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6811B1 - 2가지 색상이 구현되는 타일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2가지 색상이 구현되는 타일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6811B1
KR101686811B1 KR1020160088349A KR20160088349A KR101686811B1 KR 101686811 B1 KR101686811 B1 KR 101686811B1 KR 1020160088349 A KR1020160088349 A KR 1020160088349A KR 20160088349 A KR20160088349 A KR 20160088349A KR 101686811 B1 KR101686811 B1 KR 1016868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main plate
tile
wow
sub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8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성
Original Assignee
박진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성 filed Critical 박진성
Priority to KR1020160088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68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6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68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008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made from two or more materials having different 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3/0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02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3/04Clay; Kaoli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32Burning metho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0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of asbestos cement; of cement and other mineral fib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1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n ornamental or specially shaped visible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8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 top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r g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 구조에 유약을 도포한 타일 및 타일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자연석을 원료로 하여 메인 플레이트의 상면에서 내측으로 형성된 음각홈에 접착용 유양을 도포한 다음 써브 플레이트를 삽입한 다음 가압 성형하여 건조한 후 소성 공정을 거쳐 타일을 완성함으로써 메인 플레이트와 써브 플레이트의 색상을 달리 조합하여 2가지 색상을 동시에 구현함으로써 미려함을 연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2가지 색상이 구현되는 타일 제조 방법{Manufacture method for tile}
본 발명은 자연석을 원료로 하여 메인 플레이트의 상면에서 내측으로 형성된 음각홈에 접착용 유양을 도포한 다음 써브 플레이트를 삽입한 다음 가압 성형하여 건조한 후 소성 공정을 거쳐 타일을 완성함으로써 메인 플레이트와 써브 플레이트의 색상을 달리 조합하여 2가지 색상을 동시에 구현함으로써 미려함을 연출할 수 있는 2가지 색상이 구현되는 타일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타일이란 바닥 및 벽 등의 표면을 피복하기 위하여 만든 평판상의 점토질 소성 제품으로서, 보통은 표면적에 비하여 매우 얇으며, 유약을 바르거나 부어서 유약 처리하거나 또는 유약 처리하지 않은 제조공정 중에 적열이상
의 온도에서 화학반응, 경정개질 및 성분의 용융에 의해 세라믹 본체의 기계적 특성의 실질적인 변화를 유발시키는 가열처리를 하여 특별한 물리적 성질 및 특징을 가지게 한 것을 말한다.
상기 타일에는 내장 타일, 외장타일, 모자이크 타일, 내산 타일, 바닥 타일, 염전 타일, 쿼리 타일 등이 있다.
또한, 타일은 여러 가지 성능을 가지고 있으며 비교적 시공도 간단할 뿐 아니라 시공 후에 균열을 일으키거나 변색하는 일이 거의 없고 특히 내구성이 우수하므로 구조물의 표면을 피복 보호하는 데 가장 좋은 재료이며, 특히 위생적이어야 하는 주방, 화장실, 목욕탕, 세면장은 물론 건물바닥,보행로 등에 많이 활용된다.
즉 타일은 건축용 마감재인 외장 또는 내장재로서 표면장식에 사용되어 건축물의 미적 효과를 높이는 것은 물론 건축물의 복도 및 인도 등을 포함하여 바닥재로 사용되는 재료이므로 표면의 색상이나 모양이 아름다워야 한다.
한편, 실용신안출원번호 제1999-22335호"자연석을 이용한 건축용 내·외장재 타일"은 자연석을 적정두께로 강제 분할하여 타일 본체를 구성하되 그 양면에 불규칙한 요철면을 구성하여 자연미를 표출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타일은 표면에 불규칙한 요철면을 형성하여 자연미를 형성할 수 있으나, 한가지 색상으로만 표현되어 미려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타일중 자연석을 이용하는 타일은 형상만 달리할 뿐 표면 대부분이 한가지 색상만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다양한 색상으로 조합을 할 수 없어 미려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타일은 표면 자체가 단일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다양한 색상을 조합하여 연출할 수 없어 미려함이 떨어진다.
실용신안출원번호 제1999-22335호"자연석을 이용한 건축용 내·외장재 타일"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자연석을 주원료로 하여 타일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두 가지 색상을 조합하여 미려함을 연출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점토 18중량%, 도석 32중량%, 장석 50중량%을 배합한 주원료 100 중량부와, 해교제 0.3 중량부와, 물 57 중량부를 배합한 후, 분쇄하여 준비한 기본 원료와,
유약 프리트 97중량%와 탈크 3중량%를 배합한 접착용 유약 원료 100 중량부, 해교제 0.5 중량부와 물 60 중량부를 배합한 후, 분쇄한 접착용 유약을 준비한 다음, 기본 원료와 접착용 유약을 건조한 후, 파우더 형상인 기본 원료 90중량%와 운모장석 7중량%와 승주장석 13중량%를 배합한 다음,
메인 플레이트와 써브 플레이트에 사용되는 기본 원료에 색상용 안료를 각각 다르게 혼합한 후, 중앙 부분이 양각된 메인 플레이트 몰드를 준비한 다음, 메인 플레이트 몰드에 메인 플레이트용으로 준비된 기본 원료를 투입하여 가압 성형 후 건조하여 중앙에 음각홈이 형성된 메인 플레이트를 완성한 후, 써브 플레이트 몰드에 써브 플레이트용으로 준비된 기본 원료를 투입하여 가압 성형 후 건조하여 써브 플레이트를 준비한 다음, 메인 플레이트의 음각홈에 접착용 유약을 투입하여 도포한 후, 상기 음각홈에 써브 플레이트를 삽입하여 결합한 다음, 메인 플레이트와 써브 플레이트를 가마에 투입하여 1220 ∼ 1260℃로 10분 ∼ 20분간 유지하고 가마소성시간은 100 ∼ 210분 소성한 후, 냉각하여 타일을 완성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이중구조를 갖는 타일은 메인 플레이트의 중앙에 써브 플레이트가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메인 플레이트와 써브 플레이트의 색상을 달리하여 두가지 조합으로 이루어져 미려함을 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메인 플레이트의 음각홈에 접착용 유약을 도포한 써브 플레이트를 삽입하면 유약이 녹아 용융부착되어 견고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타일의 제조 방법을 도시해 보인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 타일의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타일의 도시해 보인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타일을 도시해 보인 결합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타일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상기와 같은 목적 및 효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타일의 제조 방법을 도시해 보인 순서도이다.
본 발명 타일(1)은 메인 플레이트(2)의 중앙에 써브 플레이트(3)가 삽입되는 이중 구조로 색상을 서로 달리하여 조합을 이루어 미려함을 연출할 수 있는 구성이다.
따라서 타일(1)의 제조방법은 점토 18중량%, 도석 32중량%, 장석 50중량%을 배합한 주원료 100 중량부와, 해교제 0.3 중량부와, 물 57 중량부를 배합하는 단계를 거쳐 기본 원료를 준비한다.
상기 해교제는 배합과정에서 원료가 엉키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배합된 기본원료는 분쇄기(볼밀)에서 20t을 기준으로 분쇄하여 하중이 18t으로 미분될 수 있도록 18시간 동안 분쇄한다.
상기 분쇄된 기본원료는 비중 1.6±0.5, 점도 150±100cp, 잔사율 10±5중량%를 유지하는게 바람직하다.
또한, 접착용 유약은 유약 프리트 97중량%와 탈크 3중량%를 배합한 접착용 유약 원료 100 중량부, 해교제 0.5 중량부와 물 60 중량부를 배합한 다음, 상분쇄기(볼밀)에서 20t을 기준으로 분쇄하여 하중이 18t으로 미분될 수 있도록 60시간 동안 분쇄한다.
상기 분쇄된 접착용 유약은 비중 1.6±0.5, 점도 150±100cp, 잔사율 10±5중량%(270mesh)를 유지하는 게 바람직하다.
기본 원료를 건조수분 6.5±0.5중량%, 건조량 3.5t 의 조건으로 건조한다.
상기 건조된 기본 원료는 파우더 형상으로 기본 원료 80중량중량%와 운모장석 7중량중량%와 승주장석 13중량중량%를 배합한다.
상기와 같이 기본 원료에 운모장석, 승주장석을 배합하는 이유는 시간적으로 자연석과 비슷한 느낌이 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기본 원료는 메인 플레이트(2)와 써브 플레이트(3)를 제작하기 위해 각각 구분한 다음 서로 색상이 다른 안료를 첨가하여 배합한다.
상기 메인 플레이트(2) 내부에 써브 플레이트(3)가 삽입되도록 성형하기 위해서는 200×200 사이즈에 가운데가 양각된 메인 플레이트 몰드를 제작한다.
상기 메인 플레이트 몰드는 몰드 수축률 6.0중량%와 음각 깊이 6.0㎜를 유지하는 게 바람직하다.
상기 준비된 메인 플레이트 몰드에 메인 프레이트용 기본원료를 투입하여 150±50㎏/㎠의 조건으로 가압성형한다.
상기 가압 성형된 메인 플레이트(2)는 에어 셕션에 의해 메인 플레이트 몰드에서 취출한 다음 건조기에 넣고 초벌 건조한다.
상기 가압 성형 후 건조된 메인 플레이트(2)는 중앙에 음각홈(5)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메인 플레이트(2)의 음각홈(5)에 삽입하기 위해서는 써브 플레이트 몰드에 써브 플레이트용으로 준비된 기본 원료를 투입하여 가압 성형한다.
상기 써브 플레이트 몰드의 조건은 몰드 수축률6.0중량%와 제품 두께는 6.0㎜로 유지하는 게 바람직하다.
상기 준비된 써브 플레이트 몰드에 써브 프레이트용 기본원료를 투입하여 150±50㎏/㎠의 조건으로 가압성형한다.
상기 가압 성형된 써브 플레이트(3)는 에어 셕션에 의해 써브 플레이트 몰드에서 취출한 다음 건조기에 넣고 초벌 건조한다.
상기 메인 플레이트(2)의 음각홈(5)에 접착용 유약 2 ∼ 5g 투입한 다음 음각홈(5)에 써브 플레이트(3)를 삽입하여 결합한 다음 결합된 표면을 브러쉬 및 에어로 깨끗하게 청소한다.
상기와 같이 접착용 유약(4)을 음각홈(5)에 투입하는 이유는 가마에서 소성하는 과정에서 접착용 유약이 용융되어 메인 플레이트(2)와 써브 플레이트(3)가 견고하게 접착되고, 타일(1)의 강도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메인 플레이트(2)와 써브 플레이트(3)를 결합한 상태에서 내화판 위에 올려놓고 가마에 투입하여 1220 ∼ 1260℃로 10분 ∼ 20분간 유지하고 가마소성 시간은 100 ∼ 210분 소성한다.
상기 소성된 타일(1)을 냉각하여 완성한다.
상기 완성된 타일(1)은 메인 플레이트(2)의 표면에서 가운데에 써브 플레이트(3)가 삽입된 이중구조로 이루어져 메인 플레이트(2)와 써브 플레이트(3)의 색상이 다르게 2가지 색상으로 구현하여 조화를 이뤄 미려함을 연출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 타일의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 이고, 도 3은 본 발명 타일의 도시해 보인 결합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 타일을 도시해 보인 결합 단면도이다.
본 발명 타일(1)은 표면 가운데에 음각홈(5)이 형성된 메인 플레이트(2)와 써브 플레이트(3)를 준비한 다음 음각홈(5)에 접착용 유약(4)을 투입한 후 써브 플레이트(3)를 끼움 결합된 구조로 형성된다.
그러면 상기 타일(1)은 메인 플레이트(2)와 써브 플레이트(3)의 안료를 달리 첨가하여 하나의 타일(1)에 두 가지 색상을 구현하여 조화를 이루어 미려함을 연출한다.
따라서 주방, 화장실, 목욕탕, 세면장은 물론 건물바닥,보행로 등에 많이 활용이 가능하다.
상기 타일(1)은 메인 플레이트(2)의 음각홈(5)에 삽입된 써브 플레이트(3)의 상부가 돌출되게 결합되어 미끄럼 방지타일로 사용이 가능하다.
1: 타일 2: 메인 플레이트
3; 써브 플레이트 4: 접착용 유약
5: 음각홈

Claims (3)

  1. 타일 제조방법에 있어서,
    점토 18중량%, 도석 32중량%, 장석 50중량%을 배합한 주원료 100 중량부와, 해교제 0.3 중량부와, 물 57 중량부를 배합한 후, 분쇄하여 기본 원료를 준비하는 단계; 와
    유약 프리트 97중량%와 탈크 3중량%를 배합한 접착용 유약 원료 100 중량부, 해교제 0.5 중량부와 물 60 중량부를 배합한 후, 분쇄한 접착용 유약을 준비하는 단계; 와
    기본 원료를 건조하는 단계; 와
    파우더 형상인 기본 원료 80중량%와 운모장석 7중량%와 승주장석 13중량%를 배합한 단계; 와
    메인 플레이트와 써브 플레이트에 사용되는 기본 원료에 색상용 안료를 각각 다르게 배합하는 단계; 와
    중앙 부분이 양각된 메인 플레이트 몰드를 준비한 다음, 메인 플레이트 몰드에 메인 플레이트용으로 준비된 기본 원료를 투입하여 가압 성형 후 건조하여 중앙에 음각홈이 형성된 메인 플레이트를 성형하는 단계; 와
    써브 플레이트 몰드에 써브 플레이트용으로 준비된 기본 원료를 투입하여 가압 성형 후 건조하여 써브 플레이트를 준비한 다음, 메인 플레이트의 음각홈에 접착용 유약을 투입하여 도포하는 단계; 와
    상기 음각홈에 써브 플레이트를 삽입하여 결합하는 단계; 와
    메인 플레이트와 써브 플레이트를 결합한 상태에서 가마에 투입하여 1220 ∼ 1260℃로 10분 ∼ 20분간 유지하고 가마소성 시간은 100 ∼ 210분 소성하는 단계; 와
    소성된 타일을 냉각하여 완성하는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가지 색상이 구현되는 타일 제조 방법.





  2. 삭제
  3. 삭제
KR1020160088349A 2016-07-13 2016-07-13 2가지 색상이 구현되는 타일 제조 방법 KR1016868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8349A KR101686811B1 (ko) 2016-07-13 2016-07-13 2가지 색상이 구현되는 타일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8349A KR101686811B1 (ko) 2016-07-13 2016-07-13 2가지 색상이 구현되는 타일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6811B1 true KR101686811B1 (ko) 2016-12-15

Family

ID=57572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8349A KR101686811B1 (ko) 2016-07-13 2016-07-13 2가지 색상이 구현되는 타일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681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9092A (ko) * 1992-10-01 1994-05-16 이용재 자기질 화강암 석재타일의 제조방법
KR20010002506A (ko) 1999-06-15 2001-01-15 신승교 터널 발파소음 저감방법
KR20040093434A (ko) * 2003-04-28 2004-11-05 주식회사 서울세라믹스 축광성 타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9092A (ko) * 1992-10-01 1994-05-16 이용재 자기질 화강암 석재타일의 제조방법
KR20010002506A (ko) 1999-06-15 2001-01-15 신승교 터널 발파소음 저감방법
KR20040093434A (ko) * 2003-04-28 2004-11-05 주식회사 서울세라믹스 축광성 타일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045577B (zh) 中温雪花釉陶瓷制品及其的制作方法
CN104230392A (zh) 一种微晶镜面抛光墙面砖及制作方法
CN105272149A (zh) 高白度瓷瓷泥及其制作工艺
KR101649862B1 (ko) 판 접합 청자 제작 기법을 이용한 도자기의 제조방법
KR100360624B1 (ko) 건축마감재용 도판의 제조방법 및 그 제품
KR101149576B1 (ko) 점토질 벽돌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점토질 벽돌
KR101686811B1 (ko) 2가지 색상이 구현되는 타일 제조 방법
CN110644705B (zh) 一种聚晶马赛克板及其制备方法
KR101688035B1 (ko) 각 떡가래 성형 기법을 이용한 도자기 제조방법
KR101686810B1 (ko) 2가지 색상이 구현되는 타일 제조 방법
CN101407434A (zh) 使用珠光云母颜料制造墙地砖方法
CN114014542B (zh) 一种凹凸纹理发泡陶瓷保温板材及其制备方法
KR20110109692A (ko) 고풍스러운 느낌을 주는 점토벽돌 및 그 제조방법
CN109678460B (zh) 一种高仿真度瓷砖坯体的制备方法
CN204510659U (zh) 一种适用于墙体阳角的陶瓷砖组合
CN106795063A (zh) 呈现天然石外观的多孔陶瓷砖及其制备方法
KR20150029101A (ko) 운모를 이용한 유약벽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86722B1 (ko) 도자기 캔버스 제조방법 및 도자기 캔버스
KR102557506B1 (ko) 생칠을 이용한 건축재용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건축재 및 그 제조방법
CN106145884A (zh) 一种陶瓷的生产工艺
KR100742230B1 (ko) 참숯가루와 점토분말을 이용한 점토벽돌의 제조방법
KR100336871B1 (ko) 경량 타일 및 그 제조방법
CN204079810U (zh) 一种微晶镜面抛光墙面砖
JP3469485B2 (ja) 軽量陶磁器タイルおよび軽量陶磁器タイルの製造方法
KR200300604Y1 (ko) 장식면이 형성된 장식타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