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7701B1 - 구내방송장치의 단락채널 검색 및 차단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구내방송장치의 단락채널 검색 및 차단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7701B1
KR102137701B1 KR1020200002322A KR20200002322A KR102137701B1 KR 102137701 B1 KR102137701 B1 KR 102137701B1 KR 1020200002322 A KR1020200002322 A KR 1020200002322A KR 20200002322 A KR20200002322 A KR 20200002322A KR 102137701 B1 KR102137701 B1 KR 1021377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ex value
channel
short circuit
channel index
re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2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철
Original Assignee
(주)전전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전전사 filed Critical (주)전전사
Priority to KR1020200002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77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7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7701B1/ko
Priority to PCT/KR2021/000259 priority patent/WO202114144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12Arrangements for observation, testing or troubleshoo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27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 G01R31/3277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of low voltage devices, e.g. domestic or industrial devices, such as motor protections, relays, rotation switches
    • G01R31/3278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of low voltage devices, e.g. domestic or industrial devices, such as motor protections, relays, rotation switches of relays, solenoids or reed switch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52Testing for short-circuits, leakage current or ground faul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61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local area broadcast, e.g. instore broadcas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증폭기에서 복수의 그룹들로 분할된 확성기로 구성된 구내방송시스템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확성기 선로가 단락되었을 경우 단락된 채널을 순차적으로 검색하지 않고서도 단락된 확성기 선로를 간단하면서도 신속하게 탐색할 수 있는 구내방송장치의 단락채널 검색 및 차단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구내방송장치의 단락채널 검색 및 차단 시스템 및 그 방법{Short channel search and cut off system for public address broadcast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구내방송장치의 단락채널 검색 및 차단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불특정 단락지점의 발단시 단락된 선로가 포함된 채널을 증폭기로부터 전기적으로 신속히 분리시킬 수 있는 단락채널 검색 및 차단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관공서, 학교, 아파트, 병원, 빌딩 등의 건물에는 공지사항을 전달하거나 비상상황을 전파하기 위해 구내방송시스템이 구축된다.
일반적으로 구내방송시스템의 확성기들은 건물의 곳곳에 설치되고 층별 또는 실별로 그룹화 하여 하나의 채널을 구성하고, 복수개의 채널이 하나의 증폭기에 할당되어 방송을 송출하게 된다.
이처럼 하나의 증폭기에 복수의 채널이 할당되는 구내방송시스템에 있어서 어느 한 채널의 확성기 선로가 단락되는 등의 원인으로 과부하가 걸리는 경우 해당 증폭기 내부의 보호회로가 작동하거나 증폭기의 고장으로 상기 증폭기에 연결된 전체 구역의 방송이 중단된다.
따라서, 확성기 채널에 단락과 같은 문제가 발생되면 해당 확성기 채널을 차단하고 다른 채널에서는 정상적인 방송이 가능하도록 할 필요성이 있다.
확성기 선로에 단락이 발생될 때 증폭기를 보호하고 해당 확성기를 제외한 나머지 확성기를 통해서는 계속 방송할 수 있도록 한 종래기술로 등록특허 제10-1412711호 "구내방송장치용 이상부하분석 처리방법 및 장치", 등록특허 제10-1948753호 "스피커 선로 단락시 앰프 보호회로", 등록특허 제10-1037381호 "폴리스위치를 이용한 방송제어시스템"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먼저, 등록특허 제10-1412711호는 각각의 채널마다 전압, 전류를 측정하고 분석처리하는 구조가 되어 구성이 복잡하고, 등록특허 제10-1948753호와 등록특허 제10-1037381호는 PTC나 퓨즈에 의한 보호 장치로 상용 전원처럼 일정하게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오디오신호에서는 그 실효출력의 전압 값이 계속 불규칙하게 변동하면서 시간을 따라 진행하는 특징이 있으므로 입력신호에 따라 동작이 명확하지 않다.
아울러, 전술한 종래기술들 외에도, 구성이 간단하고 저비용으로 구현할 수 있다는 이유로, 공통의 선로에 하나의 과부하검출장치만 구성한 후 순차적으로 채널을 온해 가면서 단락이 발생된 확성기 선로를 직접 찾아내는 방법이 이용되기도 하는데, 이 방법은 사용하는 채널수가 많아지면 채널을 순차적으로 온, 오프하면서 단락된 채널을 찾아야하는 사용구조상의 문제로 인해 채널수가 4개 이상~ 수 십 회선에 달하는 경우 탐색에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하고, 그동안 구내방송장치의 송출기능이 마비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기술들은 전술한 바와 같이 장치 구축 비용이 많이 발생하며, 사용범위가 극히 제한적이라는 문제점과 더불어, 단락 검출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들이 뒤따랐다.
등록특허 제10-1412711호 "구내방송장치용 이상부하분석 처리방법 및 장치" 등록특허 제10-1948753호 "스피커 선로 단락시 앰프 보호회로" 등록특허 제10-1037381호 "폴리스위치를 이용한 방송제어시스템"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하나의 증폭기에서 복수의 확성기가 접속 구성된 구내방송시스템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확성기 선로가 단락되었을 경우 단락된 채널을 순차적으로 검색하지 않고서도 단락된 확성기 선로를 간단하면서도 신속하게 탐색할 수 있는 구내방송장치의 단락채널 검색 및 차단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1) 채널들의 개수가 n 인 경우, 시작채널 인덱스값(s)을 0, 종료채널 인덱스값(f)을 n-1 로 설정하여 알고리즘저장부에 기록하는 단계; (2) 단락검출부로부터 단락신호를 수신하면, 계전기제어부로 하여금 시작채널(A[s])부터 종료채널(A[f])까지의 각 계전기를 모두 오프시키는 단계; (3) 알고리즘저장부에 기설정된 시작채널 인덱스값(s)과 종료채널 인덱스값(f)을 판독하여 중간채널 인덱스값(m)을 int((s+f)/2) 함수를 이용하여 산출하고 알고리즘저장부에 기록하는 단계(여기에서, int( )함수는 ( )내의 값으로부터 정수만을 취하는 정수화 함수임); (4) 계전기제어부로 하여금 중간 다음채널(A[m+1])부터 종료채널(A[f])까지의 각 계전기를 온시키는 단계(여기에서, m+1은 중간채널 인덱스값에 1을 더한 값임); (5-1) 단락검출부로부터 단락신호를 수신하면, 시작채널 인덱스값(s)을 m+1 로 변경 기록하는 단계; (5-1-1) 시작채널 인덱스값(s)이 종료채널 인덱스값(f)과 같으면 시작채널(A[s])에서 단락이 발생한 것으로 검색하는 단계; (5-1-2) 시작채널 인덱스값(s)이 종료채널 인덱스값(f)과 다르면, 단계 (3) 및 (4)를 다시 수행하는 단계, (5-2) 단락검출부로부터 단락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면, 종료채널 인덱스값(f)을 m으로 변경 기록하는 단계; (5-2-1) 시작채널 인덱스값(s)이 종료채널 인덱스값(f)과 같으면 시작채널(A[s])에서 단락이 발생한 것으로 검색하는 단계; (5-2-2) 시작채널 인덱스값(s)이 종료채널 인덱스값(f)과 다르면, 단계(3) 및 (4)를 다시 수행하는 단계; 및 (6) 계전기제어부로 하여금 단락이 발생한 시작채널(A[s])의 계전기를 오프시켜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단계 (2)에서 단락검출부로부터 단락신호를 수신하면, 증폭기의 입력레벨을 감소시키고 단계 (6)에서 시작채널(A[s])의 계전기를 오프시키면, 증폭기의 입력레벨을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단계 (2)에서 단락검출부로부터 단락신호를 수신하면, 신호발생부로 하여금 발진 출력을 발생시키고 단계 (6)에서 시작채널(A[s])의 계전기를 오프시키면, 신호발생부로 하여금 발진 출력을 중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확성기 선로로 연결 구성되는 계전기 및 다수의 확성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n개의 채널; 상기 n개의 채널 중에서 시작채널(A[s]) 내지 종료채널(A[f])로부터 단락신호를 검출하는 단락검출부;  메인제어부의 지시에 따라, 채널의 계전기를 온/오프시키는 계전기제어부; 외부음원 또는 신호발생기로부터의 전기적 입력 신호를 증폭시켜 채널로 출력하는 증폭기; 및 단락검출부로부터 단락신호를 수신하면, 계전기제어부로 하여금 시작채널(A[s]) 부터 종료채널(A[f])까지의 각 계전기를 오프시키고 알고리즘저장부에 기설정된 시작채널 인덱스값(s)과 종료채널 인덱스값(f)을 판독하여 중간채널 인덱스값(m)을 int((s+f)/2) 함수를 이용하여 산출하고(여기에서, int( )함수는 ( )내의 값으로부터 정수만을 취하는 정수화 함수임) 알고리즘저장부에 기록하고 계전기제어부로 하여금 중간 다음채널(A[m+1])부터 종료채널(A[f])까지의 각 계전기를 온시키고(여기에서, m+1은 중간채널 인덱스값에 1을 더한 값임) 단락검출부로부터 단락신호를 수신하면, 시작채널 인덱스값(s)을 m+1로 변경 기록하고 시작채널 인덱스값(s)이 종료채널 인덱스값(f)과 같으면 시작채널(A[s])에서 단락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시작채널 인덱스값(s)이 종료채널 인덱스값(f)과 다르면, 알고리즘저장부에 기설정된 시작채널 인덱스값(s)과 종료채널 인덱스값(f)을 판독하여 중간채널 인덱스값(m)을 int((s+f)/2) 함수를 이용하여 산출하고 알고리즘저장부에 기록한 다음 계전기제어부로 하여금 중간 다음채널(A[m+1])부터 종료채널(A[f])까지의 각 계전기를 온시키고 단락검출부로부터 단락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면, 종료채널 인덱스값(f)을 m으로 변경 기록하고 시작채널 인덱스값(s)이 종료채널 인덱스값(f)과 같으면 시작채널(A[s])에서 단락이 발생한 것으로 검색하고 시작채널 인덱스값(s)이 종료채널 인덱스값(f)과 다르면, 알고리즘저장부에 기설정된 시작채널 인덱스값(s)과 종료채널 인덱스값(f)을 판독하여 중간채널 인덱스값(m)을 int((s+f)/2) 함수를 이용하여 산출하고 알고리즘저장부에 기록한 다음 계전기제어부로 하여금 중간 다음채널(A[m+1])부터 종료채널(A[f])까지의 각 계전기를 온시키되, 계전기제어부로 하여금 단락이 발생한 시작채널(A[s])의 계전기를 오프시켜 차단하는 메인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단락검출부로부터 단락신호를 수신하면 메인제어부의 지시에 따라 단락발생 상태를 표시하고 단락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된 시작채널(A[s])을 표시하는 상태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단락검출부로부터 단락신호를 수신하면 메인제어부의 지시에 따라 단락발생 상태를 관리자 단말기에 송출하고 단락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된 시작채널(A[s])을 관리자 단말기에 송출하는 상태송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물리적인 구성이 간단하면서도 종래 순차검사 방법 대비 검사횟수를 대폭 줄일 수 있어 보다 신속히 단락선로를 찾아내고, 계전기제어부를 통해 계전기의 구동을 제어하여 단락이 발생된 해당 채널을 증폭기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어 방송중단사태에 대해 신속하고 효율적이게 대처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내방송장치의 단락채널 검색 및 차단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내방송장치의 단락채널 검색 및 차단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채널 인덱스값이 부여된 복수의 채널 각각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 6, 7, 9, 10, 12, 13, 15는 구내방송장치의 단락채널 검색 및 차단 과정에서 알고리즘저장부에 저장되는 시작채널 인덱스값, 중간채널 인덱스값 및 종료채널 인덱스값의 변화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구내방송장치의 단락채널 검색 및 차단 과정에서 채널 그룹(G1)의 계전기 온 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구내방송장치의 단락채널 검색 및 차단 과정에서 채널 그룹(G2)의 계전기 온 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구내방송장치의 단락채널 검색 및 차단 과정에서 채널 그룹(G3)의 계전기 온 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구내방송장치의 단락채널 검색 및 차단 과정에서 채널 그룹(G4)의 계전기 온 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구내방송장치의 단락채널 검색 및 차단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을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구내방송장치의 단락채널 검색 및 차단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음원신호를 출력하는 음원발생부(10), 화재감지부(21)로부터 재해신호를 입력받아 비상신호를 출력하는 신호발생부(20), 음원발생부(10) 또는 신호발생부(20)로부터의 전기적 입력 신호를 증폭시켜 채널(A)로 출력하는 증폭기(30), 확성기 선로(42)로 연결 구성되는 계전기(43) 및 다수의 확성기(4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n개의 채널(A), 상기 n개의 채널(A) 중에서 시작채널(A[s]) 내지 종료채널(A[f])로부터 단락신호를 검출하는 단락검출부(50), 메인제어부(80)의 지시에 따라, 채널(A)의 계전기(43)를 온/오프시키는 계전기제어부(60), 채널 인덱스값이 저장되는 알고리즘저장부(70) 및 단락검출부(50)로부터 단락신호를 수신하면, 계전기제어부(60)로 하여금 시작채널(A[s]) 부터 종료채널(A[f])까지의 각 계전기(43)를 오프시키고 알고리즘저장부(70)에 기설정된 시작채널 인덱스값(s)과 종료채널 인덱스값(f)을 판독하여 중간채널 인덱스값(m)을 int((s+f)/2) 함수를 이용하여 산출하고(여기에서, m+1은 중간채널 인덱스값에 1을 더한 값임) 알고리즘저장부(70)에 기록하고 계전기제어부(60)로 하여금 중간 다음채널(A[m+1])부터 종료채널(A[f])까지의 각 계전기(43)를 온시키고(여기에서, m+1은 중간채널 인덱스값에 1을 더한 값임) 단락검출부(50)로부터 단락신호를 수신하면, 시작채널 인덱스값(s)을 m+1로 변경 기록하고 시작채널 인덱스값(s)이 종료채널 인덱스값(f)과 같으면 시작채널(A[s])에서 단락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시작채널 인덱스값(s)이 종료채널 인덱스값(f)과 다르면, 알고리즘저장부(70)에 기설정된 시작채널 인덱스값(s)과 종료채널 인덱스값(f)을 판독하여 중간채널 인덱스값(m)을 int((s+f)/2) 함수를 이용하여 산출하고 알고리즘저장부(70)에 기록한 다음 계전기제어부(60)로 하여금 중간 다음채널(A[m+1])부터 종료채널(A[f])까지의 각 계전기(43)를 온시키고 단락검출부(50)로부터 단락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면, 종료채널 인덱스값(f)을 m으로 변경 기록하고 시작채널 인덱스값(s)이 종료채널 인덱스값(f)과 같으면 시작채널(A[s])에서 단락이 발생한 것으로 검색하고 시작채널 인덱스값(s)이 종료채널 인덱스값(f)과 다르면, 알고리즘저장부(70)에 기설정된 시작채널 인덱스값(s)과 종료채널 인덱스값(f)을 판독하여 중간채널 인덱스값(m)을 int((s+f)/2) 함수를 이용하여 산출하고 알고리즘저장부(70)에 기록한 다음 계전기제어부(60)로 하여금 중간 다음채널(A[m+1])부터 종료채널(A[f])까지의 각 계전기를 온시키되, 계전기제어부(60)로 하여금 단락이 발생한 시작채널(A[s])의 계전기(43)를 오프시켜 차단하는 메인제어부(80)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음원발생부(10)는 구내방송장치의 단락채널 검색 및 차단 시스템이 구축된 시설물에서 평상시 시설 이용에 필요한 각종 구내방송을 시설물 이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수단으로, 음원발생부(10)에서 출력되는 음원신호는 증폭기(30)를 통해 증폭된 뒤, 채널(A)로 인가되고, 채널(A)로 인가된 전기적 음원신호는 확성기(41)를 통해 청취 가능한 음파로 변환되어 시설물로 출력될 수 있다.
신호발생부(20)는 시설물에 구비된 화재감지부(21)로부터 재해신호를 수신받을 수 있다. 화재감지기는 일반적인 화재 외에도, 지진, 홍수, 태풍 등과 같은 자연재해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있으며, 시설물에 이와 같은 자연재해가 발생되면 화재감지기는 재해신호를 신호발생부(20)로 송출하게 된다.
신호발생부(20)는 재해신호 발생여부에 따라 비상신호를 증폭기(30)를 향해 출력하게 되며, 신호발생부(20)에서 출력되는 비상신호는 증폭기(30)를 통해 증폭된 뒤, 채널(A)로 인가되고, 채널(A)로 인가된 전기적 비상신호는 확성기(41)를 통해 사이렌 음과 같은 청취 가능한 음파로 변환되어 시설물로 출력될 수 있다.
채널(A)은 확성기(41), 확성기(41)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확성기 선로(42) 및 확성기 선로(42)에서 확성기(41)로 향하는 신호를 단속하는 계전기(43)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채널(A)이 단락검출부(50)를 매개로 증폭기(30)에 연결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채널(A) 각각은 시설물의 각 층마다 구축되거나, 시설물을 일정 면적으로 구획한 각각의 단위공간을 향해 개별적으로 구축될 수 있다. 하나의 채널(A)에는 복수의 확성기(41) 집합인 확성기군이 마련될 수도 있다.
계전기(43)는 계전기제어부(60)의 제어신호에 따라 온, 오프 작동되어 확성기 선로(42)를 통해 확성기(41)로 향하는 전기적 신호를 단속한다.
계전기(43)가 온 되었을 경우, 증폭기(30)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확성기 선로(42)를 통해 확성기(41)로 입력되어 음파가 정삭적으로 송출될 수 있고, 계전기(43)가 오프 되었을 경우, 증폭기(30)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확성기(41)로 인가될 수 없는 구조를 갖춘다.
계전기제어부(60)는 계전기(43)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메인제어부(80)의 제어하에 각각의 채널(A) 내의 계전기(43)를 온, 오프 동작시킬 수 있다.
단락검출부(50)는 복수의 채널(A)들과 연결되어 채널(A) 내의 확성기 선로(42)에서 발생되는 단락전류를 검출할 수 있다.
단락검출부(50)로부터 단락전류가 검출되면 단락검출부(50)는 단락신호를 메인제어부(80) 측으로 출력할 수 있으며, 메인제어부(80)는, 단락신호를 근거로 계전기제어부(60)를 제어하여 계전기(43)를 온, 오프시킬 수 있다.
알고리즘저장부(70)에는 채널 인덱스값이 저장될 수 있다.
메인제어부(80)는 알고리즘저장부(70)에 저장된 채널 인덱스값을 참조해 단락전류가 발생되는 채널(A)을 신속히 검색하고, 아울러, 검색된 채널(A)의 계전기(43)만을 오프시킴으로써, 단락전류가 발생되지 않은 정상적인 채널(A)에는 방송 송출이 가능토록 하는 기능을 갖춘다.
메인제어부(80)는 실시예에 따라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ing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구내방송장치의 단락채널 검색 및 차단 시스템의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내방송장치의 단락채널 검색 및 차단 시스템은 단락검출부(50)로부터 단락신호를 수신하면 메인제어부(80)의 지시에 따라 단락발생 상태를 표시하고 단락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된 시작채널(A[s])을 표시하는 상태표시부(90) 및 단락검출부(50)로부터 단락신호를 수신하면 메인제어부(80)의 지시에 따라 단락발생 상태를 관리자 단말기(미도시)에 송출하고 단락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된 시작채널(A[s])을 관리자 단말기에 송출하는 상태송출부(91)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불특정 단락지점의 발단은 과전류 통전에 의해 전체 확성기 선로(42)의 단락사고로 이어질 수 있으며, 특히, 증폭기(30) 측에서 볼 때 단락전류가 발생하면 과부하로 말미암아 내장된 출력차단부 또는 해당 보호장치에서 음성신호 또는 작동전원을 끊음으로써 작동중지가 되어 방송은 전체 중단상태가 된다.
즉, 음원발생부(10) 또는 신호발생부(20)를 통해 증폭기(30)로 입력되는 신호 상존과 무관하게 확성기(41)를 포함한 채널(A) 전체가 방송 불능상태가 된다.
이렇게 되면, 정상적인 채널(A)에서도 음원발생부(10)로부터 출력되는 음원신호를 음파로 송출시킬 수 없음은 물론이고, 시설물의 화재발생시 비상 경고음 내지 유도 안내방송을 일절 제공받을 수 없게 되어 화재로 인한 생명과 재산상의 피해를 야기시킬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단락채널 검색 및 차단 방법은 단락탐색 알고리즘에 따라 단락이 발생된 채널을 다른 채널들과 분리시켜 방송시스템을 신속히 정상화시킬 수 있는 방법을 개시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단락채널 검색 및 차단 시스템을 이용한 단락채널 검색 및 차단 방법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를 설명하겠다.
제1 실시예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A)들의 개수가 n 인 경우, 시작채널 인덱스값(s)을 0, 종료채널 인덱스값(f)을 n-1 로 설정하여 알고리즘저장부(70)에 기록하는 단계(S10)가 개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16개의 채널(A)로 구성되는 시스템에서, 12번 채널(A)의 단락전류 발생을 예로 하는 단락채널 검색 및 차단 방법을 설명하며, 여기서 시작채널 인덱스값(s)은 0, 종료채널 인덱스값(f)은 15로 설정되어 알고리즘저장부에 기록될 수 있다.
일례로, 16개(n=16)의 채널(A)로 이루어진 시스템에서 채널(A) 각각이 채널 인덱스값을 할당받게 되면 채널 각각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A[0], A[1], A[2], A[3], A[4], A[5], A[6], A[7], A[8], A[9], A[10], A[11], A[12], A[13], A[14], A[15]의 데이터 형식으로 알고리즘저장부(70)에 저장될 수 있고, 시작채널(A[s])은 A[0], 종료채널(A[f])은 A[15]로 특정되어 알고리즘저장부(70)에 기저장될 수 있다.
다음으로, 단락검출부(50)로부터 단락신호를 수신(S20, 예)하면, 계전기제어부(60)로 하여금 시작채널(A[s])부터 종료채널(A[f])까지의 각 계전기를 모두 오프시키는 단계(S30)를 수행한다.
S20 단계에서는 복수의 채널(A) 중 어느 하나의 채널(A)에서 단락전류가 발생되었을 경우 단락검출부(50)의 단락신호가 메인제어부(80) 측으로 출력되고, 메인제어부(80)는 시작채널(A[0])부터 종료채널(A[15])까지의 각 계전기(43)를 모두 오프시키도록 계전기제어부(60)를 제어하여 증폭기(30)와 확성기(41)의 전기적 연결을 해제시킨다.
다음으로, 알고리즘저장부(70)에 기설정된 시작채널 인덱스값(s)과 종료채널 인덱스값(f)을 판독하여 중간채널 인덱스값(m)을 int((s+f)/2) 함수를 이용하여 산출하고 알고리즘저장부(70)에 기록하는 단계(S40)를 수행한다.
중간채널 인덱스값(m)의 산출은 상기 식 m=(s+f)/2을 통해 산출될 수 있으며, 이때 산출된 값은 정수로 표현된다. 상기 식에서 s는 시작채널 인덱스값을, f는 종료채널 인덱스값을 각각 의미하고, int는 중간채널 인덱스값이 정수로 변환될 수 있도록 하는 함수를 의미한다.
알고리즘저장부(70)에 저장된 시작채널 인덱스값(s)이 0, 종료채널 인덱스값(f)이 15 이므로, 상기 식을 통해 종료채널 인덱스값(m)은 7로 산출되고, 각각의 채널(A)에 시작채널 인덱스값(s), 중간채널 인덱스값(m) 및 종료채널 인덱스값(f)이 할당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작채널(A[s])은 A[0], 중간채널(A[m])은 A[7], 종료채널(A[f])는 A[15]로 특정되어 알고리즘저장부(70)에 저장될 수 있다.
다음으로, 계전기제어부(60)로 하여금 중간 다음채널(A[m+1])부터 종료채널(A[f])까지의 각 계전기를 온시키는 단계(S50)를 수행한다.
S50 단계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제어부(80)가 알고리즘저장부(70)에 저장된 중간채널 인덱스값(m)에 1을 더한 인덱스값에서부터 종료채널 인덱스값(f)의 채널(A)로 이루어지는 채널 그룹(G1)의 계전기(43)를 온시킨다(S50).
즉, 중간채널 인덱스값이 7로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여기서 1을 더한 인덱스값의 시작채널인 A[8]에서부터 종료채널인 A[15]에 해당되는 채널 그룹(G1)이 일제히 온 된다.
다음으로, 단락검출부(50)로부터 단락신호를 수신(S60, 예)하면, 시작채널 인덱스값(s)을 m+1 로 변경 기록하는 단계(S70)를 수행한다.
S60 단계에서는 단락검출부(50)를 통해 계전기(43)가 온 된 채널 그룹(G1)의 확성기 선로(42)에서 단락전류가 검출되는지 판단이 이루어지며, 전제된 바와 같이 A[11]에 해당되는 채널(A)에서 단락전류가 발생되기 때문에 S60 단계에서 단락신호가 검출되고, 검출된 단락신호는 메인제어부(80)로 인가된다.
S60 단계에서 단락검출부(50)로부터 단락신호가 수신되었기 때문에 S70 단계에서는 메인제어부(80)가 시작채널 인덱스값(s)을 중간채널 인덱스값(m)에 1을 더한 값으로 변경시켜 알고리름저장부(70)에 저장한다.
이에 따라, 0으로 저장되어 있던 시작채널 인덱스값(s)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값이 S70 단계에서의 연산에 의해 8로 갱신되어 알고리즘저장부(70)에 기록된다.
다음으로, 시작채널 인덱스값(s)이 종료채널 인덱스값(f)과 다르면(S90. 아니오), 단계 S40 및 S50 을 다시 수행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고리즘저장부(70)에 저장된 시작채널 인덱스값(s)은 8, 종료채널 인덱스값(f)은 15이므로 S90 단계에서 S40 단계로 리턴된다. 이때, 메인제어부(80)가 계전기제어부(60)를 통해 계전기(43)를 오프시킨다.
다시, 알고리즘저장부(70)에 기설정된 시작채널 인덱스값(s)과 종료채널 인덱스값(f)을 판독하여 중간채널 인덱스값(m)을 int((s+f)/2) 함수를 이용하여 산출하고 알고리즘저장부(70)에 기록하는 단계(S40)를 수행한다.
알고리즘저장부(70)에 저장된 시작채널 인덱스값(s)이 8, 종료채널 인덱스값(f)이 15 이므로, 상기 식을 통해 종료채널 인덱스값(m)은 11로 산출되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고리즘저장부(70)에 저장될 수 있다.
다음으로, 계전기제어부(60)로 하여금 중간 다음채널(A[m+1])부터 종료채널(A[f])까지의 각 계전기를 온시키는 단계(S50)를 수행한다.
S50 단계에서는 메인제어부(80)가 알고리즘저장부(70)에 저장된 중간채널 인덱스값(m)에 1을 더한 인덱스값에서부터 종료채널 인덱스값(f)의 채널(A)로 이루어지는 채널 그룹(G2)의 계전기(43)를 온시킨다(S50).
즉, 중간채널 인덱스값(m)이 11로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여기서 1을 더한 인덱스값의 채널인 A[12]에서부터 종료채널인 A[15]에 해당되는 채널 그룹(G2)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제히 온 된다.
다음으로, 단락검출부(50)를 통해 계전기(43)가 온 된 채널 그룹(G2)의 확성기 선로(42)에서 단락전류가 검출되는지 판단한다(S60). 전제된 바와 같이 A[11]에 해당되는 채널(A)에서 단락전류가 발생되기 때문에 S60 단계에서 단락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며, 메인제어부(80)가 단락검출부(50)로부터 단락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면, 종료채널 인덱스값(f)을 m으로 변경 기록하는 단계(S80)을 수행한다.
이 경우, 알고리즘저장부(70)에 저장된 중간채널 인덱스값(m)이 11이기 때문에, 종료채널 인덱스값(f)을 11로 변경시켜 알고리즘저장부(70)에 저장한다. 이렇게 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작채널 인덱스값(s), 중간채널 인덱스값(m) 및 종료채널 인덱스값(f)은 각각 8, 11, 11로 알고리즘저장부(70)에 저장될 수 있다.
다음으로, 시작채널 인덱스값(s)이 종료채널 인덱스값(f)과 다르면(S90. 아니오), 단계 S40 및 S50 을 다시 수행한다.
알고리즘저장부(70)에 저장된 시작채널 인덱스값(s)은 8, 종료채널 인덱스값(f)은 11이므로 S40 단계로 리턴된다. 이때, 메인제어부(80)가 계전기제어부(60)를 통해 계전기(43)를 오프시킨다.
다시, 알고리즘저장부(70)에 기설정된 시작채널 인덱스값(s)과 종료채널 인덱스값(f)을 판독하여 중간채널 인덱스값(m)을 int((s+f)/2) 함수를 이용하여 산출하고 알고리즘저장부(70)에 기록하는 단계(S40)를 수행한다.
알고리즘저장부(70)에 저장된 시작채널 인덱스값(s)이 8, 종료채널 인덱스값(f)이 11 이므로, 상기 식을 통해 종료채널 인덱스값(m)은 9로 산출되고, 채널에 시작채널 인덱스값(s), 중간채널 인덱스값(m) 및 종료채널 인덱스값(f)이 할당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작채널(A[s])은 A[8], 중간채널(A[m])은 A[9], 종료채널(A[f])는 A[11]로 특정되어 알고리즘저장부(70)에 저장될 수 있다.
다음으로, 계전기제어부(60)로 하여금 중간 다음채널(A[m+1])부터 종료채널(A[f])까지의 각 계전기를 온시키는 단계(S50)를 수행한다.
S50 단계에서는 메인제어부(80)가 알고리즘저장부(70)에 저장된 중간채널 인덱스값(m)에 1을 더한 인덱스값에서부터 종료채널 인덱스값(f)의 채널(A)로 이루어지는 채널 그룹(G3)의 계전기(43)를 온시킨다(S50).
즉, 중간채널 인덱스값(m)이 9로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여기서 1을 더한 인덱스값의 채널인 A[10]에서부터 종료채널인 A[11]에 해당되는 채널 그룹(G3)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제히 온 된다.
다음으로, 단락검출부(50)를 통해 계전기(43)가 온 된 채널 그룹(G2)의 확성기 선로(42)에서 단락전류가 검출되는지 판단한다(S60). 전제된 바와 같이 A[11]에 해당되는 채널(A)에서 단락전류가 발생되기 때문에 S60 단계에서 단락신호가 검출되며, 이에 따라 단락검출부(50)로부터 단락신호를 수신(S60, 예)하면, 시작채널 인덱스값(s)을 m+1 로 변경 기록하는 단계(S70)를 수행한다.
S60 단계에서 단락검출부(50)로부터 단락신호가 수신되었기 때문에 S70 단계에서는 메인제어부(80)가 시작채널 인덱스값(s)을 중간채널 인덱스값(m)에 1을 더한 값으로 변경시켜 알고리름저장부(70)에 저장한다.
이에 따라, 8로 저장되어 있던 시작채널 인덱스값(s)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값이 S70 단계에서의 연산에 의해 10으로 갱신되어 알고리즘저장부(70)에 기록된다. 이렇게 되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작채널 인덱스값(s), 중간채널 인덱스값(m) 및 종료채널 인덱스값(f)은 각각 10, 9, 11로 알고리즘저장부(70)에 저장될 수 있다.
다음으로, 시작채널 인덱스값(s)과 종료채널 인덱스값(f)을 비교(S90)하여 시작채널 인덱스값(s)이 종료채널 인덱스값(f)과 다르면(S90. 아니오), 단계 S40 및 S50 을 다시 수행한다.
알고리즘저장부(70)에 저장된 시작채널 인덱스값(s)은 10, 종료채널 인덱스값(f)은 11이므로 S40 단계로 리턴된다. 이때, 메인제어부(80)가 계전기제어부(60)를 통해 계전기(43)를 오프시킨다.
다시, 알고리즘저장부(70)에 기설정된 시작채널 인덱스값(s)과 종료채널 인덱스값(f)을 판독하여 중간채널 인덱스값(m)을 int((s+f)/2) 함수를 이용하여 산출하고 알고리즘저장부(70)에 기록하는 단계(S40)를 수행한다.
알고리즘저장부(70)에 기록된 시작채널 인덱스값(s)이 10, 종료채널 인덱스값(f)이 11 이므로, 상기 식을 통해 종료채널 인덱스값(m)은 10으로 산출되고, 알고리즘저장부(70)에 저장될 수 있다.
다음으로, 계전기제어부(60)로 하여금 중간 다음채널(A[m+1])부터 종료채널(A[f])까지의 각 계전기를 온시키는 단계(S50)를 수행한다.
S50 단계에서는 메인제어부(80)가 알고리즘저장부(70)에 저장된 중간채널 인덱스값(m)에 1을 더한 인덱스값에서부터 종료채널 인덱스값(f)의 채널(A)로 이루어지는 채널 그룹(G4)의 계전기(43)를 온시킨다(S50).
즉, 중간채널 인덱스값(m)이 10으로 기록되어 있기 때문에 여기서 1을 더한 인덱스값의 채널인 A[11]에서부터 종료채널인 A[11]에 해당되는 채널 그룹(G4)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제히 온 된다.
다음으로, 단락검출부(50)를 통해 계전기(43)가 온 된 채널 그룹(G2)의 확성기 선로(42)에서 단락전류가 검출되는지 판단한다(S60). 전제된 바와 같이 A[11]에 해당되는 채널(A)에서 단락전류가 발생되기 때문에 S60 단계에서 단락신호가 검출되며, 이에 따라 메인제어부(80)가 단락검출부(50)로부터 단락신호를 수신(S60, 예)하면, 시작채널 인덱스값(s)을 m+1 로 변경 기록하는 단계(S70)를 수행한다.
S60 단계에서 단락검출부(50)로부터 단락신호가 수신되었기 때문에 S70 단계에서는 메인제어부(80)가 시작채널 인덱스값(s)을 중간채널 인덱스값(m)에 1을 더한 값으로 변경시켜 알고리름저장부(70)에 저장한다.
이에 따라, 10으로 저장되어 있던 시작채널 인덱스값(s)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값이 S70 단계에서의 연산에 의해 11로 갱신되어 알고리즘저장부(70)에 기록된다. 이렇게 되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작채널 인덱스값(s), 중간채널 인덱스값(m) 및 종료채널 인덱스값(f)은 각각 11, 10, 11로 알고리즘저장부(70)에 저장될 수 있다.
다음으로, 시작채널 인덱스값(s)과 종료채널 인덱스값(f)을 비교(S90)한다. 이때, 시작채널 인덱스값(s)인 11과 종료채널 인덱스값(f)인 11이 서로 같기 때문에, 시작채널 인덱스값(s)이 종료채널 인덱스값(f)과 같으면(S90, 예) 시작채널(A[s])인 A[11]에서 단락이 발생한 것으로 검색하고 계전기제어부(60)로 하여금 단락이 발생한 시작채널(A[s])의 계전기를 오프시켜 차단하는 단계(S100)를 수행한다.
다음으로, 메인제어부(80)가 계전기제어부(60)를 제어하여 전체 단락전류가 발생된 A[11]의 채널을 제외한 전체 계전기(43)를 온(S110)시켜 중단되었던 구내방송장치의 방송을 재개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구내방송장치의 단락채널 검색 및 차단 방법은 복수의 채널에 채널 인덱스값을 부여하여 알고리즘저장부(70)에 차례로 저장하고, 채널 인덱스값들을 한 번에 절반으로 나누어 단락검사를 시행하므로써 1회전마다 검사대상 채널이 절반으로 줄어들기 때문에, 공통의 선로에 하나의 과부하검출장치만 구성한 후 순차적으로 채널을 온 해 가면서 단락이 발생된 확성기 선로를 직접 찾아내는 종래 방법(순차검사) 대비 보다 신속하게 단락된 채널을 검색할 수 있다. 순차검사와 본 발명에 따른 구내방송장치의 단락채널 검색 및 차단 방법의 검사횟수 비교표를 아래 표 1과 같이 정리하였다.
사용 채널 수 1 2 4 8 16 32 64 128 ... n
검사횟수 순차검사 0 1 3 7 15 31 63 127 ... n-1
본 발명에 의한 방법 0 1 2 3 4 5 6 7 ...
Figure 112020001864195-pat00001
본 발명에 따른 구내방송장치의 단락채널 검색 및 차단 방법에서는 채널(A)의 단락검사 중 증폭기(30)의 소손 방지를 위하여 상기 단계 S20 에서 단락검출부(50)로부터 단락신호를 수신(S20, 예)하면, 증폭기(30)의 입력레벨을 감소시키고 단계 S100 에서 시작채널(A[s])의 계전기(43)를 오프시키면, 증폭기(30)의 입력레벨을 복귀시키도록 설계될 수 있다.
또한, 불측의 사유로, 음원발생부(10)로부터 출력되는 음원신호가 중단되는 사태를 대비하여 상기 단계 S20 에서 단락검출부(50)로부터 단락신호를 수신(S20, 예)하면, 신호발생부(20)로 하여금 발진 출력을 발생시키고 단계 S100 에서 시작채널(A[s])의 계전기를 오프시키면, 신호발생부(20)로 하여금 발진 출력을 중단시키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 경우, 화재감지부(21)로부터 재해신호가 발생되지 않더라도, 단락검출부(50)로부터 단락신호가 검출되면 메인제어부(80)가 신호발생부(20)를 제어하여 신호발생부(20)의 발진출력을 증폭기(30)에 공급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단락채널 검색 및 차단 방법의 제1 실시예와 균등한 타 실시예(제2 실시예 내지 제4 실시예)에 대해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해 설명한다.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중복을 피하기 위해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실시예
제2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에서의 S50 단계, S70 단계 및 S80 단계에서 일부 차이가 있으므로, 제2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상기 차이점에 대해서만 기술하도록 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구내방송장치의 단락채널 검색 및 차단 방법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S50 단계에서 계전기제어부(60)로 하여금 시작채널(A[s])부터 종료채널(A[m])까지의 각 계전기를 온시킬 수도 있다. 즉, S50 단계에서는 메인제어부(80)가 알고리즘저장부(70)에 저장된 시작채널 인덱스값(s)에서부터 중간채널 인덱스값(m)의 채널(A)로 이루어지는 채널 그룹의 계전기(43)를 온시킬 수 있다.
예컨대, 시작채널 인덱스값이 0, 중간채널 인덱스값이 7로 저장되어 있을 경우, A[0]에서부터 A[7]에 해당되는 채널 그룹이 일제히 온 될 수 있다.
이때, 메인제어부(80)가 단락검출부(50)로부터 단락신호를 수신하면(S60, 예) S70 단계에서는 종료채널 인덱스값(f)을 m으로 변경 기록하는 단계(S80)을 수행하고, 메인제어부(80)가 단락검출부(50)로부터 단락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면(S60, 아니오) 시작채널 인덱스값(s)을 m+1 로 변경 기록하는 단계(S70)를 수행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제3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에서의 S40 단계, S50 단계, S70 단계 및 S80 단계에서 일부 차이가 있으므로, 제3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상기 차이점에 대해서만 기술하도록 한다.
제3 실시예의 S40 단계에서는 m=ceil(s+f/2)의 식을 이용해 중간채널 인덱스값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식(m=ceil(s+f/2))에서 s는 시작채널 인덱스값을, f는 종료채널 인덱스값을 각각 의미하고, ceil은 산출된 중간채널 인덱스값의 소수점 이하의 수를 반올림시키는 함수를 의미한다. 알고리즘저장부(70)에 저장된 시작채널 인덱스값(s)이 0, 종료채널 인덱스값(f)이 15 일 경우, 상기 식(m=ceil(s+f/2))을 통해 중간채널 인덱스값(m)은 8로 산출될 수 있으며, 각각의 채널(A)에 시작채널 인덱스값(s), 중간채널 인덱스값(m) 및 종료채널 인덱스값(f)이 할당되면 시작채널(A[s])은 A[0], 중간채널(A[m])은 A[8], 종료채널(A[f])는 A[15]로 특정되어 알고리즘저장부(70)에 저장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S50 단계에서는 계전기제어부(60)로 하여금 시작채널(A[m])부터 종료채널(A[f])까지의 각 계전기를 온시킬 수 있다.
예컨대, 중간채널 인덱스값이 8, 종료채널 인덱스값이 15로 저장되어 있을 경우, A[8]에서부터 A[15]에 해당되는 채널 그룹이 일제히 온 될 수 있다.
이때, 메인제어부(80)가 단락검출부(50)로부터 단락신호를 수신하면(S60, 예) S70 단계에서는 시작채널 인덱스값(s)을 m으로 변경 기록하고, 메인제어부(80)가 단락검출부(50)로부터 단락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면(S60, 아니오) 종료채널 인덱스값(f)을 m-1로 변경 기록하는 단계(S80)을 수행할 수 있다.
제4 실시예
제4 실시예에서는 제3 실시예에서의 S50 단계, S70 단계 및 S80 단계에서 일부 차이가 있으므로, 제4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상기 차이점에 대해서만 기술하도록 한다.
제4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제3 실시예와 동일하게 S40 단계에서 중간채널 인덱스값을 산출할 때 전술한 m=ceil(s+f/2)의 식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S50 단계에서는 계전기제어부(60)로 하여금 시작채널(A[s])부터 종료채널(A[m-1])까지의 각 계전기를 온시킬 수도 있다. 즉, S50 단계에서는 메인제어부(80)가 알고리즘저장부(70)에 저장된 시작채널 인덱스값(s)에서부터 중간채널 인덱스값(m)에 1을 뺀 인덱스값을 가지는 채널(A)로 이루어지는 채널 그룹의 계전기(43)를 온시킬 수 있다.
예컨대, 시작채널 인덱스값이 0, 중간채널 인덱스값이 8로 기저장되어 있을 경우, A[0]에서부터 A[8-1]인 A[7]에 해당되는 채널 그룹이 일제히 온 될 수 있다.
이때,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제어부(80)가 단락검출부(50)로부터 단락신호를 수신하면(S60, 예) S70 단계에서는 종료채널 인덱스값(f)을 m-1로 변경 기록하고, 메인제어부(80)가 단락검출부(50)로부터 단락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면(S60, 아니오) 시작채널 인덱스값(s)을 m으로 변경 기록하는 단계(S70)를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구내방송장치의 단락채널 검색 및 차단 방법의 실시예들에 있어 각각의 차이점은 아래 표 2에 정리된 바와 같다.
제1 실시예 제2 실시예 제3 실시예 제4 실시예
S40 단계에서 중간채널 인덱스값 산출식 m=int(s+f)/2 m=int(s+f)/2 m=ceil(s+f)/2 m=ceil(s+f)/2
S50 단계에서 계전기가 온 되는 채널 그룹 A[m+1] ~ A[f] A[s] ~ A[m] A[m] ~ A[f] A[s] ~ A[m-1]
S70 단계에서 기록되는 데이터 s=m+1 f=m s=m f=m-1
S80 단계에서 기록되는 데이터 f=m s=m+1 f=m-1 s=m
즉, 위에 바람직한 실시예로 기술한 제1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균등한 제2 실시예 내지 제4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은 당연하고, 그러므로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로 언급한 제1 실시예의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정리하하면, 본 발명에 따른 구내방송장치의 단락채널 검색 및 차단 시스템 및 방법은 물리적인 구성이 간단하면서도 종래 순차검사 방법 대비 검사횟수를 대폭 줄일 수 있어 보다 신속히 단락선로를 찾아내어 계전기제어부(60)를 통해 계전기(43)의 구동을 제어하여 단락이 발생된 해당 채널(A)을 증폭기(30)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어 방송중단상태에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음원발생부 20: 신호발생부
30: 증폭기 40: 채널
50: 단락검출부 60: 계전기제어부
70: 알고리즘저장부 80: 메인제어부

Claims (6)

  1. (1) 채널들의 개수가 n 인 경우, 시작채널 인덱스값(s)을 0, 종료채널 인덱스값(f)을 n-1 로 설정하여 알고리즘저장부에 기록하는 단계;
    (2) 단락검출부로부터 단락신호를 수신하면, 계전기제어부로 하여금 시작채널(A[s])부터 종료채널(A[f])까지의 각 계전기를 모두 오프시키는 단계;
    (3) 알고리즘저장부에 기설정된 시작채널 인덱스값(s)과 종료채널 인덱스값(f)을 판독하여 중간채널 인덱스값(m)을 int((s+f)/2) 함수를 이용하여 산출하고 알고리즘저장부에 기록하는 단계(여기에서, int( )함수는 ( )내의 값으로부터 정수만을 취하는 정수화 함수임);
    (4) 계전기제어부로 하여금 중간 다음채널(A[m+1])부터 종료채널(A[f])까지의 각 계전기를 온시키는 단계(여기에서, m+1은 중간채널 인덱스값에 1을 더한 값임);
    (5-1) 단락검출부로부터 단락신호를 수신하면, 시작채널 인덱스값(s)을 m+1 로 변경 기록하는 단계;
    (5-1-1) 시작채널 인덱스값(s)이 종료채널 인덱스값(f)과 같으면 시작채널(A[s])에서 단락이 발생한 것으로 검색하는 단계;
    (5-1-2) 시작채널 인덱스값(s)이 종료채널 인덱스값(f)과 다르면, 단계 (3) 및 (4)를 다시 수행하는 단계,
    (5-2) 단락검출부로부터 단락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면, 종료채널 인덱스값(f)을 m으로 변경 기록하는 단계;
    (5-2-1) 시작채널 인덱스값(s)이 종료채널 인덱스값(f)과 같으면 시작채널(A[s])에서 단락이 발생한 것으로 검색하는 단계;
    (5-2-2) 시작채널 인덱스값(s)이 종료채널 인덱스값(f)과 다르면, 단계(3) 및 (4)를 다시 수행하는 단계; 및
    (6) 계전기제어부로 하여금 단락이 발생한 시작채널(A[s])의 계전기를 오프시켜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내방송장치의 단락채널 검색 및 차단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단계 (2)에서 단락검출부로부터 단락신호를 수신하면, 증폭기의 입력레벨을 감소시키고 단계 (6)에서 시작채널(A[s])의 계전기를 오프시키면, 증폭기의 입력레벨을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내방송장치의 단락채널 검색 및 차단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단계 (2)에서 단락검출부로부터 단락신호를 수신하면, 신호발생부로 하여금 발진 출력을 발생시키고 단계 (6)에서 시작채널(A[s])의 계전기를 오프시키면, 신호발생부로 하여금 발진 출력을 중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내방송장치의 단락채널 검색 및 차단 방법. 
  4. 확성기 선로로 연결 구성되는 계전기 및 다수의 확성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n개의 채널;
    상기 n개의 채널 중에서 시작채널(A[s]) 내지 종료채널(A[f])로부터 단락신호를 검출하는 단락검출부; 
    메인제어부의 지시에 따라, 채널의 계전기를 온/오프시키는 계전기제어부;
    외부음원 또는 신호발생기로부터의 전기적 입력 신호를 증폭시켜 채널로 출력하는 증폭기; 및
    단락검출부로부터 단락신호를 수신하면, 계전기제어부로 하여금 시작채널(A[s]) 부터 종료채널(A[f])까지의 각 계전기를 오프시키고 알고리즘저장부에 기설정된 시작채널 인덱스값(s)과 종료채널 인덱스값(f)을 판독하여 중간채널 인덱스값(m)을 int((s+f)/2) 함수를 이용하여 산출하고(여기에서, int( )함수는 ( )내의 값으로부터 정수만을 취하는 정수화 함수임) 알고리즘저장부에 기록하고 계전기제어부로 하여금 중간 다음채널(A[m+1])부터 종료채널(A[f])까지의 각 계전기를 온시키고(여기에서, m+1은 중간채널 인덱스값에 1을 더한 값임) 단락검출부로부터 단락신호를 수신하면, 시작채널 인덱스값(s)을 m+1로 변경 기록하고 시작채널 인덱스값(s)이 종료채널 인덱스값(f)과 같으면 시작채널(A[s])에서 단락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시작채널 인덱스값(s)이 종료채널 인덱스값(f)과 다르면, 알고리즘저장부에 기설정된 시작채널 인덱스값(s)과 종료채널 인덱스값(f)을 판독하여 중간채널 인덱스값(m)을 int((s+f)/2) 함수를 이용하여 산출하고 알고리즘저장부에 기록한 다음 계전기제어부로 하여금 중간 다음채널(A[m+1])부터 종료채널(A[f])까지의 각 계전기를 온시키고 단락검출부로부터 단락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면, 종료채널 인덱스값(f)을 m으로 변경 기록하고 시작채널 인덱스값(s)이 종료채널 인덱스값(f)과 같으면 시작채널(A[s])에서 단락이 발생한 것으로 검색하고 시작채널 인덱스값(s)이 종료채널 인덱스값(f)과 다르면, 알고리즘저장부에 기설정된 시작채널 인덱스값(s)과 종료채널 인덱스값(f)을 판독하여 중간채널 인덱스값(m)을 int((s+f)/2) 함수를 이용하여 산출하고 알고리즘저장부에 기록한 다음 계전기제어부로 하여금 중간 다음채널(A[m+1])부터 종료채널(A[f])까지의 각 계전기를 온시키되, 계전기제어부로 하여금 단락이 발생한 시작채널(A[s])의 계전기를 오프시켜 차단하는 메인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내방송장치의 단락채널 검색 및 차단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단락검출부로부터 단락신호를 수신하면 메인제어부의 지시에 따라 단락발생 상태를 표시하고 단락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된 시작채널(A[s])을 표시하는 상태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내방송장치의 단락채널 검색 및 차단 시스템.
  6. 청구항 4에 있어서,
    단락검출부로부터 단락신호를 수신하면 메인제어부의 지시에 따라 단락발생 상태를 관리자 단말기에 송출하고 단락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된 시작채널(A[s])을 관리자 단말기에 송출하는 상태송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내방송장치의 단락채널 검색 및 차단 시스템.
KR1020200002322A 2020-01-08 2020-01-08 구내방송장치의 단락채널 검색 및 차단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377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2322A KR102137701B1 (ko) 2020-01-08 2020-01-08 구내방송장치의 단락채널 검색 및 차단 시스템 및 그 방법
PCT/KR2021/000259 WO2021141442A1 (ko) 2020-01-08 2021-01-08 구내방송장치의 단락채널 검색 및 차단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2322A KR102137701B1 (ko) 2020-01-08 2020-01-08 구내방송장치의 단락채널 검색 및 차단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7701B1 true KR102137701B1 (ko) 2020-07-24

Family

ID=71892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2322A KR102137701B1 (ko) 2020-01-08 2020-01-08 구내방송장치의 단락채널 검색 및 차단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37701B1 (ko)
WO (1) WO202114144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41442A1 (ko) * 2020-01-08 2021-07-15 (주)전전사 구내방송장치의 단락채널 검색 및 차단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8798A (ja) * 1999-07-14 2001-01-30 Toa Corp スピーカ回線の短絡検知装置
KR101037381B1 (ko) 2010-03-05 2011-05-26 엠에스텔레콤 주식회사 폴리스위치를 이용한 방송제어시스템
KR101412711B1 (ko) 2013-08-02 2014-08-06 (주)전전사 구내방송장치용 이상부하분석 처리방법 및 장치
KR101948753B1 (ko) 2018-11-16 2019-02-15 (주)합동전자산업 스피커 선로 단락시 앰프 보호회로
KR102004454B1 (ko) * 2019-03-08 2019-07-26 주식회사 젠프로 스피커 단락 회선 제어 장치
KR102022997B1 (ko) * 2019-05-08 2019-09-20 (주)파스컴 Ptc 스위치를 이용한 방송배선 단락방지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1447B1 (ko) * 1996-10-31 1999-11-15 전주범 기록 증폭기의 기록 전류 자동 조절회로 및 방법
KR102137701B1 (ko) * 2020-01-08 2020-07-24 (주)전전사 구내방송장치의 단락채널 검색 및 차단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8798A (ja) * 1999-07-14 2001-01-30 Toa Corp スピーカ回線の短絡検知装置
KR101037381B1 (ko) 2010-03-05 2011-05-26 엠에스텔레콤 주식회사 폴리스위치를 이용한 방송제어시스템
KR101412711B1 (ko) 2013-08-02 2014-08-06 (주)전전사 구내방송장치용 이상부하분석 처리방법 및 장치
KR101948753B1 (ko) 2018-11-16 2019-02-15 (주)합동전자산업 스피커 선로 단락시 앰프 보호회로
KR102004454B1 (ko) * 2019-03-08 2019-07-26 주식회사 젠프로 스피커 단락 회선 제어 장치
KR102022997B1 (ko) * 2019-05-08 2019-09-20 (주)파스컴 Ptc 스위치를 이용한 방송배선 단락방지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41442A1 (ko) * 2020-01-08 2021-07-15 (주)전전사 구내방송장치의 단락채널 검색 및 차단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41442A1 (ko) 2021-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95445A (en) Method for managing facilities and workers within a closed range
KR101972136B1 (ko) 스피커 선로 체크 기능을 이용한 안전한 비상 방송 장치
KR102044119B1 (ko) 전관방송 시스템의 스피커 선로 장애 감지 장치 및 방법
KR102137701B1 (ko) 구내방송장치의 단락채널 검색 및 차단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96091B1 (ko) 진동 지진과 스피커 회선의 이상 자동감지 및 상시 비상 방송 가능 시스템
JP2002345091A (ja) スピーカ故障検知装置及びスピーカ故障検知方法
KR20170112932A (ko) 전관방송 시스템 및 전관방송 시스템 점검 방법
KR101816689B1 (ko) 원격 진단을 제공받거나 자가 진단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송시스템
US4100380A (en) Supervisory circuit for monitoring speaker coils
KR102251782B1 (ko) 비상방송 송출용 스마트 프로세서 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102502921B1 (ko) 스피커 및 방송라인 테스터장치
JP2019215701A (ja) 音声報知装置
US3912883A (en) Direct current supervisory system
CN210168210U (zh) 广播系统和应用于广播系统的扬声器系统
KR102032353B1 (ko) 비상방송을 위한 전류센싱 기반의 스피커 라인 단락 보호 방법
KR102004451B1 (ko) 전관 방송용 앰프의 다회선 스피커 선로 단락 검출 및 제어 시스템
KR20200129975A (ko) 선로 단락 단선 보호기능 통합관리 iot 전관방송시스템
JP6628264B1 (ja) 音声緊急情報報知装置
KR101683417B1 (ko) 전관방송 시스템 및 전관방송 시스템 점검 방법
EP0967833B1 (en) A method of operating a PA system having zone isolator circuits
KR102214729B1 (ko) 비상 방송 제어 시스템
KR101992293B1 (ko) 실시간 검출이 가능한 디지털앰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전환 방송시스템
KR102015326B1 (ko) 대용량 가변저항 병렬연결 기반의 비상방송을 위한 스피커 라인 체커 장치
KR102089672B1 (ko) 구내 방송 시스템
KR102320844B1 (ko) 누설 감지 기반의 오디오 앰프의 스피커 선로 어스폴트 보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