down) 이동 가능한 제1 및 제2 업/다운 가이드 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팅 장치의 공정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코팅 작업이 완료된 기재의 코팅면을 경화시키는 경화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화 장치는, 상기 코팅 작업이 완료되어 기재의 코팅면에 코팅된 잉크를 가경화시키는 가경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화 장치는, 상기 가경화 장치를 통해 가경화된 코팅 잉크를 완전히 경화시키는 본경화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경화 장치와 상기 본경화 장치 사이에는 냉각구간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경화 장치의 공정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기재 상에 코팅된 코팅면의 보호를 위해 상기 기재의 코팅면으로 보호필름을 공급하면서 상기 보호필름에 붙어 있던 커버필름을 회수하는 보호필름 공급 및 커버필름 회수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재가 코팅되는 코팅 작업라인에 대하여 상기 코팅 장치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코팅 장치가 동작되기 전에 상기 기재 상에 잔존 가능한 파티클(particle)을 제거하고 상기 기재에 대한 표면개질을 진행하는 세정 및 표면개질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팅 작업라인을 따라 상기 세정 및 표면개질 장치의 공정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세정 및 표면개질 장치를 통한 세정 및 표면개질 작업 후, 상기 기재 상에 정전기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정전기 방지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팅 장치의 공정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기재가 상기 코팅 장치로 이송될 때 상기 기재의 이송속도를 조절하는 코팅 전 버퍼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롤투롤(Roll to Roll)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플렉시블(flexible) 기재의 연속 또는 고속 코팅이 가능하며, 특히 기재를 이송시키면서 기재에 코팅 작업을 진행할 수 있어 종래 방식들보다 코팅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구조가 단순화되어 양산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투롤 코팅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기재 언와인딩 장치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각각 기재 흡착 및 얼라인 장치와 선택적 잉크 제팅 장치의 설명을 위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각각 코팅 후 비접촉식 버퍼 장치의 설명을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기재 리와인딩 장치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투롤 코팅 방법의 플로차트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참고로, 이하에서 설명될 기재란 평판디스플레이 산업이나 혹은 그와 유사한 IT 산업에서 요구되는 필름을 비롯하여 EMI(electromagnetic interference) 필터를 비롯한 터치스크린 패널, LCD, PDP 및 OLED용 글라스 패널 등을 포함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이들을 구분하지 않고 기재라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이러한 기재가 유연한 상태를 플렉시블(flexible) 기재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투롤 코팅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기재 언와인딩 장치 영역의 확대도이며, 도 3 내지 도 6은 각각 기재 흡착 및 얼라인 장치와 선택적 잉크 제팅 장치의 설명을 위한 도면이고, 도 7 내지 도 10은 각각 코팅 후 비접촉식 버퍼 장치의 설명을 위한 도면이며, 도 11은 기재 리와인딩 장치 영역의 확대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투롤 코팅 방법의 플로차트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되 우선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롤투롤 코팅 시스템은 롤투롤(Roll to Roll)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플렉시블(flexible) 기재의 연속 또는 고속 코팅 또는 인쇄가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서, 장치 캐비닛(101)과, 기재에 대한 코팅 작업(또는 인쇄 작업)을 위해 장치 캐비닛(101) 내에 인라인(in-line) 형태로 마련되는 다수의 코팅 작업 장치들(미도시)을 포함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롤투롤 코팅 시스템은 롤투롤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플렉시블 기재의 연속 또는 고속 코팅이 가능하며, 특히 기재를 이송시키면서 기재에 코팅 작업을 진행할 수 있어 종래 방식들보다 코팅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구조가 단순화되어 양산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이송 스테이지(151)를 구비하는 코팅 장치(미도시)를 포함하고 있다.
자세히 후술하겠으나 본 실시예의 경우, 종전과 달리 기재를 흡착하여 얼라인한 스테이지가 이송 스테이지(151)로 적용됨에 따라 이송 스테이지(151)를 이용하여 기재를 이송하는 중에 코팅 작업을 진행할 수 있어 코팅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구조가 간소화되어 양산에 적용하기에 충분한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장치 캐비닛(101)의 설명 후, 기재에 대한 코팅 작업이 진행되는 순서대로 본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 따른 롤투롤 코팅 시스템은 기재에 코팅 작업을 진행하는 시스템인데, 인쇄 작업은 코팅 작업과 동일한 형태로 진행될 수 있기 때문에 본 시스템을 통해 코팅 작업과 인쇄 작업이 모두 가능하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코팅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설명하겠으나 본 실시예에서 코팅과 인쇄는 동일한 것으로 간주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롤투롤 코팅 시스템의 구성을 살펴보면, 우선 장치 캐비닛(101)은 기재에 대한 코팅 작업을 위한 다수의 코팅 작업 장치들(미도시)이 설치되는 공간을 이룬다.
이러한 장치 캐비닛(101)의 측면들은 유리나 플라스틱 등의 윈도우(미도시)로 차폐될 수 있는데, 작업자의 접근이 가능하도록 윈도우는 회동 개폐될 수 있다.
장치 캐비닛(101)의 하부에는 다수의 푸트(102)가 마련된다. 푸트(102)들은 장치 캐비닛(101)을 지면에 대해 정반 상태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푸트(102)들에는 높이 조절 기능과 스토핑(stopping) 기능이 추가될 수 있다.
장치 캐비닛(101)의 상부에는 공조 및 배기를 위한 공조 및 배기 공간부(103)가 형성된다. 공조 및 배기 공간부(103)를 통해 본 실시예에 따른 롤투롤 코팅 시스템으로 공기를 공급하거나 배기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장치 캐비닛(101)에는 제진장치, 안전장치 등이 부가될 수 있는데, 이들에 대해서는 편의상 생략하였다.
한편, 장치 캐비닛(101) 내에 인라인(in-line) 형태로 마련되는 다수의 코팅 작업 장치들(미도시)은 기재의 코팅 작업이 진행되는 순서에 따라 기재 언와인딩(unwinding) 장치(110), 보호필름 회수 장치(120), 세정 및 표면개질 장치(130), 코팅 전 버퍼 장치(140), 기재 흡착 및 얼라인 장치(150), 선택적 잉크 제팅(ink jetting) 장치(160), 코팅 후 비접촉식 버퍼 장치(170), 가경화 장치(180), 본경화 장치(190), 보호필름 공급 및 커버필름 회수 장치(200), 그리고 기재 리와인딩(rewinding) 장치(210)를 포함한다.
우선, 기재 언와인딩 장치(1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롤투롤 코팅 시스템에서 기재에 코팅(또는 인쇄) 작업이 진행되는 코팅 작업라인으로 기재를 연속해서 공급한다.
기재 언와인딩 장치(110)는 릴 형태의 기재를 에어 척(111)을 이용해서 릴 고정부(112)에 기재가 감긴 릴을 고정시킨 후, 에어 척 구동부(113)를 통해 릴을 회전시키면서 기재를 풀어 기재를 코팅 작업라인으로 공급한다.
기재 언와인딩 장치(110)에는 기재 풀림량 감지부(114)가 마련될 수 있다. 기재 풀림량 감지부(114)가 릴 상의 기재의 두께를 감지함으로써, 릴 형태의 기재에 대한 교체주기를 예측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공정 지연 없이 코팅 작업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기재 언와인딩 장치(110)에는 웨 가이드 모듈(115)이 더 갖춰질 수 있다. 웹 가이드 모듈은 풀리는 기재의 사행을 방지하여 피딩(feeding)의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데에 기여할 수 있다.
이 외에도 기재 언와인딩 장치(110)에는 로드 셀(load cell, 미도시)이 마련되어 피딩되는 기재의 장력을 계측함으로써, 기재의 풀림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기재 언와인딩 장치(110)에는 새롭게 교체되는 기재를 잘 연결할 수 있도록 기재의 단부를 커팅하는 기재 커팅부(미도시)와, 커팅된 기재를 상호간 연결시키는 기재 연결부(미도시) 등이 더 갖춰질 수 있다.
보호필름 회수 장치(12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재의 코팅면을 보호하기 위해 기재의 코팅면에 점착되어 있던 보호필름을 기재로부터 제거하여 회수한다.
기재가 롤(roll) 형태로 감겨 있기 때문에 기재의 코팅면을 보호하는 보호필름 역시, 롤 형태로 감겨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경우, 기재로부터 제거되는 보호필름을 롤 형태로 회수하여 보호필름 회수부(121)
세정 및 표면개질 장치(13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재의 표면에 잉크를 선택적으로 도포하기 전에 기재 상에 잔존 가능한 파티클(particle)을 제거하기 위해 세정하는 한편 기재에 대한 표면개질을 통해 접착력을 향상시키고 기포불량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세정 및 표면개질 장치(130)를 통해 세정 작업과 표면개질 작업이 동시에 진행되고 있으나 이들은 분리되어 개별 공정으로 진행될 수도 있다.
예컨대, 세정 및 표면개질 장치(130)를 세정 유닛(미도시)과 표면개질 유닛(미도시)으로 분리하고, 세정 유닛을 통해 기재에 대한 세정 공정이 진행되도록 한 이후, 표면개질 유닛을 통해 기재에 대한 표면개질 공정이 진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세정 공정과 표면개질 공정이 독립적으로 진행되는 방식이나 함께 진행되는 방식 모두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수 있다.
세정 유닛이 별도로 적용될 경우, 세정 유닛에 의한 세정 방식은 접촉식 세정 방식 혹은 비접촉식 세정 방식 중 하나의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접촉식 세정 방식은 예컨대, 세정 롤러 등을 기재의 표면에 접촉시켜 기재가 세정 롤러의 표면에 접촉됨으로써 세정되도록 하는 방식이다.
그리고 비접촉식 세정 방식은 예컨대, 초음파 모듈 또는 에어 블로어를 통해 초음파나 세정 공기를 기재의 표면에 비접촉식으로 분사하여 기재의 표면이 세정되도록 하는 방식이다.
이상 설명한 접촉식 세정 방식이나 비접촉식 세정 방식 중 어떠한 방식이 적용되더라도 관계는 없다.
한편, 세정 및 표면개질 장치(130)를 통한 표면개질 작업은 대기압 플라즈마를 이용해서 진행할 수 있다. 물론, 표면개질 작업 시 어차피 세정 작업이 병행될 수도 있다.
세정 및 표면개질 장치(130)는 제품의 이송속도에 따라 그 수량을 적정하게 구성하여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다수의 세정 및 표면개질 장치(130)를 적용하여 세정 및 표면개질의 효과가 배가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참고로, 편의를 위해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세정 및 표면개질 장치(130)를 통한 세정 및 표면개질 작업 후, 기재 상에 정전기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정전기 방지 장치(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기재 상에 정전기가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어야 코팅 작업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정전기 방지 장치(미도시)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이때, 정전기 방지 장치(미도시)는 세정 및 표면개질 장치(130)와 코팅 전 버퍼 장치(140)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공정상 바람직할 수 있다.
코팅 전 버퍼 장치(14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정 및 표면개질 장치(130)와 기재 흡착 및 얼라인 장치(150) 사이에 마련되며, 세정 및 표면개질 작업이 완료된 기재가 기재 흡착 및 얼라인 장치(150)로 이송될 때, 그 기재의 이송속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즉 기재 흡착 및 얼라인 장치(150)의 경우, 기재를 흡착하여 그 이송을 정지시킨 후에 코팅을 위한 얼라인 작업을 진행하게 되는데, 기재를 흡착하고 얼라인하고 있는 과정에서도 계속해서 기재 흡착 및 얼라인 장치(150)로 기재가 이송되어 오면 작업이 곤란해질 수밖에 없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세정 및 표면개질 장치(130)와 기재 흡착 및 얼라인 장치(150) 사이에 코팅 전 버퍼 장치(140)를 마련하여 기재 흡착 및 얼라인 장치(150)로 이송되는 기재의 이송속도를 조절하고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코팅 전 버퍼 장치(140)는 접촉식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즉 코팅 전 버퍼 장치(140)를 지나는 기재는 아직 코팅 작업 전이기 때문에 접촉식 방식이 적용되더라도 관계는 없다.
하지만, 후술할 코팅 후 비접촉식 버퍼 장치(170)처럼 코팅 전 버퍼 장치(140)를 비접촉식 방식으로 적용할 수도 있을 것인데, 이러한 사항 모두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코팅 전 버퍼 장치(140)는 세정 및 표면개질 장치(130)를 통해 세정과 표면개질 작업이 완료된 기재를 피딩시키는 피딩 롤(141)과, 기재를 가이드하는 다수의 가이드 롤(142)과, 정해진 버퍼구간에 고정 배치되는 고정 롤(143)과, 버퍼구간에서 이동하면서 기재의 이송속도를 조절하는 댄서 롤(144)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코팅 장치(미도시)는 도 1, 그리고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재에 대한 코팅 작업을 진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코팅 장치는 기재 흡착 및 얼라인 장치(150) 및 선택적 잉크 제팅 장치(160)를 포함한다.
기재 흡착 및 얼라인 장치(150)는 공정에서 요구되는 정확한 위치에 코팅 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기재를 흡착하여 얼라인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선택적 잉크 제팅 장치(160)는 기재 흡착 및 얼라인 장치(150)와 상호작용하여 기재의 선택적 영역에 잉크를 도포하여 코팅 작업을 진행한다.
참고로, 본 실시예의 경우, 기재의 선택적 영역에 잉크를 도포하여 코팅 작업을 진행하고 있으나 기재의 선택적 영역이 아닌 기재의 전체 영역에 코팅 작업을 진행할 수도 있는 것이다.
코팅 장치(미도시)는 기재 흡착 및 얼라인 장치(150) 및 선택적 잉크 제팅 장치(160)를 지지하는 코팅 작업 테이블(156)을 구비한다.
이러한 코팅 작업 테이블(156)의 일측에는 제팅 헤드(161)에 대한 유지보수를 위하여 유지보수용 메인트 유닛이 설치되는 유지보수용 메인트 유닛 설치 공간부(157)가 마련된다.
제팅 헤드(161)에 대한 유지보수가 필요할 때는 도 6처럼 제팅 헤드(161)를 유지보수용 메인트 유닛 설치 공간부(157)로 이동시켜 그곳에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유지보수용 메인트 유닛 설치 공간부(157)에는 드랍 워쳐, 전자저울, 석션 유닛 등 다양한 장치들이 부속될 수 있다.
기재 흡착 및 얼라인 장치(150)는 코팅 전 버퍼 장치(140) 쪽에서 공급되는 기재를 받아 흡착한 후, 얼라인시킴으로써 기재의 정확한 위치에 코팅 작업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기재 흡착 및 얼라인 장치(150)는 이송 스테이지(151), 스테이지 이송부(152), 스테이지 얼라인부(153), 그리고 얼라인 비전 유닛(154)을 포함한다.
이송 스테이지(151)는 이송되는 기재가 올려 흡착되는 장소를 이룬다. 기재는 이송 스테이지(151)에 형성되는 석션에 의해 이송 스테이지(151) 상에 흡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이송 스테이지(151)는 기재의 흡착이 가능한 포러스 스테이지로 적용된다.
스테이지 이송부(152)는 이송 스테이지(151)와 연결되며, 스텝 바이 스텝 구간이동 방식으로 이송 스테이지(151)를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특히, 본 실시예의 시스템에는 코팅 장치의 앞 공정에 코팅 전 버퍼 장치(140)가 마련되어 있고, 뒤 공정에 코팅 후 비접촉식 버퍼 장치(170)가 마련되어 있어서 롤투롤의 스텝 바이 스텝 구간이동 방식이 가능해진다.
스테이지 얼라인부(153)는 이송 스테이지(151)와 스테이지 이송부(152) 사이에 마련되며, 스테이지 이송부(152) 상에서 이송 스테이지(151)를 이송 스테이지(151)의 평면 X축, Y축 및 θ축 방향으로 얼라인시키는 역할을 한다.
얼라인 비전 유닛(154)은 이송 스테이지(151)의 상부 영역에 배치되며, 이송 스테이지(151) 상의 기재에 대한 코팅 위치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얼라인 비전 유닛(154)에 의한 정보가 스테이지 얼라인부(153)로 전송됨에 따라 스테이지 얼라인부(153)가 정해진 거리만큼 정확하게 이동되면서 기재가 얼라인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기재가 이송 스테이지(151) 상에 흡착될 수 있도록 이송 스테이지(151)의 양측에는 각각 제1 및 제2 업/다운 가이드 롤러(166,167)가 마련된다.
제1 및 제2 업/다운 가이드 롤러(166,167)는 이송 스테이지(151)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기재를 이송 가능하게 가이드하되 해당 위치에서 업/다운(up/down) 이동되는 롤러이다.
선택적 잉크 제팅 장치(160)는 기재 흡착 및 얼라인 장치(150)를 통해 흡착과 얼라인이 완료된 기재 상의 정확한 위치, 특히 전체 영역이 아닌 기재 상의 선택적 영역에 잉크를 코팅(또는 인쇄)하는 역할을 한다.
반복해서 설명하는 것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롤투롤 코팅 시스템은 기재 상의 선택적 영역에 잉크를 코팅하는 작업을 진행하는데, 기재에 대한 잉크 코팅 작업은 잉크 인쇄 작업과 동일한 것으로 간주한다.
선택적 잉크 제팅 장치(160)는 기재 흡착 및 얼라인 장치(150)의 이송 스테이지(151)와 상호작용하여 기재의 코팅면에 코팅 작업을 진행하는 제팅 헤드(161)를 구비한다.
특히, 선택적 잉크 제팅 장치(160)는 기재 흡착 및 얼라인 장치(150)와 상호작용함으로써 기재의 선택적 영역에 잉크를 도포한다. 선택적 잉크 제팅 장치(160)는 제팅 헤드(161)를 지지하는 갠추리(G)를 포함한다.
제팅 헤드(161)는 갠추리(G) 상에서 코팅 작업위치(W)와 유지보수용 메인트 유닛 설치 공간부(157) 간을 이동할 수 있다. 물론, 제팅 헤드(161)는 유지보수될 때만 유지보수용 메인트 유닛 설치 공간부(157)로 이동되며, 평상 시에는 코팅 작업위치(W)에 배치되어 연속적으로 코팅 작업을 진행한다.
이에, 도 3처럼 이송 스테이지(151)가 리턴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 업/다운 가이드 롤러(166,167)가 순차적으로 다운(down) 동작됨으로써 기재는 이송 스테이지(151)의 상면에 올려질 수 있고, 동시에 석션이 제공됨에 따라 기재는 이송 스테이지(151)의 상면에서 흡착될 수 있다.
이후, 얼라인 비전 유닛(154)에 의한 정보에 기초하여 스테이지 얼라인부(153)가 동작됨에 따라 기재의 코팅 위치가 보정된다
그런 다음, 스테이지 이송부(152)의 동작에 따라 이송 스테이지(151)가 정속 피딩되면서 선택적 잉크 제팅 장치(160)의 제팅 헤드(161)에 의해 선택적 영역이 코팅되며, 이송 스테이지(151)는 도 5의 위치로 이송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코팅 작업이 완료되면 이송 스테이지(151)의 석션이 해제되고, 제2 업/다운 가이드 롤러(167)와 제1 업/다운 가이드 롤러(166)의 순으로 업(up) 동작되어 기재는 다음 공정인 경화 공정으로 진입된다. 그리고 이송 스테이지(151)는 다시 도 3의 위치로 리턴되고 위의 동작을 반복한다.
특히, 코팅 장치의 앞 공정에 코팅 전 버퍼 장치(140)가 마련되어 있고, 뒤 공정에 코팅 후 비접촉식 버퍼 장치(170)가 마련되어 있어서 롤투롤의 스텝 바이 스텝 구간이동 방식이 가능해지는 이점이 있다.
코팅 후 비접촉식 버퍼 장치(170)는 도 1, 그리고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팅 장치로서의 선택적 잉크 제팅 장치(160)와 경화 장치로서의 가경화 장치(180)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코팅 후 비접촉식 버퍼 장치(170)는 선택적 잉크 제팅 장치(160)와 가경화 장치(180)들 간의 공정 속도차이를 해결하기 위해 선택적 잉크 제팅 장치(160)에서 가경화 장치(180)로 이송되는 기재의 이송속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예컨대, 가경화 장치(180) 쪽의 작업이 더디게 진행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선택적 잉크 제팅 장치(160)의 공정이 완료된 기재가 가경화 장치(180) 쪽으로 계속 진입되면 제대로 된 공정이 진행될 없기 때문에 선택적 잉크 제팅 장치(160)와 가경화 장치(180)들 간의 공정 속도차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코팅 후 비접촉식 버퍼 장치(170)를 적용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이 구간의 경우, 기재에 대한 코팅 작업이 완료된 상태이나 코팅면이 아직 경화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비접촉식 방식으로 버퍼를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종전처럼 기재에 대한 코팅 작업을 진행한 이후에 접촉식 버퍼 장치를 사용함에 따라 기재의 코팅면과 직접적으로 맞닿아 스크래치, 코팅면 불량, 접촉에 의한 파티클 발생 등의 기재 품질에 많은 문제를 발생시키는 것을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코팅 후 비접촉식 버퍼 장치(170)는 다수의 기재 이송용 버퍼 롤러(171), 버퍼 가이드 구간(174), 그리고 다수의 가이드 롤러(175)를 포함한다.
기재 이송용 버퍼 롤러(171)는 잉크 제팅 장치(160)에서 가경화 장치(180)로 기재가 이송되는 방향을 따라 이격간격을 두고 다수 개 배열되는 롤러이다.
이러한 기재 이송용 버퍼 롤러(171)는 기재에 형성되는 코팅면의 반대면을 선택적으로 흡착 지지하면서 회전에 의해 기재를 잉크 제팅 장치(160)에서 가경화 장치(180)로 이송시킨다.
본 실시예의 경우, 1차, 2차, 3차로 된 3개의 기재 이송용 버퍼 롤러(171)가 도면에 개시되어 있으나 버퍼량에 따라 기재 이송용 버퍼 롤러(171)의 수량과 간격을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도면의 형상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어서는 아니 된다.
이러한 기재 이송용 버퍼 롤러(171)들은 독립적으로 혹은 상호간 연동되어 구동됨에 따라 항상 일정량의 버퍼를 형성함으로써, 전/후 공정 즉, 코팅 공정과 경화 공정 간의 이송속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예컨대, 도 8처럼 1차 버퍼링 대기하던 기재는 도 9처럼 가경화 장치(180)로 취출될 수 있고 다시 버퍼 가이드 구간(174) 상에 2차의 버퍼링이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도 8 및 도 9의 1차 및 2차 버퍼링은 연동됨으로써 각 구간에 항시 이송속도 편차를 보완할 수 있는 길이의 경화 전 코팅 기재를 비접촉 방식으로 비축하여 코팅면 불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코팅 공정과 경화 공정 간의 기재 이송속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됨에 따라 기재의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롤투롤 연속 코팅 작업을 이루어낼 수 있다.
기재 이송용 버퍼 롤러(171)의 표면에는 기재를 흡착하거나 또는 블로잉하기 위한 다수의 홀(172, hole)이 형성된다. 기재의 이송 방식 혹은 조건에 따라 홀(172)들을 통한 석션, 블로잉, 석션/블로잉이 가능하도록 제어된다.
이러한 기재 이송용 버퍼 롤러(171)는 다수의 홀(172)이 형성되며 회전 가능한 회전형 외통(171a)과, 회전형 외통(171a)의 내부에 고정되며, 회전형 외통(171a)의 홀(172)들로 진공을 형성시키거나 블로잉을 형성시키는 고정형 내통(171b)과, 회전형 외통(171a)의 회전을 위한 회전 구동부(171c)를 포함한다.
회전형 외통(171a)에 형성되는 다수의 홀(172)은 알루미늄 압출재의 타공에 의해 형성되거나 세라믹 포러스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전자의 경우, 마이크로 사이즈로 가공됨으로써 홀(172)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기재 이송용 버퍼 롤러(171)의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홀(172) 중 일부의 홀(172)에만 진공을 제공하여 해당 홀(172)들 상에 기재가 흡착되도록 하는 석션 존(Z, zone)이 형성된다. 석션 존(Z)은 실제 기재가 접촉되는 영역에만 발생되기 때문에 불필요하게 석션이 낭비는 요인을 제거할 수 있다.
버퍼 가이드 구간(174)은 다수의 기재 이송용 버퍼 롤러(171)를 따라 이송되는 기재를 가이드한다.
버퍼 가이드 구간(174)은 여러 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의 경우, 버퍼 가이드 구간(174)의 궤적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는 다수의 가이드 롤러(175)를 이용하여 버퍼 가이드 구간(174)를 형성하고 있다.
이때, 가이드 롤러(175)는 기재를 향해 에어를 블로잉하는 에어 블로잉 홀(175a)을 구비하는 에어 블로잉 롤러(175)로 적용된다. 이에 따라, 도 10차람 기재는 에어 블로잉 롤러(175)의 에어 블로잉 홀(175a)을 통해 블로잉되는 에어에 의해 에어 블로잉 롤러(175)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가이드되면서 그 버퍼량이 조절될 수 있다.
가경화 장치(18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팅 작업이 완료되어 기재의 코팅면에 코팅된 잉크를 가경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가경화 장치(180)는 기재 상의 코팅면으로 열풍 또는 중적외선(MIR)을 가함으로써, 기재의 코팅면에 코팅된 잉크가 가경화될 수 있도록 한다.
본경화 장치(19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경화 장치(180)를 통해 가경화된 코팅 잉크를 완전히 경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본경화 장치(190)는 기재 상의 코팅면으로 자외선(UV)을 가함으로써, 기재의 코팅면에 코팅되어 가경화된 잉크가 완전히 경화될 수 있도록 한다.
참고로, 편의를 위해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가경화 장치(180)와 본경화 장치(190) 사이에는 별도의 냉각구간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이럴 경우, 가경화 장치(180)를 통해 가경화된 기재는 냉각구간을 통해 미리 결정된 시간동안 냉각되어 안정화된 후에, 본경화 장치(190)를 통해 잉크가 완전히 경화되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가경화 장치(180)와 본경화 장치(190) 사이에 냉각구간을 배치할 경우, 잉크가 경화되는 과정에서 기재의 물성이 변하여 품질이 악화되는 현상을 효율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보호필름 공급 및 커버필름 회수 장치(200)는 도 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재 상에 코팅된 코팅면의 보호를 위해 기재의 코팅면으로 보호필름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보호필름에 붙어 있던 커버필름은 제거되어 회수되어야 하기 때문에 보호필름 공급 및 커버필름 회수 장치(200)는 보호필름 공급 유닛(201)과, 커버필름 회수 유닛(202)을 포함한다.
뿐만 아니라 보호필름 공급 및 커버필름 회수 장치(200)는 보호필름으로부터 커버필름을 분리하기 위한 커버필름 분리용 롤러(203)를 더 포함한다.
보호필름 공급 유닛(201)과 커버필름 회수 유닛(202)은 역할만이 상이할 분 그 구조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즉 보호필름 공급 유닛(201)은 보호필름 공급 롤(201a)에 감겨 있던 보호필름을 풀어 기재 리와인딩 장치(210) 쪽으로 이송되는 기재의 코팅면으로 공급한다. 이때, 보호필름에 붙어 있던 커버필름은 커버필름 분리용 롤러(203)를 통해 보호필름에서 분리된 후에, 커버필름 회수 유닛(202)의 커버필름 회수 롤(202a)로 회수된다.
마지막으로, 기재 리와인딩 장치(210)는 도 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팅 작업라인에서 코팅 작업(또는 인쇄 작업)이 완료된 기재를 롤(roll) 형태로 회수하는 역할을 한다.
기재 언와인딩 장치(110)가 기재를 코팅 작업라인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데 반해, 기재 리와인딩 장치(210)는 코팅 작업라인을 통해 작업이 완료된 기재를 회수하는 역할을 하고 있어 그 역할은 상이하나 동일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기재 리와인딩 장치(210)에 대해 살펴보면, 기재 리와인딩 장치(210)는 코팅 작업이 완료되어 이송되는 기재를 에어 척(211)을 이용해서 릴 고정부(212)에 기재가 감길 릴을 고정시킨 후, 에어 척 구동부(213)를 통해 릴을 회전시키면서 코팅 작업이 완료된 기재를 되감는 역할을 한다.
기재 리와인딩 장치(210)에도 기재 감김량 감지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기재 감김량 감지부가 릴 상의 기재의 두께를 감지함으로써, 릴 형태의 기재에 대한 교체주기를 예측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공정 지연 없이 코팅 작업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기재 리와인딩 장치(210)에는 웨 가이드 모듈(215)이 더 갖춰질 수 있다. 웹 가이드 모듈(215)은 감기는 기재의 사행을 방지하여 피딩(feeding)의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데에 기여할 수 있다.
이 외에도 기재 리와인딩 장치(210)에는 로드 셀(load cell, 미도시)이 마련되어 피딩되는 기재의 장력을 계측함으로써, 기재의 풀림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기재 리와인딩 장치(210)에는 새롭게 교체되는 기재를 잘 연결할 수 있도록 기재의 단부를 커팅하는 기재 커팅부(미도시)와, 커팅된 기재를 상호간 연결시키는 기재 연결부(미도시) 등이 더 갖춰질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롤투롤 코팅 시스템을 이용한 기재의 코팅 방법에 대해 도 12를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한다.
우선, 기재 언와인딩 장치(110)가 기재에 대한 코팅 작업이 진행되는 코팅 작업라인으로 기재를 연속해서 공급한다(S11). 릴 상의 기재가 소진되거나 장비의 유지보수가 진행되지 않는 한 기재의 공급은 계속된다.
기재 언와인딩 장치(110)로부터 기재가 공급되면 보호필름 회수 장치(120)에서 기재의 코팅면에 점착되어 있던 보호필름을 기재로부터 제거하여 회수한다(S12).
다음, 보호필름이 제거된 기재는 세정 및 표면개질 장치(130)로 도달되어 세정 및 표면개질된다(S13). 즉 기재의 표면에 잉크를 선택적으로 도포하기 전, 세정 및 표면개질 장치(130)를 이용하여 기재 상에 잔존 가능한 파티클(particle)을 제거하기 위해 세정하는 한편 기재에 대한 표면개질을 통해 접착력을 향상시키고 기포불량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한다.
세정 및 표면개질 장치(130)를 통한 세정 및 표면개질 작업 후, 기재 상에 정전기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공정을 더 거칠 수 있다.
세정 및 표면개질 공정이 완료되면, 코팅 전 버퍼 장치(140)를 통해 기재의 이송속도가 조절됨으로서(S14), 코팅 작업이 순서대로 잘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코팅 전 버퍼 장치(140)는 접촉식 방식으로 기재의 이송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다음, 기재 흡착 및 얼라인 장치(150)가 기재를 흡착하여 얼라인한다(S15). 그런 다음, 선택적 잉크 제팅 장치(160)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기재의 선택적 영역에 잉크가 도포되면서 코팅 작업이 진행된다(S16).
코팅 작업이 완료되면, 기재를 경화시키기 전에 코팅 후 비접촉식 버퍼 장치(170)가 비접촉식 방식으로 기재의 이송속도를 조절한다(S17).
그런 다음, 가경화 단계(S18)와 본경화 단계(S19)를 거치면서 기재가 경화된다. 가경화 장치(180)와 본경화 장치(190) 사이에 기재에 대한 냉각공정을 더 진행시킬 수 있다.
기재에 대한 경화 공정이 완료되면, 기재 상에 코팅된 코팅면의 보호를 위해 기재의 코팅면으로 보호필름을 공급하면서 보호필름 상에 붙어 있던 커버필름을 회수한다(S20).
그리고는 보호필름이 부착된 기재를 회수함으로써(S21), 플렉시블 기재에 대한 연속 코팅(또는 인쇄) 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롤투롤(Roll to Roll)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플렉시블(flexible) 기재의 연속 또는 고속 코팅이 가능하며, 특히 기재를 이송시키면서 기재에 코팅 작업을 진행할 수 있어 종래 방식들보다 코팅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구조가 단순화되어 양산에 적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1 : 장치 캐비닛 102 : 푸트
103 : 공조 및 배기 공간부 110 : 기재 언와인딩 장치
111 : 에어 척 112 : 릴 고정부
113 : 에어 척 구동부 114 : 기재 풀림량 감지부
115 : 웨 가이드 모듈 120 : 보호필름 회수 장치
121 : 보호필름 회수부 130 : 세정 및 표면개질 장치
140 : 코팅 전 버퍼 장치 141 : 피딩 롤
142 : 가이드 롤 143 : 고정 롤
144 : 댄서 롤 150 : 기재 흡착 및 얼라인 장치
151 : 이송 스테이지 152 : 스테이지 이송부
153 : 스테이지 얼라인부 154 : 얼라인 비전 유닛
156 : 코팅 작업 테이블 160 : 선택적 잉크 제팅 장치
161 : 제팅 헤드 166 : 제1 업/다운 가이드 롤러
167 : 제2 업/다운 가이드 롤러 170 : 코팅 후 비접촉식 버퍼 장치
171 : 기재 이송용 버퍼 롤러 171a : 회전형 외통
171b : 고정형 내통 171c : 회전 구동부
172 : 홀 174 : 버퍼 가이드 구간
175 : 가이드 롤러 175a : 에어 블로잉 홀
180 : 가경화 장치 190 : 본경화 장치
200 : 보호필름 공급 및 커버필름 회수 장치
210 : 기재 리와인딩 장치

Claims (18)

  1. 기재에 대한 코팅 작업이 진행되는 코팅 작업라인으로 기재를 연속해서 공급하는 기재 언와인딩 장치; 및
    공급되는 상기 기재를 흡착하여 이송시키는 이송 스테이지와, 상기 이송 스테이지와 상호작용하여 상기 기재의 코팅면에 코팅 작업을 진행하는 제팅 헤드를 구비하는 코팅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코팅 장치는,
    상기 이송 스테이지를 구비하되 상기 기재를 흡착하여 얼라인하는 기재 흡착 및 얼라인 장치;
    상기 제팅 헤드를 구비하며, 상기 기재 흡착 및 얼라인 장치와 상호작용하여 상기 코팅 작업을 진행하되 상기 기재의 선택적 영역에 잉크를 도포하는 선택적 잉크 제팅 장치; 및
    상기 기재 흡착 및 얼라인 장치 및 상기 선택적 잉크 제팅 장치를 지지하는 코팅 작업 테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투롤 코팅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스테이지는 상기 기재의 흡착이 가능한 포러스 스테이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투롤 코팅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흡착 및 얼라인 장치는,
    상기 이송 스테이지와 연결되며, 스텝 바이 스텝 구간이동 방식으로 상기 이송 스테이지를 이송시키는 스테이지 이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투롤 코팅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흡착 및 얼라인 장치는,
    상기 이송 스테이지와 상기 스테이지 이송부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스테이지 이송부 상에서 상기 이송 스테이지를 얼라인시키는 스테이지 얼라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투롤 코팅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흡착 및 얼라인 장치는,
    상기 이송 스테이지의 상부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이송 스테이지 상의 기재에 대한 코팅 위치를 감지하는 얼라인 비전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투롤 코팅 시스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 작업 테이블의 일측에는 상기 제팅 헤드에 대한 유지보수를 위하여 유지보수용 메인트 유닛이 설치되는 유지보수용 메인트 유닛 설치 공간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투롤 코팅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 장치는,
    상기 이송 스테이지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기재를 이송 가능하게 가이드하되 해당 위치에서 업/다운(up/down) 이동 가능한 제1 및 제2 업/다운 가이드 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투롤 코팅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 장치의 공정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코팅 작업이 완료된 기재의 코팅면을 경화시키는 경화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투롤 코팅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 장치는,
    상기 코팅 작업이 완료되어 기재의 코팅면에 코팅된 잉크를 가경화시키는 가경화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투롤 코팅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 장치는,
    상기 가경화 장치를 통해 가경화된 코팅 잉크를 완전히 경화시키는 본경화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투롤 코팅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경화 장치와 상기 본경화 장치 사이에는 냉각구간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투롤 코팅 시스템.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 장치의 공정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기재 상에 코팅된 코팅면의 보호를 위해 상기 기재의 코팅면으로 보호필름을 공급하면서 상기 보호필름에 붙어 있던 커버필름을 회수하는 보호필름 공급 및 커버필름 회수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투롤 코팅 시스템.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가 코팅되는 코팅 작업라인에 대하여 상기 코팅 장치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코팅 장치가 동작되기 전에 상기 기재 상에 잔존 가능한 파티클(particle)을 제거하고 상기 기재에 대한 표면개질을 진행하는 세정 및 표면개질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투롤 코팅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 작업라인을 따라 상기 세정 및 표면개질 장치의 공정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세정 및 표면개질 장치를 통한 세정 및 표면개질 작업 후, 상기 기재 상에 정전기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정전기 방지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투롤 코팅 시스템.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 장치의 공정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기재가 상기 코팅 장치로 이송될 때 상기 기재의 이송속도를 조절하는 코팅 전 버퍼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투롤 코팅 시스템.
KR1020140188180A 2014-12-24 2014-12-24 롤투롤 코팅 시스템 KR1016873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8180A KR101687301B1 (ko) 2014-12-24 2014-12-24 롤투롤 코팅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8180A KR101687301B1 (ko) 2014-12-24 2014-12-24 롤투롤 코팅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7817A KR20160077817A (ko) 2016-07-04
KR101687301B1 true KR101687301B1 (ko) 2016-12-16

Family

ID=56501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8180A KR101687301B1 (ko) 2014-12-24 2014-12-24 롤투롤 코팅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730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73012A (ja) * 2007-09-20 2009-04-09 Seiko Epson Corp 液体噴射装置
JP2014024344A (ja) * 2013-10-04 2014-02-06 Seiko Epson Corp 連続紙の印刷方法および印刷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30109B2 (ja) * 2005-03-28 2011-07-20 Tdk株式会社 印刷乾燥方法、電子部品の製造方法および印刷乾燥装置
KR101229006B1 (ko) 2009-12-16 2013-02-25 주식회사에이앤알쎄라퓨틱스 이중 특이성 항체의 제조 방법
KR101170894B1 (ko) * 2010-04-22 2012-08-06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인쇄장치
KR20130056606A (ko) 2011-11-22 2013-05-30 권오륜 프린터의 헤드 연동 클릭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73012A (ja) * 2007-09-20 2009-04-09 Seiko Epson Corp 液体噴射装置
JP2014024344A (ja) * 2013-10-04 2014-02-06 Seiko Epson Corp 連続紙の印刷方法および印刷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7817A (ko) 2016-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367030A1 (en) Apparatuses and methods to process flexible glass laminates
KR101666802B1 (ko) 롤투롤 코팅 시스템
US20150231663A1 (en) Apparatus for directly applying liquid to a substrate
TWI691449B (zh) 光學膜搬送回收裝置、光學膜製造系統及光學膜搬送回收方法
WO2015065065A1 (ko) 시트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US9656284B2 (en) Coating system
US20060175372A1 (en) Web conveyance system for protecting web patterns
KR20190013479A (ko) 스크라이브 장치
KR101077319B1 (ko) 도포 장치
KR101687301B1 (ko) 롤투롤 코팅 시스템
KR101687298B1 (ko) 롤투롤 코팅 시스템
KR101445442B1 (ko) 롤 프린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롤 프린팅 방법
JP5083524B2 (ja) ウェブ塗布装置
JP2006298507A (ja) ガラス基板の移積装置及び移載方法
KR101483548B1 (ko) 연속-필름 동판의 보호필름 분리장치
JP6065954B2 (ja) 製造システム
JP2016055529A (ja) 印刷装置、印刷方法および該印刷装置で用いる担持体
KR101428751B1 (ko) 시트-투-롤 라미네이팅 공정
JP2020075381A (ja) ブレイク装置
JP2005167171A (ja) ガラス基板のフィルムコーティング装置及び方法
JP5916144B2 (ja) ロールプリンティング装置およびこれを利用したロールプリンティング方法
KR101710228B1 (ko) 롤 프린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롤 프린팅 방법
JP3842655B2 (ja) 帯状ワークの緊張装置、及び同装置を用いた帯状ワークの加工又は検査装置
KR20170138834A (ko) 라미네이팅 장치
KR20210034745A (ko) 유연 기판 처리 장치 및 유연 기판 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