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3416B1 - 전관방송 시스템 및 전관방송 시스템 오류 검출 방법 - Google Patents

전관방송 시스템 및 전관방송 시스템 오류 검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3416B1
KR101683416B1 KR1020160040109A KR20160040109A KR101683416B1 KR 101683416 B1 KR101683416 B1 KR 101683416B1 KR 1020160040109 A KR1020160040109 A KR 1020160040109A KR 20160040109 A KR20160040109 A KR 20160040109A KR 101683416 B1 KR101683416 B1 KR 1016834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aker
unit
output
test tone
imped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0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수양
Original Assignee
주수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수양 filed Critical 주수양
Priority to KR1020160040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34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3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34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61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local area broadcast, e.g. instore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5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emergency or urg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7/00Public address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9/00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 H04R29/001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for loudspeakers
    • H04R29/002Loudspeaker arr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러 구역에 전관방송을 출력하는 전관방송 시스템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스피커들과 이들을 연결하는 선로들 중에서 고장이 발생한 스피커 또는 선로를 검출할 수 있는 전관방송 시스템 및 전관방송 시스템 오류 검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관방송 시스템 및 전관방송 시스템 오류 검출 방법{Public address system and method for error detection in public address system}
본 발명은 전관방송 시스템 및 전관방송 시스템 오류 검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관방송 시스템의 선로 또는 스피커들 중 어느 선로나 어느 스피커에서 이상이 있는지 유무를 검출할 수 있는 전관방송 시스템 및 전관방송 시스템 오류 검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관방송 시스템이란 학교, 기업체, 빌딩, 아파트, 또는 호텔 등 단일 건물이나 인접 건물에서 원하는 지역의 전체, 층별, 구역별 방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된 시스템이다.
이러한 전관방송 시스템은 중앙 방송실에서 송신 장치를 설치하고, 각 회의실, 학급이나 호실 등의 방송수신 호실에 액정이나 스피커 등을 포함하는 수신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중앙 방송실에서 각 방송수신 호실로 방송을 전송하게 된다.
전관방송 시스템은 학교 내부에서 시험을 실시할 때, 병원이나 마트에서 안내 방송을 할 때, 기업체 내에서 전달 사항을 알릴 때에 매우 유용하다. 뿐만 아니라 비상 방송을 통해 화재 혹은 테러 발생 시 인명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중요성은 상당히 높다.
전관방송 시스템은 전관방송이 출력되는 여러 구역에 복수 개의 스피커들이 설치되며, 이들 스피커들은 선로를 통해 연결되는바, 일부 스피커 또는 일부 선로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는 전관방송이 출력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전관방송 시스템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 문제가 발생한 부분을 찾기 위해 적어도 2명 이상의 인원이 투입되어야 하며, 복수 개의 스피커 및 선로 중 어느 부분에서 문제가 발생하였는지를 검출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되도록 적은 인원으로 문제가 발생한 부분을 검출하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여러 구역에 전관방송을 출력하는 전관방송 시스템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스피커들과 이들을 연결하는 선로들 중에서 고장이 발생한 스피커 또는 선로를 검출할 수 있는 전관방송 시스템 및 전관방송 시스템 오류 검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관방송 시스템은, 복수 개의 방송 출력 구역에 전관방송을 출력할 수 있는 전관방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방송 출력 구역들 각각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스피커로 이루어지는 방송 출력부; 상기 방송 출력부에 상기 전관방송을 전송하는 메인 방송부; 및 상기 메인 방송부와 통신하고, 상기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음향을 감지하는 모바일 단말기; 를 구비하며, 상기 메인 방송부는 상기 메인 방송부, 상기 방송 출력부, 및 상기 메인 방송부와 상기 출력부를 연결하는 선로로 이루어진 방송 회로의 임피던스를 통해 상기 방송 회로 상의 이상 유무를 판별하며,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스피커들 각각에서 출력되는 상기 음향을 감지함으로써 상기 선로 또는 상기 스피커의 고장 유무를 판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방송부는, 상기 전관방송에 필요한 음원을 생성하는 음원 재생부; 상기 음원 재생부에서 재생되는 상기 음원을 증폭하는 앰프; 증폭된 상기 음원을 출력시키고자 하는 상기 방송 출력 구역의 상기 방송 출력부를 온오프시키는 스피커 셀렉터; 상기 메인 방송부 또는 상기 방송 출력부를 제어하고, 상기 방송 회로의 임피던스를 통해 상기 방송 회로 상의 이상 유무를 판별하는 메인 컨트롤러;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상기 방송 출력 구역에 설치된 상기 스피커들 각각이 갖는 임피던스를 합산하여 상기 방송 회로의 임피던스 합성값을 산출하는 임피던스 산출부; 상기 선로에 전류를 보내 상기 방송 출력 구역에 설치된 상기 스피커들의 임피던스를 측정하여 상기 방송 회로의 임피던스 측정값을 구하는 임피던스 측정부; 및 상기 임피던스 합성값과 상기 임피던스 측정값을 비교하여 상기 방송 회로 상에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이상 유무 판단부; 를 포함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상 유무 판단부는 상기 임피던스 합성값과 상기 임피던스 측정값을 비교하고, 상기 임피던스 합성값과 상기 임피던스 측정값의 차이가 소정의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방송 회로 상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방송부는 상기 임피던스 합성값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상기 저장부에 상기 임피던스 합성값이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색하는 임피던스 검색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임피던스 검색부는 상기 임피던스 산출부가 상기 임피던스 합성값을 선출하기 전에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임피던스 합성값이 있는지 여부를 검색하고, 상기 임피던스 합성값이 검색된 경우에는 상기 임피던스 산출부가 임피던스 합성값을 산출하지 않으며, 상기 이상 유무 판단부는 상기 임피던스 측정부에서 측정된 상기 임피던스 측정값과 상기 임피던스 검색부에 의해 검색된 상기 임피던스 합성값을 비교하여 상기 방송 회로 상의 이상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상기 음향을 감지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 상기 메인 방송부가 상기 스피커들에 테스트 톤을 출력하도록 상기 메인 방송부에 테스트 톤 송출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통신부; 및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송출 요청 신호를 발생시키며, 상기 마이크에서의 상기 테스트 톤 감지 여부에 따라 상기 방송 회로 상의 상기 선로 또는 상기 스피커 중 어느 선로 또는 어느 스피커에서 고장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별하는 단말기 제어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제어부는, 상기 메인 방송부에 의해 상기 방송 회로 상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별된 경우, 상기 테스트 톤 송출 요청 신호를 발생하고, 이상이 있는 상기 방송 회로 상의 n번째 스피커에서 상기 테스트 톤이 발생하는 여부를 상기 마이크에서의 상기 테스트 톤 감지 여부에 따라 판별하며, 상기 n번째 스피커에서 테스트 톤을 출력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n번째 스피커에 이웃하는 n+1번째 스피커에서 테스트 톤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상기 n+1번째 스피커에서 상기 테스트 톤이 출력된 경우 상기 n번째 스피커에 고장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n+1번째 스피커에서 상기 테스트 톤이 출력되지 않는 경우 n-1번째 스피커와 상기 n번째 스피커 사이의 선로에 고장이 있는 것으로 판단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제어부는,상기 n번째 스피커에서 상기 테스트 톤을 출력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n번째 스피커에 이웃하는 n+1번째 스피커에서 테스트 톤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상기 n+1번째 스피커에서 상기 테스트 톤이 출력되지 않는 경우 n+2번째 스피커에서 상기 테스트 톤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상기 n+2번째 스피커에서 상기 테스트 톤이 출력된 경우 상기 n+1번째 스피커에 고장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n+2번째 스피커에서 상기 테스트 톤이 출력되지 않는 경우 n번째 스피커와 상기 n+1번째 스피커 사이의 선로에 고장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제어부는, n=1인 첫 번째 스피커에서의 상기 테스트 톤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첫 번째 스피커 또는 상기 첫 번째 스피커와 상기 메인 방송부 사이의 선로에 고장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제어부는, 상기 n번째 스피커에서 테스트 톤을 출력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n번째 스피커에 음량 조절 회로가 있는지 여부를 상기 사용자가 확인하도록 요청하는 확인 요청 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음량 조절 회로를 조절한 후 상기 n번째 스피커에서 상기 테스트 톤이 출력되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제어부는, 상기 메인 방송부로 하여금 상기 방송 출력 구역에 설치된 상기 스피커에서 상기 테스트 톤을 출력하도록 하는 테스트 톤 송출제어 신호를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생성하는 신호 생성부; 상기 마이크가 상기 스피커에서 발생하는 상기 테스트 톤을 감지하는 여부에 따라 상기 스피커에서 상기 테스트 톤이 발생하는 여부를 판별하는 테스트 톤 검출부; 및 n번째 스피커에서 상기 테스트 톤이 발생하지 않고 n+1번째 스피커에서 상기 테스트 톤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 n-1번째 스피커와 상기 n번째 스피커 사이의 선로에 고장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n번째 스피커에서 테스트 톤이 발생하지 않고 n+1번째 스피커에서 테스트 톤이 발생한 경우 상기 n번째 스피커에 고장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고장 여부 판단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복수 개의 방송 출력 구역에 전관방송을 출력할 수 있는 전관방송 시스템 오류 검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관방송 시스템은, 전관방송이 출력되는 복수 개의 방송 출력 구역들 각각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스피커로 이루어지는 방송 출력부; 상기 방송 출력부에 상기 전관방송을 전송하는 메인 방송부; 및 상기 메인 방송부와 통신하고, 상기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음향을 감지하는 모바일 단말기; 를 구비하고, 상기 전관방송 시스템 오류 검출 방법은, 상기 메인 방송부, 상기 출력부, 및 상기 메인 방송부와 상기 출력부를 연결하는 선로로 이루어진 방송 회로의 임피던스를 통해 상기 방송 회로 상의 이상 유무를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스피커들 각각에서 출력되는 상기 음향을 감지함으로써 상기 선로 또는 복수 개의 상기 스피커들 중 어느 선로 또는 어느 스피커에서 고장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별하는 단계; 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방송 회로 상의 이상 유무를 판별하는 단계는, 상기 방송 출력 구역에 설치된 상기 스피커들 각각이 갖는 임피던스를 합산하여 상기 방송 회로의 임피던스 합성값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선로에 전류를 보내 상기 방송 출력 구역에 설치된 상기 스피커들의 임피던스를 측정하여 상기 방송 회로의 임피던스 측정값을 구하는 단계; 및 상기 임피던스 합성값과 상기 임피던스 측정값을 비교하여 상기 방송 회로 상에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방송 회로 상에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임피던스 합성값과 상기 임피던스 측정값을 비교하고, 상기 임피던스 합성값과 상기 임피던스 측정값의 차이가 소정의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방송 회로 상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방송 회로의 임피던스 합성값을 산출하는 단계 전에, 상기 메인 방송부에 상기 임피던스 합성값이 저장되어 있는지를 검색하며, 상기 임피던스 합성값이 검색된 경우에는 상기 임피던스 합성값을 산출하지 않으며, 측정된 상기 임피던스 측정값과 검색된 상기 임피던스 합성값을 비교하여 상기 방송 회로 상의 이상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어느 선로 또는 어느 스피커에서 고장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별하는 단계는, 상기 방송 회로 상의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별된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의한 상기 메인 방송부의 원격제어에 의해 상기 스피커에서 테스트 톤을 출력하게 하는 단계; 이상이 있는 상기 방송 회로 상의 n번째 스피커에서 상기 테스트 톤이 발생하는 여부를 상기 마이크에서의 상기 테스트 톤 감지 여부에 따라 판별하는 단계; 상기 n번째 스피커에서 상기 테스트 톤을 출력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n번째 스피커에 이웃하는 n+1번째 스피커에서 테스트 톤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n+1번째 스피커에서 상기 테스트 톤이 출력된 경우 상기 n번째 스피커에 고장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n+1번째 스피커에서 상기 테스트 톤이 출력되지 않는 경우 n-1번째 스피커와 상기 n번째 스피커 사이의 선로에 고장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어느 선로 또는 어느 스피커에서 고장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별하는 단계는, 상기 n번째 스피커에서 상기 테스트 톤을 출력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n번째 스피커에 이웃하는 n+1번째 스피커에서 테스트 톤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n+1번째 스피커에서 상기 테스트 톤이 출력되지 않는 경우 n+2번째 스피커에서 상기 테스트 톤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n+2번째 스피커에서 상기 테스트 톤이 출력된 경우 상기 n+1번째 스피커에 고장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n+2번째 스피커에서 상기 테스트 톤이 출력되지 않는 경우 n번째 스피커와 상기 n+1번째 스피커 사이의 선로에 고장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어느 선로 또는 어느 스피커에서 고장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별하는 단계는, n=1인 첫 번째 스피커에서의 상기 테스트 톤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첫 번째 스피커 또는 상기 첫 번째 스피커와 상기 메인 방송부 사이의 선로에 고장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어느 선로 또는 어느 스피커에서 고장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별하는 단계는, 상기 n번째 스피커에서 테스트 톤을 출력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n번째 스피커에 음량 조절 회로가 있는지 여부를 사용자가 확인하도록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음량 조절 회로를 조절한 후 상기 n번째 스피커에서 상기 테스트 톤이 출력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 개의 스피커를 구비하면서 여러 구역에 전관방송을 출력하는 전관방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스피커들과 이들을 연결하는 선로들 중에서 고장이 발생한 스피커 또는 선로를 검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관방송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메인 컨트롤러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모바일 단말기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단말기 제어부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관방송 시스템 오류 판별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전관방송 시스템의 선로 또는 스피커의 고장 유무 판별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전관방송 시스템의 선로 또는 스피커의 고장 유무 판별 방법에서 음량 조절 회로를 포함한 고장 판별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선로 또는 스피커의 고장 유무 판별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전관방송 시스템의 선로 또는 스피커의 고장 유무 판별 방법에서 음량 조절 회로를 포함한 고장 판별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관방송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메인 컨트롤러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모바일 단말기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관방송 시스템(1000)은 메인 방송부(100), 방송 출력부(200), 및 모바일 단말기(300)를 구비할 수 있다.
메인 방송부(100)는 방송 출력부(200)에 전관방송을 전송할 수 있다. 메인 방송부(100)는 전관방송에 필요한 음원을 재생하고 이를 증폭하며, 증폭된 음원을 복수 개의 방송 출력부(200)에 송출하여 상기 방송 출력부(200)가 설치된 방송 출력 구역 각각에 전관방송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메인 방송부(100)는 한 건물에서 층으로 구분되거나 한층에서 여러 구역으로 구분된 방송 출력 구역에 설치된 방송 출력부(200)와 연결되며 방송 출력부(200)에 전관방송을 송출하여 방송 출력부(200)로 하여금 상기 전관방송을 출력하도록 방송 출력부(200)를 제어할 수 있다. 메인 방송부(100)는 방송 출력부(200)를 이루고 있는 스피커(210)들의 전원을 온오프함으로써 복수 개의 방송 출력 구역 중 일부의 방송 출력 구역에만 전관 방송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메인 방송부(100)는 방송 출력부(200)의 스피커들의 임피던스를 측정함으로써 스피커 또는 스피커들을 연결하는 선로에 이상이 있는지 유무를 판별할 수 있다. 이에 관하여는 후술한다.
메인 방송부(100)는 일 예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원 재생부(110), 앰프(120), 스피커 셀렉터(130), 메인 컨트롤러(140), 통신부(150), 저장부(160), 및 비상판넬(170)을 포함할 수 있다.
음원 재생부(110)는 전관방송에 필요한 음원을 생성할 수 있다. 음원 재생부(110)는 카세트 테이프, LP(Longplayer record)와 같은 아날로그 신호 또는 mp3, WAV, FLAC, CD와 같은 디지털 신호를 메인 컨트롤러(140)에 보내어 방송 출력부(200)에 음원을 제공한다.
앰프(120)는 음원 재생부(110)에서 재생되는 음원을 증폭할 수 있다.
스피커 셀렉터(130)는 상기 음원을 출력시키고자 하는 방송 출력 구역의 방송 출력부(200)를 메인 컨트롤러(140)의 제어에 의해 증폭된 온오프시킬 수 있다. 스피커 셀렉터(130)는 방송 출력 구역을 사용자가 임의대로 조정하여 시험 방송, 안내 방송 등 적소에 원하는 방송을 송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방송 출력 구역(A1)에는 전관방송을 출력하고, 방송 출력 구역(A2)에는 전관방송을 출력하지 않는 경우 스피커 셀렉터(130)는 방송 출력 구역(A1)에 설치된 스피커들에는 전관방송을 송출하고, 방송 출력 구역(A2)에 설치된 스피커들에는 전관방송을 송출하지 않을 수 있다.
메인 컨트롤러(140)는 메인 방송부(100) 전체를 제어할 뿐만 아니라 방송 출력부(200)를 제어할 수 있으며, 방송 회로의 임피던스를 통해 상기 방송 회로 상의 이상 유무를 판별할 수 있다. 방송 회로는 선로에 의해 연결된 메인 방송부(100)와 하나의 방송 출력 구역에 설치된 방송 출력부(200)의 스피커(210)들을 의미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방송 출력 구역(A1)에 설치된 방송 출력부(200)의 스피커들과 선로에 의해 연결되는 메인 방송부(100)가 하나의 방송 회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방송 출력 구역(A2)에 설치된 방송 출력부(200)의 스피커들과 선로에 의해 연결되는 메인 방송부(100)가 또 다른 하나의 방송 회로를 형성할 수 있다.
메인 컨트롤러(140)는 하나의 방송 회로를 형성하는 스피커들과 선로의 임피던스를 합성한 임피던스 합성값과, 방송 출력 구역 내에 설치된 스피커들과 선로에서 측정된 임피던스 측정값을 비교하여 방송 회로 상에 이상이 있는지 유무를 판별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메인 컨트롤러(140)는 하나의 방송 회로 상에 설치된 방송 출력부(200)의 스피커들의 개수와 스피커들 각각의 임피던스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이들 임피던스를 합성하여 하나의 방송 회로의 임피던스 합성값을 구할 수 있다. 하나의 방송 출력 구역 내에 설치된 스피커들은 직렬로 연결되어 되어 있는바, 상기 스피커들 각각의 임피던스가 입력되면 메인 컨트롤러(140)는 입력된 임피던스를 합산하여 상기 방송 회로 상의 임피던스 합성값을 산출할 수 있다. 산출된 임피던스 합성값은 메인 컨트롤러(140)에 의해 저장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
메인 컨트롤러(140)는 하나의 방송 회로를 이루는 선로와 스피커들에 전류를 보내 상기 선로와 스피커들의 임피던스를 측정하여 방송 회로에서의 임피던스 측정값을 구할 수 있다.
메인 컨트롤러(140)는 상기 임피던스 합성값과 상기 임피던스 측정값을 비교하여 상기 방송 회로 상에 이상이 있는지 유무를 판별할 수 있다. 즉 메인 컨트롤러(140)는 상기 임피던스 합성값과 상기 임피던스 측정값을 서로 차감하고, 차감한 값이 소정의 범위 내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방송 회로 상에 이상이 없는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임피던스 합성값과 상기 임피던스 측정값을 차감한 값이 소정의 범위 내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방송 회로 상에 이상이 있는 것을 판별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임피던스 합성값의 경우 상기 방송 출력 구역 상에 설치된 스피커들 각각의 임피던스가 직렬로 연결된 상태를 기준으로 계산된 결과이지만, 임피던스 측정값은 스피커들이 선로에 의해 연결된 상태에서 측정된 값이므로 선로의 임피던스 값이 포함된다. 따라서 상기 방송 회로에 이상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임피던스 측정값과 상기 임피던스 합성값은 선로의 임피던스 값만큼의 차이가 존재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방송 회로 상에 이상이 있는 경우, 예를 들면 스피커들을 연결하는 선로의 단선이 있거나 스피커들 중 일부에 고장이 있는 경우에는 이상이 있는 선로나 스피커들의 임피던스가 측정되지 않는바 상기 임피던스 측정값과 상기 임피던스 합성값의 차이는 스피커들을 연결하는 선로의 임피던스 값 이상이 될 수 있다. 상술한 소정의 범위는 스피커들을 연결하는 선로들의 임피던스의 합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인 컨트롤러(1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임피던스 합성값과 상기 임피던스 측정값을 구하고, 이들을 서로 차감하여 비교함으로써 상기 방송 회로 상의 스피커들 또는 이들을 연결하는 선로에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다만 메인 컨트롤러(140)에서는 하나의 방송 회로 상에 이상이 있음을 판별할 수 있을 뿐이며, 상기 방송 회로를 이루고 있는 스피커들 또는 선로들 중 어느 스피커 또는 어느 선로에 이상이 있는지는 판별할 수 없다. 상기 방송 회로를 이루고 있는 스피커들 또는 선로들 중 어느 스피커 또는 어느 선로에 이상이 있는지는 본 발명의 모바일 단말기에 의해 판별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메인 컨트롤러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메인 컨트롤러(140)는 일 실시예로서 임피스던스 산출부(141), 임피던스 측정부(142), 이상 유무 판단부(143), 및 임피던스 비교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임피던스 산출부(141)는 상기 방송 출력 구역(A1, A2, A3,...)에 설치된 상기 스피커들 각각이 갖는 임피던스를 합산하여 상기 방송 회로의 임피던스 합성값을 산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방송 출력 구역(A1)에 설치된 방송 출력부(200)의 스피커들과 선로에 의해 연결되는 메인 방송부(100)가 하나의 방송 회로를 형성할 수 있으며, 임피던스 산출부(141)는 방송 출력 구역(A1)에 설치된 방송 출력부(200)의 스피커들 각각의 임피던스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상기 스피커들의 임피던스를 합성하여 임피던스 합성값을 산출할 수 있다.
임피던스 측정부(142)는 상기 하나의 방송 회로의 선로에 전류를 보내 상기 방송 출력 구역에 설치된 상기 스피커들의 임피던스를 측정하여 상기 방송 회로의 임피던스 측정값을 구할 수 있다. 임피던스 측정부(142)에서 측정된 임피던스 측정값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스피커들의 임피던스와 상기 스피커들을 연결하는 선로의 임피던스도 포함된다.
이상 유무 판단부(143)는 상기 임피던스 합성값과 상기 임피던스 측정값을 비교하여 상기 방송 회로 상에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이상 유무 판단부(143)는 상기 임피던스 합성값과 상기 임피던스 측정값을 비교하고, 상기 임피던스 합성값과 상기 임피던스 측정값의 차이가 소정의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방송 회로 상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임피던스 검색부(144)는 저장부(160)에 상기 임피던스 합성값이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색할 수 있다. 임피던스 검색부(144)는 임피던스 산출부(141)가 상기 임피던스 합성값을 산출하기 전에 저장부(160)에 저장된 상기 임피던스 합성값이 있는지 여부를 검색하고, 상기 임피던스 합성값이 검색된 경우에는 임피던스 산출부(141)는 방송 회로 상의 임피던스 합성값을 산출하지 않으며, 이상 유무 판단부(143)는 임피던스 측정부(142)에서 측정된 상기 임피던스 측정값과 임피던스 검색부(144)에 의해 검색된 상기 임피던스 합성값을 비교하여 상기 방송 회로 상의 이상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임피던스 합성값이 산출되어 저장된 경우에는 메인 컨트롤러(140)는 다시 스피커들 각각의 임피던스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산출할 필요없이 저장부(160)에 저장된 임피던스 합성값을 이용하여 방송 회로 상의 이상 유무를 판별할 수 있다.
통신부(150)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50)는 WLAN(Wireless LAN), 와이 파이(Wi-Fi),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300)와 상기 메인 방송부(100) 간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160)는 상기 임피던스 합성값을 저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메인 컨트롤러(140)(또는 임피던스 산출부(141))에 의해 산출된 상기 임피던스 합성값은 저장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
비상판넬(170)은 화재 발생과 같은 긴급 상황 시 상기 메인 방송부(100)와 상기 스피커 셀렉터(130)에서 전관방송이 출력될 것으로 지정된 방송 출력 구역의 정보와는 무관하게 모든 상기 방송 출력 구역의 방송 출력부(200)에 비상방송을 송출할 수 있다.
방송 출력부(200)는 복수 개의 스피커(210), 및 상기 스피커(210)와 상기 메인 방송부(100)를 잇는 선로(2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방송 출력부(200)는 방송 출력 구역(A1, A2, A3,...) 각각에 설치되어 상기 방송 출력 구역 각각에 메인 방송부(100)로부터 전송된 전관방송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스피커(210) 내부에는 음량 조절 회로(211)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음량 조절 회로(211)는 메인 방송부(100)에서 앰프(120)를 통해 증폭된 음원을 그대로 출력할 것인지, 혹은 음원의 량(量)을 조절해서 출력할 것인지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결정할 수 있다. 음량 조절 회로(211)는 어테뉴에이션(attenuation) 회로일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300)는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워치(Smart Watch),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노트북(Notebook) 등을 일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300)는 메인 방송부(100)와 통신하고, 스피커(210)에서 출력되는 음향을 감지할 수 있으며, 스피커(210)들 각각에서 출력되는 상기 음향을 감지함으로써 상기 방송 회로 상의 복수 개의 스피커들 또는 선로들 중에서 어느 스피커 또는 어느 선로에서 고장이 있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300)는 일 실시예로서 도 3과 같이 마이크(310), 통신부(320), 단말기 제어부(330), 입력부(340), 표시부(350), 및 저장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310)는 상기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상기 음향을 감지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마이크(310)는 상기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테스트 톤(test tone)을 감지할 수 있다.
통신부(320)는 메인 방송부(100)와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망은 WLAN(Wireless LAN), 와이 파이(Wi-Fi),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또는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일 수 있다.
통신부(320)는 메인 방송부(100)가 스피커(210)들에 테스트 톤을 출력하도록 메인 방송부(100)에 테스트 톤 송출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테스트 톤 송출 요청 신호를 수신한 메인 방송부(100)는 테스트 톤 신호를 생성하여 스피커(210)에 전송하여 스피커(210)가 테스트 톤을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단말기 제어부(33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테스트 톤 송출 요청 신호를 발생시키며, 마이크(310)에서의 상기 테스트 톤 감지 여부에 따라 상기 방송 회로 상의 선로들 또는 스피커들 중 어느 선로 또는 어느 스피커에서 고장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별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메인 방송부(100)에서 임피던스를 통해 상기 방송 회로 상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별된 경우, 단말기 제어부(33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테스트 톤 송출 요청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메인 방송부(100)에서 임피던스를 통해 상기 방송 회로 상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별된 경우,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기(300)를 가지고 이상이 발생한 방송 회로 상의 스피커들이 설치된 방송 출력 구역(A1)으로 이동한다.
상기 방송 출력 구역(A1)에 설치된 스피커에 인접한 모바일 단말기(30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테스트 톤 송출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메인 방송부(100)에 전송할 수 있으며, 메인 방송부(100)는 테스트 톤을 출력하도록 스피커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출력 구역(A1)에 설치된 복수 개의 스피커들은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바, 메인 방송부(100)와의 거리 상 메인 방송부(100)와 가장 가까운 스피커에서 메인 방송부(100)와 가장 먼 스피커로 순서를 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가장 가까운 스피커에서 상기 가장 먼 스피커 순서대로 첫 번째 스피커, 두 번째 스피커, ... ,n 번째 스피커, ... , N 번째 스피커로 지정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300)는 우선 상기 첫 번째 스피커부터 N 번째 스피커까지 차례대로 각각의 스피커에서 테스트 톤이 발생하는지를 마이크(310)를 통해 감지하고 이를 기초로 하여 단말기 제어부(330)를 통해 상기 스피커들이나 이들을 연결하는 선로들 중 어느 곳에서 문제가 있는지를 판별할 수 있다.
단말기 제어부(330)는 상기 테스트 톤 송출 요청 신호 발생 후 이상이 있는 상기 방송 회로 상의 n번째 스피커에서 상기 테스트 톤이 발생하는 여부를 마이크(310)에서의 상기 테스트 톤 감지 여부에 따라 판별할 수 있다. 즉 n 번째 스피커에서 상기 테스트 톤이 출력되는 경우에는 마이크(310)에서 이를 감지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며, 단말기 제어부(330)는 마이크(310)로부터 상기 전기 신호가 전송된 경우에는 상기 n 번째 스피커에서 테스트 톤이 출력되었다고 판별할 수 있다. 그러나 마이크(310)로부터 상기 전기 신호가 전송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말기 제어부(330)는 상기 n 번째 스피커에서 테스트 톤이 출력되지 않았다고 판별할 수 있다.
상기 n번째 스피커에서 테스트 톤을 출력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n번째 스피커에 이웃하는 n+1번째 스피커에서 테스트 톤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즉 상기 n번째 스피커에서 테스트 톤을 출력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단말기 제어부(330)는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n번째 스피커에 이웃하는 n+1 번째 스피커가 위치한 곳으로 이동하여 n+1 번째 스피커에서의 테스트 톤을 측정하라는 메세지를 표시부(350)에 디스플레이하도록 표시부(35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n+1 번째 스피커에서의 테스트 톤을 측정하여 상기 n+1번째 스피커에서 상기 테스트 톤이 출력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n번째 스피커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하나의 방송 회로 상의 스피커들은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바, 상기 n 번째 스피커 이전에 위치하는 스피커에서 테스트 톤이 출력되면서 상기 n 번째 스피커에서 테스트 톤이 출력되지 않고 그에 이웃하는 n+1 번째 스피커에서 테스트 톤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n 번째 스피커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단말기 제어부(330)는 n 번째 스피커에 고장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표시부(350)에 n 번째 스피커가 고장이라는 메세지를 출력하도록 표시부(35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n 번째 스피커 이전에 위치하는 스피커에서 테스트 톤이 출력되면서, 상기 n번째 스피커에서 테스트 톤을 출력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n+1번째 스피커에서도 상기 테스트 톤이 출력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단말기 제어부(330)는 n-1번째 스피커와 상기 n번째 스피커 사이의 선로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방송 회로 상의 스피커들은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바, 서로 이웃하는 n 번째 스피커와 n+1 번째 스피커에서 테스트 톤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는 n-1 번째 스피커와 n 번째 스피커 사이의 선로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단말기 제어부(330)는 이 경우 n-1 번째 스피커와 n 번째 스피커 사이의 선로에 이상이 있다는 메세지를 출력하도록 표시부(3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반하여 상기 n 번째 스피커에서 상기 테스트 톤을 출력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단말기 제어부(330)는 상기 n 번째 스피커에 이웃하는 n+1 번째 스피커에서 테스트 톤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상기 n+1번째 스피커에서 상기 테스트 톤이 출력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n+2 번째 스피커에서 상기 테스트 톤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상기 n+2번째 스피커에서 상기 테스트 톤이 출력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단말기 제어부(330)는 상기 n+1번째 스피커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방송 회로 상의 스피커들은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바, n 번째 스피커에서 상기 테스트 톤을 출력하고, n+1번째 스피커에서 상기 테스트 톤이 출력되지 않으며, n+2번째 스피커에서 상기 테스트 톤이 출력되는 경우에는 상기 n+1번째 스피커에 고장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단말기 제어부(330)는 이 경우 상기 n+1번째 스피커에 고장이 있다는 메세지를 출력하도록 표시부(35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n+2번째 스피커에서 상기 테스트 톤이 출력되지 않는 경우, 즉 n 번째 스피커에서 상기 테스트 톤을 출력하고, n+1번째 스피커에서 상기 테스트 톤이 출력되지 않으며, n+2번째 스피커에서 상기 테스트 톤이 출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단말기 제어부(3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n번째 스피커와 상기 n+1번째 스피커 사이의 선로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n번째 스피커와 상기 n+1번째 스피커 사이의 선로에 이상이 있다는 메세지를 출력하도록 표시부(350)를 제어할 수 있다.
n=1인 경우, 즉 방송 회로에서 메인 방송부(100)와의 거리상 메인 방송부(100)와 가장 가까운 스피커인 첫 번째 스피커인 경우, 상기 첫 번째 스피커에서의 상기 테스트 톤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단말기 제어부(330)는 상기 첫 번째 스피커 또는 상기 첫 번째 스피커와 상기 메인 방송부 사이의 선로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기 제어부(330)는 상기 첫 번째 스피커 또는 상기 첫 번째 스피커와 상기 메인 방송부 사이의 선로에 이상이 있다는 메세지를 표시부(350)에 출력하도록 표시부(350)를 제어할 수 있다.
단말기 제어부(330)는 상기 n 번째 스피커에서 테스트 톤을 출력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n번째 스피커에 음량 조절 회로(211)가 있는지 여부를 상기 사용자가 확인하도록 요청하는 확인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표시부(350)에 사용자가 음량 조절 회로(211)이 있는지를 확인하라는 메세지를 표시부(350)에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가 음량 조절 회로(211)를 조절한 후, 단말기 제어부(330)는 상기 n번째 스피커에서 상기 테스트 톤이 출력되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이를 기초로 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스피커 또는 선로 상에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단말기 제어부(330)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말기 제어부(330)는 신호 생성부(331), 테스트 톤 검출부(332), 및 고장 여부 판단부(333)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생성부(331)는 메인 방송부(100)로 하여금 상기 방송 출력 구역에 설치된 스피커(210)들에서 상기 테스트 톤을 출력하도록 하는 테스트 톤 송출제어 신호를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메인 방송부(100)에서 임피던스를 통해 상기 방송 회로 상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별된 경우,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기(300)를 가지고 이상이 발생한 방송 회로 상의 스피커들이 설치된 방송 출력 구역(A1)으로 이동하며, 상기 방송 출력 구역(A1)에 설치된 스피커에 인접한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기(300)에 상기 스피커에서 테스트 톤이 출력하도록 하는 입력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300)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테스트 톤 송출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메인 방송부(100)에 전송할 수 있으며, 메인 방송부(100)는 스피커에서 테스트 톤이 출력되도록 상기 스피커를 제어할 수 있다.
테스트 톤 검출부(332)는 마이크(310)가 상기 스피커에서 발생하는 상기 테스트 톤을 감지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스피커에서 상기 테스트 톤이 발생하는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즉 테스트 톤 검출부(332)는 상기 테스트 톤 송출 요청 신호 발생 후 이상이 있는 상기 방송 회로 상의 n번째 스피커에서 상기 테스트 톤이 발생하는 여부를 마이크(310)에서의 상기 테스트 톤 감지 여부에 따라 판별할 수 있다. n 번째 스피커에서 상기 테스트 톤이 출력되는 경우에는 마이크(310)에서 이를 감지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며, 테스트 톤 검출부(332)는 마이크(310)로부터 상기 전기 신호가 전송된 경우에는 상기 n 번째 스피커에서 테스트 톤이 출력되었다고 판별할 수 있다. 그러나 마이크(310)로부터 상기 전기 신호가 전송되지 않은 경우에는 테스트 톤 검출부(332)는 상기 n 번째 스피커에서 테스트 톤이 출력되지 않았다고 판별할 수 있다.
고장 여부 판단부(333)는 n번째 스피커에서 상기 테스트 톤이 발생하지 않고 n+1번째 스피커에서 상기 테스트 톤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 n-1번째 스피커와 상기 n번째 스피커 사이의 선로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n번째 스피커에서 테스트 톤이 발생하지 않고 n+1번째 스피커에서 테스트 톤이 발생한 경우 상기 n번째 스피커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세는, 테스트 톤 검출부(332)가 상기 n번째 스피커에서 테스트 톤을 출력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n번째 스피커에 이웃하는 n+1번째 스피커에서 테스트 톤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즉 테스트 톤 검출부(332)가 상기 n번째 스피커에서 테스트 톤을 출력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테스트 톤 검출부(332)는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n번째 스피커에 이웃하는 n+1 번째 스피커가 위치한 곳으로 이동하여 n+1 번째 스피커에서의 테스트 톤을 측정하라는 메세지를 표시부(350)에 디스플레이하도록 표시부(350)를 제어할 수 있다.
테스트 톤 검출부(332)에 의해 상기 n+1 번째 스피커에서의 테스트 톤을 측정하여 상기 n+1번째 스피커에서 상기 테스트 톤이 출력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고장 여부 판단부(333)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n번째 스피커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장 여부 판단부(333)는 n 번째 스피커에 고장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표시부(350)에 n 번째 스피커가 고장이라는 메세지를 출력하도록 표시부(35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테스트 톤 검출부(332)에 의해 상기 n 번째 스피커 이전에 위치하는 스피커에서 테스트 톤이 출력되면서, 상기 n번째 스피커에서 테스트 톤을 출력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n+1번째 스피커에서도 상기 테스트 톤이 출력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고장 여부 판단부(333)는 상술한 바와 같이 n-1번째 스피커와 상기 n번째 스피커 사이의 선로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고장 여부 판단부(333)는 이 경우 n-1 번째 스피커와 n 번째 스피커 사이의 선로에 이상이 있다는 메세지를 출력하도록 표시부(3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반하여 상기 n 번째 스피커에서 상기 테스트 톤을 출력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테스트 톤 검출부(332)는 상기 n 번째 스피커에 이웃하는 n+1 번째 스피커에서 테스트 톤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상기 n+1번째 스피커에서 상기 테스트 톤이 출력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n+2 번째 스피커에서 상기 테스트 톤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상기 n+2번째 스피커에서 상기 테스트 톤이 출력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고장 여부 판단부(333)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n+1번째 스피커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고장 여부 판단부(333)는 이 경우 상기 n+1번째 스피커에 고장이 있다는 메세지를 출력하도록 표시부(35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n+2번째 스피커에서 상기 테스트 톤이 출력되지 않는 경우, 즉 n 번째 스피커에서 상기 테스트 톤을 출력하고, n+1번째 스피커에서 상기 테스트 톤이 출력되지 않으며, n+2번째 스피커에서 상기 테스트 톤이 출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고장 여부 판단부(333)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n번째 스피커와 상기 n+1번째 스피커 사이의 선로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n번째 스피커와 상기 n+1번째 스피커 사이의 선로에 이상이 있다는 메세지를 출력하도록 표시부(350)를 제어할 수 있다.
n=1인 경우, 즉 방송 회로에서 메인 방송부(100)와의 거리상 메인 방송부(100)와 가장 가까운 스피커인 첫 번째 스피커인 경우, 상기 첫 번째 스피커에서의 상기 테스트 톤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고장 여부 판단부(333)는 상기 첫 번째 스피커 또는 상기 첫 번째 스피커와 상기 메인 방송부 사이의 선로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장 여부 판단부(333)는 상기 첫 번째 스피커 또는 상기 첫 번째 스피커와 상기 메인 방송부 사이의 선로에 이상이 있다는 메세지를 표시부(350)에 출력하도록 표시부(350)를 제어할 수 있다.
테스트 톤 검출부(332)는 상기 n 번째 스피커에서 테스트 톤을 출력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n번째 스피커에 음량 조절 회로(211)가 있는지 여부를 상기 사용자가 확인하도록 요청하는 확인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표시부(350)에 사용자가 음량 조절 회로(211)이 있는지를 확인하라는 메세지를 표시부(350)에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가 음량 조절 회로(211)를 조절한 후, 테스트 톤 검출부(332)는 상기 n번째 스피커에서 상기 테스트 톤이 출력되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고장 여부 판단부(333)는 이를 기초로 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스피커 또는 선로 상에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입력부(34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거나 사용자에게 각종 정보와 데이터를 보여주는 기능부이고, 표시부(350)는 각종 정보, 데이터, 또는 단말기 제어부(330)에서 생성한 메세지를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기능부이다.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표시부(350)가 터치 스크린 방식으로 구현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 경우 터치스크린으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으므로 입력부(340)와 표시부(350)가 터치스크린으로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관방송 시스템(1000)은 모바일 단말기(300)의 원격제어를 통해 상기 방송 회로 상에 이상 유무를 판별하므로 종래에 두 명의 인원이 투입될 필요없이 한 명이 메인 방송부(100)가 임피던스 측정을 통해 상기 방송 회로 상의 이상 유무를 판별한 것을 확인하고, 상기 방송 회로 상에 이상이 있는 경우 모바일 단말기(300)의 원격제어를 통해 상기 방송 회로 상의 어느 선로 또는 어느 스피커에 고장이 있는지 여부를 구체적으로 판별한 것을 확인할 수 있는바, 전관방송 시스템(1000)의 유지 관리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송 회로 상의 이상 유무 판별뿐만 아니라 상기 방송 회로 상의 어느 선로 또는 어느 스피커에 고장이 있는지 여부를 구체적으로 판별할 수 있는바, 신속하고 빠르게 전관방송 시스템의 고장을 처리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관방송 시스템 오류 판별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관방송 시스템 오류 판별 방법(S1000)은, 메인 방송부(100), 방송 출력부(200), 및 메인 방송부(100)와 방송 출력부(200)를 연결하는 선로로 이루어진 방송 회로의 임피던스를 통해 상기 방송 회로 상의 이상 유무를 판별하는 단계(S100), 및 상기 스피커들 각각에서 출력되는 상기 음향을 감지함으로써 상기 선로 또는 상기 스피커의 고장 유무를 판별하는 단계(S20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방송 회로 상의 이상 유무를 판별하는 단계(S100)는 우선 임피던스 검색부(144)가 저장부(160)에 상기 임피던스 합성값이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색할 수 있다(S101). 임피던스 검색부(144)는 임피던스 산출부(141)가 상기 임피던스 합성값을 산출하기 전에 저장부(160)에 저장된 상기 임피던스 합성값이 있는지 여부를 검색하고, 상기 임피던스 합성값이 검색된 경우에는 임피던스 산출부(141)는 방송 회로 상의 임피던스 합성값을 산출하지 않으며, 이상 유무 판단부(143)는 임피던스 측정부(142)에서 측정된 상기 임피던스 측정값과 임피던스 검색부(144)에 의해 검색된 상기 임피던스 합성값을 비교할 수 있도록 임피던스 검색부(144)는 저장부(160)에 저장된 상기 임피던스 합성값을 로딩할 수 있다(S102).
다음으로 임피던스 산출부(141)는 상기 임피던스 합성값이 저장부(160)에서 검색되지 않은 경우 상기 방송 출력 구역(A1, A2, A3,...)에 설치된 상기 스피커들 각각이 갖는 임피던스를 합산하여 상기 방송 회로의 임피던스 합성값을 산출할 수 있다(S103). 상술한 바와 같이 방송 출력 구역(A1)에 설치된 방송 출력부(200)의 스피커들과 선로에 의해 연결되는 메인 방송부(100)가 하나의 방송 회로를 형성할 수 있으며, 임피던스 산출부(141)는 방송 출력 구역(A1)에 설치된 방송 출력부(200)의 스피커들 각각의 임피던스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상기 스피커들의 임피던스를 합성하여 임피던스 합성값을 산출할 수 있다.
이어서 임피던스 측정부(142)는 상기 하나의 방송 회로의 선로에 전류를 보내 상기 방송 출력 구역에 설치된 상기 스피커들의 임피던스를 측정하여 상기 방송 회로의 임피던스 측정값을 구할 수 있다(S104).
다음으로 이상 유무 판단부(143)는 상기 임피던스 합성값과 상기 임피던스 측정값을 비교하여 상기 방송 회로 상에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05). 즉 이상 유무 판단부(143)는 상기 임피던스 합성값과 상기 임피던스 측정값을 비교하고, 상기 임피던스 합성값과 상기 임피던스 측정값의 차이가 소정의 범위 이내인 경우에는 전관방송 시스템의 스피커 레벨 세팅(S106)을 실시하며, 상기 임피던스 합성값과 상기 임피던스 측정값의 차이가 소정의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방송 회로 상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200).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전관방송 시스템의 선로 또는 스피커의 고장 유무 판별 방법(S200)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전관방송 시스템의 선로 또는 스피커의 고장 유무 판별 방법(S200)은 우선 단말기 제어부(33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테스트 톤 송출 요청 신호를 발생시키며(S204), 마이크(310)에서 상기 테스트 톤이 출력되지는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S205). 즉 n 번째 스피커에서 상기 테스트 톤이 출력되는 경우에는 마이크(310)에서 이를 감지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며, 단말기 제어부(330)는 마이크(310)로부터 상기 전기 신호가 전송된 경우에는 상기 n 번째 스피커에서 테스트 톤이 출력되었다고 판별할 수 있다. 그러나 마이크(310)로부터 상기 전기 신호가 전송되지 않는 경우에는 단말기 제어부(330)는 상기 n 번째 스피커에서 테스트 톤이 출력되지 않았다고 판별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n번째 스피커에서 테스트 톤을 출력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n번째 스피커에 이웃하는 n+1번째 스피커에서 테스트 톤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검출한다(S207). 즉 상기 n번째 스피커에서 테스트 톤을 출력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단말기 제어부(330)는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n번째 스피커에 이웃하는 n+1 번째 스피커가 위치한 곳으로 이동하여 n+1 번째 스피커에서의 테스트 톤을 측정하라는 메세지를 표시부(350)에 디스플레이하도록 표시부(35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n+1 번째 스피커에서의 테스트 톤을 측정하여 상기 n+1번째 스피커에서 상기 테스트 톤이 출력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n번째 스피커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208). 즉 하나의 방송 회로 상의 스피커들은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바, 상기 n 번째 스피커 이전에 위치하는 스피커에서 테스트 톤이 출력되면서 상기 n 번째 스피커에서 테스트 톤이 출력되지 않고 그에 이웃하는 n+1 번째 스피커에서 테스트 톤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n 번째 스피커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단말기 제어부(330)는 n 번째 스피커에 고장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표시부(350)에 n 번째 스피커가 고장이라는 메세지를 출력하도록 표시부(35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n 번째 스피커 이전에 위치하는 스피커에서 테스트 톤이 출력되면서, 상기 n번째 스피커에서 테스트 톤을 출력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n+1번째 스피커에서도 상기 테스트 톤이 출력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단말기 제어부(330)는 n-1번째 스피커와 상기 n번째 스피커 사이의 선로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209). 상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방송 회로 상의 스피커들은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바, 서로 이웃하는 n 번째 스피커와 n+1 번째 스피커에서 테스트 톤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는 n-1 번째 스피커와 n 번째 스피커 사이의 선로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단말기 제어부(330)는 이 경우 n-1 번째 스피커와 n 번째 스피커 사이의 선로에 이상이 있다는 메세지를 출력하도록 표시부(3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반하여 상기 n 번째 스피커에서 상기 테스트 톤을 출력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단말기 제어부(330)는 상기 n 번째 스피커에 이웃하는 n+1 번째 스피커에서 테스트 톤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검출한다(S211). 상기 n+1번째 스피커에서 상기 테스트 톤이 출력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n+2 번째 스피커에서 상기 테스트 톤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검출한다(S213).
상기 n+2번째 스피커에서 상기 테스트 톤이 출력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단말기 제어부(330)는 상기 n+1번째 스피커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214). 상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방송 회로 상의 스피커들은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바, n 번째 스피커에서 상기 테스트 톤을 출력하고, n+1번째 스피커에서 상기 테스트 톤이 출력되지 않으며, n+2번째 스피커에서 상기 테스트 톤이 출력되는 경우에는 상기 n+1번째 스피커에 고장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단말기 제어부(330)는 이 경우 상기 n+1번째 스피커에 고장이 있다는 메세지를 출력하도록 표시부(35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n+2번째 스피커에서 상기 테스트 톤이 출력되지 않는 경우, 즉 n 번째 스피커에서 상기 테스트 톤을 출력하고, n+1번째 스피커에서 상기 테스트 톤이 출력되지 않으며, n+2번째 스피커에서 상기 테스트 톤이 출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단말기 제어부(3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n번째 스피커와 상기 n+1번째 스피커 사이의 선로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S215), 이에 따라 상기 n번째 스피커와 상기 n+1번째 스피커 사이의 선로에 이상이 있다는 메세지를 출력하도록 표시부(350)를 제어할 수 있다.
n=1인 경우, 즉 방송 회로에서 메인 방송부(100)와의 거리상 메인 방송부(100)와 가장 가까운 스피커인 첫 번째 스피커인 경우, 상기 첫 번째 스피커에서의 상기 테스트 톤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단말기 제어부(330)는 상기 첫 번째 스피커 또는 상기 첫 번째 스피커와 상기 메인 방송부 사이의 선로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203). 이에 따라 단말기 제어부(330)는 상기 첫 번째 스피커 또는 상기 첫 번째 스피커와 상기 메인 방송부 사이의 선로에 이상이 있다는 메세지를 표시부(350)에 출력하도록 표시부(35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전관방송 시스템의 선로 또는 스피커의 고장 유무 판별 방법에서 음량 조절 회로를 포함한 고장 판별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단말기 제어부(330)는 상기 n 번째 스피커에서 테스트 톤을 출력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n번째 스피커에 음량 조절 회로(211)가 있는지 여부를 상기 사용자가 확인하도록 요청하는 확인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표시부(350)에 사용자가 음량 조절 회로(211)이 있는지를 확인하라는 메세지를 표시부(350)에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S216). 상기 사용자가 음량 조절 회로(211)를 조절한 후, 단말기 제어부(330)는 상기 n번째 스피커에서 상기 테스트 톤이 출력되는지 여부를 감지하고(S218) 이를 기초로 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스피커 또는 선로 상에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0: 전관방송 시스템
100: 메인 방송부
200: 방송 출력부
300: 모바일 단말기

Claims (20)

  1. 복수 개의 방송 출력 구역에 전관방송을 출력할 수 있는 전관방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방송 출력 구역들 각각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스피커로 이루어지는 방송 출력부;
    상기 방송 출력부에 상기 전관방송을 전송하는 메인 방송부; 및
    상기 메인 방송부와 통신하고, 상기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음향을 감지하는 모바일 단말기; 를 구비하며,
    상기 메인 방송부는 상기 메인 방송부, 상기 방송 출력부, 및 상기 메인 방송부와 상기 방송 출력부를 연결하는 선로로 이루어진 방송 회로의 임피던스를 통해 상기 방송 회로 상의 이상 유무를 판별하며,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스피커들 각각에서 출력되는 상기 음향을 감지함으로써 상기 선로 또는 상기 스피커의 고장 유무를 판별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상기 음향을 감지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
    상기 메인 방송부가 상기 스피커들에 테스트 톤을 출력하도록 상기 메인 방송부에 테스트 톤 송출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통신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송출 요청 신호를 발생시키며, 상기 마이크에서의 상기 테스트 톤 감지 여부에 따라 상기 방송 회로 상의 상기 선로 또는 상기 스피커 중 어느 선로 또는 어느 스피커에서 고장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별하는 단말기 제어부;
    상기 단말기 제어부에서 생성한 메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 및
    상기 메인 방송부에서 산출된 상기 방송 회로 상의 임피던스를 저장하는 저장부; 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 제어부는,
    상기 메인 방송부에 의해 상기 방송 회로 상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별된 경우, 상기 테스트 톤 송출 요청 신호를 발생하고,
    이상이 있는 상기 방송 회로 상의 n번째 스피커에서 상기 테스트 톤이 발생하는 여부를 상기 마이크에서의 상기 테스트 톤 감지 여부에 따라 판별하며,
    상기 n번째 스피커에서 테스트 톤을 출력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n번째 스피커에 이웃하는 n+1번째 스피커에서 테스트 톤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상기 n+1번째 스피커에서 상기 테스트 톤이 출력된 경우 상기 n번째 스피커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n+1번째 스피커에서 상기 테스트 톤이 출력되지 않는 경우 n-1번째 스피커와 상기 n번째 스피커 사이의 선로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단말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n번째 스피커에서 테스트 톤을 출력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n+1번째 스피커에서 상기 테스트 톤을 측정하라는 메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단말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n번째 스피커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n번째 스피커가 고장이라는 메세지를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단말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n-1번째 스피커와 상기 n번째 스피커 사이의 선로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n-1번째 스피커와 상기 n번째 스피커 사이의 선로에 이상이 있다는 메세지를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단말기 제어부는,
    상기 n번째 스피커에서 상기 테스트 톤을 출력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n번째 스피커에 이웃하는 n+1번째 스피커에서 테스트 톤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상기 n+1번째 스피커에서 상기 테스트 톤이 출력되지 않는 경우 n+2번째 스피커에서 상기 테스트 톤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상기 n+2번째 스피커에서 상기 테스트 톤이 출력된 경우 상기 n+1번째 스피커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n+2번째 스피커에서 상기 테스트 톤이 출력되지 않는 경우 n번째 스피커와 상기 n+1번째 스피커 사이의 선로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단말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n+1번째 스피커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n+1번째 스피커가 고장이라는 메세지를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단말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n번째 스피커와 상기 n+1번째 스피커 사이의 선로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n번째 스피커와 상기 n+1번째 스피커 사이의 선로에 이상이 있다는 메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관방송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방송부는,
    상기 전관방송에 필요한 음원을 생성하는 음원 재생부;
    상기 음원 재생부에서 재생되는 상기 음원을 증폭하는 앰프;
    증폭된 상기 음원을 출력시키고자 하는 상기 방송 출력 구역의 상기 방송 출력부를 온오프시키는 스피커 셀렉터;
    상기 메인 방송부 또는 상기 방송 출력부를 제어하고, 상기 방송 회로의 임피던스를 통해 상기 방송 회로 상의 이상 유무를 판별하는 메인 컨트롤러;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관방송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상기 방송 출력 구역에 설치된 상기 스피커들 각각이 갖는 임피던스를 합산하여 상기 방송 회로의 임피던스 합성값을 산출하는 임피던스 산출부;
    상기 선로에 전류를 보내 상기 방송 출력 구역에 설치된 상기 스피커들의 임피던스를 측정하여 상기 방송 회로의 임피던스 측정값을 구하는 임피던스 측정부; 및
    상기 임피던스 합성값과 상기 임피던스 측정값을 비교하여 상기 방송 회로 상에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이상 유무 판단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관방송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 유무 판단부는 상기 임피던스 합성값과 상기 임피던스 측정값을 비교하고, 상기 임피던스 합성값과 상기 임피던스 측정값의 차이가 소정의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방송 회로 상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관방송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방송부는 상기 임피던스 합성값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관방송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상기 저장부에 상기 임피던스 합성값이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색하는 임피던스 검색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임피던스 검색부는 상기 임피던스 산출부가 상기 임피던스 합성값을 산출하기 전에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임피던스 합성값이 있는지 여부를 검색하고,
    상기 임피던스 합성값이 검색된 경우에는 상기 임피던스 산출부가 임피던스 합성값을 산출하지 않으며, 상기 이상 유무 판단부는 상기 임피던스 측정부에서 측정된 상기 임피던스 측정값과 상기 임피던스 검색부에 의해 검색된 상기 임피던스 합성값을 비교하여 상기 방송 회로 상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관방송 시스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제어부는,
    n=1인 첫 번째 스피커에서의 상기 테스트 톤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첫 번째 스피커 또는 상기 첫 번째 스피커와 상기 메인 방송부 사이의 선로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관방송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제어부는,
    상기 n번째 스피커에서 테스트 톤을 출력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n번째 스피커에 음량 조절 회로가 있는지 여부를 상기 사용자가 확인하도록 요청하는 확인 요청 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음량 조절 회로를 조절한 후 상기 n번째 스피커에서 상기 테스트 톤이 출력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관방송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제어부는,
    상기 메인 방송부로 하여금 상기 방송 출력 구역에 설치된 상기 스피커에서 상기 테스트 톤을 출력하도록 하는 테스트 톤 송출제어 신호를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생성하는 신호 생성부;
    상기 마이크가 상기 스피커에서 발생하는 상기 테스트 톤을 감지하는 여부에 따라 상기 스피커에서 상기 테스트 톤이 발생하는 여부를 판별하는 테스트 톤 검출부; 및
    n번째 스피커에서 상기 테스트 톤이 발생하지 않고 n+1번째 스피커에서 상기 테스트 톤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 n-1번째 스피커와 상기 n번째 스피커 사이의 선로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n번째 스피커에서 테스트 톤이 발생하지 않고 n+1번째 스피커에서 테스트 톤이 발생한 경우 상기 n번째 스피커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고장 여부 판단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관방송 시스템.
  13. 복수 개의 방송 출력 구역에 전관방송을 출력할 수 있는 전관방송 시스템 오류 검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관방송 시스템은,
    전관방송이 출력되는 복수 개의 방송 출력 구역들 각각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스피커로 이루어지는 방송 출력부;
    상기 방송 출력부에 상기 전관방송을 전송하는 메인 방송부; 및
    상기 메인 방송부와 통신하고, 상기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음향을 감지하는 모바일 단말기; 를 구비하고,
    상기 전관방송 시스템 오류 검출 방법은,
    상기 메인 방송부, 상기 방송 출력부, 및 상기 메인 방송부와 상기 방송 출력부를 연결하는 선로로 이루어진 방송 회로의 임피던스를 통해 상기 방송 회로 상의 이상 유무를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스피커들 각각에서 출력되는 상기 음향을 감지함으로써 상기 선로 또는 복수 개의 상기 스피커들 중 어느 선로 또는 어느 스피커에서 고장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별하는 단계; 를 구비하며,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상기 음향을 감지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
    상기 메인 방송부가 상기 스피커들에 테스트 톤을 출력하도록 상기 메인 방송부에 테스트 톤 송출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통신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송출 요청 신호를 발생시키며, 상기 마이크에서의 상기 테스트 톤 감지 여부에 따라 상기 방송 회로 상의 상기 선로 또는 상기 스피커 중 어느 선로 또는 어느 스피커에서 고장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별하는 단말기 제어부;
    상기 단말기 제어부에서 생성한 메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 및
    상기 메인 방송부에서 산출된 상기 방송 회로 상의 임피던스를 저장하는 저장부; 를 포함하며,
    상기 어느 선로 또는 어느 스피커에서 고장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별하는 단계는,
    상기 방송 회로 상의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별된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의한 상기 메인 방송부의 원격제어에 의해 상기 스피커에서 테스트 톤을 출력하게 하는 단계;
    이상이 있는 상기 방송 회로 상의 n번째 스피커에서 상기 테스트 톤이 발생하는 여부를 상기 마이크에서의 상기 테스트 톤 감지 여부에 따라 판별하는 단계;
    상기 n번째 스피커에서 상기 테스트 톤을 출력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n번째 스피커에 이웃하는 n+1번째 스피커에서 테스트 톤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n+1번째 스피커에서 상기 테스트 톤이 출력된 경우, 상기 n번째 스피커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표시부에 상기 n번째 스피커에 고장이 있다는 메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n+1번째 스피커에서 상기 테스트 톤이 출력되지 않는 경우, n-1번째 스피커와 상기 n번째 스피커 사이의 선로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표시부에 상기 n-1번째 스피커와 상기 n번째 스피커 사이의 선로에 이상이 있다는 메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어느 선로 또는 어느 스피커에서 고장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별하는 단계는,
    상기 n번째 스피커에서 상기 테스트 톤을 출력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n번째 스피커에 이웃하는 n+1번째 스피커에서 테스트 톤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n+1번째 스피커에서 상기 테스트 톤이 출력되지 않는 경우 n+2번째 스피커에서 상기 테스트 톤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n+2번째 스피커에서 상기 테스트 톤이 출력된 경우, 상기 n+1번째 스피커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표시부에 상기 n+1번째 스피커에 고장이 있다는 메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n+2번째 스피커에서 상기 테스트 톤이 출력되지 않는 경우, n번째 스피커와 상기 n+1번째 스피커 사이의 선로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표시부에 상기 n번째 스피커와 상기 n+1번째 스피커 사이의 선로에 이상이 있다는 메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관방송 시스템 오류 검출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회로 상의 이상 유무를 판별하는 단계는,
    상기 방송 출력 구역에 설치된 상기 스피커들 각각이 갖는 임피던스를 합산하여 상기 방송 회로의 임피던스 합성값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선로에 전류를 보내 상기 방송 출력 구역에 설치된 상기 스피커들의 임피던스를 측정하여 상기 방송 회로의 임피던스 측정값을 구하는 단계; 및
    상기 임피던스 합성값과 상기 임피던스 측정값을 비교하여 상기 방송 회로 상에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관방송 시스템 오류 검출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회로 상에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임피던스 합성값과 상기 임피던스 측정값을 비교하고, 상기 임피던스 합성값과 상기 임피던스 측정값의 차이가 소정의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방송 회로 상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관방송 시스템 오류 검출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회로의 임피던스 합성값을 산출하는 단계 전에,
    상기 메인 방송부에 상기 임피던스 합성값이 저장되어 있는지를 검색하며,
    상기 임피던스 합성값이 검색된 경우에는 상기 임피던스 합성값을 산출하지 않으며, 측정된 상기 임피던스 측정값과 검색된 상기 임피던스 합성값을 비교하여 상기 방송 회로 상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관방송 시스템 오류 검출 방법.
  17. 삭제
  18. 삭제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어느 선로 또는 어느 스피커에서 고장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별하는 단계는,
    n=1인 첫 번째 스피커에서의 상기 테스트 톤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첫 번째 스피커 또는 상기 첫 번째 스피커와 상기 메인 방송부 사이의 선로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관방송 시스템 오류 검출 방법.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어느 선로 또는 어느 스피커에서 고장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별하는 단계는,
    상기 n번째 스피커에서 테스트 톤을 출력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n번째 스피커에 음량 조절 회로가 있는지 여부를 사용자가 확인하도록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음량 조절 회로를 조절한 후 상기 n번째 스피커에서 상기 테스트 톤이 출력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관방송 시스템 오류 검출 방법.
KR1020160040109A 2016-04-01 2016-04-01 전관방송 시스템 및 전관방송 시스템 오류 검출 방법 KR1016834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0109A KR101683416B1 (ko) 2016-04-01 2016-04-01 전관방송 시스템 및 전관방송 시스템 오류 검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0109A KR101683416B1 (ko) 2016-04-01 2016-04-01 전관방송 시스템 및 전관방송 시스템 오류 검출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7697A Division KR20170112931A (ko) 2016-10-04 2016-10-04 전관방송 시스템 및 전관방송 시스템 오류 검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3416B1 true KR101683416B1 (ko) 2016-12-07

Family

ID=57573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0109A KR101683416B1 (ko) 2016-04-01 2016-04-01 전관방송 시스템 및 전관방송 시스템 오류 검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341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9609B1 (ko) 2019-01-02 2019-07-15 (주)하이텍영상 스피커라인의 실시간 검출이 가능한 디지털앰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전환 방송시스템
KR20220168354A (ko) 2021-06-16 2022-12-23 임진환 스피커 및 방송라인 테스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5091A (ja) * 2001-05-17 2002-11-29 Toa Corp スピーカ故障検知装置及びスピーカ故障検知方法
JP2003304590A (ja) * 2002-04-10 2003-10-24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リモコン装置と音量調整方法および音量自動調整システム
JP2006314008A (ja) * 2005-05-09 2006-11-16 Sony Corp スピーカのチェック装置およびチェック方法
KR20100085485A (ko) * 2009-01-20 2010-07-29 이경재 비상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단말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5091A (ja) * 2001-05-17 2002-11-29 Toa Corp スピーカ故障検知装置及びスピーカ故障検知方法
JP2003304590A (ja) * 2002-04-10 2003-10-24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リモコン装置と音量調整方法および音量自動調整システム
JP2006314008A (ja) * 2005-05-09 2006-11-16 Sony Corp スピーカのチェック装置およびチェック方法
KR20100085485A (ko) * 2009-01-20 2010-07-29 이경재 비상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단말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9609B1 (ko) 2019-01-02 2019-07-15 (주)하이텍영상 스피커라인의 실시간 검출이 가능한 디지털앰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전환 방송시스템
KR20220168354A (ko) 2021-06-16 2022-12-23 임진환 스피커 및 방송라인 테스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12932A (ko) 전관방송 시스템 및 전관방송 시스템 점검 방법
KR101469064B1 (ko) 방송선로의 실시간 분석 시스템 및 방법
KR101683416B1 (ko) 전관방송 시스템 및 전관방송 시스템 오류 검출 방법
US20050104731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eavesdropping device
GB2360490A (en) Multifunction keyboard including a burglar alarm, telephone, internet access, audio input/output, speaker and recording means
JP2016015711A (ja) オーディオシステム、オーディオ装置、携帯端末装置、及びオーディオ信号制御方法
KR101683417B1 (ko) 전관방송 시스템 및 전관방송 시스템 점검 방법
US10848868B2 (en) Audio signal routing to audio devices
JP4209596B2 (ja) スピーカ故障検知装置及びスピーカ故障検知方法
KR20210040525A (ko)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출력장치의 제어가 가능한 전관방송 시스템
KR101700424B1 (ko) 스피커 왜곡 신호의 검출 장치 및 방법
KR20170112931A (ko) 전관방송 시스템 및 전관방송 시스템 오류 검출 방법
KR101816689B1 (ko) 원격 진단을 제공받거나 자가 진단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송시스템
KR101984624B1 (ko) 유선식 화재감지기의 보조 화재경보 시스템
KR20110026938A (ko) 오디오 출력장치 장치간 핸드오버 기능을 제공하는 무선 마이크 장치 및 그 방법
KR101299591B1 (ko) 오디오 및 dc 신호들을 전달하기 위한 어레인지먼트 및 방법
KR102292427B1 (ko) 잡음에 따른 스피커 출력 조절이 가능한 전관 방송 장치
KR102288470B1 (ko) 딥러닝 기반의 인공지능을 이용한 방송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KR102137701B1 (ko) 구내방송장치의 단락채널 검색 및 차단 시스템 및 그 방법
JPH05172619A (ja) 通知音声の音量制御回路
KR102245742B1 (ko) 실시간 오디오 앰프 디텍터 기술을 이용한 무중단 음향 장치
JP3473803B2 (ja) スピーカ検査装置
US9485588B2 (en) Mapping system and method
JP7289619B2 (ja) 防災報知システム
JP2012156876A (ja) 警報報知機能を有する通信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