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3253B1 - 건과실 분리장치 - Google Patents

건과실 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3253B1
KR101683253B1 KR1020150162501A KR20150162501A KR101683253B1 KR 101683253 B1 KR101683253 B1 KR 101683253B1 KR 1020150162501 A KR1020150162501 A KR 1020150162501A KR 20150162501 A KR20150162501 A KR 20150162501A KR 101683253 B1 KR101683253 B1 KR 1016832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separation
rotary
frui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2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기수
최우성
Original Assignee
(주)테일러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테일러팜스 filed Critical (주)테일러팜스
Priority to KR1020150162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32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32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32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7/00Disintegrating by tumbling mills, i.e. mills having a container charged with the material to be disintegrated with or without special disintegrating members such as pebbles or balls
    • B02C17/002Disintegrating by tumbling mills, i.e. mills having a container charged with the material to be disintegrated with or without special disintegrating members such as pebbles or balls with rotary cutting or beating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other treatment of fruits or vegetables for human purposes; Machines or apparatus for topping or skinning flower bul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02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with horizontal rotor 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28Shape or construction of beate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7/00Disintegrating by tumbling mills, i.e. mills having a container charged with the material to be disintegrated with or without special disintegrating members such as pebbles or balls
    • B02C17/18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7/00Disintegrating by tumbling mills, i.e. mills having a container charged with the material to be disintegrated with or without special disintegrating members such as pebbles or balls
    • B02C17/18Details
    • B02C17/20Disintegrat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18Adding fluid, other than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fluid ener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과실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분리대상체가 수용되는 드럼(200)이 설치된 하우징(100)과, 상기 드럼(20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을 통해 상기 드럼(200)의 내부에 수용된 상기 분리대상체를 밀어 위치이동시키면서 타격하여 상기 분리대상체를 각각의 개체로 분리되게 하는 회전타격체(300)와, 상기 드럼(200)에 복수개로 마련되고, 상기 분리대상체의 위치이동을 제한하여 상기 회전타격체(300)가 상기 분리대상체를 타격하게 하는 고정돌기(400) 및, 상기 회전타격체(300)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드럼(200)의 청결을 위한 세척수를 분사하는 유체 분사기(5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건과실 분리장치에 의하면, 대량으로 공급된 덩어리 상태의 건과실을 하나의 개체로 각각 분리되어 자동으로 배출되게 함으로써 음료, 아이스크림, 가공식품 등의 제조를 위한 장치에서 사용가능한 상태로 원활하게 제공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특히, 과실의 종류 및 건조상태에 따른 건조형상이 상이하고, 이로 인한 과육의 결합력이 달라져서 각 상태에 따른 과육의 효율적인 분리가 어려운 상태의 대량의 건과실이 하나의 개체로 각각 신속하고 원활하게 분리될 수 있어, 이를 통해, 섬유질 분해로 인한 영양소의 파괴없이 대량의 건과실을 빠른 시간에 각 개체로 분리가 가능해져 2차 제조를 위한 과육의 충분한 확보가 가능함으로써 생산량 및 생산기일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자동화 방식을 통해 작업자의 신체에 무리가 가중되지 않고 나아가 안전사고 발생의 비율이 줄어들며, 이를 통해 쾌적한 작업환경이 조성될 수 있고, 건과실 덩어리 분리장치의 위생을 위한 세척이 자동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수작업으로 인한 청소의 번거로움이 없이 청결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대량의 건과실을 빠른 시간에 각각의 개체로 분리할 수 있어 시간의 낭비가 없고, 많은 일손을 요하지 않음으로 인한 경비절감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건과실 분리장치{Device For Dried Fruit Separation}
본 발명은 건과실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대량으로 공급된 덩어리 상태의 건과실 등의 분리대상체를 섬유질 분해로 인한 영양소의 파괴없이 하나의 개체로 각각 분리되게 하여 음료, 아이스크림, 가공식품 등의 제조를 위한 장치에서 사용가능한 상태로 원활하게 제공되게 하고, 장치의 청결을 유지하기 위한 세척이 자동으로 이루어져 위생적인 작업 환경이 유지되는 건과실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실은 씨를 제거하고 육질만 분리시켜 가공식품 등으로 사용하는데, 과육과 씨를 분리하는 방법으로는, 선행문헌 1의 한국등록특허 제10-817895호 "매실씨 제거 방법 및 매실씨 제거 장치"에서와 같이 무한 회전하는 컨베이어에 결합된 이송부의 수용홀에 과일을 안착시킨 후 이탈이 방지되도록 지그의 상면을 덮고, 수용홀에 담긴 과일의 중앙을 핀으로 관통시켜 과육과 씨가 자동으로 분리되도록 하는 기술이 안출된 바 있다.
상기와 같은 장치 등을 통해 씨가 분리된 과실은 건과실의 형태로 만들어 사용하게 되는데, 건과실은 과실의 종류, 건조상태에 따른 건조형상 및 포장에 따른 방법과 포장상태 등에 의해 포장체의 내부에서 하나의 개체들이 뭉쳐진 덩어리 상태가 되기 쉬우므로 건과실을 이용한 가공식품의 제조전 각각의 개체로 분리하기 위한 별도의 공정을 수반하게 된다.
건과실 덩어리의 분리공정은 손으로 직접 뜯어내거나 칼 등의 도구를 이용해 덩어리 상태를 각각의 개체로 분리되게 하는 수작업이 주를 이루며, 수작업을 통한 분리공정은 손목 등과 같은 신체에 무리가 가중되거나, 작업자의 숙련도에 크케 의존되므로 획일적인 생산이 되지않아 생산량 및 생산기일의 차질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기도 하며, 수작업으로 인한 위생적인 문제가 발생되기도 한다.
전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건과실 덩어리를 각각의 개체로 떼어내지 않고 절단하거나 짓눌러서 사용하기 편한 크기로 만드는 방법이 고려될 수 있으며, 선행문헌 2의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54998호 "칡 파쇄장치"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칡지지대(7)의 홈(7a)과 홈(7a) 사이에 중간홈(7b)이 각각 형성되고, 칡지지대(7)의 중간홈(7b)을 통과하는 중간날(8)이 절단날(5)과 절단날(5) 사이에 각각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투입호퍼(3)의 투입구(3a)를 통하여 덩어리 형상의 칡(10)을 투입하면 다수의 절단날(5)과 짓누르기날(6)에 의해 칡(10)이 절단되면서 짓눌러지게 되어 솜형상으로 배출호퍼(4)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장치를 이용하여 건과실 덩어리를 절단하거나 짓눌리게되면 건과실 덩어리를 빠른 시간에 사용하기 편한 상태로 만들수는 있겠으나, 섬유질의 분해로 인한 영양소 파괴가 많아 상품의 가치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건과실 덩어리를 절단하거나 짓눌리지 않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개체로 신속하고 위생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며, 특히, 건과실은 과실의 종류 및 건조상태에 따른 건조형상이 상이하고, 이로 인한 과육의 결합력이 달라지므로 각 상태에 따른 과육의 효율적인 분리가 가능한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817895호 "매실씨 제거 방법 및 매실씨 제거 장치" 특허문헌 2 :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54998호 "칡 파쇄장치"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대량으로 공급된 덩어리 상태의 건과실을 하나의 개체로 각각 분리되어 자동으로 배출되게 함으로써 음료, 아이스크림, 가공식품 등의 제조를 위한 장치에서 사용가능한 상태로 원활하게 제공될 수 있게 하는 건과실 분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과실의 종류 및 건조상태에 따른 건조형상이 상이하고, 이로 인한 과육의 결합력이 달라져서 각 상태에 따른 과육의 효율적인 분리가 어려운 상태의 대량의 건과실이 하나의 개체로 각각 신속하고 원활하게 분리될 수 있는 건과실 분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섬유질 분해로 인한 영양소의 파괴없이 대량의 건과실을 빠른 시간에 각 개체로 분리가 가능해져 2차 제조를 위한 과육의 충분한 확보가 가능함으로써 생산량 및 생산기일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건과실 분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자동화 방식을 통해 작업자의 신체에 무리가 가중되지 않고 나아가 안전사고 발생의 비율이 줄어들며, 이를 통해 쾌적한 작업환경이 조성될 수 있는 건과실 분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건과실 덩어리 분리장치의 위생을 위한 세척이 자동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던 청소의 번거로움이 없고, 청결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건과실 분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대량의 건과실을 빠른 시간에 각각의 개체로 분리할 수 있어 시간의 낭비가 없고, 많은 일손을 요하지 않음으로 인한 경비절감이 가능한 건과실 분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및 기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분리대상체가 수용되는 드럼(200)이 설치된 하우징(100)과, 상기 드럼(20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을 통해 상기 드럼(200)의 내부에 수용된 상기 분리대상체를 밀어 위치이동시키면서 타격하여 상기 분리대상체를 각각의 개체로 분리되게 하는 회전타격체(300)와, 상기 드럼(200)에 복수개로 마련되고, 상기 분리대상체의 위치이동을 제한하여 상기 회전타격체(300)가 상기 분리대상체를 타격하게 하는 고정돌기(400) 및, 상기 회전타격체(300)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드럼(200)의 청결을 위한 세척수를 분사하는 유체 분사기(5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과실 분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회전타격체(300)는, 상기 드럼(200) 내부 중심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100)에 설치된 액추에이터(110)를 통해 상기 드럼(200)에서 회전되는 회전축(310)과, 상기 드럼(200)의 내주면에 외주면이 향하도록 상기 회전축(310)의 길이방향 양단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310)을 통해 상기 드럼(200)에서 회전되는 제1 및 제2 원판체(320, 330)와, 상기 제1 및 제2 원판체(320, 330)에 연결되어 상기 드럼(200) 내부에 하나 이상 마련되고, 상기 제1 및 제2 원판체(320, 330)의 회전시 상기 드럼(200)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 위치이동됨으로써 상기 분리대상체가 위치이동되게 밀어주는 대상체 이동축(340)과, 상기 회전축(310)에 다수개로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310)의 회전을 통해 회전되고, 상기 분리대상체를 타격하여 각각의 개체로 분리되게 하는 타격봉(35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타격체(300)는 정방향 회전과 역방향 회전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져 상기 분리대상체가 각각의 개체로 분리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타격봉(350)은 상기 회전축(310)으로부터 상기 드럼(200)의 내주면을 향하게 상기 회전축(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설치되되, 상기 드럼(200)에서 상기 분리대상체가 배출되는 방향으로 사이간 간격이 점차 좁아지게 상기 회전축(310)에 복수개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돌기(400)는 상기 드럼(200)의 길이방향에 사선으로 상기 드럼(200)의 내주면에 복수개로 돌출형성되되, 상기 드럼(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인접된 상호간이 서로 교차되게 연속적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및 제2 원판체(320, 330)는, 상기 회전축(310)에 중심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양단이 상기 드럼(200)에 연결되고, 상기 대상체 이동축(340)이 상기 드럼(200)의 내주면에 이격되게 설치된 이동축 연결단(322, 332)을 통해 상기 회전축(310)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드럼(200)은 상기 하우징(100)에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기 분리대상체가 상기 회전타격체(300)를 통해 상기 드럼(200)에서 위치이동되어 배출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과실 분리장치는, 대량으로 공급된 덩어리 상태의 건과실을 하나의 개체로 각각 분리되어 자동으로 배출되게 함으로써 음료, 아이스크림, 가공식품 등의 제조를 위한 장치에서 사용가능한 상태로 원활하게 제공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특히, 과실의 종류 및 건조상태에 따른 건조형상이 상이하고, 이로 인한 과육의 결합력이 달라져서 각 상태에 따른 과육의 효율적인 분리가 어려운 상태의 대량의 건과실이 하나의 개체로 각각 신속하고 원활하게 분리될 수 있어, 이를 통해, 섬유질 분해로 인한 영양소의 파괴없이 대량의 건과실을 빠른 시간에 각 개체로 분리가 가능해져 2차 제조를 위한 과육의 충분한 확보가 가능함으로써 생산량 및 생산기일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자동화 방식을 통해 작업자의 신체에 무리가 가중되지 않고 나아가 안전사고 발생의 비율이 줄어들며, 이를 통해 쾌적한 작업환경이 조성될 수 있고, 건과실 덩어리 분리장치의 위생을 위한 세척이 자동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수작업으로 인한 청소의 번거로움이 없이 청결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대량의 건과실을 빠른 시간에 각각의 개체로 분리할 수 있어 시간의 낭비가 없고, 많은 일손을 요하지 않음으로 인한 경비절감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분리대상체가 덩어리 상태에서 각각의 개체로 분리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의 선행기술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과실 분리장치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과실 분리장치의 상부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과실 분리장치의 입구측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과실 분리장치의 배출측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과실 분리장치의 드럼에 형성된 고정돌기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과실 분리장치의 회전타격체의 작동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과실 분리장치의 차단판과 배출 유도판의 설치된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과실 분리장치의 타격봉을 보여주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과실 분리장치의 회전축에 설치된 타격봉을 보여주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과실 분리장치의 회전축에 타격봉의 설치방법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분리대상체가 덩어리 상태에서 각각의 개체로 분리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과실 분리장치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과실 분리장치의 상부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과실 분리장치의 입구측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과실 분리장치의 배출측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과실 분리장치의 차단판과 배출 유도판의 설치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과실 분리장치(10)는 대량으로 공급된 덩어리 상태인 건과실 등의 분리대상체를 섬유질 분해로 인한 영양소의 파괴없이 하나의 개체로 각각 분리되게 하여 음료, 아이스크림, 가공식품 등의 제조를 위한 장치에서 사용가능한 상태로 원활하게 제공되게 하는 분리장치로서, 하우징(100), 회전타격체(300), 고정돌기(400) 및 유체 분사기(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본 발명의 분리대상체는 건자두, 매실, 복숭아, 자두, 포도, 대추 등을 포함한 덩어리 상태의 다양한 건과실을 지칭하며, 이에 국한하지 않고 고기류, 채소류, 가공식품 등을 포함한 덩어리 상태의 식자재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대상체가 수용되는 드럼(200)이 설치된다. 하우징(100)은 수직프레임(102)과 수직프레임(104)이 상호 결합되어 공간부(106)가 형성된 육면체 형상으로 마련된다. 여기서, 공간부(106)는 하우징(100)의 내부에 수용되는 드럼(200)이 하우징(100)의 설치지점으로부터 이격된 상부에 위치되게 수용하는데, 이는 드럼(200)으로부터 배출되는 세척수 등의 유체, 설치지점 부근의 이물질이나 유체 등이 드럼(2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위생과 청결이 유지되게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하우징(10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대상체가 배출되는 단부에 차단판(120)과 배출 유도판(130)이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차단판(120)은 각각의 개체로 분리된 분리대상체가 외부로 튕겨 나가는 것을 막고, 드럼(200)의 하부측에 각 개체로 분리되지 않은 분리대상체가 모이도록 포집하여 각각의 개체로 분리될 수 있도록 하며, 배출 유도판(130)은 각 개체로 분리되어 차단판(120)에 의해 포집된 분리대상체가 신속하게 배출되게 한다. 물론, 배출 유도판(130)이 설치된 반대쪽 하우징(100)의 단부에 차단판(120)이 설치되고, 분리대상체의 투입을 유도하는 투입 유도판(140)이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하우징(100)은 위생과 청결을 위해 드럼(200)이 수용된 공간부(106)를 아크릴 등의 소재로 밀폐되게 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때 소재는 장치의 확인이 가능한 투명재질이 바람직하다.
드럼(200)은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의 양단이 개방된 중공의 원통형으로 마련되고, 길이방향의 양단중 일단 즉, 분리대상체가 배출되는 방향의 일단이 하우징(100) 설치지점을 향하도록 하우징(100)에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분리대상체가 회전타격체(300)를 통해 드럼(200)에서 위치이동되면서 각각의 개체로 분리되어 배출되게 한다. 본 발명의 드럼(200)은 대략 2도의 경사로 하우징(100)에 수용되어 설치되되, 하우징(100)에서 회전되지 않고 회전타격체(300)의 밀림에 의한 위치이동과 타격에 의해 분리대상체가 드럼(200)에서 배출되게 한다. 하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고 드럼(200)이 회전되거나, 드럼(200)과 회전타격체(300)가 동시에 회전되는 등 분리대상체가 드럼(200)에서 위치이동되면서 각각의 개체로 효율적으로 분리되어 배출되는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드럼(200) 경사를 2도로 한정하지 않고 분리대상체의 위치이동과 분리 및 배출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다양한 기울기를 가질 수 있으며, 실린더, 와이어, 리드 스크류, 체인 등을 접목시켜 하우징(100)에 높이가변되게 설치함으로써 위치이동, 분리, 배출의 각 과정에 맞춰 적절한 경사로 대응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회전타격체(300)는 드럼(20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을 통해 드럼(200)의 내부에 수용된 분리대상체를 밀어 위치이동시키면서 타격하여 덩어리 상태의 분리대상체를 각각의 개체로 분리되게 한다. 회전타격체(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310), 제1 원판체(320), 제2 원판체(330), 대상체 이동축(340), 타격봉(350)으로 이루어진다.
회전축(3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200)의 내부 중심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하우징(100)에 설치된 액추에이터(110)를 통해 드럼(200)에서 회전된다. 회전축(310)은 봉상으로 마련되어 길이방향의 일단과 타단이 분리대상체가 투입되고 배출되는 드럼(200)의 길이방향 양단을 향하게 드럼(200)의 내부 중심에 위치된다. 이러한, 회전축(310)은 분리대상체가 드럼(200)으로 투입되는 방향의 하우징(100)에 설치된 액추에이터(110)에 연결됨으로써 드럼(200)의 중심에서 회전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액추에이터(110)는 하우징(100)에 설치된 모터(112)와 연결된 체인(114)이 회전축(310)의 기어(312)와 맞물려 모터(112)의 동력을 전달함으로써 회전축(310)이 회전되게 하는 체인기어로 마련되나 이에 국한하지 않고 벨트와 풀리를 이용하거나, 기어와 기어의 맞물림을 통해 회전축(310)이 회전되는 등 다양한 방법이 접목될 수 있고, 봉상의 대상체가 회전되게 하는 이와 같은 기술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공지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및 제2 원판체(320, 330)는 도 3과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200)의 내주면에 외주면이 향하도록 회전축(310)의 길이방향 양단에 설치되어 회전축(310)을 통해 드럼(200)에서 회전된다. 제1 및 제2 원판체(320, 330)는 분리대상체가 드럼(200)의 내부로 투입되어 배출될 수 있도록 중공의 원판체로 형성되어 드럼(200)의 개방된 양단에 각각 설치된다. 이러한, 제1 및 제2 원판체(320, 330)는 회전축(310)에 중심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양단이 드럼(200)에 연결되고, 대상체 이동축(340)이 드럼(200)의 내주면에 이격되게 설치된 이동축 연결단(332)을 통해 회전축(310)에 설치된다. 여기서, 이동축 연결단(332)은 여기서부터 제1 및 제2 원판체(320, 330)의 중앙에서 가장자리를 향하여 부챗살 모양으로 연결된 축을 말한다. 이 이동축 연결단(332)은 제1 및 제2 원판체(320, 330)의 무게를 감소하게 함과 동시에 회전축(310)에 제1 및 제2 원판체(320, 330)가 안정적으로 고정되게 하는 역할을 하며, 제1 및 제2 원판체(320, 330)에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대상체 이동축(340)은 제1 및 제2 원판체(320, 330)에 연결되어 드럼(200) 내부에 하나 이상 마련되고, 제1 및 제2 원판체(320, 330)의 회전시 드럼(200)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 위치이동됨으로써 분리대상체가 위치이동되게 밀어준다. 대상체 이동축(340)은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310)과 같이 드럼(200)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나, 드럼(200)의 내주면에 인접되게 회전축(310)과 드럼(200) 내주면 사이에서 드럼(200)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된다. 즉, 대상체 이동축(340)은 드럼(200)의 내주면에 평행을 이루도록 길이방향의 양단이 제1 및 제2 원판체(320, 330)의 이동축 연결단(322)에 연결되되, 드럼(200)의 내주면에 돌출형성된 고정돌기(400)에 접촉되지 않게 드럼(200)의 내주면에 이격되게 설치된다. 이러한, 대상체 이동축(340)은 제1 및 제2 원판체(320, 330)가 회전축(310)을 통해 회전되면 드럼(200)의 내주면에 이격된 상태로 드럼(200)의 둘레를 따라 위치이동되다가 드럼(200) 내부에 수용된 분리대상체를 밀어줌으로써 드럼(200)의 경사에 의해 위치이동되게 한다. 또한, 대상체 이동축(340)은 길이방향의 일단과 타단이 제1 및 제2 원판체(320, 330)에 연결됨으로써 회전축(310)에 설치된 제1 및 제2 원판체(320, 330)가 드럼(200)의 내부나 외부로 뒤틀리지 않게 지지함으로써 회전방향에서 벗어나지 않고 회전되게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과실 분리장치의 회전타격체의 작동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과실 분리장치의 타격봉을 보여주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과실 분리장치의 회전축에 설치된 타격봉을 보여주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과실 분리장치의 회전축에 타격봉의 설치방법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타격봉(350)은 회전축(310)에 다수개로 설치되어 회전축(310)의 회전을 통해 회전되고, 분리대상체를 타격하여 각각의 개체로 분리되게 한다. 타격봉(350)은 원기둥의 봉상으로 마련되어 회전축(310)으로부터 드럼(200)의 내주면을 향하게 회전축(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설치되되,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200)에서 분리대상체가 배출되는 방향으로 사이간 간격이 점차 좁아지게 회전축(310)에 복수개로 설치되는데, 이는 타격봉(350)의 타격으로 분리대상체가 덩어리 상태에서 부분 덩어리 상태가 되고, 부분 덩어리 상태에서 각각의 개체로 분리되게 함으로써 뜯기거나 찢어짐 등에 의한 파손없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개체로 원활한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타격봉(35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형으로 마련되어 회전축(310)의 외주면에 내주면이 밀착되게 설치됨으로써 장착의 용이함과 설치방향 설정이 편리하도록 한다. 이때, 타격봉(350)은 파이프와 파이프 등을 연결할 때 사용되는 통상적인 클램프와 같이, 체결볼트(352)를 통해 분할된 단부를 상호 연결시켜 회전축(310)에 분할된 타격봉(350)이 체결되게 하고, 고정볼트(354)를 통해 체결된 타격봉(350)이 회전축(310)에서 미끄러지지 않고 고정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타격봉(350)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310)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에만 체결되거나, 지그재그 또는 부분적 순차를 통해 좌우 양측으로 체결되거나, 나선지게 방사상으로 체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타격봉(350)은 회전축(310)에 일정한 길이 또는 각기 다른 길이로 설치될 수 있으며, 회전축(310)에 직각으로 설치되거나 단부가 상호 인접 또는 이격되는 등 다양한 방향과 방법으로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타격봉(35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될 고정돌기(400)간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 하나, 고정돌기(400) 상부에 위치되거나, 고정돌기(400)의 상부와 사이간 모두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회전타격체(300)는 전술된 구성을 통하여 회전축(310)이 회전되면 드럼(200) 내주면 둘레를 따라 대상체 이동축(340)과 타격봉(350)이 동시에 회전되고, 드럼(200)의 내부에 투입된 분리대상체를 대상체 이동축(340)이 밀어주어 위치이동시키며, 분리대상체의 위치이동을 고정돌기(400)가 제한함과 동시에 타격봉(350)이 타격함으로써 각각의 개체로 분리되게 한다. 이때, 드럼(200)에 투입된 분리대상체와 타격된 분리대상체는 드럼(200)의 경사에 의해 배출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전술된 과정을 반복하여 각각의 개체로 분리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회전타격체(300)는 정방향 회전과 역방향 회전이 설정된 회수만큼 반복적으로 이루어져 분리대상체가 각각의 개체로 분리되게 한다. 이때, 회전타격체(300)는 한 방향으로만 회전되는 것도 가능하나 정방향과 역방향 회전이 각각 2회씩 이루어져 분리대상체가 원활히 분리되게 한다. 이는, 회전의 방향을 달리함으로써 고정돌기(400) 등에 의해 걸림된 분리대상체가 이동될 수 있게 하고, 하우징(100)에 경사지게 설치된 드럼(200)의 기울기를 따라 자연스럽게 이동되도록 방향을 유도함으로써 분리대상체의 파손없는 원활한 이동 및 배출을 도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회전타격체(300)는 정방향과 역방향 회전이 각각 2회로 반복 회전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과실 분리장치의 드럼에 형성된 고정돌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고정돌기(4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200)에 복수개로 마련되고, 분리대상체의 위치이동을 제한하여 회전타격체(300)가 분리대상체를 타격하게 한다. 고정돌기(400)는 드럼(200)의 길이방향에 사선으로 드럼(200)의 내주면에 복수개로 돌출형성되되, 드럼(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인접된 상호간이 서로 교차되게 연속적으로 배치된다. 즉, 고정돌기(400)는 회전타격체(300)의 대상체 이동축(340)에 의해 드럼(200)의 내부에서 이동되는 분리대상체가 이동중에 걸려 이동이 제한되게함으로써 타격봉(350)이 타격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고정돌기(4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200)의 길이방향으로 사선으로 형성되는데, 이는 걸림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어 타격봉(350)에 타격된 분리대상체가 자연스럽게 드럼(200)을 따라 낙하되어 이동되도록 하기 위함이며, 이를 위해 분리대상체가 드럼(200)을 따라 이동되어 배출되는 방향의 경사로 드럼(20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고정돌기(400)는 일정한 높이와 길이를 갖고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높이와 길이가 다른 다양한 크기로 형성되어 드럼(200)의 내주면에 랜덤하게 분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유체 분사기(500)는 회전타격체(300)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드럼(200)의 청결을 위한 세척수를 분사한다. 유체 분사기(5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세척수 노즐(512)이 상호 이격되어 복수개로 설치된 세척수 분사기(510)와, 회전축(310)에 이격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설치되며, 알코올 노즐(522)이 상호 이격되어 복수개로 설치된 알코올 분사기(520)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유체 분사기(500)는 분리대상체의 분리작업이 끝난 드럼(200)의 내부와 회전타격체(300)를 회전축(310)의해 회전되는 세척수 분사기(510)와 알코올 분사기(500)가 세척을 위한 세척수와 소독을 위한 알코올을 선택적으로 분사함으로써 보다 청결하고 위생적인 상태가 유지되게 한다. 여기서, 유체 분사기(500)는 액체류가 흐르는 파이프와 파이프로부터 액체류가 배출되는 노즐 등의 조합을 통한 일반적인 공지기술을 이용하여 세척수를 분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유체 분사기(500)는 세척수 분사기(510)와 알코올 분사기(520)로 구분되나 하나의 설비로 구성될 수 있으며, 세척과 소독이 아닌 맛과 향 및 착색을 위한 유체의 분사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과실 분리장치는 대량으로 공급된 덩어리 상태의 건과실을 하나의 개체로 각각 분리되어 자동으로 배출되게 함으로써 음료, 아이스크림, 가공식품 등의 제조를 위한 장치에서 사용가능한 상태로 원활하게 제공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특히, 과실의 종류 및 건조상태에 따른 건조형상이 상이하고, 이로 인한 과육의 결합력이 달라져서 각 상태에 따른 과육의 효율적인 분리가 어려운 상태의 대량의 건과실이 하나의 개체로 각각 신속하고 원활하게 분리될 수 있어, 이를 통해, 섬유질 분해로 인한 영양소의 파괴없이 대량의 건과실을 빠른 시간에 각 개체로 분리가 가능해져 2차 제조를 위한 과육의 충분한 확보가 가능함으로써 생산량 및 생산기일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자동화 방식을 통해 작업자의 신체에 무리가 가중되지 않고 나아가 안전사고 발생의 비율이 줄어들며, 이를 통해 쾌적한 작업환경이 조성될 수 있고, 건과실 덩어리 분리장치의 위생을 위한 세척이 자동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수작업으로 인한 청소의 번거로움이 없이 청결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대량의 건과실을 빠른 시간에 각각의 개체로 분리할 수 있어 시간의 낭비가 없고, 많은 일손을 요하지 않음으로 인한 경비절감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은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10 : 건과실 분리장치 100 : 하우징
102 : 수직프레임 104 : 수평프레임
106 : 공간부 110 : 액추에이터
112 : 모터 114 : 체인
120 : 차단판 130 : 배출 유도판
200 : 드럼 300 : 회전타격체
310 : 회전축 312 : 기어
320 : 제1 원판체 322 : 이동축 연결단
330 : 제2 원판체 332 : 이동축 연결단
340 : 대상체 이동축 350 : 타격봉
352 : 체결볼트 354 : 고정볼트
400 : 고정돌기 500 : 유체 분사기
510 : 세척수 분사기 512 : 세척수 노즐
520 : 알코올 분사기 522 : 알코올 노즐

Claims (7)

  1. 분리대상체가 수용되는 드럼(200)이 설치된 하우징(100);
    상기 드럼(20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을 통해 상기 드럼(200)의 내부에 수용된 상기 분리대상체를 밀어 위치이동시키면서 타격하여 상기 분리대상체를 각각의 개체로 분리되게 하는 회전타격체(300);
    상기 드럼(200)에 복수개로 마련되고, 상기 분리대상체의 위치이동을 제한하여 상기 회전타격체(300)가 상기 분리대상체를 타격하게 하는 고정돌기(400); 및,
    상기 회전타격체(300)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드럼(200)의 청결을 위한 세척수를 분사하는 유체 분사기(500)로 이루어지되;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분리대상체가 배출되는 단부에 상기 회전타격체(300)에 의해 각각의 개체로 분리된 분리대상체가 외부로 튕겨 나가는 것을 막고, 상기 드럼(200)의 하부측에 각 개체로 분리되지 않은 상기 분리대상체가 모이도록 포집하여 각각의 개체로 분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차단판(120)과, 상기 차단판(120)에 의해 포집된 상기 분리대상체가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배출 유도판(130)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타격체(300)는,
    상기 드럼(200) 내부 중심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100)에 설치된 액추에이터(110)를 통해 상기 드럼(200)에서 회전되는 회전축(310)과, 상기 드럼(200)의 내주면에 외주면이 향하도록 상기 회전축(310)의 길이방향 양단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310)을 통해 상기 드럼(200)에서 회전되는 제1 및 제2 원판체(320, 330)와, 상기 제1 및 제2 원판체(320, 330)에 연결되어 상기 드럼(200) 내부에 하나 이상 마련되고, 상기 제1 및 제2 원판체(320, 330)의 회전시 상기 드럼(200)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 위치이동됨으로써 상기 분리대상체가 위치이동되게 밀어주는 대상체 이동축(340)과, 상기 회전축(310)에 다수개로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310)의 회전을 통해 회전되고, 상기 분리대상체를 타격하여 각각의 개체로 분리되게 하는 타격봉(350)을 포함하며,
    상기 타격봉(350)은 상기 회전축(310)으로부터 상기 드럼(200)의 내주면을 향하게 상기 회전축(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설치되되,
    상기 드럼(200)에서 상기 분리대상체가 배출되는 방향으로 사이간 간격이 점차 좁아지게 상기 회전축(310)에 복수개로 설치되고,
    상기 고정돌기(400)는 상기 드럼(200)의 길이방향에 사선으로 상기 드럼(200)의 내주면에 복수개로 돌출형성되되,
    상기 드럼(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인접된 상호간이 서로 교차되게 연속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타격봉(350)은 상기 회전축(310)의 일측 또는 양측에 일정한 길이 또는 각기 다른 길이를 갖도록 설치되고, 상기 고정돌기(400)의 상부 또는 상기 고정돌기(400)의 사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유체 분사기(500)는 상기 회전축(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세척수 노즐(512)이 상호 이격되어 복수개로 설치된 세척수 분사기(510)와, 상기 회전축(310)에 이격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설치되고, 알코올 노즐(522)이 상호 이격되어 복수개로 설치된 알코올 분사기(5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세척수 분사기(510)와 알코올 분사기(52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선택되어 상기 드럼(200)에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과실 분리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타격체(300)는 정방향 회전과 역방향 회전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져 상기 분리대상체가 각각의 개체로 분리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과실 분리장치.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원판체(320, 330)는, 상기 회전축(310)에 중심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양단이 상기 드럼(200)에 연결되고, 상기 대상체 이동축(340)이 상기 드럼(200)의 내주면에 이격되게 설치된 이동축 연결단(322, 332)을 통해 상기 회전축(310)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과실 분리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드럼(200)은 상기 하우징(100)에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기 분리대상체가 상기 회전타격체(300)를 통해 상기 드럼(200)에서 위치이동되어 배출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과실 분리장치.
KR1020150162501A 2015-11-19 2015-11-19 건과실 분리장치 KR1016832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2501A KR101683253B1 (ko) 2015-11-19 2015-11-19 건과실 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2501A KR101683253B1 (ko) 2015-11-19 2015-11-19 건과실 분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3253B1 true KR101683253B1 (ko) 2016-12-06

Family

ID=57576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2501A KR101683253B1 (ko) 2015-11-19 2015-11-19 건과실 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325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87030A (zh) * 2018-05-25 2018-10-23 江西省食品发酵研究所 一种具有烘干功能的富硒农产品加工用清洗装置
CN112619778A (zh) * 2020-12-14 2021-04-09 长治市全民大健康产业研究院 一种中药材生产加工用多功能研磨设备
CN113499823A (zh) * 2021-07-15 2021-10-15 安徽侬安康食品有限公司 一种巴旦木和巴旦木蛋白脆振动筛分设备
CN114308263A (zh) * 2021-12-09 2022-04-12 安徽省麒源药业科技有限公司 一种中药材粉碎装置
CN114534859A (zh) * 2022-02-28 2022-05-27 安徽理工大学 一种井下破碎筛分煤矸分离机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1863A (ja) * 1994-11-11 1996-05-28 Miike Tekkosho Kk 破砕機
KR200421366Y1 (ko) * 2006-04-14 2006-07-13 서영춘 은행 탈피기
KR100817895B1 (ko) 2006-11-09 2008-03-31 전수옥 매실 씨 제거방법 및 매실씨 제거장치
KR200454998Y1 (ko) 2008-11-26 2011-08-09 강석삼 칡 파쇄장치
KR20120065614A (ko) * 2010-12-13 2012-06-21 정동욱 매실씨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1863A (ja) * 1994-11-11 1996-05-28 Miike Tekkosho Kk 破砕機
KR200421366Y1 (ko) * 2006-04-14 2006-07-13 서영춘 은행 탈피기
KR100817895B1 (ko) 2006-11-09 2008-03-31 전수옥 매실 씨 제거방법 및 매실씨 제거장치
KR200454998Y1 (ko) 2008-11-26 2011-08-09 강석삼 칡 파쇄장치
KR20120065614A (ko) * 2010-12-13 2012-06-21 정동욱 매실씨 제거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87030A (zh) * 2018-05-25 2018-10-23 江西省食品发酵研究所 一种具有烘干功能的富硒农产品加工用清洗装置
CN112619778A (zh) * 2020-12-14 2021-04-09 长治市全民大健康产业研究院 一种中药材生产加工用多功能研磨设备
CN113499823A (zh) * 2021-07-15 2021-10-15 安徽侬安康食品有限公司 一种巴旦木和巴旦木蛋白脆振动筛分设备
CN114308263A (zh) * 2021-12-09 2022-04-12 安徽省麒源药业科技有限公司 一种中药材粉碎装置
CN114308263B (zh) * 2021-12-09 2024-03-29 重庆红日康仁堂药业有限公司 一种中药材粉碎装置
CN114534859A (zh) * 2022-02-28 2022-05-27 安徽理工大学 一种井下破碎筛分煤矸分离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3253B1 (ko) 건과실 분리장치
ES2257934B1 (es) Aparato para la extraccion del jugo y de la pulpa de productos vegetales con rendimiento mejorado.
EP2607066B1 (en) Multi-lane fruit guide assembly for a juice extractor
CN102688879B (zh) 餐厨垃圾预处理系统和方法
CN202606488U (zh) 餐厨垃圾除杂系统
KR20170058114A (ko) 대추씨 제거기
CN202606486U (zh) 餐厨垃圾预处理系统
KR101277035B1 (ko) 패류 자동 분리 장치
CN109355962A (zh) 一种环保节能秸秆制造纸浆装置
US7337715B2 (en) Juice extractor including pressure-actuated nozzle and associated methods
EP1778545B1 (en) Juice extractor with counterweight operatively engaged with camshaft
EP1793983B1 (en) Juice extractor with juice manifold having side outlet for juice
CN102688882B (zh) 餐厨垃圾除杂系统和方法
EP1793982B1 (en) Juice extractor with bottom loading strainer tube
KR100959653B1 (ko) 퓨레 제조장치
MX2007001966A (es) Extractor de jugo con boquilla de limpieza ahusada.
EP1786709B1 (en) Multi-lane fruit guide assembly having integral ridge ends for a juice extractor and related methods
US7328655B2 (en) Juice extractor with drive and return cams for extractor cup movement
CN209350691U (zh) 一种用于废弃塑料的分拣筛选装置
US7156016B2 (en) Juice extractor with integral juice manifold and cup bridge
US3123115A (en) Apparatus for hulling nuts
KR20110020030A (ko) 폐비닐 세절기
KR100367875B1 (ko) 폐비닐분쇄세척기
CN116020652A (zh) 一种猕猴桃种植用优秀种子选取器
KR20210151573A (ko) 건과실 분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