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6542B1 - 전기 플러그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기 접속 구조물 및 이와 관련된 전기 장치 - Google Patents

전기 플러그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기 접속 구조물 및 이와 관련된 전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6542B1
KR101686542B1 KR1020147012720A KR20147012720A KR101686542B1 KR 101686542 B1 KR101686542 B1 KR 101686542B1 KR 1020147012720 A KR1020147012720 A KR 1020147012720A KR 20147012720 A KR20147012720 A KR 20147012720A KR 101686542 B1 KR101686542 B1 KR 1016865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al
shield
plug connector
connection structure
electrical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2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5009A (ko
Inventor
베르너 호프마이스터
마르틴 사우르
마르커스 바흐
마르커스 룩스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40075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50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6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65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5Shielding material individually surrounding or interposed between mutually spaced contacts
    • H01R13/6588Shielding material individually surrounding or interposed between mutually spaced contacts with through openings for individual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0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ingle compon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12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for shielded multiconductor cable
    • H01R13/65918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for shielded multiconductor cable wherein each conductor is individually surrounded by shie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20Coupling parts carrying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only to wire or cable
    • H01R24/22Coupling parts carrying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only to wire or cable with additional earth or shiel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연 플러그 하우징(15)을 구비한 전기 플러그 커넥터(4)를 포함하는 전기 접속 구조물(2)에 관한 것으로서, 이때 전기 플러그 커넥터(4)는 고전류를 전달하기 위하여 전기 유닛(16)에 단단히 접속된 대응(mating) 전기 플러그 커넥터(6)에 전도성으로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전기 접속 구조물(2)은 제 1 전기 라인(8) 및 제 2 전기 라인(10)을 구비하며, 이 경우 상기 전기 라인들은 제 1 및 제 2 위상 위치를 갖는 제 1 및 제 2 전류를 전달하도록 설계되었으며, 이때 상기 제 2 위상 위치는 상기 제 1 위상 위치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일시적으로 변위 되었다. 상기 제 1 전기 라인(8) 및 제 2 전기 라인(10)은 전자기 간섭(electromagnetic interferences)을 막아주는 관련 제 1 실드(12) 및 제 2 실드(14)를 구비한다. 상기 제 1 실드(12) 및 제 2 실드(14)는 대응 전기 플러그 커넥터(6) 내에 배치된 관련 제 3 실드(20) 및 제 4 실드(22)에 해체 가능하게 전도성으로 접속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 1 실드(12) 및 상기 제 2 실드(14)는 서로 상이하고, 상기 전기 접속 구조물(2) 내부에서 상호 전도성으로 접속되어 있다.

Description

전기 플러그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기 접속 구조물 및 이와 관련된 전기 장치 {ELECTRICAL CONNECTING STRUCTURE COMPRISING AN ELECTRICAL PLUG CONNECTOR, AND AN ELECTRICAL ARRANGEMENT RELATING THERETO}
본 발명은 전기 플러그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기 접속 구조물 및 이와 관련된 전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하이브리드-차량과 같은 현대적인 자동차를 구동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인버터에 직류를 공급하는 것 그리고 이와 같은 인버터를 이용하여 직류를 주로 3상의 교류로 변환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상기 교류는 구동 모터에 공급된다. 인터버를 구동 모터에 연결하는 라인을 이용해서 고전류가 전달되기 때문에, 상기 라인은 대부분 25 ㎟ 내지 50 ㎟의 횡단면을 갖는다. 상기 케이블이 상대적으로 두껍기 때문에, 각각의 위상을 분리시켜서 개별 전기 라인을 이용하여 구동 모터에 공급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입증되었다. 인버터가 상기 라인 내부로 강한 전자기 간섭을 유도하기 때문에, 각각의 라인은 실드(shield)를 이용해서 케이블로부터 유래하는 전자기 간섭의 방출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차폐된다. 전기 플러그 커넥터를 이용해서 구동 모터를 인버터에 전기 전도성으로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각각의 개별 라인의 차폐를 구동 모터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것도 통상적이며, 이 경우 차폐들은 추후에 구동 모터 내부에서 전기 전도성으로 서로 접속된다. 하지만, 전자기 간섭으로 인해 자동차의 작동 중에는 각각의 차폐에 높은 간섭 전류(interference current)가 제공된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전기 플러그 커넥터 내부에서의 경계 저항(transition resistance)으로 인해 높은 전류 세기와 관련하여 상당히 큰 전력 손실이 발생하게 되며, 이와 같은 전력 손실은 자신의 측에서 플러그 커넥터를 현저하게 가열시키고, 그로 인해 플러그 커넥터에 허용되지 않는 정도의 부하를 가할 수 있다. 전기 플러그 커넥터를 과열시키지 않기 위하여, 대부분은 전기 라인을 통해서 전달되는 전류 세기가 상응하게 조정되거나 제한된다.
그렇기 때문에, 차폐 내에서 간섭 전류에 의해 야기되는 열 발생이 전기 플러그 커넥터 내부에서 줄어들도록 구성된 전기 커넥터 구조물을 제공할 필요가 존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필요는 독립 특허 청구항들의 대상에 의해서 충족될 수 있다.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은 종속 특허 청구항들에 의해서 나타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르면, 전기 플러그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기 접속 구조물에는 전기 절연 플러그 하우징이 제공된다. 상기 전기 접속 구조물은 고전류를 전달하기 위하여 전기 유닛에 단단히 연결된 대응(mating) 전기 플러그 커넥터에 전기 플러그 커넥터를 전기 전도성으로 접속하도록 설계되었다. 상기 접속 구조물은 제 1 전기 라인을 구비하며, 이 경우 상기 제 1 전기 라인은 제 1 위상 위치를 갖는 제 1 전류를 전달하도록 설계되었다. 상기 접속 구조물은 제 2 전기 라인을 구비하며, 이 경우 상기 제 2 전기 라인은 제 2 위상 위치를 갖는 제 2 전류를 전달하도록 설계되었다. 상기 제 1 위상 위치 및 상기 제 2 위상 위치는 일시적으로 상호 간에 변위 되었다. 상기 제 1 라인은 전자기 간섭을 막아주는 제 1 실드를 구비한다. 상기 제 2 라인은 전자기 간섭을 막아주는 제 2 실드를 구비한다. 상기 제 1 실드는 대응 플러그 커넥터 내에 배치된 제 3 실드에 해체 가능하게 전기 전도성으로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제 2 실드는 대응 플러그 커넥터 내에 배치된 제 4 실드에 해체 가능하게 전기 전도성으로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제 1 실드 및 상기 제 2 실드는 서로 상이하다. 상기 제 1 실드와 상기 제 2 실드는 전기 접속 구조물 내부에서 상호 전기 전도성으로 접속되어 있다.
전기 유닛이란, 전기 사용자 장치 또는 전기 에너지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전기 라인들은 예를 들어 25 내지 50 ㎟의 횡단면을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라인당 150 A의 전류를 전달하기 위해서 35 ㎟의 횡단면으로 설계되었다. 전자기 간섭은 한 편으로는 파워 인버터(power inverter)로도 불리는 인버터에 의해서 전기 도체 내부로 유도된다. 다른 한 편으로는 상기 전기 도체 자체가 자기 유도에 의해서 전자기 간섭을 발생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전류는 예를 들어 에너지원에 의해서 제공되는 교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전류는 펄스 방식의 직류일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펄스 방식의 직류는 인버터에 의해서 그리고/또는 변동되는 전력 요구에 의해서 예를 들어 전동기와 같은 전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발생 될 수 있다. 그에 상응하게 전자기 간섭 또는 간섭 전류는 전기 사용자 장치와 인버터의 전기 전도성 접속부 내에서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차량 배터리와 같은 직류원과 인버터의 전기 전도성 접속부 내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전기 유닛은 예를 들어 전기 사용자 장치, 배터리, DC-DC-변환기일 수 있거나 배터리용 충전 모듈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기본적인 구상은, 전기 접속 구조물 내부에서 제 1 실드와 제 2 실드를 전기 전도성으로 접속하는 것으로서, 이 경우 이와 같은 전기 전도성 접속은 전기 플러그 커넥터 내에서 또는 적어도 상기 전기 플러그 커넥터 근처에서 이루어지며, 제 1 도체의 전자기 간섭은 제 2 전기 도체의 제 2 실드 내부로 유입되고 그 반대의 상황도 이루어진다. 그럼으로써, 이상적인 경우에 예를 들어 인버터와 같은 간섭원으로부터 발생 되는 그리고 일시적인 위상 변위로 인해 제 1 도체를 따라서, 더 상세하게 말하자면 제 1 도체에 대하여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 1 실드를 따라서 전기 플러그 커넥터로 전달되는, 더 상세하게 말하자면 상기 전기 플러그 커넥터의 플러그 하우징으로 유도되는 전자기 간섭은 제 2 실드 내부로 유입될 수 있으며 그리고 제 2 도체를 따라서, 더 상세하게 말하자면 제 2 도체에 대하여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 2 실드를 따라서 간섭원으로 되돌아갈 수 있다. 그럼으로써, 제 1 실드 내에 존재하는 간섭 전류는 전기 플러그 접속부 내에서 이론적으로는 전력 손실을 전혀 발생하지 않게 되는데, 이와 같은 전력 손실은 전기 플러그 접속부, 다시 말해 전기 플러그 커넥터 및/또는 대응 전기 플러그 커넥터 내부로의 열 도입을 야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상들의 일시적인 변위가 360°비율에 정확하게 상응하지 않음으로써, 구동 모터로 전달되는 전류 세기가 변경됨으로써 또는 개별 실드가 해체 가능하게 연결되는 경우에 경계 저항이 존재함으로써 나타나는 상기 이상적인 상황과의 차이로 인해, 제 1 실드의 전체 간섭 전류가 제 2 실드 내부로 유도될 수 없고, 오히려 상기 간섭 전류의 또 하나의 부분이 플러그 하우징을 통해 전기 유닛의 접지로 유도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전력 손실은 선행 기술에 따른 전력 손실보다 훨씬 더 적어진다. 전기 플러그 접속부에 최대로 제공될 수 있는 전체 열은 전기 플러그 접속부가 작동될 수 있는 주변 온도, 전류 세기로 인한 전기 도체의 가열 및 실드 내부에서의 전력 손실로 인한 가열로 구성된다. 따라서, 선행 기술에 대하여 절약된 열은 전력 손실의 감소로 인해 예를 들어 사전에 제공된 전기 도체를 이용하여 더 높은 전류를 전달할 목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선행 기술에 대하여 절약된 열은 주변 온도가 상대적으로 더 높은 경우에 전기 플러그 커넥터를 작동시키기 위해서도 이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기 플러그 커넥터는 전기 비-전도성 플라스틱으로부터 제조된 플러그 하우징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실드와 제 2 실드는 전기 플러그 커넥터 외부에서 상호 전기 전도성으로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인버터에 의해 야기되고 전기 도체의 실드 내부로 유도되는 간섭 전류의 대부분은 전기 플러그 커넥터를 통과하지 않게 된다. 단지 간섭 전류의 작은 일부분만 전기 유닛 내부로 유도된다. 그럼으로써, 플러그 접속부 내에서 열의 형태로 나타나는 전력 손실이 현저하게 줄어들게 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실드와 제 2 실드는 이들이 전기 플러그 커넥터 내부로 유입될 때에 통과하는 자신의 유입구 가까이에서 상호 전기 전도성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 1 실드와 제 2 실드의 전기 전도성 접속부가 전기 플러그 커넥터에 대하여 가깝게 존재함으로써, 전자기 간섭 전류가 상기 전기 전도성 접속부와 전기 플러그 커넥터 사이에 남아 있는 전기 라인의 부분을 통해서 전기 플러그 커넥터의 실드 내부로 유도될 수 있는 가능성은 거의 없다.
본 발명의 추가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실드 및 제 2 실드는 전기 플러그 커넥터 내부에서 상호 전기 전도성으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적인 형상에 의해서는, 제 1 실드 및 제 2 실드가 예를 들어 간단한 방식으로 상호 전기 전도성으로 접속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기 장치에는 앞에서 기술된 전기 접속 구조물이 제공된다. 상기 전기 접속 구조물에 의해서 인버터와 전기 유닛이 상호 전기 전도성으로 접속되어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기 장치의 전기 접속 구조물은 제 1 전기 절연 플러그 하우징을 구비한 제 1 전기 플러그 커넥터 및 제 2 전기 절연 플러그 하우징을 구비한 제 2 전기 플러그 커넥터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전기 플러그 커넥터는 전기 유닛에 전기 전도성으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제 2 전기 플러그 커넥터는 인버터에 전기 전도성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 1 실드 및 제 2 실드는 상호 전기 전도성으로 두 번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전기 전도성 접속은 제 1 플러그 커넥터의 경우에는 플러그 하우징 내부에서 또는 외부에서 이루어질 수 있고, 제 2 플러그 커넥터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자체 플러그 하우징 내부에서 또는 외부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실드와 제 2 실드의 상호 전기 전도성 접속이 플러그 하우징 외부에서 이루어지면, 각각의 전기 전도성 접속부는 라인이 개별 플러그 커넥터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구 가까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자동차에는 앞에서 기술된 전기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와 같은 점에서 본 발명의 사상이 전기 접속 구조물, 이와 관련된 접속 구조물을 구비한 전기 장치 및 전기 장치를 구비한 자동차와 연관되어 있다는 점을 언급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점에서, 개별적으로 기술된 특징들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들에 도달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상호 조합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본 발명을 통해, 차폐 내에서 간섭 전류에 의해 야기되는 열 발생이 전기 플러그 커넥터 내부에서 줄어들도록 구성된 전기 커넥터 구조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면들은 단지 개략적으로만 그리고 척도에 맞지 않게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전기 사용자 장치에 연결된 선행 기술에 따른 전기 접속 구조물을 종단면도로 보여주고 있으며;
도 2는 도 1에 공지된 실드를 전기 등가 회로도로서 보여주고 있고;
도 3은 전기 접속 구조물의 제 1 변형 예를 종단면도로 보여주고 있으며;
도 4는 전기 사용자 장치에 연결된 전기 접속 구조물의 제 1 변형 예를 종단면도로 보여주고 있고;
도 5는 도 4에 공지된 실드를 전기 등가 회로도로서 보여주고 있으며;
도 6은 전기 사용자 장치에 연결된 전기 접속 구조물의 제 2 변형 예를 종단면도로 보여주고 있고;
도 7은 도 6에 공지된 실드를 전기 등가 회로도로서 보여주고 있으며; 그리고
도 8은 직류원, 인버터 및 구동 모터 그리고 상기 인버터와 상기 구동 모터를 연결하는 전기 접속 구조물을 구비한 자동차를 보여주고 있다.
도 1은 선행 기술에 따른 전기 접속 구조물(100)을 보여주고 있다. 본 도면에서 전기 접속 구조물(100)은 전기적으로 절연된 플러그 하우징(15)을 구비한 전기 플러그 커넥터(4)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하우징은 대응 전기 플러그 커넥터(6)에 해체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접속 구조물(100)은 제 1 전기 라인(8)을 포함하며, 이 경우 상기 제 1 전기 라인(8)은 제 1 위상 위치를 갖는 제 1 전류를 전달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접속 구조물(100)은 또한 제 2 위상 위치를 갖는 제 2 전류를 전달하도록 설계된 제 2 전기 라인(1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 1 위상 위치 및 상기 제 2 위상 위치는 일시적으로 상호 변위 되어 있다. 제 1 라인(8)은 전자기 간섭을 막아주는 제 1 실드(12)를 구비한다. 제 2 라인(10)은 전자기 간섭을 막아주는 제 2 실드(14)를 구비한다. 상기 제 1 전기 라인(8) 및 상기 제 2 전기 라인(10)은 전기 사용자 장치로서 형성된 전기 유닛(16)으로 안내된다. 상기 두 개의 전기 라인(8, 10)에 의해서 전기 유닛(16)에 전기 에너지가 공급된다. 상기 전기 유닛(16)은 전기 전도성 유닛 하우징(18)에 의해서 둘러싸여 있다. 상기 유닛 하우징(18)에는 제 3 실드(20) 및 제 4 실드(22)가 전기 전도성으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제 3 실드(20) 및 상기 제 4 실드(22)는 대응 전기 플러그 커넥터(6) 내부로 안내된다. 이때 상기 대응 전기 플러그 커넥터(6)는 유닛 하우징(18)에 단단히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전기 플러그 커넥터(4)-대응 플러그 커넥터(6)-조합 내에서는 제 1 실드(12)가 제 3 실드(20)에 전기 전도성으로 접속되어 있고, 제 2 실드(14)가 제 4 실드(22)에 전기 전도성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목적을 위하여 상기 제 1 실드(12)는 제 1 차폐 부품(24)에 전기 전도성으로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 2 실드(14)는 제 2 차폐 부품(26)에 전기 전도성으로 접속되어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 1 차폐 부품(24) 및 상기 제 2 차폐 부품(26)은 전기 플러그 커넥터(4)의 구성 부품이다. 상기 제 3 실드(20)는 제 3 차폐 부품(28)에 전기 전도성으로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 4 실드(22)는 제 4 차폐 부품(30)에 전기 전도성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 3 차폐 부품(28) 및 상기 제 4 차폐 부품(30)은 대응 전기 플러그 커넥터(6)의 구성 부품이다. 따라서, 상기 제 1 차폐 부품(24)은 제 3 차폐 부품(28)에 그리고 상기 제 2 차폐 부품(26)은 제 4 차폐 부품(30)에 각각 전기 전도성으로 그리고 서로 해체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제 1 실드(12)로부터 상기 제 1 차폐 부품(24)까지 그리고 상기 제 2 실드(14)로부터 상기 제 2 차폐 부품(26)까지는 각각 제 1 경계 저항(R1)이 존재한다. 상기 제 3 실드(20)로부터 상기 제 3 차폐 부품(28)까지 그리고 상기 제 4 실드(22)로부터 상기 제 4 차폐 부품(30)까지는 각각 제 2 경계 저항(R2)이 존재한다. 또한, 상기 유닛 하우징(18)으로부터 제 3 실드(20)까지 그리고 상기 제 4 실드(22)까지는 각각 제 3 경계 저항(R2)이 존재한다. 또한, 상기 제 1 차폐 부품(24)으로부터 제 3 차폐 부품(28)까지의 천이부에 그리고 상기 제 2 차폐 부품(26)으로부터 제 4 차폐 부품(30)까지의 천이부에는 각각 제 4 경계 저항(R4)이 있다. 또한, 상기 유닛 하우징(18)은 저항(R6)을 포함한다. 상기 전기 라인(8, 10)은 본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35 ㎟의 횡단면을 갖고, 각각의 라인당 약 150 A의 전류가 공급된다. 전류는 본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인버터에 의해서 두 개의 라인(8, 10) 내부에 공급된다. 이때 상기 인버터는 전자기 간섭을 발생하고, 상기 전자기 간섭도 마찬가지로 차폐(12, 14) 내부로 유도된다. 이와 같은 유도 작용으로 인하여 그리고 차폐(12, 14, 20, 22) 내부로 자기 간섭을 유도하는 라인 내부의 높은 전류에 의하여 총 70 A까지의 간섭 전류가 실드(12, 14, 20, 22) 내부로 유도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공지된 실드를 전기 등가 회로도로서 보여주고 있다. 본 도면에서 유닛 하우징(18)은 접지로 도시되어 있다. 제 1 실드(12) 및 제 3 실드(20)를 위해서뿐만 아니라 제 2 실드(14) 및 제 4 실드(22)를 위해서도 경계 저항(R1, R2, R3, R4)이 각각 직렬로 접속되어 있음을 도면을 통해 알 수 있다.
도 3은 전기 접속 구조물(2)의 제 1 변형 예를 보여주고 있다. 이때 본 도면에 도시된 전기 플러그 커넥터(4)는 제 1 차폐 부품(24)과 제 2 차폐 부품(26)이 전기 플러그 커넥터(4) 내부에서 접속부(32)에 의해 상호 전기 전도성으로 접속되어 있다는 점에서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전기 플러그 커넥터와 상이하다. 상기 접속부(32)와 제 1 실드(12) 및 제 2 실드(14) 사이에서는 각각 제 5 경계 저항(R5)이 나타난다.
도 4는 플러그 커넥터(4)가 도 3에 공지된 플러그 커넥터(4)로 대체된 도 1의 도면을 보여주고 있다. 그에 상응하게 제 1 차폐 부품(24)과 제 2 차폐 부품(26)은 접속부(32)에 의해서 전기 전도성으로 접속되어 있다.
도 5는 도 4에 공지된 실드를 전기 등가 회로도로서 보여주고 있다. 본 도면에서는 두 개의 전류 경로(50, 60)가 형성되어 있음을 분명하게 알 수 있다. 상기 제 1 전류 경로(50)는 제 1 실드(12)로부터 분기(34)에 있는 경계 저항(R1)을 거쳐서 두 개의 경계 저항(R5) 내부로, 그리고 그곳으로부터 제 1 경계 저항(R1)을 거쳐서 제 2 실드(14) 내부로 가이드 된다. 상기 분기(34)로부터는 제 1 도체(8)를 위한 제 2 전류 경로(60)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전류 경로는 제 4 경계 저항(R4) 내부로, 그곳으로부터 제 2 경계 저항(R2) 내부로, 그곳으로부터 제 3 경계 저항(R3) 내부로 그리고 그곳으로부터 제 3 실드(20) 내부로 가이드 된다. 앞에서 이미 기술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실드(12) 내에서는 예를 들어 70 A까지의 전류가 유도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전류 경로(50) 내에서는 70 A 레벨의 전류가 흐르게 된다. 전기적인 불균형(unbalance)에 의하여, 분기로부터 제 4 경계 저항(R4) 내부로 그리고 추가의 경계 저항(R2 및 R3) 내부로 가이드 되는 제 2 전류 경로(60)에는 예를 들어 약 5 A의 훨씬 더 적은 전류가 공급된다. 상기 제 2 전류 경로가 각각의 전기 라인(8, 10)을 위해서 존재하기 때문에 본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는 두 번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본 도면에 도시되어 있고 전기 플러그 커넥터(4) 및 대응 전기 플러그 커넥터(6)로 구성된 조합에서 생성되는 상기 제 1 전류 경로(50) 및 상기 제 2 전류 경로(60)에 대한 전체 전력 손실이 산출될 수 있다. 상기 제 2 전류 경로(60) 내에서는 훨씬 더 적은 전류 세기로 인해 선행 기술에 따른 전기 접속 구조물(100) 내에서 발생하는 전체 전력 손실에 대하여 마찬가지로 확연하게 감소 된 전력 손실이 생성된다.
그럼으로써, 두 개 전류 경로(50, 60)의 제조에 의해서는, 실드(12)에 의하여 전기 플러그 커넥터(4)-대응 플러그 커넥터(6)-조합 내부로 도입되는 간섭 전류가 제 3 실드(14)를 통해서 상기 전기 플러그 커넥터(4)-대응 플러그 커넥터(6)-조합으로부터 외부로 거의 손실 없이 출력된다. 제 1 실드(12) 내에서 발생하고 전기적으로 유도되는 간섭 전류는 제 2 실드(14)에 의해 발생기로 역으로 가이드 될 수 있다.
도 6은, 제 1 실드(12)와 제 2 실드(14) 사이에서 형성되는 전기 전도성 접속(32)이 상기 전기 플러그 커넥터(4)-대응 플러그 커넥터(6)-조합 내부로 유입되는 자신의 유입구 가까이에서 이미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도 4와 상이하다.
도 7에는 도 6에 공지된 실드가 전기 등가 회로도로서 도시되어 있다. 그에 상응하게 분기(34)는 제 1 경계 저항(R1) 앞에서 미리 이루어진다.
상기 설명에 상응하게 본 실시 예에서도 두 개의 전류 경로(50, 60)가 존재한다. 하지만, 실제로 두 개의 제 5 경계 저항(R5)으로 이루어진 제 1 전류 경로(50)는 상기 전기 플러그 커넥터(4)-대응 플러그 커넥터(6)-조합 외부에 놓여 있으며, 상기 제 1 전류 경로(50)는 상기 전기 플러그 커넥터(4)-대응 플러그 커넥터(6)-조합 내부에서의 전력 손실에 전혀 관여하지 않는다. 앞에서 이미 기술된 바와 같이, 분기(34)로부터는 단지 예를 들어 약 5 A의 훨씬 더 적은 전류 세기만이 경계 저항(R1, R4, R2 및 R3)에 공급된다. 그에 상응하게 상기 전기 플러그 커넥터(4)-대응 플러그 커넥터(6)-조합 내에서 생성되는 전력 손실은 선행 기술에 따라 공지된 전력 손실에 대하여 감소 된다.
전력 손실이 또한 상기 전기 플러그 커넥터(4)-대응 플러그 커넥터(6)-조합의 가열도 야기하기 때문에, 전력 손실이 상응하게 더 적은 경우에는 상기 전기 플러그 커넥터(4)-대응 플러그 커넥터(6)-조합도 더 적게 가열된다. 이때 상기 전기 플러그 커넥터(4)-대응 플러그 커넥터(6)-조합이 사전에 결정된 온도에서 작동될 수 있다고 가정한다면, 상대적으로 더 적은 전력 손실에 의해서 발생하는 상대적으로 더 적은 열은 예를 들어 전기 라인(8, 10)을 통해서 전달되는 전류 세기를 증가시킬 목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더 높은 주변 온도에서 상기 전기 플러그 커넥터(4)-대응 플러그 커넥터(6)-조합을 작동시키기 위하여, 전력 손실에 의해 발생 되는 더 적은 열 도입이 이용될 수도 있다.
도 8은 자동차(11)를 보여주고 있다. 본 도면에서는 직류 전압원(102)이 인버터(104)에 전기 전도성으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인버터(104)에 의해서는 본 실시 예에서의 직류가 3상 교류로 변환된다. 상기 3상 교류는 전기 접속 구조물(2)에 의해서 비동기 모터(106)에 공급되고, 상기 비동기 모터가 자동차(11)를 구동시킨다. 상기 전기 접속 구조물(2)은 제 1 라인(6) 및 제 2 라인(8) 외에 제 3 라인(36)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전기 접속 구조물(2)은 제 2 전기 절연 플러그 하우징(39)을 구비한 제 2 전기 플러그 커넥터(38)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전기 절연 플러그 하우징에 의해서는 전기 접속 구조물(2)이 인버터(104)에 전기 전도성으로 해체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제 3 전기 라인(36)도 제 1 실드(12) 및 제 2 실드(14) 외에 제 3 실드(40)를 구비한다. 상기 제 1 플러그 커넥터(4) 내부에서뿐만 아니라 상기 제 2 전기 플러그 커넥터(38) 내부에서도 상기 실드(12, 14, 40)는 접속부(32)에 의해 상호 전기 전도성으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전기 접속 구조물(2)은 인버터(104)를 직류원(102)에 접속하기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다.

Claims (8)

  1. 전기 절연 플러그 하우징(15)을 구비한 제 1 전기 플러그 커넥터(4)를 포함하는 전기 접속 구조물(2)로서,
    전기 접속 구조물(2)은 고전류를 전달하기 위하여 전기 유닛(16)에 영구적으로 접속된 대응(mating) 전기 플러그 커넥터(6)에 제 1 전기 플러그 커넥터(4)를 전기 전도성으로 접속하도록 설계되었으며,
    전기 접속 구조물(2)은 제 1 전류 경로(50) 및 제 2 전류 경로(60)를 구비하고, 전기 접속 구조물(2)은 제 1 전기 라인(8)을 구비하고, 이때 제 1 전기 라인(8)은 제 1 전류 경로(50)를 통해 제 1 위상 위치를 갖는 제 1 전류를 전달하도록 설계되었으며,
    전기 접속 구조물(2)은 제 2 전기 라인(10)을 구비하고, 이때 제 2 전기 라인(10)은 제 2 전류 경로(60)를 통해 제 2 위상 위치를 갖는 제 2 전류를 전달하도록 설계되었으며,
    제 1 위상 위치 및 상기 제 2 위상 위치는 상호 간에 일시적으로 변위 되었으며,
    제 1 전기 라인(8)은 전자기 간섭을 막아주는 제 1 실드(12)를 구비하며,
    제 2 전기 라인(10)은 전자기 간섭을 막아주는 제 2 실드(14)를 구비하며,
    제 1 실드(12)는 대응 전기 플러그 커넥터(6) 내에 배치된 제 3 실드(20)에 해체 가능하게 전기 전도성으로 접속될 수 있으며,
    제 2 실드(14)는 대응 전기 플러그 커넥터(6) 내에 배치된 제 4 실드(22)에 해체 가능하게 전기 전도성으로 접속될 수 있는, 전기 접속 구조물(2)에 있어서,
    제 1 실드(12) 및 제 2 실드(14)는 서로 상이하며,
    제 1 실드(12)와 제 2 실드(14)는 전기 접속 구조물(2) 내부에서 상호 전기 전도성으로 접속되어, 전기 접속 구조물(2)에서, 제 1 전류 경로(50)는 제 1 실드(12)로부터 분기(34)에 있는 제 1 경계 저항(R1)을 거쳐서 두 개의 경계 저항(R5) 내부로, 그리고 그곳으로부터 제 1 경계 저항(R1)을 거쳐서 제 2 실드(14) 내부로 가이드되고, 제 2 전류 경로(60)는 분기(34)로부터 제 4 경계 저항(R4) 내부로, 그곳으로부터 제 2 경계 저항(R2) 내부로, 그곳으로부터 제 3 경계 저항(R3) 내부로 그리고 그곳으로부터 제 3 실드(20) 내부로 가이드되며,
    제 2 전류 경로(60)를 흐르는 제 2 전류는 제 1 전류 경로(50)를 흐르는 제 1 전류의 세기보다 더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 구조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실드(12)와 제 2 실드(14)는 제 1 전기 플러그 커넥터(4) 외부에서 상호 전도성으로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 구조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제 1 실드(12)와 제 2 실드(14)는 제 1 전기 플러그 커넥터(4) 내부로 유입되는 자신의 유입구 가까이에서 상호 전기 전도성으로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 구조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실드(12)와 제 2 실드(14)는 제 1 전기 플러그 커넥터(4) 내부에서 상호 전기 전도성으로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 구조물.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전기 접속 구조물(2)을 포함하는 전기 장치로서,
    전기 접속 구조물(2)에 의해서 인버터(104)와 전기 유닛(106)이 상호 전기 전도성으로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전기 접속 구조물(2)은 제 1 전기 절연 플러그 하우징(15)을 구비한 제 1 전기 플러그 커넥터(4) 및 제 2 전기 절연 플러그 하우징(39)을 구비한 제 2 전기 플러그 커넥터(38)를 구비하며,
    제 1 전기 플러그 커넥터(4)는 전기 유닛(106)에 전기 전도성으로 접속되어 있으며,
    제 2 전기 플러그 커넥터(38)는 상기 인버터(104)에 전기 전도성으로 접속되어 있으며,
    제 1 실드(12)와 제 2 실드(14)는 상호 두 번 전기 전도성으로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장치.
  7. 제 5 항에 따른 전기 장치를 구비한 자동차.
  8. 삭제
KR1020147012720A 2011-12-13 2012-10-15 전기 플러그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기 접속 구조물 및 이와 관련된 전기 장치 KR1016865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1088333A DE102011088333A1 (de) 2011-12-13 2011-12-13 Elektrische Verbindungsstruktur mit einem elektrischen Steckverbinder und eine diesbezügliche elektrische Anordnung
DE102011088333.9 2011-12-13
PCT/EP2012/070361 WO2013087253A1 (de) 2011-12-13 2012-10-15 Elektrische verbindungsstruktur mit einem elektrischen steckverbinder und eine diesbezügliche elektrische anordn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5009A KR20140075009A (ko) 2014-06-18
KR101686542B1 true KR101686542B1 (ko) 2016-12-15

Family

ID=47143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2720A KR101686542B1 (ko) 2011-12-13 2012-10-15 전기 플러그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기 접속 구조물 및 이와 관련된 전기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50056860A1 (ko)
EP (1) EP2792025B1 (ko)
JP (1) JP6316201B2 (ko)
KR (1) KR101686542B1 (ko)
CN (1) CN103988369B (ko)
DE (1) DE102011088333A1 (ko)
WO (1) WO20130872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97054B1 (en) 2015-08-18 2016-11-15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having interconnect radiation mitigation capabilities
US10914757B2 (en) * 2019-02-07 2021-02-09 Teradyne, Inc. Connection module
GB202210596D0 (en) * 2022-07-20 2022-08-31 Apios Ltd System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to personal electronic devices in a passenger vehic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75552A (ja) 2000-08-30 2002-03-15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多極シールドコネクタの接続構造
JP2011216454A (ja) 2010-03-15 2011-10-27 Yazaki Corp 回路体の製造方法及びワイヤハーネス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01040Y2 (ja) * 1991-09-20 1996-06-1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構造
JP2501041Y2 (ja) * 1991-09-20 1996-06-1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構造
US5240425A (en) * 1991-09-20 1993-08-31 Hirose Electric Co., Ltd. Electrical connector
JP3585061B2 (ja) * 1995-06-06 2004-11-04 矢崎総業株式会社 シールドコネクタ
JPH11102752A (ja) * 1997-09-29 1999-04-13 Yazaki Corp シールドコネクタ
JP3311997B2 (ja) * 1998-07-06 2002-08-05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DE60232947D1 (de) * 2001-01-29 2009-08-27 Tyco Electronics Corp Rbinder hoher dichte
US7195518B2 (en) * 2005-05-02 2007-03-27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enhanced jack interface
DE102006012337B3 (de) * 2006-03-17 2007-11-29 Amphenol-Tuchel Electronics Gmbh Elektrischer Steckverbinder
WO2008109109A1 (en) * 2007-03-06 2008-09-12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High voltage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2008235189A (ja) * 2007-03-23 2008-10-02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コネクタハウジング
DE102008033483B4 (de) * 2007-07-17 2019-02-1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 d. Staates Delaware) Schnittstellenanordnung zur Verwendung mit Wechselrichtern von Fahrzeugen
JP4918424B2 (ja) * 2007-07-24 2012-04-18 矢崎総業株式会社 シールドボックス
JP5119940B2 (ja) * 2008-01-17 2013-01-16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5485731B2 (ja) * 2010-02-02 2014-05-07 矢崎総業株式会社 防水型シールドコネクタ
US8333613B2 (en) * 2011-02-15 2012-12-18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Header assembl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75552A (ja) 2000-08-30 2002-03-15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多極シールドコネクタの接続構造
JP2011216454A (ja) 2010-03-15 2011-10-27 Yazaki Corp 回路体の製造方法及びワイヤハーネ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503207A (ja) 2015-01-29
CN103988369A (zh) 2014-08-13
KR20140075009A (ko) 2014-06-18
CN103988369B (zh) 2017-10-27
EP2792025A1 (de) 2014-10-22
US20150056860A1 (en) 2015-02-26
EP2792025B1 (de) 2018-07-25
JP6316201B2 (ja) 2018-04-25
DE102011088333A1 (de) 2013-06-13
WO2013087253A1 (de) 2013-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0221143B2 (en) Charging station and arrangement of electric components for controlling the delivery of electricity from an electrical grid to an electric vehicle
CN105610124B (zh) 具有通过ntc到地的自动热关闭的evse手柄
CN105008174B (zh) 用于电动车辆的充电设备
KR101686542B1 (ko) 전기 플러그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기 접속 구조물 및 이와 관련된 전기 장치
US10673349B2 (en) Power conversion device with efficient cooling structure
CN103270622B (zh) 具有减小的总电感的电池模块
CN109962193A (zh) 电气设备
ATE471590T1 (de) Verschraubte kugelserien und schaltleitung für statorspulen von elektrischen generatoren
EP2711936A1 (en) Radiating noise minimizing method and charging cable
JP6392814B2 (ja) 電力分配器装置
CN105576454B (zh) 用于扩展插座的安全装置
CN1194361C (zh) 带有每相双极并配备补偿磁路的三相高电流开关设备
CN104660021B (zh) 逆变器的预充电电路
CN102742082B (zh) 具有热耦辅助绞合线的连接装置、电集束以及对应用途
US8466580B2 (en) Electrical system of a vehicle with electrical traction
EP3031111B1 (en) Electricity transmission
CN103856031A (zh) 一种电子机械的电源电路
CN109565944B (zh) 用于大功率变流器的相位模块
CN103024956A (zh) 中频感应加热电源用防漏电的水电缆
Elshaer et al. Exploration of the impact of high voltage ground fault in an electric vehicle connected to earthing systems worldwide
CN219789912U (zh) 非接触供电系统
Noufal et al. Induced sheath voltage and currents in cross-bonded power cables with consideration of improper connection of bonding leads
CN203027517U (zh) 中频感应加热电源用防漏电的水电缆
KR101850643B1 (ko) 무선충전 급전장치용 리츠와이어 단말기
JP2022509464A (ja) 電気分布ネットワークのための高周波電気ノイズ低減のための受動フィル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