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3230B1 - 탄성력이 유지되는 바나나 잭 - Google Patents

탄성력이 유지되는 바나나 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3230B1
KR101683230B1 KR1020150009093A KR20150009093A KR101683230B1 KR 101683230 B1 KR101683230 B1 KR 101683230B1 KR 1020150009093 A KR1020150009093 A KR 1020150009093A KR 20150009093 A KR20150009093 A KR 20150009093A KR 101683230 B1 KR101683230 B1 KR 1016832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terminal
elastic member
banana jack
j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9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9641A (ko
Inventor
박강수
Original Assignee
디에스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에스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디에스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09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3230B1/ko
Publication of KR201600896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96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3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32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01R13/05Resilient pins or blad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성력이 유지되는 바나나 잭으로서, 케이블 또는 외부 단자가 내부에 삽입되는 바디; 내부 공간이 형성된 금속 재질의 봉 형태로서, 둘레 방향으로 일정 간격씩 이격되어 길이 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된 복수의 절개부;와 상기 절개부 간의 사이에서 적어도 일부분이 탄성편으로 형성된 복수의 탄성부를 포함하며, 일측 끝단이 상기 바디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바디에 삽입된 케이블 또는 외부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단자; 및 상기 단자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어 끼워져, 탄성력으로 상기 탄성부를 외측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나나 잭이며,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바나나 잭의 단자 내부에 탄성 부재를 삽입함으로써 바나나 잭을 오랜시간 반복 사용하더라도 바나나 잭의 탄성력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어 바나나 잭의 제품 신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탄성력이 유지되는 바나나 잭 {Bannana jack for keeping elastic force}
본 발명은 탄성력이 유지되는 바나나 잭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바나나 잭의 단자 내부에 탄성 부재를 삽입시켜 탄성 부재에 의해 단자의 탄성력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바나나 잭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일자형 잭을 소켓에 삽입시에 소켓과 잭의 접촉을 견고히 하면서 접촉력을 향상시켜 그에 따른 단자 체결의 저항을 낮출기 위해 탄성력을 갖는 바나나 잭에 제시되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탄성력을 갖는 바나나 잭의 일례를 도시하는데, 탄성력을 갖는 바나나 잭(10)은 케이블이 연결되는 바디(11)와 길이방향으로 절개부(16)가 형성되고 절개부(16) 사이의 금속부재를 외측으로 휨으로써 탄성부(17)를 형성한 단자(15)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바나나 잭은 탄성력이 유지되는 초기 사용시에는 탄성력으로 단자와 소켓 간에 접촉력이 향상되어 사용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나, 잦은 사용과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단자의 금속 재질이 마모되고 외력에 의한 스트레스가 지속적으로 부여되어 단자의 탄성력이 떨어지게 된다.
단자의 탄성력 저하는 잭의 단자와 소켓의 접촉력 저하로 직결되어, 잭을 소켓에 삽입시 체결이 느슨해짐으로써 접촉 저항이 급격히 증가되며 또한 작은 충격에도 잭이 소켓에서 이탈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일본 특허 공개번호 제2011-65854호(공개일: 2011년 3월 31일), 발명의 명칭: "커넥터 단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탄성력을 갖는 바나나 잭의 오랜 사용시 탄성력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특히, 바나나 잭의 잦은 사용과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단자의 금속 재질이 마모되고 외력에 의한 스트레스가 지속적으로 부여되어 단자의 탄성력이 떨어짐으로써 바나나 잭의 단자와 소켓의 접촉력이 저하되는 문제점과 단자와 소켓 간의 접촉력 저하에 따른 접촉 저항이 급격히 증가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바나나 잭의 일실시예는, 바나나 잭에 있어서, 케이블 또는 외부 단자가 내부에 삽입되는 바디; 내부 공간이 형성된 금속 재질의 봉 형태로서, 둘레 방향으로 일정 간격씩 이격되어 길이 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된 복수의 절개부;와 상기 절개부 간의 사이에서 적어도 일부분이 탄성편으로 형성된 복수의 탄성부를 포함하며, 일측 끝단이 상기 바디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바디에 삽입된 케이블 또는 외부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단자; 및 상기 단자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어 끼워져, 탄성력으로 상기 탄성부를 외측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단자의 내부 공간에 대응되는 형태를 갖는 탄성 고무가 적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부는, 봉 형태의 상기 단자의 둘레를 복수 등분으로 나누어 상측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절개부에 의해 각각 분할되어 독립된 탄성편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탄성부는, 중단이 외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휘어져 형성되며,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탄성부의 내면 형태에 대응하여 상기 탄성부의 중단이 외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상기 단자의 길이 방향에 대응되는 상단의 단면적 보다 중단의 단면적이 크게 형성될 수도 있다.
나아가서 상기 단자는, 상면이 관통된 관 형태이며, 상기 절개부는, 상기 탄성부의 상단 끝단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부분 절개되어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는, 상단 끝단이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단자의 내부 공간에 삽입된 상기 탄성 부재를 고정시킬 수도 있다.
한 걸음 더 나아가서 상기 단자는, 상기 절개부는, 상기 탄성부의 상단 끝단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부분 절개되어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의 상단 끝단에 체결된 캡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단자는, 하면이 관통된 관 형태이며, 상기 절개부는, 상기 단자의 하단 끝단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부분 절개되어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는, 하단 끝단이 상기 바디에 연결되어 고정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디는, 단면 중심으로부터 상기 단자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되어 지지대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지지대에 대응하여 하면으로부터 내부를 향해 뚫린 지지홀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가 상기 지지홀에 삽입되어 상기 탄성 부재가 고정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바나나 잭의 단자 내부에 탄성 부재를 삽입함으로써 바나나 잭을 오랜시간 반복 사용하더라도 바나나 잭의 탄성력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어 바나나 잭의 제품 신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특히, 바나나 잭의 단자 내부에 삽입된 탄성 부재에 의해 단자 자체의 탄성력과 형태가 보존되므로 단자 자체의 강도나 탄성력이 낮을지라도 소켓과 잭의 체결시에 탄성력과 접촉력이 월등히 높아질 수 있다.
나아가서, 바나나 잭의 단자 자체의 강도와 탄성력이 낮은 경우에도 탄성 부재에 의해 바나나 잭의 강도와 탄성력이 유지될 수 있으므로 바나나 잭의 단자로 보다 다양한 금속 소재를 적용할 수 있게 되며 그 두께 또한 얇아질 수 있으므로 바나나 잭의 제조가 보다 간단해지면서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바나나 잭의 일례를 도시하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나나 잭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하며,
도 3은 상기 도 2의 제1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4는 상기 도 2의 제1 실시예에 대한 동작도를 도시하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바나나 잭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하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바나나 잭에 적용되는 탄성 부재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바나나 잭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하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바나나 잭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하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바나나 잭의 제5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고 이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바나나 잭의 단자 내부에 탄성 부재를 삽입시켜 탄성 부재에 의해 단자의 탄성력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바나나 잭을 제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나나 잭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에서 바나나 잭(100)은 소켓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단자(150)와 단자(150)를 지지하며 케이블이나 외부 단자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바디(110)로 구성된다.
단자(150)는 내부 공간이 형성된 금속 재질의 봉 형태로서, 단자(150)의 길이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된 절개부(151)가 단자(150)의 둘레 방향으로 일정 간격씩 이격되어 복수개 형성되며, 절개부(151) 간의 사이에 적어도 일부분이 탄성편으로 형성된 탄성부(155)가 절개부(151)의 개수에 대응되어 복수개 형성된다.
그리고 단자(150)의 내부 공간에는 탄성 부재(170)가 삽입되어 끼워지는데, 상기 도 2에 도시된 확대 부분 절개도를 참조하면, 탄성 부재(170)는 단자(150)의 내부 공간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외력이 가해지면 외력의 크기에 따라 변형되면서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려는 탄성력을 갖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일례로서 탄성 고무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실시예에 대하여 도 3에 도시된 상기 제1 실시예의 단면도를 참조하여 좀더 살펴보는데, 상기 도 3의 (a)는 상기 도 2에서 A 부분을 절단한 단면도를 도시하고, 상기 도 3의 (b)는 상기 도 2에서 B 부분을 절단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상기 도 3의 (a)와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탄성부(115)는 단자(150)의 상면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부(151)에 의해 분할되어 독립된 탄성편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티탄동(titanium copper), 베릴륨동(beryllium copper), 청동(bronze) 또는 인청동(phosphor bronze) 등의 금속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하단부가 바디(110)에 의해 지지되면서 상단부는 독립된 탄성편으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실시예에서는, 봉 형태의 단자(150)의 둘레를 4등분으로 나누어 단자(150)의 상측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부(151)에 의해 각각 분할되어 독립된 탄성편으로 탄성부(155)를 형성시켰다.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필요에 따라 6등분, 8등분 등으로 분할함으로써 단자(150)에서 절개부(151)와 탄성부(155)의 개수는 선택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탄성 부재(170)는 단자(150)의 내부 공간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단자(150)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어 끼워질 수 있는데, 상기 도 3의 (a)에서는 탄성 부재(170)가 단자(150)의 탄성부(155)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어 있으나 상기 제1 실시예에서 탄성부(155)의 상단측에 주된 탄성력이 요구되므로 탄성 부재(170)가 탄성부(155)의 상단측 일부분에만 대응될 수 있도록 그 크기가 조절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도 3의 (a)에서는 바디(110) 측에 케이블이나 외부 단자가 연결되는 구조를 도시하지 않았는데, 바디(110)의 하단에는 케이블의 끝단이 삽입되어 케이블의 선과 바디(110) 내부 구조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고, 또는 바디(110) 하단이 소켓이나 커넥터 등의 구조로 형성되어 외부 단자가 바디(110) 하단에 체결될 수도 있으며, 나아가서 바디(110)는 단지 케이블의 외면을 파지하면서 케이블 선이 직접 단자로 연결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바디(110)의 세부 구조는 본 발명의 주된 특징부가 아니며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기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는 상기 도 2의 제1 실시예에 대한 동작도를 도시하는데, 상기 제1 실시예에 따른 바나나 잭이 소켓에 체결된 경우의 탄성력의 변화를 살펴보면, 상기 도 4의 (a)와 같이 소켓(50) 등의 내부 공간(55)으로 상기 제1 실시예에 따른 바나나 잭이 삽입되어 체결되는 경우, 상기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50)에 의한 외력이 바나나 잭의 탄성부(155) 상에 가해지면서 소켓(50)의 내부 공간(55) 사이즈에 따라 바나나 잭의 탄성부(155)는 변형되게 되며, 변형력은 그대로 탄성 부재(170)로 전달되어 탄성 부재(170)를 가압하게 된다.
상기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50)에 바나나 잭이 체결되면, 탄성부(155)는 서로 맞물려서 소켓(50)의 내면에 밀착됨으로써 소켓(50)의 내면과 바나나 잭의 탄성부(155)는 접촉력이 증가된다.
그리고 상기 도 4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50)에서 바나나 잭이 빼내어져 분리되는 경우, 바나나 잭의 탄성부(155) 자체의 탄성력으로 그 형태가 복원되는데, 이때 소켓(50)에 의해 단자(150)의 내부에 삽입된 탄성 부재(170)에 가해진 외력이 점차 사라지면서 탄성 부재(170)의 탄성력이 탄성부(155)를 외측으로 밀어내게 되며, 바나나 잭이 소켓(50)에서 완전히 분리되면 상기 도 4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나나 잭의 탄성부(155) 자체의 탄성력뿐만 아니라 탄성 소재(170)의 탄성력으로 바나나 잭의 탄성부(155)는 원래의 형태로 복원된다.
일반적인 탄성력을 갖는 바나나 잭에 대한 소켓의 체결과 분리가 반복적으로 수행될 때 외력에 의한 스트레스로 인해 바나나 잭의 단자 자체 탄성력은 점차 줄어들게 되며 단자의 체결과 분리가 반복적으로 일어나 일정 회수 이후에는 바나나 잭의 단자 자체 탄성력이 거의 사라지게 되어 단자는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지 않게 되며, 이는 결국 바나나 잭의 단자가 소켓 내면과 완전히 접촉되지 않게 되어 접촉 저항을 증가시키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 실시예에서는 바나나 잭의 단자 내부에 탄성 부재가 삽입됨으로써 탄성 부재에 의한 탄성력이 단자에 전달되고 이는 단자의 원래 상태로의 복원에 기여하게 되어 단자의 지속적인 탄성력이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바나나 잭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에서 바나나 잭(200)은 소켓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단자(250)와 단자(250)를 지지하며 케이블이나 외부 단자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바디(210)로 구성된다.
단자(250)는 바나나 잭(200)을 소켓에 체결시 소켓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소켓과 접촉되는 부분이 전도체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봉 형태이다.
단자(250)에는, 둘레 방향으로 일정 간격씩 이격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된 절개부(251)가 복수개 형성되며, 절개부(251)로 인해 절개부(251) 간의 사이에서 중단이 외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휘어 탄성력이 부여된 탄성부(255)가 복수개 형성된다.
그리고 단자(250)의 내부 공간에는 탄성 부재(270)가 삽입되어 끼워지는데, 상기 도 5 상에 도시된 확대 부분 절개도를 참조하면, 탄성 부재(270)가 단자(250)의 탄성부(255)를 외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시켜 탄성부(255)에 탄성력이 부여된다. 여기서 탄성 부재(270)는 단자(250)의 내부 공간에 대응되는 형태를 갖는 탄성 고무 등을 적용하여 외력에 따른 가압시 탄성력이 부여되고, 부여된 탄성력으로 탄성부(255)를 외측을 향해 밀어냄으로써 탄성부(255)에 탄성력이 인가된다.
즉, 단자(250)의 탄성부(255)는 재질 특성에 따라 자체 탄성력을 갖고 있을 수 있으며, 탄성 부재(270)에 의한 탄성력이 탄성부(255)에 더 인가되거나 탄성 부재(270)에 의한 탄성력으로 탄성부(255)의 자체 탄성력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탄성 부재(270)가 단자(250)의 탄성부(255)를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시키기 위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가령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바나나 잭에 적용되는 탄성 부재의 일실시예를 참조하면, 탄성 부재(270)는 단자(250)의 길이 방향에 대응되는 상단의 단면적 보다 중단의 단면적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부재(270)의 중단 직경 D2가 상단이나 하단 직경 D1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전체적으로 탄성 부재(170)의 중단이 볼록한 형태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탄성력을 갖는 바나나 잭의 단자 내부에 탄성 부재를 삽입시킴으로써 단자의 탄성력을 반영구적으로 지속시킬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바나나 잭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다.
상기 도 7의 (a)는 상기 제3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를 도시하고, 상기 도 7의 (b)는 상기 제3 실시예에 대한 분리 사시도를 도시하는데, 상기 제3 실시예에 따른 바나나 잭(300)은 단자(350)의 하면이 관통된 관 형태로서 절개부(351)가 탄성부(355)의 하단 끝단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단자(350) 하면의 관통공을 통해 탄성 부재(370)가 삽입되어 끼워질 수 있다.
앞서 상기 도 5에 도시된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도 7의 제3 실시예에서의 탄성 부재(370)도 앞서 살펴본 탄성 부재와 마찬가지로 단자(350)의 탄성부(355)를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시키기 위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탄성 부재(370)가 단자(350)의 탄성부(355)를 외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시켜 탄성부(355)에 탄성력이 부여된다.
그리고 단자(350)의 하단이 바디(310)에 체결되는데, 단자(350)의 체결을 위해 바디(310)에는 체결홈(315)이 형성되며, 절개부(351)에 의해 나눠진 복수의 탄성부(355)의 하단 끝단이 모아져서 각각의 탄성부(355)의 하단이 바디(310)에 형성된 결합홈(315)에 끼워짐으로써 단자(350)와 바디(310)가 체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자(350)의 탄성부(355) 하단이 바디(310)의 결합홈(315)에 끼워져서 체결됨으로써 단자(350)의 탄성부(355)가 바디(310)에 지지되면서 단자(350) 내부에 삽입된 탄성 부재(370)에 의해 지속적인 탄성력이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바나나 잭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다.
상기 도 8의 (a)는 상기 제4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를 도시하고, 상기 도 8의 (b)는 상기 제4 실시예에 대한 분리 사시도를 도시하는데, 상기 제4 실시예에 따른 바나나 잭(400)은 단자(450)의 상면이 관통된 관 형태로서 절개부(451)가 탄성부(455)의 상단 끝단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단자(450) 상면의 관통공을 통해 탄성 부재(470)가 삽입되어 끼워질 수 있다.
상기 도 8의 제4 실시예에서도 탄성 부재(470)는 단자(450)의 탄성부(455)를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시키기 위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탄성 부재(470)가 단자(450)의 탄성부(455)를 외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시켜 탄성부(455)에 탄성력이 부여된다
그리고 탄성부(455)의 상단 끝단에 캡(457)이 체결되어 탄성부(455)의 상단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동시에 탄성 부재(470)의 이탈을 방지한다.
여기서 캡(457)에는 상기 도 7의 제3 실시예에서 바디(310)에 형성된 결합홈(315)과 유사하게 그 내면에 결합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절개부(451)에 의해 나눠진 복수의 탄성부(455)의 상단 끝단이 모아져서 탄성부(455)의 상단이 캡(457)의 결합홈에 끼워짐으로써 고정될 수 있다.
나아가서 상기 도 8의 제4 실시예에서는 탄성부(455)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탄성 부재(47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캡(457)을 적용하였으나, 상황에 따라서는 캡(457)을 적용하지 않고 탄성부의 상단 끝단이 내측으로 절곡되어 탄성 부재의 상단면에 오므라지도록 형성됨으로써 탄성부의 상단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탄성 부재의 이탈을 방지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바나나 잭의 제5 실시예를 도시한다.
상기 도 9의 제5 실시예는 앞서 살펴본 실시예들에 선택적으로 적용가능한 구조로서, 상기 도 9에 도시된 상기 제5 실시예는 상기 도 7의 제3 실시예를 적용하는 경우이다.
바디(510)에는 단면 중심으로부터 단자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되어 지지대(515)가 형성되며, 탄성 부재(570)에는 지지대(515)에 단면적과 길이에 대응하여 하면으로부터 내부를 향해 뚫린 지지홀(575)이 형성된다.
그리고 바디(510)에 형성된 지지대(515)를 탄성 부재(570)의 지지홀(575)에 삽입시켜 탄성 부재(570)가 바디(510) 상에 고정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도 7의 제3 실시예를 적용하는 경우에 상기 도 9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탄성 부재(570)가 단자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어 끼워져서 단자의 탄성부에 탄성력을 지속적으로 보완해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바나나 잭의 단자 내부에 탄성 부재를 삽입함으로써 바나나 잭을 오랜시간 반복 사용하더라도 바나나 잭의 탄성력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어 바나나 잭의 제품 신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특히, 바나나 잭의 단자 내부에 삽입된 탄성 부재에 의해 단자 자체의 탄성력과 형태가 보존되므로 단자 자체의 강도나 탄성력이 낮을지라도 소켓과 잭의 체결시에 탄성력과 접촉력이 월등히 높아질 수 있다.
나아가서, 바나나 잭의 단자 자체의 강도와 탄성력이 낮은 경우에도 탄성 부재에 의해 바나나 잭의 강도와 탄성력이 유지될 수 있으므로 바나나 잭의 단자로 보다 다양한 금속 소재를 적용할 수 있게 되며 그 두께 또한 얇아질 수 있으므로 바나나 잭의 제조가 보다 간단해지면서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200, 300, 400, 500 : 바나나 잭,
110, 210, 310, 410, 510 : 바디,
150, 250, 350, 450 : 단자,
151, 251, 351, 451 : 절개부,
155, 255, 355, 455 : 탄성부,
170, 270, 370, 470, 470 : 탄성 부재,
315 : 결합홈,
457 : 캡,
515 : 지지대,
575 : 지지홀.

Claims (8)

  1. 바나나 잭에 있어서,
    케이블 또는 외부 단자가 내부에 삽입되는 바디;
    내부 공간이 형성된 금속 재질의 봉 형태로서, 둘레 방향으로 일정 간격씩 이격되어 길이 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된 복수의 절개부;와 상기 절개부 간의 사이에서 적어도 일부분이 탄성편으로 형성된 복수의 탄성부를 포함하며, 일측 끝단이 상기 바디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바디에 삽입된 케이블 또는 외부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단자; 및
    상기 단자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어 끼워져, 탄성력으로 상기 탄성부를 외측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는 중단이 외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휘어져 형성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탄성부의 내면 형태에 대응하여 상기 탄성부의 중단이 외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상기 단자의 길이 방향에 대응되는 상단의 단면적 보다 중단의 단면적이 크게 형성되고,
    상기 단자는 상기 절개부를 상기 탄성부의 상단 끝단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부분 절개되어 형성되고, 상기 단자 상면의 관통공을 통해 상기 탄성 부재가 삽입되어 끼워지며, 상기 탄성부의 상단 끝단에 체결된 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나나 잭.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단자의 내부 공간에 대응되는 형태를 갖는 탄성 고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나나 잭.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봉 형태의 상기 단자의 둘레를 복수 등분으로 나누어 상측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절개부에 의해 각각 분할되어 독립된 탄성편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나나 잭.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는, 상면이 관통된 관 형태이며,
    상기 절개부는, 상기 탄성부의 상단 끝단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부분 절개되어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는, 상단 끝단이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단자의 내부 공간에 삽입된 상기 탄성 부재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나나 잭.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는, 하면이 관통된 관 형태이며,
    상기 절개부는, 상기 단자의 하단 끝단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부분 절개되어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는, 하단 끝단이 상기 바디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나나 잭.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단면 중심으로부터 상기 단자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되어 지지대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지지대에 대응하여 하면으로부터 내부를 향해 뚫린 지지홀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가 상기 지지홀에 삽입되어 상기 탄성 부재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나나 잭.
KR1020150009093A 2015-01-20 2015-01-20 탄성력이 유지되는 바나나 잭 KR1016832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9093A KR101683230B1 (ko) 2015-01-20 2015-01-20 탄성력이 유지되는 바나나 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9093A KR101683230B1 (ko) 2015-01-20 2015-01-20 탄성력이 유지되는 바나나 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9641A KR20160089641A (ko) 2016-07-28
KR101683230B1 true KR101683230B1 (ko) 2016-12-07

Family

ID=56681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9093A KR101683230B1 (ko) 2015-01-20 2015-01-20 탄성력이 유지되는 바나나 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323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7913B1 (ko) 2018-11-30 2019-07-08 윤주원 버튼식 바나나 잭
KR102037689B1 (ko) * 2019-03-28 2019-10-29 주식회사 텔콘알에프제약 평면 접촉형 알에프 단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9293B1 (ko) * 2017-03-31 2021-09-07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동축 커넥터
CN110972510A (zh) * 2018-11-28 2020-04-07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连接器公插头、连接器、无人飞行器及电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2720B1 (ko) 2008-09-30 2009-04-15 조인셋 주식회사 솔더링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
JP2011065854A (ja) 2009-09-17 2011-03-31 Nippon Tanshi Kk コネクタ端子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2370Y1 (ko) * 1986-04-21 1989-04-20 강원석 바나나 플러그
KR200172727Y1 (ko) * 1997-09-12 2000-03-02 김영환 포고 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2720B1 (ko) 2008-09-30 2009-04-15 조인셋 주식회사 솔더링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
JP2011065854A (ja) 2009-09-17 2011-03-31 Nippon Tanshi Kk コネクタ端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7913B1 (ko) 2018-11-30 2019-07-08 윤주원 버튼식 바나나 잭
KR102037689B1 (ko) * 2019-03-28 2019-10-29 주식회사 텔콘알에프제약 평면 접촉형 알에프 단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9641A (ko) 2016-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89331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embedded canted coil spring
KR101683230B1 (ko) 탄성력이 유지되는 바나나 잭
EP1686660B1 (en) Environmentally sealed connector with blind mating capability
EP2362492B1 (en) Electrical connector
KR101031118B1 (ko) 동축 커넥터
US9673549B2 (en) Connector with movement suppression function during excessive vibration
JP2005517275A (ja) 再接触可能な接続装置
CN108988005B (zh) 密封电连接器组件及线材密封件
US20160380376A1 (en) Plug connector and mating connector
US9331400B1 (en) Male contact assembly
EP3553893A1 (en)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US7717756B1 (en) Probe connector
US20170012393A1 (en) Coaxial connector assembly
WO2010021072A1 (ja) 多極単頭プラグ
US7867025B2 (en) Cable connector with supported center conductor contact
JP6730343B2 (ja) 端子接続構造
CN105008154B (zh) 杯状件和将杯状件保持在螺旋弹簧上的保持件
JP5432647B2 (ja) コネクタ端子
US5498179A (en) Electrical connector
US20230178906A1 (en) Spring connector
WO2015148865A1 (en) Latching connector with radial grooves
CN112217016B (zh) 电连接器
JP7122116B2 (ja) 同軸コネクタ
US6007360A (en) Guide socket of electrical connector
JP2019193416A (ja) ケーブル接続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