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1801B1 - 확장된 작업 반경을 갖는 붐대 회전 장치와 그를 적용한 고소작업 시스템 및 고소 작업차 - Google Patents

확장된 작업 반경을 갖는 붐대 회전 장치와 그를 적용한 고소작업 시스템 및 고소 작업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1801B1
KR101681801B1 KR1020140003359A KR20140003359A KR101681801B1 KR 101681801 B1 KR101681801 B1 KR 101681801B1 KR 1020140003359 A KR1020140003359 A KR 1020140003359A KR 20140003359 A KR20140003359 A KR 20140003359A KR 101681801 B1 KR101681801 B1 KR 1016818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m
extension
link
bar
rot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3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3612A (ko
Inventor
이영규
Original Assignee
신승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승옥 filed Critical 신승옥
Priority to KR1020140003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1801B1/ko
Publication of KR20150083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36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1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18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4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 B66F11/046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of the telescoping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64Jibs
    • B66C23/68Jibs foldable or otherwise adjustable in 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5Hydraulic jacks
    • B66F2700/052Support- or transmission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인 붐대에서 연장된 연장 붐대를 메인 붐대와의 결합부위를 중심으로 상하 180°이상으로 축회전 가능하도록 하여 고소 작업의 작업 반경을 넓히고 난공사 구간에서도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고소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며 비작업시 연장 붐대를 내측으로 밀착시킬 수 있어 적재공간을 줄일 수 있는 붐대 회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 1 회전축을 통해 직접 연결되는 기초 붐대 및 연장 붐대; 상기 기초 붐대 선단에 제 2 회전축을 통해 연결되며 중심축을 중심으로 굴절된 굴절 링크; 및 일측이 상기 굴절 링크와 힌지축을 통해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연장 붐대에 제 3 회전축을 통해 연결되는 선형 링크; 를 포함하며, 상기 기초 붐대에 설치된 기복 실린더가 상기 굴절 링크의 중심축에 직선 운동을 전달하고 해당 직선 운동 전달에 따라 상기 굴절 링크가 회전 운동을 하여 상기 연장 붐대가 상기 기초 붐대를 상대로 상기 제 1 회전축을 중심으로 축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확장된 작업 반경을 갖는 붐대 회전 장치와 그를 적용한 고소작업 시스템 및 고소 작업차{BOOM-ROTATING DEVICE AND HIGH PLACE WORKING SYSTEM AND HIGH PLACE OPERATION CA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확장된 작업 반경을 갖는 붐대 회전 장치와 그를 적용한 고소작업 시스템 및 고소 작업차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메인 붐대에서 연장된 연장 붐대를 메인 붐대와의 결합부위를 중심으로 상하 180°이상으로 축회전 가능하도록 하여 고소 작업의 작업 반경을 넓히고 난공사 구간에서도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고소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며 비작업시 연장 붐대를 내측으로 밀착시킬 수 있어 적재공간을 줄일 수 있는 확장된 작업 반경을 갖는 붐대 회전 장치와 그를 적용한 고소작업 시스템 및 고소 작업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장착되는 고소작업 시스템은 작업자가 승차하는 버켓을 일정한 높이로 승강시키는 장치이다.
종래의 고소작업 시스템은 다수 개의 붐대를 슬라이드식으로 신장하거나 신축가능하게 결합하고, 최선단의 붐대에 버켓을 구비하며 버켓의 수평을 유지하는 실린더를 구비하고 있어서, 전기선로공사, 간판공사, 가로수정비 및 가로등공사에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전압 배전선로의 활선작업, 전기인입선공사, 유압공구작업, 주상변압기공사 등의 전문적인 작업영역에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고소작업 시스템에서는 버켓을 지지하는 최선단의 붐대가 축회전이 불가능하거나 축회전이 가능하더라도 지지 붐대를 중심으로 제한적인 축회전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작업 반경이 극히 제한적이라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종래의 고소작업 시스템에서는 비록 제한적이지만 최선단의 붐대가 축회전을 가능하게 만들기 위해서 다수의 실린더와 모터 및 관절기구물들이 구성되기 때문에 붐대의 무게를 증가시키고 관절부가 비대해지며 붐대의 축회전에 많은 동력이 소요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다.
또한 최선단의 붐대가 단독으로 축회전이 가능하게 하는 경우 이동 등을 위하여 최선단의 붐대를 기동 대기 상태로 접었을 때 다른 붐대와 달리 외부로 돌출되기 때문에 결국 적재를 위해 넓은 공간이 필요하게 되고 이동시 외부 기구물과의 충돌이 빈번히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메인 붐대에서 연장된 연장 붐대를 메인 붐대와의 결합부위를 중심으로 상하 180°이상으로 축회전 가능하도록 하여 고소 작업의 작업 반경을 넓히고 난공사 구간에서도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고소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며 비작업시 연장 붐대를 내측으로 밀착시킬 수 있어 적재공간을 줄일 수 있는 붐대 회전 장치와 그를 적용한 고소작업 시스템 및 고소 작업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 1 회전축을 통해 직접 연결되는 기초 붐대 및 연장 붐대; 상기 기초 붐대 선단에 제 2 회전축을 통해 연결되며 중심축을 중심으로 굴절된 굴절 링크; 및 일측이 상기 굴절 링크와 힌지축을 통해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연장 붐대에 제 3 회전축을 통해 연결되는 선형 링크; 를 포함하며, 상기 기초 붐대에 설치된 기복 실린더가 상기 굴절 링크의 중심축에 직선 운동을 전달하고 해당 직선 운동 전달에 따라 상기 굴절 링크가 회전 운동을 하여 상기 연장 붐대가 상기 기초 붐대를 상대로 상기 제 1 회전축을 중심으로 축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붐대 회전 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굴절 링크의 굴절각은 70° 내지 11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복 실린더의 흡인 동작에 의해 상기 굴절 링크의 중심축이 기복 실린더 측으로 당겨져 연장 붐대를 하방 수직 방향에서 내측으로 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복 실린더의 돌출 동작에 의해 상기 굴절 링크의 중심축이 밀려나 연장 붐대를 외측으로 수직 하방에서부터 수직 상방까지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장 붐대에는 나란한 제 1 결합홀 및 제 2 결합홀이 형성된 결합 플레이트가 결합되며, 결합 플레이트의 제 1 결합홀에는 기초 붐대 선단의 상기 제 3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 2 결합홀에는 선형 링크 타측의 제 2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술한 특징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붐대 회전 장치; 상기 붐대 회전 장치의 기초 붐대에 연결되어 상부 구조물을 지지하는 스윙포스트부; 및 상기 붐대 회전 장치의 연장 붐대에 연결되어 작업 공간을 제공하는 버켓;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붐대 회전 장치를 통하여 상기 연장 붐대가 수직 하방에서 수직 상방까지 회전 가능하여 다양한 작업 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작업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술한 특징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붐대 회전 장치; 상기 붐대 회전 장치의 기초 붐대에 연결되어 상부 구조물을 지지하는 스윙포스트부; 상기 붐대 회전 장치의 연장 붐대에 연결되어 작업 공간을 제공하는 버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고소 작업 시스템; 및 상기 고소 작업 시스템을 장착한 이동 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붐대 회전 장치를 통하여 상기 연장 붐대가 수직 하방에서 수직 상방까지 회전 가능하여 다양한 작업 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작업차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메인 붐대에서 연장된 연장 붐대를 메인 붐대와의 결합부위를 중심으로 상하 180°이상으로 축회전 가능하도록 하여 고소 작업의 작업 반경을 넓히고 난공사 구간에서도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고소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비작업시 연장 붐대를 내측으로 밀착시킬 수 있어 적재공간을 줄일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 시스템이 운송 수단에 적용된 고소작업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붐대 회전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붐대 회전 장치의 링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붐대 회전 장치의 회전각별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 시스템의 대기 상태 및 작업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 시스템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붐대 회전 장치 및 그를 적용한 고소작업 시스템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 시스템이 운송 수단에 적용된 고소작업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 시스템(200)은 운송 수단(100)에 적재되어 이동 및 운용이 이루어질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운송 수단(100)으로는 트럭과 같이 자유롭게 이동되는 차량이 이용될 수 있으며, 크레인과 같은 특수차량이 이용될 수도 있다. 상기 운송 수단(100)은 고소작업 시스템(200)이 탑재될 수 있는 적재함(110)을 가지며, 고소작업 시스템(200)을 구동시킬 때 장비차량을 지지하는 아우트리거(1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소작업 시스템(200)은 상부 구조물의 기복, 신축 및 회전을 지지하는 스윙포스트부(210)와, 상기 스윙포스트부(210)에 결합되어 작업위치까지의 수직상승을 담당하는 메인 붐대(220)와, 상기 메인 붐대(220)의 선단에 결합되어 작업위치까지의 길이 연장을 담당하는 신축 붐대(230)와, 상기 신축 붐대(230)의 선단에 결합되어 추가적인 길이 연장을 담당하는 연장 붐대(260)와, 상기 연장 붐대(260)의 선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받침대(270)와, 상기 받침대(270) 상에 결합되어 작업자를 탑승시키는 버켓(28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스윙포스트부(210)는 적재함(110) 상에서 모터 등이 내장된 구동테이블(211) 상에 설치되어 수평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윙포스트부(210)와 상기 메인 붐대(220)의 사이에는 유압제어에 따른 피스톤로드의 돌출 및 흡인 동작에 의해 상기 메인 붐대(220)의 회전동작을 제어하는 메인붐 실린더(212)가 핀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신축 붐대(230)는 상기 메인 붐대(220)의 선단에 연결되어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다수의 붐이 순차적으로 삽입되어 구성된다. 이때 신축 붐대(230)를 구성하는 각 붐은 상호 연결되는 체인으로 신축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기 버켓(280)은 수평 유지와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버켓(280)의 저면 및 상기 연장 붐대(260)의 선단부에 연결되는 받침대(270)를 포함하여 구성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버켓(280)은 작업자 및 작업 수행을 위한 여러 공구가 탑재되는 구조로서 바(Bar) 형태의 프레임을 격자 형태로 결합시킨 소위 케이지(Cage)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메인 붐대(220)의 선단, 보다 정확히는 신축 붐대(230)의 선단에 연결되는 연장 붐대(260)를 결합부위인 신축 붐대(230)의 선단을 중심으로 축회전시킴으로써 연장 붐대(260)에 결합된 버켓(280)을 통한 고소 작업의 작업 반경을 넓히고 난공사 구간에서도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고소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결합부위인 신축 붐대(230)의 선단과 연장 붐대(260)의 결합단에는 붐대 회전 장치(240)가 구비되게 된다.
여기에서 신축 붐대(230)가 생략된 구성에서는 상기 연장 붐대(260)가 직접 메인 붐대(220)에 결합되며, 후술되는 붐대 회전 장치(240) 역시 이 결합단에 구비됨은 물론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원리는 기존 메인 붐대(220)와 신축 붐대(230)에 모두 적용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메인 붐대(220)와 신축 붐대(230)를 기초 붐대라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붐대 회전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상기 연장 붐대(260)에서 신축 붐대(230)와의 결합측에는 판형의 결합 플레이트(261)가 고정결합되며, 해당 결합 플레이트(261)에는 핀결합을 위한 2 개의 결합홀(262a, 262b)이 나란히 형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홀(262a, 262b)들은 신축 붐대(230)의 외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 플레이트(261)에서 연장 붐대(26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란히 형성된 2 개의 결합홀(262a, 262b) 중 연장 붐대(260)의 말단측에 형성된 제 1 결합홀(262a)에는 제 1 회전축(261a)이 체결되어 상기 신축 붐대(230)의 말단 커버(231)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해당 연장 붐대(260)는 제 1 회전축(261a)을 중심으로 축회전을 하게 된다. 따라서 연장 붐대(260)는 상기 신축 붐대(230)의 말단 커버(231)를 중심으로 축회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붐대 회전 장치(240)는 상기 신축 붐대(230)의 말단 커버(231)에 일측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굴절 링크(241)와, 상기 굴절 링크(241)의 굴절된 타측과 일측이 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결합 플레이트(261)의 제 2 결합홀(262b)에 결합되는 선형 링크(2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굴절 링크(241)는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중심 부위가 굴절되며 양측 말단과 굴절된 중심 부위에 결합단을 각각 가진다. 이 굴절 링크(241)의 일측 결합단에는 제 2 회전축(241a)이 체결되어 상기 신축 붐대(230)의 말단 커버(231)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해당 굴절 링크(241)는 제 2 회전축(241a)을 중심으로 축회전을 하게 된다. 따라서 굴절 링크(241)는 상기 신축 붐대(230)의 말단 커버(231)를 중심으로 축회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 굴절 링크(241)의 굴절된 중심 부위에 있는 결합단에는 중심축(241b)이 체결된다. 이 중심축(241b)에는 메인 붐대(220)에 설치된 기복 실린더(232)의 피스톤로드가 연결되어 해당 기복 실린더(232)의 돌출 및 흡인 동작에 의한 직선운동이 그대로 전달된다. 이러한 직선운동을 전달받은 상기 굴절 링크(241)는 제 2 회전축(241a)를 중심으로 회전운동을 하게 될 것이다.
또한 이 굴절 링크(241)의 타측 결합단에는 힌지축(241c)이 체결되어 상기 선형 링크(242)의 일측 결합단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굴절 링크(241)의 회전운동은 그대로 상기 선형 링크(242)에 전달될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선형 링크(242)는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선형으로 형성되며 양측 말단에 결합단을 각각 가진다. 이 선형 링크(242)의 일측 결합단에는 상기 굴절 링크(241)와 결합된 힌지축(241c)이 체결되어 상기 굴절 링크(241)와 결합된다. 따라서 굴절 링크(241)의 회전운동은 그대로 상기 선형 링크(242)에 전달될 것이다.
또한 이 선형 링크(242)의 타측 결합단에는 제 3 회전축(242a)이 체결되며, 이 제 3 회전축(242a)은 상기 결합 플레이트(261)의 제 2 결합홀(262b)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기복 실린더(232)에서 시작된 직선 운동은 굴절 링크(241)와 선형 링크(242)를 통해 회전 운동으로 변환되어 연장 붐대(260)에 전달됨으로써 결과적으로 해당 연장 붐대(260)를 축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굴절 링크(241)의 굴절각은 약 70° 내지 110°의 값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90°내외의 값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굴절 링크(241)와 선형 링크(242)의 결합각은 연장 붐대(260)의 회전 정도에 따라 변화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붐대 회전 장치의 회전각별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4의 (a)를 참조하면, 연장 붐대(260)의 대기 각도로서 상기 기복 실린더(232)의 흡인 동작에 의해 굴절 링크(241)의 중심축(241b)이 당겨져 해당 연장 붐대(260)가 하방 수직 방향에서 내측(운송 수단측)으로 밀착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고소작업 시스템(200)의 비작업시 통상 연장 붐대(260)를 하방 수직각으로 접는데 그치지 않고 더 당겨서 연장 붐대(260)를 내측으로 밀착시킬 수 있기 때문에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공간을 줄일 수 있게 될 것이다.
다음으로 도 4의 (b)를 참조하면, 연장 붐대(260)의 하방 작업 각도 중 하나로서 상기 기복 실린더(232)의 돌출 동작에 의해 굴절 링크(241)의 중심축(241b)이 밀려나 해당 연장 붐대(260)가 외측 하방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 경우 고소작업 시스템(200)은 연장 붐대(260)를 고소작업 시스템(200)의 하부 공간으로까지 연장시킬 수 있어서 굳이 운송 수단(100)을 하부 공간으로 이동시키지 않고도 버켓(280)을 지하 공간과 같은 하부 작업 공간으로 투입해 작업을 진행시키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도 4의 (c)를 참조하면, 연장 붐대(260)의 직진 작업 각도로서 상기 기복 실린더(232)의 돌출 동작에 의해 굴절 링크(241)의 중심축(241b)이 밀려나 해당 연장 붐대(260)가 외측 수평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 경우 고소작업 시스템(200)은 연장 붐대(260)를 고소작업 시스템(200)에서 먼 공간으로까지 연장시킬 수 있어서 굳이 운송 수단(100)을 이동시키지 않고도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켓(280)을 원거리의 작업 공간으로 투입해 작업을 진행시키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도 4의 (d)를 참조하면, 연장 붐대(260)의 상방 작업 각도 중 하나로서 상기 기복 실린더(232)의 돌출 동작에 의해 굴절 링크(241)의 중심축(241b)이 밀려나 해당 연장 붐대(260)가 외측 상방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 경우 고소작업 시스템(200)은 연장 붐대(260)를 고소작업 시스템(200)의 상부 특정 공간으로까지 연장시킬 수 있어서 굳이 운송 수단(100)을 상부 공간으로 이동시키지 않고도 버켓(280)을 지상 건물 내 공간과 같은 상부 작업 공간으로 투입해 작업을 진행시키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도 4의 (e)를 참조하면, 연장 붐대(260)의 수직 작업 각도로서 상기 기복 실린더(232)의 돌출 동작에 의해 굴절 링크(241)의 중심축(241b)이 밀려나 해당 연장 붐대(260)가 수직 상방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 경우 고소작업 시스템(200)은 연장 붐대(260)를 고소작업 시스템(200) 상의 높은 위치의 공간으로까지 연장시킬 수 있어서 굳이 메인 붐대(220)와 신축 붐대(230)를 구동시키지 않고도 버켓(280)을 높은 위치의 작업 공간으로 투입해 작업을 진행시키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더욱이 메인 붐대(220)와 신축 붐대(230)를 신장시킨 상태에서라면 해당 연장 붐대(260)의 길이만큼 굳이 더 긴 메인 붐대(220) 또는 신축 붐대(230)가 없이도 버켓(280)을 높은 위치의 작업 공간으로 투입해 작업을 진행시키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 6에는 상술한 연장 붐대가 2단으로 연결된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 붐대(230)의 선단에는 제 1 연장 붐대(260A)가 결합되고 또한 제 1 연장 붐대(260A)의 선단에는 제 2 연장 붐대(260B)가 결합되어 2단의 연장 붐대를 통해 보다 넓은 작업 범위를 가지게 고소작업 시스템이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신축 붐대(230)의 선단과 제 1 연장 붐대(260A)의 결합단에는 제 1 붐대 회전 장치(240A)가 구비되고, 제 1 연장 붐대(260A)의 선단과 제 2 연장 붐대(260B)의 결합단에는 제 2 붐대 회전 장치(240B)가 구비되게 된다. 따라서 제 1 연장 붐대(260A)는 상기 신축 붐대(230)의 말단을 중심으로 축회전할 수 있게 되며, 제 2 연장 붐대(260B)는 상기 제 1 연장 붐대(260A)의 말단을 중심으로 축회전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제 1 붐대 회전 장치(240A)와 제 2 붐대 회전 장치(240B)는 함께 구동되거나 개별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이 같은 2단 연장 붐대 및 붐대 회전 장치를 통해 고소 작업의 작업 반경은 360도 전방향이 될 것이며, 난공사 구간에서의 작업에서 큰 작업 효율을 발휘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운송 수단 110 : 적재함
120 : 아우트리거 200 : 고소작업 시스템
210 : 스윙포스트부 220 : 메인 붐대
230 : 신축 붐대 240 : 붐대 회전 장치
260 : 연장 붐대 270 : 받침대
280 : 버켓

Claims (3)

  1. 메인 붐대;
    상기 메인 붐대의 선단에 결합되어 작업 위치까지의 길이 연장을 담당하는 신축 붐대;
    상기 신축 붐대의 말단에 구비되는 커버;
    상기 커버와 제 1 회전축을 통해 직접 연결되는 연장 붐대;
    상기 신축 붐대 말단의 커버에 제 2 회전축을 통해 연결되며 중심축을 중심으로 굴절된 굴절 링크; 및
    일측이 상기 굴절 링크와 힌지축을 통해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연장 붐대에 제 3 회전축을 통해 연결되는 선형 링크; 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붐대에 설치된 기복 실린더가 상기 굴절 링크의 중심축에 직선 운동을 전달하고 해당 직선 운동 전달에 따라 상기 굴절 링크가 회전 운동을 하여 상기 연장 붐대가 상기 신축 붐대를 상대로 상기 제 1 회전축을 중심으로 축회전하며,
    상기 연장 붐대에는 연장 붐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제 1 결합홀 및 제 2 결합홀이 형성된 결합 플레이트가 결합되며, 결합 플레이트의 제 1 결합홀에는 신축 붐대 선단의 상기 제 1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 2 결합홀에는 선형 링크 타측의 제 3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연장 붐대가 상기 신축 붐대와의 결합 부위에서 제 1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하 180°이상으로 축회전되며,
    상기 결합 플레이트의 제 1 결합홀 및 제 2 결합홀은 연장 붐대의 외측으로 돌출된 결합 플레이트의 연장 부위에 형성되며 제 1 결합홀과 제 2 결합홀 사이의 결합 플레이트 부위는 함몰형성되며,
    상기 굴절 링크의 굴절각은 70° 내지 1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붐대 회전 장치.
  2. 제 1항의 붐대 회전 장치;
    상기 붐대 회전 장치의 메인 붐대에 연결되어 상부 구조물을 지지하는 스윙포스트부; 및
    상기 붐대 회전 장치의 연장 붐대에 연결되어 작업 공간을 제공하는 버켓;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붐대 회전 장치를 통하여 상기 연장 붐대가 상기 신축 붐대를 기준으로 수직 하방에서 수직 상방까지 회전 가능하여 다양한 작업 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작업 시스템.
  3. 제 1항의 붐대 회전 장치;
    상기 붐대 회전 장치의 메인 붐대에 연결되어 상부 구조물을 지지하는 스윙포스트부;
    상기 붐대 회전 장치의 연장 붐대에 연결되어 작업 공간을 제공하는 버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고소 작업 시스템; 및
    상기 고소 작업 시스템을 장착한 운송 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붐대 회전 장치를 통하여 상기 연장 붐대가 상기 신축 붐대를 기준으로 수직 하방에서 수직 상방까지 회전 가능하여 다양한 작업 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작업차.
KR1020140003359A 2014-01-10 2014-01-10 확장된 작업 반경을 갖는 붐대 회전 장치와 그를 적용한 고소작업 시스템 및 고소 작업차 KR1016818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3359A KR101681801B1 (ko) 2014-01-10 2014-01-10 확장된 작업 반경을 갖는 붐대 회전 장치와 그를 적용한 고소작업 시스템 및 고소 작업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3359A KR101681801B1 (ko) 2014-01-10 2014-01-10 확장된 작업 반경을 갖는 붐대 회전 장치와 그를 적용한 고소작업 시스템 및 고소 작업차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3355A Division KR101559766B1 (ko) 2014-01-10 2014-01-10 붐대 회전 장치와 그를 적용한 고소작업 시스템 및 고소 작업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3612A KR20150083612A (ko) 2015-07-20
KR101681801B1 true KR101681801B1 (ko) 2016-12-01

Family

ID=53873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3359A KR101681801B1 (ko) 2014-01-10 2014-01-10 확장된 작업 반경을 갖는 붐대 회전 장치와 그를 적용한 고소작업 시스템 및 고소 작업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180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0381Y1 (ko) 2003-10-24 2004-02-05 이재호 굴절붐식 고소작업차
JP2013014418A (ja) 2011-07-05 2013-01-24 Aichi Corp 高所作業車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78552B2 (ja) * 1993-02-03 1997-11-17 極東開発工業株式会社 高所作業車における安全装置
JP2656763B2 (ja) * 1995-02-17 1997-09-24 新明和工業株式会社 高所作業車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0381Y1 (ko) 2003-10-24 2004-02-05 이재호 굴절붐식 고소작업차
JP2013014418A (ja) 2011-07-05 2013-01-24 Aichi Corp 高所作業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3612A (ko) 2015-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151504A1 (zh) 掘锚一体化的六臂掘锚机
KR101559766B1 (ko) 붐대 회전 장치와 그를 적용한 고소작업 시스템 및 고소 작업차
RU2532204C2 (ru) Расширитель оттяжек для подъемного крана, содержащий его кран и способ его наладки
EP3199705A1 (en) Locking device for material conveyor and material conveyor thereof
CN108706333A (zh) 隧道钢拱架安装机械手和机械手工作平台
CN104690710A (zh) 一种电液复合驱动的可移动式机械臂
CN112065001A (zh) 一种建筑施工用吊杆定位安装简易装置
CN210370624U (zh) 掘锚一体化的六臂掘锚机
CN204224145U (zh) 履带式蛙腿起重机
KR101681801B1 (ko) 확장된 작업 반경을 갖는 붐대 회전 장치와 그를 적용한 고소작업 시스템 및 고소 작업차
CN209308713U (zh) 一种拱架台车用机械手
CN112405891A (zh) 一种建筑用可调式多功能墙壁钻孔装置
KR20150083613A (ko) 붐대 회전 장치와 그를 적용한 고소작업 시스템 및 고소 작업차
CN106223622A (zh) 一种塔式混凝土布料机
CN109322682A (zh) 一种拱架台车用机械手
CN102720428A (zh) 旋挖钻机及其装载方法
CN107178314B (zh) 一种水平旋喷钻机
CN104555839B (zh) 高空作业车
CN210111479U (zh) 自动跨越架
CN204476295U (zh) 多功能钻孔组合支架
RU2566576C1 (ru) Подъемный кран со складывающейся стрелой
RU2469445C1 (ru) Мобильная вышка преимущественно для антенных систем
KR101534484B1 (ko) 포스트 회전 장치를 적용한 고소작업 시스템 및 고소작업차
CN106382046B (zh) 特高压酒杯塔塔头的直升机吊装辅助装置及吊装方法
CN216584067U (zh) 一种可折叠的多臂高空作业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