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9694B1 - 내시경장치 - Google Patents

내시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9694B1
KR102189694B1 KR1020190015669A KR20190015669A KR102189694B1 KR 102189694 B1 KR102189694 B1 KR 102189694B1 KR 1020190015669 A KR1020190015669 A KR 1020190015669A KR 20190015669 A KR20190015669 A KR 20190015669A KR 102189694 B1 KR102189694 B1 KR 1021896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doscope
extension
sheath
mounting pipe
retra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5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8051A (ko
Inventor
전지운
홍영호
서동원
이병규
Original Assignee
전지운
서동원
이병규
홍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지운, 서동원, 이병규, 홍영호 filed Critical 전지운
Priority to KR10201900156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9694B1/ko
Publication of KR20200098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80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9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96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71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8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characterised by distal tip features
    • A61B1/00087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12Connection or coupling means
    • A61B1/00119Tubes or pipes in or with an endosco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5/00Evaluating, monitoring or diagnosing in the context of a particular type of medical care
    • A61B2505/05Surgical ca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시경장치에 관한 것으로, 수술부위를 촬영하는 내시경부와, 내시경부를 체내의 수술부위로 안내하는 중공의 채널부가 형성되는 쉬스부와, 쉬스부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며, 쉬스부보다 연장된 단부가 수술부위를 가리는 장애물에 도달되고, 쉬스부와 함께 이동되면서 장애물을 제치는 리트랙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내시경장치{ENDOSCOPE APPARATUS}
본 발명은 내시경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체내의 수술부위를 모니터링하면서 수술을 시행하기 위한 내시경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시경 디스크 제거술은 척추용으로 만들어진 의료용 특수 내시경을 디스크가 발생한 부위에 삽입하고 내시경 모니터로 보면서 신경을 압박하고 있는 디스크를 제거하여 치료하는 최첨단 수술기법으로서, 전신마취를 하지 않고 국소마취로 진행돼 고령의 환자들도 안전하며, 수술부위의 반흔 및 유착이 적으며, 흉터가 없고 입원 기간이 짧아 일상 생활로의 복귀가 쉽다는 장점으로 인하여 환자들의 만족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 최근에는 그 시술 회수가 척추외과 수술 중 가장 높은 빈도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후방 2개 통로 척추 내시경 수술(UBE, Unilateral Biportal Endoscopic spine surgery)은 피부에 두 개의 작은 시술공을 내고 수술하기 때문에 근육을 포함한 조직 손상이 미미하며, 수술 감염이 거의 없고 수술 후 일상생활 복귀가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2개의 시술공에 척추 내시경과 수술기구를 각각 넣어 수술할 수 있어 시야 및 시술공간 확보가 용이하며, 뼈를 포함한 주변 조직 제거와 접근이 어려운 위치의 병소 제거가 가능하다.
2개 통로 척추 내시경 수술로 돌출된 디스크를 제거함에 있어서는, 피부에 내시경 삽입용 구멍(scope portal)과 기구 삽입용 구멍(working portal)을 내고, 내시경 삽입용 구멍을 통해 내시경을 삽입 후, 기구 삽입용 구멍을 통해 수술기구를 삽입하여 척추후궁뼈(lamina bone)를 드릴링한 후, 수술을 보조하는 보조자(Assistant)가 커브드 루트 리트랙터(curved root retractor)를 기구 삽입용 구멍에 넣어서 신경다발을 제쳐주면 신경다발에 가려진 디스크가 내시경에 보이고, 수술기구를 이용하여 돌출된 디스크를 제거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수술방법에 의하면, 수술을 보조하는 보조자가, 즉 커브드 루트 리트랙터를 이용해 신경다발을 제쳐주는 보조자가 꼭 필요할 뿐만 아니라, 보조자가 집도의의 의도와 다르게 신경다발을 과도하게 당김으로 인한 신경손상이 발생하는 등 수술 위험도 및 실패확률이 보조자와 수술 집도의 간의 호흡에 따라 결정되고, 수술 집도의 혼자 자의적으로 수술을 진행하는 경우와 비교해 수술시간이 지연될 수 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1744459호(2017.05.31 등록, 발명의 명칭: 후방 2개 통로 척추 내시경 수술용 수술 기구 세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보조자 없이 수술 집도의 혼자서 수술을 진행가능하게 하는 내시경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장치는, 수술부위를 촬영하는 내시경부; 상기 내시경부를 체내의 상기 수술부위로 안내하는 중공의 채널부가 형성되는 쉬스부; 및 상기 쉬스부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쉬스부보다 연장된 단부가 상기 수술부위를 가리는 장애물에 도달되고, 상기 쉬스부와 함께 이동되면서 상기 장애물을 제치는 리트랙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쉬스부는, 상기 채널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리트랙터부가 둘레에 끼워지는 가이드관부; 상기 가이드관부의 상부에 상기 가이드관부보다 확장된 너비로 형성되고, 상기 내시경부가 안착되는 내시경안착부; 상기 가이드관부에 결합되고, 상기 내시경부의 촬영을 위한 유체의 공급과 배출을 조절하는 조절밸브부; 및 상기 조절밸브부의 하측에 상기 가이드관부보다 확장된 너비로 형성되고, 상기 리트랙터부의 이동을 구속하는 스토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트랙터부는, 상기 쉬스부의 둘레에 끼워지는 장착관부; 상기 장착관부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쉬스부에 형성된 스토퍼부와 접하여 상향 이동이 구속되는 이동구속부; 상기 내시경부의 촬영 시야를 확보가능하게 상기 장착관부의 하부에 개방되게 형성되는 개방부; 및 상기 개방부의 일측에 상기 장착관부로부터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장애물에 도달가능한 설정 길이를 가지는 연장견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착관부는, 내경부가 직선형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쉬스부와 유격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트랙터부는, 상기 장착관부 상에 상기 장착관부보다 확장된 너비로 형성되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트랙터부는, 상기 손잡이부를 관통하여 결합되고, 상기 쉬스부에 압접되며 상기 장착관부의 이동을 구속하는 고정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장견인부는, 상기 장착관부에 대응되는 원주형 곡면을 이루어 상기 장착관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단부측으로 갈수록 너비가 축소되는 형상을 가지는 제1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장견인부는, 상기 장착관부의 단부를 연장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절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장견인부는, 상기 제1연장부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장착관부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구부러진 형상을 가지는 굴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장견인부는, 평탄면을 가지고, 상기 장착관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연장부는, 상기 장착관부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구부러진 형상을 가지는 내향굴곡부; 상기 내향굴곡부의 단부에 상기 장착관부의 연장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평탄연장부; 및 상기 평탄연장부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장착관부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구부러진 형상을 가지는 외향굴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장치는, 수술부위를 촬영하는 내시경부를 지지하는 쉬스부에 수술부위를 가리는 장애물을 제치는 리트랙터부를 장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2개 통로 척추 내시경 수술을 시행함에 있어서, 수술 집도의가 한손으로 내시경부를 이용해 수술부위를 촬영함과 동시에 수술부위를 가리던 장애물을 제칠 수 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수술 집도의가 한손으로는 내시경부를 이용해 수술부위를 촬영하면서 장애물을 제칠 수 있고, 다른 한손으로는 수술기구를 이용해 수술부위를 치료할 수 있어, 보조자 없이 수술 집도의 혼자서 수술을 진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수술 집도의 혼자서 자의적인 판단과 실행으로 수술을 시행할 수 있어, 기존에 척추 디스크를 제거 시 커브드 루트 리트랙터를 이용해 신경다발을 제쳐주는 보조자가 꼭 필요하던 경우와 비교해, 집도의 외에 보조자까지 인력이 확보되어야만 수술이 가능했던 한계를 극복할 수 있고, 보조자가 집도의의 의도와 다르게 신경다발을 과도하게 당김으로 인한 신경손상이 발생하는 등 수술 위험과 실패를 해결할 수 있으며, 보조자와의 의사 소통에 소요되던 수술시간을 보다 단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장치를 이용해 수술을 집도하는 과정을 설명하고자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장치의 리트랙터부의 제1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장치의 리트랙터부의 제2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장치의 리트랙터부의 제3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장치를 이용해 수술을 집도하는 과정을 설명하고자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장치(1)는, 내시경부(10), 쉬스부(20), 리트랙터부(30)를 포함한다.
내시경부(10)는 체내의 수술부위(2)(예를 들어, 디스크)를 촬영하기 위한 장치부로, 광원(미도시), 렌즈(미도시), 케이블(미도시) 등을 포함한다. 내시경부(10)는 쉬스부(20)를 통해 체내의 수술부위(2)를 촬영가능하다면, 공지의 내시경 구조를 포함하여 특정한 구조와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으므로, 그 구조와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쉬스부(20)는 내시경부(10)를 체외에서 체내의 수술부위(2)로 안내하기 위한 장치부로, 내시경부(10)가 통과가능한 중공의 채널부(21a)가 형성된다. 리트랙터부(30)는 수술부위(2)를 가리는 장애물(3)(예를 들어, 신경다발)을 제치기 위한 장치부로, 쉬스부(20)의 둘레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된다.
내시경부(10)는 쉬스부(20)의 상측으로부터 쉬스부(20)의 내부에 끼워져 장착되고, 리트랙터부(30)는 쉬스부(20)의 하측으로부터 쉬스부(20)의 둘레에 끼워져 장착된다. 리트랙터부(30)는 상기와 같이 쉬스부(20)에 장착된 상태에서 내시경부(10)의 촬영 가능 시야 내측에 위치하게 되고, 쉬스부(20)의 기울어짐이나 이동에 연동하여 함께 기울어지거나 이동하게 된다.
리트랙터부(30)가 쉬스부(20)에 장착된 상태에서 리트랙터부(30)의 하부는 쉬스부(20)의 하단부보다 하향 연장된 형태를 가진다. 수술 집도의가 체외에서 리트랙터부(30)나 쉬스부(20)를 파지한 상태로 목적한 방향과 기울기로 기울이거나 이동시키는 과정을 통해, 쉬스부(20)보다 연장된 리트랙터부(30)의 하부를 장애물(3)에 도달시킬 수 있고, 수술기구(4)가 수술부위(2)에 닿을 수 있게 수술부위(2)를 가리는 장애물(3)을 제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쉬스부(20)는 가이드관부(21), 내시경안착부(22), 조절밸브부(23), 스토퍼부(24)를 포함한다.
가이드관부(21)는 내시경부(10)를 체내의 수술부위(2)까지 안내하기 위한 장치부로, 직선형 파이프 형상을 가지고 체외로부터 피부를 관통하여 체내의 수술부위(2) 근방에 도달된다. 가이드관부(21)의 내부에는 채널부(21a)가 가이드관부(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형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가이드관부(21)의 외면부는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며, 그 둘레에 원형의 내면부를 가지는 리트랙터부(30)가 끼워진다.
내시경안착부(22)는 내시경부(10)가 안착되는 장치부로, 가이드관부(21)의 상부에 가이드관부(21)보다 확장된 너비로 형성된다. 내시경부(10)를 채널부(21a)에 인입시킨 상태에서 외력을 해제하면, 내시경부(10)의 상부가 내시경안착부(22)에 안착되면서 그 하향 이동이 구속된다. 이와 같이 내시경부(10)가 내시경안착부(22)에 안착된 상태에서 내시경부(10)의 하단부에 설치된 렌즈는 가이드관부(21)의 하단부에 위치된다.
조절밸브부(23)는 내시경부(10)의 촬영을 위한 유체(예를 들어, 셀라인(saline))의 공급과 배출을 조절하는 장치부로, 가이드관부(21)의 상부에 연통되게 결합된다. 조절밸브부(23)는 급수라인(미도시)과 연결되고, 내시경부(10)의 촬영을 위한 유체의 공급을 조절하는 급수밸브부(23a)와, 배수라인(미도시)과 연결되고, 내시경부의 촬영을 위한 유체의 배출을 조절하는 배수밸브부(23b)를 포함한다. 조절밸브부(23)를 통해 내시경부(10)의 렌즈가 도달되는 가이드관부(21)의 하단부로 유체를 공급하면서 촬영 시야를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스토퍼부(24)는 리트랙터부(30)의 상향 이동을 구속하기 위한 장치부로, 조절밸브부(23)의 하측에 가이드관부(21)보다 확장된 너비로 형성된다. 가이드관부(21)의 하측으로부터 가이드관부(21)의 둘레에 끼워진 리트랙터부(30)는 스토퍼부(24)에 걸려 그 상향 이동이 구속된다. 이에 따라, 스토퍼부(24)는 가이드관부(21)의 하단부보다 리트랙터부(30)의 단부가 보다 하향 연장되는 구조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장치의 리트랙터부의 제1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리트랙터부(30)는 장착관부(31), 이동구속부(32), 개방부(33), 연장견인부(34), 손잡이부(38), 고정체결부(39)를 포함한다.
장착관부(31)는 쉬스부(20)의 둘레에 끼워져 장착되는 장치부로, 그 내경부는 쉬스부(20)의 외경부에 대응되는 직경을 가지고, 쉬스부(20)의 하측으로부터 쉬스부(20)의 둘레에 끼워진다. 장착관부(31)의 내경부눈 직선형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쉬스부(20)의 외경부와의 사이에 유격(예를 들어, 0.5mm)을 가진다.
이에 따라, 장착관부(31)는 쉬스부(20)에 장착된 상태에서 쉬스부(20)의 연장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할 뿐만 아니라, 쉬스부(20)를 기준으로 하여 다양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장착관부(31)를 쉬스부(20)의 하측으로 보다 하향 이동시킴으로써 쉬스부(20)와 리트랙터부(30)가 함께 이루는 길이를, 즉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장치(1)의 길이를 집도의의 편의에 따라 다양하게 신축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쉬스부(20)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즉 내시경부(10)로 수술부위(2)를 촬영 중인 상태에서, 쉬스부(20)를 기준으로 하여 장착관부(31)를 회전 및 슬라이딩 이동시키면서, 내시경부(10)의 시야를 가리고, 수술부위(2)로의 수술도구(4) 접근을 방해하던 장애물(3)을 제거할 수 있다.
이동구속부(32)는 쉬스부(20)에 형성된 스토퍼부(24)와 접하여 리트랙터부(30)의 상향 이동을 구속하게 되는 장치부로, 스토퍼부(24)와의 접촉면을 구비하여 장착관부(31)의 상단부에 형성된다. 이동구속부(32)가 스토퍼부(24)에 걸려 리트랙터부(30)의 상향 이동이 제한되고, 이에 따라 연장견인부(34)의 연장 길이를 일정 길이 이상으로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개방부(33)는 내시경부(10)의 촬영 시야를 확보가능하게 장착관부(31)의 하단부에 개방되게 형성된다. 쉬스부(20)의 채널부(21a)에 삽입된 내시경부(10)의 하단부에는 수술부위(2)를 촬영하기 위한 렌즈가 배치되고, 렌즈는 개방부(33)를 통해 촬영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연장견인부(34)는 수술부위(2)를 가리는 장애물(3)을 제치기 위한 장치부로, 개방부(33)의 일측부에 장착관부(31)로부터 하향 연장되게 형성되고, 장애물(3)에 도달가능한 설정 길이를 가진다. 사람마다 신체 조직의 형태, 크기, 위치 등에 차이가 있으며, 이에 따른 다양한 조건에서 장애물(3)을 효과적으로 밀거나 당길 수 있도록 연장견인부(34)는 다양한 형상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장견인부(34)는, 장착관부(31)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즉 직하방으로 하향 연장되면서, 단부측으로 갈수록 너비가 점차 축소되는 제1연장부(35)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진다. 제1연장부(35)는 급경사부(351)와 완만경사부(352)가 연속하여 연결된 구조를 가진다.
급경사부(351)는 가장자리부가 장착관부(31)의 하단부에, 장착관부(31)의 연장방향인 수직선을 기준으로 하여 설정각도 보다 큰 각도로 경사지게 연장된 구조를 가진다. 이에 따라 급경사부(351) 없이 완만경사부(352)만을 형성하는 경우와 비교해, 장착관부(31)와 완만경사부(352) 간의 연결 강성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으면서도, 개방부(33)를 안정되게 확보할 수 있다. 즉, 연장견인부(34)로 인해 내시경부(10)의 시야 확보가 저해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완만경사부(352)는 급경사부(351)의 하부에 수직선을 기준으로 하여 설정각도(예를 들어, 15°)보다 작은 각도로 경사지게 연장된 구조를 가진다. 완만경사부(352)는 단부측으로 갈수록 너비가 점차 축소되는 형상을 이룸에 있어서, 설정각도보다 작은 각도로 경사지게 연장됨에 따라, 설정 길이로 연장됨에 있어서 그 강성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경사지게 연장된다는 것은 직선을 이루어 설정각도로 일정하게 경사지는 것만으로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즉, 일부 또는 전체가 경사진 형상을 가지는 경우를, 보다 구체적으로는 신체의 손상, 장기의 입체적인 형상을 고려하여 완만한 곡선 내지 곡면을 이루거나 설정각도의 범위 내에서 경사각도에 소정의 변화가 있는 경우 등을 포괄한다.
상기와 같은 형상을 가지는 제1연장부(35)는, 별도의 부재를 장착관부(31)의 단부에 접합할 필요없이, 파이프 형상을 가지는 장착관부(31)의 단부를 장착관부(31)의 연장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절단함으로써,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손잡이부(38)는 장착관부(31)의 상부에 장착관부(31)보다 확장된 너비로 형성된다. 손잡이부(38)가 장착관부(31)보다 확장된 너비로 형성됨에 따라, 손잡이부(38)가 없는 경우와 비교해, 집도의는 손잡이부(38)를 파지한 상태로 리트랙터부(30)의 위치와 방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부(38)의 외면부에는 미끄럼방지를 위한 요철 내지 돌기가 형성되어, 쉬스부(20)를 기준으로 한 리트랙터부(30)의 정밀한 위치 및 방향 조정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손잡이부(38)는 집도의가 손잡이부(38)를 손가락 끝으로 파지한 상태로, 리트랙터부(30)를 용이하게 슬라이딩 및 회전 이동시킬 수 있게, 이동구속부(32)로부터 설정 이격거리를 두고 배치된다. 여기서, 설정 이격거리는 집도의가 엄지와 검지 사이에 쉬스부(20)의 조절밸브부(23)를 걸친 상태에서 엄지와 검지의 끝부분을 이용해 손잡이부(38)를 스토퍼부(24)와 명확하게 구분하여 파지할 수 있는 정도(예를 들어, 1cm)이면 충분하다.
고정체결부(39)는 필요 시 리트랙터부(30)를 이동 및 회전 불가능하게 구속하기 위한 장치부로, 손잡이부(38)를 관통하여 결합되고, 단부가 쉬스부(20)에 압접되며 장착관부(31)의 이동을 구속한다. 고정체결부(39)로는 볼트부재를 적용할 수 있다. 손잡이부(38)가 장착관부(31)보다 확장된 너비를 가짐에 따라, 손잡이부(38)를 이용해 고정체결부(39)의 장착,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체결부(39)의 체결을 느슨하게 해제한 상태에서 리트랙터부(30)의 위치와 방향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으며, 리트랙터부(30)의 위치 및 방향 조정이 완료된 상태에서, 예를 들어, 수술자의 체격, 수술 위치 등을 고려하여 적합한 길이와 방향으로 조정이 완료되거나, 연장견인부(34)로 장애물(3)을 목적한 위치로 밀거나 당기거나 젖힌 상태에서, 고정체결부(39)를 이용해 리트랙터부(30)를 쉬스부(20)에 고정시킴으로써, 수술기구(4)를 이용한 수술을 용이하게 시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장치의 리트랙터부의 제2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연장견인부(34)는 제1연장부(35)와 굴곡부(36)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리트랙터부(30)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리트랙터부(30)와 동일, 유사하거나 대응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그 설명의 중복을 생략한다.
굴곡부(36)는 제1연장부(35)의 하단부에 장착관부(31)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구부러지게 형성된다. 제1연장부(35)의 하단부에 굴곡부(36)를 형성함으로써, 연장견인부(34)의 단부에 걸림턱이 형성된다. 따라서 장애물(3)을 제1연장부(35)의 연장방향과 직각되는 방향으로 밀어내는 것 외에, 굴곡부(36)를 이용해 제1연장부(35)와 접한 상태의 장애물(3)을 목적한 방향으로 밀거나 당기는 것이 가능해지고, 좁은 틈새로의 접근이 보다 용이해진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장치의 리트랙터부의 제3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연장견인부(34)는 제1연장부(35)의 하부에 제2연장부(37)가 연속하여 연결된 구조를 가진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리트랙터부(30)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리트랙터부(30)와 동일, 유사하거나 대응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그 설명의 중복을 생략한다.
제2연장부(37)는 평탄면(37a)을 구비하여 장착관부(31)와 동일한 방향으로, 수직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연장부(35)는 원형 단면을 가지는 장착관부(31)의 일부를 절개시켜 형성함으로써 원호 형상의 단면 형상을 가지고 전체가 곡면을 이룬다. 이와 비교해, 제2연장부(37)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는 직사각형 판재를 다단으로 절곡한 형상을 가진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제2연장부(37)는 내향굴곡부(371), 평탄연장부(372), 외향굴곡부(373)를 포함한다.
내향굴곡부(371)는 제1연장부(35)의 하부에서 장착관부(31)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구부러지게 형성된다. 평탄연장부(372)는 평탄면(37a)을 구비하여, 내향굴곡부(371)의 단부에 장착관부(31)의 연장방향으로, 즉 수직방향으로 하향 연장되게 형성된다. 외향굴곡부(373)는 평탄연장부(372)의 단부에 형성되고, 장착관부(31)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구부러지게 형성된다.
제2연장부(37)는 설정 길이, 설정 너비를 가지고 제1연장부(35)의 하부에 보다 연장되게 형성됨으로써, 쉬스부(20)의 하단부로부터 보다 원거리에 위치한 장애물(3)에 보다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고, 좁은 틈새로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다. 또한, 제2연장부(37)는 내향굴곡부(371), 평탄연장부(372), 외향굴곡부(373)가 연속하여 연결되어, 숟가락 형상으로 구부러진 고리 형상을 가짐으로써, 입체적인 형상을 가지는 장애물(3)과 여러 각도, 방향에서 안정되게 접한 상태로 장애물(3)을 목적한 방향, 위치로 보다 정밀하게 밀거나 당기거나 젖혀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장치(1)에 의하면, 수술부위를 촬영하는 내시경부(10)를 지지하는 쉬스부(20)에 수술부위(2)를 가리는 장애물(3)을 제치는 리트랙터부(30)를 장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2개 통로 척추 내시경 수술을 시행함에 있어서, 수술 집도의가 한손으로 내시경부(10)를 이용해 수술부위(2)를 촬영하면서도 수술부위(2)를 가리던 장애물(3)을 제칠 수 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수술 집도의가 한손으로는 내시경부(10)를 이용해 수술부위(2)를 촬영하면서도 장애물(3)을 제칠 수 있고, 다른 한손으로는 수술기구(4)를 이용해 수술부위(2)를 치료할 수 있어, 보조자 없이 수술 집도의 혼자서 수술을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술 집도의 혼자서 자의적인 판단과 실행으로 수술을 시행할 수 있어, 기존에 척추 디스크를 제거 시 커브드 루트 리트랙터를 이용해 신경다발을 제쳐주는 보조자가 꼭 필요하던 경우와 비교해, 집도의 외에 보조자까지 인력이 확보되어야만 수술이 가능했던 한계를 극복할 수 있고, 보조자가 집도의의 의도와 다르게 신경다발을 과도하게 당김으로 인한 신경손상이 발생하는 등 수술 위험과 실패를 해결할 수 있으며, 보조자와의 의사 소통에 소요되던 수술시간을 보다 단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내시경장치 2 : 수술부위
3 : 장애물 4 : 수술기구
10 : 내시경부 20 : 쉬스부
21 : 가이드관부 21a : 채널부
22 : 내시경안착부 23 : 조절밸브부
24 : 스토퍼부 30 : 리트랙터부
31 : 장착관부 32 : 이동구속부
33 : 개방부 34 : 연장견인부
35 : 제1연장부 36 : 굴곡부
37 : 제2연장부 37a : 평탄면
38 : 손잡이부 39 : 고정체결부
351 : 급경사부 352 : 완만경사부
371 : 내향굴곡부 372 : 평탄연장부
373 : 외향굴곡부

Claims (11)

  1. 수술부위를 촬영하는 내시경부를 체내의 상기 수술부위로 안내하는 중공의 채널부가 형성되고, 상기 내시경부가 내부에 끼워져 장착되며, 상부에 상기 내시경부가 안착되는 내시경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내시경부를 상기 채널부에 인입시킨 상태에서 외력을 해제하면 상기 내시경부가 상기 내시경안착부에 안착되며 하향 이동이 구속되고, 상기 내시경부의 하단부 위치가 결정되는 쉬스부; 및
    상기 쉬스부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쉬스부보다 하향 연장된 하부가 상기 수술부위를 가리는 장애물에 도달되고, 상기 쉬스부와 함께 이동되면서 상기 장애물을 제치는 리트랙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트랙터부는,
    상기 쉬스부의 둘레에 끼워지는 장착관부;
    상기 장착관부 상에 상기 장착관부보다 확장된 너비로 형성되고, 집도의가 손가락들의 사이에 상기 쉬스부를 걸친 상태에서 손가락으로 파지가능하게 상기 장착관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손잡이부; 및
    상기 손잡이부를 관통하여 결합되고, 상기 쉬스부에 대한 상기 장착관부의 위치와 방향이 조정된 상태에서 단부가 상기 쉬스부에 압접되며 상기 장착관부를 상기 쉬스부에 고정시키는 고정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쉬스부는,
    상기 채널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리트랙터부가 둘레에 끼워지는 가이드관부;
    상기 가이드관부에 결합되고, 상기 내시경부의 촬영을 위한 유체의 공급과 배출을 조절하는 조절밸브부; 및
    상기 조절밸브부의 하측에 상기 가이드관부보다 확장된 너비로 형성되고, 상기 리트랙터부의 이동을 구속하는 스토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트랙터부는,
    상기 장착관부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쉬스부에 형성된 스토퍼부와 접하여 상향 이동이 구속되는 이동구속부;
    상기 내시경부의 촬영 시야를 확보가능하게 상기 장착관부의 하부에 개방되게 형성되는 개방부; 및
    상기 개방부의 일측부에 상기 장착관부로부터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장애물에 도달가능한 설정 길이를 가지는 연장견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관부는, 내경부가 직선형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쉬스부와 유격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견인부는,
    상기 장착관부에 대응되는 원주형 곡면을 이루어 상기 장착관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단부측으로 갈수록 너비가 축소되는 형상을 가지는 제1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장치.
  8. 제3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견인부는,
    상기 장착관부의 단부를 연장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절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견인부는,
    상기 제1연장부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장착관부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구부러진 형상을 가지는 굴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장치.
  10. 제3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견인부는,
    평탄면을 가지고, 상기 장착관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장부는,
    상기 장착관부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구부러진 형상을 가지는 내향굴곡부;
    상기 내향굴곡부의 단부에 상기 장착관부의 연장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평탄연장부; 및
    상기 평탄연장부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장착관부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구부러진 형상을 가지는 외향굴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장치.
KR1020190015669A 2019-02-11 2019-02-11 내시경장치 KR1021896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5669A KR102189694B1 (ko) 2019-02-11 2019-02-11 내시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5669A KR102189694B1 (ko) 2019-02-11 2019-02-11 내시경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8051A KR20200098051A (ko) 2020-08-20
KR102189694B1 true KR102189694B1 (ko) 2020-12-11

Family

ID=72242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5669A KR102189694B1 (ko) 2019-02-11 2019-02-11 내시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969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64721B2 (ja) * 2004-03-15 2010-05-19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用フード
US20150073225A1 (en) * 2006-01-18 2015-03-12 Invuity, Inc. Retractor illumin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3882U (ko) * 2014-04-15 2015-10-23 주식회사 인트로메딕 가이드부를 가지는 내시경 및 캡슐 내시경
KR20180087709A (ko) * 2017-01-25 2018-08-02 김현주 디스크 수술용 툴 키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64721B2 (ja) * 2004-03-15 2010-05-19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用フード
US20150073225A1 (en) * 2006-01-18 2015-03-12 Invuity, Inc. Retractor illumin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8051A (ko) 2020-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23812B2 (ja) 経皮的外科手術用装置及び方法
US20090287061A1 (en) Surgical access device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US9649415B2 (en) Surgical kits for body cavity drainage and related methods
US20040215174A1 (en) Surgical knife safety handle
US20010002437A1 (en) Reusable laparoscopic retrieval pouchtitle
US9604033B2 (en) Body cavity drainage devices with locking devices and related methods
CA2311777A1 (en) Reusable laproscopic retrieval pouch
JP7401547B2 (ja) 耳視覚化および治療システム
JPH11510402A (ja) 突き刺さり防止型注射器及び関連する方法
JP2004049891A (ja) 内視鏡装置
WO2006119512A2 (en) Surgical tool and insertion device for tube placement
JP2009066388A (ja) トロカール・カニューレ
US9821097B2 (en) Body cavity drainage devices including drainage tubes having inline portions and related methods
US20100146799A1 (en) Guarded Surgical Knife
WO2012040747A1 (en) Minimally invasive suction retractor
KR102189694B1 (ko) 내시경장치
KR20190078339A (ko) 개폐가능한 척추 내시경 장치
US11019985B2 (en) Medical tools and related methods of use
KR102045383B1 (ko) 오버튜브
US10537361B2 (en) Access device having a fluid pathway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11918278B2 (en) Medical delivery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6238370B1 (en) Device for dilating and restoring the lacrimal duct in the human eye
KR102329409B1 (ko) 척추내시경 장치
KR102070904B1 (ko) 흉강용 트로카
JP2009273570A (ja) 内視鏡用フー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