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0843A - 수배전반 및 배전반 외함에 적용되는 내진장치 - Google Patents

수배전반 및 배전반 외함에 적용되는 내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0843A
KR20190130843A KR1020180055488A KR20180055488A KR20190130843A KR 20190130843 A KR20190130843 A KR 20190130843A KR 1020180055488 A KR1020180055488 A KR 1020180055488A KR 20180055488 A KR20180055488 A KR 20180055488A KR 20190130843 A KR20190130843 A KR 201901308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variable
switchgear
fixed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5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1683B1 (ko
Inventor
김기식
김하정
Original Assignee
김기식
김하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식, 김하정 filed Critical 김기식
Priority to KR1020180055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1683B1/ko
Publication of KR201901308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08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16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16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4Anti-seismic devices or install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50Pedestal- or pad-mounted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은 수배전반 및 배전반에 적용되는 내진장치에 관한 것으로, 지면에 설치되는 고정플레이트;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상단으로부터 이격 설치되며 수배전반 본체의 바닥면에 밀착상태로 고정되는 가변플레이트; 상기 고정플레이트와 가변플레이트 사이를 연결하는 내진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내진수단은 일단이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바닥면에 고정설치되는 나사부를 형성한 고정볼트와, 상기 가변플레이트의 위쪽에서 상기 고정볼트에 설치되는 수평지지플레이트와, 상기 고정볼트를 사이에 두고 가변플레이트의 내부에 각각 수평으로 연장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축과, 상기 수평지지플레이트와 고정축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대하여 상기 가변플레이트가 이격된 상태로 매달리도록 하는 한 쌍의 연결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을 한다.
이에 따라, 전후,좌우의 모든 수평적 방향에 대한 내진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에 대한 관리 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수배전반 및 배전반에 적용되는 내진장치{seismic equipment applied to switchboards and distribution board}
본 발명은 수배전반 및 배전반에 적용되는 내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진장치의 구성 및 구조를 개선하여 수직충격 및 수평충격에 대하여 한층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의 관리 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는 수배전반 및 배전반에 적용되는 내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배전반 및 배전반은 특고압을 저압으로 변환하여 아파트, 빌딩, 학교, 공장, 항만 등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 장치이다.
대부분의 수배전반은 변압기와 이 변압기의 최적운전제어기와 전력감시제어기 등을 포함하게 되며, 외부의 습기나 이물질 등의 유입을 차단하고 가설이 용이하도록 복층구조를 갖는 단일 외함의 고저압 일체형으로 제작된다.
최근에는 빈번해지고 있는 지진과 태풍 등의 자연재해로부터 수배전반의 안정성을 확보와 피해를 최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내진장치를 설치하고 있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종래기술의 수배전반 및 배전반에 적용되는 내진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의 수배전반 및 배전반에 적용되는 내진장치는 바닥구조물과 체결되며 내실공간(22)을 갖는 수납통체(10)를 구비하며 수납통체(10)의 내실공간에는 압축스프링 형태의 방진스프링(12)이 실장되게 구성하고, 실장된 방진스프링(12)의 자유단부에는 수배전반과 체결되는 받침지지체(14)가 얹히도록 구성하되 받침지지체(14)는 수납통체(10)에 대해서 상대적인 상하좌우의 제한 유동작동이 가능하게 구성하며, 수납통체(10)는 수납관(20)과, 수납관의 일측 개구에 결합되며 바닥구조물과의 체결을 위한 체결공(30) 및 방진스프링(12)이 안치되는 스프링안치홈부를 갖는 하측 플레이트(26)와, 수납관(20)의 타측개구측에 결합되는 걸림테부재(32)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선행기술문헌에 개시된 종래의 내진장치는, 수배전반에 체결되는 받침지지체(14)가 방진스프링(12) 위에 얹혀진 상태로 수납통체(10) 상에서 상하좌우로 유동되면서 내진하게 된다.
하지만, 종래의 내진장치에서는 내진설계가 단일의 방진스프링에 의해서만 이루어지기 때문에, 내진 설계를 함에 있어 많은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가 있다.
즉, 지진은 다양한 강도로 발생되는데, 방진스프링의 탄성계수가 강하게 설계되는 경우에는 일정 강도 이상의 강한 지진에 대해서는 방진스프링이 압축과 인장작동을 반복하면서 내진하게 되지만 약한 강도의 지진에 대해서는 방진스프링이 작동하지 않아 진동과 충격력이 그대로 수배전반으로 전달되는 단점이 있고, 방진스프링의 탄성계수가 약하게 설계되는 경우에는 모든 강도의 지진에 대해서도 압축과 인장작동을 반복하면서 내진할 수 있지만, 상대적으로 방진스프링의 강성과 내구력이 취약하여 쉽게 파손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내진장치는, 방진스프링 내에 완충재심봉(13)이 삽입되어 구비됨으로써 받침지지체의 좌우 유동폭이 방진스프링과 완충재심봉 사이의 간격으로 제한되고, 이로 인해 수배전반에 발생되는 비틀림을 충분히 흡수하지 못하게 되므로 내진 성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방진스프링을 이용한 내진수단은 내구성이 매우 취약하여 일정 주기마다 방진스프링 교체를 실시해야하는 유지보수비용이 크게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418247호(2014.07.04)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발명의 목적은 수배전반 및 배전반에 적용되는 내진장치의 구성 및 구조를 개선하여 수직충격 및 수평충격에 대하여 한층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의 관리 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는 수배전반 및 배전반에 적용되는 내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 및 배전반에 적용되는 내진장치는, 지면에 설치되는 고정플레이트;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상단으로부터 이격 설치되며 수배전반 본체의 바닥면에 밀착상태로 고정되는 가변플레이트; 상기 고정플레이트와 가변플레이트 사이를 연결하는 내진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내진수단은 일단이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바닥면에 고정설치되는 나사부를 형성한 고정볼트와, 상기 가변플레이트의 위쪽에서 상기 고정볼트에 설치되는 수평지지플레이트와, 상기 고정볼트를 사이에 두고 가변플레이트의 내부에 각각 수평으로 연장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축과, 상기 수평지지플레이트와 고정축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대하여 상기 가변플레이트가 이격된 상태로 매달리도록 하는 한 쌍의 연결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을 한다.
상기 가변플레이트에는 상기 고정볼트와 연결부재를 통과시키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재가 통과하는 관통공은 상기 연결부재를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여유 공간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통공은 고정볼트와 연결부재를 독립적으로 구획하는 복수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볼트에는 고정플레이트와 가변플레이트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높낮이조절용 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수평지지플레이트는 상기 높낮이조절용 너트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재는 복수의 링크부재가 연결되는 체인 또는 복수의 금속 고리가 연결디는 쇠사슬 또는 금속의 케이블로 제작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플레이트와 가변플레이트는 일측이 개구된 채널형 구조로 제작이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플레이트는 수배전반 본체의 양측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고정 플레이트와 제2고정 플레이트로 구성되며, 상기 가변플레이트는 상기 제1고정 플레이트와 제2고정 플레이트에 대응하는 제1가변 플레이트 및 제2가변 플레이트와, 상기 제1가변 및 제2가변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연결 플레이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볼트에서 상기 수평지지플레이트의 위쪽에는 고정나사가 추가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플레이트로부터 이격된 가변플레이트가 매달리는 상태로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 유동하는 내진수단을 구성함으로써, 전후,좌우의 모든 수평적 방향에 대한 내진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에 대한 관리 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수배전반 및 배전반에 적용되는 내진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 및 배전반에 적용되는 내진장치를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가변플레이트의 구성 및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내진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4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내진수단의 구성을 분리해서 나타낸 평면도 및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 및 배전반에 적용되는 내진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와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 및 배전반에 적용되는 내진장치는 지면에 설치되는 고정플레이트(100)와, 상기 고정플레이트(100)의 상단으로부터 이격 설치되며 수배전반 본체(10)의 바닥면에 밀착상태로 고정되는 가변플레이트(200)와, 상기 고정플레이트(100)와 가변플레이트(200) 사이를 상호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내진수단(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고정플레이트(100)는 일정 길이로 연장되는 기본 베이스 구조물로써, 지면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수배전반 본체(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고정플레이트(100)는 수배전반 본체(10)의 하면에 설치되어 지면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베이스부재로, 상기 수배전반 본체(10)의 폭 방향 일측과 타측에 각각 설치가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플레이트(100)와 가변플레이트는 일측이 개구된 채널형 구조로 제작이 이루어지는 구조이며, 상기 수배전반 본체(10)의 폭방향 양측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고정 플레이트(110)와 제2고정 플레이트(120)로 구성된다.
상기 제1고정 플레이트(110)와 제2고정 플레이트(120)의 길이방향 내부 바닥면에는 후술할 고정볼트가 고정 결합되는 고정블록(130)이 형성된다.
상기 가변플레이트(200)는 상기 고정플레이트(100)의 상단으로부터 이격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수배전반 본체(100)의 바닥면에 밀착상태로 고정된다.
상기 가변플레이트(200) 역시 일측이 개구된 채널형 구조로 제작이 이루어지며, 상기 제1고정 플레이트(110)와 제2고정 플레이트(120)에 대응하는 제1가변 플레이트(210) 및 제2가변 플레이트(220)와, 상기 제1가변 및 제2가변 플레이트(210,220)를 연결하는 연결 플레이트(230)로 구성된다.
즉, 상기 가변플레이트(200)는 상기 고정플레이트(100)로부터 이격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플레이트(200)에 진동 충격이 발생할 경우, 그 충격이 가변플레이트(200)를 통해 수배전반 본체(10)로 전달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특히, 상기 가변플레이트(200)에는 후술할 내진수단(300)의 고정볼트(310)와 연결부재(340)를 통과시키는 것과 상기 가변플레이트(200)의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여유 공간을 제공하는 관통공(20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관통공(201)은 고정볼트(310)와 연결부재(340)를 각각 독립적으로 구획하는 복수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상호 연통하는 하나의 트랙(trek)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즉, 상기 관통공(201)을 마련함으로써, 강도가 약한 지진력에 대해서도 상기 수배전반 본체(10)가 전후,좌우의 모든 수평적 방향으로 움직임을 통해 지진의 충격을 분산시킬 수 있어 수평적 지진 충격에 대한 내진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내진수단(300)은 상기 고정플레이트(100)와 가변플레이트(200) 사이를 상호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으로, 수배전반 본체(10)를 수직 및 수평적 충격에 대하여 자유롭게 유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내진 성능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의 관리 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진수단(300)은 일단이 상기 고정플레이트(100)의 바닥면에 고정설치되는 나사부를 형성한 고정볼트(310)와, 상기 가변플레이트(200) 위쪽에서 상기 고정볼트(310)에 설치되는 수평지지플레이트(320)와, 상기 고정볼트(310)를 사이에 두고 가변플레이트(200)의 내부에 각각 수평으로 연장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축(330)과, 상기 수평지지플레이트(320)와 고정축(330)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고정플레이트(100)에 대하여 가변플레이트(200)가 이격된 상태로 매달리도록 하는 한 쌍의 연결부재(340)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볼트(310)는 상기 고정플레이트(100)와 가변플레이트(200)의 상호 이격되는 높낮이 차이를 조절하여 상기 수배전반 본체(10)의 용량 및 크기에 따라 적정 높이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볼트(310)의 상단에는 수평지지플레이트(320)가 고정볼트(31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수평지지플레이트(320) 위쪽에는 고정나사(350)가 추가적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볼트(310)의 상단 중심부에는 상기 고정나사(350)가 나사결합되는 나사홈(미도시)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볼트(310)에는 고정플레이트(100)와 가변플레이트(20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높낮이조절용 너트(360)를 포함한다.
상기 수평지지플레이트(320)는 상기 고정볼트(310)를 관통하며 상기 높낮이조절용 너트(360)에 지지되는 것으로, 길이방향의 중심부에는 고정볼트(310)가 관통하는 제1 관통공(321)이 형성되고, 양측부에는 연결부재(340)가 결합되는 제2 및 제3 관통공(322,323)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축(330)은 상기 고정볼트(310)를 사이에 두고 가변플레이트(200)의 폭방향 내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구성으로, 상기 연결부재(340)의 타측단이 연결되기 위해 마련된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340)는 상기 수평지지플레이트(320)와 고정축(330) 사이에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가변플레이트(200)가 매달리는 상태로 상기 고정플레이트(100)로부터 이격되는 것과 아울러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 유동가능하게 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구성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내진수단(300)은 가변플레이트가 지진에 의한 외부의 충격이 발생할 경우, 전후 및 좌우방향의 수평적 방향에 대하여 자연스럽게 유동이 이루어짐에 따라 충격에 의한 진동을 효과적으로 상쇄시킬 수 있으며, 별도의 충격완화를 위한 탄성부재를 구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탄성부재의 성능 저하현상 및 유지보수 비용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내진수단(300)은 수배전반 본체(10)가 스프링에 의한 완충효과 또는 볼부재를 이용한 유동으로부터 내진 효과를 얻는 것이 아닌 상기 연결부재(340)에 의해 매달린 상태로 지지되는 가변플레이트(200)가 자연스럽게 흔들릴 수 있는 유동을 통해 외부의 충격 및 진동을 상쇄시켜 내진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재(340)는 복수의 링크부재가 연결되는 체인 또는 복수의 금속 고리가 연결디는 쇠사슬 또는 금속의 케이블로 제작이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 : 수배전반 본체 100 : 고정플레이트
200 : 가변플레이트 300 : 내진수단
310 : 고정볼트 320 : 수평지지플레이트
330 : 고정축 340 : 연결부재
350 : 고정나사 360 : 높낮이조절용 너트

Claims (7)

  1. 지면에 설치되는 고정플레이트;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상단으로부터 이격 설치되며 수배전반 본체의 바닥면에 밀착상태로 고정되는 가변플레이트;
    상기 고정플레이트와 가변플레이트 사이를 연결하는 내진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내진수단은 일단이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바닥면에 고정설치되는 나사부를 형성한 고정볼트와,
    상기 가변플레이트의 위쪽에서 상기 고정볼트에 설치되는 수평지지플레이트와,
    상기 고정볼트를 사이에 두고 가변플레이트의 내부에 각각 수평으로 연장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축과,
    상기 수평지지플레이트와 고정축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대하여 상기 가변플레이트가 이격된 상태로 매달리도록 하는 한 쌍의 연결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을 하는 수배전반 및 배전반에 적용되는 내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플레이트에는 상기 고정볼트와 연결부재를 통과시키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재가 통과하는 관통공은 상기 연결부재를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여유 공간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 및 배전반에 적용되는 내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은 고정볼트와 연결부재를 독립적으로 구획하는 복수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 및 배전반에 적용되는 내진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볼트에는 고정플레이트와 가변플레이트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높낮이조절용 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수평지지플레이트는 상기 높낮이조절용 너트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 및 배전반에 적용되는 내진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복수의 링크부재가 연결되는 체인 또는 복수의 금속 고리가 연결디는 쇠사슬 또는 금속의 케이블로 제작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 및 배전반에 적용되는 내진장치.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플레이트와 가변플레이트는 일측이 개구된 채널형 구조로 제작이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플레이트는 수배전반 본체의 양측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고정 플레이트와 제2고정 플레이트로 구성되며,
    상기 가변플레이트는 상기 제1고정 플레이트와 제2고정 플레이트에 대응하는 제1가변 플레이트 및 제2가변 플레이트와, 상기 제1가변 및 제2가변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연결 플레이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 및 배전반에 적용되는 내진장치.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볼트에서 상기 수평지지플레이트의 위쪽에는 고정나사가 추가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 및 배전반에 적용되는 내진장치.
KR1020180055488A 2018-05-15 2018-05-15 수배전반 및 배전반 외함에 적용되는 내진장치 KR1020616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488A KR102061683B1 (ko) 2018-05-15 2018-05-15 수배전반 및 배전반 외함에 적용되는 내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488A KR102061683B1 (ko) 2018-05-15 2018-05-15 수배전반 및 배전반 외함에 적용되는 내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0843A true KR20190130843A (ko) 2019-11-25
KR102061683B1 KR102061683B1 (ko) 2020-01-02

Family

ID=68730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5488A KR102061683B1 (ko) 2018-05-15 2018-05-15 수배전반 및 배전반 외함에 적용되는 내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16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5602B1 (ko) * 2020-02-27 2020-10-14 조창문 바닥용 방진조립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8247B1 (ko) 2014-01-29 2014-07-10 추인엽 수배전반용 내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36441A (ja) * 2005-06-02 2006-12-14 Masami Sakurada 免震装置
KR101038672B1 (ko) * 2010-09-13 2011-06-02 (주)서전기전 무방향 탄성지지대를 이용한 내진형 배전반
KR101135986B1 (ko) 2011-09-20 2012-04-17 (주)예성엔지니어링 내진 기능을 갖는 무정전 전원 장치 및 이의 시공 방법
JP5925514B2 (ja) 2012-02-15 2016-05-25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積層ゴム構造体
KR101464626B1 (ko) * 2014-07-02 2014-11-24 (주)원테크 수배전반용 착탈식 내진 장치
KR101749580B1 (ko) 2017-03-17 2017-06-22 해림계전(주) 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8247B1 (ko) 2014-01-29 2014-07-10 추인엽 수배전반용 내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5602B1 (ko) * 2020-02-27 2020-10-14 조창문 바닥용 방진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1683B1 (ko) 2020-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5995B1 (ko) 내진장치를 구비한 배전반(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분전반, mcc)
KR101702349B1 (ko) 평상시 사용성이 개선된 수배전반용 내진장치
KR100939475B1 (ko) 내진 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KR102158964B1 (ko) 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
KR101704468B1 (ko) 수직보강부재를 구비한 내진 수배전반
KR102064501B1 (ko) 내진장치를 구비한 배전반
KR101510214B1 (ko) 방진성능과 수직방향 지진진동 저감장치를 갖춘 기기 내진 받침대
KR101508148B1 (ko) 전기제어 판넬에 설치되는 방진성능을 갖춘 3차원 지진격리시스템
KR101232336B1 (ko) 수배전반용 진동패드 및 그 진동패드가 구성된 수배전반의 하부구조
KR102332485B1 (ko) 복합 탄성을 이용한 수배전반 내진장치
KR101349616B1 (ko) 면진형 배전반
KR102005763B1 (ko) V형 판스프링 타입 수배전반 내진장치
KR102061683B1 (ko) 수배전반 및 배전반 외함에 적용되는 내진장치
KR20090129848A (ko) 부유궤도의 방진장치
KR102325402B1 (ko) 수변전반용 면진장치
KR101742051B1 (ko) 내진장치가 구비된 배전반
KR101749589B1 (ko) 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
KR101757704B1 (ko) 내진장치가 구비된 배전반
KR101757703B1 (ko) 내진장치가 구비된 배전반
CN210799868U (zh) 一种建筑内部机电设备的抗震支架
CN208474400U (zh) 一种发动机测功夹具减振座
KR20160081325A (ko) 내진장치가 구비된 배전반
KR101757708B1 (ko) 내진장치가 구비된 배전반
KR101240410B1 (ko) 가변기능을 구비한 면진장치
KR101541655B1 (ko) 구성기기 무게별 진동 흡수 강체 모드가 적용된 제진형 내진 수배전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