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0560B1 - 과일 예냉 제습기 - Google Patents

과일 예냉 제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0560B1
KR101680560B1 KR1020150098825A KR20150098825A KR101680560B1 KR 101680560 B1 KR101680560 B1 KR 101680560B1 KR 1020150098825 A KR1020150098825 A KR 1020150098825A KR 20150098825 A KR20150098825 A KR 20150098825A KR 101680560 B1 KR101680560 B1 KR 1016805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hamber
ventilation
cradle
blo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8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평인
Original Assignee
(주)슈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슈닉스 filed Critical (주)슈닉스
Priority to KR1020150098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05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0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05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2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B7/0205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by contact of the material with fluids, e.g. drying gas or extracting liqui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2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bi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일 예냉 제습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수확한 농작물의 변질을 방지하고, 저장성을 높이기 위하여 농작물의 포장 전 단계에서 과피에 묻은 수분을 건조 제거하는 예냉 제습기를 제공하되
본원은 농작물을 수용하여 건조하는 건조대와 이 건조대 복수를 거치하는 거치대몸체와,
이 거치대몸체 복수를 수용하는 거치대몸체수용함(거치대수용함이라 칭함)을 형성하되 거치대수용함은 송풍팬으로부터 발생된 통풍바람이 송풍되는 제1송풍실과,
이 제1송풍실로 송풍된 바람이 유턴하는 유턴부와 이 유턴부로 유턴된 바람이 유턴되어 송풍되는 제2송풍실과,
이 제2송풍실과 상기 제1송풍실에 각각 상기 거치대몸체를 수용함으로서
송풍팬으로부터 발생된 공기가 유턴하는 과정에 거치대수용함 내부벽에 부딪쳐 거치대수용함 내부에 일시적으로 분산되고 그로인해 송풍공기가 거치대수용함 내에 일시적으로 머물게되고 이 머문 송풍공기에 의해 농작물의 과피에 묻은 수분을 건조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과일 예냉 제습기{A Dehumidifier}
본 발명은 과일(블루베리등 농작물 포함) 예냉 제습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수확한 농작물의 변질을 방지하고, 저장성을 높이기 위하여 농작물의 포장 전 단계에서 과피에 묻은 수분을 건조 제거하는 예냉 제습기를 제공하되
본원은 농작물을 수용하여 건조하는 건조대와 이 건조대 복수를 거치하는 거치대몸체와,
이 거치대몸체 복수를 수용하는 거치대몸체수용함(거치대수용함이라 칭함)을 형성하되 거치대수용함은 송풍팬으로부터 발생된 통풍바람이 송풍되는 제1송풍실과,
이 제1송풍실로 송풍된 바람이 유턴하는 유턴부와 이 유턴부로 유턴된 바람이 유턴되어 송풍되는 제2송풍실과,
이 제2송풍실과 상기 제1송풍실에 각각 상기 거치대몸체를 수용함으로서
송풍팬으로부터 발생된 공기가 유턴하는 과정에 거치대수용함 내부벽에 부딪쳐 거치대수용함 내부에 일시적으로 분산되고 그로인해 송풍공기가 거치대수용함 내에 일시적으로 머물게되고 이 머문 송풍공기에 의해 농작물의 과피에 묻은 수분을 건조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농작물 중에서 블루베리를 참고로 하여 종래 배경의 기술을 설명하기로 한다.
블루베리는 진달래과(Ericaceae) 산앵두나무속(Vaccinium)에 속하는 관목성 식물로서, 학술적으로 항산화 작용과 시력증진작용 등의 강력한 기능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병해충에 강하여 무농약 친환경 재배가 가능하고, 콜드체인망의 발전에 의해 생산지에서 소비자에게 신선한 상태로 신속하게 공급됨으로서 생산과 소비가 더욱 확대되고 활성화되어 가고 있다.
한편, 블루베리의 부드러운 과육은 장기 보존성이 약하고, 수확이 7~8월의 고온 다습한 시기에 이루어져 수확 후 제습 및 품온관리가 매우 중요한 과실이다. 특히, 나무에서 분리된 블루베리 열매는 자체 호흡에 의해 단시간 동안 7℃ 이상 품온이 상승하고, 호흡량은 온도가 높을수록 빨라지는 특성이 있다.
예를 들면, 블루베리 열매의 호흡작용 등을 휴면에 가까운 상태로 억제하여 신선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1~5℃ 범위의 온도로 냉장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수확기의 평균온도인 27℃에 그 대로 방치할 경우호흡량이 거의 20배 이상 증가하여 급속한 변질(disease organism)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블루베리의 특성 때문에 수확 중 일사광에 직접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수확물을 그늘에 보관하며, 수확 상자는 통기 및 방열을 위하여 10cm 이상 열매가 쌓이지 않도록 하는 등의 수확 단계에서 품질관리 노력이 필요하고, 수확 후 선별 및 포장, 저장 전 작업이 저온 저장고 내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수확 후 4시간 이내에 물기를 충분히 건조하고 품온을 1~5℃의 저온 상태로 균일하고 신속하게 낮추어 주는 예냉 제습을 통하여 2~3주간 보존이 가능하기 때문에 블루베리 전용 예냉 및 제습 장치의 적용이 바람직하지만 기존에 제시된 제습 또는 예냉장치는 상추나 마늘 등의 일반적 원예작물에 범용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으로 블루베리의 제습 및 예냉에 적합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408812호는,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가능한 구조로 되어 냉풍 또는 열풍을 선택적으로 생성하는 예냉예건유니트(100)와 콘덴싱유니트(200)를 독립된 장치로 분리하여 구성하고, 예냉예건유니트(100)와 콘덴싱유니트(200) 사이에서 냉매가 상호 유통되게 하는 플렉시블 연결배관부(300)
로 연결하며, 상기 플렉시블 연결배관부(300)는 플레시블한 파이프로서 예냉예건유니트(100)와 콘덴싱유니트(200)에 탈착가능한 구조로 된 이동식 예냉예건겸용장치를 제시하고 있다.
상기한 예냉예건겸용장치는 냉동장치가 결합됨으로서 냉풍 또는 열풍을 이용하여 각종 농산물의 예냉또는 예건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고, 작업장 내에서 이동하는 운반 기능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일정한 기간동안(약 10주) 지속적이고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는 블루베리의 수확 특성에 부합하지 않고, 농가형 블루베리 재배 특성에 맞지 않는 고가의 예냉예건겸용장치를 구비하여야 되는 문제점이 있고, 신속하고 균일한 예건 및 예냉이 요구되는 블루베리에 대한 적용은 효율적이지 않는 한계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838479호는 냉각장치 적용에 따른 비용증가 요인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시된 것으로,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체를 형성하는 것으로 이동 가능하게 바퀴를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전원을 공급받아 본체의 후면측으로 송풍을 행하는 송풍팬과; 상기 본체의 후면측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이동 가능하게 바퀴를 구비하고 상부면에는 농산물이 채워진 운반상자가 적층되는 이동대차와;
상기 송풍팬의 풍압이 진행하는 방향을 제외한 운반상자의 양측면을 차폐하는 덮개와; 상기 본체 일측에 구비되는 습도 감지기를 통해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송풍팬에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예건장치를 제시하고 있다.
상기한 예건장치는 대차에 적층한 농산물에 송풍팬에 의한 풍압을 가하여 표면의 물기를 제거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 경제적으로 예건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적층상태에서 송풍팬에 의한 풍압이 고루 미치지 못하여 예건 균일성을 달성하기 어렵고, 블루베리의 품질유지에 필요한 예냉 효과를 제공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블루베리에서 예건 및 예냉의 균일성은 품질의 균일성을 위하여 매우 중요한 요소로서 공기흐름이 원활하지 못하는 적층구조는 내측 블루베리의 상대적 품온상승 및 과습 상태로 이어져 품질균일성 저하 원인이 되는데 기존 구조의 경우 이러한 블루베리의 특성을 효과적으로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것으로 수확한 농작물의 변질을 방지하고, 저장성을 높이기 위하여 농작물의 포장 전 단계에서 과피에 묻은 수분을 건조 제거하는 예냉 제습기를 제공하되,
본원은 농작물을 수용하여 건조하는 건조대와, 이 건조대 복수를 거치하는 거치대몸체와,
이 거치대몸체 복수를 수용하는 거치대몸체수용함(거치대수용함이라 칭함)을 형성하되 거치대수용함은 송풍팬으로부터 발생된 송풍바람이 송풍되는 제1송풍실과,
이 제1송풍실로 송풍된 바람이 유턴하는 유턴부와 이 유턴부로 유턴된 바람이 유턴되어 송풍되는 제2송풍실과,
이 제2송풍실과 상기 제1송풍실에 각각 상기 거치대몸체를 수용함으로서
송풍팬으로부터 발생된 공기가 유턴하는 과정에 거치대수용함 내부벽에 부딪쳐 거치대수용함 내부에 일시적으로 분산되고 그로인해 송풍공기가 거치대수용함 내에 일시적으로 머물게되고 이 머문 송풍공기에 의해 농작물의 과피에 묻은 수분을 건조시키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이상의 효과는 구체적인 내용에 더 밝혀진다.
도시한 바와 같이, 농작물을 수용할 수 있되 수분 배출이 용이하고 통풍성이 있는 금속망으로 제작한 서랍식 건조대(3)와
상기 건조대(3) 복수를 거치할 수 있는 복수의 거치대(10)가 상하측으로 형성된 거치대몸체(11)와;
상기 거치대몸체(11) 복수를 수용하는 거치대몸체수용함(거치대수용함이라 칭함)을 형성하되 거치대수용함(20)은 송풍팬(100)으로부터 발생된 송풍공기가 송풍되는 제1송풍실(21)과,
상기 제1송풍실(21)로 송풍된 공기가 유턴하는 유턴부(22)와,
상기 유턴부(22)로 유턴된 바람이 유턴되어 송풍되는 제2송풍실(23)과,
상기 제1송풍실(21)에 송풍공기가 송풍되도록 상기 거치대수용함(20) 일측에 설치된 제1송풍팬실(30)과 상기 송풍공기가 제2송풍실(23)을 지나 외부로 배출되는 지점에 거치대수용함(20) 내부공기를 흡입하도록 상기 거치대수용함(20) 측벽에 설치되는 제2송풍팬실(31)과,
상기 제1송풍실(21)과, 제2송풍실(23)에 각각 거치대몸체(11)가 수용되고 인출되는 출입문(24)을 포함한 구성이다.
상기 제1송풍팬실(30)의 공기토출 방향에 형성되어 공기풍향 방향을 조절하는 복수의 토출베인(30')과
상기 제2송풍팬실(31)의 공기흡입 방향에 형성되어 공기흡입 방향을 조절하는 복수의 흡입베인(31')를 형성하되 상기 복수의 토출베인(30')은 각각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각도가 가변되도록 한 후 그 가변된 상태에서 고정부(31")에 의해 고정되는 구성이다.
상기 거치대수용함(20)은 하단에 레일(26)을 형성하고 상기 거치대몸체(11)는 상기 레일(26)에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거치대수용함(20) 내부로 수용과 인출될 수 있는 로울러(13)가 형성된다.
상기 거치대수용함(20)은 이동 가능하게 바퀴(105)를 구비한다.
본원은 전방으로 토출되는 공기를 유턴시키므로서 유턴과정에 공기가
거치대수용함 벽면에 부딪쳐 일시적으로 거치대수용함 내부 전체에 확산되는 결과를 갖게되고 그 확산되는 공기는 거치대수용함 내부에 있는 블루베리 전체를 경유하므로 제습효과가 있다.
그리고, 토출베인과 흡입베인이 있어 구체적인 내용에서 밝혀지는 장점이 있다.
상기 이상의 효과는 구체적인 내용에서 더 밝혀진다.
제 1도는 본 발명의 과일 예냉 제습기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제 2도는 본 발명의 과일 예냉 제습기로서 거치대수용함 일부 이상을 절개한 상태의 사시도,
제 3도는 제 2도의 상태에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제 4도는 본 발명의 과일 예냉 제습기로서 거치대수용함 일부 이상을 절개한 상태의 사시도로서 참고도,
제 5도는 본 발명의 과일 예냉 제습기의 제1,2송풍팬실로서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제 6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이기 위해 본 발명의 거치대수용함 일부 이상을 절개한 상태의 사시도,
제 7도는 제 6도의 평면도,
제 8도는 본 발명의 과일 예냉 제습기의 거치대몸체.
앞에서 설명한 구성을 제차 살펴보고 그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고자 한다.
실시, 농작물을 수용할 수 있되 수분 배출이 용이하고 통풍성이 있는 금속망으로 제작한 서랍식 건조대(3)와
상기 건조대(3) 복수를 거치할 수 있는 복수의 거치대(10)가 상하측으로 형성된 거치대몸체(11)와;(도 8참조)
상기 거치대몸체(11) 복수를 수용하는 거치대몸체수용함을 형성하되 거치대수용함(20)은
송풍팬(100)으로부터 발생된 송풍공기가 송풍되는 제1송풍실(21)과,
상기 제1송풍실(21)로 송풍된 공기가 유턴하는 유턴부(22)와,
상기 유턴부(22)로 유턴된 바람이 유턴되어 송풍되는 제2송풍실(23)과,
상기 제1송풍실(21)에 송풍공기가 송풍되도록 상기 거치대수용함(20) 일측에 설치된 제1송풍팬실(30)과 상기 송풍공기가 제2송풍실(23)을 지나 외부로 배출되는 지점에 거치대수용함(20) 내부공기를 흡입하도록 상기 거치대수용함(20) 측벽에 설치되는 제2송풍팬실(31)과,
상기 제1송풍실(21)과, 제2송풍실(23)에 각각 거치대몸체(11)가 수용되고 인출되는 출입문(24)을 포함한 구성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실시예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첨부한 도 2,6과 같이 제1,2송풍팬(18,19)에 전원을 인가하면 제1송풍팬실(30)의 공기는 제1송풍실(21)로 공기를 송풍하고 그로인해 공기는 제1송풍실(21)을 지나 제2송풍실(23)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해 유턴부(22)를 경유하여 제2송풍실(23)로 이동한다.
그 후 제2송풍실(23)로 유입된 송풍 공기는 제2송풍팬실(31)로 향하는데 이때 제2송풍팬(19)이 흡입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제2송풍팬실(31)로 흡입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1송풍팬실(30)에서 송풍되는 공기가 유턴부(22)에 의해 전방이 가로막혀있어 제1송풍실(21)에 확산되는 결과를 갖게 된다.
그로인해 공기가 제1송풍실(21)전체를 경유한 후 그 확산된 공기는 유턴부(22)를 지나 제2송풍실(23)에 이르는데 이 때 제2송풍팬실(31)에 의해 흡입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은 설명에서 알수 있는 바와 같이 공기가 확되되어 제1,2송풍실(21,23)전체를 경유함으로 제습효과를 극대화 한 기술이라 할 수 있다.
다음은 송풍되는 공기 방향 조절과 흡입방향 조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제1송풍팬실(30)의 공기토출 방향에 형성되어 공기풍향 방향을 조절하는 복수의 토출베인(30')과
제2송풍팬실(31)의 공기흡입 방향에 형성되어 공기흡입 방향을 조절하는 복수의 흡입 베인(31')을 형성하되 상기 복수의 토출베인(30')은 각각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각도가 가변되도록 한 후 그 가변된 상태에서 고정부(31")에 의해 고정되는 구성이다.(도 5참조)
이와 같은 구성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시와 같이, 토출 베인(30')이 없게되면 제1송풍팬실(31)에서 토출되는 송풍 공기가 제1송풍실 내부로 고르게(전체면적) 송풍되지 않는다.
그리고 흡입 베인(31')이 없게되면 전체 면적에서 고르게 흡입하지 못한다.
그리고 복수의 토출베인(30')과 흡입베인(31')이 각각 따로 따로 가변되지 않을 경우 이 또한 고르게 공기가 토출과 흡입이 되지 않는다.
다음은 로울러와 레일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구성, 거치대수용함(20)은 하단에 레일(26)을 형성하고 상기 거치대몸체(11)는 상기 레일(26)에 따라 슬리이드 이동하여 상기 거치대수용함(20) 내부로 수용과 인출될 수 있는 로울러(13)가 형성된다.
상기 구성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거치함수용함(20)에서 거치대몸체(11)를 인출하기 위해서는 먼저 출입문(24)를 열고 거치대몸체(11)을 이용자가 이용자의 힘으로 끌어당기면 거치대몸체(11) 전방 하단에 설치된 바퀴(105)가 지면에 밀착되어 있고 후방은 로울러(13)가 설치된 상태에서 거치대수용함(20) 하단에 형성한 레일(26)에 가이드 되어 있어 상기 거치대몸체를 인출하기가 편리하다.
3: 건조대 10 ; 거치대
11 ; 거치대몸체 20 ; 거치대수용함
21 ; 제1송풍실 22 ; 유턴부
23 ; 제2송풍실 24 ; 출입문
30 ; 제1송풍팬실 31 ; 제2송풍팬실

Claims (2)

  1. 농작물을 수용할 수 있되 수분 배출이 용이하고 통풍성이 있는 금속망으로 제작한 서랍식 건조대(3)와
    상기 건조대(3) 복수를 거치할 수 있는 복수의 거치대(10)가 상하측으로 형성된 거치대몸체(11)와;

    상기 거치대몸체(11) 복수를 수용하는 거치대몸체수용함을 형성하되 거치대수용함(20)은 송풍팬(100)으로부터 발생된 송풍공기가 송풍되는 제1송풍실(21)과,
    상기 제1송풍실(21)로 송풍된 공기가 유턴하는 유턴부(22)와,
    상기 유턴부(22)로 유턴된 바람이 유턴되어 송풍되는 제2송풍실(23)과,
    상기 제1송풍실(21)에 송풍공기가 송풍되도록 상기 거치대수용함(20) 일측에 설치된 제1송풍팬실(30)과 상기 송풍공기가 제2송풍실(23)을 지나 외부로 배출되는 지점에 거치대수용함(20) 내부공기를 흡입하도록 상기 거치대수용함(20) 측벽에 설치되는 제2송풍팬실(31)과,
    상기 제1송풍실(21)과, 제2송풍실(23)에 각각 거치대몸체(11)가 수용되고 인출되는 출입문(24)을 포함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예냉 제습기.
  2. 제 1항에 있어서
    제1송풍팬실(30)의 공기토출 방향에 형성되어 공기풍향 방향을 조절하는 복수의 토출베인(30')과
    상기 제2송풍팬실(31)의 공기흡입 방향에 형성되어 공기흡입 방향을 조절하는 복수의 흡입베인(31')를 형성하되 상기 복수의 토출베인(30')은 각각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각도가 가변되도록 한 후 그 가변된 상태에서 고정부(31")에 의해 고정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예냉 제습기.

KR1020150098825A 2015-07-13 2015-07-13 과일 예냉 제습기 KR1016805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8825A KR101680560B1 (ko) 2015-07-13 2015-07-13 과일 예냉 제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8825A KR101680560B1 (ko) 2015-07-13 2015-07-13 과일 예냉 제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0560B1 true KR101680560B1 (ko) 2016-11-29

Family

ID=57706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8825A KR101680560B1 (ko) 2015-07-13 2015-07-13 과일 예냉 제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056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8188A (ja) 2001-02-06 2002-08-14 Yasuhiko Arai 除湿機
KR100838479B1 (ko) 2007-11-27 2008-06-16 송종명 이동식 예건장치
KR101425768B1 (ko) 2014-03-10 2014-08-05 주식회사 우리공업 저온저장고용 블루베리 예냉 제습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8188A (ja) 2001-02-06 2002-08-14 Yasuhiko Arai 除湿機
KR100838479B1 (ko) 2007-11-27 2008-06-16 송종명 이동식 예건장치
KR101425768B1 (ko) 2014-03-10 2014-08-05 주식회사 우리공업 저온저장고용 블루베리 예냉 제습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145793B (zh) 一种基于led脉冲光的蔬果保鲜装置
CN100506048C (zh) 一种食用菌的保鲜方法及装置
JP3026253B2 (ja) 人工環境装置
JP5989413B2 (ja) 植物栽培装置及び植物栽培方法
NZ563541A (en) Cooling room
KR101425768B1 (ko) 저온저장고용 블루베리 예냉 제습기
JPH0534052A (ja) 園芸作物の保蔵方法及びその装置
CN109126935A (zh) 一种用于大米的低温处理方法
JP6392692B2 (ja) ホウレンソウとキノコ類の相互栽培設備
JP4800192B2 (ja) 生芋の貯蔵装置
AU2020101470A4 (en) Method of and device for preserving strawberry fruit
KR101746080B1 (ko) 호흡성 과일의 예냉 제습기 및 이를 이용한 예냉 제습 방법
KR101680560B1 (ko) 과일 예냉 제습기
JP2008104364A (ja) 植物生理管理装置
CN209789251U (zh) 蔬菜保鲜放置架
JP2008161153A (ja) 生芋の長期保存方法
CN207836714U (zh) 一种果蔬烘干设备
KR20160003761U (ko) 다목적 예냉 제습기
CN210708781U (zh) 食用菌保鲜装置
KR20220010312A (ko) 와류를 이용하여 호흡성 과일을 예냉 및 제습하기 위한 대차 예냉기
JP2005192448A (ja) 鮮度保持装置
CN110301475A (zh) 一种速率可调式移动预冷与1-mcp一体化处理装备
ES1215606U (es) Instalación de filtrado para conservación de frutas
CN202035339U (zh) 一种温室换热通风系统
JP2020076570A (ja) 食品の常温乾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