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5966B1 - 고막천공관과 그 제조방법 및 사용방법 - Google Patents

고막천공관과 그 제조방법 및 사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5966B1
KR101685966B1 KR1020150086180A KR20150086180A KR101685966B1 KR 101685966 B1 KR101685966 B1 KR 101685966B1 KR 1020150086180 A KR1020150086180 A KR 1020150086180A KR 20150086180 A KR20150086180 A KR 20150086180A KR 101685966 B1 KR101685966 B1 KR 1016859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eardrum
passage
fluid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6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영준
조호성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제이앤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제이앤킴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86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59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5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59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61F11/00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8Internal ear or nose parts, e.g. ear-dru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유체가 흐를 수 있는 통로를 갖는 파이프 형상의 몸체에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고막천공관을 제공한다. 이에 의해, 염증과 같은 이물질이 몸체의 표면에 부착되는 것을 억제하여 몸체의 표면에서 세균막이 증식할 위험성을 감소시킨 고막천공관과 그 제조방법 및 사용방법을 제공한다. 염증과 같은 이물질이 몸체의 표면에 부착되는 것을 억제하여 몸체의 표면에서 세균막이 증식할 위험성을 감소시킨 고막천공관과 그 제조방법 및 사용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고막천공관과 그 제조방법 및 사용방법 {Tube for perforating tympanic membran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n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의료기기와 그 제조방법 및 사용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고막천공관과 그 제조방법 및 사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막(鼓膜, tympanic membrane)은 바깥귀인 외이와 가운데귀인 중이의 경계가 되는 엷은 반투명 막으로, 삿갓모양으로 생겼으며, 가로와 세로가 각각 약 9mm, 두께가 약 0.1mm로 되어 있다. 고막은 중이에 대한 방어벽이 되고 소리를 들으면 귓속뼈를 진동시켜 속귀인 내이의 달팽이관에 소리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중이는 귀를 세 부분으로 나누었을 때 고막에서부터 달팽이관까지를 말한다. 중이는 고실, 귓속뼈, 귀관으로 이루어져 있다. 점막으로 덮여 있고 공기로 채워진 하나의 공간이다. 중이는 유스타키오관이라고 하는 얇고 좁은 관을 통해 비강(비인두)과 이어진다. 정상 상태에서 외이의 공기 압력이 변하면 코에서 유스타키오관(eustachian tube)을 통해 공기가 들어와 중이의 압력을 조절하지만, 콧물이나 작은 종양덩어리, 개구부 주위의 편도 조직이 너무 크면 막히는 수가 있다.
중이염(中耳炎, otitis media)은 중이에서 발생하는 모든 염증을 말한다. 중이염은 소아에서 발생하는 세균성 감염 중 가장 흔한 염증 중의 하나로서, 생후 6개월이 지나면 발생 빈도가 높아지기 시작해서 2세경에 발생 빈도가 가장 높게 된다. 모든 소아의 네 명 중 세 명이 3세 이전에 한 번 이상 중이염을 경험하게 된다고 알려져 있다. 급성 중이염은 3주 이내의 급성 염증을 동반한 중이염으로 귀의 통증, 발열 등의 증상을 동반하게 되고, 삼출성 중이염은 급성 염증의 증상이 없이 중이 내부 공간인 중이강에 점막 등에서 분비된 액체인 삼출액이 고이는 질환을 말한다. 삼출성 중이염은 흔히 급성 중이염을 앓고 난 뒤 급성 염증은 사라지고 삼출액만 중이강에 남는 경우를 일컫는다. 중이염은 일반적으로 유스타키오관의 점막이 감기, 알레르기 등으로 부어 막히게 됨으로써 중이강 내부에 음압이 형성되고 주변으로부터 삼출액이 나와 고이게 되며 여기에 세균이 증식하여 발생하게 된다.
중이염은 흔히 항생물질과 같은 약물로 치료된다. 통증을 줄이고 세균검사를 시행하는 등 특별한 사정이 있는 경우에는 중이염은 주사기를 이용하여 중이에 있는 삼출액을 직접 뽑아내는 고막천자 또는 고막에 구멍을 만들어 삼출액이 자연스럽게 배출되도록 하는 고막절개의 방법에 의해 치료되기도 한다.
중이염은 다양한 내과적 또는 외과적 방법에 의해 예방될 수 있다. 급성 중이염을 반복적으로 앓거나 만성 삼출성 중이염으로 난청이 있는 경우와 같이 특별한 사정이 있는 경우에는, 중이의 배출과 환기를 도와 급성 중이염과 삼출성 중이염 발생을 줄이기 위해 고막에 환기관을 삽입하는 고막천공술(tympanostomy)을 실행할 수 있다. 고막에 환기관을 삽입하게 되면, 중이의 배출과 환기를 도와 중이염 발생 가능성을 감소시키고 삼출액에 의한 난청이 해소되며 만성 삼출성 중이염에 의한 언어장애, 균형장애가 해소되고 행동장애나 수면장애도 좋아질 수 있다.
고막천공술은 일반적으로 고막에 절개부를 형성한 고막절개술(myringotomy)을 실행한 다음, 절개부에 관을 삽입하여 배치하고, 이어서 흡입 장치로 관을 통해 중이로부터 삼출물을 흡입하는 방법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최근에는 하나의 시스템에 의해 고막절개 및 환기관 삽입을 연속적으로 거의 동시에 실행하는 시스템이 제안되기도 했다.
본 발명은 중이의 삼출액 배출 및 환기를 위한 고막천공관과 그 제조방법 및 사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특허청 공개번호 제10-2014-0143450호 공개특허공보
종래에 대한민국특허청 공개번호 제10-2014-0143450호 공개특허공보에 공개되어 있는 바와 같은 고막 압력 균등화 관에 있어서는 고막에 천공을 형성하기 위해 튜브 형상의 관을 고막에 설치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고막 압력 균등화 관에 있어서는, 고막에 천공을 형성하기 위한 관이 튜브 형상으로 되어 있어서, 염증과 같은 이물질이 관의 표면에 부착되어 표면에서 세균막이 증식할 위험이 큰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염증과 같은 이물질이 표면에 부착되는 것을 억제하여 표면에서 세균막이 증식할 위험성을 감소시킨 고막천공관과 그 제조방법 및 사용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내부에 유체가 흐를 수 있는 통로를 갖는 파이프 형상의 몸체에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고막천공관을 제공한다. 이에 의해, 염증과 같은 이물질이 몸체의 표면에 부착되는 것을 억제하여 몸체의 표면에서 세균막이 증식할 위험성을 감소시킨 고막천공관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구멍의 횡단면적이 구멍을 형성하는 내측면의 면적보다 더 넓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복수의 구멍을 형성하기 전에 비하여 몸체의 전체 표면적을 줄일 수 있어서, 염증과 같은 이물질이 몸체의 표면에 부착되는 것을 대폭 억제하여 몸체의 표면에서 세균막이 증식할 위험성을 대폭 감소시킨 고막천공관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몸체의 양 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 몸체의 유체가 흐를 수 있는 통로의 방향에 대해 방사 방향으로 연장된 플랜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고막에 배치된 고막천공관이 플랜지에 의해 고막에 걸려서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할 수 있어서, 운동시에도 고막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는 고막천공관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플랜지에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염증과 같은 이물질이 플랜지의 표면에 부착되는 것을 억제하여 플랜지의 표면에서 세균막이 증식할 위험성을 감소시킨 고막천공관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플랜지가 몸체의 양 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를 따라 불연속적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플랜지를 몸체의 유체가 흐를 수 있는 통로의 방향 쪽으로 구부러지도록 가압한 상태에서 고막천공관을 고막의 절개 부위에 용이하게 삽입한 다음, 플랜지의 가압 상태를 해제한 때에, 플랜지가 다시 몸체의 유체가 흐를 수 있는 통로의 방향에 대해 방사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용이하게 복귀하는 고막천공관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내부에 유체가 흐를 수 있는 통로를 갖는 파이프 형상의 몸체가 스텐트인 고막천공관을 제공한다. 이에 의해, 염증과 같은 이물질이 몸체의 표면에 부착되는 것을 억제하여 몸체의 표면에서 세균막이 증식할 위험성을 감소시키는 고막천공관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스텐트가, 몸체의 유체가 흐를 수 있는 통로의 방향을 감싸면서 몸체의 외주면을 따라 배열되는 제1 프레임; 몸체의 유체가 흐를 수 있는 통로의 방향을 감싸면서 제1 프레임에 이웃하여 몸체의 외주면을 따라 배열되는 제2 프레임; 및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을 구비하고,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은 각각 몸체의 유체가 흐를 수 있는 통로의 방향으로 연장되고 서로 떨어져서 몸체의 외주면을 따라 배열된 탄성을 갖는 복수의 메인부와, 이웃하는 메인부의 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는 고막천공관을 제공한다. 이에 의해, 염증과 같은 이물질이 몸체의 표면에 부착되는 것을 억제하여 몸체의 표면에서 세균막이 증식할 위험성을 감소시킴은 물론, 몸체를 유체가 흐를 수 있는 통로의 방향을 감싸면서 외주면을 따라 탄성적으로 압축 또는 확장시킬 수 있어서 고막에 용이하게 삽입한 후에 고막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는 고막천공관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연결프레임은 제1 프레임의 연결부와 제2 프레임의 연결부를 서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몸체의 양 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 몸체의 유체가 흐를 수 있는 통로의 방향에 대해 방사 방향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고막에 배치된 고막천공관이 플랜지에 의해 고막에 걸려서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할 수 있어서, 운동시에도 고막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는 고막천공관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플랜지가, 몸체의 유체가 흐를 수 있는 통로의 방향에 대해 방사 방향으로 연장되고 서로 떨어져서 몸체의 외주면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메인부; 이웃하는 메인부의 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 및 플랜지와 몸체를 접속하는 접속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플랜지를 몸체의 유체가 흐를 수 있는 통로의 방향 쪽으로 구부린 상태에서, 유로의 방향을 감싸면서 외주면을 따라 탄성적으로 압축 또는 확장시킬 수 있어서, 고막에 용이하게 삽입한 후에 유로의 방향에 대해 방사 방향으로 용이하게 복귀하여 고막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는 고막천공관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11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플랜지가 몸체의 양 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를 따라 불연속적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플랜지를 몸체의 유체가 흐를 수 있는 통로의 방향 쪽으로 구부러지도록 가압한 상태에서 고막천공관을 고막의 절개 부위에 용이하게 삽입한 다음, 플랜지의 가압 상태를 해제한 때에, 플랜지가 다시 몸체의 유체가 흐를 수 있는 통로의 방향에 대해 방사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용이하게 복귀하는 고막천공관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12에 기재된 발명은, 내부에 유체가 흐를 수 있는 통로를 갖는 파이프 형상의 몸체를 준비하는 단계; 및 몸체에 복수의 구멍을 형성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고막천공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에 의해, 염증과 같은 이물질이 몸체의 표면에 부착되는 것을 억제하여 몸체의 표면에서 세균막이 증식할 위험성을 감소시킨 고막천공관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1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2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구멍의 횡단면적이 구멍을 형성하는 내측면의 면적보다 더 넓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복수의 구멍을 형성하기 전에 비하여 몸체의 전체 표면적을 줄일 수 있어서, 염증과 같은 이물질이 몸체의 표면에 부착되는 것을 대폭 억제하여 몸체의 표면에서 세균막이 증식할 위험성을 대폭 감소시킨 고막천공관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1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2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몸체의 양 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 몸체의 유체가 흐를 수 있는 통로의 방향에 대해 방사 방향으로 연장된 플랜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고막에 배치된 고막천공관이 플랜지에 의해 고막에 걸려서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할 수 있어서, 운동시에도 고막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는 고막천공관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15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2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플랜지에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염증과 같은 이물질이 플랜지의 표면에 부착되는 것을 억제하여 플랜지의 표면에서 세균막이 증식할 위험성을 감소시킨 고막천공관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16에 기재된 발명은, 내부에 유체가 흐를 수 있는 통로를 갖는 파이프 형상의 몸체를 준비하는 단계; 및 몸체에 스텐트의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고막천공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에 의해, 염증과 같은 이물질이 몸체의 표면에 부착되는 것을 억제하여 몸체의 표면에서 세균막이 증식할 위험성을 감소시키는 고막천공관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17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6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스텐트가, 몸체의 유체가 흐를 수 있는 통로의 방향을 감싸면서 몸체의 외주면을 따라 배열되는 제1 프레임; 몸체의 유체가 흐를 수 있는 통로의 방향을 감싸면서 제1 프레임에 이웃하여 몸체의 외주면을 따라 배열되는 제2 프레임; 및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을 구비하고,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은 각각 몸체의 유체가 흐를 수 있는 통로의 방향으로 연장되고 서로 떨어져서 몸체의 외주면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메인부와, 이웃하는 메인부의 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염증과 같은 이물질이 몸체의 표면에 부착되는 것을 억제하여 몸체의 표면에서 세균막이 증식할 위험성을 감소시킴은 물론, 몸체를 유체가 흐를 수 있는 통로의 방향을 감싸면서 외주면을 따라 탄성적으로 압축 또는 확장시킬 수 있어서 고막에 용이하게 삽입한 후에 고막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는 고막천공관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18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7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몸체의 양 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 몸체의 유체가 흐를 수 있는 통로의 방향에 대해 방사 방향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고막에 배치된 고막천공관이 플랜지에 의해 고막에 걸려서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할 수 있어서, 운동시에도 고막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는 고막천공관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19에 기재된 발명은, 고막을 절개하는 단계; 및 고막의 절개된 부분에 고막천공관을 삽입하는 단계를 구비하고, 고막천공관은 내부에 유체가 흐를 수 있는 통로를 갖는 파이프 형상의 몸체에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고막천공관의 사용방법을 제공한다. 이에 의해, 염증과 같은 이물질이 몸체의 표면에 부착되는 것을 억제하여 몸체의 표면에서 세균막이 증식할 위험성을 감소시킨 고막천공관의 사용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20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9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구멍의 횡단면적이 구멍을 형성하는 내측면의 면적보다 더 넓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복수의 구멍을 형성하기 전에 비하여 몸체의 전체 표면적을 줄일 수 있어서, 염증과 같은 이물질이 몸체의 표면에 부착되는 것을 대폭 억제하여 몸체의 표면에서 세균막이 증식할 위험성을 대폭 감소시킨 고막천공관의 사용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21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9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몸체의 양 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 몸체의 유체가 흐를 수 있는 통로의 방향에 대해 방사 방향으로 연장된 플랜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고막에 배치된 고막천공관이 플랜지에 의해 고막에 걸려서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할 수 있어서, 운동시에도 고막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는 고막천공관의 사용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22에 기재된 발명은, 고막을 절개하는 단계; 및 고막의 절개된 부분에 고막천공관을 삽입하는 단계를 구비하고, 고막천공관은 내부에 유체가 흐를 수 있는 통로를 갖는 파이프 형상의 몸체가 스텐트이며, 스텐트는 몸체의 유체가 흐를 수 있는 통로의 방향을 감싸면서 몸체의 외주면을 따라 배열되는 제1 프레임; 몸체의 유체가 흐를 수 있는 통로의 방향을 감싸면서 제1 프레임에 이웃하여 몸체의 외주면을 따라 배열되는 제2 프레임; 및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을 구비하고,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은 각각 몸체의 유체가 흐를 수 있는 통로의 방향으로 연장되고 서로 떨어져서 몸체의 외주면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메인부와, 이웃하는 메인부의 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는 고막천공관의 사용방법을 제공한다. 이에 의해, 염증과 같은 이물질이 몸체의 표면에 부착되는 것을 억제하여 몸체의 표면에서 세균막이 증식할 위험성을 감소시킴은 물론, 몸체를 유체가 흐를 수 있는 통로의 방향을 감싸면서 외주면을 따라 탄성적으로 압축 또는 확장시킬 수 있어서 고막에 용이하게 삽입한 후에 고막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는 고막천공관의 사용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염증과 같은 이물질이 표면에 부착되는 것을 억제하여 표면에서 세균막이 증식할 위험성을 감소시킨 고막천공관과 그 제조방법 및 사용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례로서 고막천공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천공을 부분적으로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예시적인 다른 실시례로서 고막천공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고막천공관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예시적인 또 다른 실시례로서 고막천공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고막천공관의 일부를 부분적으로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예시적인 또 다른 실시례로서 고막천공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예시적인 또 다른 실시례로서 고막천공관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는 예시적인 또 다른 실시례로서 고막천공관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0은 예시적인 또 다른 실시례로서 고막천공관의 사용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실시례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실시례는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제공되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의 실시례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례 1)
본 실시례는 고막천공관이다. 고막천공관은 고막에 구멍을 형성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고막천공관에 의해 중이에 채워진 삼출액을 외이로 배출시키거나 또는 중이와 내이의 환기를 통해 양쪽의 압력을 균등화시킬 수 있게 된다.
예시적으로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례의 고막천공관(100)은 내부에 유체가 흐를 수 있는 통로(130)를 갖는 파이프 형상의 몸체(110)를 구비한다.
몸체(110)의 길이는, 고막천공관(100)의 용도나 형상 등에 의해 다양할 수 있는데, 예컨대, 0.5mm 내지 8mm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몸체(110)의 길이는 1mm 내지 4mm일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몸체(110)의 길이는 1.5mm 내지 2.5mm일 수 있다.
몸체(110)의 통로(130)의 직경은 다양할 수 있다. 예컨대, 몸체(110)의 통로(130)의 직경은, 1mm 내지 4mm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5mm 내지 3.5mm일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2mm 내지 3mm일 수 있다.
몸체(110)의 재질은 다양할 수 있다. 예컨대, 몸체(110)의 재질은 불소수지(fluoroplastic), 폴리에틸렌(polyethylene), 실리콘(silicone), 스테인리스강(stainless steel) 및 티타늄(titanium)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110)는, 예시적으로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복수의 구멍(120)을 가질 수 있다. 이에 의해 몸체(110)의 표면적이 감소함으로써 중이 내부의 삼출액 등에서 비롯된 이물질로 인해 몸체(110)의 표면에서 세균막이 증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구멍(120)의 형상은 다양할 수 있다. 예컨대, 구멍(120)의 횡단면은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등의 다각형일 수 있다. 또는 구멍(120)의 횡단면은 원형, 타원형 등일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구멍(120)의 가장자리가 곡선으로 되어 있어서 구멍(120)의 가장자리로 인해 고막에 상처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구멍(120)의 가장자리를 둥근 형상으로 가공할 경우에는 구멍(120)의 가장자리로 인해 고막에 상처가 생기는 것을 더욱 확실히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구멍(120)의 크기는 다양할 수 있다. 예컨대, 작은 구멍(120)들을 매우 많이 형성할 수도 있고 큰 구멍(120)들을 소수 형성할 수도 있다. 또는 구멍(120)의 횡단면적이 구멍(120)을 형성하는 내측면의 면적보다 더 넓게 될 수 있다. 예컨대, 예시적으로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몸체(110)에 형성된 구멍(120)이 반경 r인 원형이고 몸체(110)의 두께가 t일 경우, 구멍(120)의 횡단면적은 πr2이고, 구멍(120)을 형성하는 내측면의 면적은 2πrt이며, πr2 > 2πrt일 수 있다. 즉, r > 2t일 수 있다. 이에 의해 구멍(120)을 형성하기 전의 구멍에 상응하는 몸체(110)의 표면적보다 구멍(120)의 형성에 의해 생기는 내측면의 면적이 더 작게 됨으로써, 복수의 구멍(120)을 형성하기 전에 비하여 몸체(110)의 전체 표면적을 줄일 수 있어서, 염증과 같은 이물질이 몸체(110)의 표면에 부착되는 것을 대폭 억제하여 몸체(110)의 표면에서 세균막이 증식할 위험성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실시례 2)
본 실시례는 다른 고막천공관이다. 예시적으로 도 3 및 도 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례의 고막천공관(200)은 내부에 유체가 흐를 수 있는 통로(240)를 갖는 파이프 형상의 몸체(210)를 구비한다. 또한, 몸체(210)에는 복수의 구멍(220)이 형성되어 있다.
몸체(210)의 제1 단부(211)에는 몸체(210)의 유체가 흐를 수 있는 통로(240)의 방향에 대해 방사 방향으로 연장된 제1 플랜지(231)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고막에 배치된 고막천공관(200)이 제1 플랜지(231)에 의해 고막에 걸려서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할 수 있어서, 운동할 때와 같은 경우에도 고막천공관(200)이 고막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는다.
제1 플랜지(231)의 몸체(210)의 유체가 흐를 수 있는 통로(240)의 방향에 대해 방사 방향으로의 길이는 다양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플랜지(231)의 방사 방향으로의 길이는 1mm 내지 3mm일 수 있다. 또는 제1 플랜지(231)의 방사 방향으로의 길이는 1.5mm 내지 2.5mm일 수 있다.
제1 플랜지(231)에는 복수의 구멍(220)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의해, 염증과 같은 이물질이 제1 플랜지(231)의 표면에 부착되는 것을 억제하여 제1 플랜지(231)의 표면에서 세균막이 증식할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구멍(220)의 크기나 형상은 실시례 1에서의 구멍의 크기나 형상과 마찬가지로 다양할 수 있다. 다만, 제1 플랜지(231)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구멍이 형성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제1 플랜지(231)는 몸체(210)의 제1 단부(211)를 따라 불연속적으로 연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플랜지(231)를 몸체(210)의 유체가 흐를 수 있는 통로(240)의 방향 쪽으로 구부러지도록 가압한 상태에서 고막천공관(200)을 고막의 절개 부위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고, 삽입된 제1 플랜지(231)의 가압 상태를 해제하여 제1 플랜지(231)가 다시 몸체(210)의 유체가 흐를 수 있는 통로(240)의 방향에 대해 방사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용이하게 복귀시킬 수 있게 된다. 제1 플랜지(231)는, 예시적으로 도 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몸체(210)의 제1 단부(211)를 따라 네 개의 요소(231a)(231b)(231c)(231d)가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떨어져 불연속적으로 연장되어 있을 수 있다. 다만, 제1 플랜지(231)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네 개 이외의 요소로 이루어지거나 서로 상이한 간격으로 떨어져 있는 요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제1 플랜지(231)의 요소(231a)(231b)(231c)(231d)가 몸체(210)에 일체로 또는 분리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제1 플랜지의 각 요소(231a)(231b)(231c)(231d)의 몸체(210)의 제1 단부(211)를 따라 연장되는 길이는 다양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플랜지(231)의 각 요소(231a)(231b)(231c)(231d)의 몸체(210)의 제1 단부(211)를 따라 연장되는 길이는, 예시적으로 도 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몸체(210)의 방사 방향으로 일정할 수 있으며, 몸체(210)의 방사 방향으로 갈수록 더 커지거나 더 작아질 수 있다.
몸체(210)의 제1 단부(211)의 반대쪽에 있는 제2 단부(212)에는 몸체(210)의 유체가 흐를 수 있는 통로(240)의 방향에 대해 방사 방향으로 연장된 제2 플랜지(232)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고막에 배치된 고막천공관(200)이 제2 플랜지(232)에 의해 고막에 걸려서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할 수 있어서, 운동할 때와 같은 경우에도 고막천공관(200)이 고막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는다.
제2 플랜지(232)의 몸체(210)의 유체가 흐를 수 있는 통로(240)의 방향에 대해 방사 방향으로의 길이는 다양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플랜지(232)의 방사 방향으로의 길이는 제1 플랜지(231)의 방사 방향으로의 길이와 마찬가지로 1mm 내지 3mm이거나 또는 1.5mm 내지 2.5mm일 수 있다.
제2 플랜지(232)에는 제1 플랜지(231)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구멍(220)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의해, 염증과 같은 이물질이 제2 플랜지(232)의 표면에 부착되는 것을 억제하여 제2 플랜지(232)의 표면에서 세균막이 증식할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구멍(220)의 크기나 형상은 실시례 1에서의 구멍의 크기나 형상과 마찬가지로 다양할 수 있다. 다만, 제2 플랜지(232)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구멍이 형성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제2 플랜지(232)는 제1 플랜지(231)와 마찬가지로 몸체(210)의 제2 단부(212)를 따라 불연속적으로 연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의해, 제2 플랜지(232)를 몸체(210)의 유체가 흐를 수 있는 통로(240)의 방향 쪽으로 구부러지도록 가압한 상태에서 고막천공관(200)을 고막의 절개 부위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고, 삽입된 제2 플랜지(232)의 가압 상태를 해제하여 제2 플랜지(232)가 다시 몸체(210)의 유체가 흐를 수 있는 통로(240)의 방향에 대해 방사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용이하게 복귀시킬 수 있게 된다. 제2 플랜지(232)는, 예시적으로 도 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몸체(210)의 제2 단부(212)를 따라 여덟 개의 요소(232a)(232b)(232c)(232d)(232e)(232f)(232g)(231h)가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떨어져 불연속적으로 연장되어 있을 수 있다. 다만, 제2 플랜지(232)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여덟 개 이외의 요소로 이루어지거나 서로 상이한 간격으로 떨어져 있는 요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제2 플랜지(232)의 요소(232a~232h)가 몸체(210)에 일체로 또는 분리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제2 플랜지의 각 요소(232a~231h)의 몸체(210)의 제2 단부(212)를 따라 연장되는 길이는 다양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플랜지(232)의 각 요소(232a~232h)의 몸체(210)의 제2 단부(212)를 따라 연장되는 길이는, 예시적으로 도 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몸체(210)의 방사 방향으로 일정할 수 있으며, 몸체(210)의 방사 방향으로 갈수록 더 커지거나 더 작아질 수 있다.
제1 플랜지(231)와 제2 플랜지(232)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고막천공관(200)을 고막에 삽입하기 전에 제1 플랜지(231) 또는 제2 플랜지(232)를 몸체(210)의 유체가 흐를 수 있는 통로(240)의 방향 쪽으로 구부러지도록 용이하게 가압할 수 있고, 고막천공관(200)을 고막의 절개 부위에 삽입한 후 제1 플랜지(231) 또는 제2 플랜지(232)의 가압 상태를 해제한 때에 제1 플랜지(231) 또는 제2 플랜지(232)가 다시 몸체(210)의 유체가 흐를 수 있는 통로(240)의 방향에 대해 방사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용이하게 복귀될 수 있게 된다.
(실시례 3)
본 실시례는 또 다른 고막천공관이다. 예시적으로 도 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례의 고막천공관(300)은 내부에 유체가 흐를 수 있는 통로(340)를 갖는 파이프 형상의 몸체(310)를 구비한다.
몸체(310)의 길이는, 고막천공관(300)의 용도나 형상 등에 의해 다양할 수 있는데, 0.5mm 내지 8mm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mm 내지 4mm일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1.5mm 내지 2.5mm일 수 있다.
몸체(310)의 통로(340)의 직경은 다양할 수 있는데, 1mm 내지 4mm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5mm 내지 3.5mm일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2mm 내지 3mm일 수 있다.
몸체(310)의 재질은 다양할 수 있는데, 불소수지(fluoroplastic), 폴리에틸렌(polyethylene), 실리콘(silicone), 스테인리스강(stainless steel) 및 티타늄(titanium)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310)는, 예시적으로 도 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스텐트일 수 있다. 이에 의해, 염증과 같은 이물질이 몸체(310)의 표면에 부착되는 것을 억제하여 몸체(310)의 표면에서 세균막이 증식할 위험성을 감소시키는 고막천공관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스텐트의 형상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스텐트는, 예시적으로 도 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몸체(310)의 유체가 흐를 수 있는 통로(340)의 방향을 감싸면서 몸체(310)의 외주면을 따라 배열되는 제1 프레임(320)과, 몸체(310)의 유체가 흐를 수 있는 통로(340)의 방향을 감싸면서 제1 프레임(320)에 이웃하여 몸체(310)의 외주면을 따라 배열되는 제2 프레임(330) 그리고 제1 프레임(320)과 제2 프레임(330)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350)을 구비한다.
제1 프레임(320)은, 예시적으로 도 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몸체(310)의 유체가 흐를 수 있는 통로(340)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1 메인부(321)를 구비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메인부(321)는 서로 떨어져서 몸체(310)의 외주면을 따라 거의 나란하게 원주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복수의 제1 메인부(321)는 탄성을 갖고 구부러질 수 있다. 복수의 제1 메인부(321)는 제1 연결부(322)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서로 이웃하는 i번째 제1 메인부(321i)와 i+1번째 제1 메인부(321i+1)의 같은 쪽에 있는 각 단부는 제1 연결부(322m)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i+1번째 제1 메인부(321i+1)와 i+2번째 제1 메인부(321i+2)의 제1 연결부(322m)의 맞은편에 있는 각 단부는 제1 연결부(미도시)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그밖에 복수의 제1 메인부(321)는 제1 연결부(322)에 의해 다양한 다른 방법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됨으로써 복수의 제1 메인부(321)는 서로 연결된 하나의 형체를 이룰 수 있다. 제1 연결부(322m)는 i번째 제1 메인부(321i)와 i+1번째 제1 메인부(321i+1)가 탄성 변형, 즉, 서로 가까워지도록 탄성 변형할 수 있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1 연결부(322m)의 맞은편에 있는 다른 제1 연결부는 i+1번째 제1 메인부(321i+1)와 i+2번째 제1 메인부(321i+2)가 서로 가까워지도록 탄성 변형할 수 있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의해 i번째 제1 메인부(321i)와 i+1번째 제1 메인부(321i+1) 그리고 i+2번째 제1 메인부(321i+2)가 서로 가까워지도록 탄성 변형할 수 있게 된다. 나머지 제1 메인부(321)들도 마찬가지로 서로 가까워지도록 탄성 변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복수의 제1 메인부(321)는 전체적으로 서로 가까워지도록 탄성 변형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복수의 제1 메인부(321)에 의해 형성되는 몸체(310)의 통로(340) 직경이 작아질 수 있다. 이는 몸체(310)의 복수의 제1 메인부(321)에 상응하는 부분의 체적을 작게 만들어 그 부분이 고막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게 한다.
제2 프레임(330)은, 예시적으로 도 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몸체(310)의 유체가 흐를 수 있는 통로(340)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2 메인부(331)를 구비할 수 있다. 복수의 제2 메인부(331)는 서로 떨어져서 몸체(310)의 외주면을 따라 거의 나란하게 원주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복수의 제2 메인부(331)는 탄성을 갖고 구부러질 수 있다. 복수의 제2 메인부(331)는 제2 연결부(332)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서로 이웃하는 i번째 제2 메인부(331i)와 i+1번째 제2 메인부(331i+1)의 같은 쪽에 있는 각 단부는 제2 연결부(미도시)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i+1번째 제2 메인부(331i+1)와 i+2번째 제2 메인부(331i+2)의 제2 연결부의 맞은편에 있는 각 단부는 제2 연결부(332n)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그밖에 복수의 제2 메인부(331)는 제2 연결부(322)에 의해 다양한 다른 방법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됨으로써 복수의 제2 메인부(331)는 서로 연결된 하나의 형체를 이룰 수 있다. 제2 연결부는 i번째 제2 메인부(331i)와 i+1번째 제2 메인부(331i+1)가 탄성 변형, 즉, 서로 가까워지도록 탄성 변형할 수 있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2 연결부의 맞은편에 있는 다른 제2 연결부(332n)는 i+1번째 제2 메인부(331i+1)와 i+2번째 제2 메인부(331i+2)가 서로 가까워지도록 탄성 변형할 수 있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의해 i번째 제2 메인부(331i)와 i+1번째 제2 메인부(331i+1) 그리고 i+2번째 제2 메인부(331i+2)가 서로 가까워지도록 탄성 변형할 수 있게 된다. 나머지 제2 메인부(331)들도 마찬가지로 서로 가까워지도록 탄성 변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복수의 제2 메인부(331)는 전체적으로 서로 가까워지도록 탄성 변형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복수의 제2 메인부(331)에 의해 형성되는 몸체(310)의 통로(340) 직경이 작아질 수 있다. 이는 몸체(310)의 복수의 제2 메인부(331)에 상응하는 부분의 체적을 작게 만들어 그 부분이 고막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게 한다.
연결프레임(350)은 제1 프레임(320)과 제2 프레임(330)을 연결하기 위해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연결프레임(350)은, 예시적으로 도 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 프레임(320)의 제1 연결부(322m)와 제2 프레임(330)의 제1 연결부(332n)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연결프레임(350)은 직선 형상을 가질 수 있거나 곡선 형상, 예컨대, "S" 형상을 가질 수 있다. "S" 형상을 갖는 연결프레임(350)은 탄성을 가질 수 있어서 제1 프레임(320)과 제2 프레임(330) 사이를 탄성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S" 형상 연결프레임(350)은 직선형의 본체부(351)를 구비한다. 본체부(351)의 하나의 단부는 제1 프레임(320)의 제1 연결부(322m)에 접속하는 것으로서 곡선형의 제1 단부(352a)로 되어 있고 본체부(351)의 다른 하나의 단부는 제2 프레임(330)의 제2 연결부(332n)에 접속하는 것으로서 곡선형의 제2 단부(352b)로 되어 있다.
본 실시례는 염증과 같은 이물질이 몸체의 표면에 부착되는 것을 억제하여 몸체의 표면에서 세균막이 증식할 위험성을 감소시킴은 물론, 몸체를 유체가 흐를 수 있는 통로의 방향을 감싸면서 외주면을 따라 탄성적으로 압축 또는 확장시킬 수 있어서 고막에 용이하게 삽입한 후에 고막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는 고막천공관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실시례 4)
본 실시례는 또 다른 고막천공관이다. 예시적으로 도 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례의 고막천공관(400)은 내부에 유체가 흐를 수 있는 통로(440)를 갖는 파이프 형상의 몸체(410)를 구비한다. 몸체(410)는 스텐트로 이루어져 있다. 스텐트는, 몸체(410)의 유체가 흐를 수 있는 통로(440)의 방향을 감싸면서 몸체(410)의 외주면을 따라 배열되는 제1 프레임(420)과, 몸체(410)의 유체가 흐를 수 있는 통로(440)의 방향을 감싸면서 제1 프레임(420)에 이웃하여 몸체(410)의 외주면을 따라 배열되는 제2 프레임(430)과, 제1 프레임(420) 및 제2 프레임(430)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450)을 구비한다.
제1 프레임(420)은, 실시례 3의 제1 프레임(320)과 마찬가지로, 몸체(410)의 유체가 흐를 수 있는 통로(440)의 방향으로 연장되고 서로 떨어져서 몸체(410)의 외주면을 따라 배열된 탄성을 갖는 복수의 제1 메인부(421)와 이웃하는 제1 메인부(421)의 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제1 연결부(422)를 구비한다.
제2 프레임(430)은, 실시례 3의 제2 프레임(330)과 마찬가지로, 몸체(410)의 유체가 흐를 수 있는 통로(440)의 방향으로 연장되고 서로 떨어져서 몸체(410)의 외주면을 따라 배열된 탄성을 갖는 복수의 제2 메인부(431)와 이웃하는 제2 메인부(431)의 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제2 연결부(432)를 구비한다.
연결프레임(450)은, 실시례 3의 연결프레임(350)과 마찬가지로, 제1 프레임(420)의 제1 연결부(422)와 제2 프레임(430)의 제2 연결부(432)를 서로 연결한다.
몸체(410)의 제1 단부(411)에는 몸체(410)의 유체가 흐를 수 있는 통로(430)의 방향에 대해 방사 방향으로 연장된 제1 플랜지(460)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고막에 배치된 고막천공관(400)이 제1 플랜지(460)에 의해 고막에 걸려서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할 수 있어서, 운동할 때와 같은 경우에도 고막천공관(400)이 고막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는다.
제1 플랜지(460)의 몸체(410)의 유체가 흐를 수 있는 통로(440)의 방향에 대해 방사 방향으로의 길이는 다양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플랜지(460)의 방사 방향으로의 길이는 1mm 내지 3mm일 수 있다. 또는 제1 플랜지(460)의 방사 방향으로의 길이는 1.5mm 내지 2.5mm일 수 있다.
제1 플랜지(460)는 몸체(410)의 유체가 흐를 수 있는 통로(440)의 방향에 대해 방사 방향으로 연장되고 서로 떨어져서 몸체(410)의 외주면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제1 메인부(461)를 구비한다. 서로 이웃하는 제1 메인부(461)의 단부는 연결부(462)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이에 의해 제1 플랜지(460)를 몸체(410)의 유체가 흐를 수 있는 통로(440)의 방향 쪽으로 구부린 상태에서, 통로(440)의 방향을 감싸면서 외주면을 따라 탄성적으로 압축 또는 확장시킬 수 있어서, 고막에 용이하게 삽입한 후에 통로(440)의 방향에 대해 방사 방향으로 용이하게 복귀하여 고막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는 고막천공관(400)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제1 플랜지(460)는 몸체(410)의 제1 단부(411)를 따라 불연속적으로 연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플랜지(460)를 몸체(410)의 유체가 흐를 수 있는 통로(440)의 방향 쪽으로 구부러지도록 가압한 상태에서 고막천공관(400)을 고막의 절개 부위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고, 삽입된 제1 플랜지(460)의 가압 상태를 해제하여 제1 플랜지(460)가 다시 몸체(410)의 유체가 흐를 수 있는 통로(440)의 방향에 대해 방사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용이하게 복귀시킬 수 있게 된다.
제1 플랜지(460)는, 예시적으로 도 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몸체(410)의 제1 단부(411)를 따라 서로 소정의 간격으로 떨어져 위치하는 네 개의 요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제1 플랜지(460)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몸체(410)의 제1 단부(411)의 반대쪽에 있는 제2 단부(412)에는 몸체(410)의 유체가 흐를 수 있는 통로(440)의 방향에 대해 방사 방향으로 연장된 제2 플랜지(47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고막에 배치된 고막천공관(400)이 제2 플랜지(470)에 의해 고막에 걸려서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할 수 있어서, 운동할 때와 같은 경우에도 고막천공관(400)이 고막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는다.
제2 플랜지(470)의 몸체(410)의 유체가 흐를 수 있는 통로(440)의 방향에 대해 방사 방향으로의 길이는 다양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플랜지(470)의 방사 방향으로의 길이는 1mm 내지 3mm일 수 있다. 또는 제2 플랜지(470)의 방사 방향으로의 길이는 1.5mm 내지 2.5mm일 수 있다.
제2 플랜지(470)는 몸체(410)의 유체가 흐를 수 있는 통로(440)의 방향에 대해 방사 방향으로 연장되고 서로 떨어져서 몸체(410)의 외주면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제2 메인부(471)를 구비한다. 서로 이웃하는 제2 메인부(471)의 단부는 연결부(472)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이에 의해 제2 플랜지(470)를 몸체(410)의 유체가 흐를 수 있는 통로(440)의 방향 쪽으로 구부린 상태에서, 통로(440)의 방향을 감싸면서 외주면을 따라 탄성적으로 압축 또는 확장시킬 수 있어서, 고막에 용이하게 삽입한 후에 통로(440)의 방향에 대해 방사 방향으로 용이하게 복귀하여 고막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는 고막천공관(400)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제2 플랜지(470)는 몸체(410)의 제2 단부(412)를 따라 불연속적으로 연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의해, 제2 플랜지(470)를 몸체(410)의 유체가 흐를 수 있는 통로(440)의 방향 쪽으로 구부러지도록 가압한 상태에서 고막천공관(400)을 고막의 절개 부위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고, 삽입된 제2 플랜지(470)의 가압 상태를 해제하여 제2 플랜지(470)가 다시 몸체(410)의 유체가 흐를 수 있는 통로(440)의 방향에 대해 방사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용이하게 복귀시킬 수 있게 된다.
제2 플랜지(470)는, 예시적으로 도 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몸체(410)의 제2 단부(412)를 따라 서로 소정의 간격으로 떨어져 위치하는 네 개의 요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제2 플랜지(470)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플랜지(460)와 제2 플랜지(470)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고막천공관(400)을 고막에 삽입하기 전에 제1 플랜지(460) 또는 제2 플랜지(470)를 몸체(410)의 유체가 흐를 수 있는 통로(440)의 방향 쪽으로 구부러지도록 용이하게 가압할 수 있고, 고막천공관(400)을 고막의 절개 부위에 삽입한 후 제1 플랜지(460) 또는 제2 플랜지(470)의 가압 상태를 해제한 때에 제1 플랜지(460) 또는 제2 플랜지(470)가 다시 몸체(410)의 유체가 흐를 수 있는 통로(440)의 방향에 대해 방사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용이하게 복귀될 수 있게 된다.
예시적으로 도 7에 나타나 있는 도면부호 '490'은 고막천공관(400)을 잡고 있는 핀셋을 나타낸다.
(실시례 5)
본 실시례는 고막천공관의 제조방법이다. 예시적으로 도 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고막천공관의 제조방법(500)은, 몸체준비단계(S510)와 몸체천공단계(S520)를 구비한다. 이에 의해, 염증과 같은 이물질이 몸체의 표면에 부착되는 것을 억제하여 몸체의 표면에서 세균막이 증식할 위험성을 감소시킨 고막천공관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그밖에 본 실시례의 고막천공관의 제조방법(500)은 플랜지형성단계(S5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몸체준비단계(S510)는 내부에 유체가 흐를 수 있는 통로를 갖는 파이프 형상의 몸체를 준비하는 단계이다. 몸체는 실시례 1 또는 실시례 2의 고막천공관에 구비된 몸체와 같은 것을 의미한다.
몸체천공단계(S520)는 몸체에 복수의 구멍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구멍은 실시례 1 또는 실시례 2의 고막천공관에 구비된 몸체에 형성된 구멍과 같은 것을 말한다. 구멍의 횡단면적은 구멍을 형성하는 내측면의 면적보다 더 넓게 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의해 복수의 구멍을 형성하기 전에 비하여 몸체의 전체 표면적을 줄일 수 있어서, 염증과 같은 이물질이 몸체의 표면에 부착되는 것을 대폭 억제하여 몸체의 표면에서 세균막이 증식할 위험성을 대폭 감소시킨 고막천공관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구멍의 형성은 몸체에 대해 천공기에 의한 기계적 가공이나 레이저 가공 등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플랜지형성단계(S530)는 몸체의 양 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 몸체의 유체가 흐를 수 있는 통로의 방향에 대해 방사 방향으로 연장된 플랜지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플랜지는 실시례 2의 고막천공관에 구비된 플랜지와 같은 것을 말한다. 이에 의해, 고막에 배치된 고막천공관이 플랜지에 의해 고막에 걸려서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할 수 있어서, 운동시에도 고막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는 고막천공관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플랜지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먼저, 몸체의 일 단부에서 몸체의 중앙부로 몸체의 유체가 흐를 수 있는 통로의 방향을 따라 몸체를 분할한다. 분할은 몸체를 절단하거나 몸체의 일부를 절단하여 분리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분할은 몸체의 단부를 두 개 이상으로 분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분할된 몸체 단부의 요소를 몸체의 통로 방향에 대해 방사 방향으로 구부려서 플랜지를 형성한다. 다음, 몸체의 타 단부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분할 및 절곡에 의해 플랜지를 형성할 수 있다.
플랜지에는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는데, 이러한 구멍은 플랜지의 표면적을 축소시킴으로써 염증과 같은 이물질이 플랜지의 표면에 부착되는 것을 억제하여 플랜지의 표면에서 세균막이 증식할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플랜지의 구멍은 플랜지를 형성한 후에 구멍을 성형할 수도 있으나, 몸체의 단부에 구멍을 형성한 후에 구멍이 형성된 몸체의 단부를 분할 및 절곡하여 플랜지를 형성할 수도 있다.
(실시례 6)
본 실시례는 다른 고막천공관의 제조방법이다. 예시적으로 도 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례의 고막천공관의 제조방법(600)은, 몸체준비단계(S610)와 스텐트형성단계(S620)를 구비한다. 이에 의해, 염증과 같은 이물질이 몸체의 표면에 부착되는 것을 억제하여 몸체의 표면에서 세균막이 증식할 위험성을 감소시키는 다른 고막천공관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그밖에 본 실시례의 고막천공관의 제조방법(600)은 플랜지형성단계(S6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몸체준비단계(S610)는 내부에 유체가 흐를 수 있는 통로를 갖는 파이프 형상의 몸체를 준비하는 단계이다. 몸체는 실시례 3 또는 실시례 4의 고막천공관에 구비된 몸체와 같은 것을 의미한다.
스텐트형성단계(S620)는 몸체를 스텐트로 형성하는 단계이다. 스텐트는 실시례 3 또는 실시례 4의 고막천공관에 구비된 몸체를 형성하고 있는 스텐트와 같은 것을 말한다. 예컨대, 스텐트는, 몸체의 유체가 흐를 수 있는 통로의 방향을 감싸면서 몸체의 외주면을 따라 배열되는 제1 프레임과, 몸체의 유체가 흐를 수 있는 통로의 방향을 감싸면서 제1 프레임에 이웃하여 몸체의 외주면을 따라 배열되는 제2 프레임과,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은 각각 몸체의 유체가 흐를 수 있는 통로의 방향으로 연장되고 서로 떨어져서 몸체의 외주면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메인부와, 이웃하는 메인부의 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 몸체에 대한 스텐트 형성은 레이저에 의해 몸체를 스텐트의 형상으로 가공하는 등의 방법으로 할 수 있다.
플랜지형성단계(S630)는 몸체의 양 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 몸체의 유체가 흐를 수 있는 통로의 방향에 대해 방사 방향으로 연장된 플랜지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플랜지는 실시례 4의 고막천공관에 구비된 플랜지와 같은 것을 말한다. 이에 의해, 고막에 배치된 고막천공관이 플랜지에 의해 고막에 걸려서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할 수 있어서, 운동시에도 고막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는 고막천공관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플랜지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먼저, 몸체의 일 단부에서 몸체의 중앙부로 몸체의 유체가 흐를 수 있는 통로의 방향을 따라 몸체를 분할한다. 분할은 몸체를 절단하거나 몸체의 일부를 절단하여 분리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분할은 몸체의 단부를 두 개 이상으로 분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분할된 몸체 단부의 요소를 몸체의 통로 방향에 대해 방사 방향으로 구부려서 플랜지를 형성한다. 다음, 몸체의 타 단부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분할 및 절곡에 의해 플랜지를 형성할 수 있다.
플랜지는 스텐트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는데, 이러한 스텐트는 플랜지의 표면적을 축소시킴으로써 염증과 같은 이물질이 플랜지의 표면에 부착되는 것을 억제하여 플랜지의 표면에서 세균막이 증식할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플랜지의 스텐트는 플랜지를 형성한 후에 성형할 수도 있으나, 몸체의 단부에 스텐트를 형성한 후에 스텐트가 형성된 몸체의 단부를 분할 및 절곡하여 플랜지를 형성할 수도 있다.
(실시례 7)
본 실시례는 고막천공관의 사용방법이다. 예시적으로 도 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고막천공관의 사용방법(700)은, 고막절개단계(S710)와 고막천공관삽입단계(S720)를 구비한다. 이에 의해, 염증과 같은 이물질이 몸체의 표면에 부착되는 것을 억제하여 몸체의 표면에서 세균막이 증식할 위험성을 감소시킨 고막천공관의 사용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고막절개단계(S710)는 고막을 절개하는 단계이다. 고막의 절개는 통상의 방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고막천공관삽입단계(S720)는 고막의 절개된 부분에 고막천공관을 삽입하는 단계이다.
고막천공관은, 실시례 1 또는 실시례 2의 고막천공관과 같이, 내부에 유체가 흐를 수 있는 통로를 갖는 파이프 형상의 몸체에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구멍의 횡단면적은 구멍을 형성하는 내측면의 면적보다 더 넓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막천공관은, 실시례 3 또는 실시례 4의 고막천공관과 같이, 내부에 유체가 흐를 수 있는 통로를 갖는 파이프 형상의 몸체가 스텐트인 것일 수 있다. 스텐트는 몸체의 유체가 흐를 수 있는 통로의 방향을 감싸면서 몸체의 외주면을 따라 배열되는 제1 프레임과, 몸체의 유체가 흐를 수 있는 통로의 방향을 감싸면서 제1 프레임에 이웃하여 몸체의 외주면을 따라 배열되는 제2 프레임과,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은 각각 몸체의 유체가 흐를 수 있는 통로의 방향으로 연장되고 서로 떨어져서 몸체의 외주면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메인부와, 이웃하는 메인부의 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
몸체의 양 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는 몸체의 유체가 흐를 수 있는 통로의 방향에 대해 방사 방향으로 연장된 플랜지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플랜지는 복수의 구멍을 갖거나 스텐트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고막천공관을 고막에 삽입할 때에는 이러한 플랜지를 몸체의 유체가 흐를 수 있는 방향 쪽으로 구부린 상태에서 삽입함으로써 고막천공관을 고막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플랜지를 구부린 상태에서 고막천공관을 고막에 삽입하기 위해서는 핀셋과 같은 도구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나타난 실시례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실시례들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례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진다.
본 발명은 의료기기와 그 제조방법 및 사용방법에 관한 분야에 이용할 수 있다.
100, 200, 300, 400: 고막천공관
110, 210, 310, 410: 몸체
120, 220: 구멍
130, 240, 340, 440: 통로
211, 411: 제1 단부
212, 412: 제2 단부
231, 460: 제1 플랜지
232, 470: 제2 플랜지
320, 420: 제1 프레임
321, 421: 제1 메인부
322, 422: 제1 연결부
330, 430: 제2 프레임
331, 431: 제2 메인부
332, 432: 제2 연결부
350, 450: 연결프레임
500, 600: 고막천공관의 제조방법
700: 고막천공관의 사용방법

Claims (22)

  1. 내부에 유체가 흐를 수 있는 통로를 갖는 파이프 형상의 몸체에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몸체의 양 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 몸체의 유체가 흐를 수 있는 통로의 방향에 대해 방사 방향으로 연장된 플랜지가 구비되어 있고,
    플랜지에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고막천공관.
  2. 청구항 1에 있어서, 구멍의 횡단면적이 구멍을 형성하는 내측면의 면적보다 더 넓게 되어 있는 고막천공관.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플랜지는 몸체의 양 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를 따라 불연속적으로 연장되어 있는 고막천공관.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내부에 유체가 흐를 수 있는 통로를 갖는 파이프 형상의 몸체를 준비하는 단계; 및
    몸체에 복수의 구멍을 형성하는 단계를 구비하며,
    몸체의 양 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 몸체의 유체가 흐를 수 있는 통로의 방향에 대해 방사 방향으로 연장된 플랜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고,
    플랜지에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고막천공관의 제조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구멍의 횡단면적이 구멍을 형성하는 내측면의 면적보다 더 넓게 되어 있는 고막천공관의 제조방법.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KR1020150086180A 2015-06-17 2015-06-17 고막천공관과 그 제조방법 및 사용방법 KR1016859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6180A KR101685966B1 (ko) 2015-06-17 2015-06-17 고막천공관과 그 제조방법 및 사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6180A KR101685966B1 (ko) 2015-06-17 2015-06-17 고막천공관과 그 제조방법 및 사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5966B1 true KR101685966B1 (ko) 2016-12-13

Family

ID=57575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6180A KR101685966B1 (ko) 2015-06-17 2015-06-17 고막천공관과 그 제조방법 및 사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596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7257A (ko) 2018-04-06 2019-10-16 조호성 고막천공관 및 상기 고막천공관의 제작 방법
CN114364356A (zh) * 2019-09-03 2022-04-15 J&Kym株式会社 用于治疗耳咽管功能不全的耳咽管内植入支架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88703B1 (en) * 1998-10-23 2002-12-03 Scimed Life Systems, Inc. Helical stent design
US6589286B1 (en) * 2001-09-12 2003-07-08 Jason Litner Eustachian tube stent
JP2008061983A (ja) * 2006-09-05 2008-03-21 Hisao Fujiwara 鼓膜ドレーンチューブ
KR20100124278A (ko) * 2008-02-20 2010-11-26 프리셉티스 메디칼, 엘엘씨 환기 장치 및 이를 위한 삽입 시스템
KR20140143450A (ko) 2012-04-10 2014-12-16 아클라런트, 인코포레이션 고막 압력 균등화 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88703B1 (en) * 1998-10-23 2002-12-03 Scimed Life Systems, Inc. Helical stent design
US6589286B1 (en) * 2001-09-12 2003-07-08 Jason Litner Eustachian tube stent
JP2008061983A (ja) * 2006-09-05 2008-03-21 Hisao Fujiwara 鼓膜ドレーンチューブ
KR20100124278A (ko) * 2008-02-20 2010-11-26 프리셉티스 메디칼, 엘엘씨 환기 장치 및 이를 위한 삽입 시스템
KR20140143450A (ko) 2012-04-10 2014-12-16 아클라런트, 인코포레이션 고막 압력 균등화 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7257A (ko) 2018-04-06 2019-10-16 조호성 고막천공관 및 상기 고막천공관의 제작 방법
KR102077908B1 (ko) 2018-04-06 2020-02-14 조호성 고막천공관 및 상기 고막천공관의 제작 방법
CN114364356A (zh) * 2019-09-03 2022-04-15 J&Kym株式会社 用于治疗耳咽管功能不全的耳咽管内植入支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33282B2 (en) Eustachian tube device and method
US10143591B2 (en) Low profile eustachian tube dilation system
KR102113888B1 (ko) 고막 압력 균등화 관
JP4238905B2 (ja) 鼓膜ドレーンチューブ
RU2014106868A (ru) Персонализируемая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для анестезирования барабанной перепонки
US20220409365A1 (en) Stent to be inserted into eustachian tube for treatment of eustachian tube dysfunction
KR101685966B1 (ko) 고막천공관과 그 제조방법 및 사용방법
KR102077908B1 (ko) 고막천공관 및 상기 고막천공관의 제작 방법
EP3442484B1 (en) Lacrimal stent with opening
KR100978644B1 (ko) 유양돌기동 통기 튜브
CN109718399B (zh) 鼓室-咽鼓管引流装置
EP2135584B1 (en) Middle ear prosthetic device
KR102462687B1 (ko) 공기 정량 누설 구조를 가진 이어팁
KR200488434Y1 (ko) 중이염 환기관
RU2632781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ормирования хрящевого трансплантата
RU2524192C1 (ru) Функциональный тимпанальный шунт
KR200489508Y1 (ko) 중이염 환기관
AU2012261629B2 (en) Eustachian Tube Device and Method
Killner Canine aural disease and surgery
JPH04129569A (ja) 中耳腔チューブ留置術用ベンチレーションチューブ
US20140172099A1 (en) Techniques For Increasing The Acoustic Impedance Of The Cochlea's Round Window Membrane
JPH01305947A (ja) ベンチレーションチュー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