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1573A - 건과실 분리기 - Google Patents

건과실 분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1573A
KR20210151573A KR1020200068569A KR20200068569A KR20210151573A KR 20210151573 A KR20210151573 A KR 20210151573A KR 1020200068569 A KR1020200068569 A KR 1020200068569A KR 20200068569 A KR20200068569 A KR 20200068569A KR 20210151573 A KR20210151573 A KR 202101515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paration
rotating rod
housing
separated
impe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8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우성
박기호
김영학
유두식
이원석
장기수
Original Assignee
(주)테일러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테일러팜스 filed Critical (주)테일러팜스
Priority to KR1020200068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51573A/ko
Publication of KR20210151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15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other treatment of fruits or vegetables for human purposes; Machines or apparatus for topping or skinning flower bulbs
    • A23N15/04Devices for topping fruit or vege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547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wire-like cutting member
    • B26D1/553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wire-like cutting member with a plurality of wire-like cutt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24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to obtain segments other than slices, e.g. cutting pies
    • B26D3/26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to obtain segments other than slices, e.g. cutting pie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fruit or vegetables, e.g. for on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2210/00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 B26D2210/02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for cutting food products, e.g. food slic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급된 덩어리 형태의 과실 등의 분리대상체를 섬유질 분해로 인한 영양소의 파괴없이 하나의 개체로 각각 분리되게 하여 가공식품 등의 제조를 위한 장치에서 사용가능한 상태로 원활하게 제공되게 하기 위한 건과실 분리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덩어리 형태의 분리대상체를 복수개의 임펠러로 구성되는 분리구가 회전하면서 타격함으로써 하나의 개체로 각각 신속하고 원활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대량의 건과실을 빠른 시간에 각각의 개체로 분리할 수 있어 시간의 낭비가 없고, 많은 일손을 요하지 않음으로 인한 경비절감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건과실 분리기{Device For Dried Fruit Separation}
본 발명은 건과실 분리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공급된 덩어리 형태의 과실 등의 분리대상체를 섬유질 분해로 인한 영양소의 파괴없이 하나의 개체로 각각 분리되게 하여 가공식품 등의 제조를 위한 장치에서 사용가능한 상태로 원활하게 제공되게 하기 위한 건과실 분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실은 씨를 제거하고 육질만 분리시켜 가공식품 등으로 사용하는데, 과육과 씨를 분리하는 방법으로는, 선행문헌 1의 한국등록특허 제10-817895호 "매실씨 제거 방법 및 매실씨 제거 장치"에서와 같이 무한 회전하는 컨베이어에 결합된 이송부의 수용홀에 과일을 안착시킨 후 이탈이 방지되도록 지그의 상면을 덮고, 수용홀에 담긴 과일의 중앙을 핀으로 관통시켜 과육과 씨가 자동으로 분리되도록 하는 기술이 안출된 바 있다.
상기와 같은 장치 등을 통해 씨가 분리된 과실은 건과실의 형태로 만들어 사용하게 되는데, 건과실은 과실의 종류, 건조상태에 따른 건조형상 및 포장에 따른 방법과 포장상태 등에 의해 포장체의 내부에서 하나의 개체들이 뭉쳐진 덩어리 형태가 되기 쉬우므로 건과실을 이용한 가공식품의 제조전 각각의 개체로 분리하기 위한 별도의 공정을 수반하게 된다.
건과실 덩어리의 분리공정은 손으로 직접 뜯어내거나 칼 등의 도구를 이용해 덩어리 형태를 각각의 개체로 분리되게 하는 수작업이 주를 이루며, 수작업을 통한 분리공정은 손목 등과 같은 신체에 무리가 가중되거나, 작업자의 숙련도에 크케 의존되므로 획일적인 생산이 되지않아 생산량 및 생산기일의 차질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기도 하며, 수작업으로 인한 위생적인 문제가 발생되기도 한다.
전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건과실 덩어리를 각각의 개체로 떼어내지 않고 절단하거나 짓눌러서 사용하기 편한 크기로 만드는 방법이 고려될 수 있으며, 선행문헌 2의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54998호 "칡 파쇄장치"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칡지지대(7)의 홈(7a)과 홈(7a) 사이에 중간홈(7b)이 각각 형성되고, 칡지지대(7)의 중간홈(7b)을 통과하는 중간날(8)이 절단날(5)과 절단날(5) 사이에 각각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투입호퍼(3)의 투입구(3a)를 통하여 덩어리 형상의 칡(10)을 투입하면 다수의 절단날(5)과 짓누르기날(6)에 의해 칡(10)이 절단되면서 짓눌러지게 되어 솜형상으로 배출호퍼(4)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장치를 이용하여 건과실 덩어리를 절단하거나 짓눌리게되면 건과실 덩어리를 빠른 시간에 사용하기 편한 상태로 만들수는 있겠으나, 섬유질의 분해로 인한 영양소 파괴가 많아 상품의 가치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건과실 덩어리를 절단하거나 짓눌리지 않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개체로 신속하고 위생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며, 특히, 건과실은 과실의 종류 및 건조상태에 따른 건조형상이 상이하고, 이로 인한 과육의 결합력이 달라지므로 각 상태에 따른 과육의 효율적인 분리가 가능한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817895호 "매실씨 제거 방법 및 매실씨 제거 장치" 특허문헌 2 :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54998호 "칡 파쇄장치"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공급된 덩어리 형태의 과실 등의 분리대상체를 섬유질 분해로 인한 영양소의 파괴없이 하나의 개체로 각각 분리되게 하여 가공식품 등의 제조를 위한 장치에서 사용가능한 상태로 원활하게 제공되게 하기 위한 건과실 분리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특히, 덩어리 형태의 분리대상체를 복수개의 임펠러로 구성되는 분리구가 회전하면서 타격함으로써 하나의 개체로 각각 신속하고 원활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건과실 분리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대량의 건과실을 빠른 시간에 각각의 개체로 분리할 수 있어 시간의 낭비가 없고, 많은 일손을 요하지 않음으로 인한 경비절감이 가능한 건과실 분리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지면에 설치되는 프레임(20)과; 상기 프레임(20)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부 일측에 덩어리 형태의 분리대상체가 유입되는 유입구(31)를 갖고, 하부가 개방된 내부공간(32)을 갖는 하우징(30)과; 상기 하우징(30)의 내부공간(32)에 설치되고, 분리대상체를 각각의 개체로 분리하기 위한 분리수단(40)과; 상기 하우징(30)의 개방된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분리수단(40)에 의해 분리된 각각의 개체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컨베이어(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건과실 분리기에서 상기 분리수단(40)은 내부공간(411)이 형성되는 몸체(41)와; 상기 프레임(20)의 상부에서 상기 하우징(30)과 이격되어 설치되는 모터(42)와; 일측이 상기 모터(42)와 체인(421)을 통해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몸체(41)의 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몸체(41)의 내부공간(411)에 위치되는 베벨기어(431)가 형성되며, 상기 모터(42)의 동작으로 회전하는 수평회전봉(43)과; 상기 몸체(41)의 상하를 관통하고, 상기 몸체(41)의 내부공간(411) 상에서 상기 수평회전봉(43)의 베벨기어(431)와 접속되는 베벨기어(441)가 형성되는 수직회전봉(44)과; 상기 수직회전봉(44) 상에 설치되고, 상기 수직회전봉(44)의 회전으로 대상분리체를 타격하여 각각의 개체로 분리하기 위한 분리구(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건과실 분리기에서 상기 분리구(60)는 상기 수직회전봉(44)의 상단에 결합되고, 덩어리 형태의 대상분리체를 쪼개기 위한 쪼갬임펠러(61)와; 상기 쪼갬임펠러와 상기 몸체(41) 사이의 상기 수직회전봉(44) 상에 결합되어 상기 수직회전봉(44)의 회전으로 대상분리체를 타격하기 위한 상단임펠러(62)와; 상기 몸체(41)의 하부에서 상기 수직회전봉(44) 상에 결합되어 상기 수직회전봉(44)의 회전으로 대상분리체를 타격하기 위한 복수개의 하단임펠러(6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과실 분리기에서 상기 상단임펠러(62)와 하단임펠러(63)는 'C'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측이 상기 수직회전봉(44)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건과실 분리기에서 상기 하우징(30)의 상부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유입구(31)로 공급된 대상분리체를 상기 분리구(60)의 상부로 밀기 위한 푸싱부(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건과실 분리기에서 상기 하우징(30)의 유입구(31) 측에 설치되고, 대상분리체에 물을 분사하기 위한 물분사장치(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과실 분리기에 의하면, 공급된 덩어리 형태의 과실 등의 분리대상체를 섬유질 분해로 인한 영양소의 파괴없이 하나의 개체로 각각 분리되게 하여 가공식품 등의 제조를 위한 장치에서 사용가능한 상태로 원활하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덩어리 형태의 분리대상체를 복수개의 임펠러로 구성되는 분리구가 회전하면서 타격함으로써 하나의 개체로 각각 신속하고 원활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대량의 건과실을 빠른 시간에 각각의 개체로 분리할 수 있어 시간의 낭비가 없고, 많은 일손을 요하지 않음으로 인한 경비절감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분리대상체가 덩어리 상태에서 각각의 개체로 분리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의 선행기술을 보여주는 도면,
도 3a 및 도 3b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과실 분리기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과실 분리기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과실 분리기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과실 분리기에서 분리수단을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과실 분리기에서 공급부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도 3a 내지 도 7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한다. 한편,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도 3a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과실 분리기(10)는 지면에 설치되는 프레임(20)과, 프레임(20)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부 일측에 덩어리 형태의 분리대상체가 유입되는 유입구(31)를 갖고, 하부가 개방된 내부공간(32)을 갖는 하우징(30)과, 하우징(30)의 내부공간(32)에 설치되고, 분리대상체를 각각의 개체로 분리하기 위한 분리수단(40)과, 하우징(30)의 개방된 하부에 설치되고, 분리수단(40)에 의해 분리된 각각의 개체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컨베이어(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프레임(20)은 지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수평프레임(21)과 수직프레임(22)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수평프레임(21)과 수직프레임(22)은 틀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수평프레임(21)은 하부수평프레임(21a)과 상부수평프레임(21b)으로 이루어지고, 수직프레임(22)은 하부수평프레임(21a)과 상부수평프레임(21b) 사이에 형성되어 진다. 그리고, 하부수평프레임(21a)의 하부에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충격흡수부재(23)가 결합되어 진다. 또한, 하부수평프레임(21a)의 하부에는 본 발명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동이 용이하도록 이동바퀴가 결합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하우징(30)은 프레임(20)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부 일측에 덩어리 형태의 분리대상체가 유입되는 유입구(31)를 갖고, 하부가 개방된 내부공간(32)을 갖는다.
하우징(30)은 상부수평프레임(21b)의 상부에서 이격되어 내부공간(32)을 형성하는 측판(33)을 갖고, 측판(33)의 정면 상측에 분리대상체가 유입되는 유입구(31)가 형성되며, 측판(33)의 후면에 덮개(34)가 형성되어 진다. 이때, 덮개(34)는 내부공간(32)에 설치되는 분리수단(40)의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경첩(미도시) 등으로 개폐가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한편, 하우징(30)의 유입구(31) 측에는 측판(33) 사이에 수평으로 받침판(35)이 형성되어 진다.
분리수단(40)은 하우징(30)의 내부공간(32)에 설치되고, 분리대상체를 각각의 개체로 분리하기 위한 것으로, 몸체(41), 모터(42), 수평회전봉(43), 수직회전봉(44), 분리구(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몸체(41)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내부공간(411)을 갖고, 상부와 하부를 관통하여 수직회전봉(44)이 설치되고, 측면에 수평회전봉(43)이 관통하여 형성된다. 이때, 몸체(41)의 양측면은 하우징(30)의 내부공간(32)에서 안정적으로 고정 설치되도록 원통체(45)에 의해 하우징(30)의 측판(33)과 결합되어 진다.
모터(42)는 상부수평프레임(21b)의 상부에서 하우징(30)의 전측에 이격되어 설치된다. 이때, 모터(42)는 상부수평프레임(21b)의 상부에 형성되는 안치판(24)의 상부에 설치되어 진다.
수평회전봉(43)은 일측이 모터(42)와 체인(421)을 통해 연결되고, 타측은 몸체(41)의 측면을 관통하여 몸체(41)의 내부공간(411)에 위치되는 베벨기어(431)가 형성되며, 모터(42)의 동작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이때, 수평회전봉(43)은 몸체(41)의 측면과 하우징(30)의 측판(33)에 결합되는 원통형상의 원통체(45)의 내부에 설치되어 일측이 모터(42)와 체인(421)을 통해 연결되도록 한다. 여기서, 수평회전봉(43)은 몸체(41)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원통체(45) 중 모터(42)와 체인(421)을 통해 회전하도록 하나에만 설치되어 진다.
수직회전봉(44)은 몸체(41)의 상하를 관통하고, 몸체(41)의 내부공간(411) 상에서 수평회전봉(43)의 베벨기어(431)와 접속되는 베벨기어(441)가 형성되어 회전하도록 한다.
한편, 수평회전봉(43)과 수직회전봉(44) 상에는 베어링(46)이 형성되어 마찰 저항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분리구(60)는 수직회전봉(44) 상에 설치되고, 수직회전봉(44)의 회전으로 대상분리체를 타격하여 각각의 개체로 분리하기 위한 것으로, 수직회전봉(44)의 상단에 결합되고, 덩어리 형태의 대상분리체를 쪼개기 위한 쪼갬임펠러(61)와, 쪼갬임펠러와 몸체(41) 사이의 수직회전봉(44) 상에 결합되어 수직회전봉(44)의 회전으로 대상분리체를 타격하기 위한 상단임펠러(62)와, 몸체(41)의 하부에서 수직회전봉(44) 상에 결합되어 수직회전봉(44)의 회전으로 대상분리체를 타격하기 위한 복수개의 하단임펠러(63)를 포함하여 이루어 진다.
상단임펠러(62)와 하단임펠러(63)는 일측이 수직회전봉에 결합되는 'C'자 형상의 회전체(64)가 상하로 이루어지고, 회전체(64) 사이에 원형의 링(65)이 결합되어 진다. 이는 분리대상체를 타격하여 각각의 개체로 분리시 견고한 상태로 분리대상체를 타격하기 위한 것이다.
이송컨베이(50)어는 하우징(30)의 개방된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대상분리체가 분리수단(40)에 의해 각각의 개체로 분리되어 하측으로 떨어지면 이를 이송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과실 분리기(10)는 하우징(30)의 전측에 설치되어 유입구(31)로 공급된 대상분리체를 분리수단(40)으로 밀어 넣기 위한 푸싱부(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푸싱부(70)는 하우징(30)의 상부에 설치되는 실린더(71)와 하우징(30)의 상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실린더 로드의 끝단에 결합되어 유입구(31)로 공급된 대상분리체를 분리구(60)의 상부로 밀기 위한 푸싱구(7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푸싱부(70)가 분리수단(40)의 상부에서 대상분리체를 분리수단(40)으로 밀어주도록 함으로써 회전하는 분리수단(40)의 상부에 유입된 분리대상체는 분리수단(40)의 상부에서 머무르지 않고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과실 분리기(10)는 하우징(30)의 유입구(31) 측에 설치되고, 대상분리체에 물을 분사하기 위한 물분사장치(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물분사장치(80)는 물이 수용된 물공급탱크와 호스를 통해 연결되는 노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물분사장치(80)는 물공급탱크를 예로 들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수단이면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과실 분리기(10)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컨베이어 형태의 공급부(90)가 프레임(20)의 일측에 설치되어 하우징(30)의 유입구(31)로 대상분리체를 이송하여 공급하도록 한다.
공급부(90)는 일측의 하측에서 타측의 상측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고, 컨베이어(91) 상에는 대상분리세차 이송 중 하측으로 내려오지 않도록 걸림턱(92)이 형성되어 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과실 분리기(10)에서 공급부(90)가 프레임(20)의 일측에 설치시에는 하우징(30)의 유입구(31)의 전측에 보조푸싱부(73)가 설치되어 질 수 있다. 보조푸싱부(73)는 하우징(30)의 받침판(35)의 상부에 설치되어 공급부(90)로부터 이송되어 하우징(30)의 유입구(31)로 대상분리체가 유입시 대상분리체로부터 떨어져 나온 개체가 하우징(30)의 받침부(35)에 떨어질 시 이를 분리수단(40)으로 밀어넣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과실 분리기(10)에 의하면, 공급된 덩어리 형태의 과실 등의 분리대상체를 섬유질 분해로 인한 영양소의 파괴없이 하나의 개체로 각각 분리되게 하여 가공식품 등의 제조를 위한 장치에서 사용가능한 상태로 원활하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덩어리 형태의 분리대상체를 복수개의 임펠러로 구성되는 분리구가 회전하면서 타격함으로써 하나의 개체로 각각 신속하고 원활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대량의 건과실을 빠른 시간에 각각의 개체로 분리할 수 있어 시간의 낭비가 없고, 많은 일손을 요하지 않음으로 인한 경비절감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과실 분리기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건과실 분리기
20 : 프레임 30 : 하우징
31 : 유입구 32 : 내부공간
40 : 분리수단 41 : 몸체
42 : 모터 43 : 수평회전봉
44 : 수직회전봉 50 : 이송컨베이어
60 : 분리부 61 : 쪼갬일펠러
62 : 상단임펠러 63 : 하단임펠러
70 : 푸싱부 80 : 물분사장치

Claims (6)

  1. 지면에 설치되는 프레임(20)과;
    상기 프레임(20)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부 일측에 덩어리 형태의 분리대상체가 유입되는 유입구(31)를 갖고, 하부가 개방된 내부공간(32)을 갖는 하우징(30)과;
    상기 하우징(30)의 내부공간(32)에 설치되고, 분리대상체를 각각의 개체로 분리하기 위한 분리수단(40)과;
    상기 하우징(30)의 개방된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분리수단(40)에 의해 분리된 각각의 개체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컨베이어(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건과실 분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수단(40)은 내부공간(411)이 형성되는 몸체(41)와;
    상기 프레임(20)의 상부에서 상기 하우징(30)과 이격되어 설치되는 모터(42)와;
    일측이 상기 모터(42)와 체인(421)을 통해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몸체(41)의 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몸체(41)의 내부공간(411)에 위치되는 베벨기어(431)가 형성되며, 상기 모터(42)의 동작으로 회전하는 수평회전봉(43)과;
    상기 몸체(41)의 상하를 관통하고, 상기 몸체(41)의 내부공간(411) 상에서 상기 수평회전봉(43)의 베벨기어(431)와 접속되는 베벨기어(441)가 형성되는 수직회전봉(44)과;
    상기 수직회전봉(44) 상에 설치되고, 상기 수직회전봉(44)의 회전으로 대상분리체를 타격하여 각각의 개체로 분리하기 위한 분리구(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과실 분리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구(60)는 상기 수직회전봉(44)의 상단에 결합되고, 덩어리 형태의 대상분리체를 쪼개기 위한 쪼갬임펠러(61)와;
    상기 쪼갬임펠러와 상기 몸체(41) 사이의 상기 수직회전봉(44) 상에 결합되어 상기 수직회전봉(44)의 회전으로 대상분리체를 타격하기 위한 상단임펠러(62)와;
    상기 몸체(41)의 하부에서 상기 수직회전봉(44) 상에 결합되어 상기 수직회전봉(44)의 회전으로 대상분리체를 타격하기 위한 복수개의 하단임펠러(6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과실 분리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임펠러(62)와 하단임펠러(63)는 'C'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측이 상기 수직회전봉(44)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과실 분리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30)의 상부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유입구(31)로 공급된 대상분리체를 상기 분리구(60)의 상부로 밀기 위한 푸싱부(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과실 분리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30)의 유입구(31) 측에 설치되고, 대상분리체에 물을 분사하기 위한 물분사장치(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과실 분리기.
KR1020200068569A 2020-06-05 2020-06-05 건과실 분리기 KR202101515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8569A KR20210151573A (ko) 2020-06-05 2020-06-05 건과실 분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8569A KR20210151573A (ko) 2020-06-05 2020-06-05 건과실 분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1573A true KR20210151573A (ko) 2021-12-14

Family

ID=78902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8569A KR20210151573A (ko) 2020-06-05 2020-06-05 건과실 분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51573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7895B1 (ko) 2006-11-09 2008-03-31 전수옥 매실 씨 제거방법 및 매실씨 제거장치
KR200454998Y1 (ko) 2008-11-26 2011-08-09 강석삼 칡 파쇄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7895B1 (ko) 2006-11-09 2008-03-31 전수옥 매실 씨 제거방법 및 매실씨 제거장치
KR200454998Y1 (ko) 2008-11-26 2011-08-09 강석삼 칡 파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5336942A (ja) 罐詰商品から食物等価物を回収する方法及び装置
US865721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on of waste material
KR101683253B1 (ko) 건과실 분리장치
US5875979A (en) Green waste processor
US2830770A (en) Granulating machine
KR101851304B1 (ko) 양송이대 커팅장치
KR20210151573A (ko) 건과실 분리기
KR20030013889A (ko) 음식물 쓰레기 자동 선별기
JP2913159B2 (ja) ハンマークラッシャー
NO156398B (no) Oppdelingsinnretning for avfall.
JP2006231712A (ja) ペレタイザ
KR101910464B1 (ko)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비닐류를 제거하기 위한 음식물 쓰레기 분쇄장치
US1893460A (en) Cutting, sorting, and conveying device
JPS5855950Y2 (ja) 粉砕機
KR101097824B1 (ko) 폐청과류 분쇄기
KR102267424B1 (ko) 폐목재 재활용 시스템 및 방법
KR102581988B1 (ko) 고춧가루 제조방법 및 고춧가루 제조시스템
JPH01135547A (ja) 材料加工処理装置
RU43788U1 (ru) Смеситель-измельчитель
US676549A (en) Vegetable-topping machine.
US365976A (en) Cider or wine mill
CN115669954A (zh) 一种方便快捷的移动式核桃脱皮装置
JPH0513410Y2 (ko)
US2242863A (en) Extruder
KR840001416Y1 (ko) 감자 마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