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2687B1 - 공기 정량 누설 구조를 가진 이어팁 - Google Patents

공기 정량 누설 구조를 가진 이어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2687B1
KR102462687B1 KR1020210094327A KR20210094327A KR102462687B1 KR 102462687 B1 KR102462687 B1 KR 102462687B1 KR 1020210094327 A KR1020210094327 A KR 1020210094327A KR 20210094327 A KR20210094327 A KR 20210094327A KR 102462687 B1 KR102462687 B1 KR 1024626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 tip
ear
groove
present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4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인정선
서동현
이경식
박민구
Original Assignee
부전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전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부전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94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26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2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26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09Non-occlusive ear tips, i.e. leaving the ear canal open, for both custom and non-custom ti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11Aspects relating to vents, e.g. shape, orientation, acoustic properties in ear tips of hearing devices to prevent occlu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정량 누설 구조를 구비한 이어팁으로서, 상기 이어팁은 중앙의 코어부와, 코어부 외측의 돔 형태의 플랜지부로 구성되며, 플랜지부의 외부 표면에 상부 중심에서 말단 하부 방향으로 이어지는 세로 방향으로 홈을 방사형으로 여러 개 배치하여 공기 정량 누설 구조를 구성한 구조를 개시한다.

Description

공기 정량 누설 구조를 가진 이어팁{Ear tip having steady air flow channel structure}
본 발명은 공기 정량 누설 구조를 가진 이어팁에 관한 것이다.
이어폰 및 TWS(True wireless stereo) 제품의 고급화로 ANC(Active noise cancellation) 기능을 탑재한 이어폰의 시장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ANC기능은 밀폐력을 기반으로 하는 기술로 밀폐력이 강한 이어팁에서 장시간 사용으로 인하여 높아진 습도와 이압으로 외이도염, 고막손상등 다양한 질환들이 발생하고 있다.
마이크로스피커의 음방출구는 이어팁과 결합된다. 이어팁은 사용자의 외이도로 삽입된다. 이어팁은 사용자의 귀의 형상에 맞도록 또 외이도에 부담이나 자극을 주지 않는 재질과 형상으로 제작된다. 하지만, 기존에는 통기를 고려한 이어팁이 시장에 소수 출시되어 있다. 통기를 고려한 기존의 이어팁들은 해면 구조의 큰 기공을 가진 스폰지 소재를 플렌지로 사용하거나 실리콘 소재 플랜지 부분에 누출공을 만들어 통기되는 구조로 제작되었다.
이런 기존의 이어팁은 착용자의 외이도 크기, 모양에 따라 착용시 스폰지의 압축량이 달라지거나 실리콘 이어팁의 누출공 부분이 찌그러짐으로 인해 통기량이 사용자 마다 각각 달라 일정 수준의 성능을 보증할 수 없었다.
이런 이유로 기존의 누설형 이어팁은 음악용 보다는 보청기용으로 주로 사용되었다.
이어팁의 형상을 개시하는 여러 특허가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공개 제10-2020-67735호는 이어팁의 내부 구조에 대한 여러 실시예를 개시하고 있다. 특허공개 제10-2020-0128733호는 이어팁의 외면에 다양한 형상과 모양의 홈 또는 주름을 가공하는 실시예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특허는 주로 이어팁의 변형을 돕기 위한 것이며, 이어팁과 외이도 사이의 공기 누설에 대해서는 착안하고 있지 않다. 출원인의 선특허인 특허 제10-2260760호는 이어팁의 코어에 관절 구조를 두어 탄력성이 우수한 구조를 개시하고 있으나, 역시 공기 누설 구조에 대해서는 착안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선행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통기가 되어 귀 건강을 지키면서 통기량을 일정하게 통제하여 ANC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이어팁을 제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다.
본 발명은 귀 내부의 통기로 귀속 건강(외이도염, 고막손상)을 유지하며, 사용자 마다 각기 다른 통기량으로 인한 오디오 성능의 저하를 개선하는 공기 정량 누설 구조를 구비하는 이어팁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공기 정량 누설 구조를 구비한 이어팁으로서, 상기 이어팁은 중앙의 코어부와, 코어부 외측의 돔 형태의 플랜지부로 구성되며, 플랜지부의 외부 표면에 상부 중심에서 말단 하부 방향으로 이어지는 세로 방향으로 홈을 방사형으로 여러 개 배치하여 공기 정량 누설 구조를 구성한, 이어팁을 제공한다.
상기 홈은 플랜지부의 하부 말단까지 계속해서 연결되지 않고 소정의 높이에서 단부로 종결되어, 하단부 일정 길이는 홈을 적용하지 않는 외측보강부를 이룰 수 있다.
플랜지부의 내면에 각각의 홈에 대향하여 각각의 리브를 형성하여 내측의 살을 두텁게 할 수 있다.
리브는 플랜지부의 내면에서 상부에서 하부 말단까지 계속 연장되어, 외측보강부에 대응해서도 하부리브가 형성되며, 외측보강부와 하부리브는 하측보강구조를 제공하여 플랜지부의 변형에도 불구하고 홈의 형상이 변하지 않도록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귀 내부의 통기로 귀 내부의 건강을 보호하며, 공기 누설 일정량 확보를 통하여, 사용자 마다 각기 다른 통기량으로 인한 오디오 성능의 저하와 설계의 어려움을 개선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의 공기 정량 누설 구조는 플랜지나 코어의 형상, 재질 및 크기에 제한되지 않고 널리 적용될 수 있다는 범용성을 가지며, 원가 절감과 다량 생산에도 유리하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어팁의 외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이어팁을 내부에서 올려 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이어팁의 측단면도;
도 4는 하측보강구조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와 설치한 경우를 대비하여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공기 정량 누설 구조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이어팁의 사용자의 외이도 형상에 따른 변형을 설명하는 도면;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이어팁의 사용자의 삽입 각도에 따른 변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뒤에 설명되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를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각 구성요소들, 기능 블록들 또는 수단들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하부 구성 요소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어팁(1)은 귀 내부의 통기로 귀속 건강(외이도염, 고막손상)을 유지하며, 사용자 마다 각기 다른 통기량으로 인한 오디오 성능의 저하를 개선하는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어팁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착용자의 개방감과 오디오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어팁(1)의 외부 사시도, 도 2는 이어팁(1) 내부에서 올려 본 사시도, 그리고 도 3은 측단면도이다.
이어팁(1)은 실린더 모양의 코어부(4)와 우산 형태의 플랜지부(2)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이어팁(1)의 특징은 플랜지부(2)에 있다. 돔 형태의 플랜지부(2)의 외부 표면(20a)에 상부 중심에서 말단 하부 방향으로 이어지는 세로 방향의 작은 홈(20)을 내고 홈(20)을 방사형으로 여러 개 배치하여 공기 정량 누설 구조를 구성한 형태이다.
홈(20)의 개수는 2~20개까지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며, 홈(20)의 깊이는 바람직하게는 0.1~0.2mm이다. 개수와 깊이를 조합하여 전체 공기 통기량을 조절할 수 있다.
홈(20)은 플랜지부(2)의 하부 말단까지 계속해서 연결되지 않고 소정의 높이에서 단부(22)로 종결되며, 하단부 일정 길이는 홈(20)을 적용하지 않는 외측보강부(24)로 남게 된다.
말단부에서 홈(20)을 적용하지 않는 것은 하단부까지 홈(20)을 형성할 경우 이어팁(1)의 홈(20)이 취약 부위로 작용하여 귀에 착용시 중심 방향으로 작용하는 외이도 압력에 의해 홈(20)이 찌그러지면서 전체 플랜지부(2)가 유지되지 않고 접히거나 찌그러지기 때문이다.
또, 본 발명의 이어팁(1)은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플랜지부(2)의 내면에 각각의 홈(20)에 대향하여 각각의 리브(28)를 형성하여 내측의 살을 두텁게 하고 있다. 그러면 리브(28)는 홈(20)의 형성으로 상대적으로 얇아진 홈(20)을 플랜지 내측에서 지지하여 홈(20)의 형태가 무너지는 것을 막아준다.
리브(28)는 플랜지부(2)의 내면에서 상부에서 하부 말단까지 계속 연장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홈(20)이 없는 외측보강부(24)에 대응해서도 하부리브(28a)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외측보강부(24)와 하부리브(28a)의 2가지의 지지 구조는 착용시 발생하는 압력으로 이어팁의 플랜지부(2)가 변형되어 설계된 누설홈이 기능하지 못하는 것을 막아주는 하측보강구조(200)를 제공한다.
도 4a는 하측보강구조(200)와 리브(28)를 설치하지 않고 홈(20)만을 형성한 경우, 플랜지부(2)의 변형이 커서 홈(20)의 형상이 유지되지 않고 무너진(collapsed) 것을 도시하고 있다. 따라서, 홈(20)의 형성이 부여하는 공기 정량 누설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도 4b는 리브(28)와 하측보강구조(200)에 의하여, 플랜지부(2)가 변형력을 받더라도 홈(20)의 형상이 유지되어 공기 정량 누설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공기 정량 누설 구조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 5a와 같이 홈(20)이 없는 이어팁(1')의 경우는 플랜지부(2')의 외면이 귀의 외이도와 맞닿는 지점들이 생겨 외이도 내부의 공기가 밖으로 빠지거나 외부 공기가 외이도의 내부로 들어갈 수 없어 밀폐된 구조를 제공하게 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이어팁(1)을 사용하면, 귀의 외이도와 접촉하여 압착되는 부분은 플랜지부(2)의 외부표면(20a)이므로, 이보다 오목하게 들어간 홈(20)은 항상 공기가 유동하는 채널을 제공하게 된다.
이상 설명을 토대로 본 발명의 이어팁(1)의 실 사용면에서, 정량 누설 효과의 유지를 도 6 및 도 7을 참조로 설명한다.
사용자의 외이도의 폭이 좁은 경우는 도 6a에서와 같이 플랜지부(2)가 세로로 장축이 있는 타원형으로 변형되며, 외이도의 폭이 이보다 넓으면 플랜지부(2)가 대체적으로 원형을 유지한다. 두 경우를 비교하면, 플랜지부(2)의 형상 변화에 따라 홈(20)의 상대적 간격과 위치는 변하지만, 홈(20) 자체의 형상은 변하지 않고 홈(20) 전체를 통한 공기 누설량은 변화 없이 정량을 유지한다.
또, 사용자의 이어팁(1) 삽입 각도에 따라 예를 들어 도 7a에서와 이어팁(1)의 플랜지부(2)의 상부가 외이도의 좁은 통로와 접촉하는 경우 또는 도 7b에서와 같이 플렌지부(2)의 중간 정도 부분이 외이도의 좁은 통로와 접촉하는 경우, 플렌지부(2)의 변화된 단면 형상은 상이하지만, 홈(20) 자체의 형상은 변하지 않고 홈(20) 전체를 통한 공기 누설량은 변화 없이 정량을 유지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이어팁(1)은 사용자의 외이도 형태, 착용 형태와 무관하게 설계자의 계획된 통기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돕는다. 그리고 타원형, 원형 등 귀 구멍 모양, 이어팁의 귀 내부 삽입각도에 따라 통기량이 달라지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어팁(1)은 오디오 음량 손실을 최소로 하면서 설계자에 의해 계산된 양의 공기누출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공기 누출의 정량이 유지되므로 음량의 질을 유지하면서도 다양한 형태의 이어팁(1)을 설계할 수 있어 자유도를 크게 높일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몇 가지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례를 든 것이며, 본 발명의 이어팁(1)은 공기 정량 누설 구조를 구비하는 한 플랜지부(2)와 코어부(4)의 형상, 크기 및 재질은 적절히 변경하여 선택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 기술하는 청구범위와 동일 또는 균등한 영역에까지 미침은 자명하다.

Claims (4)

  1. 공기 정량 누설 구조를 구비한 이어팁으로서, 상기 이어팁은 중앙의 코어부와, 코어부 외측의 돔 형태의 플랜지부로 구성되며, 플랜지부의 외부 표면에 상부 중심에서 말단 하부 방향으로 이어지는 세로 방향으로 홈을 방사형으로 여러 개 배치하여 공기 정량 누설 구조를 구성하고,
    상기 홈은 플랜지부의 하부 말단까지 계속해서 연결되지 않고 소정의 높이에서 단부로 종결되어, 하단부 일정 길이는 홈을 적용하지 않는 외측보강부를 이루며,
    플랜지부의 내면에 각각의 홈에 대향하여 각각의 리브를 형성하여 내측의 살을 두텁게 한, 이어팁.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리브는 플랜지부의 내면에서 상부에서 하부 말단까지 계속 연장되어, 외측보강부에 대응해서도 하부리브가 형성되며, 외측보강부와 하부리브는 하측보강구조를 제공하여 플랜지부의 변형에도 불구하고 홈의 형상이 변하지 않도록 유지하는, 이어팁.



KR1020210094327A 2021-07-19 2021-07-19 공기 정량 누설 구조를 가진 이어팁 KR1024626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4327A KR102462687B1 (ko) 2021-07-19 2021-07-19 공기 정량 누설 구조를 가진 이어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4327A KR102462687B1 (ko) 2021-07-19 2021-07-19 공기 정량 누설 구조를 가진 이어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2687B1 true KR102462687B1 (ko) 2022-11-04

Family

ID=84045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4327A KR102462687B1 (ko) 2021-07-19 2021-07-19 공기 정량 누설 구조를 가진 이어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268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30517A (ja) * 2008-11-28 2010-06-10 Sony Corp イヤピース及びイヤホン
KR20110009696U (ko) * 2010-04-06 2011-10-12 주식회사 고려산업 이어폰 플럭의 홀더링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30517A (ja) * 2008-11-28 2010-06-10 Sony Corp イヤピース及びイヤホン
KR20110009696U (ko) * 2010-04-06 2011-10-12 주식회사 고려산업 이어폰 플럭의 홀더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39016B2 (ja) 補聴器用柔軟性耳当て
US7664282B2 (en) Sealing retainer for extended wear hearing devices
US10462549B2 (en) Headphones with an ergonomic cushion and an ergonomic cushion thereof
US10820084B2 (en) Ear tip sealing structure
US9277336B2 (en) Vented dome
JP6898472B2 (ja) 補聴器用フレキシブル・イヤーチップ
US20060291682A1 (en) Sealing retainer for extended wear hearing devices
JP7352576B2 (ja) 補聴器およびイヤホンのための汎用アダプタ
WO2007146934A2 (en) Sealing retainer for extended wear hearing devices
JP2013500626A (ja) オープンカナル型補聴器
JP5514924B2 (ja) 聴覚保護イヤプラグ
US6425398B1 (en) Earplug
US20230007416A1 (en) Multiple flexible tips for a hearing assistance device
KR102462687B1 (ko) 공기 정량 누설 구조를 가진 이어팁
US20180167752A1 (en) Hearing aid with an extended dome
US11277698B2 (en) Canal hearing devices with improved seals
KR102260760B1 (ko) 유동성 탄성 구조를 구비한 이어팁
US7418105B2 (en) Sheath for in-ear device
JP2986708B2 (ja) 挿耳部材
US20240048890A1 (en) Ear pad or earmold for an earphone, and earphone with an ear pad or earmold
CN103747386A (zh) 一种耳塞型半入耳闭塞式耳机
Gerhardt Implantation of an artificial tympanum in cases of irreversibly blocked eustachian tubes
CN117729467A (zh) 一种入耳式耳机套及其设计方法、入耳式耳机
CN114073621A (zh) 透气耳塞
TW201422212A (zh) 耳塞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