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6832B1 - 가습 필터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 - Google Patents

가습 필터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6832B1
KR101686832B1 KR1020090130125A KR20090130125A KR101686832B1 KR 101686832 B1 KR101686832 B1 KR 101686832B1 KR 1020090130125 A KR1020090130125 A KR 1020090130125A KR 20090130125 A KR20090130125 A KR 20090130125A KR 101686832 B1 KR101686832 B1 KR 1016868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gas
condenser
food
humidifying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0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2995A (ko
Inventor
김봉석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30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6832B1/ko
Publication of KR20110072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29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6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68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이 투입되어 처리되는 건조로; 상기 투입된 음식물 처리 동안 발생하는 가스를 응축시킬 수 있는 응축기; 상기 응축기에 의해 응축된 응축수를 일시 저장하는 버퍼; 및 상기 응축기를 통과한 가스를 탈취시키는 탈취 필터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로서, 상기 버퍼에는 가습 필터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필터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를 제공한다.
응축되지 않은 가스와 응축수가 가습 필터를 통과한 이후 탈취 필터로 진행되기 때문에, 수분이 보다 확실히 제거되며, 한번에 다량의 가스가 통과하는 것이 아니라 천천히 소량의 가스가 탈취 필터를 통과하기에 탈취 필터의 수명이 증가한다. 또한, 별도로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장치 또는 작업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음식물 처리기 설치 위치의 제약이 없고, 설치가 용이하며, 사용자의 음식물 처리기 사용이 번잡하지 않다는 장점을 갖는다.
음식물 처리기, 가습 필터, 탈취 필터, 응축기, 응축수, 수분, 흡수, 증발

Description

가습 필터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Food waste disposer comprising a humidifying filter}
본 발명은 가습 필터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음식물이 투입되어 처리되는 건조로; 상기 투입된 음식물 처리 동안 발생하는 가스를 응축시킬 수 있는 응축기; 상기 응축기에 의해 응축된 응축수를 일시 저장하는 버퍼; 및 상기 응축기를 통과한 가스를 탈취시키는 탈취 필터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로서, 상기 버퍼에는 가습 필터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필터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수분은 음식물 쓰레기 부피의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 음식물 처리기에 있어서 음식물 쓰레기양을 줄이기 위해 음식물 쓰레기의 부피를 감소시키는 것이 효율적인바, 대부분의 음식물 처리기는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들을 채택한다.
음식물 쓰레기에서 수분을 제거하는 방법 중 하나는, 음식물 처리기 내에 음식물 건조가 가능한 건조로를 위치시키고, 음식물 쓰레기가 1차적으로 건조로에 투 입되도록 하며, 건조로가 가열기에 의해 가열되어 수분을 별도로 분리시키고, 수분이 제거된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 및/또는 분쇄하여 가루 형태로서 외부로 배출하는 방식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투입구(200)를 통해 음식물이 투입되는 건조로(100), 건조로(100) 내부의 음식물을 교반/분쇄하는 분쇄기(300) 및 이에 동력을 공급하는 분쇄모터(301)를 포함한다. 분쇄된 음식물은 별도의 배출 장치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가열기(미도시)에 의해 건조로(100) 내의 음식물이 건조되는 과정에서 악취를 동반한 고온의 가스가 다량 생성된다. 상기 가스는 가스 배관(510)을 통해 응축기(500)에 공급되며, 냉각팬(520) 등에 의해 응축기(500)에서 냉각되고, 일부는 응축수가 되어 버퍼(560)에 모였다가 물의 형태로 외부로 배출되고, 다른 일부는 가스배관(570)을 거쳐 탈취 필터(400)를 통해 악취가 제거된 기체의 형태로 외부로 배출된다. 가스의 흐름이 화살표로 도시된다.
도 2는 응축기(500)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다. 응축기(500)는 유입된 고온의 가스를 냉각시켜 응축수를 만드는 역할을 한다. 응축기(500)는 응축기(500) 내에 냉각 공기를 제공하는 냉각팬(520)과, 외부와의 열교환을 위한 제 1 리브(532) 및 제 2 리브(534)와, 냉각 공기가 흐르는 중앙봉(542)과, 가스 배관(510)을 통해 유입된 가스를 하부로 안내하며 넓은 접촉 면적을 제공하는 나선 가이드(544)와, 생성된 응축수를 배출하는 유출관(550)을 포함한다.
한편, 탈취 필터는 고가의 소모품으로 탈취 성능이 떨어지면 교체해주어야 하는데, 고온 및 습기에 취약하다. 따라서, 탈취 필터의 수명 연장은 음식물 처리기의 유지 관리 비용 절감 및 성능 유지를 위해 중요하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의 경우, 응축되지 못한 가스가 습기가 높고 고온인 채로 직접 탈취 필터(400)로 진입하게 된다(도 1의 화살표). 이는 고가인 탈취 필터의 수명을 약화시켜서 그 수명을 감소시킨다는 문제점을 야기한다.
또한, 음식물 처리 시에 다량의 고온 악취 가스가 집중적으로 발생하는데, 다량의 가스가 한번에 응축기로 진입하게 되면 응축되지 못한 가스가 다량으로 탈취 필터에 유입되고, 이로 인하여 탈취 필터 수명이 짧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응축기에 의해 형성된 응축수를 외부로 어떻게 배출시킬지 문제된다. 자동으로 배출되기 위해서는 음식물 처리기가 하수관과 연결되어야 하는데, 이 경우 음식물 처리기를 하수관과 근접한 위치에 설치하거나 별도의 배관을 따로 설치하여야 해서 설치가 번잡하며 외관상 좋지 않다. 사용자가 주기적으로 응축수를 비우는 방법이 있으나, 그 작업이 번거롭다.
본 발명은, 응축되지 않은 가스로부터 수분을 보다 확실하게 제거함으로써 탈취 필터에 수분이 현저히 적은 가스가 공급되도록 하여 탈취 필터의 수명을 연장시키고자 한다.
또한, 음식물 처리 시에만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다량의 가스가 한번에 탈취 필터에 진입하여 탈취 필터에 무리를 주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또한, 응축수의 처리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번잡하지 않으며 별도의 배관 등을 외부에 설치할 필요가 없어서 설치 비용이 감소하고 외관을 해치지 않는 음식물 처리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가습 청정기 등에 주로 사용되는 가습 필터를 포함한 음식물 처리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음식물이 투입되어 처리되는 건조로; 상기 투입된 음식물 처리 동안 발생하는 가스를 응축시킬 수 있는 응축기; 상기 응축기에 의해 응축된 응축수를 일시 저장하는 버퍼; 및 상기 응축기를 통과한 가스를 탈취시키는 탈취 필터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로서, 상기 버퍼에는 가습 필터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필터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응축기를 통과한 가스는 상기 가습 필터를 통과하면서 수분이 흡수된 이후 상기 탈취 필터를 통과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응축수는 상기 가습 필터에 흡수된 후 증발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버퍼는 상기 가습 필터에 흡수된 수분을 증발시킬 수 있는 팬을 더 포함하며, 상기 팬은 상기 음식물 처리 동안 발생하는 가스의 양에 따라 제어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습 필터는 상기 버퍼와 상기 탈취 필터 사이의 탈취 가스 진입구에 맞닿도록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응축되지 않은 가스가 가습 필터를 통과한 이후 탈취 필터로 진행되기 때문에, 수분이 보다 확실히 제거된 가스가 탈취 필터에 공급된다. 이를 통해 탈취 필터의 수명이 비약적으로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음식물 처리 시에 집중적으로 다량 발생하는 가스가 한번에 탈취 필터를 통과하지 않고 가습 필터에 의해 버퍼링되어 천천히 조금씩 통과하기에, 탈취 필터에 무리가 가지 않고 그 수명이 증가한다.
또한, 별도로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장치 또는 작업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음식물 처리기 설치 위치의 제약이 없고, 설치가 용이하며, 사용자의 음식 물 처리기 사용이 번잡하지 않다는 장점을 갖는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1000)를 단면도로서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종래의 음식물 처리기에서와 같이, 음식물 처리기(1000)는 투입구(200)를 통해 음식물이 투입되는 건조로(100), 건조로(100) 내부의 음식물을 교반/분쇄하는 분쇄기(300) 및 이에 동력을 공급하는 분쇄모터(301)를 포함한다. 분쇄된 음식물은 별도의 배출 장치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가열기(미도시)에 의해 건조로(100) 내의 음식물이 건조되는 과정에서 악취를 동반한 고온의 가스가 생성된다. 상기 가스는 가스 배관(510)을 통해 응축기(500)에 공급된다. 가스 배관(510)을 통해 진입한 악취를 동반한 고온의 가스는 냉각팬(520)에 의해 냉각된 응축기(500)를 통과하면서 응축수를 생성한다. (음식물의 건조, 분쇄 및/또는 교반은 한번에 또는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하 이러한 과정을 "음식물 처리"로 지칭한다.)
종래의 음식물 처리기와 달리, 응축수 뿐만 아니라 응축되지 못한 가스까지 모두 버퍼에 진입한다(도 3의 화살표 참조). 버퍼에는 가습 필터(600)가 위치한다.
도 4를 참조하여 가습 필터(600)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가습 필터(600)는 가습 청정기에 주로 사용되는 필터로서, 필터의 일부가 수 분에 노출되면 이를 흡수하여 넓은 표면적에 고르게 분포시킨 후 상온으로 천천히 증발시키는 기능을 갖는 필터를 지칭한다. 즉, 흡습 필터와 같이 수분을 흡수하는 기능보다는 이를 천천히 증발시키기에 최적화된 필터를 지칭한다.
구체적으로, 가습 필터(600)는 넓은 표면적을 이루도록 내측에 요철면(651)과 내벽면(652)을 구성하고, 외면에 수평면(653)과 수직면(654)으로 마감하여 제조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는 허니컴 구조를 도시하나 내측에 넓은 표면적을 이루도록 플리츠 구조를 포함한 어떠한 구조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부직포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수분을 흡수하여 천천히 증발시키는 어떠한 재질도 가능하다.
가습 필터(600)의 하단이 수분에 노출되면, 가습 필터(600)는 수분을 흡수한 후 이를 상온으로서 천천히 증발시킨다. 증발을 돕도록 공기가 넓은 표면적의 내측면을 통과하게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버퍼는 별도의 팬(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습 필터(600)는 측면 방향으로 통풍이 가능하도록 측벽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이격된 공간으로의 통풍이 보다 용이하여 증발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축기(500)를 통과한 가스가 직접 탈취 필터(400)에 진입하지 않도록, 가습 필터(600)가 탈취 필터(400)와 버퍼 사이의 탈취 가스 진입구에 맞닿도록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도 3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가습 필터(600)를 포함한 음식물 처 리기(1000)를 설명한다.
악취를 포함한 고온 다습한 가스가 응축기(500)를 통과함에 따라, 일부는 응축수의 형태로 버퍼의 하단부터 고이게 되고, 다른 일부는 응축되지 못한 고온 다습한 가스로 버퍼에 진입한다.
응축수는 이에 맞닿은 가습 필터(600)에 의해 흡수된다. 가스 역시 바로 탈취 필터(400)에 진입하지 못하고 가습 필터(600)를 거치게 된다. 이 과정에서 가스 내의 수분은 가습 필터(600)에 흡수된다. 가습 필터(600)에 흡수된 수분은 가습 필터(600)의 특징에 의해 오랜 시간 동안 천천히 증발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음식물 처리 시에 집중적으로 다량 발생하는 가스가 한번에 탈취 필터(400)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동시에 수분을 일부 흡수하여 탈취 필터(400)에 걸리는 부하를 줄일 수 있다.
한편, 가습 필터(600)에 임시 저장된 수분은 서서히 증발됨에 따라 탈취 필터(400)에 무리를 주지 않도록 천천히 탈취 작용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종래의 음식물 처리기에서와 같이 응축수를 별도의 장치로서 외부로 배출하지 않아도 가습 필터(600)에 의해 서서히 외부로 증발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버퍼 영역에 별도의 팬(미도시)이 존재하여 제어부(미도시)를 통해 가습 필터(600)의 증발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음식물 처리 동안 발생하는 가스의 양에 따라 별도의 팬(미도시)을 효율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음식물 처리시와 같이 가스 발생이 많은 시점에는 별도의 팬 구동을 멈추어 가습 필터(600)가 보다 많은 수분을 흡수하고 증발을 억제할 수 있으며, 음식물 처리 이후와 같이 가스 발생이 거의 없는 시점에는 별도의 팬을 구동시켜 가습 필터(600)에 저장된 수분을 서서히 증발시키도록 하여 이후의 음식물 처리시 발생하는 가스를 대비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응축기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습 필터의 개략도이다.
<주요 도면 부호의 설명>
100 : 건조로 200 : 투입구
300 : 분쇄기 301 : 분쇄모터
400 : 탈취 필터 500 : 응축기
510 : 가스 배관 520 : 냉각팬
532 : 제 1 리브 534 : 제 2 리브
542 : 중앙봉 544 : 나선 가이드
550 : 유출관 560 : 버퍼
570 : 가스 배관 600 : 가습 필터
651 : 요철면 652 : 내벽면
653 : 수평면 654 : 수직면

Claims (5)

  1. 음식물이 투입되어 처리되는 건조로;
    상기 투입된 음식물 처리 동안 발생하는 가스를 응축시킬 수 있는 응축기;
    상기 응축기에 의해 응축된 응축수를 일시 저장하는 버퍼;
    상기 응축기를 통과한 가스가 유입되는 탈취 필터;
    상기 버퍼 내에서 상기 버퍼와 상기 탈취 필터 사이의 탈취 가스 진입구에 맞닿도록 위치하며, 상기 응축기를 통과한 가스의 수분 및 상기 응축수를 흡수하여 증발되도록 하는 가습 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탈취필터는 상기 응축기를 통과한 가스 및 상기 가습 필터에서 증발되는 수분을 탈취시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필터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는 상기 가습 필터에 흡수된 수분을 증발시킬 수 있는 팬을 더 포함하며,
    상기 팬은 상기 음식물 처리 동안 발생하는 가스의 양에 따라 제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필터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
  5. 삭제
KR1020090130125A 2009-12-23 2009-12-23 가습 필터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 KR1016868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0125A KR101686832B1 (ko) 2009-12-23 2009-12-23 가습 필터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0125A KR101686832B1 (ko) 2009-12-23 2009-12-23 가습 필터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2995A KR20110072995A (ko) 2011-06-29
KR101686832B1 true KR101686832B1 (ko) 2016-12-16

Family

ID=44403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0125A KR101686832B1 (ko) 2009-12-23 2009-12-23 가습 필터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68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0581B1 (ko) * 2020-03-26 2021-10-08 주식회사 라온전기 유증기 유분 제거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91113B2 (ja) 2005-10-26 2007-10-17 株式会社ムロコーポレーション 生ゴミ処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5207A (ko) * 2000-10-18 2001-04-06 김영숙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848924B1 (ko) * 2006-12-05 2008-07-29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의 악취가스 제거 시스템 및 방법
KR101001041B1 (ko) * 2008-02-14 2010-12-14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음식물 처리기의 필터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91113B2 (ja) 2005-10-26 2007-10-17 株式会社ムロコーポレーション 生ゴミ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2995A (ko) 2011-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06650B2 (en) Energy-saved smart safety cooling/warming wind apparatus for the four seasons
JP4386950B2 (ja) 生ごみ処理装置及び生ごみ処理方法
KR100913285B1 (ko) 엘리베이터용 에어컨
KR101467494B1 (ko) 히트펌프 시스템을 이용한 세탁물 건조장치용 건조유닛
KR101686832B1 (ko) 가습 필터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
KR20160034469A (ko)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JP2004066143A (ja) 厨芥処理機
KR101678734B1 (ko) 음식물쓰레기의 제습 처리기
JP2010197027A (ja) 換気一体型空気調和機
KR20090018266A (ko)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처리장치
KR102519566B1 (ko) 로봇 공조장치
KR20090112391A (ko) 욕실 환기장치
JP2010513829A (ja) 凝縮液を自動で蒸発させるシステム
JP2003136038A (ja) 減圧生ゴミ処理方法と装置
JP3027730B2 (ja) 冷蔵装置
KR200217924Y1 (ko) 음식물쓰레기의 수분 처리장치
KR101224252B1 (ko) 사료용 발효기
CA2924886A1 (en) Modular assembly for regulating moisture and temperature of content in a container
KR20150098332A (ko) 공기조화기 시스템
JP3568262B2 (ja) 生ごみ処理装置
KR102447906B1 (ko) 제습기
KR102565932B1 (ko) 공기순환형 미스트 기화식 탈취장치
CN210717872U (zh) 一种泳池热泵除湿系统
CN217503811U (zh) 循环自加湿风机盘管
CN204718077U (zh) 家用空调冷凝水节能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