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6469Y1 - 환풍기의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환풍기의 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6469Y1
KR200446469Y1 KR2020080001455U KR20080001455U KR200446469Y1 KR 200446469 Y1 KR200446469 Y1 KR 200446469Y1 KR 2020080001455 U KR2020080001455 U KR 2020080001455U KR 20080001455 U KR20080001455 U KR 20080001455U KR 200446469 Y1 KR200446469 Y1 KR 2004464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pin
rectangular fixing
ventilator
elastic spring
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14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7899U (ko
Inventor
김재경
Original Assignee
김재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경 filed Critical 김재경
Priority to KR20200800014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6469Y1/ko
Publication of KR200900078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789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64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646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0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 F04D29/601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02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32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axial flow pumps
    • F04D29/34Blade mountings
    • F04D29/36Blade mountings adjust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04Wound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5/00Rotary kinetic fluid motors or pu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6/00Fluid reaction surfaces, i.e. impell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환풍기의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날개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회전축 끝단에 장방형 고정핀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장방형 고정핀을 잡아 지지하는 회동판의 표면에 탄성 스프링을 잡아주는 돌출형 지지구를 구성하여 보다 견고한 형태로 환풍기를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환풍기의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환풍기

Description

환풍기의 조립구조{Assembly construction for extractor fan}
본 고안은 환풍기의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날개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회전축 끝단에 장방형 고정핀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장방형 고정핀을 잡아 지지하는 회동판의 표면에 탄성 스프링을 고정시키는 돌출형 지지구를 구성하여 보다 견고한 형태로 환풍기를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환풍기의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풍기는 건물 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여 건물 외부로 배출하는 장치로, 내부에 장착된 회전 팬이 회전하면서 발생하는 흡입력을 통해 오염된 실내 공기를 흡입한 후 덕트를 통해 건물 외부로 배출하는 방식이며, 실내 공기를 정화하면서 냄새 또한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유용한 장치이다.
이러한 특성에 따라 환풍기는 실내 공기의 오염 또는 냄새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욕실, 화장실이나 렌지후드 등에 주로 설치되고 있다.
한편, 상기 환풍기는 날개 몸체와, 상기 날개 몸체에 연결된 회동축 및 상기 회동축에 형성된 돌출편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동축과 날개 몸체의 표면이 일정 각도를 이루는 날개와, 외주를 따라 등간격으로 회동축 지지홈이 형성된 수직벽을 포함하여 상부면에 스프링 단부 걸이편과 돌출편 이동 개구를 갖는 날개 장착 본체와, 타측의 스프링 단부 걸이편 및 돌출핀 삽입 구멍을 가지며 상기 날개 장착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날개의 회동 범위를 한정하는 회동판과, 일단부가 상기 날개 장착 본체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회동판에 고정되어 상기 날개가 회전하고 있지 않을 때 날개가 펼쳐진 위치로부터 날개가 닫혀진 위치로 자동적으로 복귀시키기 위한 탄성 수단 및 상기 날개 장착 본체에 위에서 결합되어 상기 회동판과 탄성 수단을 유지시켜주는 캡을 포함하여서 구성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구성의 환풍기는 선출원 제20-2003-0030491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여러 부품의 금형을 사용하여 사출 성형할 수 있다.
이러한 환풍기는 날개와 일체로 고정되는 회동축의 돌출핀 부분이 원형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상기 돌출핀을 회동판의 삽입구멍에 고정하여 작동시키는 경우나 조립할 경우에는 상기 돌출핀이 쉽게 부러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돌출핀을 고정시키는 회동판의 표면에는 코일 스프링을 고정하는 걸이부가 형성되어 작동하지만, 코일 스프링을 외부에서 잡아주는 어떠한 기능도 없어서 상황에 따라서는 탄성 스프링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날개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회전축 끝단에 장방형 고정핀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장방형 고정핀을 지지하는 회동판의 표면에 스프링을 잡아주는 돌출형 지지구를 구성하여 보다 견고한 형태로 환풍기를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날개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회전축 끝단에는 그 단면이 넓은 장방형 고정핀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장방형 고정핀과 일체로 조립되는 회동판의 표면에는 탄성 스프링을 안전하게 보호하면서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돌출형 지지구를 갖는 환풍기의 조립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환풍기 조립구조에 따르면, 날개부와 일체로 고정되는 회전축의 끝단에는 장방형 고정핀이 구성되어 있어서 장방형 고정핀을 몸체 표면의 공간부와 회동판의 구멍에 삽입하여 작동시키는 경우 장방형 고정핀은 그 단면적인 크고 넓어 외부에서 발생하는 힘에도 쉽게 파손되지 않아 그 수명을 장구히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장방형 고정핀이 결합하는 회동판의 표면에는 탄성 스프링을 고정하는 돌출형 지지구가 형성되어 가이드 함으로써 탄성 스프링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구성 및 작동상태를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의 일실시례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예시일 뿐이며, 본 고안의 범위가 도면 또는 상기 도면을 참조한 설명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종래에 사용되는 환풍기의 조립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가 조립되어 작동하는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가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요부가 조립되는 상태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요부를 발췌하여 확대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요부를 발췌하여 확대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도 4 및 도 6과 같이 날개부(14)와 일체로 형성되는 회전축(15)의 끝단에 그 단면이 넓은 장방형 고정핀(17)을 형성하고, 상기 장방형 고정핀(17)과 일체로 조립되는 회동판(18)의 표면에는 탄성 스프링(22)을 안전하게 보호하면서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돌출형 지지구(20)(21)가 형성된다.
상기 장방형 고정핀(17)과 날개부(14) 사이에 형성되는 회전축(15) 표면에는 다수의 걸림턱(16)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16)은 몸체(10) 외주연에 형성되는 요홈(11)에 각각으로 조립되는 구성이다.
상기 몸체(10) 표면에는 장방형 고정핀(17)이 작동하기 위한 공간부(12)와, 탄성 스프링(22)의 일측을 고정하기 위한 걸이구(23)와, 회동판(18)과 일체로 조립되기 위한 고정구(13)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몸체(10)와 일체로 결합되는 회동판(18)의 표면에는 장방형 고정핀(17)이 노출되는 구멍(19)과 탄성 스프링(22)을 안전하게 잡아주는 돌출형 지지구(20)(21)를 구성하고, 돌출형 지지구(20)(21) 내부 표면 소정의 위치에는 서로 이격된 걸이구(23)(24)를 형성한 후, 탄성 스프링(22)의 일측을 각각 고정할 수 있게 하였다.
상기 돌출형 지지구(20)(21) 내부 표면 소정의 위치에는 서로 떨어진 조립 홈(28)이 형성되며, 상기 조립홈(28)에는 몸체(10) 고정구(13) 외주연에 형성된 조립핀(29)이 각각으로 삽입됨과 함께 상기 조립핀(29)에는 탄성 스프링(22)의 타측이 각각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장방형 고정핀(17)의 경우 그 단면을 보다 넓게 구성하여 회동판(18)의 구멍(19)에 삽입되어 작동하게 되므로 외부에서 발생하는 힘에 안전하게 견딜 수 있는 구조이다.
도 6과 같이 커버(25) 내부에 형성되는 리브(30)는 장방형 고정핀(17) 상측면과 밀착된 후, 상기 장방형 고정핀(17)을 안전하게 지지하면서 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즉, 알려진 방식으로 환풍기가 작동하게 되면, 날개부(14)의 회전축(15)이 날개부(14)의 중심이 아닌 한쪽으로 치우칠 뿐만 아니라, 수평면에서 아래쪽으로 경사져 있기 때문에 날개는 원심력에 의해서 자동으로 펼쳐지게 된다. 이때,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원심력이 날개부(14)를 원위치에서 유지시키려는 탄성 스프링(22)의 스프링력을 극복하게 되며, 원심력에 의해 날개부(14)가 펼쳐질 때 상기 날개부(14)는 회전축(15)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회전축(15)의 회전은 장방형 고정핀(17)이 날개 장착 몸체(10)의 공간부(12) 내에서 날개부(14) 장착 몸체(10)에 대해서 시계방향으로 안전하게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날개부(14)가 펼쳐질 때 돌출되는 장방형 고정핀(17)은 공간부(12)의 단부(27)에 걸리게 되면서 회전축(15)은 더 이상 회전할 수 없게 되며, 날개부(14)도 더 이상 펼쳐지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펼쳐진 날개부(14)는 환풍기가 작동되고 있는 한 날개에 계속 원심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펼쳐진 상태로 유지되며, 이때 환풍기의 작동을 중지시키면 환풍기가 회전을 멈추므로 더 이상 날개에 원심력이 작용하지 않게 된다. 그 결과, 늘어난 탄성 스프링(22)의 복원력만이 환풍기의 날개부(14)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외력으로 남아 상기 탄성 스프링(22)은 돌출형 지지구(20)(21) 내부에서 작동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례에 의해 구성된 환풍기의 조립구조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몸체(10) 표면에는 장방형 고정핀(17)이 돌출한 상태로 작동되기 위한 공간부(12)와, 탄성 스프링(22)의 일측을 고정하기 위한 걸이구(23)와, 회동판(18)과 일체로 조립되기 위한 고정구(13)이 구성되고, 장방형 고정핀(17)과 날개부(14) 사이에 형성되는 회전축(15)의 표면에는 다수의 걸림턱(16)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16)은 몸체(10) 외주연에 형성되는 요홈(11)에 각각으로 조립되고, 이때 장방형 고정핀(17)의 경우 그 단면적을 보다 넓게 구성시키므로 인하여 회동판(18)의 구멍(19)에 삽입된 후에도 외부로부터 발생하는 힘에 견딜 수 있는 안전한 구조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커버(25) 내부에 형성되는 리브(30)는 장방형 고정핀(17) 상측면과 밀착된 후, 상기 장방형 고정핀(17)을 안전하게 지지하면서 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장방형 고정핀(17)과 일체로 조립되는 회동판(18)의 표면에는 탄성 스프링(22)을 안전하게 보호하면서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돌출형 지지 구(20)(21)를 형성하게 되므로 날개부(14)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데 아무런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본 고안은 날개부(14)와 일체로 고정되는 회전축(15)의 끝단에 장방형 고정핀(17)을 구성하여 상기 장방형 고정핀(17)을 몸체 표면의 공간부(12)와 회동판(18)의 구멍(19)에 삽입하여 작동시키는 경우 단면적인 크고 넓어 외부에서 발생하는 힘에도 쉽게 파손되지 않아 그 수명을 장구히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장방형 고정핀(17)이 결합하는 회동판(18)의 표면에는 탄성 스프링(22)을 고정하는 돌출형 지지구(20)(21)가 형성되어 가이드 함에 따라 탄성 스프링(22)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에 사용되는 환풍기의 조립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가 조립되어 작동하는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가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요부가 조립되는 상태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요부를 발췌하여 확대한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요부가 발췌하여 확대한 상태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몸체 11. 요홈
12. 공간부 13. 고정구
14. 날개부 15. 회전축
16. 걸림턱 17. 장방형 고정핀
18. 회동판 19. 구멍
20,21. 돌출형 지지구 22. 탄성스프링
23,24. 걸이구 25. 커버
26. 모터 27. 단부
28. 조립홈 29. 조립핀
30. 리브

Claims (3)

  1. 환풍기의 조립구조에 있어서,
    날개부(14)와 일체로 형성되는 회전축(15) 끝단에는 단면적이 크고 넓은 장방형 고정핀(17)을 형성하되,
    상기 장방형 고정핀(17)은 커버(25) 내부에 형성되는 리브(30)와 밀착되어 작동되며,
    상기 장방형 고정핀(17)과 조립되는 회동판(18)의 표면에는 탄성 스프링(22)을 안전하게 보호하면서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돌출형 지지구(20)(21)를 더 형성하여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환풍기의 조립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형 지지구(20)(21) 내부 표면 소정의 위치에는 서로 이격된 걸이구(23)(24)를 형성한 후, 탄성 스프링(22)의 일 측을 각각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환풍기의 조립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형 지지구(20)(21) 내부 표면 소정의 위치에는 서로 이격된 조립홈(28)을 형성하고, 상기 조립홈(28)에는 몸체(10)의 고정구(13) 외주연에 형성된 조립핀(29)이 각각으로 삽입되며, 상기 조립핀(29)에는 탄성 스프링(22)의 타 측이 각각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환풍기의 조립구조.
KR2020080001455U 2008-01-31 2008-01-31 환풍기의 조립구조 KR2004464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1455U KR200446469Y1 (ko) 2008-01-31 2008-01-31 환풍기의 조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1455U KR200446469Y1 (ko) 2008-01-31 2008-01-31 환풍기의 조립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7899U KR20090007899U (ko) 2009-08-05
KR200446469Y1 true KR200446469Y1 (ko) 2009-10-30

Family

ID=41300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1455U KR200446469Y1 (ko) 2008-01-31 2008-01-31 환풍기의 조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646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9376B1 (ko) * 2021-03-26 2021-10-07 김미자 환기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1437A (ko) * 1995-08-03 1997-03-27 전명진 회전 날개의 각도 변위가 용이한 환풍기
KR19990014339U (ko) * 1998-12-31 1999-04-26 유인만 개폐 환풍기
KR200336476Y1 (ko) 2003-09-26 2003-12-18 김장식 환풍기
KR200432823Y1 (ko) 2006-07-13 2006-12-08 한일전기주식회사 환풍기의 날개 전개각도 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1437A (ko) * 1995-08-03 1997-03-27 전명진 회전 날개의 각도 변위가 용이한 환풍기
KR19990014339U (ko) * 1998-12-31 1999-04-26 유인만 개폐 환풍기
KR200336476Y1 (ko) 2003-09-26 2003-12-18 김장식 환풍기
KR200432823Y1 (ko) 2006-07-13 2006-12-08 한일전기주식회사 환풍기의 날개 전개각도 제어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9376B1 (ko) * 2021-03-26 2021-10-07 김미자 환기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7899U (ko) 2009-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8203B1 (ko) 필터 어셈블리
KR200414567Y1 (ko) 환풍기 이동장치
JP4675651B2 (ja) 換気扇
US20160102670A1 (en) Fan Assembly Having An Improved Support Arrangement
KR200446469Y1 (ko) 환풍기의 조립구조
KR100848358B1 (ko) 환기덕트용 댐퍼
JP5315832B2 (ja) 外壁端末換気口
KR101038018B1 (ko) 원심력을 이용한 송풍팬용 셔터개폐구조
JP5588848B2 (ja) 送風装置
JP2004198046A (ja) 送風装置及び空気調和機
JP2015169151A (ja) 扇風機および扇風機の羽根
KR200390499Y1 (ko) 360도 선풍기
KR200421314Y1 (ko) 환풍기용 송풍날개구조체
KR20170129030A (ko) 날개 없는 선풍기용 틸팅장치
JP6735906B2 (ja) ダクト用換気扇
JP2010196970A (ja) 天井埋込形換気扇
WO2020079850A1 (ja) 浴室乾燥機
JP4788395B2 (ja) 外壁端末換気口
JP2021162428A5 (ko)
KR0117532Y1 (ko) 환풍기
KR100815607B1 (ko) 팬의 가동여부 확인장치
KR100907755B1 (ko) 환풍기
KR20080042535A (ko) 환풍기의 그릴구조
ES2611137T3 (es) Dispositivo para ventilación mecánica controlada
KR101715480B1 (ko) 환풍기 그릴 체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