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4541B1 - 주행 모드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행 모드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주행 모드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행 모드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4541B1
KR101684541B1 KR1020150089610A KR20150089610A KR101684541B1 KR 101684541 B1 KR101684541 B1 KR 101684541B1 KR 1020150089610 A KR1020150089610 A KR 1020150089610A KR 20150089610 A KR20150089610 A KR 20150089610A KR 101684541 B1 KR101684541 B1 KR 1016845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vehicle
driving
normal
accel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9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병욱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89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4541B1/ko
Priority to US14/929,843 priority patent/US10053101B2/en
Priority to CN201510857788.2A priority patent/CN106274905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4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45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r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s for ensuring comfort, stability and safety or drive control systems for propelling or retarding the vehicle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82Selecting between different operative modes, e.g. comfort and performance m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60W40/04Traffic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60W40/06Road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40/09Driving style or behaviou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B60W40/105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097Predicting future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2050/0062Adapting control system settings
    • B60W2050/0075Automatic parameter input, automatic initialising or calibr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0Photo or light sensitive means, e.g. infrared sensors
    • B60W2420/403Image sensing, e.g. optical camera
    • B60W2420/40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215Selection or confirmation of op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30Driving sty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2/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infra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2/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infrastructure
    • B60W2552/05Type of r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4/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4/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bjects
    • B60W2554/80Spatial relation or speed relative to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6/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data
    • B60W2556/45External transmission of data to or from the vehicle
    • B60W2556/50External transmission of data to or from the vehicle for navigation system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주행 모드 제어 방법은 주행 모드 제어 장치가 차량의 주행 모드를 제어하는 방법에서, 차량의 위치 정보 및 전방 도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수집된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전방 도로 정보를 이용해서 상기 차량이 가속이 필요한 가속 구간으로 진입하는지 여부를 예측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차량이 상기 가속 구간으로 진입할 것으로 예측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주행 모드를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주행 모드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행 모드 제어 방법{DEVICE FOR CONTROLLING DRIVING MODE AND METHOD FOR CONTROLLING DRIVING MOD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주행 모드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행 모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차량은 일반적인 변속 패턴과 엔진 토크응답 설정 모드에 따라 주행한다. 그리고, 차량이 고속 도로와 같은 가속 구간에 진입하는 경우에는 고속 도로의 본 차선 합류 전에 교통 흐름과 맞추기 위해서 급가속 조작이 필요하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운전자의 차량 가속 지연감에 대한 불만은 고속 도로 진입 시에 차량 흐름에 끼어들기 위해 급가속을 하였을 때, 차량의 반응이 가속 의지만큼 따라오지 못하여 발생한다.
이는 통상적인 노말 모드의 주행이나 에코 모드의 주행이 급가속 조건을 크게 고려하고 있지 못하기 때문이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고속도로 진입 시마다 고객이 주행 모드를 바꾸기 위해서 스포츠 모드로의 전환 버튼을 조작하게 되는 불편함이 뒤따르게 된다.
이와 같이, 고속 도로 진입 전에는 운전자가 운전 중에 주행 모드를 변환하기 위해서 스포츠 모드로 전환하는 버튼을 조작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고, 고속 도로 본선 진입 후 항속 상황이 되면, 다시 주행 모드를 노말 모드로 복귀시켜야 하는 등의 불편이 따르게 된다.
본 발명은 고속 도로에 진입할 때 차량의 주행 모드를 가속 모드로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는 주행 모드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행 모드 제어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주행 모드 제어 방법은 주행 모드 제어 장치가 차량의 주행 모드를 제어하는 방법에서, 차량의 위치 정보 및 전방 도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수집된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전방 도로 정보를 이용해서 상기 차량이 가속이 필요한 가속 구간으로 진입하는지 여부를 예측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차량이 상기 가속 구간으로 진입할 것으로 예측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주행 모드를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가속 구간으로 진입하는지 여부를 예측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이 고속도로에 진입하는 경우, 상기 가속 구간에 진입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행 모드는, 일반적인 주행 운전 모드인 노말(Normal) 모드, 연비를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노말 모드보다 가속 성능을 감소시킨 운전 모드인 에코(ECO) 모드, 및 상기 노말 모드보다 가속 성능을 증대시키는 운전 모드인 스포츠 모드(Sports)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행 모드를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운전자의 운전 성향 또는 상기 가속 구간의 교통 흐름을 고려해서 주행 모드의 변경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행 모드를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현재 주행 모드가 노말 모드이고, 상기 운전자의 운전 성향이 표준 이상인 경우, 상기 노말 모드를 상기 스포츠 모드로 자동으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행 모드를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현재 주행 모드가 상기 에코 모드인 경우, 상기 고속 도로의 진입이 예측되면 상기 노말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고속 도로의 교통 흐름이 원활한 경우에만 상기 스포츠 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주행 모드 제어 장치는 차량의 위치 정보 및 전방 도로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부, 수집된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전방 도로 정보를 이용해서 상기 차량이 가속이 필요한 가속 구간으로 진입하는지 여부를 예측하는 예측부, 그리고 상기 차량이 상기 가속 구간으로 진입할 것으로 예측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주행 모드를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수집부는, 상기 차량에 설치된 네비게이션 장치, 카메라 또는 레이더 중적어도 하나를 이용해서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 또는 상기 전방 도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예측부는, 상기 차량이 고속 도로에 진입하는 경우, 상기 가속 구간으로 진입을 예측하는 가속 구간 예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의 운전 성향을 판단하는 운전 성향 판단부, 그리고 상기 가속 구간의 교통 흐름을 판단하는 교통 흐름 판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운전자의 상기 운전 성향 및 상기 가속 구간의 교통 흐름을 고려해서 주행 모드의 변경을 결정하는 주행 모드 결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행 모드는, 일반적인 주행 운전 모드인 노말(Normal) 모드, 연비를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노말 모드보다 가속 성능을 감소시킨 운전 모드인 에코(ECO) 모드, 및 상기 노말 모드보다 가속 성능을 증대시키는 운전 모드인 스포츠 모드(Sports)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전자의 운전 성향은, 차량 속도 또는 가속 페달의 위치 변화를 고려한 스포티 지수로 결정하며, 상기 스포티 지수가 낮은 제1 성향, 상기 스포티 지수가 보통인 제2 성향 및 상기 스포티 지수가 높은 제3 성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행 모드 결정부는, 상기 차량의 현재 주행 모드가 상기 노말 모드이고, 상기 운전자의 운전 성향이 제2 성향 또는 제3 성향인 경우, 상기 현재 주행 모드를 상기 스포츠 모드로 자동으로 전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주행 모드 결정부는, 상기 차량의 현재 주행 모드가 에코 모드인 경우, 상기 고속 도로의 진입이 예측되면 상기 노말 모드로 자동 전환한 후에, 상기 고속 도로의 교통 흐름이 원활한 경우에만 상기 노말 모드를 상기 스포츠 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고속 도로 진입을 예측하고 운전자의 운전 성향 및 교통 흐름을 고려해서 주행 모드를 가속 모드로 자동 전환함으로써, 가속 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주행 모드 제어 장치의 구조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주행 모드 제어 장치가 차량의 주행 모드를 변환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간략히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운전자의 운전 성향 및 교통 흐름을 고려해 차량의 주행 모드를 변경하는 과정을 상세히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운전자의 운전 성향 및 교통 흐름을 고려해 차량의 주행 모드를 변경하는 예를 나타낸 표이다.
도 5는 종래 기술에 따라 에코 모드로 고속 도로를 진입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종래 기술에 따라 노말 모드로 고속 도로를 진입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에코 모드에서 노말 모드로 주행 모드를 변환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노말 모드에서 스포츠 모드로 주행 모드를 변환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된 부분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차량", "차", "차량의", "자동차" 또는 다른 유사한 용어들은 스포츠 실용차(sports utility vehicles; SUV), 버스, 트럭, 다양한 상용차를 포함하는 승용차, 다양한 종류의 보트나 선박을 포함하는 배, 항공기 및 이와 유사한 것을 포함하는 자동차를 포함하며, 하이브리드 차량, 전기 차량, 플러그 인 하이브리드 전기 차량, 수소연료 차량 및 다른 대체 연료(예를 들어, 석유 외의 자원으로부터 얻어지는 연료) 차량을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몇몇 방법들은 적어도 하나의 제어기에 의하여 실행될 수 있다. 제어기라는 용어는 메모리와, 알고리즘 구조로 해석되는 하나 이상의 단계들을 실행하도록 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장치를 언급한다. 상기 메모리는 알고리즘 단계들을 저장하도록 되어 있고, 프로세서는 아래에서 기재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들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알고리즘 단계들을 특별히 실행하도록 되어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제어 로직은 프로세서, 제어기 또는 이와 유사한 것에 의하여 실행되는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수단 상의 일시적이지 않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수단의 예들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플래쉬 드라이브, 스마트 카드 및 광학 데이터 저장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재생 매체는 네트웍으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예를 들어 텔레매틱스 서버나 CAN(Controller Area Network)에 의하여 분산 방식으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제 도 1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주행 모드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행 모드 제어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주행 모드 제어 장치의 구조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이때, 차량의 주행 모드 제어 장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명을 위해 필요한 개략적인 구성만을 도시할 뿐 이러한 구성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주행 모드 제어 장치(100)는 수집부(110), 예측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수집부(110)는 차량의 위치 정보 및 전방 도로 정보를 수집한다. 그리고, 수집부(110)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배터리 네비게이션 장치(112), 카메라(114) 및 레이더(116)를 포함한다. 수집부(110)는 네비게이션 장치(112)를 이용하여 차량의 위치 정보 및 전방 도로 정보를 수집한다. 또한, 수집부(110)는 네비게이션 장치(112) 외에도 카메라(114) 및 레이더(116) 등을 활용하여 차량의 위치 정보 및 전방 도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주행 모드 제어 장치(100)는 수집부(110)에서 수집된 차량의 위치 정보 및 전방 도로 정보 등을 이용해서 고속 도로 진입 여부를 판단하거나, 전방 도로의 혼잡도 등을 판단할 수 있다.
예측부(120)는 수집부(110)에서 수집된 차량의 위치 정보 및 전방 도로 정보를 이용해서 차량이 가속이 필요한 가속 구간으로 진입하는지 여부를 예측한다.
그리고, 예측부(110)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가속 구간 예측부(122)를 포함한다.
가속 구간 예측부(12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차량이 고속 도로에 진입하는 경우에 가속 구간으로 진입하는 것으로 예측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차량이 가속 구간인 고속 도로에 진입할 것으로 예측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주행 모드를 변경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주행 모드는 일반적인 주행 운전 모드인 노말(Normal) 모드, 연비를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노말 모드보다 가속 성능을 감소시킨 운전 모드인 에코(ECO) 모드 및 상기 노말 모드보다 가속 성능을 증대시키는 운전 모드인 스포츠 모드(Sports)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운전 성향 판단부(132), 교통 흐름 판단부(134) 및 주행 모드 결정부(136)를 포함한다.
운전 성향 판단부(132)는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의 운전 성향을 판단한다. 여기서, 운전자의 운전 성향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차량 속도 또는 가속 페달의 위치 변화를 고려한 스포티 지수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운전자의 운전 성향은 상기 스포티 지수가 낮은 제1 성향(이하, 마일드 성향), 상기 스포티 지수가 보통인 제2 성향(이하, 평균 성향) 및 상기 스포티 지수가 높은 제3 성향(이하, 스포티 성향)을 포함한다.
교통 흐름 판단부(134)는 상기 차량이 진입하는 고속 도로의 교통 흐름을 판단한다. 예를 들어, 교통 흐름 판단부(134)는 고속 도로의 교통 흐름이 혼잡한지 또는 원활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주행 모드 결정부(136)는 차량 운전자의 운전 성향 및 고속 도로의 교통 흐름을 고려해서 주행 모드의 변경 여부를 결정한다.
제어부(130)는 차량의 현재 주행 모드가 노말 모드이고, 상기 운전자의 운전 성향이 표준 이상인 상기 제2 성향 또는 제3 성향인 경우, 노말 모드에서 스포츠 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30)는 차량의 현재 주행 모드가 에코 모드인 경우, 고속 도로의 진입이 예측되면 노말 모드로 자동 전환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상기 고속 도로의 교통 흐름이 원활한 경우에 상기 노말 모드를 스포츠 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제어부(130)는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설정된 프로그램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행 모드 제어 방법의 각 단계를 수행하도록 프로그래밍 된 것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주행 모드 제어 장치가 차량의 주행 모드를 변환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간략히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의 흐름도는 도 1의 구성과 연계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주행 모드 제어 장치(100)는 네비게이션 장치(112)를 이용해서 차량의 위치 정보 및 전방 도로 정보를 수집한다(S102).
그리고,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주행 모드 제어 장치(100)는 수집된 위치 정보 및 전방 도로 정보를 이용해서 차량이 가속 구간에 진입하는지 여부를 예측한다(S104).
차량이 가속 구간에 진입하는 경우,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주행 모드 제어 장치(100)는 운전자의 운전 성향 및 가속 구간의 교통 흐름을 분석한다(S106).
그리고,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주행 모드 제어 장치(100)는 운전자의 운전 성향 및 가속 구간의 교통 흐름을 고려해서 차량의 주행 모드를 변경하도록 제어한다(S108).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운전자의 운전 성향 및 교통 흐름을 고려해 차량의 주행 모드를 변경하는 과정을 상세히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의 흐름도는 도 1의 구성과 연계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주행 모드 제어 장치(100)는 차량이 고속 도로에 진입하는지 여부를 예측한다(S202).
그리고, 주행 모드 제어 장치(100)는 차량의 주행 모드가 에코 모드일 때, 운전자의 운전 성향이 마일드 성향이거나 평균 성향이고, 고속 도로의 교통 흐름이 원활하면, 에코 모드를 스포츠 모드로 전환한다(S204 내지 S210). 이때, 운전자의 운전 성향이 스포티 성향인 경우에는 교통 흐름과 관계 없이 에코 모드를 스포츠 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주행 모드 제어 장치(100)는 차량의 주행 모드가 에코 모드일 때, 운전자의 운전 성향이 마일드 성향이거나 평균 성향이지만 교통 흐름이 원활하지 않으면, 에코 모드를 노말 모드로 전환한다(S212).
그리고, 주행 모드 제어 장치(100)는 차량의 주행 모드가 노말 모드일 때, 운전 성향이 마일드 성향이고 고속 도로의 교통 흐름이 원활하면, 노말 모드를 스포츠 모드로 전환한다(S214 내지 S218). 또한, 차량의 주행 모드가 노말 모드일 때, 운전자의 운전 성향이 평균 성향이거나 스포티 성향이면, 주행 모드 제어 장치(100)는 노말 모드를 스포츠 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주행 모드 제어 장치(100)는 운전 성향이 마일드 성향이지만 교통 흐름이 원활하지 않으면, 노말 모드를 유지한다(S220). 또한, 주행 모드 제어 장치(100)는 차량의 주행 모드가 스포츠 모드인 경우, 운전 성향 및 교통 흐름과 관계 없이 스포츠 모드를 유지한다(S222).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운전자의 운전 성향 및 교통 흐름을 고려해 차량의 주행 모드를 변경하는 예를 나타낸 표이다.
도 4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주행 모드 제어 장치(100)는 고속 도로 진입시에 운전자의 운전 성향 및 고속 도로 본선의 교통 흐름 등을 고려해서 주행 모드를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종래 기술에 따라 에코 모드로 고속 도로를 진입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종래 기술에 따라 노말 모드로 고속 도로를 진입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종래에는 도 5에서와 같이, 차량(10)이 고속 도로(20)에 진입할 때, 차량(10)의 주행 모드가 에코 모드인 경우, 가속 구간(20a)에서도 에코 모드를 유지한다.
또한, 종래에는 도 6에서와 같이, 차량(10)이 고속 도로(20)에 진입할 때, 차량(10)의 주행 모드가 노말 모드인 경우, 가속 구간(20a)에서도 노말 모드를 유지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고속 도로 진입시 차량 흐름에 끼어들기 위해 급가속을 하였을 때, 차량의 반응이 운전자의 가속 의지만큼 따라오지 못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에코 모드에서 노말 모드로 주행 모드를 변환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노말 모드에서 스포츠 모드로 주행 모드를 변환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과 같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주행 모드 제어 장치(100)는 차량(10)이 에코 모드로 고속 도로(20)에 진입하는 경우, 고속 도로(20)의 가속 구간(20a)에서 노말 모드로 전환하여 주행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주행 모드 제어 장치(100)는 도 8과 같이, 차량(10)이 노말 모드로 고속 도로(20)에 진입하는 경우, 고속 도로(20)의 가속 구간(20a)에서 스포츠 모드로 전환해 주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주행 모드 제어 장치(100)는 차량의 고속 도로에 진입을 예측하고 운전자의 운전 성향 및 교통 흐름을 고려해서 주행 모드를 가속 모드로 자동 전환함으로써, 가속 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기록 매체는 서버뿐만 아니라 사용자 단말에서도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5)

  1. 주행 모드 제어 장치가 차량의 주행 모드를 제어하는 방법에서,
    차량의 위치 정보 및 전방 도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수집된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전방 도로 정보를 이용해서 상기 차량이 가속이 필요한 가속 구간인 고속도로로 진입하는지 여부를 예측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차량이 상기 고속도로로 진입할 것으로 예측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운전자의 운전 성향을 고려해서 상기 차량의 주행 모드를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주행 모드는,
    일반적인 주행 운전 모드인 노말(Normal) 모드, 연비를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노말 모드보다 가속 성능을 감소시킨 운전 모드인 에코(ECO) 모드, 및 상기 노말 모드보다 가속 성능을 증대시키는 운전 모드인 스포츠 모드(Sports)를 포함하며,
    상기 운전자의 운전 성향은,
    차량 속도 또는 가속 페달의 위치 변화를 고려한 스포티 지수로 결정하며, 상기 스포티 지수가 낮은 제1 성향, 상기 스포티 지수가 보통인 제2 성향 및 상기 스포티 지수가 높은 제3 성향을 포함하며,
    상기 주행 모드를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현재 주행 모드가 상기 노말 모드이고, 상기 운전자의 운전 성향이 제2 성향 또는 제3 성향인 경우, 상기 현재 주행 모드를 상기 스포츠 모드로 자동으로 전환하고,
    상기 차량의 현재 주행 모드가 에코 모드이고, 상기 운전 성향이 상기 제1 성향 또는 상기 제2 성향인 경우, 상기 현재 주행 모드를 상기 노말 모드로 전환하되, 상기 운전 성향이 상기 제3 성향인 경우, 상기 현재 주행 모드를 상기 스포츠 모드로 자동으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주행 모드 제어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서,
    상기 주행 모드를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가속 구간의 교통 흐름을 고려해서 주행 모드의 변경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주행 모드 제어 방법.
  5. 삭제
  6. 제4항에서,
    상기 주행 모드를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현재 주행 모드가 상기 에코 모드인 경우, 상기 고속 도로의 진입이 예측되면 상기 노말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고속 도로의 교통 흐름이 원활한 경우에만 상기 스포츠 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주행 모드 제어 방법.
  7. 차량의 위치 정보 및 전방 도로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부,
    수집된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전방 도로 정보를 이용해서 상기 차량이 가속이 필요한 가속 구간인 고속도로로 진입하는지 여부를 예측하는 예측부, 그리고
    상기 차량이 상기 고속도로로 진입할 것으로 예측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운전자의 운전 성향을 고려해서 상기 차량의 주행 모드를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주행 모드는,
    일반적인 주행 운전 모드인 노말(Normal) 모드, 연비를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노말 모드보다 가속 성능을 감소시킨 운전 모드인 에코(ECO) 모드, 및 상기 노말 모드보다 가속 성능을 증대시키는 운전 모드인 스포츠 모드(Sports)를 포함하며,
    상기 운전자의 운전 성향은,
    차량 속도 또는 가속 페달의 위치 변화를 고려한 스포티 지수로 결정하며, 상기 스포티 지수가 낮은 제1 성향, 상기 스포티 지수가 보통인 제2 성향 및 상기 스포티 지수가 높은 제3 성향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현재 주행 모드가 상기 노말 모드이고, 상기 운전자의 운전 성향이 제2 성향 또는 제3 성향인 경우, 상기 현재 주행 모드를 상기 스포츠 모드로 자동으로 전환하고,
    상기 차량의 현재 주행 모드가 에코 모드이고, 상기 운전 성향이 상기 제1 성향 또는 상기 제2 성향인 경우, 상기 현재 주행 모드를 상기 노말 모드로 전환하되, 상기 운전 성향이 상기 제3 성향인 경우, 상기 현재 주행 모드를 상기 스포츠 모드로 자동으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주행 모드 제어 장치.
  8. 제7항에서,
    상기 수집부는,
    상기 차량에 설치된 네비게이션 장치, 카메라 또는 레이더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해서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 또는 상기 전방 도로 정보를 수집하는 주행 모드 제어 장치.
  9. 제8항에서,
    상기 예측부는,
    상기 차량이 고속 도로에 진입하는 경우, 상기 가속 구간으로 진입을 예측하는 가속 구간 예측부
    를 포함하는 주행 모드 제어 장치.
  10. 제9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의 운전 성향을 판단하는 운전 성향 판단부, 그리고
    상기 가속 구간의 교통 흐름을 판단하는 교통 흐름 판단부
    를 포함하는 주행 모드 제어 장치.
  11. 제10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운전자의 상기 운전 성향 및 상기 가속 구간의 교통 흐름을 고려해서 주행 모드의 변경을 결정하는 주행 모드 결정부
    를 더 포함하는 주행 모드 제어 장치.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제11항에서,
    상기 주행 모드 결정부는,
    상기 차량의 현재 주행 모드가 에코 모드인 경우, 상기 고속 도로의 진입이 예측되면 상기 노말 모드로 자동 전환한 후에, 상기 고속 도로의 교통 흐름이 원활한 경우에만 상기 노말 모드를 상기 스포츠 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주행 모드 제어 장치.
KR1020150089610A 2015-06-24 2015-06-24 주행 모드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행 모드 제어 방법 KR1016845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9610A KR101684541B1 (ko) 2015-06-24 2015-06-24 주행 모드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행 모드 제어 방법
US14/929,843 US10053101B2 (en) 2015-06-24 2015-11-02 Device for controlling driving mode and method for controlling driving mode using the same
CN201510857788.2A CN106274905B (zh) 2015-06-24 2015-11-30 控制行驶模式的装置和使用该装置控制行驶模式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9610A KR101684541B1 (ko) 2015-06-24 2015-06-24 주행 모드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행 모드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4541B1 true KR101684541B1 (ko) 2016-12-08

Family

ID=57576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9610A KR101684541B1 (ko) 2015-06-24 2015-06-24 주행 모드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행 모드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053101B2 (ko)
KR (1) KR101684541B1 (ko)
CN (1) CN106274905B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3039A (ko) * 2016-10-19 2018-04-2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기 자동차에서의 주행모드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80116687A (ko) * 2017-04-17 2018-10-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연비 정보 지원장치 및 방법
CN109284540A (zh) * 2018-08-31 2019-01-29 重庆大学 一种基于工况识别的变衰减因子指数预测模型方法
KR20190079879A (ko) 2017-12-28 2019-07-08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오프-로드 전용 주행모드 제어장치 및 그 방법
US11040723B2 (en) 2017-12-21 2021-06-22 Hyundai Motor Company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48680B2 (en) 2017-08-08 2021-10-1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user-defined drive mode changes based on occurring conditions
US11046304B2 (en) * 2018-11-12 2021-06-29 Argo AI, LLC Rider selectable ride comfort system for autonomous vehicle
CN111516693A (zh) * 2020-04-09 2020-08-11 吉利汽车研究院(宁波)有限公司 一种自适应驾驶模式的方法和车载终端
CN114120683B (zh) * 2020-08-10 2023-03-28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驾驶模式的控制方法和装置
CN112614340B (zh) * 2020-12-11 2022-03-08 国汽(北京)智能网联汽车研究院有限公司 支路车辆汇入主路的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26788A (ja) * 2011-12-16 2013-06-27 Denso Corp 車両走行モード切替装置
KR20140080640A (ko) * 2012-12-12 2014-07-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주행모드 제어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7536A (ko) 2003-09-15 2005-03-2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스포츠 모드 인식 구조
JP2007186141A (ja) 2006-01-16 2007-07-26 Mazda Motor Corp 車両の走行制御装置
JP5834393B2 (ja) 2010-10-25 2015-12-2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装置
US9507413B2 (en) * 2010-12-03 2016-11-29 Continental Automotive Systems, Inc. Tailoring vehicle human machine interface
US9476369B2 (en) * 2012-04-13 2016-10-25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Variable power output and maximum speed in drive mode
KR101509692B1 (ko) * 2013-03-26 2015-04-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변속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15087222A (ja) * 2013-10-30 2015-05-07 キヤノンマーケティングジャパン株式会社 運転支援装置、運転支援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26788A (ja) * 2011-12-16 2013-06-27 Denso Corp 車両走行モード切替装置
KR20140080640A (ko) * 2012-12-12 2014-07-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주행모드 제어 장치 및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3039A (ko) * 2016-10-19 2018-04-2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기 자동차에서의 주행모드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579446B1 (ko) 2016-10-19 2023-09-1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기 자동차에서의 주행모드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80116687A (ko) * 2017-04-17 2018-10-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연비 정보 지원장치 및 방법
KR102331760B1 (ko) * 2017-04-17 2021-11-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연비 정보 지원장치 및 방법
US11040723B2 (en) 2017-12-21 2021-06-22 Hyundai Motor Company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90079879A (ko) 2017-12-28 2019-07-08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오프-로드 전용 주행모드 제어장치 및 그 방법
CN109284540A (zh) * 2018-08-31 2019-01-29 重庆大学 一种基于工况识别的变衰减因子指数预测模型方法
CN109284540B (zh) * 2018-08-31 2022-11-15 重庆大学 一种基于工况识别的变衰减因子指数预测模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274905A (zh) 2017-01-04
US10053101B2 (en) 2018-08-21
CN106274905B (zh) 2020-09-22
US20160375906A1 (en) 2016-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4541B1 (ko) 주행 모드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행 모드 제어 방법
US10606264B2 (en) Control method and control device of automatic driving vehicle
KR101901801B1 (ko) 하이브리드 자동차 및 그를 위한 운전 패턴 예측 방법
CN108290575B (zh) 具有至少一个电子的控制单元用于控制混合动力车辆中的内燃机的控制系统
US10155519B2 (en) Device for controlling shift of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hift using the same
US10654467B2 (en) Hybrid vehicle and method of performing temperature control therefor
CN111731294B (zh) 行驶控制装置、行驶控制方法以及存储程序的存储介质
US11285957B2 (en) Traveling control apparatus, traveling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CN112977453A (zh) 用于车辆自动换道设备和方法
CN112088117A (zh) 用于运行机动车以改善机动车的评估单元的工作条件的方法、用于执行这种方法的控制系统和带有这种控制系统的机动车
US20190092315A1 (en) Spatial division type stop control method and vehicle using the same
KR101738818B1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엔진 제어 방법
US11364909B2 (en) Vehicle control device
WO2019073576A1 (ja) 車両並びにそ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US10759414B2 (en) Driving control method for hybrid vehicle
JP4249755B2 (ja) 充電制御装置および充電制御方法
CN112046478B (zh) 车辆控制装置及其动作方法、车辆以及存储介质
CN112046477B (zh) 车辆控制装置及其动作方法、车辆以及存储介质
CN112046474B (zh) 车辆控制装置及其动作方法、车辆以及存储介质
US20240053161A1 (en) Method for Predicting a Velocity Profile of a Vehicle
CN109969187B (zh) 基于超速响应的滑行控制方法和采用该方法的环保车辆
CN114596727A (zh) 用于车辆的辅助方法、系统、相应的车辆和存储介质
KR20200116390A (ko) 데이터 검출 시스템을 이용한 예측적 자동차 변속기 제어 방법
CN110341719A (zh) 控制车辆以调节感知系统能量使用的方法
JP2018203207A (ja) 車両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