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5710B1 - 해열 진통 조성물 - Google Patents

해열 진통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5710B1
KR101685710B1 KR1020100102291A KR20100102291A KR101685710B1 KR 101685710 B1 KR101685710 B1 KR 101685710B1 KR 1020100102291 A KR1020100102291 A KR 1020100102291A KR 20100102291 A KR20100102291 A KR 20100102291A KR 101685710 B1 KR101685710 B1 KR 1016857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buprofen
component
amount
acetaminophen
m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2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6289A (ko
Inventor
신이치 나가시마
유타카 히라야마
Original Assignee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46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62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5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57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6Amides, e.g. hydroxamic acids
    • A61K31/165Amides, e.g. hydroxamic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colchicine, atenolol, progab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6Amides, e.g. hydroxamic acids
    • A61K31/165Amides, e.g. hydroxamic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colchicine, atenolol, progabide
    • A61K31/167Amides, e.g. hydroxamic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colchicine, atenolol, progabide having the nitrogen of a carboxamide group directly attached to the aromatic ring, e.g. lidocaine, paracetam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2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romatic groups, e.g. sulindac, 2-aryl-propionic acids, ethacry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06Aluminium, calcium or magnesium; Compounds thereof, e.g. cla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06Aluminium, calcium or magnesium; Compounds thereof, e.g. clay
    • A61K33/08Oxides; Hydrox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2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61K47/38Cellulose;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Abstract

본 발명은 위 장해를 억제하며 안전성이 높고, 유효성에 우수하고, 또한 안정성, 복용성, 제조성이 향상된 해열 진통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한 수단으로서는,
(A) 이부프로펜, (B) 아세트아미노펜 및 (c) 알루미늄계 제산제를 함유하고, (B)/(A)로 표시되는 (A)성분에 대한 (B)성분의 배합 질량비가 0.75 이상이고, (C)/(A)로 표시되는 (A)성분에 대한 (c)성분의 배합 질량비가 0.3 내지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열 진통 조성물.

Description

해열 진통 조성물{ANTIPYRETIC ANALGESIC COMPOSITION}
본 발명은, 이부프로펜에 유래하는 위(胃) 장해를 억제함과 함께, 안정성에 우수한 해열 진통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부프로펜은, 우수한 해열, 진통, 항염증 작용을 가지며, 비스테로이드계 약제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고,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유효성에 관해서는, 그 효과 향상을 실현하는 수단으로서, 다른 다양한 성분과의 조합이 검토되고 있고, 이부프로펜과, 아세트아미노펜 등의 아닐린 유도체계 해열 진통제와의 조합(특허 문헌 1 내지 3 : 일본 특개소56-97224호 공보, 일본 특개평5 내지 246845호 공보, 일본 특개평5-148139호 공보) 등의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부프로펜을 경구 투여한 경우, 위부(胃部) 불쾌감, 위통, 구역질 등이 생기는 일이 있고, 부작용으로서 위장 장해를 일으키는 것이 지적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부프로펜의 경구 투여에 의한 위장 장해를 억제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이부프로펜과, 아닐린 유도체계 해열 진통제와의 조합에 의해, 유효성에 우수하고, 또한 급성 독성의 저감화를 도모한 해열 진통제(특허 문헌 1, 4, 5 : 일본 특개소56-97224호 공보, 일본 특개소56-154416호 공보, 일본 특개소59-104315호 공보)나, 살리실산계 약물과 병용하는 기술(특허 문헌 6 : 일본 특개소61-134315호 공보)나, 제산제 및/또는 점막 피복제와 병용하는 기술(특허 문헌 7 : 일본 특개소63-198620호 공보)가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보다 간편한 방법으로 이부프로펜의 위장 장해를 억제한 방법이 요망되고 있다.
이부프로펜에 의한 위 장해의 작용 메커니즘은, 위의 방어 기능을 맡고 있는 프로스타글란딘(PG)의 생성 억제나, 위벽 세포에의 직접 자극에 의한 것이라고 생각되고 있다. 이와 같기 때문에, 이부프로펜을 빨리 용해시켜, 위 내 체류 시간을 단축함으로써, 위에 대한 작용을 경감하고, 위 장해를 저감하기 위해, 이부프로펜과 아세트아미노펜에, 또한 마그네슘계 제산제를 배합함으로써, 안전성과 유효성을 양립한 기술(특허 문헌 3 : 일본 특개평5-148139호 공보) 등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부프로펜에 의한 위 장해의 한층 더 억제 효과가 요망되고 있다.
[특허 문헌]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소56-97224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 특개평5 내지 246845호 공보
특허 문헌 3 : 일본 특개평5-148139호 공보
특허 문헌 4 : 일본 특개소56-154416호 공보
특허 문헌 5 : 일본 특개소59-104315호 공보
특허 문헌 6 : 일본 특개소61-134315호 공보
특허 문헌 7 : 일본 특개소63-198620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이부프로펜에 의한 위 장해를 억제하고, 안정성에 우수하고, 또한, 복용성 및 제조성이 향상된 해열 진통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산제는, 이부프로펜의 위 장해를 억제하는 중요한 수단의 하나가 되어 있지만, 위 내의 pH를 이부프로펜의 용해영역까지 올리기 위해서는 상당량의 제산제, 예를 들면 300㎎ 정도의 양(인간에게의 1회 투여량)가 필요하다는 것이 당업자의 일반적인 이해이다. 한편 제산제의 다량 배합은, 제제량을 증대시켜서, 그 복용성을 현저하게 저하시킨다. 또한, 이부프로펜과 제산제는 현저한 배합 변화가 생기기 때문에, 제산제가 다량에 존재하는 경우는, 안정성이 현저하게 저하된다. 본 발명자들은, 이부프로펜에 대해 특정량의 아세트아미노펜과, 알루미늄계 제산제를 병용하여 배합함으로써, 이부프로펜에 의한 위 장해를 억제할 수 있고, 유효성에 우수하고, 제제의 안정성이 향상하는 것을 지견(知見)하였다. 게다가, 상기 위 장해의 억제 효과는, 제산제의 사용량이 적어도 얻어져, 이부프로펜에 대한 제산제의 양을 저감할 수 있고, 그 결과, 제제의 안정성이 더욱 향상하고, 복용성, 제조성에도 우수한 해열 진통 조성물을 얻을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이룸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기 해열 진통 조성물을 제공한다.
[1]. (A) 이부프로펜, (B) 아세트아미노펜 및 (C) 알루미늄계 제산제를 함유하고, (B)/(A)로 표시되는 (A)성분에 대한 (B)성분의 배합 질량비가 0.75 이상이고, (C)/(A)로 표시되는 (A)성분에 대한 (C)성분의 배합 질량비가 0.3 내지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열 진통 조성물.
[2]. (C)성분이, 수산화 알루미늄인 [1]에 기재된 해열 진통 조성물.
[3]. (A), (B) 및 (C)성분이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고형 제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또는 [2]에 기재된 해열 진통 조성물.
본 발명에 의하면, 이부프로펜에 의한 위 장해를 억제하고, 유효성의 약학적 특성과, 제제의 안정성에 우수하였다, 해열 진통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복용성과, 제조성(특별한 연구를 필요로 하는 일 없이, 예를 들면 단층정 등이라도 제조할 수 있다)의 제제적 특성을 양립시켰던 해열 진통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해열 진통 조성물은, (A) 이부프로펜, (B) 아세트아미노펜 및 (C) 알루미늄계 제산제를 함유하고, (B)/(A)로 표시되는 (A)성분에 대한 (B)성분의 배합 질량비가 0.75 이상이고, (C)/(A)로 표시되는 (A)성분에 대한 (c)성분의 배합 질량비가 0.3 내지 1인 것이다.
(A) 이부프로펜
(A)성분인 이부프로펜은, 해열 진통 성분의 하나이고, 발열이나 두통 등의 증상을 억제하는 해열 진통제의 주요한 성분의 하나로서 쓰여지는 약제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부프로펜(2-(4-isobutylphenyl)propionic acid) 및 그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류를 사용할 수 있다. 이 (A)성분의 배합량은, 통상 조성물중에, 통상 0.1 내지 55질량%이고, 1.0 내지 50질량%가 바람직하고, 10 내지 45질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12 내지 36질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배합량이 너무 많으면, 타정(打錠) 장해 등에 이어지는 경우가 있고, 배합량이 너무 적으면, 투여량이 증대하고, 복용성 등에 지장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또한, 사람에 대한 투여량은, 성인으로 통상 130 내지 200㎎/회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30㎎/회 이상으로 유효성이 충분히 얻어지고, 200㎎/회 이하로 함으로써, 부작용의 발생이 억제되고, 인체에 안전한 해열 진통 약으로 할 수 있다
(B) 아세트아미노펜
(B)성분인 아세트아미노펜도 해열 진통 성분의 하나이고, 발열이나 두통 등의 증상을 억제하는 해열 진통제의 주요한 성분의 하나로서 이용되는 약제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부프로펜에 대해 특정량의 아세트아미노펜을 배합함으로써, 이부프로펜에 유래하는 위 장해를 억제할 수 있고, 유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B)성분으로서는, 아세트아미노펜(N-(4-hydroxyphenyl) acetamide) 및 그 염류를 사용할 수 있다. (B)성분의 배합량으로서는, (B)/(A)로 표시되는 (A)성분에 대한 (B)성분의 배합 질량비가 0.75 이상이고, 0.75 내지 2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이다. 아세트아미노펜의 배합 질량비를 0.75 이상으로 함으로써, 이부프로펜에 의한 위 장해의 억제 효과가 향상하고, 아세트아미노펜의 배합비가 높아짐에 따라, 그 작용은 증강하는 경향에 있다. 상기비가 0.75 미만인 경우는, 이 효과가 불충분하고, 2를 초과하는 경우는, 위 장해가 저감한 경향에 있는 것이지만, 투여량이 증대하고, 복용성 등이 나빠질 우려가 있다. 또한, 이부프로펜의 유효성은, 이부프로펜에 대해 임의의 양의 아세트아미노펜을 조합시킴으로서 향상하지만, 이부프로펜에 대한 아세트아미노펜의 배합 질량비가 0.5 이상에서 현저한 상승 효과가 인정되고, 배합비를 1 : 0.75 내지 2, 특히 1 : 1로 함에 의해 상승 효과가 최대가 된다. 또한, (B)성분의 조성물의 배합량은 상기 배합비에 의존하지만, 통상 11 내지 55질량%이고, 14 내지 45질량%가 바람직하다.
(C) 알루미늄계 제산제
제산제는, 위산을 중화하여 pH를 상승시키는 효과를 갖는 알칼리제이다. 본 발명의 해열 진통 조성물은 알루미늄계 제산제를 필수로 한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알루미늄계 제산제란, 분자 중에 염을 형성하는 다가 금속으로서, 실질적으로 알루미늄만을 함유하는 화합물을 말한다. 「실질적으로 알루미늄만을 함유한다」는 것은, 제조 방법이나 제조 환경에서 혼입되는 다른 다가 금속은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허용되지만, 통상, 알루미늄계 제산제중 10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5질량% 이하인 것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알루미늄계 제산제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이하의 것을 들 수 있다. 쿠물라이트, 디히드록시알루미늄·아미노아세트산염(알루미늄글리시네이트), 수산화 알루미늄(수산화 알루미늄 겔, 건조 수산화 알루미늄 겔 등), 규산 알루미늄, 합성 규산 알루미늄, 알루미늄글리시네이트 등을 들 수 있고,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적절히 조합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수산화 알루미늄, 알루미늄글리시네이트, 쿠물라이트가 바람직하고, 수산화 알루미늄이 보다 바람직하다.
(C)성분의 배합량은, (C)/(A)로 표시되는 (A)성분에 대한 (C)성분의 배합 질량비가 0.3 내지 1이고,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0.8이다. (C)성분의 배합비가 0.3 미만인 경우는, 위 장해의 억제 효과가 저하되고, 한편 배합비가 1를 초과하는 경우는, 안정성이 저하된다. 일반적으로, 이부프로펜에 의한 위 장해는, 용해하지 않은 고체의 이부프로펜이 위 내에서 체류하고, 위벽에 직접 접촉하는 것이 원인의 하나라고 생각되고 있다. 제산제는, 이부프로펜과 함께 투여되면, 그 제산 효과로 위 내의 산을 중화하고, 위 내의 pH를 이부프로펜의 pKa 이상으로 함으로써 용해성을 향상하고, 고체의 이부프로펜과 위벽과의 접촉 기회를 줄이기 때문에, 위 장해의 억제 효과를 갖는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상기 효과에는, 위 내의 pH를 올리는 충분한 양의 제산제가 필요하다고 생각되고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알루미늄계 제산제를 사용함으로써, 소량 배합한 경우에도, 위 장해를 억제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제산제의 배합량을 소량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이부프로펜과 함께 사용하여도 안정성이 양호하고, 복용성, 제조성에도 우수하다. 또한, (C)성분의 조성물의 배합량은 상기 배합비에 의존하지만, 통상 3 내지 33질량%이고, 6 내지 26질량%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는, (c)성분의 알루미늄계 제산제 이외의 제산제를,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배합할 수 있다. 그 밖의 제산제로서는, 산화 마그네슘, 규산 마그네슘, 탄산 마그네슘, 수산화 마그네슘, 합성 히드로탈사이트, 메타규산 알루민산 마그네슘, 탄산 칼슘, 탄산 수소나트륨, 무수 인산 수소칼슘 등을 들 수 있다. (C)성분 이외의 제산제의 배합량은, 배합한 제산제중의 알루미늄 이외의 금속 [M]과, 알루미늄 [Al]의, 조성물중의 함유 몰비([M]/[Al])를 1 미만으로 하는 범위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6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0.3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0이다. 이 몰비를 1 미만으로 함으로서, 위 장해의 억제 효과가 보다 발휘되고, 제제의 안정성이 특히 양호해진다.
본 발명의 해열 진통 조성물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성분 이외의 임의 성분을 배합할 수 있다. 임의 성분으로서는, 결합제, 부형제, 활택제, 항료, 교미제(감미료, 산미료(酸味料) 등), 색소, 안정화제, 코팅제, 가소제, 은폐제 등을 들 수 있고,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적절히 조합시켜서 적량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결합제로서는, 전분, α화 전분, 자당, 젤라틴, 아라비아 고무 분말, 메틸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롤리돈, 풀룰란, 덱스트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부형제로서는, 젖당(乳糖), 콘스타치, 활석, 결정 셀룰로오스(세오라스 등), 분당(粉糖), 만니톨, 경질 무수 규산, L-시스테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활택제로서는,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스테아린산 칼슘, 폴리에틸렌글리콜, 활석, 스테아린산, 자당지방산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항료로서는, 멘톨, 리모넨, 식물 정유(精油)(박하유, 민트유, 라이치유, 오렌지유, 레몬유 등) 등을 들 수 있다. 감미료로서는, 사카린나트륨, 아스파르테임, 스테비아, 글리시리진산 2칼륨, 아세술팜칼륨, 토마틴, 수크랄로스 등을 들 수 있다. 산미료로서는, 구연산, 주석산, 사과산, 호박산, 푸마르산, 젖산 또는 그들의 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코팅제로서는,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폴리비닐알코올,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등(상품명 : 오파드라이, 일본카라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가소제로서는,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은폐제로서는, 산화 티탄, 활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해열 진통 조성물은 고형 제제로 할 수 있고, 이부프로펜과 혼합하여도 안정성에 우수하기 때문에, (A), (B) 및 (C)성분을 혼합 또는 균일 혼합한 조성물로 할 수 있다. 고형 제제로서는, (A) 내지 (c)성분 및 필요에 응하여 임의 성분을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타정기 내에 충전하고, 타정하여 정제로서 얻을 수 있다. 또한, 조립기(造粒機)로 조립하여 과립제, 세립제로 할 수도 있다. 특히, 정제인 경우 단층정 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고, 다층정으로 한 경우에도 동일층 내에 (A), (B) 및 (C)성분을 배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정제를 조제하는 경우는, 예를 들면 이하의 방법을 들 수 있다. (A) 이부프로펜과 (B) 아세트아미노펜의 분체 혼합물과, 필요에 응하여,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옥수수 전분, 만니톨 젖당 등의 부형제를 조립기에 넣고,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수용액을 분무하여 조립하고, 얻어진 조립물에, (c) 제산제를 혼합한다. 이 경우,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옥수수 전분, 만니톨, 젖당 등의 부형제,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등의 활택제를 혼합하여도 좋다. 얻어진 혼합물을 타정기로 타정함에 의해, 정제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얻어진 정제를, 폴리비닐알코올 등을 포함하는 코팅제에 의해, 정제 표면을 코팅하여, 코팅정으로 할 수도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나타내고,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하기한 실시예로 제한된 것이 아니다. 또한, 하기한 예에 있어서 특히 명기가 없는 경우는, 각 성분의 양은 순분(純分) 환산한 양이다.
[실시예 1 내지 15, 비교예 1 내지 14]
표 1 내지 5에 표시하는 성분 및 배합 비율로, 각 성분을 혼합하여 조성물을 조제하고, 하기 방법에 따라 위 장해의 억제 효과를 평가하였다. 또한, 하기 방법으로 정제를 조제하고, 안정성의 평가를 행하였다.
<위 장해 억제 효과의 평가>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조성 질량비의 성분을, 현탁액으로 하여 래트(rat)에 투여하고, 4시간 후, 위를 적출하여 위 장해를 평가하였다. 실험 방법의 상세는 이하와 같다.
(1) 동물
SD계 웅성(雄性) 래트의 5주령(週齡)을 1주간 예비 사육하고, 1끼 절식(20 내지 24시간, 물은 자유 섭취) 후, 시험에 제공하였다.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해 10마리 이용하였다.
(2) 시료(현탁액)
래트에 대한 시료의 투여량을 10㎖/㎏으로 하고, 이부프로펜의 투여량으로서 130㎎/㎏이 되도록 시료의 조제를 행하였다.
시료의 조제는 실시예 1에서는 하기한 방법이고, 그 밖의 예는 이부프로펜 650㎎ 아세트아미노펜 및 제산제의 질량비가 표 l 내지 5가 되는 양, 또한, 아라비아 고무가 5w/㎖%가 되도록 적절히 조제하였다.
i) 이부프로펜 650㎎, 아세트아미노펜 650㎎, 건조 수산화 알루미늄 겔 200㎎ 및 아라비아 고무 2.5g을 달아 취하여, 유발(乳鉢)에서 혼합하였다.
ⅱ) 혼합한 분체에 정제수를 가하여 현탁하여, 50㎖로 하였다.
(3) 시료의 투여
시료의 투여량을 10㎖/㎏으로 하여 투여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미리 측정하여 둔 래트의 체중에 맞춘 양(래트 체중 200g : 2㎖)의 현탁액을, 래트용 경구 투여 존데를 장착한 디스포저블 주사통에 취하여, 강제 경구 투여하였다. 경구 투여 후도 절식은 계속하였다.
(4) 위 장해성 평가
1) 경구 투여 4시간 후, 에테르 마취하에서 위를 적출하였다. 위 적출 직후, 존데로 위 내에 생리 식염수 10㎖를 주입하고, 1질량% 포르말린 용액에 1시간 이상 넣어서 고정하였다.
2) 포르말린으로 고정 종료 후, 위의 대만(大灣)을 절개하고, 내용물을 생리 식염수로 씻어내고, 위를 여과지에 펴서 부착하고, 궤양의 길이(㎜)의 합계(n=10)를 측정하였다. 하기 평점에 따라 평가한 결과를 표 1 내지 5에 병기한다.
평점
◎ : 10㎜ 미만
○ : 20㎜ 미만
△ : 40㎜ 미만
× : 40㎜ 이상
<안정성>
표 1 내지 5에 기재된 배합 질량비에 따라, 이부프로펜과 아세트아미노펜의 분체 총량 500g과,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L-HPC·LH31, 신에쓰화학공업(주)제) 100g을 유동층 조립기(MP-01, (주)바우렉제)에 넣고,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HPC-L, 니혼소다(주)제) 6질량% 수용액 600g을 분무하고 조립하였다.
조립한 분체를 750㎛의 체로 체를 통과(篩過)하고, 그 500g에, 배합 비율 상당의 제산제, 및,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100g, 또한,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0.5질량%(외할(外割))로 균일하게 섞이도록 혼합하고, 로터리 타정기(클린 프레스 12HUK, (주)기쿠스이제작소제)로, 이부프로펜을 65㎎ 포함하는 정제를 조제하였다. 실시예 1의 정제(1정)의 조성을 하기에 나타낸다. 그 밖의 예는 이부프로펜 65㎎,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59㎎,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9.36㎎,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0.5질량%(외할)를 고정하고, 아세트아미노펜 및 제산제의 질량비가 표 1 내지 5가 된 양으로 적절히 조제하였다.
정제(1 정) 조성(실시예 1)
(㎎)
이부프로펜 65
아세트아미노펜 65
건조 수산화 알루미늄 겔 19.5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59(26+33)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9.36
합계 217.86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0.5질량%(외할)
상기로 조제한 정제를 50℃, 75%RH 조건하에서, 샤레에 보존하고, 2일후의 외관 변화를 관찰하였다. 하기 평점에 따라 평가한 결과를 표 1 내지 5에 병기한다.
평점
◎ : 전혀 변색 없음
○ : 거의 변색 없음
△ : 약간 변색 있음
× : 상당히 변색 있음
Figure 112010067672687-pat00001
Figure 112010067672687-pat00002
Figure 112010067672687-pat00003
Figure 112010067672687-pat00004
Figure 112010067672687-pat00005
<유효성(란달-셀리토법)>
실시예 2, 11, 비교예 13 및 이부프로펜 단독에 관해 유효성(란달-셀리토법)의 평가를 행하였다.
각 예의 조성비의 성분을, 현탁액으로 하여 오른쪽 뒷다리을 기염(起炎)한 래트에 투여, 2시간 후의 통증 임계치를 측정한다. 실험 방법의 상세는 이하와 같다.
(1) 동물
sD계 웅성 래트의 5주령을 1주간 예비 사육하고, 1끼 절식(17 내지 20시간, 물은 자유 섭취) 후, 시험에 제공하였다. 각 예에 대해 10마리 이용하였다.
또한, 동물은, 시험 전에 트레이닝으로서, 동통(疼痛) 임계치의 측정을 2일간에 3회 행하였다. 또한, 기염 전에 동통 임계치의 측정을 행하고(동통 임계치(i)), 동통 임계치가 60 내지 120 정도인 동물을 선택하여, 시험에 제공하였다.
(2) 시료
래트에 대한 시료의 투여량을 10㎖/㎏으로 하고, 이부프로펜의 투여량으로서 13㎎/㎏이 되도록 시료의 조제를 행한다.
시료의 조제는 실시예 2에서는 하기한 방법이고, 그 밖의 예는 이부프로펜 65㎎, 아세트아미노펜 및 제산제의 질량비가 표 1 내지 4가 되는 양, 또한, 아라비아 고무가 5w/㎖%가 되도록 적절히 조제하였다.
i) 이부프로펜 65㎎, 아세트아미노펜 65㎎, 건조 수산화 알루미늄 겔 35㎎ 및 아라비아 고무 2.5g을 달아 취하고, 유발로 혼합하였다.
ⅱ) 혼합한 분체에 정제수를 가하여 현탁하고, 50㎖의 현탁액을 얻었다.
(3) 기염(起炎)
맥주 효모 4g을 생리 식염수로 20g으로 하여, 분산시켰다. 이 액 0.1㎖을 래트 오른쪽 뒷다리 발바닥에 피하 투여하였다.
기염으로부터 2시간 후, 동통 임계치 측정 장치로, 기염한 래트 오른쪽 뒷다리의 동통 임계치를 측정하였다. .
(4) 시료의 투여
현탁액의 투여량을, 10㎖/㎏으로 하여 투여하였다. 또한, 약물을 포함하지 않은 시료(아라비아 고무만 포함한다)를 조제하고, 컨트롤로 하였다.
기염으로부터 2시간 후의 동통 임계치를 측정한 후, 미리 측정하여 둔 래트의 체중에 맞추었던 양(예 : 래트 체중 200g : 2㎖)의 현탁액을, 래트용 경구 투여 존데를 장착한 디스포저블 주사통에 취하여, 강제 경구 투여하였다. 경구 투여 후도 절식은 계속하였다.
(5) 동통 임계치 평가
시료의 경구 투여로부터 1시간 후, 동통 임계치 측정 장치로 기염한 래트의 오른쪽 뒷다리의 부병간치를 측정하였다(동통 임계치(ⅱ)). 얻어진 결과로부터, 하기 식으로 억제율을 산출하였다.
억제율(%)=
[(평균 동통 임계치(ⅱ))-(컨트롤군의 평균 동통 임계치(ⅱ))]/[(컨트롤군의 평균 동통 임계치(i))-(컨트롤군의 평균 동통 임계치(ⅱ))]×100
동통 임계치(i) : 기염 전의 동통 임계치의 측정
실시예 2의 억제율 : 85.4%
실시예 11의 억제율 : 58.7%
비교예 13의 억제율 : 43.5%
이부프로펜만의 억제율 : 37.8%
상기한 결과로부터, 실시예 2 및 11은 높은 유효성을 갖고 있는 것이 나타났다.

Claims (3)

  1. (A) 이부프로펜, (B) 아세트아미노펜 및 (C) 수산화 알루미늄 또는 규산 알루미늄을 함유하고,
    (B)/(A)로 표시되는 (A)성분에 대한 (B)성분의 배합 질량비가 1 내지 2이고,
    (C)/(A)로 표시되는 (A)성분에 대한 (C)성분의 배합 질량비가 0.5 내지 0.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열 진통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A)성분의 배합량이 조성물 중 0.1 내지 55질량%, (B)성분의 배합량이 조성물 중 11 내지 55질량%, (C)성분의 배합량이 조성물 중 3 내지 33질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열 진통 조성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A), (B) 및 (C)성분이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고형 제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열 진통 조성물.
KR1020100102291A 2009-10-27 2010-10-20 해열 진통 조성물 KR1016857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46748 2009-10-27
JPJP-P-2009-246748 2009-10-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6289A KR20110046289A (ko) 2011-05-04
KR101685710B1 true KR101685710B1 (ko) 2016-12-12

Family

ID=44282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2291A KR101685710B1 (ko) 2009-10-27 2010-10-20 해열 진통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740896B2 (ko)
KR (1) KR1016857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73231B2 (ja) * 2011-08-31 2017-02-01 興和株式会社 安定な医薬組成物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42366A (ja) 2008-03-31 2009-10-22 Kobayashi Pharmaceut Co Ltd 持続性解熱鎮痛消炎剤
JP2009242365A (ja) 2008-03-31 2009-10-22 Kobayashi Pharmaceut Co Ltd 経口医薬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623557D0 (en) * 1986-10-01 1986-11-05 Boots Co Plc Therapeutic agents
JP3122748B2 (ja) * 1991-11-29 2001-01-09 ライオン株式会社 イブプロフェン含有解熱鎮痛剤
JP3172749B2 (ja) * 1992-02-17 2001-06-04 ライオン株式会社 イブプロフェン含有製剤
JP2002012557A (ja) * 2000-06-28 2002-01-15 Lion Corp 内服薬組成物
US8580855B2 (en) * 2006-10-20 2013-11-12 Mcneil-Ppc, Inc. Acetaminophen / ibuprofen combinations and method for their use
WO2010001930A1 (ja) * 2008-07-01 2010-01-07 ライオン株式会社 固形内服製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42366A (ja) 2008-03-31 2009-10-22 Kobayashi Pharmaceut Co Ltd 持続性解熱鎮痛消炎剤
JP2009242365A (ja) 2008-03-31 2009-10-22 Kobayashi Pharmaceut Co Ltd 経口医薬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116744A (ja) 2011-06-16
JP5740896B2 (ja) 2015-07-01
KR20110046289A (ko) 2011-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6350B1 (ko) 급속 방출 정제
US20120309740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Having Improved Dissolution Profiles For Poorly Soluble Drugs
AU2018420535B2 (en) Edaravone pharmaceutical composition
EP2393478B1 (en) Taste and odor maske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with high bioavailability
EP2591781B1 (en) Particle coating preparation
JPH05148139A (ja) イブプロフエン含有解熱鎮痛剤
JP2009173552A (ja) 胃腸薬
KR102022694B1 (ko) 약학 조성물
KR101685710B1 (ko) 해열 진통 조성물
DK2802311T3 (en) SUBLINGUAL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AN ANTIHISTAMIN MEDICINE AND PROCEDURE FOR PREPARING THEREOF
JP5742352B2 (ja) 解熱鎮痛組成物
JP4913359B2 (ja) イブプロフェン含有医薬組成物
JP6018891B2 (ja) 解熱鎮痛組成物
JP2007332063A (ja) ポビドンヨードを含有する口腔内崩壊型固形製剤
CA2770556C (en) Tablets comprising a taste masking agent
JPH0834728A (ja) イブプロフェン製剤
JP7119650B2 (ja) 鎮痛剤
EP3073995B1 (en) Pharmaceutical formulation comprising losartan potassium and chlorthalidone
EP2965746B1 (en) An oral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ibuprofen, ibuprofen sodium dihydrate, pseudoephedrine hydrochloride and chlorpheniramine maleate
JP6283314B2 (ja) アナグリプチン含有固形製剤
US20140371318A1 (en) Orally-disintegrating formulations of flurbiprofen
TR201906487A1 (tr) Tolperi̇zon ve ni̇mesuli̇d kombi̇nasyonlari i̇çeren farmasöti̇k kompozi̇syonlar
JP2013032408A (ja) 口中溶解型又は咀嚼型鼻炎治療用固形内服医薬組成物
JP2016210708A (ja) 解熱鎮痛組成物
JP2010150284A (ja) 口中溶解型又は咀嚼型鼻炎治療用固形内服医薬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