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1117B1 - 도선체 결합형 케이블 보호관 제조방법 및 케이블 보호관 - Google Patents

도선체 결합형 케이블 보호관 제조방법 및 케이블 보호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1117B1
KR101681117B1 KR1020160066686A KR20160066686A KR101681117B1 KR 101681117 B1 KR101681117 B1 KR 101681117B1 KR 1020160066686 A KR1020160066686 A KR 1020160066686A KR 20160066686 A KR20160066686 A KR 20160066686A KR 101681117 B1 KR101681117 B1 KR 1016811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protective
outer tube
cabl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6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진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에스에이코스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에스에이코스믹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에스에이코스믹
Priority to KR10201600666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11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1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11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 B29C47/0026
    • B29C47/0064
    • B29C47/882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3Coo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04Polymers of ethylene
    • B29K2023/06PE, i.e. polyethylene

Abstract

본 발명은 도선체 결합형 케이블 보호관 제조방법 및 케이블 보호관에 관한 것으로, 성형장치를 통해 압출기에 설치한 압출금형으로 PE원료가 공급되어 보호외관을 형성하고, PE원료를 호퍼를 통해 압출기를 통해 보호외관의 내측에 결합하는 도선체를 형성하며 상기 보호외관의 내측으로 도선체를 인입하여 보호관을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보호외관은 외북에서 가해지는 압력, 무게 등에 내부에 위치한 케이블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도체선은 보호외관의 내부가 다양한 형태로 구획되도록 보호관 내측에 형성되어 케이블의 종류에 따라 그 위치를 달리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지중에 매설되는 케이블 보호관에 지중에 매설되는 광케이블을 인입이 용이하고, 광케이블을 보호하기 위해 보호외관의 토압에 대한 지지 강성을 높은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도선체 결합형 케이블 보호관 제조방법 및 케이블 보호관{The inner tube and the protective tube coupling type cable protection tube method}
본 발명은 도선체 결합형 케이블 보호관 제조방법 및 케이블 보호관에 관한 것으로, 지중에 매설되는 광케이블을 인입이 용이하고, 광케이블을 보호하기 위해 외피의 토압에 대한 지지 강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도선체 결합형 케이블 보호관 제조방법 및 케이블 보호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케이블 보호관은 지중에 매설되는 광케이블을 인입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광케이블 보호관은 광케이블이 인입되는 마이크로튜브와 상기 마이크로튜브의 외부에 보호 피복되는 외피로 구성되어서 매설과정에 긁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하여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광케이블 보호관은 외피가 압출과정에 마이크로튜브와 일체화되어 탈피과정에 있어 마이크로튜브가 절개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광케이블 보호관은 자외선에 대한 보호구조로 되어 있지 않아 외부 노출시 자외선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 광케이블 보호관의 보호튜브가 지지 강성을 갖게 구성되어 있지 않아 매설시 토압에 의하여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 광케이블 보호관의 외피와 마이크로튜브의 수축편차로 인하여 마이크로튜브와 외피의 길이 편차가 심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 특허등록 제10-138592호(2014.05.07. 공고) "광케이블 보호관"은 외피를 주름관체로 형성하고, 상기 주름관체의 내부에 5 개 내지 100 개의 마이크로튜브로 이루어진 마이크로튜브다발을 수용하며, 상기 마이크로튜브다발의 외면과 주름관체 사이에 튜브보호층을 형성하고, 상기 튜브보호층에 마이크로튜브다발이 자외선에 노출되지 않게 2~2.5중량%의 카본블랙(carbon black)을 배합형성하며, 상기 마이크로튜브의 내면에 광케이블 인입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한 인입 마찰감소면을 형성하며, 상기 튜브보호층은 압출 튜브보호층과 열수축 튜브보호층, 묵음 튜브보호층, 보강섬유 튜브보호층 및 은박 튜브보호층 중 어느 하나를 선택 형성하되, 상기 압출 튜브보호층은 마이크로튜브다발의 외면에 합성수지를 일체로 압출 형성하고, 상기 열수축 튜브보호층은 열수축소재로 압출성형된 합성수지관체에 마이크로튜브다발에 끼워 결합한 후 열수축시켜 형성하며; 상기 묵음 튜브보호층은 판상으로 압출되는 묵음시트의 일 측면에 마이크로튜브를 등 간격을 이루게 일체로 형성한 후 묵음시트를 감아 마이크로튜브다발을 형성하되, 묵음시트를 감아 마이크로튜브다발을 형성할 때 형성된 마이크로튜브다발을 1회 내지 2회로 감쌀 수 있게 일단을 길게 형성하고, 상기 보강섬유 튜브보호층은 내면에 유리섬유사로 이루어진 보강섬유사가 함침 합성수지시트로 마이크로튜브다발의 외면을 긴밀하게 테이핑 형성하며, 은박 튜브보호층은 은박시트를 마이크로튜브다발의 외면을 감싸 형성하고, 상기 튜브보호층과 주름관체 사이에서 튜브보호층을 AL방습테이프으로 테이핑한 AL방습테이프층을 구비하며, 상기 AL방습테이프층과 주름관체 사이에 상기 주름관체를 절개할 수 있게 한 절개선을 구비하고; 튜브보호층과 마이크로튜브 사이에는 마이크로튜브의 외면에 밀착되어서 튜브보호층의 절개시 마이크로튜브의 손상이 방지되게 하는 밀착보호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선행기술은 외피를 주름관체로 형성함으로써 토압에 대한 지지 강성이 높아지고, 마이크로튜브 다발의 외면에 자외선차단 튜브보호층을 형성함으로써 마이크로튜브의 자외선 손상이 방지되고 주름관체의 탈피시 마이크로튜브의 손상이 방지되며, 상기 튜브보호층이 마이크로튜브의 수축을 제한함으로써 주름관체와 마이크로튜브의 길이 편차가 최소화되는 것이다.
압출 튜브보호층은 마이크로튜브다발의 외면에 합성수지를 일체로 압출 형성하여 구성하는 것은 마이크로튜브다발의 전체 크기에 압출 튜브호보층의 내경 크기를 조절하여 결합되도록 한다.
마이므로튜브다발의 크기를 달리하면, 압출 튜브호보층의 크기를 다르게 구성하기 위해 압출 금형을 새롭게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는 것은 물론 압출금형을 압출하기 위한 환경(압출압력, 온도, 냉각 등)을 다시 새로운 압출 금형에 맞쳐야 하므로 다양한 크기를 생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압출 튜브보호층의 형성과정에 있어 마이크로튜브다발의 외면에 진공이 형성되게 하여 압출 튜브보호층이 마이크로튜브다발의 사이의 홈까지 밀착되는 경우 압출 튜브보호층을 형성하기 위한 원료가 많이 투입되어 생산단가가 상승되는 것은 물론 압출 성형에 따른 냉각 시간이 오래 걸려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특허등록 제10-138592호(2014.05.07. 공고)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중에 매설되는 광케이블을 인입이 용이하고, 광케이블을 보호하기 위해 외피의 토압에 대한 지지 강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도선체 결합형 케이블 보호관 제조방법 및 케이블 보호관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도선체 결합형 케이블 보호관 제조방법은 성형장치를 통해 압출기에 설치한 압출금형으로 PE원료가 공급되어 보호외관을 형성하고, 성형장치를 통해 압출기에 설치한 압출금형으로 PE원료가 공급되어 도선체를 펼쳐진 상태로 성형해 고압으로 분사되는 공기로 냉각하여 성형하며, 보호외관의 내측으로 도선체를 인입하여 보호관을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도선체는, PE원료를 호퍼에 투입하고, 호퍼에서 압출기로 원료를 공급하는 원료투입단계와; 원료투입단계에서 투입되는 원료를 일정 온도로 녹이면서 도선체를 펼친 상태로 압출기를 통해 성형하는 성형단계와; 압출기 및 제1냉각기를 거치는 도선체를 인출기를 통해 일정한 속도로 인출하는 인출단계와; 성형단계에서 일정 형상으로 성형된 도선체를 제1냉각기를 통해 냉각하는 제1냉각단계와; 인출기에 의해 일정한 속도로 인출되는 도선체를 제2냉각기를 통해 냉각하는 제2냉각단계와; 도선체의 지지돌기를 밀착시켜 결합홈에 결합돌기가 체결되도록 한 상태에서 융착기를 통해 결합홈과 결합돌기가 열에 의해 융합되도록 하는 융합단계; 및 융합단계를 통해 성형된 도선체를 와인더를 통해 권취하는 와인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보호외관 융착은 판 형태로 이루어진 보호외관을 원통형으로 말고, 말려진 이음새 부분을 보호관과 동일한 재질을 이용하여 열을 통해 융착하여 내측에 도선체가 형성된 보호관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내관 결합형 케이블 보호관은 청구항 제1항의 방법을 이용하여 내측에 도선체가 형성된 보호외관으로 이루어지는 보호관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보호외관은 나선형의 형태로 단면이 원형 또는 사각형 또는 오각형 또는 육각형 중 어느 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도선체는 내측 중앙에 원형의 중앙관을 형성하고, 중앙관의 외측으로 원형의 외측관이 형성되며, 중앙관 상부 중앙에 보호외관으로 가해지는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지지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보호외관의 내측에 도선체를 다향하게 형성하여 지중에 매설되 때 매설되는 지중의 상황에 따라 도선체의 형태가 다르게 구성된 보호관을 설치하여 케이블을 삽입이 용이하도록 함은 물론 보호관이 매설되는 위치의 환경에 따른 압력 및 무게를 견고하게 지탱하므로 케이블을 안정적으로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도선체 결합형 케이블 보호관 제조방법에 따른 도선체 제조공정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제조공정에 의해 생산되는 도선체를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보호외관에 도선체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의 도 3의 결합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도 5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케이블 보호관에 케이블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설치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보호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보호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보호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도선체 결합형 케이블 보호관 제조방법 및 케이블 보호관을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도선체 결합형 케이블 보호관 제조방법에 따른 도선체 제조공정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제조공정에 의해 생산되는 도선체를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보호외관에 도선체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의 도 3의 결합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케이블 보호관에 케이블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설치상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보호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보호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보호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광케이블, 통신케이블을 포함하는 케이블이 지중에 매설될 때 지상에서 가해지는 무게 및 압력을 견디도록 하여 내부에 설치되는 케이블을 안정적으로 보호하는 보호관(200)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도 1 및 도 2를 통해 성형되는 케이블 보호관(200)은 도 3 및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다.
상기 보호관(200)은 보호외관(210)과 보호외관(210)의 내측에 형성되는 도체선(22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보호외관(210)은 외부에서 가해지는 압력, 무게 등에 내부에 위치한 케이블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도체선(220)은 보호외관(210)의 내부가 구획되도록 보호관(200) 내측에 형성되어 케이블의 종류에 따라 그 위치를 달리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도선체(220)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중앙에 원형의 중앙관(221)을 형성하고, 중앙관(221)의 외측으로 원형의 외측관(222)이 형성되며, 중앙관(221) 상부 중앙에 보호외관(210)으로 가해지는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지지돌기(223)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223-1)과 결합돌기(223-2)를 형성하고, 상기 결합홈(223-1)과 결합돌기(223-2)를 결합하여 도선체가 원형으로 형태로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도선체(220)가 결합된 보호관(200)의 단면은 꽃모양으로 형성하며, 상기 모양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는 보호관(200) 내측에 형성하는 도체선(220)을 제조하는 공정은 원료투입단계, 성형단계, 인출단계, 제1냉각단계, 제2냉각단계, 융착단계 및 와인딩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단계는 성형장치(100)를 통해 성형된다. 상기 성형장치(100)를 통해 도선체(230)를 성형하는 과정은 하기와 같다.
원료투입단계
알갱이 형태로 이루어지고 레진이 포함된 PE(polyethylene)원료를 호퍼(110)에 일정량을 투입하고, 호퍼(110)에 투입된 PE원료를 일정한 압력과 온도를 통해 성형이 이루어지도록 압출기로 공급한다.
성형단계
상기 호퍼(110)에서 공급되는 PE원료를 일정한 온도와 시간을 통해 압출기(120)에 설치된 압출금형을 통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선체(220)의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도록 성형한다.
상기 도선체(220)를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펼쳐진 상태로 성형하므로 형태의 변형을 발생하지 않으므로 연속으로 성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인출단계
상기 압출기(120)를 통해 일정 형상으로 형성한 도선체(220)를 수축현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면서 도선체(220)를 연속하여 압출 성형할 수 있도록 인출기(sizing, 130)를 통해 일정한 속도로 인출시킨다.
상기 인출기(130)를 통해 도선체(220)를 인출시키는 속도는 압출기(120)에서 도선체(220)를 압출하는 속도를 계산하여 인출속도를 조절한다.
제1냉각단계
상기 인출기(130)를 통해 인출되는 도선체(220)를 일정 온도 이하로 낮출 수 있도록 제1냉각기(140)를 통해 1차로 냉각시키며, 이때 냉각은 최대한 변형이 일어나지 않도록 냉각환경을 설정해야 하는데, 물을 냉매로 직접 냉각을 하게 되면, 도선체의 길이가 길어짐에 따라 냉매의 온도편차가 커지게 되어 효율적인 냉각을 수행할 수 없으므로, 일차적으로 고압으로 분사되는 공기로 신속하게 냉각을 수행하여 도선체의 변형을 방지하며 다음 냉각단계로 이어진다.
제2냉각단계
압축 공기에 의한 제1냉각단계를 거쳐 일정한 속도로 인출되는 도선체(220)를 제2냉각기(150)를 통해 냉각시켜 과정을 수행하는데, 일차적으로 압축공기에 의하여 변형이 방지된 도선체를 상온근처까지 냉각하게 되므로, 물을 냉매로 하여 러프한(rough) 조건으로 냉각을 수행할 수 있다.
융착단계
도선체(220)의 지지돌기(223)에 형성한 결합홈(223-1)과 결합돌기(223-2)를 결합한 상태에서 융착기(160)를 통해 열 융착하고, 상기 융착기를 통해 융착된 도선체(22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형상으로 구성한다.
또한, 상기 지지돌기(223)는 보호외관의 내측에 형성되어 외부에서 가해지는 압력 및 무게를 지탱할 수 있도록 한다.
와인딩단계
상기 융착기(160)를 통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은 도선체(220)를 와이더(140)를 이용하여 권취한다.
상기와 같이 도선체(220)를 성형한 후, 보호외관(210)을 성형장치를 통해 성형할 때 도선체(220)를 성형외관(210)의 내측으로 인입시키면서 성형한다.
상기와 같은 성형과정은 당해 기술을 가진 자라면 쉽게 구성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성형과정은 생략한다.
상기 도선체(220)를 도선외관(210)의 내측에 인입 할 때에는 결합홈(223-1)에 지지돌기(223)를 결합하고, 결합된 부분을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융착기(160)를 이용하여 융착한다.
상기와 같이 도선체(220)를 성형할 때 펼친 상태로 성형하므로 도선체(220)의 냉각과정에서 뭉그러지거나 하는 등의 형태의 변형을 최대한 방지하므로 그 형태가 계속하여 유지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보호관은 도 1 내지 4에 도시한 구성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 5와 같이 다르게 실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보호외관(210)의 형상은 동일하게 형성되므로 이에 대한 구성은 설명하지 않는다. 다만, 다르게 구성되는 도선체(220)의 구성만을 설명한다.
상기 도선체(220)는 원형으로 형성한 외측관(222)을 구성하고, 상기 외측관(222)에는 복수의 지지돌기(223)가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지지돌기(223) 중 어느 하나에는 결합홈(223-1)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223-1)에 대응되게 다른 지지돌기(223)에는 결합돌기(223-2)를 형성한다.
상기의 도 5에 도시한 도선체(220) 또한, 압출금형을 통해 펼쳐진 상태로 성형되고, 펼쳐진 상태의 도선체(220)에 형성한 지지돌기(223)의 결합홈(223-1)과 결합돌기(223-2)를 결합하여 세입 클러버 형상으로 형성한다.
상기 결합홈(223-1)에 결합돌기(223-2)가 결합한 상태에서 지지돌기(223) 측단을 융착하므로 지지돌기(223)가 벌어지는 현상이 방지되는 것은 물론 그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므로 보호외관(210)의 내측에 결합이 용이해 진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도선체(220)를 보호외관(210)을 형성하기 위한 압출금형의 일측에 위치시켜 보호외관(210)을 압출형성 할 때, 그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하면서 보호외관(210)을 성형하므로 도선체(223)와의 결합이 견고해진다.
본 발명의 보호관은 도 5에 도시한 구성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 6과 같이 다르게 실시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보호외관(210)의 형상은 동일하게 형성되므로 이에 대한 구성은 설명하지 않는다. 다만, 다르게 구성되는 도선체(220)의 구성만을 설명한다.
상기 도선체(22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로버잎 모양으로 외측관(222)을 형성하고, 상기 외측관(222)에는 복수의 지지돌기(223)를 형성하며, 상기 복수의 지지돌기(223) 중 하나에는 결합홈(223-1)을 형성하고 다른 하나에는 결합홈(223-1)에 대응되게 결합돌기(223-2)를 형성하며, 상기 결합홈(223-1)과 결합돌기(223-2)가 결합된 상태에서 지지돌기(223)의 측면을 융합한다. 상기 융합된 도선체(220)의 단면 형상이 네입 클로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도선체(220)를 펼친 상태로 성형하므로 성형이 매우 용이한 것은 물론 도선체(220)에서 형태의 변형이 일어나거나 또는 중간 부분이 서로 붙어버리는 현상 등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케이블의 삽입이 매우 용이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는 도선체(220)는 케이블의 종류를 나누거나 또는 개수별로 나누어 인입될 수 있도록 하므로 케이블의 인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도 6에 도시한 구성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 7과 같이 다르게 실시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보호외관(210)의 형상은 동일하게 형성되므로 이에 대한 구성은 설명하지 않는다. 다만, 다르게 구성되는 도선체(220)의 구성만을 설명한다.
상기 도선체(220)는 중앙에 오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중앙관(221)을 형성하고, 상기 중앙관(221)의 외측에는 원 형상의 외측관(222)을 도 5와 같이 형성한다.
그리고 외측관(222)에는 지지돌기(223)를 돌출되게 형성하고, 상기 지지돌기(223)에는 결합홈(223-1)과 결합돌기(223-2)를 형성하여 도선체(220)를 원형으로 말았을 때 결합 될 수 있도록 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도선체(220)를 여러 형태로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으므로 보호관(200)이 설치되는 장소 또는 내측에 설치되는 케이블의 종류에 따라 도선체(220)의 구성을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의 보호관(200)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블이 도선체 내측에 위치되므로 케이블을 안정적으로 보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8에 도시한 구성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 9와 같이 다르게 실시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한 구성은 도 1 내지 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다만, 도 9 내지 11에 도시한 구성에서 상기의 지지돌기(223)를 생략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보호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보호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보호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또한, 도 9에 도시한 구성은 상기의 보호관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제1냉각기(140)를 거치지 않고 중앙관(221) 및 외측관(222)이 형성된 도선체(220)를 보호외관(210) 내측에 인입시켜 보호관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도선체(220)가 보호외관(210)에 냉각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결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도선체(220)와 보호외관(210)의 경계가 뚜렷하게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열에 의해 융착하는 것과 같은 작용이 일어나 보호외관(210) 내측에 설치되는 도선체(220)의 강성이 더욱 강화된다.
즉, 냉각이 되지 않은 도선체(220)와 보호외관(210)이 결합이 이루어지므로 보호외관(210)의 내측과 도선체(220)의 외측이 서로의 열에 의해 자연 융착이 일어나 하나의 금형을 통해 보호외관(210)과 도선체(220)가 한번에 압출되는 것과 효과가 발생하므로 도선체(220)의 보호외관(210)을 지지하는 강성이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도 9에 도시한 구성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 10 및 11과 같이 구성할 수 있다. 도 10 및 11의 구성은 도 9를 제조하는 구성과 동일하게 형성하므로 이에 대한 구성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보호관(200) 내측에 인입되는 내관은 본 발명과 같이 한 번에 성형하지 못하고 개별적으로 성형한 내관을 모아서 상기 보호관(200)의 내측에 유입하므로 종래의 성형과정보다 본 발명의 성형과정이 단순화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성형과정이 단순화되므로 종래의 생산시간 대비 더 많은 보호관(200)을 생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0: 성형장치 110: 호퍼
120: 압출기 130: 인출기
140: 제1냉각기 150; 제2냉각기
160; 융착기 170; 와인더
200: 보호관 210: 보호외관
220: 도선체 221: 중앙관
222: 외측관 223: 지지돌기
223-1: 결합홈 223-2: 결합돌기

Claims (9)

  1. 삭제
  2. 도선체 결합형 케이블 보호관 제조방법에 있어서,
    성형장치(100)를 통해 압출기에 설치한 압출금형으로 PE원료가 공급되어 보호외관(210)을 성형하고,
    성형장치(100)를 통해 압출기에 설치한 압출금형으로 PE원료가 공급되어 도선체(220)를 펼쳐진 상태로 성형해 고압으로 분사되는 공기로 냉각하여 성형하며,
    상기 보호외관(210)의 내측으로 지지돌기(223)의 서로 맞붙여 원형으로 상태로 형성한 도선체(220)를 인입하여 보호관(200)을 성형하고,
    상기 도선체(220)는 PE원료를 호퍼(110)에 투입하고, 호퍼(110)에서 압출기로 원료를 공급하는 원료투입단계와;
    원료투입단계에서 투입되는 원료를 일정 온도로 녹이면서 도선체(220)를 펼친 상태로 압출기(120)를 통해 성형하는 성형단계와;
    압출기(130) 및 제1냉각기(140)를 거치는 도선체(220)를 인출기(130)를 통해 일정한 속도로 인출하는 인출단계와;
    성형단계에서 일정 형상으로 성형된 도선체(220)를 제1냉각기(140)를 통해 냉각하는 제1냉각단계와;
    인출기(130)에 의해 일정한 속도로 인출되는 도선체(220)를 제2냉각기(150)를 통해 냉각하는 제2냉각단계와;
    도선체(220)의 지지돌기(223)를 밀착시켜 결합홈(223-1)에 결합돌기(223-2)가 체결되도록 한 상태에서 융착기(160)를 통해 결합홈(223-1)과 결합돌기(223-2)가 열에 의해 융합되도록 하는 융합단계; 및
    융합단계를 통해 성형된 도선체(220)를 와인더(170)를 통해 권취하는 와인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선체 결합형 케이블 보호관 제조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융착기의 융착은,
    지지돌기(223)에 형성한 결함홈(223-1)과 결합돌기(223-2)를 결합한 상태에서 융착기(160)에 의해 열 융합하여 보호외관(210)의 내측을 지지하는 작용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선체 결합형 케이블 보호관 제조방법.
  4. 도선체 결합형 케이블 보호관에 있어서,
    청구항 제2항의 방법을 이용하여 내측에 도선체(220)가 형성된 보호외관(210)으로 이루어지는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보호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외관(210)은
    나선형의 형태로 형성되고, 단면이 원형 또는 사각형 또는 오각형 또는 육각형 중 어느 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보호관.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도선체(220)는,
    내측 중앙에 원형의 중앙관(221)을 형성하고,
    중앙관(221)의 외측으로 원형의 외측관(222)이 형성되며,
    중앙관(221) 상부 중앙에 보호외관(210)으로 가해지는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지지돌기(22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보호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돌기(223)는
    결합홈(223-1)과 결합돌기(223-2)를 형성하고, 상기 결합홈(223-1)과 결합돌기(223-2)를 결합하여 도선체(220)가 원형으로 형태로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보호관.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도선체(220)는
    반원형의 형상으로 동일 선상에 외측관(222)을 형성하고,
    상기 외측관(222)의 측단에 지지돌기(223)를 각각 형성하며,
    상기 지지돌기(223)에는 결합홈(223-1)과 결합돌기(223-2)가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외측관(222)을 말았을 때 세입 클로버 또는 네입 클로버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보호관.
  9. 제 2 항의 도선체 결합형 케이블 보호관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케이블 보호관으로서, 상기 보호외관(210)과 도선체(220)는
    성형장치(100)에 의해 일정 형상으로 형성되어 보호외관(210)의 내측에 도선체(220)가 냉각되지 않은 상태에서 결합이 이루어지고,
    냉각되지 않은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결합에 의해 보호외관(210)과 도선체(220)의 열에 의해 자연 융착 현상이 발생하여 일체화된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보호관.
KR1020160066686A 2016-05-30 2016-05-30 도선체 결합형 케이블 보호관 제조방법 및 케이블 보호관 KR1016811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6686A KR101681117B1 (ko) 2016-05-30 2016-05-30 도선체 결합형 케이블 보호관 제조방법 및 케이블 보호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6686A KR101681117B1 (ko) 2016-05-30 2016-05-30 도선체 결합형 케이블 보호관 제조방법 및 케이블 보호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1117B1 true KR101681117B1 (ko) 2016-12-01

Family

ID=57577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6686A KR101681117B1 (ko) 2016-05-30 2016-05-30 도선체 결합형 케이블 보호관 제조방법 및 케이블 보호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111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8588B1 (ko) 2017-09-29 2018-04-12 주식회사 씨에스에이코스믹 케이블수용체 결합형 케이블보호관 제조방법과 제조장치 및 케이블보호관
KR102182802B1 (ko) * 2020-03-04 2020-11-25 이광희 케이블 보호용 마이크로 통신관 제조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케이블 보호용 마이크로 통신관
CN114597847A (zh) * 2022-03-17 2022-06-07 武汉腾江电气制造有限公司 一种电力工程管道及其施工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4738B2 (ko) * 1984-11-16 1993-02-25 Toray Industries
KR0138592B1 (ko) 1994-11-30 1998-07-01 박성규 키시스템의 진단결과 표시방법
KR101046396B1 (ko) * 2011-05-20 2011-07-05 티앤제이건설 주식회사 지중 송전케이블 보호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4738B2 (ko) * 1984-11-16 1993-02-25 Toray Industries
KR0138592B1 (ko) 1994-11-30 1998-07-01 박성규 키시스템의 진단결과 표시방법
KR101046396B1 (ko) * 2011-05-20 2011-07-05 티앤제이건설 주식회사 지중 송전케이블 보호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8588B1 (ko) 2017-09-29 2018-04-12 주식회사 씨에스에이코스믹 케이블수용체 결합형 케이블보호관 제조방법과 제조장치 및 케이블보호관
KR102182802B1 (ko) * 2020-03-04 2020-11-25 이광희 케이블 보호용 마이크로 통신관 제조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케이블 보호용 마이크로 통신관
CN114597847A (zh) * 2022-03-17 2022-06-07 武汉腾江电气制造有限公司 一种电力工程管道及其施工方法
CN114597847B (zh) * 2022-03-17 2023-12-19 武汉腾江电气制造有限公司 一种电力工程管道及其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P1290A (en) Multiple channel duct assembly for cables.
KR100323143B1 (ko) 광섬유 케이블 및 그 제조방법
KR101681117B1 (ko) 도선체 결합형 케이블 보호관 제조방법 및 케이블 보호관
EP2920631B1 (en) Rugged furcation tube
MX2007015570A (es) Cables de fibra optica y metodos para formarlos.
KR101696923B1 (ko) 통신선용 보호관의 제조장치 및 그 통신선용 보호관
GB2105059A (en) Optical fibre composite aerial cable
CN113611453B (zh) 一种具有八面柱体结构外壳的光纤带光缆
US6676881B1 (en) Apparatus for producing multiple channel duct assembly and method thereof
KR100962905B1 (ko) 광섬유 케이블 보호용 모듈러 구조체 및 모듈러 구조체를 이용한 광섬유 케이블 보호 방법
US9207419B2 (en) Fiber optic overhead ground wire cables and processes for the manufacturing thereof
KR102154232B1 (ko) 보호관의 성형과 동시에 통신선 또는 전력선을 삽입하는 장치
RU2018134784A (ru) Кабель сонара верхней подборы высокого разрешения
JP2008233906A (ja) 一般配信ネットワークに接続するための光ケーブル及びそのケーブルを接続する方法
CA2591854A1 (en) Main duct with inner duc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101199935B1 (ko) 광섬유용 마이크로 튜브가 구비된 덕트 유닛 및 이의 생산방법
US5694510A (en) Tub-aggregated optical cable
CN111768910A (zh) 一种异型结构电缆及光电复合缆及光缆及可用于线缆的异形体
CN110275258A (zh) 一种具有异形加强带的光缆或电缆
JPS5994703A (ja) 通信ケ−ブル及びその製造方法
CN212392037U (zh) 一种异型结构电缆及光电复合缆及光缆
CN212515160U (zh) 一种通信光缆
CN211348765U (zh) 一种槽架型子母光缆
KR101848588B1 (ko) 케이블수용체 결합형 케이블보호관 제조방법과 제조장치 및 케이블보호관
JP3109406B2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