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3637B1 - 채광용 루버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채광용 루버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3637B1
KR101683637B1 KR1020150090884A KR20150090884A KR101683637B1 KR 101683637 B1 KR101683637 B1 KR 101683637B1 KR 1020150090884 A KR1020150090884 A KR 1020150090884A KR 20150090884 A KR20150090884 A KR 20150090884A KR 101683637 B1 KR101683637 B1 KR 1016836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uver
angle
bracket
fixing plate
rotat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0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용선
Original Assignee
(주)유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창 filed Critical (주)유창
Priority to KR1020150090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36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3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36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34Grid-like or open-work ceilings, e.g. lattice type box-like modules, acoustic baffles
    • E04B9/36Grid-like or open-work ceilings, e.g. lattice type box-like modules, acoustic baffles consisting of parallel sla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4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66Devices or accessories for making or mounting lamellar blinds or par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8Other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채광용 루버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루버의 설치 각도가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루버의 설치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채광용 루버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유리 천장으로부터 하방으로 설치된 복수의 행거부;상기 행거부에 걸려 지지되며, 상기 유리 천장을 복수로 구획하는 고정판;상기 고정판에 의해 구획된 공간을 향해 설치되되, 고정판의 길이 방향으로 고정판의 측면에 복수로 설치된 각도조절구;상기 고정판에 의해 구획된 공간에 배치되되, 고정판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로 배치되어 유리 천장을 통해 조사되는 자연광의 각도를 조절하는 루버;상기 루버의 양측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루버를 각도조절구에 결합시키며, 루버의 설치 각도를 유지시키는 회전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상기 각도조절구와 회전체는 서로 치차(齒車)에 의해 맞물려 결합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광용 루버 설치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채광용 루버 설치구조{A louver installation structure for lighting}
본 발명은 채광용 루버 설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채광을 위한 루버의 설치 각도가 정확하고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한 채광용 루버 설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건물의 고층화에 따른 구조체 및 외피의 경량화와 창의 면적증가로건물 전체 열손실의 40%를 차지하는 외피의 열성능을 더욱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또한 커튼월의 입면을 가진 국내의 고층 건물들은 자연 환기보다는 기계식 강제환기를 적용하고, 자연 채광 보다는 인공조명에 의존함으로써 에너지를 낭비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밀폐된 거주공간 내의 거주자들에게 건물병 증후군(Sick Building Syndrome)과 같은 불쾌감이나 통증, 각종 질병 등을 유발시켜 거주자의 건강에 나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와 같은 나쁜 영향을 해소하기 위해, 최근에는 채광 또는 환기의 목적으로 건물의 측면이나 천장에 창을 설치하여, 상기 창을 통해 태양광이 실내로 유입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창은 자연 채광의 효과도 있지만, 태양열이 유입되어 냉방부하의 손실이 발생하여 에너지 효율이 떨어지고, 직사 일광에 의해 현휘가 발생하여 시환경이 불량하고 실내 조도가 균일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천장의 하방에 루버를 설치하여 자연채광의 조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자연채광의 조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루버의 설치구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천장에는 복수의 행거볼트(10)가 설치되고, 복수의 행거볼트(10)는 이웃하는 행거볼트(10)와 함께 캐링채널(20)을 지지한다.
상기 캐링채널(20)은 행거클립(30)에 의해 행거볼트(10)에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캐링채널(20)에는 길이 방향으로 패널 형태의 고정판(40)이 복수로 설치된다.
상기 고정판(40)은 루버(50)가 고정되는 구성이며, 캐링채널(20)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된다.
즉, 루버(50)는 상기 고정판(40) 사이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것이다.
한편, 루버(50)는 천장을 통한 자연채광의 조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며, 고정판(40)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고정된다.
이때, 루버(50)는 작업자에 의해 피스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며, 루버(50)의 설치 각도는 설계자에 의해 정해진다.
즉, 건물 실내의 용도 및 자연 채광의 조도를 고려하여, 루버(50)의 설치각도를 조절해놓음으로써 효과적인 자연채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의 루버 설치구조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첫째, 작업자가 루버(50)를 고정하는 과정에서, 루버(50)의 고정각도는 작업자에 의해 어림되므로, 고정판(40) 사이에 설치된 복수의 루버(50)들은 획일적인 통일감을 주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자연채광의 조도 효율을 극대화하지 못하였으며, 천장에 설치된 루버의 심미감을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었다.
둘째, 계절 변화 등의 여러 요인으로 인해 자연 채광의 조도에 변화가 생길 때, 상기 루버(50)의 설치각도도 조절되어야 하는바, 피스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된 루버(50)를 고정판(40)으로부터 분리한 후 새로운 각도로 루버(50)를 재고정해야 하는 일련의 작업은 매우 불편하여 작업성을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번호 10-2014-0135553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루버 설치 각도가 모두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고, 루버 설치 각도 조정 작업의 편의성을 높인 채광용 루버 설치구조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유리 천장으로부터 하방으로 설치된 복수의 행거부;상기 행거부에 걸려 지지되며, 상기 유리 천장을 복수로 구획하는 고정판;상기 고정판에 의해 구획된 공간을 향해 설치되되, 고정판의 길이 방향으로 고정판의 측면에 복수로 설치된 각도조절구;상기 고정판에 의해 구획된 공간에 배치되되, 고정판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로 배치되어 유리 천장을 통해 조사되는 자연광의 각도를 조절하는 루버;상기 루버의 양측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루버를 각도조절구에 결합시키며, 루버의 설치 각도를 유지시키는 회전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각도조절구와 회전체는 서로 치차(齒車)에 의해 맞물려 결합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광용 루버 설치구조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루버는, 적어도 일측 이상이 개구된 개구부가 형성되며, 양측에 회전체가 설치되도록 구성된 브라켓;상기 브라켓의 개구부를 통해 탈착되며, 자연광을 차폐하는 패널:로 구성되되, 상기 브라켓의 양측에는 측면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고정공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체에는 상기 고정공에 대응되는 복수의 체결공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브라켓은 개구부를 형성하는 둘레에 패널이 이탈되지 않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 격벽이 더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브라켓의 내측 양측면에는 탈착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패널의 양측면에는 각각, 탈착홈에 대응되는 설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홈에는 탄성부재에 의해 설치홈을 드나들면서 상기 탈착홈에 삽입되거나 이탈되면서 브라켓에 패널을 구속하는 탈착부가 더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각도조절구는, 서로 대향된 고정판의 대향면에 각각 결합되되, 회전체가 삽입되는 삽입공을 형성하며, 상기 삽입공의 내주면에는 그 내주면을 따라 복수의 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체는 루버의 양측면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각도조절구의 삽입공에 삽입되되, 회전체의 외주면에는 상기 복수의 요홈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맞물려 결합되는 돌기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각도조절구에 형성된 요홈은, 삽입공을 정면에서 봤을 때 0도에서 90도의 범위 및 180도에서 270도의 범위에 각각, 복수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채광용 루버 설치구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치차가 맞물려 결합되는 각도조절구 및 회전체가 고정판과 루버에 각각 마련됨으로써, 모든 루버의 각도가 균일하게 제공되어 설치될 수 있다.
즉, 루버의 설치 각도를 맞추기 위해 작업자는 루버의 설치 각도를 어림할 필요 없이 회전체의 돌기 및 각도조절구의 요홈을 맞물리기만 하면 되므로, 천장 상에서 모든 루버의 설치 각도를 균일하게 맞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계절이나 외부 환경 변화로 인해 루버의 설치 각도를 변경하거나, 천장을 임의로 구획하여 구획마다 루버의 설치 각도를 변경할 경우, 루버의 설치 각도 변경 작업에 대한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회전체로부터 루버를 분리하고, 각도조절구로부터 회전체만 분리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체를 돌려 각도조절구에 결합한 후 루버를 조립하면 되므로 루버 설치 각도 변경 작업의 편의성 및 각도의 균일성은 높아질 수 있는 것이다.
셋째, 루버는 브라켓과 패널로 분리되어 제공됨으로써, 루버 설치 작업시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패널이 분리되어 브라켓 안에서 패널 크기 만큼의 공간이 확보될 수 있으므로, 각도조절구의 회전체에 브라켓을 결합하거나 분리하는 과정에서, 볼팅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채광용 루버 설치 구조를 측면에서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채광용 루버 설치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채광용 루버 설치구조에서 각도조절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채광용 루버 설치 구조에서 루버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채광용 루버 설치 구조에서 루버와 고정판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a 내지 6g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채광용 루버 설치 구조의 각도조절구에 의해 루버의 각도 조절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나타낸 작용도
도 7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채광용 루버 설치 구조의 루버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7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채광용 루버 설치 구조의 루버를 나타낸 정단면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도 2 내지 도 6g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채광용 루버 설치구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채광용 루버 설치구조는 행거부(100)와, 고정판(200)과, 각도조절구(300)와, 루버(400)와, 회전체(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행거부(100)는 유리 천장에 설치되어 고정판(200) 및 루버(400)를 매달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행거부(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행거볼트(110)와, 행거클립(120)을 포함한다.
행거볼트(110)는 유리 천장에 고정되는 부위이며, 유리 천장에 복수로 설치된다.
상기 행거클립(120)은 행거볼트(110)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후술하는 고정판(20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행거부(100)의 구성은 상기한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고정판(200)을 지지할 수 있는 구성이면 무방하다.
다음으로, 고정판(200)은 루버(400)를 설치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천장을 복수로 구획하도록 마련된다.
고정판(200)은 양면이 평평하게 형성된 긴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판(200)은 행거부(100)의 행거클립(120)에 걸려 지지되므로, 천장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설치된다.
이와 같이 고정판(200)이 설치된 유리 천장은 고정판(200)에 의해 복수로 구획되며, 이웃하는 고정판(200) 사이에는 일정 간격의 공간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각도조절구(300)는 회전체(500)와 함께, 자연광을 차폐하는 루버(400)의 각도가 용이하게 조절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각도조절구(300)는 모든 루버(400)의 각도가 균일하게 유지되도록 하거나, 일부 루버(400)의 각도만 다르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건물 내부로의 채광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각도조절구(300)는 서로 대향된 고정판(200)의 양측면에 각각 고정되되, 고정판(200)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 설치된다.
상기 각도조절구(300)는 고정판(200)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서 서로 마주하며, 마주하는 각도조절구(300)가 한 세트라 할 때, 그 세트의 개수는 루버(400)의 개수와 동일하다.
각도조절구(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는 양측이 관통된 삽입공(310)을 형성한다.
상기 삽입공(310)에는 회전체(500)가 삽입 배치되며, 삽입공(310)은 원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삽입공(310)의 내주면에는 복수의 요홈(311)이 형성된다.
상기 요홈(311)은 후술하는 회전체(500)의 돌기가 삽입되어, 회전체(500)의 회전을 구속시키는 구성이다.
또한, 요홈(311)이 복수로 형성됨으로써, 회전체(500)의 결합 각도는 상기 요홈(311)의 개수만큼 조절될 수 있다.
이때, 루버(400)의 회전 각도가 지면에 대하여 0도에서 90까지 제어됨을 감안할 때, 상기 요홈(311)이 형성된 범위는 삽입공(310)을 정면에서 봤을 때 삽입공(310)의 0도에서 90도 범위의 내주면에 복수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요홈(311)의 개수는 한정되지 않지만, 한 칸당 15도의 회전 각도가 제공될 수 있도록, 상기 요홈(311)은 7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요홈(311)은 삽입공(310)의 내주면 일측(0도에서 90도의 범위)에만 형성될 수도 있으나, 회전체(500)의 구속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삽입공(310)의 내주면 타측에도 복수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삽입공(310)의 내주면 타측이라 함은 삽입공(310)을 정면에서 봤을 때, 삽입공(310)의 180도에서 270도 범위의 내주면을 말한다.
그리고, 상기 각도조절구(300)의 둘레에는 고정판(200)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공(320)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루버(400)는 유리 천장을 통해 실내로 조사되는 자연광을 가리거나 개방하는 역할을 하며, 고정판(200) 사이에 이격된 공간에 배치된다.
상기 루버(400)는 고정판(200)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 마련되어 배치되며, 후술하는 회전체(500)에 의해 고정판(200)의 각도조절구(300)에 결합이 된다.
상기 루버(400)는 일체형으로 마련될 수도 있으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410)과 패널(420)로 분리되어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루버(400)의 설치 각도 조절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즉, 루버(400) 설치 각도 조절 작업시, 패널(420)을 분리하여 브라켓(410) 안에서 고정 작업을 위한 공간 확보가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루버(40)) 설치 각도 변경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브라켓(4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420)이 결합되기 위한 개구부를 형성하며, 브라켓(410)의 양측에는 후술하는 회전체(500)와의 결합을 위한 고정공(411)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공(411)은 브라켓(410) 측면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되며, 고정공(411)의 배열은 일직선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회전체(500)에 브라켓(410)이 고정된 후, 브라켓(410)의 각도가 복원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만약, 고정공(411)의 개수가 한 개일 경우, 브라켓(410)은 고정공(411)을 중심으로 외력에 의해 회전될 수 있는바, 상기 고정공(411)의 개수는 복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 브라켓(410)은 후술하는 패널(420)이 슬라이딩 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내측면에 슬라이딩홈(410a)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브라켓(410)은 채널(channel) 형태임이 바람직하나, 형태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패널(420)은 루버(400)를 구성하며, 자연광을 가리는 역할을 한다.
상기 패널(420)은 개구된 상태의 브라켓(410)을 막아 루버(400)로서의 완전한 구성을 제공하는데, 상기 패널(420)은 브라켓(410)의 개구부를 통해 슬라이딩홈(410a)을 따라 슬라이딩 되어 결합된다.
상기 패널(420)은 육면체임이 바람직하며, 브라켓(410)의 폭 및 개구된 홈부에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회전체(500)는 고정판(200) 사이에 루버(400)를 결합시키는 매개체임과 동시에, 루버(400)의 회전각도가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회전체(5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도조절구(300)의 삽입공(320)에 삽입되며,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410)의 양측면에 각각 결합이 된다.
회전체(500)는 삽입공(320)의 내경에 대응되며, 회전체(500)의 회전을 구속하는 돌기(510)를 형성한다.
돌기(51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삽입공(320) 상에서 각도조절이 이루어진 회전체(500)의 회전을 구속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각도조절구(300)의 요홈(311)에 맞물려 결합이 된다.
돌기(510)는 회전체(500)의 상단부 및 하단부 외주면에 각각 돌출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회전체(500)에는 브라켓(410)의 고정공(411)에 대응되는 체결공(520)이 형성된다.
즉, 회전체(500)에도 고정공(411)에 대응되도록 체결공(520)이 복수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회전체(500)는 체결공(520)과 고정공(411)을 통과하는 볼트에 의해 브라켓(410)의 외측면에 볼팅 결합된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채광용 루버 설치구조에 의한 루버의 설치 각도가 조절되는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유리 천장으로부터 행거부(100)가 설치되고, 그 행거부(100)에는 복수의 고정판(200)이 설치되어 고정판(200) 사이에는 이격된 공간이 형성된다.
이때, 서로 마주하는 고정판(200)의 대향면에는 각각, 고정판(200)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각도조절구(300)가 설치된다.
상기 각도조절구(300)는 결합공(320)을 통해 고정판(200)의 측면에 볼팅 결합된다.
이때, 각도조절구(300)의 삽입공(310)은 고정판(200) 사이의 이격된 공간을 향해 노출된다.
다음으로, 고정판(200) 사이에 고정판(200)의 길이 방향으로 루버(400)를 설치한다.
이를 위해, 마주하는 각도조절구(300)의 삽입공(310)에 각각, 회전체(500)를 삽입시킨다.
이때, 회전체(500) 삽입은 루버(400) 설치 각도가 고려되어야 한다.
즉,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버(400)를 지면에 대하여 90도로 설치하고자 할 경우, 회전체(500)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형성된 돌기(510)를 지면에 대하여 90도로 유지시킨 후, 상기 돌기(510)를 그대로 각도조절구(300)의 요홈(311)에 삽입시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삽입공(310) 상에서 회전체(500)는 구속이 되며, 회전체(500)에 형성된 체결공(520)의 배열 역시 지면에 대하여 90도를 유지한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고정판(200) 사이에 브라켓(410)을 배치시킨다.
이때, 브라켓(410)은 양측면에 형성된 고정공(411)이 회전체(500)에 형성된 체결공(520)에 그대로 대응되도록 배치된다.
즉, 브라켓(410)은 고정판(200) 사이에, 지면에 대하여 90도 상태로 배치되는 것이다.
이후, 볼트를 이용해 브라켓(410)의 고정공(411) 및 회전체(500)의 체결공(520)을 통해 볼팅 결합시킨다.
다음으로, 브라켓(410)의 개구부를 통해 패널(420)을 슬라이딩홈(410a)에 끼움 결합시킴으로써 루버(400) 설치가 완료된다.
한편, 루버(400)를 회전하여 설치하고자 할 경우, 도 6b 내지 도 6g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루버(400)의 각도를 달리하여 설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브라켓(410)으로부터 패널(420)을 분리한 후, 브라켓(410)의 양측에 고정된 볼트를 풀어 회전체(500)로부터 브라켓(410)을 분리시킨다.
다음으로, 각도조절구(300)의 삽입공(310)으로부터 회전체(500)를 분리한 후,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체(500)의 돌기(510)를 삽입공(310)의 요홈(311) 한 칸 옆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요홈(311) 한 칸당 각도는 15도씩 조절될 수 있으므로, 회전체(500)는 15도 회전된 것이다.
이때, 회전체(500)에 형성된 일직선의 체결공(520) 배열 각도 역시 15도 회전 상태임은 이해 가능하다.
다음으로, 브라켓(410)을 회전체(500)에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브라켓(410)에 형성된 고정공(411)을 회전체(500)에 형성된 체결공(520)에 대응시켜야 하므로, 상기 브라켓(410) 역시 15도 기울어진 상태로 고정판(200) 사이의 공간에 배치된다.
이후, 볼트를 이용해 브라켓(410)을 회전체(500)에 결합시킨다.
이후, 패널(420)을 브라켓(410) 사이에 억지 끼움 결합시킴으로써, 루버(400)는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 90도보다 15도 기울어진 75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루버(400)의 각도를 조절하고자 할 경우, 상기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도 6c 내지 도 6g를 통해 루버(400)의 각도가 60도 ~ 0도까지 가변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이로써, 유리 천장에 루버(400)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모든 루버(400)의 설치 각도를 균일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 일부 루버(400)의 설치 각도만 달리할 수 있으므로, 건물의 채광 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브라켓(410)에 패널(420)을 억지 끼움하여 결합하는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와 같은 구성은 브라켓(410)으로부터 패널(420)이 분리될 수 있는 문제가 야기될 수 있는바, 브라켓(410)으로부터 패널(420)이 용이하게 탈착될 수 있도록 하되, 브라켓(410)으로부터 패널(420)이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한 구성을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제시하며 첨부된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하기에 앞서 바람직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부호를 병기하도록 한다.
브라켓(410)은 개구부 둘레를 따라 가이드 격벽(412)을 형성한다.
가이드 격벽(412)은 브라켓(410)의 개구부를 통해 끼움 결합된 패널(420)이 분리되지 않도록 한 구성으로서, 브라켓(410)의 개구부 둘레로부터 내측을 향해 연장되게 형성하여 패널(420)의 이탈을 방지한 것이다.
이때, 브라켓(410)의 내측면에는 높이 방향으로 탈착홈(413)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패널(420)의 양측면에는 상기 탈착홈(413)에 탈착되는 탈착부(430)가 마련된다.
탈착부(430)는 상기 탈착홈(413)에 텐션을 갖고 출입되도록 한 구성으로서, 브라켓(410)에 대한 패널(420)의 탈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패널(420)의 양측면에는 탈착홈(413)에 대응되는 부위에 설치홈(421)이 형성된다.
상기 설치홈(421)에는 탄성부재(422)가 삽입 고정되며, 상기 탄성부재(422)에는 탈착부(430)가 고정이 된다.
상기 탈착부(430)는 탈착홈(413)에 용이하게 드나들 수 있는 구(球) 형태임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422)는 코일 스프링임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브라켓(410)에 패널(420)이 결합된 상태에서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홈(421)에서 탄성부재(422)가 수축된 상태로 탈착부(430)가 탈착홈(413)에 삽입되어 브라켓(410) 상에서 패널(420)의 결속력을 강화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브라켓(410)으로부터 패널(420)을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패널(420)을 상방으로 들어올리면, 탈착부(430)는 탄성부재(422)가 수축되면서 설치홈(421) 내부로 밀린다.
이에 따라, 패널(420)은 탈착부(430)가 브라켓(410)에 간섭되지 않게 되어, 브라켓(410)으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채광용 루버 설치구조는 루버의 설치 각도가 정확하고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도록 한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천장의 심미감을 깔끔하게 보이게 할 수 있으며, 임의로 천장의 일부만 루버 각도를 달리하여 제공함으로써 채광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행거부 200 : 고정판
300 : 각도조절구 310 : 삽입공
311 : 요홈 320 : 결합공
400 : 루버 410 : 브라켓
410a : 슬라이딩홈 411 : 고정공
412 : 가이드 격벽 413 : 탈착홈
420 : 패널 421 : 설치홈
422 : 탄성부재 500 : 회전체
510 : 돌기
520 : 체결공

Claims (6)

  1. 유리 천장으로부터 하방으로 설치된 복수의 행거부;
    상기 행거부에 걸려 지지되며, 상기 유리 천장을 복수로 구획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에 의해 구획된 공간을 향해 설치되되, 고정판의 길이 방향으로 고정판의 측면에 복수로 설치된 각도조절구;
    상기 고정판에 의해 구획된 공간에 배치되되, 고정판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로 배치되어 유리 천장을 통해 조사되는 자연광의 각도를 조절하는 루버;
    상기 루버의 양측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루버를 각도조절구에 결합시키며, 루버의 설치 각도를 유지시키는 회전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각도조절구와 회전체는 서로 치차(齒車)에 의해 맞물려 결합되도록 이루어고,
    상기 루버는,
    적어도 일측 이상이 개구된 개구부가 형성되며, 양측에 회전체가 설치되도록 구성된 브라켓;
    상기 브라켓의 개구부를 통해 탈착되며, 자연광을 차폐하는 패널:로 구성되되,
    상기 브라켓의 양측에는 측면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고정공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체에는 상기 고정공에 대응되는 복수의 체결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광용 루버 설치구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개구부를 형성하는 둘레에 패널이 이탈되지 않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 격벽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광용 루버 설치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내측 양측면에는 탈착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패널의 양측면에는 각각, 탈착홈에 대응되는 설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홈에는 탄성부재에 의해 설치홈을 드나들면서 상기 탈착홈에 삽입되거나 이탈되면서 브라켓에 패널을 구속하는 탈착부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광용 루버 설치구조.
  5. 제 1항, 제 3항,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구는,
    서로 대향된 고정판의 대향면에 각각 결합되되, 회전체가 삽입되는 삽입공을 형성하며, 상기 삽입공의 내주면에는 그 내주면을 따라 복수의 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체는 루버의 양측면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각도조절구의 삽입공에 삽입되되, 회전체의 외주면에는 상기 복수의 요홈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맞물려 결합되는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광용 루버 설치구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구에 형성된 요홈은, 삽입공을 정면에서 봤을 때 0도에서 90도의 범위 및 180도에서 270도의 범위에 각각, 복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광용 루버 설치구조.
KR1020150090884A 2015-06-26 2015-06-26 채광용 루버 설치구조 KR1016836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0884A KR101683637B1 (ko) 2015-06-26 2015-06-26 채광용 루버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0884A KR101683637B1 (ko) 2015-06-26 2015-06-26 채광용 루버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3637B1 true KR101683637B1 (ko) 2016-12-08

Family

ID=57576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0884A KR101683637B1 (ko) 2015-06-26 2015-06-26 채광용 루버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363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1559U (ko) 2019-01-03 2020-07-13 썬파크 주식회사 건축용 외장재 지지 구조
CN114016658A (zh) * 2021-11-22 2022-02-08 浙江易家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室内装修用生态木吊顶
CN114617070A (zh) * 2022-02-17 2022-06-14 戴雨珊 一种低能耗且可精准调节舍内光照的养殖舍屋顶采光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0483U (ko) * 1999-05-07 2000-12-05 박호식 환기창의 루버 밀폐장치
JP2001027084A (ja) * 1999-07-15 2001-01-3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門 扉
JP2007063960A (ja) * 2005-08-01 2007-03-15 Tokai Kinzoku Kogyo Kk ルーバーシステム
JP2013238064A (ja) * 2012-05-16 2013-11-28 Riken Light Metal Ind Co Ltd 天井ルーバーの取付構造
KR20140135553A (ko) 2013-05-16 2014-11-26 국일내외건축 주식회사 루버용 연결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루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0483U (ko) * 1999-05-07 2000-12-05 박호식 환기창의 루버 밀폐장치
JP2001027084A (ja) * 1999-07-15 2001-01-3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門 扉
JP2007063960A (ja) * 2005-08-01 2007-03-15 Tokai Kinzoku Kogyo Kk ルーバーシステム
JP2013238064A (ja) * 2012-05-16 2013-11-28 Riken Light Metal Ind Co Ltd 天井ルーバーの取付構造
KR20140135553A (ko) 2013-05-16 2014-11-26 국일내외건축 주식회사 루버용 연결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루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1559U (ko) 2019-01-03 2020-07-13 썬파크 주식회사 건축용 외장재 지지 구조
CN114016658A (zh) * 2021-11-22 2022-02-08 浙江易家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室内装修用生态木吊顶
CN114016658B (zh) * 2021-11-22 2022-11-29 浙江易家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室内装修用生态木吊顶
CN114617070A (zh) * 2022-02-17 2022-06-14 戴雨珊 一种低能耗且可精准调节舍内光照的养殖舍屋顶采光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74320B2 (en) Retrofit kit for drop ceiling lighting fixtures
US5777857A (en) Energy efficient lighting system
KR101683637B1 (ko) 채광용 루버 설치구조
US20150276125A1 (en) Frame and lens upgrade kits for lighting fixtures
US20100277934A1 (en) Retrofit kit and light assembly for troffer lighting fixtures
US10948142B2 (en) Universal troffer retrofit assembly
KR101141922B1 (ko) 자연채광이 가능한 건물의 이중외피
RU2015135201A (ru) Способ создания светового потока и карнизный протяжённый светильник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101352781B1 (ko) 광량조절 및 시공이 용이한 채광창
KR100471664B1 (ko) 실내 장식용 패널 부착장치
US10184644B2 (en) Light fixture bracket and light fixture assembly
US20180252032A1 (en) Fastening system for a decorative valance of a roller shade and/or blind and a decorative valance of a curtain provided with a fastening system
KR101544736B1 (ko) 엘이디 조명기구 조립체
EP2557355B1 (de) Leuchte
CA2998641C (en) Modular led troffer system
KR100932774B1 (ko) 건물 외장재 내부 설치형 경관조명등 부착장치
RU117571U1 (ru) Светильник модульный
CN219693103U (zh) 投光灯
KR102593157B1 (ko) 빛샘 방지 및 간편한 유지보수 구조를 가지는 라인 조명장치
US8523382B1 (en) Fluorescent lamp fixture and method of dissipating heat from same
WO2014042506A1 (en) Light bar assembly and its mounting arrangement
KR200463980Y1 (ko) 천정 매다는 등
KR20200047215A (ko) 천장등 장착장치
TW201920878A (zh) 具有在照明組件與驅動組件之間的獨立調整功能的嵌入式照明器材
RU150932U1 (ru) Светодиодный светильник (вариант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