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8434Y1 - 중이염 환기관 - Google Patents

중이염 환기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8434Y1
KR200488434Y1 KR2020170002705U KR20170002705U KR200488434Y1 KR 200488434 Y1 KR200488434 Y1 KR 200488434Y1 KR 2020170002705 U KR2020170002705 U KR 2020170002705U KR 20170002705 U KR20170002705 U KR 20170002705U KR 200488434 Y1 KR200488434 Y1 KR 2004884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weezers
ventilation pipe
ventilation
pipe body
otitis med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27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3447U (ko
Inventor
임동혁
Original Assignee
임동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동혁 filed Critical 임동혁
Priority to KR20201700027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8434Y1/ko
Publication of KR201800034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344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4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43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1/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ars or hearing sense; Non-electric hearing aids; 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11/20Ear surgery
    • A61F11/202Surgical middle-ear ventilation or drainage, e.g. permanent; Implants therefor
    • A61F11/00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7/00Drainage appliance for wounds or the like, i.e. wound drains, implanted drains
    • A61M27/002Implant devices for drainage of body fluids from one part of the body to anoth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06Head
    • A61M2210/0662Ears
    • A61M2210/0668Middle ea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olaryng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mat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Anesthesiology (AREA)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iophysics (AREA)
  • Psych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중이염 환기관에 관한 것으로, 고무 재질로 형성되며,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만곡부가 형성된 환기관 몸체부와; 상기 환기관 몸체부의 상부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환기관 몸체부와 연결되고, 환부에 삽입이 이루어질 때 소정의 탄성력을 상부 고정 플랜지측으로 전달하는 탄성 경사부가 형성된 상부 고정 플랜지와; 상기 환기관 몸체부의 하부에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만곡부와 하부 지지 플랜지의 상부면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환기관 몸체부가 환부에 삽입될 때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가이드 경사부가 형성된 하부 지지 플랜지와; 소정의 홀의 형태로 형성되며, 핀셋의 단부가 삽입되면서 중이염 환기관을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 경사부로부터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핀셋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중이염 환기관{Equipment for otitis media}
본 고안은 중이염 환기관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환기관의 일면에 핀셋의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일정 간격 다수개 형성하여 환기관을 환부에 밀어 넣을 때 핀셋의 환기관으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핀셋에 의해 고막이 다치지 않도록 하는 중이염 환기관에 관한 것이다.
중이염은 흔히 항생물질과 같은 약물로 치료된다. 통증을 줄이고 세균검사를 시행하는 등 특별한 사정이 있는 경우에는 중이염은 주사기를 이용하여 중이에 있는 삼출액을 직접 뽑아내는 고막천자 또는 고막에 구멍을 만들어 삼출액이 자연스럽게 배출되도록 하는 고막절개의 방법에 의해 치료되기도 한다.
중이염은 다양한 내과적 또는 외과적 방법에 의해 예방될 수 있다. 급성 중이염을 반복적으로 앓거나 만성 삼출성 중이염으로 난청이 있는 경우와 같이 특별한 사정이 있는 경우에는, 중이의 배출과 환기를 도와 급성 중이염과 삼출성 중이염 발생을 줄이기 위해 고막에 환기관을 삽입하는 고막천공술(tympanostomy)을 실행할 수 있다.
고막천공술은 일반적으로 고막에 절개부를 형성한 고막절개술(myringotomy)을 실행한 다음, 절개부에 관을 삽입하여 배치하고, 이어서 흡입 장치로 관을 통해 중이로부터 삼출물을 흡입하는 방법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최근에는 하나의 시스템에 의해 고막절개 및 환기관 삽입을 연속적으로 거의 동시에 실행하는 시스템이 제안되고 있으며, 고막 절개부를 형성하기 위해 레이저 에너지를 사용하는 시스템, 이도(ear canal)의 이미징을 위한 비디오 시스템 등을 비롯한, 더욱 복잡하고 고가의 시스템이 귀의 조직의 진단 또는 치료를 위해 제안되었다. 고막천공술 관 및 관 배치 시스템에 대한 이들 다양한 제안된 대안은 다양한 수용도(degree of acceptance)를 경험하였다. 일부제안된 대안은 과도하게 복잡하거나, 과도하게 고가이고, 비효과적인 문제점이 있다.
또한, 환기관의 삽입시 상기 환기관을 파지하는 핀셋 등과 같은 기구가 환기관으로부터 미끄러지면서 환부 주변의 고막 등을 상기 핀셋이 찌르게 되는 문제가 발생함에 따라 수술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143450호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전술한 배경기술에 의해서 안출된 것으로, 환기관의 일면에 핀셋의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일정 간격 다수개 형성하여 환기관을 환부에 밀어 넣을 때 핀셋의 환기관으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핀셋에 의해 고막이 다치지 않도록 함으로써, 수술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중이염 환기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무 재질로 형성되며,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만곡부가 형성된 환기관 몸체부와; 상기 환기관 몸체부의 상부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환기관 몸체부와 연결되고, 환부에 삽입이 이루어질 때 소정의 탄성력을 상부 고정 플랜지측으로 전달하는 탄성 경사부가 형성된 상부 고정 플랜지와; 상기 환기관 몸체부의 하부에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만곡부와 하부 지지 플랜지의 상부면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환기관 몸체부가 환부에 삽입될 때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가이드 경사부가 형성된 하부 지지 플랜지와; 소정의 홀의 형태로 형성되며, 핀셋의 단부가 삽입되면서 중이염 환기관을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 경사부로부터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핀셋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핀셋 삽입부는 상기 하부 지지 플랜지, 또는 상부 고정 플랜지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환기관 몸체부에는, 상기 관통홀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되는 탈착 하우징을 더 포함하며; 상기 탈착 하우징의 내주면에는 소정 간격 이격되게 다수개 구성되어 의료용 핀셋이 고정되는 고정 슬릿부재;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환기관의 일면에 핀셋의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일정 간격 다수개 형성하여 환기관을 환부에 밀어 넣을 때 핀셋의 환기관으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수술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핀셋에 의해 환부 주변의 고막의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보다 안전한 시술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중이염 환기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중이염 환기관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중이염 환기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중이염 환기관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중이염 환기관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고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고안의 중이염 환기관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의 환기관 몸체부(110)를 이루며, 상기 환기관 몸체부(110)의 상부 및 하부에는 상부 고정 플랜지(120) 하부 지지 플랜지(130)가 각각 형성된다.
또한, 본 고안의 환기관 몸체부(110)에는 그 중앙부에 관통 형성되며, 환기관을 환부에 삽입할 때 환기관 몸체부(110)가 소정의 탄성력이 발생할 수 있도록 하는 관통홀(11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 고안의 관통홀(112)은 식염수 등과 같은 유체가 흐를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환기관 몸체부(110)는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환부에 보다 쉽고 간단하게 삽입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즉, 종래의 중이염 환기관은 티타늄 등과 같은 금속 재질로 구성됨에 따라 환부에 중이염 환기관을 삽입할 때 형상에 대한 변형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삽입이 어렵지만, 본 고안의 중이염 환기관의 경우에는 고무재질로 형성됨에 따라 환부에 삽입이 이루어질 때, 환기관 몸체부(110)의 형상을 자유롭게 변경하면서 삽입할 수 있어 보다 쉽고 빠르게 삽입이 가능하게 되어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환기관 몸체부(110)는 원주면이 소정의 곡면으로 형성되는 만곡부(114)가 형성되어 환부와의 면접촉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이는 점 접촉, 또는 선 접촉과 같이 접촉 면적이 좁게 형성되는 경우 중이염 환기관이 삽입될 때 환부의 손상이 발생할 우려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고안의 환기관 몸체부(110)의 상부에 구성되는 상부 고정 플랜지(120)는 환기관 몸체부(110)의 상부 원주면에 일체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환부의 내부로 삽입이 이루어지면서 중이염 환기관을 환부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상부 고정 플랜지(120)는 원형의 플랜지로 형성되며, 상단에서 하단까지의 길이는 2mm~5mm의 길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후술할 하부 지지 플랜지(130)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부 고정 플랜지(120)의 하부면에는 환기관 몸체부(110)의 만곡부(114)와 연결되게 형성되며, 상부 고정 플랜지(120)가 환부에 삽입이 이루어질 때, 소정의 탄성력을 상부 고정 플랜지(120)측으로 전달하면서 위치 조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탄성 경사부(122)가 형성된다.
즉, 탄성 경사부(122)는 상부 고정 플랜지(120)가 환부에 삽입이 이루어질 때,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여 환기관 몸체부(110)로부터 일정 각도 만큼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삽입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환부와 최소한의 접촉에 의해 삽입이 가능하도록 하며, 이에 따라 중이염 환기관의 삽입시 환부가 손상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다시말해, 상부 고정 플랜지(120)와 환기관 몸체부(110)의 결합부는 90°의 각도를 이루도록 탄성 경사부(122)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이고, 환부에 삽입이 이루어질 때, 상기 상부 고정 플랜지(120)가 환기관 몸체부(110)로부터 90°~120°의 각도로 회전하면서 삽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탄성 경사부(122)는 고무 재질의 패널로 구성되어 상부 고정 플랜지(120)와 몸체부 환기관(110)의 만곡부(114)를 연결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고무 재질의 패널 내부에 판 스프링과 같은 탄성패널이 삽입된 채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하부 지지 플랜지(130)는 환기관 몸체부(110)의 하부에 연장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상부 고정 플랜지(120)와 동일하게 원형의 플랜지로 형성된다.
이러한 하부 지지 플랜지(130)에는 환기관 몸체부(110)에 형성된 만곡부(114)의 하단부가 일체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만곡부(114)와 하부 지지 플랜지(130)의 상부면 사이에는 상기 탄성 경사부(122)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가이드 경사부(132)가 형성된다.
즉, 가이드 경사부(132)는 환부에 환기관 몸체부(110)가 삽입될 때,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여 환기관 몸체부(110)의 위치 조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환기관 몸체부(110)의 하부에 구성되는 하부 지지 플랜지(130)는 중이염 환기관을 환부에 삽입하기 위해 의료용 핀셋과 같은 기구의 단부가 삽입되는 핀셋 삽입부(140)가 형성된다.
핀셋 삽입부(140)는 소정의 홀의 형태로 형성되며, 핀셋의 단부가 삽입되면서 중이염 환기관을 파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중이염 환기관이 상기 의료용 핀셋으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보다 신속하게 환부에 삽입이 이루어지도록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핀셋 삽입부(140)는 상기 가이드 경사부(132)로부터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의료용 핀셋의 단부가 용이하게 삽입이 가능하게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핀셋 삽입부(140)는 상기 가이드 경사부(132)로부터 하부 지지 플랜지(130)의 하부면까지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환기관 몸체부(110)를 중심으로 하부 지지 플랜지(130)의 원주면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다수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고안에서는 90°간격으로 총 4개로 형성된다.
한편, 본 고안의 핀셋 삽입부(140)는 하부 지지 플랜지(130)에만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상부 고정 플랜지(120) 및 하부 지지 플랜지(130) 모두에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중이염 환기관의 제2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중이염 환기관은 환기관 몸체부(110)에 의료용 핀셋의 단부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중이염 환기관의 보다 용이한 삽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탈착 하우징(210)이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탈착 하우징(210)은 의료용 핀셋의 단부가 삽입 및 고정되며, 환기관 몸체부(110)의 관통홀(112)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되어 환부에 중이염 환기관의 삽입이 완료된 이후 환기관 몸체부(110)로부터 분리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탈착 하우징(210)은 상기 관통홀(112)의 내주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삽입 및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탈착돌기(214)가 외주면에 소정의 곡률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환기관 몸체부(110)에는 상기 탈착돌기(214)가 삽입되는 탈착홈(116)이 관통홀(112)의 내주면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탈착 하우징(210)에는 그 중앙부에 상측에서 하측으로 관통 형성되어 의료용 핀셋이 탈착 가능하게 삽입되는 핀셋 삽입홀(212)이 형성되며, 이 핀셋 삽입홀(212)의 내주면에는 상기 의료용 핀셋을 고정하는 고정 슬릿부재(220)가 다수개 구성된다.
또한, 탈착 하우징(210)의 하부에는 탈착 하우징(210)이 관통홀(112)에 삽입이 이루어질 때, 보다 쉽게 삽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슬릿홈(216)이 형성된다.
고정 슬릿부재(220)는 핀셋 삽입홀(212)의 내주면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다수개 구성되는 것으로, 의료용 핀셋측으로 소정의 고정력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다수개의 고정 슬릿부재(220)들 사이에는 상기 핀셋 삽입홀(212)을 통해 삽입되는 핀셋의 단부가 고정 슬릿부재(220)에 밀착되게 삽입이 이루어지면서 핀셋과 고정 슬릿부재(220)가 서로 긴밀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홈(222)이 형성된다.
즉, 본 고안의 중이염 환기관은 상기 탈착 하우징(210)이 삽입된 상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환부에 상기 중이염 환기관을 삽입할 때, 의료용 핀셋이 고정 슬릿부재(220)와 고정되게 한 상태에서 삽입하고, 이후 중이염 환기관으로부터 탈착 하우징(210)을 분리함으로써, 환부에 삽입하는 과정을 완료할 수 있어 의료용 핀셋이 중이염 환기관으로부터 미끄러지거나, 또는 중이염 환기관의 삽입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과정을 매우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환기관 몸체부 120: 상부 고정 플랜지
130: 하부 지지 플랜지 140: 핀셋 삽입부
210: 탈착 하우징 220: 고정 슬릿부재

Claims (3)

  1.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만곡부가 형성된 환기관 몸체부와;
    상기 환기관 몸체부의 상부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환기관 몸체부와 연결되고, 환부에 삽입이 이루어질 때 소정의 탄성력을 상부 고정 플랜지측으로 전달하는 탄성 경사부가 형성된 상부 고정 플랜지와;
    상기 환기관 몸체부의 하부에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만곡부와 하부 지지 플랜지의 상부면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환기관 몸체부가 환부에 삽입될 때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가이드 경사부가 형성된 하부 지지 플랜지와;
    소정의 홀의 형태로 형성되며, 핀셋의 단부가 삽입되면서 중이염 환기관을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 경사부로부터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핀셋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환기관 몸체부에는,
    상기 관통홀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되는 탈착 하우징과, 상기 탈착 하우징의 내주면에는 소정 간격 이격되게 다수개 구성되어 의료용 핀셋이 고정되는 고정 슬릿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이염 환기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핀셋 삽입부는 상기 하부 지지 플랜지, 또는 상부 고정 플랜지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이염 환기관.
  3. 삭제
KR2020170002705U 2017-06-01 2017-06-01 중이염 환기관 KR2004884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705U KR200488434Y1 (ko) 2017-06-01 2017-06-01 중이염 환기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705U KR200488434Y1 (ko) 2017-06-01 2017-06-01 중이염 환기관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0343U Division KR200489508Y1 (ko) 2019-01-23 2019-01-23 중이염 환기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447U KR20180003447U (ko) 2018-12-11
KR200488434Y1 true KR200488434Y1 (ko) 2019-01-30

Family

ID=64668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2705U KR200488434Y1 (ko) 2017-06-01 2017-06-01 중이염 환기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843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919545B (zh) * 2023-02-21 2023-06-02 微创视神医疗科技(上海)有限公司 可降解鼓膜支架、输送装置以及可降解鼓膜支架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77438A1 (ja) 2011-11-25 2013-05-30 Morita Masahiro 耳管鼓膜チューブ
US20160262937A1 (en) 2012-07-05 2016-09-15 Domestic Legacy Limited Partnership ONE STEP TYMPANOSTOMY TUBE and METHOD FOR INSERT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51199A (en) * 1997-10-14 1998-12-22 Peerless; Sidney A. Otological drain tube
US9011363B2 (en) 2012-04-10 2015-04-21 Acclarent, Inc. Tympanic membrane pressure equalization tub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77438A1 (ja) 2011-11-25 2013-05-30 Morita Masahiro 耳管鼓膜チューブ
US20160262937A1 (en) 2012-07-05 2016-09-15 Domestic Legacy Limited Partnership ONE STEP TYMPANOSTOMY TUBE and METHOD FOR INSERT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447U (ko) 2018-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3888B1 (ko) 고막 압력 균등화 관
ES2744826T3 (es) Dilatador de iris
US9155556B2 (en) Support element for circumcision and system comprising the same
ES2926786T3 (es) Tubo de timpanostomía de una etapa
JP2023512988A (ja) 鼓膜を通り中耳および内耳にアクセスするための低侵襲器具および方法
WO2005009227A8 (en) Internal treatment apparatus for a patient and an internal treatment system for a patient
KR101022754B1 (ko) 운드 리트랙터를 겸비한 멀티채널 트로카
CN109688976B (zh) 被动型中耳假体
US5489286A (en) Antibiotic impregnated myringotomy ventilation tube
KR200488434Y1 (ko) 중이염 환기관
ES2810351T3 (es) Fijación a la apófisis corta del yunque para un transductor flotante implantable
KR101637518B1 (ko) 의료용실이 장착된 의료용실 삽입기구
US8529495B1 (en) Middle ear ventilation tube
KR200489508Y1 (ko) 중이염 환기관
KR20190117257A (ko) 고막천공관 및 상기 고막천공관의 제작 방법
US8764826B2 (en) Middle ear prosthetic device
KR101685966B1 (ko) 고막천공관과 그 제조방법 및 사용방법
US20180140463A1 (en) Loading tool for ventilation tube inserter device
US11464626B2 (en) Insertion aid for voice prostheses
JP5992922B2 (ja) 耳管鼓膜チューブ
CN114867428A (zh) 用于捕获和保持耳蜗植入物的电极夹具的耳外科自动化器械和设备
CN217391029U (zh) 咽鼓管软骨部引流扩张管
KR102189694B1 (ko) 내시경장치
Dance et al. Removal of ear canal foreign bodies in children: What can go wrong and when to refer
Wesendahl Insertion procedure, aftercare, and soft-tissue reaction of the 2.5-mm titanium tube system for a transcutaneous air conduction hearing aid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