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0519B1 - 금형의 하강 프레싱이 없는 커버 글라스 성형 금형체 - Google Patents

금형의 하강 프레싱이 없는 커버 글라스 성형 금형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0519B1
KR101680519B1 KR1020160062641A KR20160062641A KR101680519B1 KR 101680519 B1 KR101680519 B1 KR 101680519B1 KR 1020160062641 A KR1020160062641 A KR 1020160062641A KR 20160062641 A KR20160062641 A KR 20160062641A KR 101680519 B1 KR101680519 B1 KR 1016805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glass
cover
shape plate
mold
body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2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북룡
천호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아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아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아텍
Priority to KR1020160062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05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0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05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2Re-forming glass sheets
    • C03B23/02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 C03B23/035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using a gas cushion or by changing gas pressure, e.g. by applying vacuum or blowing for supporting the glass while bend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11/00Pressing molten glass or performed glass reheated to equivalent low viscosity without blowing
    • C03B11/06Construction of plunger or mould
    • C03B11/08Construction of plunger or mould for making solid articles, e.g. len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2Re-forming glass sheets
    • C03B23/02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 C03B23/035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using a gas cushion or by changing gas pressure, e.g. by applying vacuum or blowing for supporting the glass while bending
    • C03B23/0352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using a gas cushion or by changing gas pressure, e.g. by applying vacuum or blowing for supporting the glass while bending by suction or blowing out for providing the deformation force to bend the glass sheet
    • C03B23/0355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using a gas cushion or by changing gas pressure, e.g. by applying vacuum or blowing for supporting the glass while bending by suction or blowing out for providing the deformation force to bend the glass sheet by blowing without suction directly on the glass shee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02P40/57Improving the yield, e-g- reduction of reject r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형의 하강 프레싱이 없는 커버 글라스 성형 금형체에 관한 것으로, 덮개, 3D 형상판, 몸통 프레임, 베이스로 구성되는 성형 금형체에서 열가소성 커버 글라스를 성형 금형체의 내부에 수납된 3D 형상판에 배치하고, 덮개의 저부로 커버 글라스의 주 평면과는 간극을 갖으며 주 평면을 가려 가열 연화시킨 상태에서
커버 글라스의 단부에 고온 블로워 기체를 압력매체로 등압력을 가하여 커버 글라스의 단부를 3D 형상판에 가압 밀착하여 커버 글라스를 3D 형상판의 형상대로 전사 성형된 주 평면과 굴곡된 보 평면을 갖는 커버 글라스를 성형할 수 있고,
커버 글라스의 주 표면에 덴트나 평평도 불량을 방지 할 수 있고,
고온 블로워 장치의 토출구로부터 분사되어 덮개의 관통공 내로 인입된 고온 블로워 기체는 공간 채널, 몸통 프레임의 배기용 통기공, 개구부로 이어지는 기체배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의 하강 프레싱이 없는 커버 글라스 성형 금형체.

Description

금형의 하강 프레싱이 없는 커버 글라스 성형 금형체{Molding Cover Glass and Molding Apparatus Without Pressing Upper Mold Thereof}
본 발명은 금형의 하강 프레싱이 없는 커버 글라스 성형 금형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덮개, 3D 형상판, 몸통 프레임, 베이스로 구성되는 성형 금형체에서 열가소성 커버 글라스를 성형 금형체의 내부에 배치하여 가열 연화시킨 상태에서 고온 블로워 기체를 압력 매체로 하여 커버 글라스의 단부에 등압력을 가하여 주 평면과 굴곡된 보 평면을 갖는 커버 글라스를 성형하는 금형의 하강 프레싱이 없는 커버 글라스 성형 금형체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디스플레이용 커버 글라스는 다운 드로법(down draw process)에 의해 성형된 유리 기판을 에칭 가공하고, 또한, 유리 주 표면에 압축 응력층을 갖도록 화학 강화하여 만들어진다. 유리 기판은 성분으로서 SiO2 는 50 ~ 70 중량 %, Al2O3 는 5 ~ 20 중량 %, Na2O 는 6 ~ 30 중량 %, 그리고 Li2O 를 0 ~ 8 중량 % 미만 포함한다,
보통의 화학 강화유리는 압축 응력층의 깊이가 5um 정도의 깊이를 갖는다. 반면 아브리사 테크놀러지의 고이온교환(high ion exchange )처리법으로 화학적 강화된 강화유리는 이온교환 깊이 즉 압축 응력층의 깊이가 4μm 이상으로 높은 압축 응력, 내충격성 및 높은 스크래치 저항을 갖는다.
이온교환 처리법으로 강화한 상업용 커버 글라스용 유리로는 코닝 글라스의 고릴라(Gorilla), 아사히 유리의 드래곤 트레일(DragonTrail), 그리고 숏트 글라스의 센세이션(Xensation) 등이 있다. 업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고릴라 글라스는 두께가 0.55mm, 0.7mm, 1.1mm, 1.3mm 및 2.0mmm 로 구성되어 있다.
고릴라 글라스는 경도가 높고, 표면강도가 높고, 내스크래치성이 매우 높아, 디스플레이용 커버 글라스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커버 글라스 성형 방법 및 성형 장치에 있어서는 하부금형과 상부금형으로 구성된 금형 세트내에 커버 글라스를 넣은 후, 성형실내의 가열 영역, 성형 영역, 냉각 영역으로 순차적으로 반송하고 금형 패턴이 전사된 커버 글라스를 성형한다. 하부금형 및 상부금형인 금형세트를 사용한 커버 글라스 성형장치는 고온하에서 성형실린더에 결합된 상부금형의 상하 이동으로 금형 세트내 커버 글라스를 압압 성형한다. 산소를 포함하는 공기중에서는 금형 및 금형 보호막의 산화가 진행되어 금형의 수명이 짧아진다. 특히 커버 글라스의 전면과 측벽 형성에 관계되는 금형 성형면은 고정밀도의 경면으로 이 금형 성형면이 산화되면, 즉 금형 산화가 일어나면 금형 표면이 거칠어져, 성형되는 커버 글라스의 패턴 정밀도를 떨어뜨린다.
또한 금형 표면 혹은 커버 글라스의 표면이 공기중의 산소와 반응하여 산화물을 형성하고, 직접 압압(direct press)시에 그 산화물이 서로 반응하여 견고하게 부착되어, 3D(3 dimension) 커버 글라스가 금형으로부터 박리되지 않게 되는 경우가 있다. 금형에 부착된 성형품, 3D 커버 글라스를 무리하게 박리하면 커버 글라스의 일부가 금형에 잔류하여 성형품의 품질에 영향을 미친다. 금형의 경면을 손상시키지 않고 잔류물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알루미나분으로 연마하거나 불산 등의 용액으로 유리를 녹이는 등의 처리를 해야 한다.
그리고 금형 산화 발생시에는 성형 사이클 타임(cycle time)이 길어져 성형 조건의 변경이 필요하게 됨으로 안정된 양산을 할 수 없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커버 글라스 성형 장치에는 비산화성 가스로 성형실내를 충만하게 하여 산소가 들어가지 않는 비산화성 분위기를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고온하에서 직접 압압하는 성형 공정에서는 산소 농도를 희박하게 하여 금형 및 커버 글라스의 산화를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종래의 커버 글라스용 성형 방법 및 성형 장치에서는 산소가 들어오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성형 장치 전체를 진공 배기한 후에 비산화성 가스로 채워 양압으로 유지하고 성형 장치 전체 혹은 각 공정부의 출입구에 고정된 셔터를 설치하여 대기와 차단하고 있다.
한편 커버 글라스 성형 장치에서 쉬트 타입의 커버 글라스 소재를 상부금형의 하강으로 압압 프레싱(pressing)해서 측면부의 각도를 45°~ 90°인 측벽부를 만들 때 금형내에서 커버 글라스의 단부인 측벽을 당겨 늘어나게 한다. 전방향으로 균일한 힘(force)이 측벽부에 가해지지 않고 수직방향으로의 힘이 가해지는 관계로 두께가 얇은 쉬트 타입인 커버 글라스의 두께가 달라져서 힘이 더 많이 가해지는 부분에는 얇은 스팟부(spot)가 생김으로 측벽부가 기계적으로 취약한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더군다나 1mm 미만의 두께로 얇은 쉬트 타입의 커버 글라스 소재를 금형을 이용한 성형 장치에서는 수직 측벽부를 갖는 커버 글라스를 만들 수 가 없다. 압압 프레스 공정동안 유리의 ??칭으로 인해 유리(hot glass)가 커버 글라스의 단부, 측벽부까지 유입되지 않기 때문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커버 글라스 성형 금형체에서 상부금형, 하부금형 및 성형된 커버 글라스를 보여주는 팽창사시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으로 구성되는 금형세트를 사용하는 커버 글라스 성형 장치 및 성형 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하부금형과 상부금형 사이에 쉬트 타입 2D 커버 글라스를 설치한 금형세트를 고온에서 상부금형을 하강하여 2D 커버 글라스를 압압하여 성형할 때 금형 산화로 커버 글라스의 상하면이 덴트(dent)나 평평도 불량으로 탁하게 되여 성형후 성형품, 커버 글라스 상하면을 폴리싱으로 연마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두께 1mm 미만의 쉬트 타입의 커버 글라스 소재로는 수직 측벽부를 갖는 커버 글라스를 만들 수 가 없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KR 20-0382705 Y1 KR 10-0694359 B1 KR 10-1138308 B1 KR 10-1558164 B1 KR 10-1433072 B1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커버 글라스의 성형시 가열 연화시킨 상태에서 커버 글라스의 단부에 고온 블로워 기체를 압력매체로 등압력을 가하여 커버 글라스의 단부를 3D 형상판에 가압 밀착하여 굴곡된 보 평면에 얇은 스팟부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금형의 하강 프레싱이 없는 커버 글라스 성형 금형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3D 형상판에 커버 글라스를 배치하고, 덮개의 저부로 커버 글라스의 주 평면과는 간극을 두며 주 평면을 가리게(covering) 구성하여 주 평면에 금형 산화로 인한 덴트나 평평도 불량을 방지하는 금형의 하강 프레싱이 없는 커버 글라스 성형 금형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3D 형상판에 커버 글라스를 배치하고, 덮개의 저부로 커버 글라스의 주 평면과는 간극을 두며 주 평면을 가리며, 한편 커버 글라스의 단부는 덮개의 관통공에 노출되도록 구성하여 주 평면과 굴곡된 보 평면을 갖는 커버 글라스를 성형하는 금형의 하강 프레싱이 없는 커버 글라스 성형 금형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금형의 하강 프레싱이 없는 커버 글라스 성형금형체는 커버 글라스를 성형 금형체의 내부에 배치하여 가열 연화시킨 상태에서
커버 글라스의 단부에 고온 블로워 기체를 압력매체로 등압력을 가하여 커버 글라스의 단부를 3D 형상판에 가압 밀착하여 주 평면과 굴곡된 보 평면을 갖는 커버 글라스를 성형하는 금형의 하강 프레싱이 없는 커버 글라스 성형 금형체이다,
금형의 하강 프레싱이 없는 커버 글라스 성형 금형체는 덮개, 3D 형상판, 몸통 프레임, 베이스를 구비하며 있으며, 덮개는 단부 저면에 직선상 홈, 철(凸)상 평면 저부,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의 관통공을 가지고 있으며, 3D 형상판은 주 전면부, 굴곡부, 보 평판부, 가이드부를 가지고 있으며, 몸통 프레임은 상단이 개방된 상자형 본체로 측벽으로 둘러싸인 평면부, 길이방향 측벽의 상부에 직선상 돌출부, 길이방향 측벽의 내측 경사면에 복수개의 배기용 통기공, 가이드 지지대를 가지고 있으며, 베이스는 몸통 프레임의 저부와 끼워 맞춤 가능한 요(凹)상 평면의 단차부와 단차부의 중심부에 개구부를 가지고 있으며
3D 형상판은 몸통 프레임의 가이드 지지대에 끼워 맞추며,
3D 형상판 위에 배치된 커버 글라스를 덮기 위해 덮개의 직선상 홈으로 몸통 프레임의 직선상 돌출부에 끼워 맞춤으로 커버 글라스를 수납하여 덮개의 저부와 커버 글라스가 배치되는 3D 형상판의 주 전면부는 간극을 두고 대향하고 있으며,
고온 블로워 장치의 토출구로부터 분사되어 덮개의 관통공 내로 인입된 고온 블로워 기체는 공간 채널,
몸통 프레임의 배기용 통기공, 개구부로 이어지는 기체 배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커버 글라스의 주 평면은 3D 형상판의 주 전면부와 동일한 사이즈를 갖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덮개의 저부는 커버 글라스의 주 평면을 가리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커버 글라스의 단부는 덮개의 관통공에 노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공간채널은 몸통 프레임의 내측 경사면과 덮개의 저부 및 3D 형상판의 보 평판부로 형성되는 공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덮개의 관통공, 공간채널, 및 몸통 프레임의 배기용 통기공으로 형성되는 수직 연결구를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가이드 지지대는 몸통 프레임의 평면부와 평면부의 단부와 배기용 통기공 사이에 위치한 가이드 지지용 수직벽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가이드 지지용 수직벽의 높이는 3D 형상판의 가이드부의 높이와 동일한 크기를 갖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일정 간극을 두고 있는 덮개의 저부와 3D 형상판의 주 전면부사이에 커버 글라스를 배치하여 고온 블로워 분사시 덮개의 저부로 커버 글라스의 주 평면을 가리게 하여 덴트나 평평도 불량이 발생하지 않게 할 수 있고, 고온 블로워에 노출된 커버 글라스의 단부에는 등압력을 가하여 수직 측벽부, 굴곡된 보 평면을 갖는 커버 글라스를 성형할 수 있어 생산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커버 글라스 성형 금형체에서 상부금형, 하부금형 및 성형된 커버 글라스를 보여주는 팽창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 글라스 성형 장치의 평면 개략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커버 글라스 성형 장치의 평면 사시도이다.
도 4 는 X축 푸쉬피딩으로 YP에서 YA로, YH에서 YI로 이송을 보여주는 커버 글라스 성형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는 3D 형상판의 주 전면부에 배치된 커버 글라스의 단면 개략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금형의 하강 프레싱이 없는 커버 글라스 성형 금형체의 팽창 단면 개략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금형의 하강 프레싱이 없는 커버 글라스 성형 금형체에서 각 구성부를 보여주는 팽창 사시도이다.
도 8 은 YA - YH 선을 따라 절단한 커버 글라스 성형 장치의 단면 개략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 글라스 성형장치의 성형 영역실에서 고온 블로워 기체의 투사전 각 구성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커버 글라스 성형장치의 성형 영역실에서 고온 블로워 기체의 투사후 각 구성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 측벽부를 갖는 커버 글라스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필요에 따라 특정 방향이나 위치를 나타내는 용어 (예: "위", "부", "단부", "측" "바닥"을 포함 용어)를 사용하지만, 그 용어의 사용 도면을 참조하여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지, 그 용어의 의미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다음의 설명은 본질적으로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 그것의 적용물, 혹은 그것의 용도를 제한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도 2 는 커버 글라스 성형 장치의 평면 개략도를 보여주는 것으로 인/아웃(in/out)실 1, 예비가열실 2, 가열영역실 3, 성형영역실 4, 어닐링실 5, 급냉실 I 6, 급냉실II 7, 그리고 다시 인/아웃(in/out)실 1 로 직선상 및 직교상으로 이어지는 2개의 직선라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실 사이에 단열재로 만든 격벽이 설치된 직사각형 더미(D)들이 놓여 있으며, 각 직선 라인마다 1개의 빈 공간인 스페어실(spare)로 되어 있다.
여기서 스페어실(spare 로 표기함), 더미(D 로 표기함), 성형 금형체(금형, 1, 2,3, 4, 5, 6, 7 로 표기함 )는 가로* 세로 200mm * 130mm 인 직사각형으로 동일한 밑면적을 갖으며, 푸쉬 피딩을 이용한 이송시 위치센서(도시하지 않음)를 사용하여 정확한 위치를 잡을 수 있게 한다.
인/아웃(in/out)실 1 를 보면, 베이스(40), 몸통 프레임(60), 3D 형상판(90), 덮개(80)로 구성되는 성형 금형체(100)가 플레이트 히터(20)에 위치한다. 진공 척을 갖춘 로봇 암(도시하지 않음)으로 성형 금형체(100)에서 덮개(80)를 언로딩한다. 이어서 다른 로봇 암으로 커버 글라스(111)을 스토커로부터 픽업하여 성형 금형체(100)의 3D 형상판(90)위에 배치한다. 이어서 로봇 암의 진공 척으로 잡고 있는 덮개(80)를 성형 금형체(100)로 이동하여 덮개(80)의 단부(81) 저면(82)에 있는 직선상 홈(83)과 몸통 프레임(60)의 길이방향 측벽(64)의 상부(65)에 있는 직선상 돌출부(63)와 감합한다.
감합, 끼워 맞춤으로 3D 형상판(90)을 수납하며, 성형 금형체(100)의 3D 형상판(90)위에 배치된 커버 글라스(111)는 덮개(80)의 저부(86)와는 간극(X')을 형성한다.
커버 글라스(111)의 단부(113)는 몸통 프레임(60)의 길이방향 측벽(64)에 접하고 있다. 덮개(80)의 저부(86)와 3D 형상판(90)의 주 전면부(92)는 간극(X)을 두고 대향하고 있다. 덮개(80)의 저부(86)는 커버 글라스(111)의 주 평면(112)을 가리고 있으며, 커버 글라스(111)의 주 평면(112)은 3D 형상판(90)의 주 전면부(92)와 동일한 사이즈로 주 전면부(92)와 주 평면(112)간은 틈이 없을 정도의 평평도로 기밀성을 유지한다.
도 5는 3D 형상판(90)에 배치된 커버 글라스(111)를 보여주는 단면도로, 커버 글라스(111)의 단부(113)은 3D 형상판(90)의 주 전면부(92)와는 접촉하지 않는 부분을 말하며 3D 형상판(90)의 보 평판부(96)와는 60 °~ 90 °의 각도를 형성한다. 3D 형상판(90)은 주 전면부(92), 굴곡부(95), 보 평판부(96), 가이드부(98)로 구성된다.
도 6 과 도 7 를 보면 성형 금형체(100)의 정부에는 덮개(80)가 있으며, 덮개(80)는 단부(81) 저면(82)에 직선상 홈(83), 철(凸)상 평면 저부(86),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의 관통공(85)들이 좌우에 형성되어 있다.
덮개(80) 하부에 위치한 3D 형상판(90)은 커버 글라스(111)가 배치되는 곳으로 고온 블로워 기체를 이용하는 성형공정시 커버 글라스(111)의 단부(113)를 덮개(80)의 관통공(85)에 노출되도록 하여 커버 글라스(111)를 3D 형상판(90) 형상대로 전사 성형된다.
덮개(80)의 저부(86)로 커버 글라스(111)의 주 평면(112)을 가림으로 커버 글라스(111)에 덴트나 평평도 불량이 발생하지 않는다.
고온 블로워 기체에 노출된 커버 글라스(111)의 단부(113)에는 등압력을 가하여 주 평면(112)과 굴곡된 보 평면(114)을 갖는 커버 글라스(111a)로 성형된다.
예를 들면, 3D 형상판(90)의 보 평판부(96)가 60°이면 커버 글라스(111)도 측벽부, 굴곡된 보 평면(114)의 각도가 60°로 전사 성형된다.
3D 형상판(90)의 보 평판부(96)가 90°이면 커버 글라스(111)도 측벽부, 굴곡된 보 평면(114)의 각도가 90°로 전사 성형된다.
3D 형상판(90)의 형상대로 커버 글라스(111)을 전사 성형할 수 있다.
3D 형상판(90)을 가이드 지지대(69)로 감합하는 몸통 프레임(60)은 상단이 개방된 상자형 본체로 측벽으로 둘러싸인 평면부(66), 길이방향 측벽(64)의 상부(62)에 직선상 돌출부(63), 길이방향 측벽(64)의 내측 경사면(68)에 복수개의 배기용 통기공(65), 가이드 지지대(69)를 가지고 있다.
3D 형상판(90)은 몸통 프레임(60)의 가이드 지지대(69)에 끼워 맞춘다. 가이드 지지대(69)는 몸통 프레임(60)의 평면부(66)와 평면부(66)의 단부(66a)와 배기용 통기공(65) 사이에 위치한 가이드 지지용 수직벽(61)으로 구성된다. 3D 형상판(90)은 주 전면부(92), 굴곡부(95), 보 평판부(96), 가이드부(98)로 구성된다
몸통 프레임(60)의 내측 경사면(68)과 덮개(80)의 저부(86) 및 3D 형상판(90)의 보 평판부(96)로 공간채널(35)을 형성한다.
그리고 가이드 지지용 수직벽(61)의 높이는 3D 형상판(90)의 가이드부(90)의 높이와 동일한 크기를 갖도록 구성된다.
베이스(40)는 몸통 프레임(60)의 저부(67)와 끼워 맞춤 가능한 요(凹)상 평면의 단차부(44)와 단차부(44)의 중심부에 개구부(45)를 가지고 있으며 , 개구부(45)는 진공배기부에 연결한다.
성형공정시 덮개(80)의 관통공(85)내로 인입된 고온 블로워 기체는 공간 채널(35), 배기용 통기공(65), 개구부(45)를 성형장치의 진공배기부로 배기된다.
도 8, 도 9 를 보면, 성형 금형체(100)의 상부에는 고온 블로워(hot blower) 기체 장치 50, 하부에는 플레이트 히터(heater. 20)가 설치되어 있다.
하부의 플레이트 히터(20) 중심부에는 관통 구멍(21)을 갖고 있으며, 이 관통 구멍(21)은 밑으로는 진공 배기부(vacuum)에 연결되어 있으며, 위로는 성형 금형체 (100)의 베이스(40) 와 기밀하게 접촉되고 있다.
여기서 베이스(40)은 중심부에 개구부(45)을 갖고 있으며, 이 개구부(45)는 하부의 플레이트 히터(20)의 관통 구멍(21)과 동축상에 위치하고 있다.
베이스(40)의 개구부(45)과 성형영역실 4 하부의 플레이트 히터(20) 의 관통 구멍(21)을 거쳐 진공배기부(vacuum)에 연결된 성형 금형체(100)에는 부압(negative pressure) - 1.0 기압 진공 상태에 있다.
이때 3D 형상판(90)위에 놓인 커버 글라스(111)의 단부(113)는 몸통 프레임(60)의 길이방향 측벽(64)에 접하고 있다. 이것으로 내측 경사면(68) 밑에 위치한 배기용 통기공(65)과 덮개(80)의 관통공 (85)을 공간적으로 차단한다.
3D 형상판(90)위에 놓인 커버 글라스(111)는 덮개(80)의 길이 방향 측벽(64) 양측에 일렬로 된 관통공(85)과 몸통 프레임(60)의 길이 방향 양측에 일렬로 된 배기용 통기공(65)을 공간적으로 차단한다.
커버 글라스(111) 단부(113)의 아래 공간은 부압 - 1.0 기압 진공 분위기에 있으며, 반면 커버 글라스(111) 단부(113)의 위 공간은 양압 1기압 분위기에 놓여있다.
커버 글라스(111)의 밑면 아래 공간이 부압 - 1.0 기압 진공상태에 있게 되며, 반면 커버 글라스(111)의 위로는 대기압 상태에 있게 된다.
커버 글라스(111) 단부(113)의 위 공간인 관통공(85) 밑 내부공간(85a) 및 아래 공간인 공간채널(35)의 압력 차이로 커버 글라스(111)의 단부(113)위에는 2기압 이상의 힘이 가해진다.
도 9, 도 10을 보면, 고온 블로워 기체 장치(50)의 토출구(51)로부터 토출된 고온 블로워 기체를 성형 금형체(100)의 덮개(80)를 향해 투사된다.
투사 전달된 압력 매체인 고온 블로워 기체가 커버 글라스(111)의 단부(113)에 가압할 때 단부(113)의 위 공간인 관통공(85) 밑 내부공간(85a) 및 아래 공간인 공간채널(35)에는 전방향으로 2기압 이상의 힘이 가해진다.
커버 글라스(111)의 단부(113)에는 등압력이 가해지며, 이 등압력으로 커버 글라스(111)의 단부(113)는 3D 형상판(90)에 가압 밀착하여 전사 성형된다.
내부공간(85a) 및 공간채널(35)에서의 전방향 가압으로 커버 글라스(111)는 얇은 스팟부가 없는 측벽부, 굴곡된 보 평면(114)를 갖는 커버 글라스(111a)을 성형할 수 있다.
성형 금형체(100)의 덮개(80)의 관통공(85)내로 투사 전달된 고온 블로워 기체는 3D 형상판(90)위에 놓인 커버 글라스(111)를 3D 형상판(90)의 형상대로 가압 밀착, 전사 성형하여 수직 측벽부, 굴곡된 보 평면 (114) 를 갖는 커버 글라스(111a)를 성형한다.
성형영역실 4 에서 공정이 완료된 성형 금형체는 어닐링실 5, 적외선 카메라실 (IR camera), 급냉실I 6, 급냉실 II 7 에서 공정을 거쳐 인/아웃(in/out)실 1 로 이송된다.
인/아웃(in/out)실 1 에서는 성형 금형체(100)의 덮개(80)를 언로딩한 후, 성형 금형체(100)의 3D 형상판(90)에 놓인 커버 글라스(111a)를 언로딩하여 취출한다..
커버 글라스(111a)를 언로딩한 후, 스토커로부터 커버 글라스 소재 (111)를 꺼내어 성형 금형체(100)의 3D 형상판(90)에 커버 글라스(111)를 로딩 배치한다. 이어서 언로딩된 성형 금형체(100)의 덮개(80)로 커버 글라스(111)를 덮기 위하여 덮개(80)의 직선상 홈(83)으로 몸통 프레임(60)의 직선상 돌출부(63)과 딱 맞게 끼워 맞춰 덮개(80)와 몸통 프레임(60)을 기밀하게 한다.
이어서 직교상 및 직선상으로 이어지는 가이드 레일(guide rail)에 위치한 예비가열실 2, 가열실 3, 성형실 4, 어닐링실 5, 적외선 카메라실, 급냉실I 6, 급냉실II 7을 거쳐서 다시 인/아웃(in/out)실 1 로 전공정을 거쳐서 커버 글라스(111)를 가열 연화시킨 후 고온 블로워 기체 장치(50)로 성형하고 냉각하여 3D 형상판(90)의 형상대로 전사된 수직 측벽부(114)를 갖는 커버 글라스(111a)를 취출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금형의 하강 프레싱이 없는 커버 글라스 성형 금형체에 대한 기술 사상을 첨부 도면과 같이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수 및 모양 그리고 구조 등의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할 수 있음은 명백한 사실이며 이러한 변형과 모방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에 포함된다.
1: 인/아웃 실 2: 예비가열실
3: 가열영역실 4: 성형영역실
5: 어닐링실 6: 급냉실 I
7: 급냉실 II D: 더미
20: 플레이트 히터 21: 관통구멍
40: 베이스 44; 요(凹)상 평면의 단차부
45: 개구부 60 : 몸통 프레임
64: 길이방향 측벽 63: 직선상 돌출부
65: 배기용 통기공 66: 평면부
66a: 평면부의 단부 68: 내측 경사면
61: 가이드 지지용 수직벽 69: 가이드 지지대
80: 덮개 83: 직선상 홈
86: 철(凸)상 평면 저부 85: 관통공
35: 공간 채널 85a: 관통공 밑 내부공간
90: 3D 형상판 92: 주 전면부
95: 굴곡부 96: 보 평판부
98: 가이드부 100: 성형금형체
111: 커버 글라스 112: 주 평면
113: 단부 114: 굴곡된 보 평면
111a: 3D 커버 글라스 (굴곡된 보 평면을 갖는 커버 글라스)
50; 고온 블로워 기체 장치 51; 고온기체 토출구

Claims (8)

  1. 커버 글라스를 성형 금형체의 내부에 배치하여 가열 연화시킨 상태에서 커버 글라스의 단부에 고온 블로워 기체를 압력매체로 등압력을 가하여 커버 글라스의 단부를 3D 형상판에 가압 밀착하여 주 평면과 굴곡된 보 평면을 갖는 커버 글라스를 성형하는 금형의 하강 프레싱이 없는 커버 글라스 성형 금형체에 있어서,
    상기 성형 금형체는 덮개, 상기 3D 형상판, 몸통 프레임, 베이스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덮개는 단부 저면에 직선상 홈, 철(凸)상 평면 저부,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의 관통공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3D 형상판은 주 전면부, 굴곡부, 보 평판부, 가이드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몸통 프레임은 상단이 개방된 상자형 본체로 측벽으로 둘러싸인 평면부, 길이방향 측벽의 상부에 직선상 돌출부, 상기 길이방향 측벽의 내측 경사면에 복수개의 배기용 통기공, 가이드 지지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베이스는 상기 몸통 프레임의 저부와 끼워 맞춤 가능한 요(凹)상 평면의 단차부와 상기 단차부의 중심부에 개구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3D 형상판은 상기 몸통 프레임의 상기 가이드 지지대에 끼워 맞추며,
    상기 3D 형상판 위에 배치된 상기 커버 글라스를 덮기 위해 상기 덮개의 상기 직선상 홈으로 상기 몸통 프레임의 상기 직선상 돌출부에 끼워 맞춤으로 상기 커버 글라스를 수납하여 상기 덮개의 상기 저부와 상기 커버 글라스가 배치되는 상기 3D 형상판의 상기 주 전면부는 간극을 두고 대향하고 있으며,
    상기 덮개 위에 놓인 고온 블로워 장치는 토출구, 상기 덮개의 상기 관통공 및 상기 몸통 프레임의 상기 통기공은 수직 일직선상으로 상기 3D 형상판 위에 배치된 상기 커버 글라스의 상기 단부로 상기 관통공이 상기 통기공을 공간 차단하며,
    상기 고온 블로워 장치의 상기 토출구로부터 분사된 상기 고온 블로워 기체의 흐름은 상기 관통공, 상기 통기공, 상기 개구부로 이어지는 기체 배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의 하강 프레싱이 없는 커버 글라스 성형 금형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지지대는 상기 몸통 프레임의 상기 평면부와 상기 평면부의 단부와 상기 배기용 통기공 사이에 위치한 가이드 지지용 수직벽으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의 하강 프레싱이 없는 커버 글라스 성형 금형체.
  8. 삭제
KR1020160062641A 2016-05-23 2016-05-23 금형의 하강 프레싱이 없는 커버 글라스 성형 금형체 KR1016805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2641A KR101680519B1 (ko) 2016-05-23 2016-05-23 금형의 하강 프레싱이 없는 커버 글라스 성형 금형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2641A KR101680519B1 (ko) 2016-05-23 2016-05-23 금형의 하강 프레싱이 없는 커버 글라스 성형 금형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0519B1 true KR101680519B1 (ko) 2016-11-28

Family

ID=57706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2641A KR101680519B1 (ko) 2016-05-23 2016-05-23 금형의 하강 프레싱이 없는 커버 글라스 성형 금형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051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8791B1 (ko) * 2018-04-06 2019-12-23 김광채 글라스 성형장치
KR102058792B1 (ko) * 2018-04-06 2019-12-23 김광채 글라스 성형장치
KR20200054515A (ko) * 2018-11-12 2020-05-20 (주)이노웍스 유리기판의 엣지성형용 금형
CN111302606A (zh) * 2020-04-13 2020-06-19 深圳市信濠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3d玻璃盖板成型工艺
CN116423861A (zh) * 2023-05-26 2023-07-14 上海皓固机械工业有限公司 一种半导体超高纯膜片制作模具及制作方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8791B1 (ko) * 2018-04-06 2019-12-23 김광채 글라스 성형장치
KR102058792B1 (ko) * 2018-04-06 2019-12-23 김광채 글라스 성형장치
KR20200054515A (ko) * 2018-11-12 2020-05-20 (주)이노웍스 유리기판의 엣지성형용 금형
KR102121216B1 (ko) 2018-11-12 2020-06-10 (주)이노웍스 유리기판의 엣지성형용 금형
CN111302606A (zh) * 2020-04-13 2020-06-19 深圳市信濠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3d玻璃盖板成型工艺
CN111302606B (zh) * 2020-04-13 2022-07-12 深圳市信濠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3d玻璃盖板成型工艺
CN116423861A (zh) * 2023-05-26 2023-07-14 上海皓固机械工业有限公司 一种半导体超高纯膜片制作模具及制作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0519B1 (ko) 금형의 하강 프레싱이 없는 커버 글라스 성형 금형체
EP3541761B1 (en) Processes of making glass with textured surface and 3-d shape
KR102157751B1 (ko) 성형 유리 물품을 형성하는 방법 및 시스템
EP3315282B1 (en) Mold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US2014037357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3d glass
TW201442967A (zh) 曲面玻璃成型方法及其採用之模具
US20190135677A1 (en) Mold, molding apparatus, production method of molded body, and molded body
CN101621021B (zh) 基板支撑框架及包含该框架的基板处理设备
KR101892388B1 (ko) 곡면 판유리의 성형 방법 및 장치
US20100122655A1 (en) Ball supported shadow frame
CN113329977B (zh) 玻璃板的成形装置
EP3617160A1 (en) Curved glass manufacturing method
US2011006745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shaped articles from sheet material
KR101694098B1 (ko) 커버 글라스 성형 장치
CN109422448B (zh) 3d保护玻璃的制造方法
JPS61227932A (ja) ガラス製品の成形方法
KR101638579B1 (ko) 유리기판 성형 장치
TW201900570A (zh) 玻璃成型設備
KR101632848B1 (ko) 커버 글라스 성형 방법 및 커버 글라스용 성형 금형체 어셈블리
WO2018164286A1 (ko) 곡면 판유리의 성형 방법 및 장치
KR101632847B1 (ko) 모바일 디스플레이용 커버 글라스 성형 장치
WO2020162468A1 (ja) ガラス板の成形方法
TW201733935A (zh) 玻璃基板的熱處理方法
CN111825314A (zh) 玻璃弯曲方法及模具
JP2002167246A (ja) ガラスパネル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