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9995B1 - 천장 매립형 하우징 - Google Patents

천장 매립형 하우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9995B1
KR100999995B1 KR1020100021685A KR20100021685A KR100999995B1 KR 100999995 B1 KR100999995 B1 KR 100999995B1 KR 1020100021685 A KR1020100021685 A KR 1020100021685A KR 20100021685 A KR20100021685 A KR 20100021685A KR 100999995 B1 KR100999995 B1 KR 1009999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ceiling
housing
hole
bur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1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정한
Original Assignee
거성전자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거성전자산업(주) filed Critical 거성전자산업(주)
Priority to KR1020100021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9995B1/ko
Priority to PCT/KR2010/001535 priority patent/WO2010104347A2/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9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99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5Arrangements for fixing loudspeaker transducers, e.g. in a box, furnitur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0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s on the outside of ca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Details casings, cabinets or mounting therein for transducers covered by H04R1/02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1Transducers or their casings adapted for mounting in or to a wall or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장 매립형 하우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천장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고, 복수개의 볼트 지지부를 외주면에 가지는 매립 하우징과, 상기 매립 하우징의 하단을 관통하며, 상기 각 볼트지지부에 회동가능하도록 각각 수직으로 결합되되, 일단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복수개의 볼트와, 상기 볼트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볼트의 일단을 상기 각 볼트지지부에 고정하는 볼트 고정구 및 상기 볼트가 일측 또는 타측으로 회전하면 상기 볼트의 나사산을 따라 하강 또는 승강하도록 체결되는 무빙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매립형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무빙 지지대를 승 하강시키는 볼트의 일단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지 않아, 무빙 지지대가 볼트 지지부의 하면에 닿도록 승강한 상태에서, 볼트가 계속 회전되더라도, 볼트의 일단에서 볼트 고정구가 회전하여 이탈되지 않으므로, 작업자가 신속하게 작업할 수 있어 작업시간과 작업 능률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천장 매립형 하우징{Ceiling insert type housing}
본 발명은 천장 매립형 하우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빙 지지대가 승강되어 볼트 지지부의 하면에 닿은 상태에서 볼트가 계속 회전될 경우, 볼트의 일단부를 볼트 지지부에 고정하는 볼트 고정구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천장 매립형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무실용 빌딩, 점포용 건물, 아파트 등에는 건물 내 방송설비의 일부로서 천장에 스피커, 조명장치 일부로 전등, 건물의 온도조절 및 공기정화 설비인 에어컨 시스템, 화재경보기, 온도감지 장치, 환기구 등이 설치되어 있다.
이렇게 천장에 스피커는 물론, 각종 장치들을 매립하여 설치하면 실내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기배선이 벽면에 어지럽게 늘어져 보이는 것을 피할 수 있어 미관상으로도 유리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예컨대 천장에 스피커를 설치할 경우, 천장에 스피커 유닛(speakerunit)을 넣을 구멍을 만든 다음 그 구멍의 주변에 스피커 유닛을 고정하기 위한 프레임을 설치하고 스피커 유닛을 구멍 안으로 넣은 후 소리가 통과할 수 있는 격자형의 그릴(grill)을 이용해 구멍을 막는 등의 복잡한 작업과정이 필요하였다.
또한, 천장에 스피커 유닛을 고정하기 위한 프레임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프레임의 주변부를 볼트로 천장 면에 고정시켜야 하므로, 천장 면에 볼트의 체결로 인한 흠집이 생겨서 미관상 좋지 않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마찬가지로, 전등, 에어컨, 화재경보기, 온도감지장치, 환기구 등 역시 천장에 설치하기 위해 각 장치들이 매립될 구멍을 천장에 많든 다음, 그 구멍에 해당 장치를 넣은 후, 천장 면과 해당 장치를 고정하도록 볼트를 체결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각종 장치들을 천장에 설치하게 되면, 천장 면에 볼트의 체결로 인한 흠집이 생겨서 미관상 좋지 않게 되는 단점을 피할 수 없었다.
이를 해결하고자, 승강 또는 하강이 자유로운 무빙 지지대가 설치된 매립 하우징을 이용하는 천장 매립형 하우징이 본 출원인의 실용신안등록 제446120호에서 제시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무빙 지지대를 승 하강시키는 볼트는, 볼트 전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었다.
즉, 볼트를 회전시켜 무빙 지지대가 볼트 지지부의 하면에 닿도록 승강시킨 상태에서 나사산이 전체 형성된 볼트를 계속 회전시킬 경우, 볼트 지지부의 외측에서 볼트의 일단을 고정하는 볼트 고정구는 볼트 지지부의 상면에 지지되게 되고, 이때 볼트가 계속 회전하게 되면, 볼트 고정구는 볼트 지지부의 상면에 지지되는 상태에서 회전하는 볼트에 의해 볼트의 일단에서 이탈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천장 매립형 하우징을 천장에 매립하던 중 볼트를 고정하는 볼트 고정구가 쉽게 빠져, 작업자가 신속하게 천장에 천장 매립형 하우징을 매립하기 힘든 문제점과, 이로 인하여 작업시간과 작업 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볼트의 일단에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볼트를 이용하여, 무빙 지지대가 볼트 지지부의 하면에 닿도록 승강 된 상태에서, 볼트가 계속 회전되더라도 볼트 고정구가 볼트의 일단부에서 이탈되지 않는 천장 매립형 하우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매립형 하우징은, 천장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고, 복수개의 볼트 지지부를 외주면에 가지는 매립 하우징과, 상기 매립 하우징의 하단을 관통하며, 상기 각 볼트지지부에 회동가능하도록 각각 수직으로 결합되되, 일단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복수개의 볼트와, 상기 볼트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볼트의 일단을 상기 각 볼트지지부에 고정하는 볼트 고정구 및 상기 볼트가 일측 또는 타측으로 회전하면 상기 볼트의 나사산을 따라 하강 또는 승강하도록 체결되는 무빙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매립 하우징은, 상기 각 볼트 지지부에는 상기 볼트의 일단이 삽입되는 제 1 볼트홀이 형성된 볼트 지지부와, 상기 매립 하우징 하단에 상기 볼트의 일단이 삽입되도록 형성된 제 2 볼트홀 및 제 1 볼트홀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체결된 상기 볼트의 일단에 체결되는 상기 볼트 고정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매립 하우징은, 상기 매립 하우징의 테두리 상면에 외측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끼움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매립 하우징은, 상부에 호스 삽입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무빙 지지대는, 외주면은 톱니형태로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가 나사방식으로 삽입되는 볼트 캡 및 상기 볼트 캡의 외주면과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볼트 캡이 삽입되는 볼트 캡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무빙 지지대는, 일측은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돌출된 부분에는 다수개의 돌기가 형성된 지지 돌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빙 지지대를 승 하강시키는 볼트의 일단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지 않아, 무빙 지지대가 볼트 지지부의 하면에 닿도록 승강한 상태에서, 볼트가 계속 회전되더라도, 볼트의 일단에서 볼트 고정구가 이탈되지 않으므로, 작업자가 신속하게 작업할 수 있어 작업시간과 작업 능률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매립형 하우징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매립형 하우징에서 매립 하우징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매립 하우징 하단에 체결되는 전면 커버 및 고정 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매립 하우징 하단에 전면커버가 배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매립 하우징의 외주연에 마련되는 무빙 지지대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매립형 하우징을 천장에 매립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참고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매립 하우징이 천장에 매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참고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매립 하우징이 천장에 설치된 상태에서 무빙 지지대를 하강시켜, 매립 하우징을 천장에 고정시키는 보여주는 참고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매립 하우징이 천장에 설치된 상태에서 무빙 지지대를 승강시켜, 매립 하우징을 천장에서 이탈시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물론,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매립형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우선, 본 실시예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스피커(130)가 내입된 매립 하우징(110)을 천장(200)에 설치한 후, 전면 커버(150) 및 고정 커버(160)를 각각 체결함으로써, 천장에 스피커 유닛을 설치하는 것에 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단,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한정한 스피커 유닛은 물론, 실내 천장에 설치되는 전등, 에어컨, 화재경보기, 온도감지 장치, 환기구 등에서도 적용될 수 있음을 본 발명이 속하는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매립형 하우징에서 매립 하우징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매립 하우징 하단에 체결되는 전면 커버 및 고정 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계속해서,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매립형 하우징(1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매립형 하우징(100)은, 매립 하우징(110), 스피커(130), 전면 커버(150) 및 고정 커버(160)를 포함한다.
우선, 매립 하우징(110)은, 볼트 지지부(112), 지지대(112a), 볼트(114), 무빙 지지대(115), 볼트 고정구(116), 호스 삽입홀(117a), 테두리 돌기(118), 테두리(119a) 및 끼움돌기(119b)을 포함한다.
먼저, 매립 하우징(11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원 형태 외에 사각, 삼각 등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한다.
이어서, 볼트 지지부(112) 및 지지대(112a)는 매립 하우징(110)의 외주면에 다수개가 각각 형성되는데, 두 개 이상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볼트 지지부(112)에는 볼트(114)의 일단이 관통 삽입되는 제 1 볼트홀(112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대(112a)는 볼트 지지부(112)의 일측부터 매립 하우징(110)의 테두리(119a)의 상단까지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매립 하우징(110)의 하단에는, 제 1 볼트홀(1121)과 대응되는 위치에 볼트(114)가 삽입되도록 제 2 볼트홀(1131)이 형성되어 있다.
즉, 볼트(114)의 일단이 제 2 볼트홀(1131) 및 제 1 볼트홀(1121)에 각각 삽입되되, 볼트(114)의 일단이 제 1 볼트홀(1121)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도록 체결된다.
이러한 볼트(114)는, 나사산이 형성된 일반적인 볼트인데, 볼트(114)의 일단(1141)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볼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볼트(114)의 일단(1141)으로 무빙 지지대(115)가 체결된다.
한편, 무빙 지지대(115)는, 볼트 캡 홀(1151), 볼트 캡(1152) 및 지지돌기부(1153)를 포함한다.
볼트 캡 홀(1151)은 볼트 캡(1152)의 외주면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데, 즉, 톱니형태의 볼트 캡(1152)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무빙 지지대(115)는, 볼트 캡 홀(1151)의 타측 부분이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볼트 캡(1152)은, 외주면이 톱니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내주면의 둘레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볼트(114)가 회전하여 볼트 캡(1152)에 체결된다.
그리고, 무빙 지지대(115)의 돌출된 부분에는 다수개의 돌기가 형성된 지지돌기부(1153)가 형성되어 있다.
볼트 고정구(116)는, 볼트(114)의 헤드 부분이 볼트 안착부(113)에 완전히 안착되면, 볼트(114)의 일단(1141)이 제 1 볼트홀(1121)의 외측으로 약간 돌출되게 위치하게 되는데, 이 약간 돌출된 볼트(114)의 일단(1141)에 볼트 고정구(116)가 고정되어 설치된다.
한편, 매립 하우징(110)의 상부에는 호스 삽입홀(117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호스 삽입홀(117a)에 후렉시블 호스(190)가 체결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금속타입의 후렉스블 호스(190)는 매립 하우징(110)에 내입 된 스피커(130)와 연결되는 전선 등을 화재 등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이러한 후렉스블 호스(190) 스피커 유닛 등에서 전선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매립 하우징(110)의 테두리(119a)의 상면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외측으로 돌출된 테두리 돌기(118)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매립 하우징(110)의 테두리(119a)의 상면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외측으로 돌출된 끼움돌기(119b)가 상방에서 하방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끼움돌기(119b)는 매립 하우징(110)이 천장(200)의 천장홀(201)에 끼워질 때, 천장홀(201)에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 부분에 대한 더욱 상세한 설명은 하기의 도 7과 함께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매립 하우징 하단에 전면커버가 배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매립 하우징의 외주연에 마련되는 무빙 지지대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스피커는(130)는 매립 하우징(110)의 내부에 내입되어 있다.
이러한 스피커(130)는 보통 스피커 유닛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스피커를 사용하며, 매립 하우징(110)의 하단에는 전면 커버(150) 및 고정 커버(160)가 각각 체결고정된다.
매립 하우징(110)의 테두리(119a)의 하단에는 고정볼트(156)가 삽입되는 볼트 고정홀(119c)이 형성되어 있고, 볼트 고정홀(119c)의 일측에는 제 2 볼트홀(1131)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 2 볼트홀(1131)의 일측에는 고정 커버(160)의 상면에 형성된 고정 돌기(162)가 삽입되는 고정홈(119d)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볼트 고정홀(119c), 제 2 볼트홀(1131) 및 고정홈(119d)은 매립 하우징(110)의 테두리(119a)의 하단에도 형성되어 있고, 이와 대응되게 전면 커버(150)에도 대응되는 위치에 볼트 고정홀(154) 및 고정홈(155)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면 커버(150)의 중앙에는 소리 홀(152)이 형성되며, 이러한 소리 홀(152)은 스피커(130)의 소리가 외부로 전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데, 소리 홀(152)은 스피커(130)를 통해 전달되는 소리가 다수개의 소리 홀(152)들을 거쳐 외부로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고정 커버(160)는 링 형태로 형성되며 중앙에는 중앙홀(161)이 형성되어 중앙홀(161) 내로 전면 커버(150)의 소리 홀(152)이 배치된다. 고정 커버(160)의 일면에는 다수개의 고정돌기(162)가 형성되어 있어, 매립 하우징(110) 및 전면 커버(150)에 각각 형성된 고정홈(155)에 삽입된다.
즉, 고정볼트(156)는 전면 커버(150)의 볼트 고정홀(119c)을 관통하고, 매립 하우징(110)의 볼트 고정홀(119c)에 체결되어, 전면 커버(150)를 매립 하우징(110)의 하단에 고정시킨다. 그리고 고정 커버(160)의 고정돌기(162)는 전면 커버(150)의 고정홈(155)을 관통하고, 매립 하우징(110)의 고정홈(119d)에 삽입되어, 고정 커버(160)를 전면 커버(150)에 고정시킨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매립형 하우징을 천장에 설치하는 과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매립형 하우징을 천장에 매립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참고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매립 하우징이 천장에 매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참고도이다.
우선, 천장(200)에 형성된 천장 홀(201)에 매립 하우징(110)을 도 6과 같이 삽입하는데, 매립 하우징(110)의 외주연에 무빙 지지대(115)가 닿도록 무빙 지지대(115)를 위하게 한 후, 이 상태에서 매립 하우징(110)을 천장 홀(201)에 삽입한다.
그러면 매립 하우징(110)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돌기(119ab)가 천장 홀(201)에 끼워지는데, 도 7b와 같이 3 개의 끼움돌기(119ab)가 천장 홀(201)의 3면을 고정지지하게 되므로, 작업자는 매립 하우징(110)을 천장 홀(201)에 끼워넣은 상태에서, 매립 하우징(110)이 천장 홀(201)에서 빠지지 않도록, 손으로 잡고 있을 필요없이, 매립 하우징(110)을 천장 홀(201) 내에 고정시킬 수 있을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매립 하우징이 천장에 설치된 상태에서 무빙 지지대를 하강시켜, 매립 하우징을 천장에 고정시키는 보여주는 참고도이다.
도 8을 참고하면, 이어서 매립 하우징(110)을 천장 홀(201)에 삽입하여 천장 홀(201) 내에 매립 하우징(110)을 고정시킨 후, 매립 하우징(110)의 하단의 제 2 볼트홀(1131)에 끼워진 볼트(114)를 전동 스크류 드라이버(300)와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회전시킨다.
여기서, 전동 스크류 드라이버(300)를 볼트(114)의 헤드에 끼운 후, 오른쪽 방향으로 회전시키면(도 8 참조), 무빙 지지대(115)는 볼트(114)가 회전하는 힘에 의해 회전 방향으로 이동되게 되고, 그러면 무빙 지지대(115)는 지지대(112a)에 걸리게 된다.
계속해서, 전동 드라이버(300)를 같은 방향으로 계속 회전시키면, 볼트(114)는 계속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지지대(112a)에 걸린 무빙 지지대(115)는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고, 볼트(114)만 계속해서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무빙 지지대(115)는 볼트(114)의 나사산을 따라 하강하게 된다.
이렇게, 하강한 무빙 지지대(115)는 천장(200)의 상부 면에 닿게 되고, 볼트(114)를 계속 조이면 무빙 지지대(115)가 천장(200)의 상부 면에 완전히 밀착됨으로써, 매립 하우징(110)이 천장(200)에 완전히 고정되는 것이다.
특히, 무빙 지지대(115)에는 지지돌기부(1153)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천장(200)의 상면에 고정할 때 미끄러지지 않고,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립 하우징(110)의 테두리(119a)의 상면에 형성된 테두리 돌기(118)는 천장(200)의 하면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므로, 천장(200)의 하면이 평평하더라도, 매립 하우징(110)의 테두리(119a)의 상면이 천장(200)의 하면에 견고히 지지되게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매립 하우징이 천장에 설치된 상태에서 무빙 지지대를 승강시켜, 매립 하우징을 천장에서 이탈시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이어서 매립 하우징(110)을 천장 홀(201)에서 이탈시킬 경우에는, 매립 하우징(110)의 하단의 제 2 볼트홀(1131)에 끼워진 볼트(114)를 전동 스크류 드라이버(300)와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회전시킨다.
여기서, 전동 스크류 드라이버(300)를 볼트(114)의 헤드에 끼운 후, 왼쪽 방향으로 회전시키면(도 9 참조), 무빙 지지대(115)는 볼트(114)가 회전하는 힘에 의해 회전 방향으로 이동되게 되고, 그러면 무빙 지지대(115)는 매립 하우징(110)의 외측에 걸리게 된다.
계속해서, 전동 드라이버(300)를 같은 방향으로 계속 회전시키면, 볼트(114)는 계속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매립 하우징(110)의 외측에 걸린 무빙 지지대(115)는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고, 볼트(114)만 계속해서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무빙 지지대(115)는 볼트(114)의 나사산을 따라 승강하게 된다.
이렇게, 승강한 무빙 지지대(115)는 볼트 지지부(112)의 하면에 닿게 되고, 볼트(114)를 계속 조이면, 도 9의 상단 좌 우측에 도시된 확대도와 같이 볼트(114)의 일단(1141)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승강한 무빙 지지대(115)가 볼트 지지부(112)의 하면에 닿은 상태에서 멈추게 된다.
즉, 작업자는 전동 드라이버(300)를 이용하여 볼트(114)를 회전시켜, 무빙 지지대(115)를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데, 전동 드라이버(300)를 이용할 경우 작업자는 승강 또는 하강하는 무빙 지지대(115)의 위치가 작업하는 곳에서는 어디에 위치하는지 파악할 수가 없다.
대신 사람의 손으로 잡고 볼트를 회전시키는 보통의 드라이버일 경우, 드라이버를 통해 손으로 전달되는 느낌을 통해 볼트(114)가 얼마나 회전하였는지 등을 작업자는 대략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스피커 유닛을 천장(200)에 설치하는 작업환경에서는 보통의 드라이버를 사용하지 않으며, 보통 전동 드라이버(300)를 사용하기 때문에, 전동 드라이버(300)를 이용할 경우 볼트(114)가 얼마나 회전하여 무빙 지지대(115)의 위치를 전혀 파악할 수가 없었다.
만약 볼트(114)의 전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면, 다시 말해 무빙 지지대(115)가 볼트 지지부(112)의 하면에 닿은 상태에서 나사산이 전체 형성된 볼트(114)를 전동 드라이버(300)를 이용하여 계속 회전시킬 경우, 볼트(114) 일측을 고정하는 볼트 고정구(116)는 볼트 지지부(112)의 상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볼트(114)에서 이탈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볼트(114)의 일단(1141)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지 않아, 무빙 지지대(115)가 볼트 지지부(112)의 하면에 닿은 상태에서, 전동 드라이버(300)를 이용하여 볼트(114)를 계속 회전시키더라도, 볼트 고정구(116)가 회전하여 볼트(114)에서 이탈되지 않으므로, 볼트 고정구(116)가 볼트(114)에서 이탈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볼트(114) 및 무빙 지지대(115)가 마련된 매립 하우징(110)을 이용하면, 볼트 체결로 인한 천장(200) 면에 흠집이 생기지 않아 미관상 좋을 뿐만 아니라, 설치 작업도 훨씬 간편하고 이에 따라 사후의 유지관리 비용도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용이하게 변형 실시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와 같은 변경은 청구항의 청구범위 기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매립형 하우징
110: 매립 하우징 114 : 볼트
115 : 무빙 지지대 116 : 볼트 고정구
130: 스피커 150: 전면 커버
160 : 고정 커버

Claims (6)

  1. 천장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고, 복수개의 볼트 지지부를 외주면에 가지는 매립 하우징;
    상기 매립 하우징의 하단을 관통하며, 상기 복수개의 볼트지지부에 회동가능하도록 각각 수직으로 결합되되, 일단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복수개의 볼트;
    상기 볼트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볼트의 일단을 상기 복수개의 볼트지지부에 고정하는 볼트 고정구; 및
    상기 볼트가 일측 또는 타측으로 회전하면 상기 볼트의 나사산을 따라 하강 또는 승강하도록 체결되는 무빙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매립 하우징은,
    상기 복수개의 볼트 지지부에는 상기 볼트의 일단이 삽입되는 제 1 볼트홀이 형성된 볼트 지지부;
    상기 매립 하우징 하단에 상기 볼트의 일단이 삽입되도록 형성된 제 2 볼트홀; 및
    제 1 볼트홀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체결된 상기 볼트의 일단에 체결되는 상기 볼트 고정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무빙 지지대는,
    외주면은 톱니형태로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가 나사방식으로 삽입되는 볼트 캡; 및
    상기 볼트 캡의 외주면과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볼트 캡이 삽입되는 볼트 캡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매립형 하우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립 하우징은,
    상기 매립 하우징의 테두리 상면에 외측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끼움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매립형 하우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립 하우징은,
    상부에 호스 삽입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매립형 하우징.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 지지대는,
    일측은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돌출되게 형성된 돌출된 부분에는 다수개의 돌기가 형성된 지지 돌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매립형 하우징.
KR1020100021685A 2009-03-11 2010-03-11 천장 매립형 하우징 KR1009999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1685A KR100999995B1 (ko) 2010-03-11 2010-03-11 천장 매립형 하우징
PCT/KR2010/001535 WO2010104347A2 (ko) 2009-03-11 2010-03-11 천장 매립형 하우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1685A KR100999995B1 (ko) 2010-03-11 2010-03-11 천장 매립형 하우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9995B1 true KR100999995B1 (ko) 2010-12-09

Family

ID=43512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1685A KR100999995B1 (ko) 2009-03-11 2010-03-11 천장 매립형 하우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999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101424A1 (de) * 2013-02-13 2014-08-14 ic audio GmbH Deckenlautsprecher und Abdeckung hierfür
KR200480675Y1 (ko) * 2015-12-14 2016-06-23 주식회사 선일엔지니어링 공조용 디퓨져의 고정장치
KR101686652B1 (ko) * 2016-05-28 2016-12-14 (주)화용씨티에스 공기조화기용 디퓨저
KR101864600B1 (ko) * 2017-05-23 2018-06-05 김경선 충격흡수장치를 구비한 조명등용 내진 브라켓
KR101984030B1 (ko) * 2019-03-14 2019-06-04 거성전자산업(주) 매립유닛용 고정 장치
EP3916299A1 (en) * 2020-05-29 2021-12-01 Daxtor A/S Downlight recessed ceiling spotlight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3111Y1 (ko) 2006-01-26 2006-04-05 김종훈 천장 매립등용 지지장치
KR100791621B1 (ko) 2007-08-20 2008-01-04 주식회사 엘엠 매입형 조명장치용 하우징
KR200446120Y1 (ko) * 2009-03-11 2009-09-28 거성전자산업(주) 천장 매립형 하우징
KR100945849B1 (ko) * 2009-03-09 2010-03-05 (주)기가바이트씨앤씨 조명 겸용 실링스피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3111Y1 (ko) 2006-01-26 2006-04-05 김종훈 천장 매립등용 지지장치
KR100791621B1 (ko) 2007-08-20 2008-01-04 주식회사 엘엠 매입형 조명장치용 하우징
KR100945849B1 (ko) * 2009-03-09 2010-03-05 (주)기가바이트씨앤씨 조명 겸용 실링스피커
KR200446120Y1 (ko) * 2009-03-11 2009-09-28 거성전자산업(주) 천장 매립형 하우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101424A1 (de) * 2013-02-13 2014-08-14 ic audio GmbH Deckenlautsprecher und Abdeckung hierfür
KR200480675Y1 (ko) * 2015-12-14 2016-06-23 주식회사 선일엔지니어링 공조용 디퓨져의 고정장치
KR101686652B1 (ko) * 2016-05-28 2016-12-14 (주)화용씨티에스 공기조화기용 디퓨저
KR101864600B1 (ko) * 2017-05-23 2018-06-05 김경선 충격흡수장치를 구비한 조명등용 내진 브라켓
KR101984030B1 (ko) * 2019-03-14 2019-06-04 거성전자산업(주) 매립유닛용 고정 장치
EP3916299A1 (en) * 2020-05-29 2021-12-01 Daxtor A/S Downlight recessed ceiling spotlight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6120Y1 (ko) 천장 매립형 하우징
KR100999995B1 (ko) 천장 매립형 하우징
US10125928B2 (en) Lighting device, insertion and receiving element
KR102068726B1 (ko) 벽걸이 거치대 고정장치
US6779908B1 (en) Adjustable downlight lighting fixture
US10508445B2 (en) Housing apparatus for installation of ceiling or wall-mounted electrical appliances
WO2010104347A2 (ko) 천장 매립형 하우징
KR101429573B1 (ko) 팬디퓨저의 풍량조절 댐퍼용 팬 추락방지장치
KR200466702Y1 (ko) 천장 매입형 등기구
JP2009121753A (ja) 浴室暖房機
JP2006258362A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装置
KR20150127909A (ko) 평판조명
KR101788503B1 (ko) 환기용 덕트 시스템
CN210197080U (zh) 一种摄像头可旋转的户外灯
JP2010159906A (ja) 空調装置
KR20080097068A (ko) 램프교체가 용이한 매립형 조명기구
US20080210839A1 (en) Smoke detector recessed box
KR200450750Y1 (ko) 공기조화용 디퓨져의 덕트프레임 고정구조
JP2020056556A (ja) 補助化粧パネル、天井埋め込み式空気調和機の室内機、天井埋め込み式空気調和機、および、天井埋め込み式空気調和機の設置方法
KR20160123698A (ko) 천장 매립등 체결장치
CN218076129U (zh) 一种灭火系统的集成式探测器
RU159929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онтажа подвесного осветительного прибора на натяжной потолок
KR200468480Y1 (ko) 공기조화용 디퓨져 고정구조
CN214745293U (zh) 一种便于卡接的led吊顶灯罩
JP6674417B2 (ja) 電気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