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3254B1 - 지중 매설용 송전선로의 전선연결대 - Google Patents

지중 매설용 송전선로의 전선연결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3254B1
KR101683254B1 KR1020160115897A KR20160115897A KR101683254B1 KR 101683254 B1 KR101683254 B1 KR 101683254B1 KR 1020160115897 A KR1020160115897 A KR 1020160115897A KR 20160115897 A KR20160115897 A KR 20160115897A KR 101683254 B1 KR101683254 B1 KR 1016832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line
tension
coupled
cylinder
imp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5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지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지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지이엔지
Priority to KR1020160115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32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3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32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07Devices for relieving mechanical stre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1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liquid only; using a fluid of which the nature is im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292Sens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1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cable chambers, e.g. in manhole or in handho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지중 매설용 송전선로의 전선연결대는 지중관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1 송전선로와 제2 송전선로의 이탈을 지연시키고 제1 송전선로와 제2 송전선로로 외력이 작용하여 이탈하려고 할 때 장력을 완화시키거나 충격을 흡수하여 송전선로의 파손을 방지하며, 제1 송전선로와 제2 송전선로가 이탈되기 전에 제1 송전선로와 제2 송전선로의 이탈 신호를 관리자에게 미리 알려주어 안전 사고를 예방한다.

Description

지중 매설용 송전선로의 전선연결대{Frame of Connecting of Underground Transmission Line}
본 발명은 지중 매설용 송전선로의 전선연결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중관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1 송전선로와 제2 송전선로의 이탈을 지연시키고 제1 송전선로와 제2 송전선로로 외력이 작용하여 이탈하려고 할 때 장력을 완화시키거나 충격을 흡수하여 송전선로의 파손을 방지하며, 제1 송전선로와 제2 송전선로가 이탈되기 전에 제1 송전선로와 제2 송전선로의 이탈 신호를 관리자에게 미리 알려주어 안전 사고를 예방하는 지중 매설용 송전선로의 전선연결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중매설형 송전선로는 지중에 매설된 지중관로의 내부에 설치되며, 지중관로의 내부에 구비된 전선연결대에 연결되어 연장되거나 분기되어 각 건물 또는 공장으로 연결되어 전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송전선로는 충분한 용량의 전기를 송전할 수 있는 전선을 이용한다.
이와 같이 송전선로를 연결하는 전선연결대는 송전선로가 매설되는 지중관로의 내부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지지프레임과, 도전체인 구리바 등으로 구성된다. 양단에는 송전선로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기구가 구비되며 상기 금속프레임에 절연되도록 설치되는 전극으로 이루어져 상기 전극의 양단에 송전선로를 고정하므로써, 송전선로를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하거나 송전선로를 분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이러한 송전선로를 배선하기 위해서는 송전선로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한 사선 상태에서 작업자가 송전선로의 일단을 전선연결대의 전극에 고정하고 송전선로의 타단을 당겨 다음 번 전선연결대의 전극에 고정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송전선로가 연장되도록 하거나 일단이 전극에 연결되어 분기된 송전선로의 타단을 당겨 건물이나 공장의 배전선에 연결함으로써 송전선로의 배선을 완료할 수 있다.
송전선로의 배선이 완료된 후 연장된 송전선로에 전원을 인가하여 건물이나 공장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에서 작업자가 송전선로를 과도하게 당겨 전선연결대의 전극과 송전선로의 연결부위가 풀리거나, 송전선로 또는 전극이 손상되는 경우가 발생되었다.
그리고 경시적으로 송전선로가 전선연결대로부터 풀리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이러한 송전선로의 움직임을 미리 감지하지 못하여 송전선로가 전선연결대에서 이탈된 후에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송전선로의 단선으로 인한 전력 공급에 차질이 발생되고 유지 보수 비용이 커지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고정구는 지지프레임의 양측에 대칭으로만 고정 설치되어 송전선로가 일직선형으로 배선되지 않을 경우 송전선로의 배선 방향을 무리하게 꺽어야 하므로 송전선로의 손상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중관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1 송전선로와 제2 송전선로의 이탈을 지연시키고 제1 송전선로와 제2 송전선로로 외력이 작용하여 이탈하려고 할 때 장력을 완화시키거나 충격을 흡수하여 송전선로의 파손을 방지하며, 제1 송전선로와 제2 송전선로가 이탈되기 전에 제1 송전선로와 제2 송전선로의 이탈 신호를 관리자에게 미리 알려주어 안전 사고를 예방하는 지중 매설용 송전선로의 전선연결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지지프레임(32)과, 상기 지지프레임(32)의 상부 양단에 제1 송전선로(10)와 제2 송전선로(20)를 고정하는 고정구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송전선로(10)와 상기 제2 송전선로(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지중 매설용 송전선로의 전선연결대는,
상기 지지프레임(32)의 좌측 상부면(11)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송전선로(10)와 제1 고정전극(12)의 사이에서 접속 연결하고, 상기 제1 송전선로(10)가 상기 지지프레임(32)으로부터 이탈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장력을 조절하고 충격을 흡수하는 제1 장력조절부(100);
상기 지지프레임(32)의 우측 상부면(21)에 형성되어 상기 제2 송전선로(20)와 제2 고정전극(22)의 사이에서 접속 연결하고, 상기 제2 송전선로(20)가 상기 지지프레임(32)으로부터 이탈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장력을 조절하고 충격을 흡수하는 제2 장력조절부(200); 및
상기 제1 고정전극(12)과 상기 제2 고정전극(22)의 사이에 코일 형태로 펼쳐져 길이가 길어지는 가변전극(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제1 송전선로와 제2 송전선로에 강한 외력에 작용하는 경우에도 송전선로의 장력을 조절하고 충격을 완화시켜 송전선로가 끊어지거나 파손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1 송전선로와 제2 송전선로가 지지프레임에서 이탈되기 전에 관리자에게 제1 송전선로와 제2 송전선로의 이탈 신호를 안내하여 송전계통의 단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이로 인하여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중 매설용 송전선로의 전선연결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부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격완화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중 매설용 송전선로의 전선연결대의 동작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가진 본 발명의 지중 매설용 송전선로의 전선 연결대를 도 1 내지 도 6을 기초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중 매설용 송전선로의 전선연결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중 매설용 송전선로의 전선연결대는 지중관로(맨홀 등) 내부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32)과, 상기 지지프레임(32)의 좌측 상부면(11)과 우측 상부면(21)에 각각 제1 장력조절부(100)와 제2 장력조절부(200)가 설치되고, 제1 송전선로(10)와 제1 고정전극(12)을 상기 제1 장력조절부(100)에 의해 접속 연결되며, 제2 송전선로(20)와 제2 고정전극(22)을 상기 제2 장력조절부(200)에 의해 접속 연결된다.
이외에 지중 매설용 송전선로의 전선연결대는 제1 고정전극(12)과 제2 고정전극(22)을 접속 연결하며 길이 조절이 가능한 가변전극(30)으로 이루어진다.
가변전극(30)은 길이 가변이 가능하도록 코일 형태로 감기며 양측 단부가 제1 고정전극(12)과 제2 고정전극(22)에 각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고정된다.
제1 고정전극(12)과 제2 고정전극(22)은 제1 장력조절부(100)와 제2 장력조절부(200)에 의해 각각 제1 송전선로(10)와 제2 송전선로(20)의 이탈 방향으로 장력이 조절되면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 송전선로(10)와 제2 송전선로(20)가 지지프레임(32)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가변전극(30)이 펼쳐지면서 길이가 길어지고 제1 고정전극(12)과 제2 고정전극(22)이 지지프레임(32)을 기준으로 제1 송전선로(10)와 제2 송전선로(20)의 이탈 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제1 송전선로(10)와 제2 송전선로(20)의 이탈을 방지한다.
스위치(16, 26)는 온 접점하게 되면, 제어부(110)는 제1 알람부(112)와 제2 알람부(114)를 통해 제1 송전선로(10)와 제2 송전선로(20)의 이동을 알려준다.
제1 송전선로(10)와 제2 송전선로(20)는 인장력에 의해 지지프레임(32)으로부터 이탈하려는 경우, 슬라이드부재(120, 220)와 충격완화부재(140, 240)에 의해 장력을 완화시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스위치(16, 26)이 온 접점하면 제어부(110)는 이를 감지하여 제1 알람부(112)와 제2 알람부(114)를 통해 제1 송전선로(10)와 제2 송전선로(20)의 이탈을 알린다.
제1,2 송전선로(10, 20)가 지지프레임(32)에서 이탈되기 전에 제1,2 송전선로(10, 20)가 이탈되려는 증상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제1,2 송전선로(10, 20)의 이탈로 인한 전력 공급 차단을 막을 수 있고, 저렴한 비용으로 보수를 할 수 있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장력조절부(100)와 제2 장력조절부(200)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부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2 장력조절부(100, 200)는 슬라이드부재(120, 220) 및 충격완화부재(140, 240)를 포함한다.
슬라이드부재(120, 220)는 지지프레임(32)의 상부면(11, 21)에 길이 방향의 레일(121, 221)이 길게 형성되고, 상기 레일(121, 221)의 양쪽 측면에 레일홈부(122, 222)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레일(121, 221)을 덮는 형태의 가이드 블록부(124, 224)가 결합된다.
가이드 블록부(124, 224)는 하부가 개방되고 좌우측과 상부가 폐쇄된 형태로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내측으로 상기 레일홈부(122, 222)에 삽입되는 돌출부(128, 228)가 베어링휠(129, 229)에 의해 체결된다.
각각의 베어링휠(129, 229)은 상기 레일홈부(122, 222)에 돌출부(128, 228)의 마찰을 최소화하면서 구름 운동을 하여 직선 이동을 보다 원활하게 해준다.
상기 레일(121, 221)의 하부 양측면에는 각각 길이 방향으로 래크기어부(123, 223)가 길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블록부(124, 224)는 양쪽 측면으로부터 각각 수평대(126a, 126b, 226a, 226b)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각각의 수평대(126a, 126b, 226a, 226b)에서 직각 방향으로 수직대(125a, 125b, 225a, 225b)가 세워지며, 상기 각각의 수직대(125a, 125b, 225a, 225b)의 하부면에 상기 래크기어부(123, 223)에 맞물려 치합되는 피니언기어부(123a, 123b, 223a, 223b)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블록부(124, 224)의 상부면에는 전선브래킷(127, 227)이 형성되고, 상기 전선브래킷(127, 227)은 양쪽으로 제1, 2 송전선로(10, 20)와 제1, 2 고정전극(12, 22)이 연결된다.
상기 제1, 2 송전선로(10, 20)가 외력에 의해 당겨지는 경우, 피니언기어부(123a, 123b, 223a, 223b)가 상기 래크기어부(123, 223)를 따라 직선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 블록부(124, 224)가 상기 레일(121, 221)를 따라 직선 이동한다.
상기 가이드 블록부(124, 224)가 상기 레일(121, 221)를 따라 이동하여 스토퍼(141, 241)에 충돌하게 된다.
이때, 스토퍼(141a, 241a)에 연결된 충격완화부재(140, 240)는 상기 가이드 블록부(124, 224)에 순간적인 충격이 가해질 때 충격을 흡수하면서 댐핑 역할을 담당한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충격완화부재(140, 240)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격완화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격완화부재(140, 240)는 상기 가이드 블록부(124, 224)에 의해 순간적인 충격 하중이 가해질 경우,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댐핑수단을 구비한다.
댐핑수단은 실린더하우징(142, 242)의 제2 챔버(142c, 242c)와 실린더로드(145, 245)의 내경(147, 247)을 서로 연통시키도록 피스톤(143, 243)에 형성되는 제1 오리피스(143a, 243a)와, 실린더로드(145, 245)의 내경(147, 247)과 실린더하우징(142, 242)의 제1 챔버(148a, 248a)를 연통시키도록 실린더로드(145, 245)의 측벽에 형성되는 제2 오리피스(148b, 248b)로 구성된다.
실린더하우징(142, 242)은 내경(142b, 242b)을 갖추고 있으며, 이 내경(142b, 242b)은 프론트커버(144, 244)와 리어커버(142a, 242a)에 의해 밀폐된다.
여기서, 실린더하우징(142, 242)은 높은 강도를 갖는 스틸(Steel)재질로 구성된다.
리어커버(142a, 242a)의 일면에는 상기 가이드 블록부(124, 224)가 직선 이동하여 부딪쳐 접촉한다.
상기 실린더로드(145, 245)의 일면에는 스토퍼(141, 241)가 결합되며, 상기 스토퍼(141, 241)의 일측에는 스위치(16, 26)가 형성된다.
상기 실린더로드(145, 245)의 외주면에는 코일스프링(14, 24)가 감겨져 결합되어 있다.
피스톤(143, 243)은 실린더하우징(142, 243)의 내경(142b, 242b)에 배치되어 상기 내경(142b, 242b)을 제1 챔버(148a, 248a)와 제2 챔버(142c, 242c)로 나누며, 제1 챔버(148a, 248a)와 제2 챔버(142c, 242c)로 도입되는 작동유에 의해 실린더하우징(142, 242)의 내경(142b, 242b)을 따라 운동 가능하다.
그리고 충격완화부재(140, 240)는 실린더로드(145, 245)를 갖는다. 실린더로드(145, 245)는 일단이 피스톤(143, 243)에 고정되고, 타단이 프론트커버(144, 244)를 관통하여 외부로 뻗어 있다.
이러한 실린더로드(145, 245)는 실린더하우징(142, 242)의 내경(142b, 242b)을 따라 운동하는 피스톤(143, 243)에 의해 신장과 수축을 반복하면서 기계적인 일을 하게 된다.
실린더로드(145, 245)는 내경(147, 247)과 외경(146, 246)의 비가 0.2~0.8정도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1 오리피스(143a, 243a)는 실린더로드(145, 245)가 충격 하중을 받아 실린더하우징(142)의 내부로 이동함에 따라 피스톤(143, 243)에 의해 가압되는 제2 챔버(142c, 242c) 내의 작동유가 실린더로드(145, 245)의 내경(147, 247)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실린더로드(145, 245)는 내경(147, 247)을 갖는 중공의 파이프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실린더로드(145, 245)의 내경(147, 247)에는 흡음재가 충전되고, 상기 흡음재는 경화성수지, 발포우레탄, 고점도의 윤활유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구성된다.
제2 오리피스(148b, 248b)는 실린더로드(145, 245)의 내경(147, 247)으로 도입된 작동유가 실린더하우징(142, 242)의 제1 챔버(148a, 248a)로 배출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댐핑수단에 의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로드(145, 245)가 충격 하중을 받아서 이와 연결된 피스톤(143, 243)이 제2 챔버(142c, 242c) 내의 작동유를 가압하면, 가압된 작동유가 제2 챔버(142c, 242c)로부터 제1 챔버(148a, 248a)로 배출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가압된 작동유가 제2 챔버(142c, 242c)로부터 제1 챔버(148a, 248a)로 배출될 수 있게 함으로써, 실린더로드(145, 245) 및 이와 연결된 피스톤(143, 243)이 제2 챔버(142c, 242c)로 천천히 이동하면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제2 오리피스(148b, 248b)는 제1 오리피스(143a, 243a)의 직경보다 작도록 구성된다. 이는 제2 챔버(142c, 242c)로부터 실린더로드(145, 245)의 내경(147, 247)으로 도입되는 작동유 보다 실린더로드(145, 245)의 내경(147, 247)으로부터 제1 챔버(148a, 248a)로 배출되는 작동유의 유량이 적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제2 챔버(142c, 242c)로부터 제1 챔버(148a, 248a)로 배출되는 작동유의 유량을 작게 하여 충격흡수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함이다.
제2 챔버(142c, 242c) 내에는 리어커버(142a, 242a)의 내측벽에 제1 스프링지지대(149b, 249b)와 제2 스프링지지대(149a, 249a)의 사이에 탄성스프링(149, 249)을 결합하여 형성한다.
이는 피스톤(143, 243)이 제2 챔버(142c, 242c) 내의 작동유를 가압하면서 탄성스프링(149, 249)까지 도달하게 되면 탄성스프링(149, 249)의 탄성력과 복원력을 통해 충격흡수효율을 더욱 증대시키기 위한 것이다.
충격완화부재(140, 240)는 상기 가이드 블록부(124, 224)가 직선 이동하여 실린더하우징(142, 242)에 순간적인 충격 하중이 가해질 경우,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면서 실린더하우징(142, 242)와 스토퍼(141, 241)의 사이의 간격이 좁혀지게 된다.
실린더하우징(142, 242)가 스위치(16, 26)에 접촉해 온 접점하게 되면, 제어부(110)는 제1 알람부(112)와 제2 알람부(114)를 통해 제1 송전선로(10)와 제2 송전선로(20)의 이동을 관리자에게 알려준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탄성부재(130)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130)는 롤러지지대(34)의 하부 끝단에 결합된 제1 고정지지대(131)와, 상기 제1 고정지지대(131)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제2 고정지지대(132)와, 상기 제1 고정지지대(131)와 상기 제2 고정지지대(132)의 사이를 힘을 가하면 압축되었다 탄성에 의해 늘어나는 주름부재(133)가 결합된다.
상기 주름부재(133)의 내부 공간부에는 제1 고정지지대(131)의 일면에 제1 스프링결합대(131a)가 형성되고, 제2 고정지지대(132)의 일면에 제2 스프링결합대(132a)가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제1 스프링결합대(131a)가 결합되며, 타측에 상기 제2 스프링결합대(132a)가 결합되는 코일스프링(134, 234)를 포함한다.
탄성부재(130)의 상부에는 롤러지지대(34)가 형성되고 상기 롤러지지대(34)에 가변전극(30)이 탑재되는 롤러(36)가 결합된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지중 매설용 송전선로의 전선연결대의 동작 모습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중 매설용 송전선로의 전선연결대의 동작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1 송전선로(10)와 제2 송전선로(20)는 인장력에 의해 지지프레임(32)으로부터 이탈하려는 경우, 슬라이드부재(120, 220)와 충격완화부재(140, 240)에 의해 장력을 완화시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가변전극(30)은 탄성부재(130)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움직이면서 충격을 완화하여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제1 송전선로 12: 제1 고정전극
16: 스위치 20: 제2 송전선로
22: 제2 고정전극 26: 스위치
30: 가변전극 100: 제1 장력조절부
110: 제어부 112: 제1 알람부
114: 제2 알람부 120: 슬라이드부재
130: 탄성부재 140: 충격완화부재
200: 제2 장력조절부 220: 슬라이드부재
240: 충격완화부재

Claims (2)

  1. 삭제
  2. 지지프레임(32)과, 상기 지지프레임(32)의 상부 양단에 제1 송전선로(10)와 제2 송전선로(20)를 고정하는 고정구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송전선로(10)와 상기 제2 송전선로(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지중 매설용 송전선로의 전선연결대에 있어서,
    상기 지중 매설용 송전선로의 전선연결대는,
    상기 지지프레임(32)의 좌측 상부면(11)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송전선로(10)와 제1 고정전극(12)의 사이에서 접속 연결하고, 상기 제1 송전선로(10)가 상기 지지프레임(32)으로부터 이탈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장력을 조절하고 충격을 흡수하는 제1 장력조절부(100);
    상기 지지프레임(32)의 우측 상부면(21)에 형성되어 상기 제2 송전선로(20)와 제2 고정전극(22)의 사이에서 접속 연결하고, 상기 제2 송전선로(20)가 상기 지지프레임(32)으로부터 이탈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장력을 조절하고 충격을 흡수하는 제2 장력조절부(200);
    상기 제1 고정전극(12)과 상기 제2 고정전극(22)의 사이에 코일 형태로 펼쳐져 길이가 길어지는 가변전극(30);
    가변전극(30)을 탑재하는 롤러(36)와 상기 롤러(36)의 하부에 형성되는 롤러 지지대(34)와 상기 롤러 지지대(34)의 하부에 구성되는 탄성부재(1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탄성부재(130)는 롤러지지대(34)의 하부 끝단에 결합된 제1 고정지지대(131)와, 상기 제1 고정지지대(131)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제2 고정지지대(132)와, 상기 제1 고정지지대(131)와 상기 제2 고정지지대(132)의 사이를 힘을 가하면 압축되었다 탄성에 의해 늘어나는 주름부재(133)가 결합되고 상기 주름부재(133)의 내부 공간부에는 제1 고정지지대(131)의 일면에 제1 스프링결합대(131a)가 형성되고, 제2 고정지지대(132)의 일면에 제2 스프링결합대(132a)가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제1 스프링결합대(131a)가 결합되며, 타측에 상기 제2 스프링결합대(132a)가 결합되는 코일스프링(134, 23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 2 장력조절부(100, 200)는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양쪽 측면에 레일홈부(122, 222)가 형성된 레일(121, 221)과 상기 레일(121, 221)을 덮는 형태로서 제1, 제2송전선로에 구성되는 전선 브라켓(127,227)에 체결되는 가이드 블록부(124, 224)와 상기 레일(121, 221)의 하부 양측면에는 각각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래크기어부(123, 223)와 상기 가이드 블록부(124,224)의 양쪽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래크기어부에 맞물려 치합하는 피니언기어부(123a, 123b, 223a, 223b)로 구성되어 가이드 블록부가 직선이동하는 슬라이드부재(120, 220) 및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가이드 블록부(124,224)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것으로 내경(142b, 242b)을 갖는 실린더하우징(142, 242)과 상기 실린더하우징(142, 242)의 내경(142b, 242b)에 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내경(142b, 242b)을 제1 챔버(148a, 248a)와 제2 챔버(142c, 242c)로 나누는 피스톤(143, 243)과, 상기 피스톤(143, 243)으로부터 상기 실린더하우징(142, 242)의 외측으로 뻗어 있는 실린더로드(145, 245)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챔버(142c, 242c) 내에 제1 스프링지지대(149b, 249b)와 제2 스프링지지대(149a, 249a)의 사이에 탄성스프링(149, 249)을 결합한 충격완화부재(140, 240)로 이루어지고,
    상기 실린더로드(145, 245)의 일면에는 스토퍼(141, 241)가 결합되고, 상기 스토퍼(141, 241)의 일측에 스위치(16, 26)가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로드(145, 245)의 외주면에 코일스프링(14, 24)가 감겨져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 블록부(124, 224)가 직선 이동하여 상기 실린더하우징(142, 242)에 순간적인 충격 하중이 가해질 경우,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면서 상기 실린더하우징(142, 242)과 상기 스토퍼(141, 241)의 사이의 간격이 좁혀지며,
    상기 실린더하우징(142, 242)이 스위치(16, 26)에 접촉해 온 접점하게 되면, 제1 알람부(112)와 제2 알람부(114)를 통해 제1 송전선로(10)와 제2 송전선로(20)의 이동을 알려주는 제어부(1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매설용 송전선로의 연결대.
KR1020160115897A 2016-09-08 2016-09-08 지중 매설용 송전선로의 전선연결대 KR1016832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5897A KR101683254B1 (ko) 2016-09-08 2016-09-08 지중 매설용 송전선로의 전선연결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5897A KR101683254B1 (ko) 2016-09-08 2016-09-08 지중 매설용 송전선로의 전선연결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3254B1 true KR101683254B1 (ko) 2016-12-06

Family

ID=57576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5897A KR101683254B1 (ko) 2016-09-08 2016-09-08 지중 매설용 송전선로의 전선연결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325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8237B1 (ko) * 2017-07-31 2018-01-15 (주)선진전력기술단 지중 배전선 커넥터
CN110363968A (zh) * 2019-06-28 2019-10-22 广州供电局有限公司 外力导致架空线路停电故障的预警方法及预警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5214B1 (ko) * 2009-09-23 2010-03-05 육지웅 매설형 송전선로의 누전방지대
KR101028142B1 (ko) * 2010-11-30 2011-04-08 (유)전일기술단 지중 매설용 송전선로의 전선연결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5214B1 (ko) * 2009-09-23 2010-03-05 육지웅 매설형 송전선로의 누전방지대
KR101028142B1 (ko) * 2010-11-30 2011-04-08 (유)전일기술단 지중 매설용 송전선로의 전선연결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8237B1 (ko) * 2017-07-31 2018-01-15 (주)선진전력기술단 지중 배전선 커넥터
CN110363968A (zh) * 2019-06-28 2019-10-22 广州供电局有限公司 外力导致架空线路停电故障的预警方法及预警设备
CN110363968B (zh) * 2019-06-28 2021-06-18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广州供电局 外力导致架空线路停电故障的预警方法及预警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3254B1 (ko) 지중 매설용 송전선로의 전선연결대
KR101510214B1 (ko) 방진성능과 수직방향 지진진동 저감장치를 갖춘 기기 내진 받침대
CN103925331B (zh) 用于螺旋弹簧的刚度调节装置以及调谐质量减振装置
CN109610306B (zh) 一种组合式桥梁抗震降噪支座
KR101794303B1 (ko) 가공 배전선의 장력조절을 위한 애자고정식 완철
KR101702077B1 (ko) 가공 송전선로의 장력 완화 장치
KR101212516B1 (ko) 텐션실린더 분해조립장치
CN102029034A (zh) 一种工程机械及其伸缩臂
CN207514147U (zh) 一种矿山机电设备机头总成中的减震装置
CN102244443B (zh) 用于大型电机浸渍导体棒的压制模块和装备其的压制设备
KR20190130843A (ko) 수배전반 및 배전반 외함에 적용되는 내진장치
WO2014199301A1 (en) Multi-wire frame for cutting blocks of stone material into slabs
KR100858886B1 (ko) 무한궤도 장력 조절장치
JP6869073B2 (ja) 架空線の張力変化低減装置
CN111600224A (zh) 一种带有泄压防护结构的开关柜及其工作方法
CN109347245A (zh) 一种防爆电机保护装置
CN219394185U (zh) 一种配电控制设备安装调试装置
CN212298278U (zh) 一种机电设备安装的底座
CN110588698B (zh) 一种转向架的构架与一系弹性装置的连接结构
CN109914196B (zh) 熨平板的侧拉紧装置及摊铺机
CN214255316U (zh) 一种电气设备运行安全防护装置
CN214063652U (zh) 矿用机械减震固定系统
CN220626559U (zh) 一种基于超声波超高频在线检测变压器局放装置的安装结构
CN211370876U (zh) 一种活塞杆与缸筒防滚结构
CN214615587U (zh) 一种建筑工程框架梁加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