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6643A - 장착 구조를 개선한 공조 환풍기 - Google Patents

장착 구조를 개선한 공조 환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6643A
KR20140126643A KR20130045080A KR20130045080A KR20140126643A KR 20140126643 A KR20140126643 A KR 20140126643A KR 20130045080 A KR20130045080 A KR 20130045080A KR 20130045080 A KR20130045080 A KR 20130045080A KR 20140126643 A KR20140126643 A KR 201401266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holder
ventilator
hole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45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81039B1 (ko
Inventor
조철휘
Original Assignee
조철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철휘 filed Critical 조철휘
Priority to KR201300450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1039B1/ko
Publication of KR20140126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66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1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10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2Supports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or ventilation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10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air supply, or exhaust, through perforated wall, floor or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착 구조를 개선한 공조 환풍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에어 플로우 포트가 둘레부에 구비되고 내부에는 환기팬(21)이 내장되는 환풍기 바디(20)와; 상기 환풍기 바디(20)에 구비되어 그 내부로 와이어(40)가 통과되도록 구성되며 내부에는 와이어 그립부가 구비된 고정 홀더(30)와; 상기 환풍기 바디(20)가 설치되기 위한 건물의 슬라브(4)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 홀더(30)를 통과하여 상기 환풍기 바디(20)에서 연장된 와이어(40)를 걸어주기 위한 고정 지지체(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장착 구조를 개선한 공조 환풍기{Air conditioning ventilator with improved mounting structure}
본 발명은 장착 구조를 개선한 공조 환풍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조 환풍기가 설치된 건물 슬라브 아래의 천정판 및 천정판에 설치된 공조 환풍기가 점차 아래로 처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장착 구조를 개선한 공조 환풍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공조 환풍기의 높낮이 균형을 맞추고자 할 때에는 주요부인 환풍기 바디의 아래에서 내부로 손을 집어넣고 충분히 높낮이 조절 작업 등을 실시할 수 있으므로, 공조 환풍기 설치시에도 신속하고 편리함은 물론 사후 유지 관리나 보수 등에 있어서도 매우 손쉬운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어서 여러모로 유용한 새로운 공조 환풍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 주택이나 산업 현장의 건물과 같이 다양한 건물에 공조 환풍기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환풍기는 내부에 환기팬이 구비되어 건물의 천정 등에 설치되며 건물의 각 실내에 덕트 유닛(예를 들어, 플렉시블관과 디퓨저 등)을 매개로 연통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종래의 환풍기 제품 중에는 환풍기 몸체를 구성하는 대략 사각 박스형태의 환풍기 바디에 모터로 회전되는 환기팬을 내장 설치하고, 환풍기 바디의 측벽부에는 배출구를 형성하고, 이러한 배출구에는 공조용 플렉시블관 등을 연결하여 사용하는 제품이 출시되어 있기도 하다. 한편, 배출구와 흡입구가 환풍기 바디의 측면부에 나란하게 형성된 환풍기의 경우, 상기 배출구와 흡입구에 공조용 플렉시블관을 동시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공조 환풍기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건물의 슬라브 하부에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된 천정판에 환풍기 장착홀을 천공하고, 환풍기 바디를 천정판에 형성된 환풍기 장착홀에 끼워서 설치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환풍기 바디에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플랜지부가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건물의 슬라브와 천정판 사이에 설치된 플렉시블관을 환풍기 바디의 측면부에 형성된 배출구(이때, 배출구와 흡입구가 환풍기 바디의 측면부에 나란하게 설치된 경우에는 배출구 및 흡입구)에 먼저 결합하고, 환풍기 바디 둘레부의 플랜지부를 천정판에 볼트 등의 체결구로 고정하는 방식으로 공조 환풍기를 설치하게 된다.
그런데, 공조 환풍기를 건물의 천정 슬라브 아래에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천정판에 설치할 경우에는 공조 환풍기 자체의 무게로 인하여 천정판과 공조 환풍기가 점차 아래로 처지게 되는 문제가 있으며, 천정판과 공조 환풍기가 처질 경우 구조적으로 강도가 저하되어 공조 환풍기가 바닥으로 떨어질 염려가 없지 않으며, 이로 인하여 안전성 등에서 문제가 될 여지가 있다. 공조 환풍기에는 환기팬을 돌리기 위한 모터와 환기팬 등이 수납되어 있어서 자체의 무게가 적지 않다고 볼 수 있는데, 공조 환풍기의 무게를 순전히 천정판으로만 버티고 있는 셈이 되므로, 공조 환풍기와 천정판이 점점 아래로 처지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또한, 기존에는 건물 천정 슬라브 아래의 천청판에 천공되어 있는 환풍기용 장착홀에 공조 환풍기를 끼워준 다음, 공조 환풍기를 잡은 상태에서 공조 환풍기 고정을 위한 작업(즉, 공조 환풍기의 플랜지부를 볼트 등의 체결구에 의해 천정판에 고정하는 등의 작업)을 실시해야 하므로, 공조 환풍기 설치 작업시 불편한 점이 있으며 작업 인력도 그만큼 더 요구되는 등의 문제도 있다.
또한, 종래에는 공조 환풍기를 설치한 다음에는 천정판의 높이가 불균일하거나 기타 다른 요인에 의해 공조 환풍기의 설치 높이가 균일하지 못한 경우에는 천정판 안으로 손을 집어넣고 공조 환풍기의 높낮이를 조절해야 하므로, 유지 보수나 관리 작업 등에 있어서 쉽지 않은 단점이 있다. 공조 환풍기가 천정판을 기준으로 높낮이 편차가 생겨서 공조 환풍기의 높낮이를 다시 맞추고자 할 경우 종래에는 천정판 안쪽(공조 환풍기 위쪽)으로 작업자가 손을 집어넣고 높이 조절 작업을 해야 되는데, 이처럼 공조 환풍기 위쪽으로 손을 집어넣기가 실제로 불가능하므로 실질적으로 공조 환풍기의 설치 높이를 맞추는 작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생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공조 환풍기가 설치된 건물 슬라브 아래의 천정판 및 천정판에 설치된 공조 환풍기가 점차 아래로 처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서 구조적인 견고성과 안전성 등의 측면에서 바람직하고, 공조 환풍기 설치시에도 편리하고 작업 인력을 줄일 수 있어서 경제성 등의 측면에서도 좋은 새로운 구성의 장착 구조를 개선한 공조 환풍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공조 환풍기의 높낮이 균형을 맞추고자 할 때에는 주요부인 환풍기 바디의 아래에서 내부로 손을 집어넣고 충분히 높낮이 조절 작업 등을 실시할 수 있으므로, 공조 환풍기 설치시에도 신속하고 편리함은 물론 사후 유지 관리나 보수 등에 있어서도 매우 손쉬운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어서 여러모로 유용한 새로운 공조 환풍기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에어 플로우 포트가 둘레부에 구비되고 내부에는 환기팬이 내장되는 환풍기 바디와; 상기 환풍기 바디에 구비되어 그 내부로 와이어가 통과되도록 구성되며 내부에는 와이어 그립부가 구비된 고정 홀더와; 상기 환풍기 바디가 설치되기 위한 건물의 슬라브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 홀더를 통과하여 상기 환풍기 바디의 상부측으로 연장된 와이어를 걸어주기 위한 고정 지지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구조를 개선한 공조 환풍기가 제공된다.
상기 고정 홀더는, 내부에 상하단부로 연통된 핀홀을 구비하고 상기 핀홀의 내주면에는 테이퍼부가 구비되어 상기 환풍기 바디의 내부에 장착되는 홀더 바디와; 상기 홀더 바디의 상기 핀홀에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외주면에는 상기 핀홀 내주면의 상기 테이퍼부와 접촉되는 테이퍼부가 구비되고 그 내부에는 상하단부로 연통된 와이어 통과홀이 구비되며 상기 테이퍼부에는 내외부로 연통된 볼출몰홀을 구비하여 상기 홀더 바디의 내부로 투입되어 상기 와이어 통과홀을 지나온 와이어가 그 하단부로 인출되어 나오는 홀더핀과; 상기 홀더핀의 상기 볼출몰홀에 결합된 그립볼과; 상기 홀더 바디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홀더핀의 상기 테이퍼부를 상기 홀더 바디 내부의 핀홀에 구비된 상기 테이퍼부에 밀착시켜 상기 그립볼이 상기 홀더핀의 상기 와이어 통과홀을 중심부 방향으로 좁혀지도록 하는 탄성체(3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핀홀은 상기 테이퍼부의 기단부에 단턱부가 구비되고, 상기 탄성체는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상기 홀더핀의 외주면에 결합됨과 동시에 그 양단부는 상기 단턱부와 상기 홀더 바디 내부의 상기 핀홀 한쪽 단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홀더핀 외주면의 상기 테이퍼부를 상기 홀더 바디 내주면의 상기 테이퍼부에 밀착되도록 탄지한다.
상기 홀더핀은 상기 테이퍼부의 기단부에 단턱부가 구비되고, 상기 탄성체는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상기 홀더핀의 외주면에 결합됨과 동시에 그 상단부와 하단부는 상기 단턱부와 상기 홀더 바디 내부의 상기 핀홀 한쪽 단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홀더핀 외주면의 상기 테이퍼부를 상기 홀더 바디 내주면의 상기 테이퍼부에 밀착되도록 탄지하며, 상기 홀더핀을 하부로 이동시켜서 상기 와이어를 상기 그립볼로 잡아주는 그립력을 해제한 상태에서 상기 환풍기 바디의 높낮이를 와이어를 기준으로 조절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환풍기 바디는 상면과 측면에 구비된 상부측 와이어 인출홀 및 측방 와이어 인출홀을 구비하여 상기 홀더 바디가 그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홀더 바디의 상하단부로 연통된 핀홀의 내부에는 상하단으로 연통된 와이어 통과홀이 그 내부에 구비된 홀더핀이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환풍기 바디의 상기 상부측 와이어 인출홀을 통해 와이어가 투입되어 상기 홀더핀 내부의 상기 와이어 통과홀을 지나 상기 환풍기 바디의 상기 측방 와이어 인출홀로 인출되며, 상기 환풍기 바디의 내부에서 상기 홀더핀을 후퇴되도록 이동시켜서 상기 그립볼의 그립력을 해제한 다음 상기 와이어를 기준으로 상기 환풍기 바디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홀더 바디의 한쪽 단부에는 스톱퍼판이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스톱퍼판의 내부면과 상기 핀홀의 상기 테이퍼부 기단부에 구비된 상기 단턱부 사이에 상기 탄성체가 개재된다.
상기 홀더 바디의 다른 쪽 단부에는 상기 한쪽 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그 내경이 점점 커지는 (와이어 투입) 가이드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 지지체에는 상기 와이어를 걸어서 상기 환풍기 바디를 상기 천정 슬라브에 메달아 주기 위한 와이어 결합홈이 구비되며, 상기 와이어 결합홈은 상기 천정 슬라브의 저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됨과 동시에 상기 고정 지지체의 단부로 연통된 제1와이어 결합홈과, 상기 제1와이어 결합홈이 이어짐과 동시에 상기 천정 슬라브의 저면에 대해 교차하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제2와이어 결합홈을 구비하며, 상기 와이어의 상단부에는 결합 고리부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 고리부가 상기 제1와이어 결합홈을 통과하여 상기 제2와이어 결합홈에 안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 지지체는 상기 천정 슬라브 저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된 고정 브라켓편과, 상기 고정 브라켓편에서 교차되는 하방으로 연장된 행거 브라켓편을 포함하며, 상기 행거 브라켓편의 양단부에 상기 와이어 결합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환풍기 바디의 내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보스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 홀더의 상기 홀더핀이 돌출되는 한쪽 단부와 반대되는 다른 쪽 단부에는 보스편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 홀더의 상기 보스편에는 체결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스는 와이어가 통과되는 센터 보스와, 상기 센터 보스의 양쪽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 홀더의 상기 보스편에 형성된 체결홀과 만나는 사이드 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환풍기 바디의 내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브릿지편이 구비되고, 상기 브릿지편에 상기 보스가 일체형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환풍기 바디의 내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센터 보스와 사이드 보스가 구비되고, 상기 센터 보스는 그 내부에 상기 홀더 바디 내부의 핀홀 상단부와 연속으로 이어진 와이어 트랜스홀이 구비되며, 상기 와이어 트랜스홀의 상단부는 상기 환풍기 바디의 상면에 형성된 상부측 와이어 인출홀에 연결되어, 상기 환풍기 바디의 외부 상부측에서 상기 상부측 와이어 인출홀로 투입된 와이어가 상기 센터 보스 내부의 와이어 트랜스홀로 투입되도록 가이드되어 상기 홀더 바디 내부의 상기 핀홀 및 상기 홀더핀 내부의 와이어 통과홀을 지난 다음 상기 홀더핀의 하단부로 인출되도록 가이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본 발명은 주요부인 환풍기 바디를 천정 슬라브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 지지체에 와이어로 메달아 준 다음 와이어를 당겨주는 간단하고 편리한 조작에 의해 환풍기 바디를 설치 높이에 적절하게 맞추어 천정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일단 설치 작업에 있어서 편리하며, 상기 환풍기 바디가 천정판에 고정된 다음에는 천정 슬라브에 연결되어 있는 와이어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으므로, 천정판에 설치된 공조 환풍기가 아래로 처지는 현상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으며, 이처럼 공조 환풍기가 처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확실하게 보장하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환풍기 바디를 와이어와 고정 지지체를 이용하여 미리 천정에 매달아 놓고 환풍기 바디를 위로 올려서 상기 와이어를 고정 홀더 밑으로 당겨주면, 와이어가 팽팽하게 당겨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동시에 환풍기 바디의 하단부에 구비된 플랜지부를 천정판에 볼트 등의 체결구로 고정하면 되므로, 공조 환풍기 설치 작업이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다. 기존에는 건물 천정 슬라브 아래의 천청판에 천공되어 있는 환풍기용 장착홀에 공조 환풍기를 끼워준 다음, 공조 환풍기를 잡은 상태에서 공조 환풍기 고정을 위한 작업(즉, 공조 환풍기의 플랜지부를 볼트 등의 체결구에 의해 천정판에 고정하는 등의 작업)을 실시해야 하므로, 공조 환풍기 설치 작업시 불편한 점이 있으며 작업 인력도 그만큼 더 요구되는 등의 문제도 있으나, 본 발명은 천정 슬라브에 미리 공조 환풍기의 주요부인 환풍기 바디를 메달아 놓고 천정판에 환풍기 바디를 고정하기만 하면 되므로, 상기와 같은 공조 환풍기 설치 작업에 있어서의 불편함이라든지 작업 인력 낭비 요인이 완전히 해소되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공조 환풍기의 높낮이 균형을 맞추고자 할 때에는 주요부인 환풍기 바디의 아래에서 내부로 손을 집어넣고 충분히 높낮이 조절 작업 등을 실시할 수 있으므로, 공조 환풍기 설치시에도 신속하고 편리함은 물론 사후 유지 관리나 보수 등에 있어서도 매우 손쉬운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어서 여러모로 유용한 새로운 공조 환풍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작업자가 공조 환풍기가 설치된 천청판의 안으로 손을 집어넣어야만 높낮이 작업이 가능한 기존에 비하여 주요부인 환풍기 바디의 내부에 고정 홀더를 내장되도록 설치하여, 작업자가 환풍기 바디의 내부로 손을 집어넣어서 고정 홀더에 구비된 홀더핀을 후퇴시키는 동작을 한 다음에 천정 슬라브에 지지된 와이어를 기준으로 환풍기 바디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균형을 맞출 수 있어서 여러모로 유용하다. 기존에는 건물의 천정판을 떼어내고 공조 환풍기를 조절해야 하는 관계로 공조 환풍기의 높낮이 조절 등의 사후 작업이 쉽게 이루어지지 못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공조 환풍기의 주요부인 환풍기 바디를 지지하는 주요부인 와이어와, 이러한 와이어를 지지하는 고정 홀더가 환풍기 바디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어서, 상기 환풍기 바디의 아래에서 작업자가 환풍기 바디 안으로 손을 투입하여 고정 홀더에서 주요부인 홀더핀을 후퇴시켜준 다음 와이어를 기준으로 환풍기 바디를 높이를 맞추어주면 되므로, 공조 환풍기의 높낮이 조절과 같은 사후 관리 작업이 지장을 받지않고 충분히 수행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점이 본 발명의 주요 특징 중의 하나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환풍기 바디의 상부에서 고정 홀더를 관통하여 결합된 와이어를 고정 홀더 아래로 당겨줌으로써 환풍기 바디의 상부로 인출되는 와이어의 길이를 천정 슬라브와 천정판의 거리를 감안하여 미리 맞추어 놓은 상태에서 천정에 공조 환풍기를 설치할 수 있다. 즉, 환풍기 바디를 천정에 메달아 주기 이전에 미리 환풍기 바디 상부로 나오는 와이어의 길이를 조절한 다음에 천정 슬라브에 고정된 고정 지지체에 걸어서 설치할 수도 있으므로, 설치 작업에 있어서 보다 편리한 공정을 채택할 수 있는 부가적인 장점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와이어를 환풍기 바디의 내부로 통과시켜 고정 홀더의 내부로 결합시킬 때에 환풍기 바디의 측벽 내면에 구비된 센터 보스의 와이어 트랜스홀로 확실하게 가이드되도록 하므로, 와이어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와이어가 제위치를 찾아가지 못하고 벗어나는 불편을 방지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주요부인 와이어와 환풍기 바디 및 고정 홀더 사이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등의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장착 구조를 개선한 공조 환풍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외관 사시도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장착 구조를 개선한 공조 환풍기의 구조와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고정 홀더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고정 홀더의 주요부인 홀더핀을 당겨준 상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환풍기 바디의 저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환풍기 바디와 고정 홀더 및 보스를 보여주는 저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공조 환풍기를 설치한 상태로서 고정 홀더와 와이어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고정 지지체와 와이어의 결합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고정 홀더의 변형된 실시예의 구조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에어 플로우 포트가 둘레부에 구비되고 내부에는 환기팬(21)이 내장되는 환풍기 바디(20)와, 이러한 환풍기 바디(20)에 구비되어 그 내부로 와이어(40)가 통과되도록 구성되며 내부에는 와이어 그립부가 구비된 고정 홀더(30)와, 이러한 고정 홀더(30)를 통과하여 환풍기 바디(20)의 상부측으로 연장된 와이어(40)를 걸어주기 위한 고정 지지체(50)를 구비한다.
상기 환풍기 바디(20)는 내부에 에어 챔버가 구비된 중공의 박스 형태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환풍기 바디(20)는 에어 챔버가 내부에 구비되고 에어 챔버에는 환기팬(21)이 내장되며 둘레부에는 플랜지부(20a)가 구비되고 측면부에는 에어 플로우 포트를 구비한다. 에어 플로우 포트는 배출구와 다른 실내에 연통되어 공기를 흡입되도록 하는 다른 흡입구를 구비할 수도 있다. 환풍기 바디(20)의 상면부에는 모터 케이스가 구비될 수 있으며, 환풍기 바디(20)의 모터 케이스에는 모터가 내장되며, 이 모터의 모터축에 중심부가 축결합된 환기팬(21)은 환풍기 바디(20) 내부의 에어 챔버에 내장되어 있어서, 모터의 구동에 의해 환기팬(21)이 회전하면서 에어를 흡입구를 통하하여 배출구와 이에 연결된 플렉시블관을 통해 에어를 배출한다.
상기 환풍기 바디(20)는 사각 박스 형태로 구성되어 내부에 네 개의 내벽면에 의한 에어 챔버를 구비하는데, 상기 에어 챔버를 형성하는 환풍기 바디(20) 네 개 내벽면 중에서 적어도 두 개의 서로 마주하는 내벽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보스(34)가 구비된다. 이때, 각각의 내벽면에 구비된 보스(34)는 후술할 와이어(40)가 통과되는 와이어홀을 구비한 센터 보스(34a)와, 이러한 센터 보스(34a)의 양쪽 위치에 구비된 두 개의 사이드 보스(34b)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환풍기 바디(20)의 내부(즉, 에어 챔버를 형성하는 두 개의 서로 마주하는 내벽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브릿지편이 구비되고, 상기 브릿지편에 보스(34)가 일체형으로 구비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환풍기 바디(20)는 센터 보스(34a)의 와이어홀과 마주하는 위치에 상하면으로 연통된 상측 와이어 인출홀(22)이 구비되어 있어서, 후술할 고정 홀더(30) 내부를 통과하는 와이어(40)가 환풍기 바디(20)의 내부에서 상기 상측 와이어 인출홀(22)을 통해 환풍기 바디(20) 위로 나오게 된다. 또한, 환풍기 바디(20)는 상기 보스(34)와 인접된 부분에 내외부로 관통된 측면 와이어(40) 인출홀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환풍기 바디(20)에는 고정 홀더(30)가 구비된다. 고정 홀더(30)는 홀더 바디(32)와 홀더핀(34)과 그립볼(35) 및 탄성체(36)를 포함한다.
상기 홀더 바디(32)는 내부에 양단부로 연통된 핀홀(33)을 구비한다. 또한, 핀홀(33)의 내주면에는 테이퍼부(33a)가 구비된다. 테이퍼부(33a)는 홀더 바디(32)의 한쪽 단부에 다른 쪽 단부 방향(상단부에서 하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점 줄어들도록 구성된다. 상기 홀더 바디(32)의 한쪽 단부에는 스톱퍼판(37)이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된다. 스톱퍼판(37)은 중심부에 와이어 통과홀이 구비된 사각판 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홀더 바디(32)의 한쪽 단부(하단부)에 구비된 체결홀에 스톱퍼판(37)의 와이어 통과홀(34h) 외측에 형성된 체결구 관통홀이 만난 상태에서 스톱퍼판(37)의 체결구 관통홀과 홀더 바디(32)의 체결홀에 동시에 볼트 등의 체결구를 결합하여 스톱퍼판(37)이 홀더 바디(32)의 한쪽 단부(하단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 구조를 가질 수 있게 된다. 이때, 스톱퍼판(37)의 와이어 통과홀은 홀더 바디(32) 내부의 핀홀(33)과 동축적으로 배치된다.
또한, 홀더 바디(32)의 다른 쪽 단부에는 한쪽 단부 방향(상단부에서 하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그 내경이 점점 커지는 와이어 투입 가이드홈(32a)이 구비된다. 즉, 홀더 바디(32)의 한쪽 단부(하단부)에는 상기 스톱퍼판(37)이 결합되어 있는데, 홀더 바디(32)의 스톱퍼판(37)이 결합되어 있는 한쪽 단부와 반대되는 다른 쪽 단부(상단부)에 상기 와이어 투입 가이드홈(32a)이 구비된 것이다. 고정 홀더를 구성하는 홀더 바디(32)가 환풍기 바디(20)의 내부에 세워져 설치되는데, 상기 가이드홈(32a)이 상단부로 향하게 되며, 상기 홀더 바디(32)의 다른 쪽 단부에는 홀더 바디(32)의 상단부에서 하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점점 커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홀더 바디(32)의 다른 쪽 단부측에는 와이어 투입 가이드홈(32a)의 외측으로 연장된 보스편(32b)이 구비되고, 이러한 보스편(32b)에는 체결홀이 구비된다.
상기 환풍기 바디(20)의 내부에 구비된 복수개의 보스(34), 다시 말해, 센터 보스(34a)와 사이드 보스(34b)는 환풍기 바디(20)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데, 상기 홀더 바디(32)의 다른 쪽 단부에 구비된 보스편(32b)의 체결홀이 두 개의 사이드 보스(34b)와 만난 상태에서 홀더 바디(32)의 보스편(32b)의 체결홀과 환풍기 바디(20) 내부의 두 개의 사이드 보스(34b)에 동시에 볼트 등의 체결구를 결합하면, 상기 환풍기 바디(20) 내부에 홀더 바디(32)가 결합된다. 홀더 바디(32)의 한쪽 단부가 환풍기 바디(20)의 아래쪽(즉, 흡입구가 형성된 방향)을 향하고 홀더 바디(32)의 다른 쪽 단부가 위쪽을 향한 상태로 환풍기 바디(20) 내부에 홀더 바디(32)가 고정된다.
상기 홀더핀(34)은 홀더 바디(32)의 핀홀(33)에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홀더핀(34)의 외주면에는 홀더 바디(32)의 핀홀(33) 내주면의 테이퍼부(33a)와 접촉되는 테이퍼부(34a)가 구비되어 있다. 홀더핀(34)의 선단부측 외주면에 테이퍼부(34a)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테이퍼부(34a)는 홀더핀(34)의 기단부측에서 선단부측 방향(하단부에서 상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점점 외경이 작아지는 단면 형태로 구성된다. 또한, 홀더핀(34)은 테이퍼부(34a)의 기단부에 단턱부(34s)가 구비된다. 즉, 단턱부(34s)는 테이퍼부(34a)의 안쪽단 끝에 형성된 것으로, 홀더핀(34)의 다른 외주면보다 반경 방향 외측으로 더 돌출되어 있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홀더핀(34)의 내부에는 양단부로 연통(즉, 선단부에서 기단부로 연통)된 와이어 통과홀(34h)이 구비된다. 또한, 홀더핀(34)은 테이퍼부(34a)가 형성된 부분에 내외부로 연통된 볼출몰홀(34bh)을 구비한다. 볼출몰홀(34bh)은 홀더핀(34)의 테이퍼부(34a)의 외주면에서 내부의 와이어 통과홀(34h)까지 연통되어 있는데, 이러한 볼출몰홀(34bh)은 홀더핀(34)의 와이어 통과홀(34h)을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복수개로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볼출몰홀(34bh)은 홀더핀(34)의 와이어 통과홀(34h)을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세 개 구비되어 있다. 상기 홀더핀(34)은 홀더 바디(32) 내부의 핀홀(33)에 전후진 가능하게 내장됨과 동시에 상기 스톱퍼판(37)의 중심부에 관통되어 있는 통과홀에는 홀더핀(34)의 기단부가 상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홀더핀(34)의 기단부측 일부가 홀더 바디(32)의 한쪽 단부에서 돌출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즉, 홀더핀(34)은 홀더 바디(32)의 핀홀(33)에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그 내부의 와이어 통과홀(34h)에 의해 홀더 바디(32)가 그 내부에 양단부로 관통된 와이어 통과홀(34h)을 가지도록 한다.
상기 홀더핀(34)의 볼출몰홀(34bh)에는 그립볼(35)이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그립볼(35)은 홀더핀(34)의 내부 와이어 통과홀(34h)로 지나가는 와이어(40)를 잡아주는 그립그립볼(35)의 기능을 하기 위한 것으로, 홀더핀(34)의 와이어 통과홀(34h) 중심부에서 방사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각 볼출몰홀(34bh)에 결합되어 상기 홀더핀(34)의 길이 방향 중심부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내부에 상하단부로 연통된 핀홀(33)을 구비하고 핀홀(33)의 내주면에는 테이퍼부(33a)가 구비된 홀더 바디(32)가 환풍기 바디(20)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홀더핀(34)은 홀더 바디(32) 내부의 핀홀(33)에 상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홀더핀(34)을 하부로 이동시켜서 와이어(40)를 그립볼(35)로 잡아주는 그립력을 해제한 상태에서 환풍기 바디(20)를 손으로 잡고 천정판 등에 대한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탄성체(36)는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으로, 홀더핀(34)의 외주면에 결합됨과 동시에 그 양단부는 홀더핀(34)의 단턱부(34s)와 홀더 바디(32) 내부의 핀홀(33) 한쪽 단부 사이에 개재된다. 본 발명에서는 탄성체(36)의 일단부는 홀더핀(34)의 단턱부(34s)에 접촉되고 탄성체(36)의 타단부는 홀더 바디(32)의 한쪽 단부측에 구비된 스톱퍼판(37)의 안쪽면에 접촉됨과 동시에 홀더핀(34)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홀더핀(34) 외주면의 테이퍼부(34a)를 홀더 바디(32) 내부의 핀홀(33)에 형성된 테이퍼부(33a)에 밀착되도록 탄지한다.
따라서, 상기 탄성체(36)에 의해 홀더핀(34)의 테이퍼부(34a)가 홀더 바디(32) 내부의 핀홀(33)에 형성된 테이퍼부(33a)에 밀착되면 상기 홀더핀(34)의 테이퍼부(34a)에 구비된 볼출몰홀(34bh)의 각 그립볼(35)이 홀더핀(34) 내부의 와이어 통과홀(34h)로 밀려들어 가므로, 상기 고정 홀더(30)의 양단부를 관통하여 고정 홀더(30) 내부의 와이어 통과홀(34h)을 지나가는 와이어(40)가 각 그립볼(35)에 의해 가압 밀착되므로, 각각의 그립볼(35)이 강인한 그립력에 의해 와이어(40)를 잡아서 와이어(40)가 고정 홀더(30)의 양단부로 움직이지 않도록 잡아주게 된다. 즉, 상기 탄성체(36)와 홀더핀(34)과 테이퍼부(34a), 홀더 바디(32) 내부의 테이퍼부(33a) 및 그립볼(35)이 와이어(40)를 강하게 잡아주는 와이어 그립부가 된다.
상기 와이어(40)는 고정 홀더(30) 내부의 와이어 통과홀(34h)을 관통(정확하게는 홀더핀(34) 내부의 와이어 통과홀(34h)을 관통)하여 고정 홀더(30)의 한쪽 단부에서 다른 쪽 단부로부터 인출되는 것이다. 상기 환풍기 바디(20)의 상면에는 상측 와이어 인출홀(22)이 구비되어 와이어(40)의 한쪽 단부(상단부)가 환풍기 바디(20)의 내부에서 상기 상측 와이어 인출홀(22)을 통해 환풍기 바디(20)의 상면으로 인출되며, 상기 고정 홀더(30) 내부의 와이어 통과홀(34h)에 결합된 와이어(40)의 타단부는 환풍기 바디(20)의 보스(34)와 인접된 위치(측면 위치)로 관통된 다른 측면 와이어(40) 인출홀을 통과하여 환풍기 바디(20)의 측면으로 인출된다. 상기 환풍기 바디(20) 내부에 구비된 보스(34) 중에서 가운데의 센터 보스(34a)는 내부에 양단부로 연통된 와이어홀이 구비되어, 상기 센터 보스(34a) 내부의 와이어홀에 와이어(40)가 통과되며, 센터 보스(34a)는 고정 홀더(30) 내부의 핀홀(33)에 결합된 홀더핀(34) 내부의 와이어 통과홀(34h)과 정렬된 위치에 배열되므로, 상기 와이어(40)가 환풍기 바디(20) 상면의 상측 와이어 인출홀(22)과 환풍기 바디(20) 내부의 센터 보스(34a)와 고정 홀더(30)를 통과하게 된다.
이때, 상기 탄성체(36)에 의해 홀더핀(34)의 테이퍼부(34a)가 홀더 바디(32) 내부의 테이퍼부(33a)에 밀착될 때에는 홀더핀(34)의 볼출몰홀(34bh)에 구비된 복수개의 그립볼(35)에 의해 외주면이 가압되므로, 고정 홀더(30) 내부의 와이어 통과홀(34h)에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 홀더(30)의 양단부로 인출되지 않도록 지지되고, 상기 고정 홀더(30)의 한쪽 단부(즉, 상기 환풍기 바디(20)를 기준으로 아래쪽 단부)로 돌출되어 있는 홀더핀(34)을 당겨서 홀더핀(34) 외주면의 테이퍼부(34a)를 고정 홀더(30) 내부의 테이퍼부(33a)에서 벗어나도록 이동시키면, 상기 그립볼(35)들이 와이어(40) 외표면을 가압하는 힘이 해제되므로, 와이어(40)가 고정 홀더(30) 내부의 와이어 통과홀(34h)에서 고정 홀더(30)의 양단부로 인출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환풍기 바디(20) 내부에 고정 홀더(30)가 장착된 상태에서 환풍기 바디(20)의 상측 와이어 인출홀(22)을 통해 와이어(40)를 투입하고, 와이어(40)를 고정 홀더(30) 내부의 홀더핀(34)이 당겨진 상태에서 계속 투입하여 그립볼(35) 사이로 통과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이, 탄성체(36)와 홀더핀(34) 및 그립볼(35)이 고정 홀더(30) 내부의 와이어 그립부가 된다. 한편, 상기 환풍기 바디(20)는 고정 홀더(30) 지지를 위한 보스(34)와 인접된 위치에 측방 와이어 인출홀(23)이 구비되어, 상기 고정 홀더(30)에 결합되어 있는 와이어(40)를 환풍기 바디(20)의 측방 와이어 인출홀(23)을 통해 환풍기 바디(20)의 내부에서 외부로 인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와이어(40)는 적어도 상단부에 폐루프 형태의 결합 고리부(41)가 구비되고, 결합 고리부(41)에 의해 고리홀(41h)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 지지체(50)는 환풍기 바디(20)의 내부에서 외부로 인출(주로 내부에서 상부로 인출)된 와이어(40)를 건물 천정 슬라브(4)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고정 지지체(50)는 천정 슬라브(4) 저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복수개의 앵커홀(볼트 등의 체결구를 결합하기 위한 체결구 앵커홀)이 구비된 고정 브라켓편(52)과, 이러한 고정 브라켓편(52)에서 교차되는 하방으로 연장된 행거 브라켓편(53)을 포함하는 단면 기역자 형상의 브라켓 구조를 이루고 있다. 상기 행거 브라켓편(53)의 양단부에 와이어 결합홈(51)이 구비된다. 이때, 와이어 결합홈(51)은 천정 슬라브(4)의 저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됨과 동시에 고정 지지체(50)의 단부로 연통된 제1와이어 결합홈(51a)과, 상기 제1와이어 결합홈(51a)이 이어짐과 동시에 천정 슬라브(4)의 저면에 대해 교차하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제2와이어 결합홈(51b)을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고정 지지체(50)의 앵커홀에 결합된 볼트 등의 앵커체를 천정 슬라브(4)에 앵커링하면, 상기 브라켓 구조의 고정 지지체(50)가 천정 슬라브(4) 저면에 고정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와이어(40)의 상단부에 구비된 결합 고리부(41)를 제1와이어 결합홈(51a)을 통과시켜 제2와이어 결합홈(51b)에 안착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환풍기 바디(20)의 상부로 인출되어 있는 와이어(40)를 고정 지지체(50)에 걸어줄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상기 환풍기 바디(20) 내부에 환기팬(21)과 모터가 내장된 구조의 공조 환풍기를 천정 슬라브(4)에 고정 지지체(50)를 매개로 설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고정 홀더(30)의 한쪽 단부(하단부)로 돌출되어 있는 홀더핀(34)을 사람이 손으로 잡고 당겨주면, 상기 홀더핀(34) 외주면의 테이퍼부(33a,34a)가 고정 홀더(30) 내부의 핀홀(33) 일부에 구비된 테이퍼부(33a)에서 이탈되도록 이동하면서 각각의 그립볼(35)들이 고정 홀더(30) 내부로 투입되어 있는 와이어(40)를 잡아주는 힘이 해제되므로, 상기 와이어(40)를 고정 홀더(30)에 대해 양단부로 인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환풍기 바디(20)가 천정 슬라브(4)에 와이어(40)와 고정 지지체(50)에 의해 천정 슬라브(4)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홀더핀(34)을 손으로 잡고 당겨준 상태에서 환풍기 바디(20)를 와이어(40)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승 또는 하강시킴으로써 환풍기 바디(20)의 설치 높이를 천정 슬라브(4)를 기준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고정 지지체(50)를 건물의 천정 슬라브(4)에 고정한 상태에서 환풍기 바디(20)의 상부로 인출되어 있는 와이어(40)를 고정 지지체(50)에 형성되어 있는 와이어 결합홈(51)에 걸어주면, 공조 환풍기(즉, 둘레부에 에어 플로우 포트가 구비된 환풍기 바디(20)에 환기팬(21)과 모터가 내장된 것)을 천정 슬라브(4) 아래에 메달아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와이어(40)가 통과된 고정 홀더(30) 내부의 그립볼(35)들이 와이어(40)의 외주면을 강하게 그립하게 되어서, 와이어(40)가 고정 홀더(30)에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 홀더(30)의 상단부로 인출 작동되지 않으므로, 상기 공조 환풍기를 천정 슬라브(4)에 메달은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 홀더(30) 내부에 형성된 테이퍼부(33a)에 홀더핀(34) 외주면의 테이퍼부(34a)가 탄성체(36)의 탄성력에 의해 밀착되어 상기 홀더핀(34)의 외주면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된 그립볼(35)들이 상기 고정 홀더(30)에 결합되어 양단부로 통과되어 있는 와이어(40)를 잡아주고, 상기 환풍기 바디(20)와 환기팬(21) 및 모터 등의 하중에 의해서도 상기 그립볼(35)들이 와이어(40)을 강하게 잡아주게 되어서, 와이어(40)를 아래로 당길 수는 있어도 와이어(40)를 위로는 당길 수가 없으므로, 상기 공조 환풍기의 하중에 의해 와이어(40)에 대해 내려가려는 힘이 작용하더라도 상기 공조 환풍기가 아래로 내려가지 않고 안정적으로 자기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공조 환풍기의 환풍기 바디(20)와 이에 내장된 모터와 환기팬(21) 등의 하중이 작용하면 할수록 오히려 고정 홀더(30) 내부의 그립볼(35)들이 더욱 좁혀져서 와이어(40)를 잡아주는 그립력이 높아지므로, 공조 환풍기의 설치된 높이를 유지하는 기능과 공조 환풍기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고정 홀더(30)의 한쪽 단부로 돌출되어 있는 홀더핀(34)을 당겨주면 와이어(40)를 내부에서 그립하는 고정 홀더(30) 내부의 그립볼(35)들이 와이어(40)를 그립하는 힘이 해제되면서 상기 환풍기 바디(20)와 고정 홀더(30)가 와이어(40)에 대해 상대 하강할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되므로, 상기 공조 환풍기를 천정 슬라브(4) 아래에서 일정 높이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환풍기 바디(20)를 천정 슬라브(4)에 메달은 상태에서 와이어(40)를 고정 홀더(30)를 기준으로 당겨주면 상기 환풍기 바디(20)와 고정 홀더(30)는 와이어(40)에 대해 천정 슬라브(4) 방향으로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므로, 상기 와이어(40)를 당겨서 환풍기 바디(20) 하단부의 플랜지부를 천정 슬라브(4) 아래에 설치된 천정판(6)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환풍기 바디(20)의 플랜지부를 관통하는 볼트 등의 체결구를 천정판(6)에 결합함으로써 본 발명의 공조 환풍기를 천정에 설치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은 주요부인 환풍기 바디(20)를 천정 슬라브(4)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 지지체(50)에 와이어(40)로 메달아 준 다음 와이어(40)를 당겨주는 간단하고 편리한 조작에 의해 환풍기 바디(20)를 설치 높이에 적절하게 맞추어 천정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일단 설치 작업에 있어서 편리하며, 상기 환풍기 바디(20)가 천정판(6)에 고정된 다음에는 천정 슬라브(4)에 연결되어 있는 와이어(40)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으므로, 천정판(6)에 설치된 공조 환풍기가 아래로 처지는 현상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으며, 이처럼 공조 환풍기가 처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확실하게 보장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공조 환풍기의 높낮이 균형을 맞추고자 할 때에는 주요부인 환풍기 바디(20)의 아래에서 내부로 손을 집어넣고 충분히 높낮이 조절 작업 등을 실시할 수 있으므로, 공조 환풍기 설치시에도 신속하고 편리함은 물론 사후 유지 관리나 보수 등에 있어서도 매우 손쉬운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어서 여러모로 유용한다. 상기 환풍기 바디(20)를 작업자가 한 손으로 잡아서 지지한 상태에서 환풍기 바디(20)의 아래에서 환풍기 바디(20)의 내부로 다른 손을 집어 넣은 다음, 고정 홀더(30)에 구비된 홀더핀(34)을 하부로 당겨주면 홀더핀(34)에 구비된 그립볼(35)들이 와이어(40)를 잡아주는 그립력이 해제되므로, 이러한 상태에서 환풍기 바디(20)와 그 안에 설치된 고정 홀더(30)를 와이어(40)를 기준으로 위아래로 이동시켜주면 환풍기 바디(20)의 높낮이를 천정판(6) 등의 높이에 맞추어 균일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되므로, 공조 환풍기의 위로 손을 올려서 투입하여야만 하는 기존에 비하여 공조 환풍기 높낮이 조절과 같은 사후 관리 작업이 신속하고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와이어(40)가 환풍기 바디(20)의 내부로 투입되고, 환풍기 바디(20) 내부에는 와이어(40)를 통과시켜 지지하는 고정 홀더(30)가 내장되어 있으며, 고정 홀더(30)에는 밑으로 후퇴시켜서 그립볼(35)의 와이어(40) 그립력을 해제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환풍기 바디(20)의 내부로 손을 넣어서 높낮이 조절 등의 유지 보수 작업이 가능한 것이며, 이러한 점이 기존과 차별화되는 특징이라 하겠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환풍기 바디(20)를 와이어(40)와 고정 지지체(50)를 이용하여 미리 천정에 매달아 놓고 환풍기 바디(20)를 위로 올려서 상기 와이어(40)를 고정 홀더(30) 밑으로 당겨주면, 와이어(40)가 팽팽하게 당겨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동시에 환풍기 바디(20)의 하단부에 구비된 플랜지부를 천정판(6)에 볼트 등의 체결구로 고정하면 되므로, 공조 환풍기 설치 작업이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다. 환풍기 바디(20)를 천정판(6)에 볼트 등으로 고정하기 위해 올려줄 때에 환풍기 바디(20) 내부에 있으면서 고정 홀더(30)의 아래(정확하게는 홀더핀(34)의 아래)로 나와 있는 와이어(40)를 당겨서 환풍기 바디(20)의 측방 와이어 인출홀(23)로 밀어내면 와이어(40)는 건물 천정의 슬라브(4)와 천정판(6) 사이의 유휴 공간으로 투입되므로 환풍기 바디(20) 내부에서의 와이어(40)를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게 된다. 즉, 환풍기 바디(20) 내부에서 와이어(40)가 늘어지는 일이 없으므로, 와이어(40)가 환풍기 바디(20) 내부에서 걸리적거리는 일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환풍기 바디(20)의 상부에서 고정 홀더(30)를 관통하여 결합된 와이어(40)를 고정 홀더(30) 아래로 당겨줌으로써 환풍기 바디(20)의 상부로 인출되는 와이어(40)의 길이를 천정 슬라브(4)와 천정판(6)의 거리를 감안하여 미리 맞추어 놓은 상태에서 천정에 공조 환풍기를 설치할 수 있다. 즉, 환풍기 바디(20)를 천정에 메달아 주기 이전에 미리 환풍기 바디(20) 상부로 나오는 와이어(40)의 길이를 조절한 다음에 천정 슬라브(4)에 고정된 고정 지지체(50)에 걸어서 설치할 수도 있으므로, 설치 작업에 있어서 보다 편리한 공정을 채택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다시 말해, 환풍기 바디(20)를 와이어(40)와 고정 지지체(50)를 이용하여 미리 천정에 매달아 놓고 환풍기 바디(20)를 위로 올려서 상기 와이어(40)를 고정 홀더(30) 밑으로 당겨주면, 와이어(40)가 팽팽하게 당겨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동시에 환풍기 바디(20)의 하단부에 구비된 플랜지부를 천정판(6)에 볼트 등의 체결구로 고정하면 되므로, 공조 환풍기(즉, 환풍기 바디(20) 부분)와 천정 사이의 높이를 조절하거나 환풍기 바디(20) 상부로 인출되는 와이어(40) 길이를 미리 조절하여 천정에 환풍기 바디(20)를 메달아 설치하는 작업 중에 어느 것도 손쉽게 채택할 수 있으므로 설치 작업에 있어서 선택 범위가 다양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고정 홀더(30)를 구성하는 주요부인 홀더 바디(32)의 적어도 일단부(상기 홀더핀(34)의 일부가 돌출되어 있는 단부와는 반대되는 단부)에는 타단부 방향(즉, 상기 홀더핀(34)의 일부가 돌출되어 있는 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그 내경이 점점 커지는 와이어 투입 가이드홈(32a)이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와이어(40)를 와이어 투입 가이드홈(32a)을 통해 보다 쉽게 고정 홀더(30) 내부로 결합할 수 있으므로, 조립 작업이 보다 편리한 등의 효과도 있다.
또한, 상기 환풍기 바디(20)의 내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보스(34)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 홀더(30)의 홀더핀(34)이 돌출되는 한쪽 단부와 반대되는 다른 쪽 단부에는 보스편(32b)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 홀더(30)의 보스편(32b)에는 체결홀이 구비되어 고정 홀더(30)의 보스편(32b)과 환풍기 바디(20) 내부의 보스(34)에 공통으로 볼트 등의 체결구를 결합하면 고정 홀더(30)를 보다 손쉽고 신속하게 환풍기 바디(20) 내부에 설치할 수 있게 되며, 고정 홀더(30) 내부를 관통하도록 결합된 와이어(40)도 환풍기 바디(20)에 보다 쉽게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 지지체(50)의 와이어 결합홈(51)은 제1와이어 결합홈(51a)과 제2와이어 결합홈(51b)을 구비한 미로식 결합홈 구조를 이루고 있으므로, 상기 와이어(40) 상단부의 결합 고리부(41)가 고정 지지체(50)의 와이어 결합홈(51)에 결합된 상태에서 쉽게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되므로, 상기 환풍기 바디(20)를 위쪽에서 천정 슬라브(4)에 메달리도록 지지하는 와이어(40) 결합 부분의 구조를 보다 견고하게 구현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고정 지지체(50) 양단부에 형성된 와이어 결합홈(51)과 고정 지지체(50)의 단부 사이의 거리는 와이어(40)의 결합 고리부(41) 내측의 고리홀(41)의 최대 직경보다 더 크게 구성되어 와이어(40)가 고정 지지체(50)의 와이어 결합홈(51)에서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는 점이 중요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와이어(40)는 상단부측 일부를 와인딩함으로써 와인딩 와이어(40)부를 형성하고, 이러한 와인딩 와이어(40)부와 와이어(40)를 그립편(42)에 의해 함께 그립하여 결합 고리부(41)를 형성하는데, 상기 결합 고리부(41)의 내측 고리홀(41)의 최대 직경(D2)이 고정 지지체(50)의 와이어(40) 결합홀을 구성하는 제2와이어 결합홈(51b)에서 상기 고정 지지체(50)의 단부 사이의 거리(D1)보다 더 작게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40) 상단부의 결합 고리부(41)가 고정 지지체(50)의 제2와이어 결합홈(51b)에 끼워진 상태에서 와이어(40)가 유동되더라도 와이어(40)의 결합 고리부(41)가 고정 지지체(50)의 와이어 결합홈(51), 정확하게는 제2와이어 결합홈(51b)에서 이탈되는 일이 없게 되므로, 상기 환풍기 바디(20)를 천정에 메달아 놓고 설치하는 작업 도중에 와이어(40)가 고정 지지체(50)에서 이탈되어 환풍기 바디(20)가 아래로 떨어지는 위험성이 완전 해소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 와이어(40)가 고정 지지체(50)의 양단부 사이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고정 지지체(50)의 하부에서 고정 지지체(50)의 단부 방향으로 들려버리는 유동 현상이 생기더라도 상기 와이어(40) 상단부에 결합 고리부(41)를 형성하는 그립편(42)이 고정 지지체(50)의 단부측 하단에 걸려지게 되어서 와이어(40)의 결합 고리부(41)가 고정 지지체(50) 양단부의 와이어 결합홈(51)에서 이탈되는 일은 전혀 없게 되는 것이며, 이처럼 환풍기 바디(20)를 천정에 메달아 놓는 와이어(40)가 고정 지지체(50)에서 이탈되는 현상이 전혀 생기지 않음으로 인하여 현장 작업 안전성 등을 확실하게 보장하는 장점이 있다. 도 7 및 도 8 참조.
또한, 상기 환풍기 바디(20)의 상측으로 인출되는 와이어(40)의 길이를 줄이기 위해 와이어(40)를 고정 홀더(30)의 하단부측(즉, 홀더핀(34)의 고정 홀더(30) 밖으로 돌출되어 있는 단부측)으로 당겨준 상태에서는 환풍기 바디(20) 내부에 늘어진 상태로 있는 와이어(40) 부분은 환풍기 바디(20)의 측면쪽으로 개방되어 있는 와이어홀을 통해 환풍기 바디(20) 외부로 밀어내면 되고, 환풍기 바디(20) 외부로 밀어내어진 와이어(40) 부분은 천정 슬라브(4)와 천정판(6) 사이의 유효 공간에 방치하여 놓으면 되기 때문에, 와이어(40)가 환풍기 바디(20) 내부에서 걸리적거리는 일이 생기지 않아서 좋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고정 홀더(30)를 구성하는 홀더핀(34)의 홀더 바디(32) 아래로 돌출된 단부측에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더 돌출된 노브(34n)가 구비된다. 이러한 노브(34n)를 손으로 잡고 홀더핀(34)을 홀더 바디(32) 아래로 당겨주면 미끄러지지 않고 당길 수 있어서 공조 환풍기 설치 작업이 보다 편리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환풍기 바디(20)의 내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센터 보스(24a)와 사이드 보스(24b)가 구비되고, 상기 센터 보스(24a)는 그 내부에 상기 홀더 바디(32) 내부의 핀홀(33) 상단부와 연속으로 이어진 와이어 트랜스홀(24ah)이 구비되며, 상기 와이어 트랜스홀(24ah)의 상단부는 환풍기 바디(20)의 상면에 형성된 상부측 와이어 인출홀(22)에 연결되어, 상기 환풍기 바디(20)의 외부 상부측에서 상부측 와이어 인출홀(22)로 투입된 와이어(40)가 센터 보스(24a) 내부의 와이어 트랜스홀(24ah)로 투입되도록 가이드된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40)를 환풍기 바디(20)의 내부로 통과시켜 고정 홀더(30)의 내부로 결합시킬 때에 환풍기 바디(20)의 측벽 내면에 구비된 센터 보스(24a)의 와이어 트랜스홀(24ah)로 확실하게 가이드되도록 하므로, 와이어(40)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와이어(40)가 제위치를 찾아가지 못하고 벗어나는 불편을 방지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주요부인 와이어(40)와 환풍기 바디(20) 및 고정 홀더(30) 사이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등의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장착 구조를 개선한 공조 환풍기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라는 점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20. 환풍기 바디 20a. 플랜지부
21. 환기팬 22. 상측 와이어 인출홀
23. 측방 와이어 인출홀 24. 보스
24a. 센터 보스 24b. 사이드 보스
30. 고정 홀더 32. 홀더 바디
32a. 가이드홈 32b. 보스편
33. 핀홀 33a. 테이퍼부
34. 홀더핀 34a. 테이퍼부
34n. 노브 34s. 단턱부
35. 그립볼 36. 탄성체
37. 스톱퍼판 40. 와이어
41. 결합 고리부 41h. 고리홀
42. 그립편

Claims (11)

  1. 에어 플로우 포트가 둘레부에 구비되고 내부에는 환기팬(21)이 내장되는 환풍기 바디(20)와;
    상기 환풍기 바디(20)에 구비되어 그 내부로 와이어(40)가 통과되도록 구성되며 내부에는 와이어 그립부가 구비된 고정 홀더(30)와;
    상기 환풍기 바디(20)가 설치되기 위한 건물의 슬라브(4)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 홀더(30)를 통과하여 상기 환풍기 바디(20)에서 연장된 와이어(40)를 걸어주기 위한 고정 지지체(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구조를 개선한 공조 환풍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홀더(30)는,
    내부에 상단부와 하단부로 연통된 핀홀(33)을 구비하고 상기 핀홀(33)의 내주면에는 테이퍼부(33a)가 구비되어 상기 환풍기 바디(20)의 내부에 장착되는 홀더 바디(32)와;
    상기 홀더 바디(32)의 상기 핀홀(33)에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외주면에는 상기 핀홀(33) 내주면의 상기 테이퍼부(33a)와 접촉되는 테이퍼부(34a)가 구비되고 그 내부에는 상하단부로 연통된 와이어 통과홀(34h)이 구비되며 상기 테이퍼부(34a)에는 내외부로 연통된 볼출몰홀(34bh)을 구비하여 상기 홀더 바디(32)의 내부로 투입되어 상기 와이어 통과홀(34h)한 와이어(40)가 그 하단부로 인출되어 나오는 홀더핀(34)과;
    상기 홀더핀(34)의 상기 볼출몰홀(34bh)에 결합된 그립볼(35)과;
    상기 홀더 바디(32)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홀더핀(34)의 상기 테이퍼부(34a)를 상기 홀더 바디(32) 내부의 핀홀(33)에 구비된 상기 테이퍼부(33a)에 밀착시켜 상기 그립볼(35)이 상기 홀더핀(34)의 상기 와이어 통과홀(34h)을 중심부 방향으로 좁혀지도록 하는 탄성체(3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구조를 개선한 공조 환풍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핀(34)은 상기 테이퍼부(34a)의 기단부에 단턱부(34s)가 구비되고, 상기 탄성체(36)는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상기 홀더핀(34)의 외주면에 결합됨과 동시에 그 상단부와 하단부는 상기 단턱부(34s)와 상기 홀더 바디(32) 내부의 상기 핀홀(33) 한쪽 단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홀더핀(34) 외주면의 상기 테이퍼부(34a)를 상기 홀더 바디(32) 내주면의 상기 테이퍼부(33a)에 밀착되도록 탄지하며, 상기 홀더핀(34)을 하부로 이동시켜서 상기 와이어(40)를 상기 그립볼(35)로 잡아주는 그립력을 해제한 상태에서 상기 환풍기 바디(20)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구조를 개선한 공조 환풍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환풍기 바디(20)는 상면과 측면에 구비된 상부측 와이어 인출홀(22) 및 측방 와이어 인출홀(23)을 구비하여 상기 홀더 바디(32)가 그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홀더 바디(32)의 상하단부로 연통된 핀홀(33)의 내부에는 상하단으로 연통된 와이어 통과홀(34h)이 그 내부에 구비된 홀더핀(34)이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환풍기 바디(20)의 상기 상부측 와이어 인출홀(22)을 통해 와이어(40)가 투입되어 상기 홀더핀(34) 내부의 상기 와이어 통과홀(34h)을 지나 상기 환풍기 바디(20)의 상기 측방 와이어 인출홀(23)로 인출되며, 상기 환풍기 바디(20)의 내부에서 상기 홀더핀(34)을 후퇴되도록 이동시켜서 상기 그립볼(35)의 그립력을 해제한 다음 상기 와이어(40)를 기준으로 상기 환풍기 바디(20)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구조를 개선한 공조 환풍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핀(34)의 상기 홀더 바디(32) 아래로 돌출된 단부측에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더 돌출된 노브(34n)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구조를 개선한 공조 환풍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바디(32)의 다른 쪽 단부에는 상기 한쪽 단부 방향(상단부에서 하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그 내경이 점점 커지는 가이드홈(32a)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구조를 개선한 공조 환풍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지지체(50)에는 상기 와이어(40)를 걸어서 상기 환풍기 바디(20)를 상기 천정 슬라브(4)에 메달아 주기 위한 와이어 결합홈(51)이 구비되며, 상기 와이어 결합홈(51)은 상기 천정 슬라브(4)의 저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됨과 동시에 상기 고정 지지체(50)의 단부로 연통된 제1와이어 결합홈(51a)과, 상기 제1와이어 결합홈(51a)이 이어짐과 동시에 상기 천정 슬라브(4)의 저면에 대해 교차하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제2와이어 결합홈(51b)을 구비하며, 상기 와이어(40)의 상단부에는 결합 고리부(41)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 고리부(41)가 상기 제1와이어 결합홈(51a)을 통과하여 상기 제2와이어 결합홈(51b)에 안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구조를 개선한 공조 환풍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지지체(50)는 상기 천정 슬라브(4) 저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된 고정 브라켓편(52)과, 상기 고정 브라켓편(52)에서 교차되는 하방으로 연장된 행거 브라켓편(53)을 포함하며, 상기 행거 브라켓편(53)의 양단부측에 상기 와이어(40)의 상기 결합 고리부(41)를 걸어주기 위한 와이어 결합홈(51)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구조를 개선한 공조 환풍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결합홈(51)과 상기 고정 지지체(50)의 단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와이어(40)의 상기 결합 고리부(41) 내측의 고리홀(41)의 최대 직경보다 더 크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구조를 개선한 공조 환풍기.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환풍기 바디(20)의 내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센터 보스(24a)와 사이드 보스(24b)가 구비되고, 상기 센터 보스(24a)는 그 내부에 상기 홀더 바디(32) 내부의 핀홀(33) 상단부와 연속으로 이어진 와이어 트랜스홀(24ah)이 구비되며, 상기 와이어 트랜스홀(24ah)의 상단부는 상기 환풍기 바디(20)의 상면에 형성된 상부측 와이어 인출홀(22)에 연결되어, 상기 환풍기 바디(20)의 외부 상부측에서 상기 상부측 와이어 인출홀(22)로 투입된 와이어(40)가 상기 센터 보스(24a) 내부의 와이어 트랜스홀(24ah)로 투입되도록 가이드되어 상기 홀더 바디(32) 내부의 상기 핀홀(33) 및 상기 홀더핀(34) 내부의 와이어 통과홀(34h)을 지난 다음 상기 홀더핀(34)의 하단부로 인출되도록 가이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구조를 개선한 공조 환풍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보스(34)는 와이어(40)가 통과되는 센터 보스(34a)와, 상기 센터 보스(34a)의 양쪽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 홀더(30)의 상기 보스편(32b)에 형성된 체결홀과 만나는 사이드 보스(34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구조를 개선한 공조 환풍기.
KR20130045080A 2013-04-23 2013-04-23 장착 구조를 개선한 공조 환풍기 KR1014810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5080A KR101481039B1 (ko) 2013-04-23 2013-04-23 장착 구조를 개선한 공조 환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5080A KR101481039B1 (ko) 2013-04-23 2013-04-23 장착 구조를 개선한 공조 환풍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6643A true KR20140126643A (ko) 2014-10-31
KR101481039B1 KR101481039B1 (ko) 2015-01-14

Family

ID=51995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45080A KR101481039B1 (ko) 2013-04-23 2013-04-23 장착 구조를 개선한 공조 환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103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30636A (zh) * 2015-06-29 2015-09-23 哈尔滨工业大学 用于空调系统的空气传动装置
KR101861104B1 (ko) * 2017-09-28 2018-06-29 (주)센도리 승하강식 공기순환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7324Y1 (ko) * 2004-01-19 2004-04-14 화인라이트 인코포레이티드 와이어 그립퍼
KR200444556Y1 (ko) * 2007-05-11 2009-05-19 동도조명(주) 절곡판재로 된 설치부재에 의한 와이어 현수식 천정 조명등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30636A (zh) * 2015-06-29 2015-09-23 哈尔滨工业大学 用于空调系统的空气传动装置
CN104930636B (zh) * 2015-06-29 2017-11-17 哈尔滨工业大学 用于空调系统的空气传动装置
KR101861104B1 (ko) * 2017-09-28 2018-06-29 (주)센도리 승하강식 공기순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1039B1 (ko) 2015-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6791B1 (ko) 등기구 고정장치 및 천장설치기구 고정장치
US20030219340A1 (en) Ceiling fan blade attachment assembly
CN107957125A (zh) 风口安装结构、方法及空调系统
KR101481039B1 (ko) 장착 구조를 개선한 공조 환풍기
EP2947397A2 (en) Wind direction adjusting device of air-conditioning apparatus and air-conditioning apparatus
KR20160142612A (ko) 환풍기
KR101265276B1 (ko) 가변 풍량 방식용 디퓨져
CN107554236B (zh) 一种房车空调室内机和房车空调
KR100767964B1 (ko) 배수관 소음저감을 위한 이음장치
CN205939399U (zh) 空调器室内机及空调器
KR200456714Y1 (ko) 건물 냉,난방용 디퓨져의 공기확산판 승강장치
KR101507367B1 (ko) 다수개의 공기유동량 조절부가 구비된 공기조화용 댐퍼 디퓨저
KR101333081B1 (ko) 공기조화기의 디퓨져 조절장치
CN106247129A (zh) 挂架装置及其安装方法
KR20220101905A (ko) 전동 디퓨저
KR101074911B1 (ko) 디퓨져
KR101584539B1 (ko) 환기 설비용 디퓨저
CN209163185U (zh) 一种设有卡扣连接结构的彩钢天花吊顶板
KR200461342Y1 (ko) 착탈이 용이한 디퓨져
KR20110001883U (ko)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환기모듈
CN213178727U (zh) 一种有氧空气消毒机
CN207635563U (zh) 风口安装结构及空调系统
KR102404221B1 (ko) 천장부착 조명등장치
JP5882663B2 (ja) 配線・配管材支持具の取着工具
CN217402394U (zh) 一种吊扇灯专用承重预埋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