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6652B1 - 공기조화기용 디퓨저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용 디퓨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6652B1
KR101686652B1 KR1020160081281A KR20160081281A KR101686652B1 KR 101686652 B1 KR101686652 B1 KR 101686652B1 KR 1020160081281 A KR1020160081281 A KR 1020160081281A KR 20160081281 A KR20160081281 A KR 20160081281A KR 101686652 B1 KR101686652 B1 KR 1016866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diffuser body
fixing
diffuser
unf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1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광석
김정우
Original Assignee
(주)화용씨티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화용씨티에스 filed Critical (주)화용씨티에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6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66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54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means, e.g.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4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on the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용 디퓨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디퓨저 바디(10); 상기 디퓨저 바디(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픽싱 가동볼트(20); 상기 픽싱 가동볼트(20)에 결합되어 상기 픽싱 가동볼트(20)를 상기 디퓨저 바디(10)에서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디퓨저 바디(10)의 상하 방향으로 승강되는 픽싱 레버(30); 상기 디퓨저 바디(10)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상기 디퓨저 바디(10)의 중심부로부터 점점 더 벌어지도록 돌출되어 상기 픽싱 레버(30)가 상기 디퓨저 바디(10) 쪽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상기 디퓨저 바디(10)의 하단부 쪽으로 하강할 때에 상기 픽싱 레버(30)가 따라 내려가면서 디퓨저 바디(10)에서 바깥으로 벌어지도록 하는 언폴딩 가이드부(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용 디퓨저{Air conditioning device diffus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용 디퓨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요부인 픽싱 가동볼트를 회전시키기만 하면 픽싱 레버가 자동을 펼쳐지면서 천정판에 간단하게 고정될 수 있는 새로운 공기조화기용 디퓨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빌딩, 아파트 등의 건축물에는 창문을 이용한 환기보다는 송풍기를 이용하여 외부의 공기를 실내로 강제 공급하는 기계식 공기분배 시스템이 주로 설치된다.
이러한 공기분배 시스템은 일반적인 외부 공기를 공급함은 물론, 겨울에는 온풍, 여름에는 냉풍을 공급하여 실내에서의 생활환경을 더욱 쾌적하게 유지시키도록 한다.
한편, 공조장치에서 발생되는 공기를 천장 내의 덕트를 통해 실내로 공급시키는 방법이 있는데, 이를 위하여 덕트의 주관을 따라 여러 국소부에 형성되는 지관에는 냉난방기류를 실내에 확산 공급 또는 공급량 조절을 위한 디퓨져가 실내에 노출되는 상태로 천정판에 고정 설치된다.
기존의 디퓨져는 천정판에 고정되어 덕트와 연결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연결 결합되어 냉난방공기가 통과되는 통기부재 및 상기 통기부재 내부에 결합되어 공기가 확산되게 하는 내부격자와 같은 구성품으로 이루어진다.
종래의 디퓨져의 일례로는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77238호(이하, 종래기술이라 함)이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건축물의 천장 또는 벽체에 체결하여 실내공기 환기시키기 위해 원통 형상으로 통공된 환기공의 내부 중앙에는 캡과 나선 결합되도록 고정봉이 위치하고, 상기 고정봉의 둘레에는 원통 내부에 고정하기 위하여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지지날개와 원통의 저면 둘레 가장자리에 커버가 일체로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저면에는 고정봉에 형성된 고정공과 나선 결합되어 환기공을 개폐하도록 상면에 고정 돌기가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캡과; 상기 몸체의 양측에는 동일하게 전면이 개방되어 환기공 방향으로 돌출되게 밀폐된 공간을 형성한 수납 공간부와; 상기 수납 공간부에 수직방향으로 삽입되어 회전하는 힌지 볼트와; 상기 수납 공간부에 일측 단부가 삽입되어 힌지 볼트에 조임 체결되어 회전하는 고정날개로 이루어진 디퓨저에 있어서, 상기 고정 날개는 힌지 볼트에 일측 단부가 힌지 결합되고 타측은 원통형 몸체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호(弧) 형상으로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퓨져이다.
상기 종래기술에 의하면, 상기 고정 날개가 펼쳐진 상태에서 힌지 볼트를 조여주면, 고정 날개가 하강하여 천정판의 상면에는 고정 날개가 가압되고 천정판의 저면에는 몸체에 구비된 플랜지부가 가압되므로, 상기 디퓨저를 천정판에 고정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종래기술을 비롯한 기존의 디퓨저는 천정판의 안으로 들어가 있는 고정 날개가 제대로 펼쳐져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방법이 없고 경우에 따라 고정 날개가 제대로 펼쳐지지 않아서 천정판에 디퓨저가 제대로 고정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며, 상기 고정 날개가 제대로 펴지지 않아서 천정판에 디퓨저가 제대로 고정되지 못하는 경우 다시 디퓨저를 빼내고 고정 날개를 인위적으로 펼쳐서 디퓨저를 다시 고정하는 작업을 해야 하므로 디퓨저를 설치하기 곤란한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상기 디퓨저의 몸체에 공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고정용 볼트에 고정 날개의 상하면으로 뚫린 나사홀이 결합되어, 상기 고정용 볼트를 몸체에서 회전시키면 고정 날개가 펼쳐진 다음 고정용 볼트를 계속 돌리면 고정 날개가 고정용 볼트를 따라 계속하강하여 고정 날개는 천정판의 상면에 가압되고 몸체의 플랜지부는 천정판의 저면에 가압되어 디퓨저를 천정판에 고정할 수 있는데, 상기 천정판의 상면과 천정 슬라브 사이에는 조명용 전선과 같은 여러 가지 시설물이 있어서, 예를 들어 상기 전선이 고정 날개에 닿아 있으면, 고정용 볼트를 돌리더라고 전선 때문에 고정 날개가 몸체에 펼쳐지지 않게 되며, 이처럼 고정 날개가 전선 등에 걸려서 제대로 몸체에서 펼쳐지지 않은 상태에서 고정 날개를 계속 내리면 고정 날개가 천정판의 상면에 제대로 가압되지 못하고 천정판에 형성된 디퓨저 설치홀로 빠져버리는 경우가 생기기 때문에, 디퓨저를 천정판에 제대로 설치할 수 없는 문제가 생긴다.
국내등록특허 제20-0468480호(2013.08.08 등록)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477238호(2015,05.14 등록) 국내등록디자인 제30-07001857호(2013.07.11 등록) 국내등록디자인 제30-0576018호(2010.10.13 등록) 국내등록디자인 제30-0452779호(2007.06.11 등록)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픽싱 레버를 내려줄 수 있는 주요부인 픽싱 가동볼트를 회전시키기만 하면 픽싱 레버가 하강하면서 자동적으로 펼쳐지게 되므로 천정판에 간단하고 손쉽게 설치할 수 있는 새로운 공기조화기용 디퓨저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디퓨저 바디; 상기 디퓨저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픽싱 가동볼트; 상기 픽싱 가동볼트에 결합되어 상기 픽싱 가동볼트를 상기 디퓨저 바디에서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디퓨저 바디의 상하 방향으로 승강되는 픽싱 레버; 상기 디퓨저 바디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상기 디퓨저 바디의 중심부로부터 점점 더 벌어지도록 돌출되어 상기 픽싱 레버가 상기 디퓨저 바디 쪽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상기 디퓨저 바디의 하단부 쪽으로 하강할 때에 상기 픽싱 레버가 따라 내려가면서 상기 디퓨저 바디에서 바깥으로 벌어지도록 하는 언폴딩 가이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디퓨저가 제공된다.
상기 언폴딩 가이드부의 외표면은, 기단부를 기준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회전 궤적상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계단들에 의해 형성된 회전 하강 궤적을 따라 연속적으로 이어진 복수개의 곡면부로 구성되고, 상기 회전 하강 궤적을 따라 연속적으로 이어진 상기 복수개의 곡면부에 의해 상기 언폴딩 가이드부의 외표면이 회전 하강 궤적 곡면부로 형성되며, 상기 픽싱 레버가 상기 픽싱 가동볼트의 회전에 따라 하강함과 동시에 상기 언폴딩 가이드부의 상기 회전 하강 궤적 곡면부를 따라 내려가면서 상기 디퓨저 바디의 외측으로 펼쳐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퓨저 바디에는 중심부를 기준으로 적어도 두 개소의 레버 수용홈이 구비되고, 상기 레버 수용홈은, 상기 픽싱 레버가 상기 디퓨저 바디의 중심부 쪽으로 접혀질 때에 상기 픽싱 레버가 수용되는 폴딩 레버 수용홈; 상기 폴딩 레버 수용홈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단부가 상기 폴딩 레버 수용홈에 이어지며 상기 픽싱 가동볼트의 회전에 의해 상기 픽싱 레버가 상기 디퓨저 바디의 바깥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하강할 때에 상기 픽싱 레버의 하강 가이드홈이 되는 언폴딩 레버 수용홈;을 포함하며, 상기 언폴딩 가이드부의 외표면의 상기 회전 하강 궤전 곡면부는 선단부에서 상기 언폴딩 레버 수용홈 쪽으로 갈수록 상기 디퓨저 바디의 바깥쪽으로 점차적으로 더 돌출된 면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용 디퓨저의 경우 픽싱 가동볼트를 회전시키면 디퓨저 바디 쪽으로 접혀져 있던 픽싱 레버가 언폴딩 가이드부에 접촉된 상태로 하강하면서 언폴딩 가이드부에 의해 자동으로 펼쳐지므로, 상기 픽싱 레버가 천정판 안에 있는 전선이나 공기조화기용 덕트 배관(유연성이 있는 덕트 배관) 등의 시설물에 걸려서 제대로 펼쳐지지 못하는 경우를 방지하므로, 천정판에 제대로 설치하지 못하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한다. 픽싱 레버가 천정판 안에 있는 여러 물건들에 걸려서 제대로 펴지지 못하는 경우를 방지함으로써 천정판에 제대로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용 디퓨저의 픽싱 날개가 바디에 접혀진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일측면도
도 3은 도 1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용 디퓨저의 픽싱 날개가 언폴딩 가이드부에 의해 바디에서 펼쳐지는 중간 단계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도 4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용 디퓨저의 픽싱 날개가 언폴딩 가이드부에 의해 디퓨저 바디에서 완전히 펼쳐진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도 6의 평면도
도 8은 도 1의 A-A선 종단면도
도 9는 도 1의 B-B선 종단면도
도 10은 도 6의 저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용 디퓨저를 천정판에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용 디퓨저의 주요부인 언폴딩 가이드부를 형성하기 위한 복수개의 회전 궤적식 계단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용 디퓨저의 주요부인 언폴딩 가이드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사시도
도 15는 도 14의 측면도
도 16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용 디퓨저의 픽싱 날개가 언폴딩 가이드부에 의해 디퓨저 바디에서 펼쳐지는 단계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용 디퓨저는 통형상의 디퓨저 바디(10)에 픽싱 가동볼트(20)가 구비되고, 픽싱 가동볼트(20)에는 픽싱 레버(30)가 결합되고, 상기 픽싱 레버(30)는 픽싱 가동볼트(20)를 회전시킴에 따라 하강할 때에 언폴딩 가이드부(40)에 의해 자동적으로 디퓨저 바디(10)에서 바깥으로 펼쳐지도록 구성된 것이 특징이 된다.
상기 디퓨저 바디(10)는 상단 개방부와 하단 개방부를 구비한 통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디퓨저 바디(10)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디퓨저 바디(10)의 하단 개방부에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플랜지부(14)가 구비된다. 또한, 디퓨저 바디(10)의 내부에는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간살(16)이 구비되고, 각 간살(16)의 선단부에는 보스(17)가 구비된다. 복수개의 간살(16)의 기단부는 디퓨저 바디(10)의 내주면에 연결되고, 보스(17)의 외주면에는 각 간살(16)의 선단부가 연결된다. 상기 보스(17)의 내부에는 상하단으로 연통된 나사홀이 구비된다.
상기 디퓨저 바디(10)의 중심부에 있는 보스(17)의 나사홀에는 조절판(18)의 중심부에서 위로 돌출된 볼트 바아(19)가 결합된다. 조절판(18)을 돌려주면 볼트 바아(19)가 디퓨저 바디(10)의 중심부에 구비된 보스(17)를 따라 승강되어 조절판(18)도 디퓨저 바디(10)의 하단 개방부 아래에서 승강된다. 조절판(18)이 승강되면 디퓨저 바디(10)의 하단 개방부가 열리는 정도가 조절되므로, 상기 디퓨저 바디(10)의 하단 개방부로 소통되는(지나가는) 공기량이 조절된다.
상기 디퓨저 바디(10)에는 중심부를 기준으로 적어도 두 개소의 레버 수용홈(12)이 구비된다. 상기 레버 수용홈(12)은 디퓨저 바디(10)의 측면에서 볼 때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폴딩 레버 수용홈(12A)과, 상기 폴딩 레버 수용홈(12A)의 기단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언폴딩 레버 수용홈(12B)을 포함한다. 다시 말해, 상기 레버 수용홈은 픽싱 레버가 디퓨저 바디(10)의 중심부 쪽으로 접혀질 때에 픽싱 레버가 수용되는 폴딩 레버 수용홈과, 이러한 폴딩 레버 수용홈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단부가 폴딩 레버 수용홈에 이어지며 픽싱 가동볼트의 회전에 의해 픽싱 레버가 디퓨저 바디의 바깥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하강할 때에 픽싱 레버의 하강 가이드홈이 되는 언폴딩 레버 수용홈을 포함한다.
상기 디퓨저 바디(10)의 중심부 쪽으로 내향 돌출된 내향 홈하우징(12HG)에 의해 상기 디퓨저 바디(10)의 외부에 레버 수용홈(12)이 형성된다. 이때, 내향 홈하우징(12HG)은 디퓨저 바디(10)를 종단면으로 볼 때에 수평 방향의 수평 내향 홈하우징(12HG)과, 이 수평 내향 홈하우징(12HG)의 기단부에 이어져서 디퓨저 바디(10)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수직 내향 홈하우징(12HG)을 포함한다. 이러한 내향 홈하우징(12HG)은 디퓨저 바디(10)의 중심부 쪽으로 내향 돌출되어 디퓨저 바디(10)의 외표면에서 안쪽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상기 레버 수용홈(12)이 형성된다.
상기 픽싱 가동볼트(20)는 디퓨저 바디(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디퓨저 바디(10)에는 중심부를 기준으로 적어도 두 개소의 레버 수용홈(12)이 구비되고, 상기 레버 수용홈(12)에 픽싱 가동볼트(20)가 상하 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로 구비된다. 픽싱 가동볼트(20)는 언폴딩 레버 수용홈(12B)에 세워진 상태로 구비되며, 픽싱 가동볼트(20)의 상단부는 상기 폴딩 레버 수용홈(12A)을 형성하는 상부 홈포밍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픽싱 가동볼트(20)의 하단부는 상기 언폴딩 레버 수용홈(12B)을 형성하는 하부 홈포밍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픽싱 가동볼트(20)의 헤드는 하부 홈포밍판의 저면에 구비되어, 상기 픽싱 가동볼트(20)의 헤드가 상기 내향 홈하우징(12HG)의 수직 내향 홈하우징(12HG)의 하단으로 노출되어 있다. 즉, 픽싱 가동볼트(20)의 헤드는 디퓨저 바디(10)의 내부에 구비되고 픽싱 가동볼트(20)는 디퓨저 바디(10)의 외부에 구비된 레버 수용홈(12)에 상하 방향으로 구비된다. 레버 수용홈(12)의 폴딩 레버 수용홈(12A)과 언폴딩 레버 수용홈(12B) 중에서 언폴딩 레버 수용홈(12B)에 픽싱 가동볼트(20)가 세워진 상태로 구비된다. 상기 픽싱 가동볼트(20)를 돌리면 디퓨저 바디(10)에서 공회전하게 되어 있다. 디퓨저 바디(10)의 언폴딩 레버 수용홈(12B)에서 픽싱 가동볼트(20)가 공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픽싱 레버(30)는 픽싱 가동볼트(20)에 결합된다. 픽싱 레버(30)에는 픽싱 가동볼트(20)에 나사식으로 결합되는 나사홀이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픽싱 가동볼트(20)를 디퓨저 바디(10)에서 회전시킴에 따라 픽싱 레버(30)가 디퓨저 바디(10)에서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언폴딩 레버 가이드홈에 수용된 상태에서 디퓨저 바디(10)의 상하 방향으로 승강된다. 픽싱 가동볼트(20)는 디퓨저 바디(10)에 공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서, 픽싱 레버(30)의 기단부에 상하면으로 연통되도록 구비된 나사홀이 픽싱 가동볼트(20)에 결합되므로, 상기 디퓨저 바디(10)를 기준으로 픽싱 가동볼트(20)를 일방향으로 돌리면, 상기 픽싱 레버(30)가 디퓨저 바디(10)에서 바깥으로 먼저 펼쳐져서 언폴딩 레버 가이드홈에 들어와 있는 상태에서 디퓨저 바디(10)의 저면으로 하강되고, 픽싱 가동볼트(20)를 다른 방향으로 돌리면 픽싱 레버(20)가 디퓨저 바디(10)의 저면과 멀어지는 상부 방향으로 상승한다.
상기 언폴딩 가이드부(40)는 디퓨저 바디(10)의 레버 수용홈(12) 쪽으로 픽싱 레버(30)가 접혀진 상태에서 하강할 때에 픽싱 레버(30)를 자동적으로 디퓨저 바디(10)의 외주면에서 바깥 방향으로 펼쳐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언폴딩 가이드부(40)의 외표면은, 기단부를 기준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회전 궤적상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계단들에 의해 형성된 회전 하강 궤적을 따라 연속적으로 이어진 복수개의 곡면부로 구성되고, 상기 회전 하강 궤적을 따라 연속적으로 이어진 상기 복수개의 곡면부에 의해 언폴딩 가이드부의 외표면이 회전 하강 궤적 곡면부로 형성된다. 도 12와 도 13은 복수개의 계단들에 의해 형성된 회전 하강 궤적을 따라 연속적으로 이어진 곡면부로 상기 언폴딩 가이드부(40)가 형성된 것을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계단이 기단부의 베이스 포인트를 기준으로 디퓨저 바디(10)의 중심부에서 바깥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 궤적을 따라 벌어지면서 동시에 각각의 계단은 디퓨저 바디(10)의 상면에서 저면 방향으로 단계적으로 높이가 낮아지도록 구성되며, 도 14와 도 15는 상기 회전 하강 궤적을 따라 배치된 복수개의 계단들에 각각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곡면부가 모여서 상기 언폴딩 가이드부(40)의 외표면을 회전 하강 궤적 곡면부로 형성하는 것을 보여준다. 도 12와 도 13에서 파단선으로 표시된 부분과 같이, 복수개의 각 계단들에 의해 형성된 회전 하강 궤적을 따라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곡면부가 상기 언폴딩 가이드부(40)의 외표면을 형성한다. 즉, 도 12와 도 13에서 S1,S2,S3 ... Sn으로 표시된 복수개의 계단들에 각각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곡면부가 모여서 상기 언폴딩 가이드부(40)의 외표면을 회전 하강 궤적 곡면부로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언폴딩 가이드부(40)의 외표면은 복수개의 회전 궤적식 계단에 연속으로 이어지는 곡면부로 형성됨으로써 언폴딩 가이드부(40)의 외표면이 디퓨저 바디(10)의 중심부쪽으로 오목한 곡면부로 형성된다. 상기 언폴딩 가이드부(40)의 내표면도 복수개의 회전 궤적식 계단에 연속으로 이어지는 곡면부로 형성됨으로써 언폴딩 가이드부(40)의 외표면이 디퓨저 바디(10)의 중심부쪽으로 오목한 곡면부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언폴딩 가이드부(40)의 외표면은 선단부에서 기단부쪽으로 갈수록 디퓨저 바디(10)의 중심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더 돌출된 곡면으로 구성된다. 언폴딩 가이드부(40)의 내표면도 선단부에서 기단부쪽으로 갈수록 디퓨저 바디(10)의 중심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더 돌출된 곡면으로 구성된다. 다시 말해, 언폴딩 가이드부(40)의 외표면과 내표면은 선단부쪽보다 기단부쪽이 디퓨저 바디(10)의 중심부에서 점점 더 바깥으로 돌출된 곡면부로 구성됨과 동시에 디퓨저 바디(10)의 중심부 쪽으로는 오목한 곡면부로 구성된다.
상기 픽싱 레버(30)가 디퓨저 바디(10) 쪽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픽싱 가동볼트(20)의 일방향으로의 회전에 따라 디퓨저 바디(10)의 하단부 쪽으로 픽싱 레버(30)가 하강하면서 동시에 언폴딩 가이드부(40)의 외표면을 따라 내려가면서 상기 디퓨저 바디(10)에서 바깥으로 벌어지게 된다. 상기 픽싱 레버(30)가 픽싱 가동볼트(20)의 회전에 따라 하강함과 동시에 상기 언폴딩 가이드부(40)의 외표면을 형성하는 회전 하강 궤적 곡면부를 따라 내려가면서 상기 디퓨저 바디(10)의 외측으로 펼쳐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레버 수용홈(12)은 디퓨저 바디(10)의 측면에서 볼 때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폴딩 레버 수용홈(12A)과, 상기 폴딩 레버 수용홈(12A)의 기단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언폴딩 레버 수용홈(12B)을 포함하며, 상기 폴딩 레버 수용홈(12A)과 언폴딩 레버 수용홈(12B) 사이에 상기 언폴딩 가이드부(4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디퓨저 바디(10)에는 중심부를 기준으로 적어도 두 개소의 레버 수용홈(12)이 구비되고, 상기 레버 수용홈(12)에 픽싱 가동볼트(20)가 상하 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로 구비되고, 상기 픽싱 레버(30)의 기단부에 상하면으로 연통된 나사홀이 픽싱 가동볼트(20)에 결합되고, 상기 레버 수용홈(12)에 언폴딩 가이드부(40)가 구비되어, 상기 디퓨저 바디(1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적어도 두 개소에 픽싱 가동볼트(20)와 픽싱 레버(30)와 언폴딩 가이드부(40)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는 디퓨저 바디(1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대칭되는 두 개소에 레버 수용홈(12)과 픽싱 가동볼트(20)와 픽싱 레버(30)와 언폴딩 가이드부(4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레버 수용홈(12)은 디퓨저 바디(10)의 중심부 쪽으로 내향 돌출된 내향 홈하우징(12HG)에 의해 디퓨저 바디(10)의 외부에 형성되고, 상기 언폴딩 가이드부(40)는 디퓨저 바디(10)의 중심부에서 멀어지는 바깥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언폴딩 가이드부(40)의 안쪽면에는 오목홈부(42)가 확보된다. 도 9에 도시된 상기 디퓨저 바디(10)의 저면과 B-B선 종단면도에서와 같이, 상기 내향 홈하우징(12HG)은 디퓨저 바디(10)의 중심부를 향해 내향 돌출된 반면, 상기 언폴딩 가이드부(40)는 디퓨저 바디(10)의 중심부에서 바깥 방향으로 오목한 홈 형상으로 돌출되어 있어서, 상기 언폴딩 가이드부(40)의 안쪽면에 오목홈부(42)가 확보된다.
상기 디퓨저 바디(10)에 적어도 두 개소에 레버 수용홈(12)이 구비되고, 상기 레버 수용홈(12)은 디퓨저 바디(10)의 측면에서 볼 때에 폴딩 레버 수용홈(12A)과 언폴딩 레버 수용홈(12B)을 포함하고, 상기 폴딩 레버 수용홈(12A)과 언폴딩 레버 수용홈(12B) 사이에 언폴딩 가이드부(40)가 구비되며, 상기 언폴딩 가이드부(40)의 상하 폭은 언폴딩 레버 수용홈(12B) 쪽으로 갈수록 점점 더 커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언폴딩 가이드부(40)의 기단부쪽의 곡면부가 상기 디퓨저 바디(10)의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갈수록 점점 더 바깥으로 돌출되므로, 상기 언폴딩 가이드부(40)에 내측단이 접촉된 상태로 하강하는 픽싱 레버(30)가 아래로 내려갈수록 점점 더 디퓨저 바디(10)의 바깥으로 벌어지게 된다.
상기 픽싱 레버(30)는 픽싱 가동볼트(20)의 제일 위에 있을 때에는 디퓨저 바디(10)의 폴딩 레버 수용홈(12A)에 완전히 들어가서 접혀질 수 있다. 또한, 픽싱 레버(30)는 픽싱 가동볼트(20)의 제일 아래에 있을 때에는 디퓨저 바디(10)의 언폴딩 레버 수용홈(12B)에 제일 아래쪽에 내려와서 디퓨저 바디(10)의 외부로 펼쳐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픽싱 레버(30)는 내부에 이너 스페이스가 구비된다. 상기 픽싱 레버(30)에는 브릿지편(34)이 구비되어, 상기 브릿지편(34)에서 픽싱 레버(30)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까지의 공동부가 이너 스페이스가 된다. 본 발명에서는 브릿지편(34)이 픽싱 레버(30)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브릿지편(34)의 상면과 픽싱 레버(30)의 상단부 사이의 내부 중공부가 상기 이너 스페이스로 된다.
상기 픽싱 레버(30)의 선단부에는 픽스 프레싱 블록(36)이 더 구비되고, 상기 픽스 프레싱 블록(36)의 저면에는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가압돌편(37)이 구비된다. 픽스 프레싱 블록(36)은 픽싱 레버(30)와 디퓨저 바디(10)의 플랜지부(14)에 의해 천정판(2)을 가압할 때에 천정판(2)의 상면에 눌려지는 부분이다. 이때, 상기 가압돌편(37)은 끝이 뾰족한 돌기 형상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가압돌편(37)이 역단면 삼각형으로 구성되어, 가압돌편(37)의 끝이 뾰족한 첨부부로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픽싱 레버(30)가 디퓨저 바디(10) 쪽으로 접혀져 있더라도 픽싱 가동볼트(20)를 일방향(즉, 픽싱 레버(30)를 내리는 방향)으로 돌리면 픽싱 레버(30)가 내려오면서 언폴딩 가이드부(40)에 의해 자동으로 픽싱 레버(30)가 디퓨저 바디(10)에서 펼쳐지는 것이 특징이 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용 디퓨저를 천정판(2)에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디퓨저 바디(10)를 천정판(2)에 천공되어 있는 디퓨저 설치공에 투입하기 위해서는 상기 픽싱 레버(30)를 디퓨저 바디(10) 쪽으로 접은 상태로 전환한다. 디퓨저 바디(10)에서 픽싱 레버(30)가 펼쳐진 상태에서는 천정판(2)의 디퓨저 설치공 주위에 픽싱 레버(30)가 걸려서 디퓨저 설치공을 잘 통과하지 못할 수 있으므로, 픽싱 레버(30)를 디퓨저 바디(10) 쪽으로 접은 상태에서 디퓨저 설치공에 디퓨저 바디(10)를 끼우고 픽싱 레버(30)는 천정판(2)의 위쪽으로 집어넣는다. 본 발명에서는 두 개의 대칭되는 픽싱 레버(30)를 디퓨저 바디(10) 쪽으로 접어서 디퓨저 설치공에 디퓨저 바디(10)를 결합한다.
상기 픽싱 레버(30)가 디퓨저 바디(10) 쪽으로 접혀진 상태(디퓨저 바디(10)의 레버 수용홈(12) 쪽으로 접혀진 상태)이고 동시에 픽싱 레버(30)가 레버 수용홈(12)에서 아래로 내릴 수 있는 높이에 배치되어 있을 때에 상기 픽싱 가동볼트(20)를 디퓨저 바디(10)를 기준으로 회전시켜 준다.
상기 픽싱 가동볼트(20)를 일방향으로 회전(즉, 픽싱 레버(30)가 하강할 수 있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픽싱 레버(30)가 디퓨저 바디(10)에서 공회전하는 픽싱 가동볼트(20)를 따라 하강하는데, 상기 픽싱 레버(30)가 하강하는 도중에 상기 레버 수용홈(12)에서 디퓨저 바디(10)의 바깥 방향으로 점점 벌어지도록 형성된 언폴딩 가이드부(40)에 의해 디퓨저 바디(10)의 바깥으로 서서히 자동적으로 펼쳐진다. 즉, 픽싱 가동볼트(20)의 회전에 따라 픽싱 레버(30)는 서서히 하강하고 동시에 픽싱 레버(30)의 내측단은 상기 언폴딩 가이드부(40)의 외표면을 따라 내려가면서 서서히 디퓨저 바디(10)에서 바깥 방향으로 펼쳐진다. 도 15 내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언폴딩 가이드부(40)는 앞쪽에서 뒤쪽으로 갈수록 디퓨저 바디(10)의 중심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점점 더 돌출되어서, 상기 픽싱 레버(30)의 내측단이 언폴딩 가이드부(40)의 점점 더 바깥으로 돌출된 곡면부(회전 하강 궤적 곡면부)에 의해 디퓨저 바디(10)의 바깥 방향으로 점차적으로 펼쳐지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디퓨저 바디(10)의 측면에서 볼 때에 폴딩 레버 수용홈(12A)과 언폴딩 레버 수용홈(12B)이 구비되고, 상기 폴딩 레버 수용홈(12A)과 언폴딩 레버 수용홈(12B) 사이에 언폴딩 가이드부(40)가 구비되며, 상기 언폴딩 가이드부(40)는 선단부 쪽보다 기단부 쪽으로 갈수록 디퓨저 바디(10)의 바깥 방향으로 점점 더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픽싱 레버(30)가 픽싱 가동볼트(20)를 따라 하강할수록 픽싱 레버(30)는 언폴딩 가이드부(40)에 의해 점점 더 많이 디퓨저 바디(10)의 바깥으로 펼쳐지게 된다. 디퓨저 바디(10)에서 픽싱 레버(30)가 언폴딩 가이드부(40)를 따라 더 자연스럽고 부드럽게 펼쳐지게 된다. 특히, 언폴딩 가이드부(40)는 디퓨저 바디(10)의 종단면도로 볼 때에 디퓨저 바디(10)의 중심부 쪽으로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되어, 픽싱 레버(30)가 언폴딩 가이드부(40)의 오목한 곡면부를 부드럽게 타고 내려오면서 걸리는 현상(잼현상)이 방지된다. 즉, 픽싱 레버(30)가 언폴딩 가이드부(40)의 외표면을 형성하는 회전 하강 궤적 곡면부를 따라 디퓨저 바디(10)의 바깥으로 벌어지면서 내려오는 과정에서 언폴딩 가이드부(40)의 외표면과 주위의 전선이나 기타 물건 등의 사이에 끼어서 제대로 회전 및 하강하지 못하는 경우가 방지된다. 본 발명에서는 디퓨저 바디(10)의 두 개소에 구비된 각각의 픽싱 레버(30)를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디퓨저 바디(10)의 바깥 방향으로 펼쳐줄 수 있게 된다.
다음, 상기 픽싱 가동볼트(20)를 계속 조여서 픽싱 레버(30)를 완전히 펼치면서 완전히 내려주면, 상기 픽싱 레버(30)는 천정판(2)의 상면에 가압되고 디퓨저 바디(10)의 하단 플랜지부(14)는 천정판(2)의 저면에 가압되므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용 디퓨저를 천정판(2)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픽싱 레버(30)의 픽싱 플레스 블록과 가압돌편(37)이 천정판(2)의 상면에 가압 밀착되고, 상기 디퓨저 바디(10)의 하단 플랜지부(14)가 천정판(2)의 저면에 가압 밀착된다. 한편, 상기 픽싱 레버(14)는 디퓨저 바디(10)에서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는 레버 수용홈(12A)의 수직 벽부에 걸려지게 되므로, 픽싱 가동볼트(20)를 계속 돌리더라도 픽싱 레버(14)가 펼쳐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다시 돌아가서 디퓨저 바디(10) 쪽으로 다시 접혀지는 일이 없이 디퓨저 바디(10)에서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픽싱 가동볼트(20)를 따라 하강하여 천정판(2) 상면과 저면에 각각 픽싱 레버(30)과 디퓨저 바디(10)의 하단 플랜지부(14)가 가압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버 수용홈의 상기 언폴딩 레버 수용홈의 하단부는 언폴딩 가이드부의 하단부에서 상기 디퓨저 바디의 저면 쪽으로 더 연장되어, 상기 언폴딩 가이드부의 하단부에 폴딩 방지턱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픽싱 레버(14)가 디퓨저 바디(10)의 바깥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최하측으로 하강할 때에 상기 픽싱 레버(14)가 폴딩 방지턱과 언폴딩 레버 수용홈의 수직 벽부 사이에 삽입되어 지지되므로, 디퓨저 바디(10)의 중심부 쪽으로 픽싱 레버(14)가 다시 접혀지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용 디퓨저에서는 픽싱 가동볼트(20)를 회전시키면 디퓨저 바디(10) 쪽으로 접혀져 있던 픽싱 레버(30)가 언폴딩 가이드부(40)에 접촉된 상태로 하강하면서 언폴딩 가이드부(40)에 의해 자동으로 펼쳐지므로, 상기 픽싱 레버(30)가 천정판(2) 안에 있는 전선이나 공기조화기용 덕트 배관(유연성이 있는 덕트 배관)등의 시설물에 걸려서 제대로 펼쳐지지 못하는 경우를 방지하므로, 천정판(2)에 제대로 설치하지 못하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천정판(2)과 천정 슬라브 사이에 조명용 전선이나 덕트용 배관과 같이 여러 가지 시설물이 있는데, 예를 들어 전선이 픽싱 레버(30)를 눌러버리는 경우 상기 언폴딩 가이드부(40)가 없는 경우에는 전선에 의해 눌려져서 디퓨저 바디(10) 쪽으로 접혀진 픽싱 레버(30)가 픽싱 가동볼트(20)를 돌려도 펼쳐지지 못하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픽싱 레버(30)가 계속 내려와도 천정판(2)에 가압되지 못하고 디퓨저 설치공으로 픽싱 레버(30)가 빠지게 되어서 공기조화기용 디퓨저를 제대로 천정판(2)에 설치할 수 없지만, 본 발명에서는 전선이 픽싱 레버(30)를 눌러버리는 경우라 하더라도 상기 언폴딩 가이드부(40)가 구비되어 있어서, 전선에 의해 눌려져서 디퓨저 바디(10) 쪽으로 접혀진 픽싱 레버(30)가 픽싱 가동볼트(20)의 회전에 따라 하강하면서 상기 언폴딩 가이드부(40)에 의해 전선이 누르는 힘을 이기고 자동으로 디퓨저 바디(10)의 바깥쪽으로 펼쳐지므로, 이러한 상태에서 픽싱 레버(30)가 계속 내려오면 천정판(2)에 픽싱 레버(30)가 제대로 가압되고 디퓨저 설치공으로 픽싱 레버(30)가 빠지는 경우는 생기지 않으므로 공기조화기용 디퓨저를 제대로 천정판(2)에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즉, 작업자가 천정판(2) 밑에서 픽싱 가동볼트(20)를 돌려주기만 하면 픽싱 레버(30)가 자동적으로 펼쳐지므로, 공기조화기용 디퓨저를 천정판(2)에 손쉽고 정확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천정판(2)의 밑에서 굳이 픽싱 레버(30)가 제대로 펼쳐져 있는 지의 여부를 확인할 필요가 없고, 천정판(2)에 설치할 때에 제대로 픽싱 레버(30)가 펼쳐져 있나의 여부를 일일이 확인해야 하는 불편을 해소한다. 픽싱 가동볼트(20)를 돌려주기만 하면 상기 언폴딩 가이드부(40)에 의해 픽싱 레버(30)가 완전히 디퓨저 바디(10)에서 펼쳐져서 천정판(2)에 고정되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픽싱 레버(30)는 내부에 이너 스페이가 확보되어 있어서, 상기 픽싱 레버(30)가 뒤틀림 등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게 되므로, 제품의 품질을 보다 높일 수 있다. 픽싱 레버(30)와 디퓨저 바디(10)가 합성수지로 제작되어 온도 변화 등에 의해 픽싱 레버(30)가 수축이나 팽창 등의 변형이 생길 여지가 있는데, 상기 픽싱 레버(30)에 이너 스페이스롤 확보함으로 인하여 이러한 수축이나 팽창 등의 변형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공기조화기용 디퓨저의 제품성을 보다 높이게 된다. 픽싱 레버(30)에 구비된 브릿지편(34)에 의해 픽싱 레버(30)의 내부에 이너 스페이스를 확보함과 더불어 픽싱 레버(30) 자체의 강도는 브릿지편(34)에 의해 충분히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너 스페이스만큼 픽싱 레버(30) 성형을 위한 재료를 줄일 수 있으므로, 재료 절감과 원가를 낮출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픽싱 레버(30)의 픽스 프레싱 블록(36)에 구비된 복수개의 가압돌편(37)이 천정판(2)에 가압 밀착되어 마찰력을 높이므로, 상기 픽싱 레버(30)가 천정판(2)에서 슬립되면서 디퓨저 바디(10)의 위치가 틀어지는 것과 같은 변형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가압돌편(37)은 끝이 뾰족한 돌기 형상으로 구성되어, 가압돌편(37)의 뾰족한 첨두부가 천정판(2)의 표면에서 일정 깊이 파고 들어가서 쐐기 역할도 하므로, 픽싱 레버(30)의 슬립과 디퓨저 바디(10) 등의 위치 틀어짐 현상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용 디퓨저의 설치 정밀도를 높이는데 보다 도움이 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언폴딩 가이드부(40)의 안쪽면에는 오목홈부(42)가 확보되어, 상기 디퓨저 바디(10)의 하단 개방부로부터 공기를 빨아들이 때에 상기 오목홈부(42)로 인하여 공기 저항을 줄이게 되므로 공조 효율을 더 높이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 디퓨저 바디 20. 픽싱 가동볼트
30. 픽싱 레버 40. 언폴딩 가이드부

Claims (7)

  1. 디퓨저 바디(10);
    상기 디퓨저 바디(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픽싱 가동볼트(20);
    상기 픽싱 가동볼트(20)에 결합되어 상기 픽싱 가동볼트(20)를 상기 디퓨저 바디(10)에서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디퓨저 바디(10)의 상하 방향으로 승강되는 픽싱 레버(30);
    상기 디퓨저 바디(10)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상기 디퓨저 바디(10)의 중심부로부터 점점 더 벌어지도록 돌출되어 상기 픽싱 레버(30)가 상기 디퓨저 바디(10) 쪽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상기 디퓨저 바디(10)의 하단부 쪽으로 하강할 때에 상기 픽싱 레버(30)가 따라 내려가면서 상기 디퓨저 바디(10)에서 바깥으로 벌어지도록 하는 언폴딩 가이드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디퓨저 바디(10)에는 중심부를 기준으로 적어도 두 개소의 레버 수용홈(12)이 구비되고,
    상기 레버 수용홈은,
    상기 픽싱 레버가 상기 디퓨저 바디의 중심부 쪽으로 접혀질 때에 상기 픽싱 레버가 수용되는 폴딩 레버 수용홈;
    상기 폴딩 레버 수용홈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단부가 상기 폴딩 레버 수용홈에 이어지며 상기 픽싱 가동볼트의 회전에 의해 상기 픽싱 레버가 상기 디퓨저 바디의 바깥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하강할 때에 상기 픽싱 레버의 하강 가이드홈이 되는 언폴딩 레버 수용홈;을 포함하며,
    상기 언폴딩 가이드부의 외표면의 상기 회전 하강 궤전 곡면부는 선단부에서 상기 언폴딩 레버 수용홈 쪽으로 갈수록 상기 디퓨저 바디의 바깥쪽으로 점차적으로 더 돌출된 면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용 디퓨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언폴딩 가이드부의 외표면은, 기단부를 기준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회전 궤적상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계단들에 의해 형성된 회전 하강 궤적을 따라 연속적으로 이어진 복수개의 곡면부로 구성되고, 상기 회전 하강 궤적을 따라 연속적으로 이어진 상기 복수개의 곡면부에 의해 상기 언폴딩 가이드부의 외표면이 회전 하강 궤적 곡면부로 형성되며, 상기 픽싱 레버가 상기 픽싱 가동볼트의 회전에 따라 하강함과 동시에 상기 언폴딩 가이드부의 상기 회전 하강 궤적 곡면부를 따라 내려가면서 상기 디퓨저 바디의 외측으로 펼쳐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용 디퓨저.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수용홈의 상기 언폴딩 레버 수용홈의 하단부는 상기 언폴딩 가이드부의 하단부에서 상기 디퓨저 바디의 저면 쪽으로 더 연장되어, 상기 언폴딩 가이드부의 하단부에 폴딩 방지턱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용 디퓨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수용홈(12)은 상기 디퓨저 바디(10)의 중심부 쪽으로 내향 돌출된 내향 홈하우징(12HG)에 의해 상기 디퓨저 바디(10)의 외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용 디퓨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픽싱 레버(30)는 내부에 이너 스페이스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디퓨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픽싱 레버(30)의 선단부에는 픽스 프레싱 블록(36)이 더 구비되고, 상기 픽스 프레싱 블록(36)의 저면에는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가압돌편(37)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디퓨저.
KR1020160081281A 2016-05-28 2016-06-29 공기조화기용 디퓨저 KR1016866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66009 2016-05-28
KR1020160066009 2016-05-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6652B1 true KR101686652B1 (ko) 2016-12-14

Family

ID=57575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1281A KR101686652B1 (ko) 2016-05-28 2016-06-29 공기조화기용 디퓨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665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4131A (ja) * 1997-06-20 1999-01-22 Mitsubishi Electric Corp 給排気口
KR100945849B1 (ko) * 2009-03-09 2010-03-05 (주)기가바이트씨앤씨 조명 겸용 실링스피커
KR100999995B1 (ko) * 2010-03-11 2010-12-09 거성전자산업(주) 천장 매립형 하우징
KR200468480Y1 (ko) 2012-03-07 2013-08-19 안진혁 공기조화용 디퓨져 고정구조
KR200477238Y1 (ko) 2014-10-16 2015-05-21 주식회사 씨앤씨코리아 디퓨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4131A (ja) * 1997-06-20 1999-01-22 Mitsubishi Electric Corp 給排気口
KR100945849B1 (ko) * 2009-03-09 2010-03-05 (주)기가바이트씨앤씨 조명 겸용 실링스피커
KR100999995B1 (ko) * 2010-03-11 2010-12-09 거성전자산업(주) 천장 매립형 하우징
KR200468480Y1 (ko) 2012-03-07 2013-08-19 안진혁 공기조화용 디퓨져 고정구조
KR200477238Y1 (ko) 2014-10-16 2015-05-21 주식회사 씨앤씨코리아 디퓨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11578B1 (en) Plenum and diffuser for heating, ventilating and air conditioning applications
US20080188175A1 (en) Air circulator with releasable air grille
US4336749A (en) Fan housing unit and mounting device therefor
JP2007529681A (ja) 柱状空気流の発生装置、発生システム、及び発生方法
US6261175B1 (en) Ventilating exhaust fan
CA2880875A1 (en) Ventilation system and method
CA2356788C (en) Recessed fixture frame
JP2009019811A (ja) 天井据付け型空気調和機のねじカバー装置
JP3678101B2 (ja) 浴室暖房乾燥機
US6030287A (en) System for distributing air through a ceiling in a room
KR101686652B1 (ko) 공기조화기용 디퓨저
JP6730688B2 (ja) 空気調和機
KR200477238Y1 (ko) 디퓨져
JP7197826B2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KR101522498B1 (ko) 실내바닥용 디퓨저
US20080210767A1 (en) Air Conditioning Diffuser Having Function of Automatically Changing Air Supply Direction
US7150544B2 (en) Leveler for light assembly
US5954580A (en) Air diffuser and damper assembly
US11549304B2 (en) Wall port cover retention assembly
CA2578329A1 (en) Air circulation with releasable air grille
JP2000055552A (ja) 浴室暖房乾燥機
KR20140126643A (ko) 장착 구조를 개선한 공조 환풍기
KR200446469Y1 (ko) 환풍기의 조립구조
JPH0530256Y2 (ko)
BRMU8701580Y1 (pt) disposição construtiva aplicada em ventilador de teto eletrônic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