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3905B1 - 듀얼 튜너용 구동 시스템 - Google Patents

듀얼 튜너용 구동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3905B1
KR101683905B1 KR1020100081388A KR20100081388A KR101683905B1 KR 101683905 B1 KR101683905 B1 KR 101683905B1 KR 1020100081388 A KR1020100081388 A KR 1020100081388A KR 20100081388 A KR20100081388 A KR 20100081388A KR 101683905 B1 KR101683905 B1 KR 1016839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signal
input frequency
output
signal
r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1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8512A (ko
Inventor
최경문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1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3905B1/ko
Publication of KR20120018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85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3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39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JTUNING RESONANT CIRCUITS; SELECTING RESONANT CIRCUITS
    • H03J5/00Discontinuous tuning; Selecting predetermined frequencies; Selecting frequency bands with or without continuous tuning in one or more of the bands, e.g. push-button tuning, turret tuner
    • H03J5/24Discontinuous tuning; Selecting predetermined frequencies; Selecting frequency bands with or without continuous tuning in one or more of the bands, e.g. push-button tuning, turret tuner with a number of separate pretuned tuning circuits or separate tuning elements selectively brought into circuit, e.g. for waveband selection or for television channel selec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JTUNING RESONANT CIRCUITS; SELECTING RESONANT CIRCUITS
    • H03J7/00Automatic frequency control; Automatic scanning over a band of frequencies
    • H03J7/18Automatic scanning over a band of frequencies
    • H03J7/183Automatic scanning over a band of frequencies combined with selection between different stations transmitting the same programm, e.g. by analysis of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 H03J7/186Automatic scanning over a band of frequencies combined with selection between different stations transmitting the same programm, e.g. by analysis of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using two or more tun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07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 H04N21/4263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involving specific tuning arrangements, e.g. two tun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 H04N5/505Invisible or silent tu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Input Circuits Of Receivers And Coupling Of Receivers And Audio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몸체와; 몸체의 외측 일단에 제공되어 입력 주파수 신호를 공급하는 제 1 연결 잭과; 몸체의 내부에 제공되고 제 1 연결 잭을 통해 입력 주파수 신호를 공급받아 적정 레벨의 범위로 전계의 강도를 감쇠시키는 감쇠부와; 몸체의 내부에 제공되고 감쇠부를 통해 적정 레벨의 범위로 전계의 강도가 감쇠된 입력 주파수 신호를 선택적으로 공급받아 소정의 비율로 분배하는 분배부와; 몸체의 내부에 제공되고 분배부를 통해 소정의 비율로 분배되어 출력되는 입력 주파수 신호중 제 1 입력 주파수 신호를 공급받아 동작하는 메인 구동부와; 몸체의 내부에 제공되고 분배부를 통해 소정의 비율로 분배되어 출력되는 입력 주파수 신호중 제 2 입력 주파수 신호를 공급받아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구동부; 및 몸체의 외측 타단에 제공되고 분배부의 선택적인 동작에 의해 분배부로부터 소정의 비율로 분배되어 출력되는 입력 주파수 신호중 제 3 입력 주파수 신호를 선택적으로 공급받거나, 감쇠부를 통해 적정 레벨의 범위로 전계의 강도가 감쇠된 입력 주파수 신호중 제 4 입력 주파수 신호를 선택적으로 공급받아 외부 기기로 제공하는 제 2 연결 잭을 포함하는 듀얼 튜너용 구동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듀얼 튜너용 구동 시스템{System for driving dual tuner}
실시예는 듀얼 튜너용 구동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튜너는 지상파나 케이블 또는 위성 방송 등의 전파를 수신받아 우리가 보거나 듣게끔 영상과 음성으로 동조시켜주는 장치였었다.
최근에는, 2개의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는 PIP(Picture-In-Picture) 기능을 제공하는 듀얼 튜너가 선보이고 있고, 듀얼 튜너의 크기를 줄이면서 제작비용의 상승을 억제시킬 수 있는 개선된 듀얼 튜너용 구동 시스템의 연구가 지속적으로 행해져오고 있다.
또한, 듀얼 튜너의 복조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면서, 듀얼 튜너의 주파수 증폭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개선된 듀얼 튜너용 구동 시스템의 연구가 지속적으로 행해져오고 있다.
실시예에 따른 듀얼 튜너용 구동 시스템은 분배부를 슬림하게 제작하면서 부품비용을 줄일 수가 있으므로, 듀얼 튜너의 크기를 줄이면서 제작비용의 상승을 억제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듀얼 튜너용 구동 시스템은 듀얼 튜너의 복조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면서, 듀얼 튜너의 주파수 증폭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듀얼 튜너용 구동 시스템은 몸체와; 몸체의 외측 일단에 제공되어 입력 주파수 신호를 공급하는 제 1 연결 잭과; 몸체의 내부에 제공되고 제 1 연결 잭을 통해 입력 주파수 신호를 공급받아 적정 레벨의 범위로 전계의 강도를 감쇠시키는 감쇠부와; 몸체의 내부에 제공되고 감쇠부를 통해 적정 레벨의 범위로 전계의 강도가 감쇠된 입력 주파수 신호를 선택적으로 공급받아 소정의 비율로 분배하는 분배부와; 몸체의 내부에 제공되고 분배부를 통해 소정의 비율로 분배되어 출력되는 입력 주파수 신호중 제 1 입력 주파수 신호를 공급받아 동작하는 메인 구동부와; 몸체의 내부에 제공되고 분배부를 통해 소정의 비율로 분배되어 출력되는 입력 주파수 신호중 제 2 입력 주파수 신호를 공급받아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구동부; 및 몸체의 외측 타단에 제공되고 분배부의 선택적인 동작에 의해 분배부로부터 소정의 비율로 분배되어 출력되는 입력 주파수 신호중 제 3 입력 주파수 신호를 선택적으로 공급받거나, 감쇠부를 통해 적정 레벨의 범위로 전계의 강도가 감쇠된 입력 주파수 신호중 제 4 입력 주파수 신호를 선택적으로 공급받아 외부 기기로 제공하는 제 2 연결 잭을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듀얼 튜너용 구동 시스템은 분배부를 슬림하게 제작하면서 부품비용을 줄일 수가 있으므로, 듀얼 튜너의 크기를 줄이면서 제작비용의 상승을 억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듀얼 튜너용 구동 시스템은 듀얼 튜너의 복조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면서, 듀얼 튜너의 주파수 증폭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튜너용 구동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분배부를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입력 주파수 신호 스위칭 수단을 나타낸 회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튜너용 구동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분배부를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입력 주파수 신호 스위칭 수단을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튜너용 구동 시스템(100)은 몸체(101), 제 1 연결 잭(102), 감쇠부(103), 분배부(104), 메인 구동부(106), 적어도 하나의 서브 구동부(112), 제 2 연결 잭(105)등을 포함한다.
몸체(101)는 섀시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가 있고, 제 1 연결 잭(102)은 몸체(101)의 외측 일단에 제공되어 입력 주파수 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감쇠부(103)는 몸체(101)의 내부에 제공되고 제 1 연결 잭(102)을 통해 입력 주파수 신호를 공급받아 적정 레벨의 범위로 전계의 강도를 감쇠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감쇠부(103)는 Attenuator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가 있다.
분배부(104)는 몸체(101)의 내부에 제공되고 감쇠부(103)를 통해 적정 레벨의 범위로 전계의 강도가 감쇠된 입력 주파수 신호를 선택적으로 공급받아 소정의 비율로 분배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분배부(104)는 Splitter IC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가 있다.
더욱 자세하게 말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배부(104)는 입력 주파수 신호 스위칭 수단(104a), 입력 주파수 신호 분배 수단(104b), 제 1 증폭 수단(104c), 제 2 증폭 수단(104d), 제 3 증폭 수단(104e), 제 1 증폭 레벨 매칭용 피드백 수단(104f), 제 2 증폭 레벨 매칭용 피드백 수단(104g)등을 포함할 수가 있다.
입력 주파수 신호 스위칭 수단(104a)은 감쇠부(103)를 통해 공급되는 적정 레벨의 범위로 전계의 강도가 감쇠된 입력 주파수 신호(RF)를 출력하도록 턴온 스위칭 동작하거나, 감쇠부(103)를 통해 공급되는 적정 레벨의 범위로 전계의 강도가 감쇠된 입력 주파수 신호(RF)중 제 4 입력 주파수 신호(RF4)를 제 2 연결 잭(105)으로 제공하도록 턴온프 스위칭 동작할 수가 있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주파수 신호 스위칭 수단(104a)은 전원 공급 단자(VCC), 적어도 하나의 제 1 저항(R1), 적어도 하나의 제 1 스위칭 다이오드(SD1), 적어도 하나의 제 2 저항(R2)등을 포함할 수가 있다.
전원 공급 단자(VCC)는 전원 전압원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받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 1 저항(R1)은 전원 공급 단자(VCC)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공급 단자(VCC)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레벨을 조절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제 1 저항(R1)은 제 1 저항(R1)을 포함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 1 스위칭 다이오드(SD1)는 일단이 적어도 하나의 제 1 저항(R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감쇠부(10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제 1 저항(R1)에 의해 조절된 전원으로 스위칭 턴온되어 감쇠부(103)를 통해 공급되는 적정 레벨의 범위로 전계의 강도가 감쇠된 입력 주파수 신호(RF)를 이후에 진술할 입력 주파수 신호 분배 수단(104b)으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제 1 스위칭 다이오드(SD1)는 제 1 스위칭 다이오드(SD1)를 포함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 2 저항(R2)은 일단이 적어도 하나의 제 1 스위칭 다이오드(SD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되어 적어도 하나의 제 1 스위칭 다이오드(SD1)의 턴오프 스위칭 동작에 의해 감쇠부(103)를 통해 공급되는 적정 레벨의 범위로 전계의 강도가 감쇠된 입력 주파수 신호(RF)중 제 4 입력 주파수 신호(RF4)에 해당하는 전압의 레벨을 조절하여 제 2 연결 잭(105)으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제 2 저항(R2)은 제 2 저항(R2)을 포함할 수가 있고, 제 4 입력 주파수 신호(RF4)는 제 4 RF 입력 주파수 신호(RF4)일 수가 있다.
입력 주파수 신호 분배 수단(104b)은 입력 주파수 신호 스위칭 수단(104a)의 턴온 스위칭 동작에 의해 스위칭 되어 공급되는 적정 레벨의 범위로 전계의 강도가 감쇠된 입력 주파수 신호(RF)를 소정의 비율로 분배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제 1 증폭 수단(104c)은 입력 주파수 신호 분배 수단(104b)을 통해 소정의 비율로 분배되어 출력되는 제 1 입력 주파수 신호(RF1)를 적정 주파수 레벨의 범위로 증폭시켜, 적정 주파수 레벨의 범위로 증폭된 제 1 입력 주파수 신호를 메인 구동부(106)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제 1 증폭 수단(104c)은 제 1 Power Amplifier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가 있고, 제 1 입력 주파수 신호(RF1)는 제 1 RF 입력 주파수 신호(RF1)일 수가 있다.
제 1 증폭 레벨 매칭용 피드백 수단(104f)은 제 1 증폭 수단(104c)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 1 증폭 수단(104c)으로 출력되는 증폭된 제 1 입력 주파수 신호가 적정 주파수 레벨의 범위를 벗어날 경우에, 증폭된 제 1 입력 주파수 신호가 적정 주파수 레벨의 범위가 되도록 제 1 증폭 수단(104c)에 증폭된 제 1 입력 주파수 신호를 피드백시켜 매칭시키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제 2 증폭 수단(104d)은 입력 주파수 신호 분배 수단(104b)을 통해 소정의 비율로 분배되어 출력되는 제 2 입력 주파수 신호(RF2)를 적정 주파수 레벨의 범위로 증폭시켜, 적정 주파수 레벨의 범위로 증폭된 제 2 입력 주파수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서브 구동부(112)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제 2 증폭 수단(104d)은 제 2 Power Amplifier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가 있고, 제 2 입력 주파수 신호(RF2)는 제 2 RF 입력 주파수 신호(RF2)일 수가 있다.
제 2 증폭 레벨 매칭용 피드백 수단(104g)은 제 2 증폭 수단(104d)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 2 증폭 수단(104d)으로 출력되는 증폭된 제 2 입력 주파수 신호가 적정 주파수 레벨의 범위를 벗어날 경우에, 증폭된 제 2 입력 주파수 신호가 적정 주파수 레벨의 범위가 되도록 제 2 증폭 수단(104d)에 증폭된 제 2 입력 주파수 신호를 피드백시켜 매칭시키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제 3 증폭 수단(104e)은 입력 주파수 신호 분배 수단(104b)을 통해 소정의 비율로 분배되어 출력되는 제 3 입력 주파수 신호(RF3)를 적정 주파수 레벨의 범위로 증폭시켜, 적정 주파수 레벨의 범위로 증폭된 제 3 입력 주파수 신호를 제 2 연결 잭(105)으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제 3 증폭 수단(104e)은 제 3 Power Amplifier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가 있고, 제 3 입력 주파수 신호(RF3)는 제 3 RF 입력 주파수 신호(RF3)일 수가 있다.
메인 구동부(106)는 몸체(101)의 내부에 제공되고 분배부(104)를 통해 소정의 비율로 분배되어 출력되는 입력 주파수 신호(RF)중 제 1 입력 주파수 신호(RF1)를 공급받아 동작하도록 제공된다.
이때, 메인 구동부(106)는 Chip Tuner IC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가 있다.
메인 복조부(108)는 메인 구동부(106)로부터 출력되는 제 1 출력 주파수 신호 또는 제 2 출력 주파수 신호중 적어도 하나의 출력 주파수 신호를 원래의 신호로 복조시키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제 1 출력 주파수 신호는 제 1 AIF(Analog Intermediate Frequency) 신호일 수가 있고, 제 2 출력 주파수 신호는 제 1 DIF(Digital Intermediate Frequency) 신호일 수가 있다.
메인 복조 매칭용 피드백부(110)는 메인 복조부(108)로부터 출력되는 복조된 원래의 신호가 적정 출력 주파수 범위를 벗어날 경우에, 복조된 원래의 신호가 적정 출력 주파수 범위가 되도록 메인 구동부(106)에 복조된 원래의 신호를 피드백시켜 매칭시킬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서브 구동부(112)는 몸체(101)의 내부에 제공되고 분배부(104)를 통해 소정의 비율로 분배되어 출력되는 입력 주파수 신호(RF)중 제 2 입력 주파수 신호(RF2)를 공급받아 동작하도록 제공된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서브 구동부(112)는 Chip Tuner IC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가 있다.
서브 복조부(114)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구동부(112)로부터 출력되는 제 3 출력 주파수 신호 또는 제 4 출력 주파수 신호중 적어도 하나의 출력 주파수 신호를 원래의 신호로 복조시키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제 3 출력 주파수 신호는 제 2 AIF(Analog Intermediate Frequency) 신호일 수가 있고, 제 4 출력 주파수 신호는 제 2 DIF(Digital Intermediate Frequency) 신호일 수가 있다.
서브 복조 매칭용 피드백부(116)는 서브 복조부(114)로부터 출력되는 복조된 원래의 신호가 적정 출력 주파수 범위를 벗어날 경우에, 복조된 원래의 신호가 적정 출력 주파수 범위가 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서브 구동부(112)에 복조된 원래의 신호를 피드백시켜 매칭시킬 수가 있다.
제 2 연결 잭(105)은 몸체(101)의 외측 타단에 제공되고 분배부(104)의 선택적인 동작에 의해 분배부(104)로부터 소정의 비율로 분배되어 출력되는 입력 주파수 신호(RF)중 제 3 입력 주파수 신호(RF3)를 선택적으로 공급받도록 제공된다.
또한, 제 2 연결 잭(105)은 감쇠부(103)를 통해 적정 레벨의 범위로 전계의 강도가 감쇠된 입력 주파수 신호(RF)중 제 4 입력 주파수 신호(RF4)를 선택적으로 공급받아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외부 기기(미도시)로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외부 기기(미도시)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가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는 PDP TV, LCD TV, OLED TV, 3D PDP TV, 3D LCD TV, 3D OLED TV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튜너용 구동 시스템(100)은 몸체(101), 제 1 연결 잭(102), 감쇠부(103), 분배부(104), 메인 구동부(106), 적어도 하나의 서브 구동부(112), 제 2 연결 잭(105)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튜너용 구동 시스템(100)은 분배부(104)의 턴온 스위칭 동작을 통해 감쇠부(103)로부터 공급되는 적정 레벨의 범위로 전계의 강도가 감쇠된 입력 주파수 신호(RF)를 소정의 비율로 분배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튜너용 구동 시스템(100)은 분배부(104)의 턴오프 스위칭 동작을 통해 감쇠부(103)로부터 공급되는 적정 레벨의 범위로 전계의 강도가 감쇠된 입력 주파수 신호(RF)중 제 4 입력 주파수 신호(RF4)를 제 2 연결 잭(105)으로 제공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튜너용 구동 시스템(100)은 분배부(104)를 슬림하게 제작하면서 부품비용을 줄일 수가 있으므로, 듀얼 튜너의 크기를 줄이면서 제작비용의 상승을 억제시킬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튜너용 구동 시스템(100)은 메인 복조 매칭용 피드백부(110)와 서브 복조 매칭용 피드백부(116)를 포함하므로, 듀얼 튜너의 복조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튜너용 구동 시스템(100)은 제 1 증폭 레벨 매칭용 피드백 수단(104f)과 제 2 증폭 레벨 매칭용 피드백 수단(104g)을 포함하므로, 듀얼 튜너의 주파수 증폭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듀얼 튜너용 구동 시스템 101 : 몸체
102 : 제 1 연결 잭 103 : 감쇠부
104 : 분배부
104a : 입력 주파수 신호 스위칭 수단
104b : 입력 주파수 신호 분배 수단
104c : 제 1 증폭 수단 104d : 제 2 증폭 수단
104e : 제 3 증폭 수단
104f : 제 1 증폭 레벨 매칭용 피드백 수단
104g : 제 2 증폭 레벨 매칭용 피드백 수단
105 : 제 2 연결 잭 106 : 메인 구동부
108 : 메인 복조부 110 : 메인 복조 매칭용 피드백부
112 : 서브 구동부 114 : 서브 복조부
116 : 서브 복조 매칭용 피드백부

Claims (25)

  1. 몸체와;
    상기 몸체의 외측 일단에 제공되어 입력 주파수 신호를 공급하는 제 1 연결 잭과;
    상기 몸체의 내부에 제공되고 상기 제 1 연결 잭을 통해 상기 입력 주파수 신호를 공급받아 적정 레벨의 범위로 전계의 강도를 감쇠시키는 감쇠부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제공되고 상기 감쇠부를 통해 적정 레벨의 범위로 전계의 강도가 감쇠된 입력 주파수 신호를 선택적으로 공급받아 소정의 비율로 분배하는 분배부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제공되고 상기 분배부를 통해 소정의 비율로 분배되어 출력되는 입력 주파수 신호중 제 1 입력 주파수 신호를 공급받아 동작하는 메인 구동부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제공되고 상기 분배부를 통해 소정의 비율로 분배되어 출력되는 입력 주파수 신호중 제 2 입력 주파수 신호를 공급받아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구동부; 및
    상기 몸체의 외측 타단에 제공되고 상기 분배부의 선택적인 동작에 의해 상기 분배부로부터 소정의 비율로 분배되어 출력되는 입력 주파수 신호중 제 3 입력 주파수 신호를 선택적으로 공급받거나, 상기 감쇠부를 통해 적정 레벨의 범위로 전계의 강도가 감쇠된 입력 주파수 신호중 제 4 입력 주파수 신호를 선택적으로 공급받아 외부 기기로 제공하는 제 2 연결 잭을 포함하며,
    상기 분배부는,
    상기 감쇠부를 통해 공급되는 상기 적정 레벨의 범위로 전계의 강도가 감쇠된 입력 주파수 신호를 출력하도록 턴온 스위칭 동작하거나, 상기 감쇠부를 통해 공급되는 상기 적정 레벨의 범위로 전계의 강도가 감쇠된 입력 주파수 신호중 상기 제 4 입력 주파수 신호를 상기 제 2 연결 잭으로 제공하도록 턴온프 스위칭 동작하는 입력 주파수 신호 스위칭 수단과;
    상기 입력 주파수 신호 스위칭 수단의 상기 턴온 스위칭 동작에 의해 스위칭 되어 공급되는 상기 적정 레벨의 범위로 전계의 강도가 감쇠된 입력 주파수 신호를 소정의 비율로 분배하는 입력 주파수 신호 분배 수단과;
    상기 입력 주파수 신호 분배 수단을 통해 상기 소정의 비율로 분배되어 출력되는 상기 제 1 입력 주파수 신호를 적정 주파수 레벨의 범위로 증폭시켜, 상기 적정 주파수 레벨의 범위로 증폭된 제 1 입력 주파수 신호를 상기 메인 구동부로 제공하는 제 1 증폭 수단과;
    상기 입력 주파수 신호 분배 수단을 통해 상기 소정의 비율로 분배되어 출력되는 상기 제 2 입력 주파수 신호를 적정 주파수 레벨의 범위로 증폭시켜, 상기 적정 주파수 레벨의 범위로 증폭된 제 2 입력 주파수 신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구동부로 제공하는 제 2 증폭 수단; 및
    상기 입력 주파수 신호 분배 수단을 통해 상기 소정의 비율로 분배되어 출력되는 상기 제 3 입력 주파수 신호를 적정 주파수 레벨의 범위로 증폭시켜, 상기 적정 주파수 레벨의 범위로 증폭된 제 3 입력 주파수 신호를 상기 제 2 연결 잭으로 제공하는 제 3 증폭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증폭 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 1 증폭 수단으로 출력되는 상기 증폭된 제 1 입력 주파수 신호가 상기 적정 주파수 레벨의 범위를 벗어날 경우에,
    상기 증폭된 제 1 입력 주파수 신호가 상기 적정 주파수 레벨의 범위가 되도록 상기 제 1 증폭 수단에 상기 증폭된 제 1 입력 주파수 신호를 피드백시켜 매칭시키는 제 1 증폭 레벨 매칭용 피드백 수단을 포함하는 듀얼 튜너용 구동 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주파수 신호 스위칭 수단은,
    전원 전압원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 공급 단자와;
    상기 전원 공급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원 공급 단자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전원의 레벨을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저항과;
    일단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저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감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저항에 의해 조절된 전원으로 스위칭 턴온되어 상기 감쇠부를 통해 공급되는 상기 적정 레벨의 범위로 전계의 강도가 감쇠된 입력 주파수 신호를 상기 입력 주파수 신호 분배 수단으로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스위칭 다이오드와;
    일단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스위칭 다이오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스위칭 다이오드의 턴오프 스위칭 동작에 의해 상기 감쇠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적정 레벨의 범위로 전계의 강도가 감쇠된 입력 주파수 신호중 상기 제 4 입력 주파수 신호에 해당하는 전압의 레벨을 조절하여 상기 제 2 연결 잭으로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저항을 포함하는 듀얼 튜너용 구동 시스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증폭 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 2 증폭 수단으로 출력되는 상기 증폭된 제 2 입력 주파수 신호가 상기 적정 주파수 레벨의 범위를 벗어날 경우에,
    상기 증폭된 제 2 입력 주파수 신호가 상기 적정 주파수 레벨의 범위가 되도록 상기 제 2 증폭 수단에 상기 증폭된 제 2 입력 주파수 신호를 피드백시켜 매칭시키는 제 2 증폭 레벨 매칭용 피드백 수단을 포함하는 듀얼 튜너용 구동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구동부로부터 출력되는 제 1 출력 주파수 신호 또는 제 2 출력 주파수 신호중 적어도 하나의 출력 주파수 신호를 원래의 신호로 복조시키는 메인 복조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복조부로부터 출력되는 복조된 원래의 신호가 적정 출력 주파수 범위를 벗어날 경우에, 상기 복조된 원래의 신호가 상기 적정 출력 주파수 범위가 되도록 상기 메인 구동부에 상기 복조된 원래의 신호를 피드백시켜 매칭시키는 메인 복조 매칭용 피드백부를 포함하는 듀얼 튜너용 구동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구동부로부터 출력되는 제 3 출력 주파수 신호 또는 제 4 출력 주파수 신호중 적어도 하나의 출력 주파수 신호를 원래의 신호로 복조시키는 서브 복조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 복조부로부터 출력되는 복조된 원래의 신호가 적정 출력 주파수 범위를 벗어날 경우에, 상기 복조된 원래의 신호가 상기 적정 출력 주파수 범위가 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구동부에 상기 복조된 원래의 신호를 피드백시켜 매칭시키는 서브 복조 매칭용 피드백부를 포함하는 듀얼 튜너용 구동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쇠부는 Attenuator를 포함하는 듀얼 튜너용 구동 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부는 Splitter IC를 포함하는 듀얼 튜너용 구동 시스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구동부는 Chip Tuner IC를 포함하는 듀얼 튜너용 구동 시스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구동부는 Chip Tuner IC를 포함하는 듀얼 튜너용 구동 시스템.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증폭 수단은 제 1 Power Amplifier를 포함하는 듀얼 튜너용 구동 시스템.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증폭 수단은 제 2 Power Amplifier를 포함하는 듀얼 튜너용 구동 시스템.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증폭 수단은 제 3 Power Amplifier를 포함하는 듀얼 튜너용 구동 시스템.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입력 주파수 신호는 제 1 RF 입력 주파수 신호인 듀얼 튜너용 구동 시스템.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입력 주파수 신호는 제 2 RF 입력 주파수 신호인 듀얼 튜너용 구동 시스템.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입력 주파수 신호는 제 3 RF 입력 주파수 신호인 듀얼 튜너용 구동 시스템.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입력 주파수 신호는 제 4 RF 입력 주파수 신호인 듀얼 튜너용 구동 시스템.
  1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출력 주파수 신호는 제 1 AIF(Analog Intermediate Frequency) 신호인 듀얼 튜너용 구동 시스템.
  2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출력 주파수 신호는 제 1 DIF(Digital Intermediate Frequency) 신호인 듀얼 튜너용 구동 시스템.
  2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출력 주파수 신호는 제 2 AIF(Analog Intermediate Frequency) 신호인 듀얼 튜너용 구동 시스템.
  2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출력 주파수 신호는 제 2 DIF(Digital Intermediate Frequency) 신호인 듀얼 튜너용 구동 시스템.
  2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섀시를 포함하는 듀얼 튜너용 구동 시스템.
  2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기기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듀얼 튜너용 구동 시스템.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PDP TV, LCD TV, OLED TV, 3D PDP TV, 3D LCD TV, 3D OLED TV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듀얼 튜너용 구동 시스템.
KR1020100081388A 2010-08-23 2010-08-23 듀얼 튜너용 구동 시스템 KR1016839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1388A KR101683905B1 (ko) 2010-08-23 2010-08-23 듀얼 튜너용 구동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1388A KR101683905B1 (ko) 2010-08-23 2010-08-23 듀얼 튜너용 구동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8512A KR20120018512A (ko) 2012-03-05
KR101683905B1 true KR101683905B1 (ko) 2016-12-07

Family

ID=46127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1388A KR101683905B1 (ko) 2010-08-23 2010-08-23 듀얼 튜너용 구동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390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2545B1 (ko) * 2007-07-10 2008-12-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듀얼 튜너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4187U (ko) * 1996-12-31 1998-10-07 조희재 튜너의 자동주파수 제어장치
EP2162986B1 (en) * 2007-06-29 2013-02-13 Thomson Licensing Tuner circuit with loop through function
KR101026063B1 (ko) * 2008-04-21 2011-04-04 삼성전기주식회사 방송수신용 프론트엔드 모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2545B1 (ko) * 2007-07-10 2008-12-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듀얼 튜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8512A (ko) 2012-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3147B1 (ko) 듀얼 밴드 튜너 모듈
KR101683905B1 (ko) 듀얼 튜너용 구동 시스템
CN103023435A (zh) 卫星广播接收机的低噪声变频器
JP2013135270A (ja) 受信装置及び画像表示機器
KR20110127541A (ko) 튜너부 및 액티브안테나가 일체형 모듈로 통합된 카오디오 시스템
CN104469214A (zh) Ku波段单本振双输出高频头
KR20080007722A (ko) Rf 루프쓰루의 출력선택 기능을 갖는 디지탈 듀얼 튜너
JPWO2018037687A1 (ja) 受信装置および受信システム
KR10154992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JP3126244U (ja) ブースター
KR20080111470A (ko) 디플렉스 프론트 엔드를 이용한 능동 분배기 장치 및 방법
KR20120014984A (ko) 듀얼 튜너용 구동 시스템
JP4675943B2 (ja) 高周波増幅器
KR101693867B1 (ko) 듀얼 튜너용 구동 시스템
KR100799850B1 (ko) 듀얼밴드 튜너모듈
KR200420810Y1 (ko) 차량용 안테나를 이용한 라디오 및 디엠비 겸용 수신기
KR20120016823A (ko) 듀얼 튜너용 구동 시스템
JP2005198075A (ja) 分配器及びそれを用いた放送信号受信システム
KR101070044B1 (ko) Agc 스위칭기능을 갖는 디지털 튜너
JP3125859U (ja) ブースター
KR100828643B1 (ko) 고주파 수신장치
KR20090111265A (ko) 방송수신용 프론트엔드 모듈
KR100650107B1 (ko) 오디오 및 비디오신호 무선전송장치
KR20080026715A (ko) 디지털 방송수신장치 및 그 저잡음증폭기모듈
KR101736995B1 (ko) 공통 모드 노이즈 제거 방법, 상기 방법을 이용한 avn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