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9446B1 - 전기 자동차에서의 주행모드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 자동차에서의 주행모드 제어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9446B1
KR102579446B1 KR1020160135833A KR20160135833A KR102579446B1 KR 102579446 B1 KR102579446 B1 KR 102579446B1 KR 1020160135833 A KR1020160135833 A KR 1020160135833A KR 20160135833 A KR20160135833 A KR 20160135833A KR 102579446 B1 KR102579446 B1 KR 1025794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rque
driving mode
control unit
information
incre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5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3039A (ko
Inventor
김일한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35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9446B1/ko
Publication of KR20180043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30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9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94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0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2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control of the vehicle or its driving motor to achieve a desired performance, e.g. speed, torque, programmed variation of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42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electric machines
    • B60L2240/423Tor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26Driver interactions by pedal actu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2Electric energy management in electromo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에서의 주행모드 제어 시스템은 주행모드 변경버튼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주행모드을 입력받고, 가속 페달의 궤도각에 대응하는 토크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차량 제어부 및 상기 토크 정보 및 주행모드의 정보를 수신하여, 현재 차량의 주행모드에 대응하는 토크 증감 기울기에 기초하여 상기 토크 정보를 보상하고, 보상된 토크 정보에 기초하여 모터를 제어하는 모터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기 자동차에서의 주행모드 제어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RIVING MODE IN ELECTRONIC VEHICLE}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에서의 주행모드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서의 엔진 자동차에서는 다양한 주행환경과 운전자의 성향에 따라 다양한 주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주행모드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주행모드는 예를 들어 에코 모드, 노말 모드, 스포츠 모드로 분류될 수 있다.
에코 모드는 엔진, 변속기, 에어컨에 연비 우선제어를 실시하여, 연비 개선을 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연비에 최적화하여 제공한다. 노말 모드는 기본적으로 적용되는 모드로 부드러운 주행감과 안락한 승차감을 제공한다. 스포츠 모드는 에코 모드와 달리 스포트한 주행감을 줄 수 있도록 높은 엑셀링 반응을 보일 수 있도록 시스템을 변경하여 민첩한 주행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주행모드 별로 엔진 차량의 시스템을 변경하는 것이 종래 기술에 따른 통합 주행모드 시스템이다. 이에 따라, 운전자는 자신의 성향에 따라 차량의 주행모드를 변경하여 차량의 운전 성능을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최근에는 대체에너지 개발 및 환경오염 방지의 목적으로 전기 자동차의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전기자동차에서는 구동원으로 엔진과 변속기가 아닌 모터와 인버터를 이용하기 때문에, 종래 기술에 따라 주행모드를 변경할 수 없다.
따라서, 모터와 인버터의 구동 제어를 이용하여 주행모드 별로 차량을 제어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09197호(발명의 명칭: 전기자동차의 주행모드 제어방법)는 전기 자동차의 구동원인 모터를 복수의 콘트롤러에 의해 제어하도록 하고 모터가 RPM의 큰 변화없이 짧은 시간에 최대토크에 도달될 수 있게 하는 전기자동차의 주행모드 제어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인버터와 모터를 구비하는 전기 자동차에서 운전자가 원하는 주행모드로 변경을 가능하게 하는 주행모드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전기 자동차에서의 주행모드 제어 시스템은 주행모드 변경버튼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주행모드을 입력받고, 가속 페달의 궤도각에 대응하는 토크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차량 제어부 및 상기 토크 정보 및 주행모드의 정보를 수신하여, 현재 차량의 주행모드에 대응하는 토크 증감 기울기에 기초하여 상기 토크 정보를 보상하고, 보상된 토크 정보에 기초하여 모터를 제어하는 모터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전기 자동차에서의 주행모드 제어 방법은 차량 제어부에 의해 실시간으로 수집된 가속 페달의 궤도각에 대응하는 토크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현재 차량의 주행모드에 대응하는 토크 증감 기울기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한 토크 정보를 보상하는 단계 및 상기 보상된 토크 정보에 기초하여 모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엔진 구동원 기반의 자동차에서 제공하던 주행모드 제어를 전기 자동차 기반의 구동원에서도 제공 가능하다.
또한, 소프트웨어의 수정만으로도 주행모드 제어가 가능한바, 낮은 비용으로도 일반적인 전기 자동차에 제공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모드 제어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토크 증감 기울기의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 제어부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부 및 모터 제어부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에서의 주행모드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에서의 주행모드 제어 시스템(100)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 자동차에는 엔진 자동차와 달리 엔진과 변속기를 구비하고 있지 않아, 종래 엔진 기반의 자동차에서 제공하던 주행모드 제어가 불가능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버터와 모터를 구비하는 전기 자동차에서 운전자가 원하는 주행모드로 변경을 가능하게 하여 운전자의 의도를 만족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에서의 주행모드 제어 시스템(1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모드 제어 시스템(100)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모드 제어 시스템(100)은 차량 제어부(Vehicle Control Unit, 110) 및 모터 제어부(Motor Control Unit, 120)를 포함한다.
차량 제어부(110)는 사용자가 주행모드 변경버튼(10)을 통해 주행모드를 선택하면, 선택된 주행모드를 입력받는다.
이때, 주행모드는 서로 다른 복수 개의 주행모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주행모드는 에코 모드, 노말 모드 및 스포츠 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동작하게 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주행모드는 각각에 대응하는 토크 증감 기울기를 포함하고 있다.
도 2는 토크 증감 기울기의 예시도이다.
복수 개의 주행모드 각각에 대응하는 토크 증감 기울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주행모드 중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최대 토크까지의 상승 시간에 기 설정된 비율을 적용하여 설정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주행모드는 노말 모드인 제 1 주행모드, 에코 모드인 제 2 주행모드 및 스포츠 모드인 제 3 주행모드일 수 있으며, 에코 모드, 노말 모드 및 스포츠 모드 중 노말 모드를 기준으로, 노말 모드에서 최대 토크까지의 상승시간을 일정값으로 설정한다. 그 다음, 에코 모드 및 스포츠 모드에 각각 설정된 일정값의 0.5배, 1.5배로 하여 최대 토크까지의 기울기를 산출하여 이를 각 주행모드에서의 토크 증감 기울기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가속 페달(20)을 밟아 궤도각에 따른 토크 정보가 차량 제어부(110)로 수신되면, 차량 제어부(110)는 하기에서 설명하는 모터 제어부(120)로 토크 정보를 전달한다.
모터 제어부(12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주행모드에 대응되도록, 수신한 토크 정보를 토크 증감 기울기에 기초하여 보상하며, 보상된 토크 정보에 기초하여 모터(30)를 제어하게 된다.
이에 따라, 차량 운행 중 주행모드의 변경이 이루어지더라도 실시간으로 토크 정보 수집 및 보상이 이루어지는 등 운전자의 의도를 모니터링하고 있는바, 운전자로 하여금 별도의 이질감을 느끼지 않게 하는 부드러운 주행모드 변경이 가능하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차량 제어부(110)는 차량의 가속 페달(20)의 궤도각에 대응하는 토크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한다. 이러한 차량 제어부(110)는 전기 자동차에서의 최상위 제어기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모터 제어부(120)는 차량 제어부(110)로부터 토크 정보 및 주행모드의 정보를 수신하여, 현재 차량의 주행모드에 대응하는 토크 증감 기울기에 기초하여 토크 정보를 보상한다.
구체적으로 모터 제어부(120)는 실시간으로 수집되어 전달받은 토크 정보 중, 일정 시간을 기준으로 이전 수집된 토크와 현재 수집된 토크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토크 증감 기울기에 따른 토크 증감 여부를 결정하여 토크 정보를 보상할 수 있다.
이때, 모터 제어부(120)는 비교 결과 이전 수집된 토크가 현재 수집된 토크보다 큰 경우 토크 증감 기울기에 기초하여 토크를 감분시키고, 감분된 결과값과 현재 수집된 토크를 비교한 결과값에 기초하여 보상된 토크 정보를 최종 토크로 출력할 수 있다.
즉, 모터 제어부(120)는 감분된 결과값이 현재 수집된 토크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감분된 결과값을 보상된 토크 정보로 출력하고, 감분된 결과값이 현재 수집된 토크보다 작은 경우 현재 토크를 보상된 토크 정보로 출력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모터 제어부(120)는 비교 결과 이전 수집된 토크가 현재 수집된 토크보다 작을 경우 토크 증감 기울기에 기초하여 토크를 증분시키고, 증분된 결과값과 현재 수집된 토크를 비교한 결과값에 기초하여 보상된 토크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즉, 모터 제어부(120)는 증분된 결과값이 현재 수집된 토크보다 큰 경우 현재 수집된 토크를 보상된 토크 정보로 출력하고, 증분된 결과값이 현재 수집된 토크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감분된 결과값을 보상된 토크 정보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모터 제어부(120)는 비교 결과 이전 수집된 토크와 현재 수집된 토크가 서로 같은 경우, 토크를 증감하지 않고 현재 수집된 토크를 최종 토크로 하여 출력할 수 있다.
모터 제어부(120)는 이와 같이 보상되어 출력되는 최종 토크에 기초하여 모터(30)를 제어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 제어부(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능 블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 제어부(120)의 블록도이다.
모터 제어부(120)는 기울기 선택부(121) 및 토크 보상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기울기 선택부(121)는 차량 제어부(110)로부터 수신한 주행모드에 대응되는 토크 증감 기울기를 선택한다.
토크 보상부(122)는 차량 제어부(110)로부터 수신한 토크 정보를 토크 증감 기울기에 기초하여 보상함으로써 최종 토크 정보를 출력하여 모터(30)를 제어한다.
그밖에 모터 제어부(120)는 최종 토크 정보에 기초하여 모터(30)를 제어하기 위하여, 전류 지령 테이블(123), PI(Proportion and Integration) 타입의 전류 PI 제어기(124), 2상을 3상으로 변환하는 2/3 변환기(125), 3상을 2상으로 변환하는 3/2 변환기(126), 3상 PWM 제어를 위한 3상 PWM 블록(127)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모드 제어 시스템(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제어부(110) 및 모터 제어부(120) 간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모듈(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통신모듈(130)은 차량 내부의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유선 통신모듈 및 무선 통신모듈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모듈은 전력선 통신 장치, 전화선 통신 장치, 케이블 홈(MoCA), 이더넷(Ethernet), IEEE1294, 통합 유선 홈 네트워크 및 RS-485 제어 장치(100)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모듈은 WLAN(wireless LAN), Bluetooth, HDR WPAN, UWB, ZigBee, Impulse Radio, 60GHz WPAN, Binary-CDMA, 무선 USB 기술 및 무선 HDMI 기술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통신모듈(130)은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을 통하여 차량 내부 장치들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부(110) 및 모터 제어부(1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부(110) 및 모터 제어부(120)의 블록도이다.
차량 제어부(110) 및 모터 제어부(120)는 각각 통신모듈(110-1, 120-1), 메모리(110-2, 120-2) 및 프로세서(110-3, 120-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과 같이 통신모듈(130)은 차량 제어부(110) 및 모터 제어부(120)와 별도의 구성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통신모듈(110-1, 120-1)은 차량 제어부(110) 및 모터 제어부(120)에 각각 포함되어, 상호간의 데이터 송수신 및 주변 구성요소들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메모리(110-2, 120-2)에는 차량 및 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이때, 메모리(110-2, 120-2)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도 저장된 정보를 계속 유지하는 비휘발성 저장장치 및 휘발성 저장장치를 통칭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메모리(110-2, 120-2)는 콤팩트 플래시(compact flash; CF) 카드, SD(secure digital) 카드,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state drive; SSD) 및 마이크로(micro) SD 카드 등과 같은 낸드 플래시 메모리(NAND 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HDD) 등과 같은 마그네틱 컴퓨터 기억 장치 및 CD-ROM, DVD-ROM 등과 같은 광학 디스크 드라이브(optical disc driv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3, 120-3)는 메모리(110-2, 120-2)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킨다. 프로세서(110-3, 120-3)는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킴에 따라, 상술한 차량 제어부(110) 및 모터 제어부(120)에서의 동작을 실행시킬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와 같은 하드웨어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소정의 역할들을 수행할 수 있다.
그렇지만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각 구성 요소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구성 요소는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 클래스 구성 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 요소들과 같은 구성 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 요소들과 해당 구성 요소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 요소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 요소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모드 제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에서의 주행모드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에서의 주행모드 제어 방법은 주행모드 제어 시스템(100)의 구성 중 모터 제어부(120)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모드 제어 방법은 먼저, 차량 제어부(110)에 의해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가속 페달(20)의 궤도각에 대응하는 토크 정보를 수신한다(S500). 이때, 토크 정보는 사용자가 가속 페달(20)을 밟으면 이에 대응하는 궤도각을 토크 정보로 변환함으로써 산출될 수 있다.
다음으로, 차량 제어부(110)로부터 차량의 주행모드를 전달받는다(S510). 이러한 주행모드는 노말 모드인 제 1 주행모드, 에코 모드인 제 2 주행모드 및 스포츠 모드인 제 3 주행모드일 수 있다.
사용자가 제 1 내지 제 3 주행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된 주행모드를 차량 제어부(110)로부터 수신한다. 그리고 수신한 주행모드에 대응하는 토크 증감 기울기를 선택한다(S511, S512, S513).
다음으로, 차량의 주행모드에 대응하는 토크 증감 기울기에 기초하여 차량 제어부(110)로부터 수신한 토크 정보를 보상하고, 보상된 토크 정보에 기초하여 모터(30)를 제어한다.
이때, 토크 정보를 보상하는 단계는 먼저, 일정 시간을 기준으로 이전 수집된 토크와 현재 수집된 토크를 비교한다(S520, S530).
비교 결과 이전 수집된 토크가 현재 수집된 토크보다 큰 경우 토크 증감 기울기에 기초하여 토크를 감분시키고(S521), 감분된 결과값과 현재 수집된 토크를 비교한다(S522).
비교 결과 감분된 결과값이 현재 수집된 토크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감분된 결과값을 보상된 토크 정보로 출력하고(S523), 감분된 결과값이 현재 수집된 토크보다 작은 경우 현재 토크를 보상된 토크 정보로 출력한다(S524).
이와 달리, 비교 결과 이전 수집된 토크가 현재 수집된 토크보다 작은 경우 토크 증감 기울기에 기초하여 토크를 증분시키고(S531), 증분된 결과값과 현재 수집된 토크를 비교한다(S532).
비교 결과 증분된 결과값이 현재 수집된 토크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증분된 결과값을 보상된 토크 정보로 출력하고(S533), 증분된 결과값이 현재 수집된 토크보다 큰 경우 현재 토크를 보상된 토크 정보로 출력한다(S534).
한편, 이전 수집된 토크가 현재 수집된 토크와 같은 경우에는 현재 토크를 보상된 토크 정보로 출력한다(S540).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모드 제어 방법은 모터 제어부(120)에 의해 보상된 토크 정보에 기초하여 주행모드별로 상이하게 모터(3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500 내지 S540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아울러, 기타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4에서 이미 기술된 내용은 도 5의 주행모드 제어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엔진 구동원 기반의 자동차에서 제공하던 주행모드 제어를 전기 자동차 기반의 구동원에서도 제공 가능하다.
또한, 소프트웨어의 수정만으로도 주행모드 제어가 가능한바, 낮은 비용으로도 일반적인 전기 자동차에 제공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모드 제어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100)은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그것들의 구성 요소 또는 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는 범용 하드웨어 아키텍쳐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100)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주행모드 변경버튼
20: 가속 페달
30: 모터
100: 주행모드 제어 시스템
110: 차량 제어부
120: 모터 제어부
130: 통신모듈

Claims (13)

  1. 전기 자동차에서의 주행모드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주행모드 변경버튼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주행모드을 입력받고, 가속 페달의 궤도각에 대응하는 토크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차량 제어부 및
    상기 토크 정보 및 주행모드의 정보를 수신하여, 현재 차량의 주행모드에 대응하는 토크 증감 기울기에 기초하여 상기 토크 정보를 보상하고, 보상된 토크 정보에 기초하여 모터를 제어하는 모터 제어부를 포함하는 주행모드 제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제어부는 일정 시간을 기준으로 이전 수집된 토크와 현재 수집된 토크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토크 증감 기울기에 따른 토크 증감 여부를 결정하여 상기 토크 정보를 보상하는 것인 주행모드 제어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제어부는 상기 비교 결과 이전 수집된 토크가 현재 수집된 토크보다 큰 경우 상기 토크 증감 기울기에 기초하여 토크를 감분시키고, 이전 수집된 토크가 현재 수집된 토크보다 작을 경우 상기 토크 증감 기울기에 기초하여 토크를 증분시키는 것인 주행모드 제어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제어부는 상기 비교 결과 이전 수집된 토크가 현재 수집된 토크보다 큰 경우, 상기 이전 수집된 토크를 상기 토크 증감 기울기에 기초하여 감분시키고, 상기 감분된 결과값과 상기 현재 수집된 토크를 비교한 결과값에 기초하여 보상된 토크 정보를 출력하는 것인 주행모드 제어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제어부는 상기 감분된 결과값이 상기 현재 수집된 토크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감분된 결과값을 상기 보상된 토크 정보로 출력하고, 상기 감분된 결과값이 상기 현재 수집된 토크보다 작은 경우 상기 현재 수집된 토크를 상기 보상된 토크 정보로 출력하는 것인 주행모드 제어 시스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제어부는 상기 비교 결과 이전 수집된 토크가 현재 수집된 토크보다 작은 경우, 상기 이전 수집된 토크를 상기 토크 증감 기울기에 기초하여 증분시키고, 상기 증분된 결과값과 상기 현재 수집된 토크를 비교한 결과값에 기초하여 보상된 토크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주행모드 제어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제어부는 상기 증분된 결과값이 상기 현재 수집된 토크보다 큰 경우 상기 현재 수집된 토크를 상기 보상된 토크 정보로 출력하고, 상기 증분된 결과값이 상기 현재 수집된 토크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증분된 결과값을 상기 보상된 토크 정보로 출력하는 것인 주행모드 제어 시스템.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제어부는 상기 비교 결과 이전 수집된 토크와 현재 수집된 토크가 서로 같은 경우 상기 토크 증감을 하지 않고, 상기 현재 수집된 토크를 상기 토크 정보로 출력하는 것인 주행모드 제어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모드는 서로 다른 복수 개의 주행모드이되,
    상기 복수 개의 주행모드 각각에 대응하는 토크 증감 기울기는 상기 복수 개의 주행모드 중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최대 토크까지의 상승 시간에 기 설정된 비율을 적용하여 설정되는 것인 주행모드 제어 시스템.
  10. 전기 자동차에서의 주행모드 제어 방법에 있어서,
    차량 제어부에 의해 실시간으로 수집된 가속 페달의 궤도각에 대응하는 토크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현재 차량의 주행모드에 대응하는 토크 증감 기울기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한 토크 정보를 보상하는 단계 및
    상기 보상된 토크 정보에 기초하여 모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행모드 제어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토크 정보를 보상하는 단계는,
    일정 시간을 기준으로 이전 수집된 토크와 현재 수집된 토크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이전 수집된 토크와 현재 수집된 토크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토크 증감 기울기에 따른 토크 증감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토크 증감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토크 정보를 보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주행모드 제어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토크 증감 기울기에 따른 토크 증감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비교 결과 이전 수집된 토크가 현재 수집된 토크보다 큰 경우 상기 토크 증감 기울기에 기초하여 토크를 감분시키고, 이전 수집된 토크가 현재 수집된 토크보다 작을 경우 상기 토크 증감 기울기에 기초하여 토크를 증분시키는 것인 주행모드 제어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토크 증감 기울기에 따른 토크 증감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토크 증감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토크 정보를 보상하는 단계는,
    상기 비교 결과 이전 수집된 토크와 현재 수집된 토크가 서로 같은 경우 상기 토크 증감을 하지 않고, 상기 현재 수집된 토크를 상기 토크 정보로 출력하는 것인 주행모드 제어 방법.
KR1020160135833A 2016-10-19 2016-10-19 전기 자동차에서의 주행모드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5794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5833A KR102579446B1 (ko) 2016-10-19 2016-10-19 전기 자동차에서의 주행모드 제어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5833A KR102579446B1 (ko) 2016-10-19 2016-10-19 전기 자동차에서의 주행모드 제어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3039A KR20180043039A (ko) 2018-04-27
KR102579446B1 true KR102579446B1 (ko) 2023-09-15

Family

ID=62081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5833A KR102579446B1 (ko) 2016-10-19 2016-10-19 전기 자동차에서의 주행모드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94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5008B1 (ko) 2018-10-05 2020-03-05 만도헬라일렉트로닉스(주) 차량의 주행모드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26788A (ja) 2011-12-16 2013-06-27 Denso Corp 車両走行モード切替装置
KR101684541B1 (ko) 2015-06-24 2016-12-0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주행 모드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행 모드 제어 방법
KR101776767B1 (ko) 2016-08-01 2017-09-0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용 모터 제어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1613B1 (ko) * 2009-03-31 2012-07-03 이정용 전기자동차의 주행모드 제어방법
KR20160091039A (ko) * 2015-01-23 2016-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 자동차 및 전기 자동차의 제어 방법
KR101703609B1 (ko) * 2015-05-11 2017-02-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의 주행모드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1703589B1 (ko) * 2015-06-11 2017-02-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의 모드 전환 제어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26788A (ja) 2011-12-16 2013-06-27 Denso Corp 車両走行モード切替装置
KR101684541B1 (ko) 2015-06-24 2016-12-0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주행 모드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행 모드 제어 방법
KR101776767B1 (ko) 2016-08-01 2017-09-0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용 모터 제어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3039A (ko) 2018-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86118B2 (ja) ハイブリッド車両駆動機構において内燃機関を始動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CN109703562B (zh) 控制车辆驱动模式的设备和方法
EP2474457B1 (en) Speed ratio control method for cvt of electric vehicle
KR101588790B1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변속 제어 장치
US9758055B2 (en) Control system for hybrid vehicle
US9174646B2 (en) Motor control device for electric vehicle
US9068651B2 (en) State transition control for a multi-mode hybrid powertrain
CN104648184A (zh) 一种纯电动汽车的多模式驱动控制方法
JP6915696B2 (ja) 回生ブレーキ制御方法及び回生ブレーキ制御装置
CN102029871A (zh) 车辆的空调设备的控制方法
KR102579446B1 (ko) 전기 자동차에서의 주행모드 제어 시스템 및 방법
US9154072B2 (en) Motor torqu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WO2017112402A1 (e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acceleration performance of an electric vehicle
US20110231040A1 (en) Use of discontinuous pulse width modulation for an inverter coupled to an electric motor for a vehicle
CN107117172B (zh) 包括燃料经济模式启用的自适应驾驶控制的方法和设备
KR101161613B1 (ko) 전기자동차의 주행모드 제어방법
CN105644427B (zh) 用于运行驱动装置的方法以及相应的驱动装置
CN107264300B (zh) 电动车辆能源管理
US20040097327A1 (en) Method for setting a desired operating state of a hybrid drive of a vehicle
US6465977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orque in an electrical machine
KR101628692B1 (ko) 차량의 가상 엔진음 발생 장치 및 방법
WO2004008617A1 (en) A 12/42 volt dc brush motor control system
CN109305051A (zh) 电机的控制方法、动力机构、电动车辆及可读存储介质
KR102598416B1 (ko) 친환경차량의 차량부하구분방식 연비향상방법
KR20090053998A (ko) 운전자의 특성을 고려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클러치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