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0400B1 -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참조 신호를 설치하는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참조 신호를 설치하는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0400B1
KR101680400B1 KR1020117025317A KR20117025317A KR101680400B1 KR 101680400 B1 KR101680400 B1 KR 101680400B1 KR 1020117025317 A KR1020117025317 A KR 1020117025317A KR 20117025317 A KR20117025317 A KR 20117025317A KR 101680400 B1 KR101680400 B1 KR 1016804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ource
reference signal
interference
signal
resource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5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6614A (ko
Inventor
후이 통
밍 수
마사유키 호시노
다이치 이마무라
Original Assignee
선 페이턴트 트러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 페이턴트 트러스트 filed Critical 선 페이턴트 트러스트
Publication of KR20120016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66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0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04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4Spectrum sharing arrangements between different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45Interference val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22Site diversity; Macro-diversity
    • H04B7/024Co-operative use of antennas of several sites, e.g. in co-ordinated multipoint or co-operative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for beam for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26Channel coefficients, e.g. 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36Feedback format
    • H04B7/0639Using selective indices, e.g. of a codebook, e.g. pre-distortion matrix index [PMI] or for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58Feedback red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1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dedicated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a single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04L5/0055Physical resource allocation for ACK/N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04L5/0057Physical resource allocation for CQ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6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in the space domain, e.g. b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73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transmission pow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the level of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2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measured or perceived qu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참조 신호를 설치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이며, 해당 무선 통신 시스템은 서빙셀 및 인접 셀을 포함하고, 서빙셀의 이동 단말은 동일한 시간 주파수 리소스를 이용해, 해당 서빙셀로부터 서빙 리소스 블록을 수신함과 함께 인접 셀로부터 간섭 리소스 블록을 수신하고, 본 공개 방법은, 상기 간섭 리소스 블록 내에 사용자 고유 참조 신호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서빙 리소스 블록 내의, 상기 간섭 리소스 블록상에서 상기 사용자 고유 참조 신호가 설치되어 있는 시간 주파수 위치와 동일한 시간 주파수 위치에 펑처링을 행하고, 펑처링된 시간 주파수 위치에서는 어떠한 신호도 전송하지 않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공개에 있어서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이용함과 동시에, 이것에 의해 셀간의 간섭 전력을 측정함으로써, 협조식 빔 형성에 있어서의 피드백 오버헤드를 효과적으로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참조 신호를 설치하는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SETTING REFERENCE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공개는, 통신 분야에 있어서의 멀티 안테나 신호 전송 기술에 관한 것이다.
현대의 셀룰러 네트워크 무선 통신 시스템(예를 들면, LTE, WiMAX)에 있어서는, 사용자 장치(UE)는 서빙 기지국의 신호를 수신하는 것 외에, 인접 기지국의 간섭, 즉 셀(cell)간 간섭도 수신한다. 사용자가 셀 엣지(edge)에 있을 때는, 셀간 간섭은 비교적 강해져서, 시스템 스루풋(system throughput)을 제한하는 주요한 원인이 된다.
복수 기지국 협조는, 셀간 간섭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기술의 일종이다. 복수 기지국 협조의 실현 방식의 일종으로, 협조식 빔(beam) 형성이 있다. 기지국에 복수의 안테나가 배치되어 있을 때는, 안테나의 지향성은 안테나 어레이의 프리코딩 벡터에 의해 변경 가능하고, 자셀(自cell)의 신호를 증강함과 동시에 인접 셀의 간섭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각 통신 셀간의 협조식 빔 형성의 모델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해당 시스템은 3개(단, 3개에 한하지 않음)의 기지국(셀) eNB1, eNB2 및 eNB3을 가지며, 이 중 기지국 eNB1은 이 3개 셀의 경계에 위치하는 사용자 장치 UE의 서빙 기지국이다. 사용자 장치 UE는, 자기의 서빙 기지국 eNB1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지만, 동시에 인접 셀의 기지국 eNB2 및 eNB3으로부터 간섭을 수신한다. 사용자 장치 UE는, 서빙셀의 채널과 인접 셀의 채널을 측정하여, 이 몇 개 채널의 채널 정보를 서빙 기지국 eNB1에 주기적으로 피드백할 필요가 있고, 이것에 의해 서빙 기지국 eNB1이 빔 형성 프리코딩 벡터를 설계하여 서빙셀 eNB1의 신호를 증강함과 동시에, 기지국간 통신을 통해 대응 채널의 채널 정보를 해당 셀의 기지국에 통지해, 그 기지국에도 자신의 빔 형성의 프리코딩 벡터를 조정하여 서빙셀 eNB1에 대한 간섭을 저감시킨다.
여기서의 채널 정보는, 각 채널의 PMI(Precoding Matrix Index :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 또는 CSI(Channel Status Information : 채널 상태 정보) 등일 수 있다.
도 2는 사용자 장치 UE의 서빙셀(serving cells) 기지국 eNB1로의 채널 정보 보고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것처럼, 시간의 추이에 따라, 사용자 장치 UE는, 주기 T마다 한 번, 3개의 셀 전부의 채널 정보, 예를 들면, 서빙셀 eNB1의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 PMI-1과, 2개의 인접 셀 eNB2 및 eNB3의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 PMI-2 및 PMI-3을 서빙셀 기지국 eNB1에 보고한다.
상기의 협조식 빔 형성에 있어서, 사용자 장치 UE는 서빙셀 eNB1의 채널 정보의 피드백뿐만이 아니라, 인접 셀의 채널 정보도 피드백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셀간 협조 전송이 없는 종래의 시스템과 비교해서, 협조식 빔 형성은 보다 큰 피드백 오버헤드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피드백 오버헤드를 효과적으로 저감시키는 것이, 협조식 빔 형성의 과제가 된다.
본 공개의 하나의 형태에 의하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참조 신호를 설치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고, 해당 무선 통신 시스템은 서빙셀 및 인접 셀을 포함하며, 서빙셀의 이동 단말은 동일한 시간 주파수 리소스를 이용해, 해당 서빙셀로부터 서빙 리소스 블록를 수신함과 동시에 인접 셀로부터 간섭 리소스 블록을 수신하고, 본 공개 방법은, 상기 간섭 리소스 블록 내에 사용자 고유 참조 신호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서빙 리소스 블록 내의, 상기 간섭 리소스 블록상에서 상기 사용자 고유 참조 신호가 설치되어 있는 시간 주파수 위치와 동일한 시간 주파수 위치에 펑처링을 행하고, 펑처링된 시간 주파수 위치에서는 어떠한 신호도 전송하지 않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공개의 다른 형태에 의하면, 무선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고, 해당 무선 통신 시스템은 서빙셀 및 인접 셀을 포함하며, 해당 서빙셀의 이동 단말은 동일한 시간 주파수 리소스를 이용하여, 해당 서빙셀로부터 서빙 리소스 블록를 수신함과 동시에 인접 셀로부터 간섭 리소스 블록을 수신하고, 해당 무선 통신 시스템은, 상기 간섭 리소스 블록 내에 사용자 고유 참조 신호를 설치하는 설치 수단과, 상기 서빙 리소스 블록 중의, 상기 간섭 리소스 블록상에서 상기 사용자 고유 참조 신호가 설치되어 있는 시간 주파수 위치와 동일한 시간 주파수 위치에 펑처링을 행하고, 펑처링된 시간 주파수 위치에서는 어떠한 신호도 전송하지 않도록 하는 펑처링 수단을 포함한다.
본 공개에 있어서 제공하는 참조 신호를 설치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이용함과 동시에, 이것을 이용해 셀간의 간섭 전력을 측정함으로써, 협조식 빔 형성에 있어서의 피드백 오버헤드를 효과적으로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면과 본 공개 실시예를 조합시킨 이하의 상세한 기술(記述)로부터, 본 공개의 이러한 형태, 및/또는 그 외의 형태나 우위성이 보다 명확하게 되어, 보다 이해하기 쉬워진다. 여기서 :
도 1은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각 통신 셀간의 협조식 빔 형성의 모델.
도 2는 사용자 장치의 서빙셀의 기지국으로의 채널 정보 보고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3(a) 및 도 3(b)는 셀간 간섭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4(a) 및 도 4(b)는 본 공개 실시예에 의한 적응 피드백 방식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5(a) 및 도 5(b)는 본 공개 실시예에 의한 간섭 리소스 블록상에서의 사용자 고유 참조 신호 설치 도면.
도 6(a) 및 도 6(b)는 본 공개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고유 참조 신호의 복조 참조 신호로서의 설치 도면.
도 7(a) 및 도 7(b)는 본 공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고유 참조 신호의 복조 참조 신호로서의 설치 도면.
도 8(a), 도 8(b) 및 도 8(c)는 셀간 간섭을 나타내는 다른 개략도.
도 9(a) 및 도 9(b)는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고유 참조 신호의 복조 참조 신호로서의 설치 도면.
도 10은 본 공개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력 감지 참조 신호의 도면.
도 11(a) 및 도 11(b)는 본 공개 실시예에 의한 전력 감지 참조 신호의 데이터 신호 위치로의 설치 도면.
도 12(a) 및 도 12(b)는 본 공개 실시예에 의한 전력 감지 참조 신호의 복조 참조 신호 위치로의 설치 도면.
도 13(a) 및 도 13(b)는 본 공개 실시예에 의한 전력 감지 참조 신호의 복조 참조 신호 위치로의 설치의 다른 도면.
도 14는 본 공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력 감지 참조 신호의 설치 도면.
도 15는 간섭이 인접 셀의 복수의 단말로부터 오는 경우의 전력 감지 참조 신호의 설치 도면.
도 16은 간섭이 인접 셀의 복수의 단말로부터 오는 경우의 전력 감지 참조 신호 설치의 다른 예시 도면.
도 17은 인접 셀 내에 복수의 이동 단말이 존재함에 의한 간섭 리소스 블록의 발생 도면.
도 18은 본 공개 실시예를 실현하기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본 배치 도면.
도 19는 본 공개 실시예를 실현하기 위한 방법의 흐름도.
이하, 본 공개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조합해서 상세하게 기술(記述)한다. 몇 가지의 관련된 종래 기술(技術)에 대해서는, 상세한 기술(記述)을 고려하면 본 공개의 요점이 애매하게 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여기서는 상세한 기술(記述)은 나타내지 않는다. 각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실행하는 소자 또는 수단은, 동일 부호를 사용해서 나타낸다.
본 공개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하향 링크에 있어서 사용자 고유 참조 신호를 설치하는 방식에 의해, 셀간의 간섭 전력을 측정하는 것을 제기한다. 구체적인 방식은, 인접 셀(간섭 셀)은, 송신하는 리소스 블록(간섭 리소스 블록)상에 사용자 고유 참조 신호를 설치하고, 서빙셀(피간섭(被干涉) 셀)은, 자신의 사용자 장치(예를 들면, 이동 단말)에 송신하는 리소스 블록(서빙 리소스 블록)상의, 해당 사용자 고유 참조 신호가 존재하는 시간 주파수 위치와 동일한 시간 주파수 위치에 펑처링(Puncturing)을 행한다. 본 공개는 또, 「전력 감지 참조 신호」를 설치하여, 전력 감지 참조 신호를 해당 사용자 고유의 참조 신호로서 이용하는 방식을 제기한다. 이와 같이 하여, 피간섭 사용자가 간섭 신호의 층수를 모르는 경우라 하더라도, 총 간섭 에너지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이 전력 감지 참조 신호의 파형(波形) 지향성도(指向性圖)는, 각 층의 간섭 신호의 파형 지향성도의 총 합(總合)과 동일하거나, 또는 근사적(近似的)으로 동일할 것이다. 간섭이 복수 사용자의 신호로부터 오는 상황에 대해서는, 이 전력 감지 참조 신호는, 복수 사용자의 간섭 전력의 측정에 이용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셀간 간섭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a)에 나타내는 것처럼, 셀 기지국 eNB1은, 이동 단말 UE1과 통신할 때에, 안테나 빔의 전력을 주로 UE1의 방향으로 집중시키고, 셀 기지국 eNB2도 또한, 이동 단말 UE2와 통신할 때에, 안테나 빔의 전력을 주로 UE2의 방향으로 집중시킨다. 그렇지만, UE1 및 UE2는, 각각 각자의 서빙 기지국 eNB1 및 eNB2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때에, 인접 셀 eNB2 및 eNB1로부터의 간섭(도 3(a) 중의 점선으로 나타냄)도 수신한다. 단, 몇 가지 경우는, 도 3(b)에 나타내는 것처럼, 셀 기지국 eNB2의 안테나 빔의 방향은 이동 단말 UE1에 배리(背離)하고 있고, 그 때문에 UE1이 그 서빙 기지국 eNB1과 통신할 때에, 그 인접 기지국 eNB2로부터 수신하는 간섭은 비교적 작아지기 때문에, 그 통신에 대해서 발생하는 간섭도 비교적 작아질 수 있다. 그것에 비해, 도 3(a)에 나타내는 상황에서는, 셀 기지국 eNB2의 안테나 빔의 방향은 보다 이동 단말 UE1 쪽으로 치우쳐 있고, 그 때문에 UE1이 그 서빙 기지국 eNB1과 통신할 때에, 그 인접 기지국 eNB2로부터 수신하는 간섭은 비교적 커지기 때문에, 그 통신에 대해서 발생하는 간섭도 비교적 커질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공개는, 피드백 오버헤드를 저감할 수 있는 해결 수단, 즉, 셀간 간섭이 확실하게 존재할 때만, 이동 단말이 인접 셀의 채널 정보를 서빙 기지국에 피드백하고, 셀간 간섭(신호)이 존재하지 않을 때는, 이 인접 셀의 채널 정보를 피드백할 필요는 없다고 하는 해결 수단을 제기한다. 이러한 피드백 방식은, 주기성 피드백 방식이 아니라, 적응 피드백 방식이라고 부를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명시된 실시예에 의한 적응 피드백 방식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b) 중의 수직(垂直) 블록은, 이동 단말 UE1이 수신하는, 인접 셀 eNB2로부터의 간섭 전력을 나타내고, UE1에 있어서 측정한 인접 셀 eNB2로부터의 간섭 전력의 값이 소정의 임계값(해당 임계값은 당업자에 의해 시스템의 실제의 요구에 맞추어 설정 가능함)을 초과하고 있으면, UE1은 서빙셀 eNB1에 해당 간섭 전력을 보고하고, 수신한 간섭 전력의 값이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하고 있지 않으면, 이동 단말 UE1은 그 서빙 기지국 eNB1에 해당 간섭 전력을 보고하지 않는다. 즉, 인접 셀의 간섭 전력의 크기에 따라 보고할지 말지 결정할 필요가 있다.
상기의 적응 피드백 방식은 이동 단말 UE1이 인접 셀의 간섭 전력을 효과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것을 필요로 하는데, 종래의 셀간 채널 추정 방법은 어느 것도 CSI-RS(CSI 참조 신호)에 기초하고 있다. CSI-RS는, 셀 고유(cell-specific)의 신호이고, 이것은 셀간 간섭이 없는, 즉 진정한 간섭 신호가 송신되지 않는 경우라 하더라도, CSI-RS는 여전히 평소대로 송신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따라서, CSI-RS에 기초한 측정으로는 인접 셀의 간섭 전력을 정확하게 반영할 수는 없다.
본 공개 실시예에 의하면, 인접 셀의 간섭 전력을 측정하는 해결 수단도 제기하고, 이 해결 수단은 셀 고유 참조 신호가 아니라 사용자 고유 참조 신호에 기초하여 행해지며, 이렇게 함으로써 인접 셀의 간섭 전력을 효과적으로 알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고유 참조 신호는, 이동 단말에 송신하는 데이터와 함께 송신되는, 프리코딩된 참조 신호이며, 해당 셀의 안테나의 프리코딩 벡터 정보를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피간섭 셀의 통신 기지국, 예를 들면 eNB1이, 인접 셀 eNB2 및/또는 eNB3의 사용자 고유 참조 신호에 대응하는 시간 주파수 위치(특정한 시간 및 주파수)상의 데이터를 펑처링하면, 다시 말하면, 이 시간 주파수 위치상에서는 어떠한 데이터도 송신하지 않으면, 이 시간 주파수 위치상에서 측정하여 얻어지는 수신 전력은 인접 셀의 간섭 전력이다.
이하, 본 공개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조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명시(明示)의 실시예에 의한 간섭 리소스 블록상에서의 사용자 고유 참조 신호 설치의 도시(圖示)이다.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내는 등의 환경 하에서는, 이동 단말 UE1은 그 서빙 기지국 eNB1로부터 서빙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동시에 인접 셀의 기지국 eNB2(간섭원(干涉源))로부터 간섭 신호를 수신한다. 도 5(a)는 이동 단말 UE1이 서빙셀 eNB1로부터 수신하는 신호의 리소스 블록(이하, 서빙 리소스 블록이라고 칭함) RB1을 나타내고, 그 가로축은 시간(t)을, 세로축은 대역폭을 나타내고, 각각의 사각형은 리소스 유니트를 나타낸다. 이동 단말 UE1이 서빙 기지국 eNB1로부터 수신하는 모든 정보 신호 리소스는, 시간 및 주파수상에서 연속하는 복수의 서빙 리소스 블록 RB1에 의해 구성된다. 각 서빙 리소스 블록 RB1은, 1개의 시간대(예를 들면, 시각 t1부터 시각 t2) 및 1개의 대역(예를 들면, 주파수 f1부터 주파수 f2)상에서 전송되는 정보 신호이다. 서빙 리소스 블록 RB1의 앞(前) 3열의 리소스 유니트는 제어구(制御區)이고, 제어 데이터의 전송을 담당하며, 사선으로 나타낸 리소스 유니트는, 구체적으로 LTE 시스템의 Rel-8 RS(Rel-8 참조 신호)를 나타낼 수 있다. 무색으로 나타낸 리소스 유니트는, 데이터 신호의 전송에 이용된다. 짙은 색(濃色)으로 나타낸 리소스 유니트는, 셀 고유의 CSI-RS신호를 나타낸다. CSI-RS 신호의 수량은 본 공개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고, 시스템의 요구에 맞추어 어떠한 수량의 CSI-RS신호를 설치해도 된다.
도 5(b)는 이동 단말 UE1이 인접 셀 eNB2로부터 수신하는 간섭 신호의 리소스 블록(이하, 간섭 리소스 블록이라고 칭함) RB2를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간섭 리소스 블록 RB2의 가로축은 시간(t)을, 세로축은 대역폭을 나타내고, 각각의 사각형은 리소스 유니트를 나타낸다. 이동 단말 UE1이 인접 셀의 기지국 eNB2로부터 수신하는 모든 간섭 신호의 리소스도, 시간 및 주파수상에서 연속하는 복수의 간섭 리소스 블록 RB2에 의해 구성된다. 각 간섭 리소스 블록 RB2는, 1개의 시간대(예를 들면, 시각 t1부터 시각 t2) 및 1개의 대역(예를 들면, 주파수 f1부터 주파수 f2)상에서 전송되는 신호이다. 간섭 리소스 블록 RB2의 앞(前) 3열의 리소스 유니트는 제어구이고, 제어 데이터의 전송을 담당하며, 사선으로 나타낸 리소스 유니트는, LTE 시스템의 Rel-8 RS(Rel-8 참조 신호)를 구체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무색으로 나타낸 리소스 유니트는, 데이터 신호의 전송에 이용된다. 짙은 색(濃色)으로 나타낸 리소스 유니트는, 셀 고유의 CSI-RS 신호를 나타낸다. CSI-RS 신호의 수량은 본 공개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고, 시스템의 요구에 맞추어 어떠한 수량의 CSI-RS신호를 설치해도 좋다.
즉, 서빙 리소스 블록 RB1 및 간섭 리소스 블록 RB2는, 각각 복수의 리소스 유니트로 되어 있고, 각 리소스 유니트는 다른 시간 주파수 위치(특정 시간 및 주파수의 범위)를 점유하며, 제어 신호,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 및/또는 데이터 신호의 전송에 각각 이용된다. 서빙 리소스 블록 RB1 및 간섭 리소스 블록 RB2는 동일한 시간 주파수 리소스상에 위치하기 때문에, 이들은 겹쳐져 있다고 간주할 수 있다.
본 공개 실시예에 의하면,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내는 등의 시스템 환경에 있어서, 해당 무선 통신 시스템은 서빙셀(기지국) eNB1 및 인접 셀(기지국) eNB2를 포함하고, 서빙셀 eNB1의 이동 단말 UE1은, 동일한 시간 주파수 리소스를 이용하여, 즉 동일한 시간 및 주파수의 범위 내에서, 서빙셀 eNB1로부터 서빙 리소스 블록 RB1을 수신함과 동시에, 인접 셀 eNB2로부터 간섭 리소스 블록 RB2를 수신하면, 해당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각 셀 eNB1 및/또는 eNB2는, 대응의 이동 단말(예를 들면, UE1 및/또는 UE2)에 송신하는 하향 링크에 있어서, 참조 신호를 다음과 같이 설치한다. 인접 셀 eNB2는, 간섭 리소스 블록 RB2 내에 사용자 고유 참조 신호를 설치하고, 서빙셀 eNB1은, 서빙 리소스 블록 RB1 내의, 간섭 리소스 블록 RB2상에서 해당 사용자 고유 참조 신호가 설치되어 있는 시간 주파수 위치와 동일한 시간 주파수 위치에 대해서 펑처링을 행하고, 펑처링된 시간 주파수 위치에서는 어떠한 신호도 전송하지 않도록 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5(b)에 나타내는 간섭 리소스 블록 RB2 내에는, 1개 또는 복수의 사용자 고유 참조 신호(1개만 나타냄)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고, 여기에서는 문자 U로 표시한다. 이 사용자 고유 참조 신호 U는, 인접 셀의 기지국 eNB2의 프리코딩을 거쳐, 간섭 리소스 블록 RB2와 함께 송신되고, 해당 인접 셀의 기지국 eNB2가 이동 단말 UE2와 통신을 행하는 프리코딩 벡터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동 단말 UE1의 서빙 기지국 eNB1은, 인접 셀의 기지국 eNB2와의 협의(당업자가 숙지하고 있는 방식에 의함)에 의해 사용자 고유 참조 신호 U의 간섭 리소스 블록 RB2에 있어서의 위치를 취득할 수 있고, 도 5(a)의 서빙 리소스 블록 RB1 내의 그물망 선으로 나타내는 리소스 유니트(U1로 표시함)에 나타내는 것 같은, eNB1 자신에 의해 송신되는 서빙 리소스 블록 RB1의 동일한 시간 주파수 위치에 펑처링을 행한다. 즉, 서빙 리소스 블록 RB1의 리소스 유니트 U1에 있어서 어떠한 신호도 송신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하여, 이동 단말 UE1은, 펑처링된 시간 주파수 위치에 있어서의 해당 사용자 고유 참조 신호의 전력을, 인접 셀 eNB2로부터 수신하는 간섭 전력으로서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동 단말 UE1이 서빙 기지국 eNB1로부터 서빙 리소스 블록 RB1을 수신하고, 및, 동일한 시간 주파수 리소스(동일한 시간 및 주파수의 범위 내)로 인접 셀의 기지국 eNB2로부터 간섭 리소스 블록 RB2를 수신했을 때는, 이동 단말 UE1은 U 및 U1의 위치(동일 시간 주파수 위치)에 있어서의 신호의 총 전력을 측정할 수 있다. 리소스 유니트 U1은 어떠한 신호도 전송하지 않기 때문에, 측정되는 신호의 총 전력은 U에 있어서 전송된 신호의 전력이며, 인접 셀 eNB2로부터의 간섭 전력을 나타낼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이동 단말 UE1은 인접 셀 eNB2로부터의 간섭 전력을 취득할 수 있다. 또, 측정된 인접 셀 eNB2로부터의 간섭 전력이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하고 있으면, 이동 단말 UE1은 해당 간섭 전력을 서빙셀 eNB1에 보고한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명시된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고유 참조 신호의 복조 참조 신호로서의 설치의 도시(圖示)이다. 예를 들면 LTA-A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셀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리소스 블록 내에는, 복조 참조 신호(DM-RS)가 더 포함되어 있고, 이 복조 참조 신호 자체가 사용자 고유의 참조 신호이다. 즉, 복조 참조 신호는, 서빙 기지국 eNB1 및/또는 eNB2가 이동 단말 UE1 및/또는 UE2에 송신하는 데이터와 함께 송신되는, 프리코딩을 거친 참조 신호이며, 송신 셀의 안테나 프리코딩 벡터 정보를 구비하고 있고, 또, 해당 이동 단말 UE1 및/또는 UE2가 서빙 기지국 eNB1 및/또는 eNB2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를 복조하는 참조 신호이다. 따라서, 도 6(a) 및 도 6(b)에 있어서, 복조 참조 신호는 사용자 고유 참조 신호의 하나의 실례이고, 즉, 해당 사용자 고유 참조 신호를 간섭 리소스 블록에 있어서의 복조 참조 신호로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a) 및 도 6(b)는, 도 5(a) 및 도 5(b)와 기본적으로 동일하며, 도 6(a) 및 도 6(b)에 있어서 도 5(a) 및 도 5(b)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여기서는 재차 설명하지 않지만, 도 6(a)의 서빙 리소스 블록 RB1′ 및 도 6(b)의 간섭 리소스 블록 RB2′에 있어서 각각 복조 참조 신호를 더 나타내고 있고, 여기서는 가로선에 의해 표시되는 리소스 유니트로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는 4개의 복조 참조 신호를 나타내고 있지만, 복조 참조 신호의 수량은 본 공개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고, 시스템의 요구에 따라 어떠한 수량의 복조 참조 신호를 설치해도 좋다. 도 6(a) 및 도 6(b)로부터는, 서빙 리소스 블록 RB1′에 있어서의 복조 참조 신호의 위치와 간섭 리소스 블록 RB2′에 있어서의 복조 참조 신호의 위치는, 시간 주파수 리소스 상에서는 겹치지 않는 것을 간파할 수 있다. 여기서, 서빙 리소스 블록 RB1′ 및 간섭 리소스 블록 RB2′는, 각각 복수의 리소스 유니트로 되어 있고, 각 리소스 유니트는 다른 시간 주파수 위치(특정의 시간 및 주파수의 범위)를 점유하며, 제어 신호,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 복조 참조 신호 및/또는 데이터 신호의 전송에 각각 이용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동 단말 UE1의 서빙 기지국 eNB1은, 인접 셀의 기지국 eNB2와의 협의에 의해 리소스 블록 RB2′에 있어서의 복조 참조 신호의 위치(그 중의 1개의 복조 참조 신호만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며, 여기서는 U로 표시하지만, 1개에 한하지 않아도 좋다)를 취득할 수 있고, 도 6(a)의 서빙 리소스 블록 RB1′ 내에서 그물망 선으로 나타내는 리소스 유니트(U1로 표시함)에 나타내는 것 같은, eNB1 자신에 의해 송신되는 서빙 리소스 블록 RB1′의 대응하는 시간 주파수 위치에 펑처링을 행한다. 즉, 서빙 리소스 블록 RB1′의 리소스 유니트 U1에 있어서는 어떠한 신호도 송신하지 않는다.
이동 단말 UE1이 서빙 기지국 eNB1로부터 서빙 리소스 블록 RB1′를 수신하고, 및, 동일한 시간 주파수 리소스(동일한 시간 및 주파수의 범위 내)로 인접 셀의 기지국 eNB2로부터 간섭 리소스 블록 RB2′를 수신했을 때에는, 이동 단말 UE1은 U 및 U1의 위치(동일 위치)에 있어서의 신호의 총 전력을 측정할 수 있다. 리소스 유니트 U1은 어떠한 신호도 전송하지 않기 때문에, 측정되는 신호의 총 전력은 U에 있어서 전송된 복조 참조 신호의 전력이다. 송신 셀의 복조 참조 신호의 파형 지향성도는 해당 송신 셀의 각 송신 신호 전체의 파형 지향성도와 동일하기 때문에, 그 전력은 인접 셀 eNB2로부터의 간섭 전력을 나타낼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이동 단말 UE1은 인접 셀 eNB2로부터의 간섭 전력을 취득할 수 있다. 또, 측정된 인접 셀 eNB2로부터의 간섭 전력이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하고 있으면, 이동 단말 UE1은 해당 간섭 전력을 서빙셀 eNB1에 보고한다.
도 7(a) 및 도 7(b)은, 본 공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고유 참조 신호의 복조 참조 신호로서의 설치의 도시(圖示)이며, 사용자 고유 참조 신호를 간섭 리소스 블록 내의 고유 복조 참조 신호 이외의 새로운 복조 참조 신호로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a) 및 도 7(b)는, 도 6(a) 및 도 6(b)와 기본적으로 동일하며, 도 7(a) 및 도 7(b)에 있어서 도 6(a) 및 도 6(b)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여기서는 재차 설명하지 않지만, 도 6(b)의 간섭 리소스 블록 RB2′에 있어서, 새로이 설치되는 복조 참조 신호를 더 나타내고 있고, 여기서는 U로 나타내고 있다.
본 공개의 이 실시예에 의하면, 인접 셀의 기지국 eNB2는, 간섭 리소스 블록 RB2′에 있어서, 고유의 복조 참조 신호 이외의 위치에, 새로운 복조 참조 신호 U를 삽입하고 있다. 해당 복조 참조 신호 U도, 간섭 리소스 블록 RB2′에 있어서의 기타 고유의 복조 참조 신호와 마찬가지로, 송신 안테나의 프리코딩 벡터 정보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동 단말 UE1의 서빙 기지국 eNB1은, 인접 셀의 기지국 eNB2와의 협의에 의해, 간섭 리소스 블록 RB2′ 내에 삽입되는 해당 복조 참조 신호 U의 위치를 취득할 수 있고, 도 7(a)의 서빙 리소스 블록 RB1′ 내의 그물망 선으로 나타내는 리소스 유니트(U1로 표시함)에 나타내는 것 같은, 서빙 기지국 eNB1 자신에 의해 송신되는 서빙 리소스 블록 RB1′의 동일한 시간 주파수 위치에 펑처링을 행한다. 즉, 서빙 리소스 블록 RB1′의 리소스 유니트 U1에 있어서는 어떠한 신호도 송신하지 않는다.
이동 단말 UE1이 서빙 기지국 eNB1로부터 서빙 리소스 블록 RB1′를 수신하고, 및, 동일한 시간 주파수 리소스(동일한 시간 및 주파수의 범위 내)로 인접 셀의 기지국 eNB2로부터 간섭 리소스 블록 RB2′를 수신했을 때는, 이동 단말 UE1은 U 및 U1의 위치(동일한 위치)에 있어서의 신호의 총 전력을 측정할 수 있다. 리소스 유니트 U1은 신호를 전송하지 않기 때문에, 측정되는 신호의 총 전력은 U에 있어서 전송된 복조 참조 신호의 전력이다. 송신 셀의 복조 참조 신호의 파형 지향성도는 해당 송신 셀의 각 송신 신호 전체의 파형 지향성도와 동일하기 때문에, 그 전력은 인접 셀 eNB2로부터의 간섭 전력을 나타낼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이동 단말 UE1은 인접 셀 eNB2로부터의 간섭 전력을 취득할 수 있다. 또, 측정된 인접 셀 eNB2로부터의 간섭 전력이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하고 있으면, 이동 단말 UE1은 해당 간섭 전력을 서빙셀 eNB1에 보고한다.
도 8(a), 도 8(b) 및 도 8(c)는, 셀간 간섭을 나타내는 다른 개략도이다. 도 8(a)에 나타내는 것처럼, 존재하는 인접 셀의 수량은 2개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3개 등 많아져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이동 단말 UE1은, 그 서빙 기지국 eNB1로부터 신호(서빙 리소스 블록)를 수신할 때는, 도 8(a)에 있어서의 파선(破線)으로 나타내는 것처럼, 인접 셀 eNB2로부터의 간섭 신호(간섭 리소스 블록), 및 인접 셀 eNB3로부터의 간섭 신호(간섭 리소스 블록)를 수신한다. 서빙셀 eNB1의 이동 단말 UE1은, 다른 상황에 따라, 동일한 시간 주파수 리소스상에서 인접 셀 eNB2 및 eNB3의 각각으로부터, 2개 또는 더 많은 간섭 리소스 블록을 수신한다. 이러한 간섭 리소스 블록은 동일한 시간 주파수 리소스상에 위치하기 때문에, 이들을 2층 또는 다층(多層)이 겹쳐진 것으로 간주할 수 있고, 총 간섭 전력은 겹쳐진 다층의 간섭 리소스 블록의 전력의 총 합과 동일하다. 즉, 서빙셀 eNB1의 이동 단말 UE1이 인접 셀 eNB2 및 eNB3으로부터 수신하는 간섭 리소스 블록은, 다층(多層)이어도 좋다.
다층의 간섭 리소스 블록이 발생하는 상황은 도 8(a)에 나타내는 간섭 신호가 다른 셀로부터의 것인 경우에 한하지 않고, 도 8(b)에 나타내는 것처럼, 간섭 신호가 복수 사용자의 신호에 기인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도 8(b)에 있어서, 인접 셀의 기지국 eNB2는 복수(여기에서는 2개를 나타내고 있다)의 이동 단말 UE2 및 UE2′를 가지며, 이동 단말 UE2 및 UE2′와 통신할 때에, 셀 기지국 eNB2는 안테나 빔의 전력을 주로 UE2 및 UE2′의 방향으로 집중시킨다. 이동 단말 UE1이 그 서빙 기지국 eNB1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때는, 도 8(b)에 있어서의 파선(破線)으로 나타내는 것처럼, 인접 셀 eNB2로부터의 2개 또는 그 이상의 간섭도 수신할 수 있다. 복수의 사용자 UE2 및 UE2′로부터의 신호의 간섭에 대해서는, 다층의 간섭 리소스 블록을 응용해서 근사(近似)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8(c)에 나타내는 것처럼, 서빙셀 eNB1의 이동 단말 UE1이 그 서빙 기지국 eNB1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때는, 도 8(c)에 있어서의 파선으로 나타내는 것처럼, 인접 셀 eNB2 및 인접 셀 eNB3으로부터의 복수의 간섭도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간섭 리소스 블록은 동일한 시간 주파수 리소스상에 위치하기 때문에, 이것을 겹쳐진 다층의 간섭 리소스 블록이라고 간주할 수 있고, 총 간섭 전력은 겹쳐진 다층의 간섭 리소스 블록의 전력의 총 합과 동일하다. 즉, 서빙셀 eNB1의 이동 단말 UE1이 인접 셀 eNB2 및/또는 eNB3으로부터 수신하는 간섭 리소스 블록은, 다층이어도 좋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명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고유 참조 신호의 복조 참조 신호로서의 설치의 도시(圖示)이다. 도 8(a), 도 8(b) 및 도 8(c)에 나타내는 등의 환경 하에서, 이동 단말 UE1은 서빙 기지국 eNB1로부터 서빙 리소스 블록 RB1″를 수신하고, 동시에 인접 셀의 기지국 eNB2 및/또는 eNB3으로부터 간섭 리소스 블록 RB″를 수신한다. 도 9(a)는 이동 단말 UE1이 서빙셀 eNB1로부터 수신하는 서빙 리소스 블록 RB1″를 나타내고, 이것은 도 7(a)에 나타내는 서빙 리소스 블록 RB1′와 기본적으로 동일하며, 도 9(a)에 있어서 도 7(a)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여기서는 재차 설명하지 않는다.
도 9(b)는 이동 단말 UE1이 동일한 시간 주파수 리소스(예를 들면, 시간대 t1부터 t2 및 주파수대 f1부터 f2)상에서 인접 셀 eNB2 및/또는 eNB3으로부터 수신하는 다층의 간섭 리소스 블록을 겹쳐 맞춘 것, 즉, 제 1 층의 간섭 리소스 블록 RB2″와 제 2 층의 간섭 리소스 블록 RB3″의 합(合)을 나타낸다. 간섭 리소스 블록 RB2″ 및 RB3″의 각각은, 어느 것도 도 7(b)에 나타내는 간섭 리소스 블록 RB2′와 기본적으로 동일하며, 도 9(b)에 있어서 도 7(b)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여기서는 재차 설명하지 않는다. 도 9(b)에 나타내는 2층의 간섭 리소스 블록 RB2″ 및 RB3″에 있어서, 제 1 층의 간섭 리소스 블록 RB2″에 있어서의 복조 참조 신호를 L0으로 표시하고, 제 2 층의 간섭 리소스 블록 RB3″에 있어서의 복조 참조 신호를 L1로 표시하는 점이 다르다. 서빙 리소스 블록 RB1″, 제 1 층의 간섭 리소스 블록 RB2″ 및 제 2 층의 간섭 리소스 블록 RB3″에 있어서의 복조 참조 신호의 시간 주파수 위치가 서로 겹쳐지지 않는 점에 주의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동 단말 UE1의 서빙 기지국 eNB1은, 인접 셀의 기지국 eNB2 및/또는 eNB3과의 협의에 의해, 간섭 리소스 블록 RB2″ 및 RB3″에 있어서의 복조 참조 신호의 시간 주파수 위치를 각각 취득할 수 있고, 서빙셀의 기지국 eNB1 자신에 의해 송신되는 서빙 리소스 블록 RB1″의 동일한 시간 주파수 위치 각각에 펑처링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이용되는 복조 참조 신호로서 제 1 층의 간섭 리소스 블록 RB2″의 좌상(左上)측의 복조 참조 신호의 위치를 선택하여 U로 표시함과 동시에, 제 2 층의 간섭 리소스 블록 RB3″의 좌상측의 복조 참조 신호의 위치를 선택하여 V로 표시한다. 서빙셀의 기지국 eNB1은, 도 9(a)의 서빙 리소스 블록 RB1″에 있어서의 그물망 선으로 나타내는 리소스 유니트(각각 U1 및 V1로 표시한다)에 나타내는 것처럼, 자신이 송신하는 리소스 블록 RB1″의 대응하는 두 개의 위치에서 펑처링을 행한다. 즉, 서빙 리소스 블록 RB1″의 리소스 유니트 U1 및 V1에 있어서 어떠한 신호도 송신하지 않는다.
또, 각 리소스 블록에 있어서의 복조 참조 신호의 위치는 직교하고 있기 때문에, 간섭 리소스 블록 RB1″ 및 RB2″를 송신할 때는, 인접 셀의 기지국 eNB2 및/또는 eNB3은, 2층의 간섭 리소스 블록 RB2″ 및 RB3″에 있어서, 다른 쪽의 간섭 리소스 블록 RB3″ 및 RB2″에 있어서의 복호 참조 신호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어서 다시 펑처링을 행하고, 이것에 의해, 펑처링된 위치에서는 어떠한 신호도 송신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층의 간섭 리소스 블록 RB2″에 있어서, 제 2 층의 간섭 리소스 블록 RB3″의 복조 참조 신호 V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어서 펑처링을 행하고(예를 들면, V1′로 표시함), 제 2 층의 간섭 리소스 블록 RB3″에 있어서도, 제 1 층의 간섭 리소스 블록 RB2″의 복조 참조 신호 U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어서 펑처링을 행한다(예를 들면, U1′로 표시함). 이렇게 해서, 제 1 층의 간섭 리소스 블록 RB2″에 있어서의 복조 참조 신호 U, 및, 제 2 층의 간섭 리소스 블록 RB3″에 있어서의 복조 참조 신호 V의 각각의 직교화가 실현된다. 즉, 본 명시의 실시예는, 사용자 고유 참조 신호(여기에서는 복조 참조 신호)를 각 층의 간섭 리소스 블록 내의 한 층에 설치하고, 이 한 층 이외의 다른 층의 간섭 리소스 블록에 있어서의 해당 사용자 고유 참조 신호와 동일한 시간 주파수 위치에서 펑처링을 행하고, 펑처링 된 해당 위치에서는 어떠한 신호도 송신하지 않는다.
이동 단말 UE1이 서빙 기지국 eNB1로부터 서빙 신호를 수신하고, 및, 동일한 시간 주파수 리소스(동일한 시간 및 주파수의 범위 내)로 인접 셀의 기지국 eNB2 및/또는 eNB3으로부터 간섭 신호를 수신했을 때는, 이동 단말 UE1은 각 리소스 블록의 U 및 V의 위치에 있어서의 신호의 전력을 각각 측정할 수 있다. 리소스 유니트 U1, V1, 및 리소스 유니트 U1′, V1′는 어느 것도 신호를 송신하지 않기 때문에, 측정된 리소스 유니트 U에 있어서의 신호 전력 및 리소스 유니트 V에 있어서의 신호 전력은, 각각 제 1 층의 리소스 블록 RB2″ 및 제 2 층의 리소스 블록 RB3″의 간섭 전력이다. 이렇게 해서, 이동 단말 UE1은 각 인접 셀 eNB2 및/또는 eNB3으로부터의 간섭 전력을 취득할 수 있다. 또, 측정된 인접 셀 eNB2 및/또는 eNB3으로부터의 간섭 전력이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하고 있으면, 이동 단말 UE1은 임계값을 초과한 해당 간섭 전력을 서빙셀 eNB1에 보고한다.
이하, 「간섭 리소스 블록 RB″의 신호 전력이 간섭 리소스 블록 RB2″의 신호 전력과 간섭 리소스 블록 RB3″의 신호 전력의 합과 동일하다」는 것을 증명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인접 셀의 간섭이 다층 신호인 경우에는, 다른 층끼리의 참조 신호는, 예를 들면 시간 분할 직교 또는 주파수 분할 직교와 같이 직교할 것이다. 다층 신호의 전력 측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여기서는 2층의 간섭을 송신한다고 가정하면, 대응하는 수학 모델은
Figure 112011083873960-pct00001
여기서,
Figure 112011083873960-pct00002
는 전체의 간섭을 나타내고, S1 및 S2는 각각 제 1 층의 데이터 및 제 2 층의 데이터를 나타내며, 도출 과정에 있어서, S1 및 S2는 독립된 랜덤 변수이다. 즉 이 상호 상관은 제로라고 가정한다.
Figure 112011083873960-pct00003
Figure 112011083873960-pct00004
는 각각 제 1 층의 프리코딩 벡터 및 제 2 층의 프리코딩 벡터를 나타낸다. 그러면, 방향 θ에 있어서, 수신하는 간섭 신호는
Figure 112011083873960-pct00005
여기서, Sdata(θ)는 방향 θ에 있어서 수신되는 간섭 신호이고,
Figure 112011083873960-pct00006
는 방향 θ에 있어서의 행렬의 응답 벡터이며, (.)H는 공역 치환을 나타낸다.
그러면, 방향 θ에 있어서 수신하는 전력은
Figure 112011083873960-pct00007
여기서, P1(θ) 및 P2(θ)는 각각 제 1 층 신호 및 제 2 층 신호의 방향 θ에 있어서의 전력을 나타낸다.
이상의 도출로부터, 다층 데이터의, 어느 방향에 있어서의 전력(파형 지향성도-기지국에 의해 안테나 어레이의 프리코딩 벡터에 따라 조정될 수 있음)은, 각 층 데이터의 이 방향에 있어서의 전력(파형 지향성도)의 합인 것을 간파할 수 있기 때문에, 본 공개의 해결 수단이 정확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부호 분할 다중의 복조 참조 신호는, 그 파형 지향성도가 데이터의 파형 지향성도와 완전히 다르기 때문에, 간섭 전력의 추정에 이용할 수는 없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 부호 분할 다중의 복조 참조 신호의 송신 신호의 예를 들면
Figure 112011083873960-pct00008
앞에서 설명한 데이터의 파형 지향성도의 계산과 동일하게 하여, 아래의 결과를 얻는다.
Figure 112011083873960-pct00009
상기의 계산으로부터, 부호 다중의 복조 참조 신호는, 데이터의 간섭 전력을 정확하게 반영할 수 없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명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력 감지 참조 신호의 도시(圖示)이다.
본 공개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해 일종의 새로운 사용자 고유의 참조 신호를 설계하여, 여기서는 「전력 감지 참조 신호」라고 칭한다.
전력 감지 참조 신호는, 인접 셀의 기지국 eNB2 및/또는 eNB3이 이동 단말 UE2, UE2′ 및/또는 UE3에 송신하는 데이터와 함께 송신되는, 프리코딩된 참조 신호로서, 해당 셀의 송신 안테나의 프리코딩 벡터 정보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로부터, 부호 분할 다중의 복조 참조 신호는 데이터의 간섭 전력을 정확하게 반영할 수 없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고, 동일한 이유에서, 이것은 어떠한 사용자 고유의 참조 신호에도 적용할 수 있고, 다시 말하면, 부호 분할 다중의 사용자 고유 참조 신호는 어느 것도 데이터의 간섭 전력을 정확하게 반영할 수 없다. 이 점에서, 전력 감지 참조 신호에 대해서 프리코딩 벡터의 소정 설계를 행하여 비로소, 간섭 전력의 추정이 실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도 10에 나타내는 것처럼, 예를 들면 인접 셀 eNB2 및/또는 eNB3에 있어서 전력 감지 참조 신호를 설치하고, 전력 감지 참조 신호의 파형 지향성도가 서빙셀 eNB1의 이동 단말 UE1이 수신하는, 인접 셀 eNB2 및/또는 eNB3로부터의 전(全) 간섭 신호(다층의 간섭)의 파형 지향성도의 총 합, 즉 제 1 층의 간섭 신호(간섭 리소스 블록 RB2″)와 제 2 층의 간섭 신호(간섭 리소스 블록 RB3″)의 파형 지향성도를 겹쳐 맞춘 것과 동일해지도록 한다. 즉, 본 공개에 있어서의 사용자 고유 참조 신호를 전력 감지 참조 신호로서 설치함과 동시에, 전력 감지 참조 신호의 파형 지향성도를, 각 간섭 리소스 블록의 전(全) 신호의 파형 지향성도를 겹쳐 맞춘 것과 동일하게, 또는 근사(近似)적으로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전력 감지 참조 신호의 설계는, 이하의 몇 종류의 방법의 1종류 또는 여러 종류에 의해 실현된다.
방법 1 : 간섭 신호를 송신하는 기지국(예를 들면, 인접 셀의 기지국 eNB2 및/또는 eNB3)에 있어서 프리코딩 벡터 데이터베이스를 탐색하여, 각 층의 간섭 리소스 블록의 송신 신호 전체의 파형 지향성도에 가장 합치하는 프리코딩 벡터를 찾아내어, 설계한 전력 감지 참조 신호의 프리코딩 벡터로 한다.
방법 2 : 코드북에 기초하여 각 층의 간섭 리소스 블록의 신호의 프리코딩 벡터를 설치하고, 가능한 프리코딩 행렬의 수량을 유한하게 한다. 이 상황에서는, 어느 프리코딩 행렬에 대응하는 전력 감지 참조 신호의 프리코딩 벡터를 미리 기억해 두는 것이 가능하다.
방법 3 : 간섭 리소스 블록에 있어서의 각 층의 신호의 파형 지향성도를 산출함과 동시에, 각 층의 파형 지향성도를 겹쳐 맞추어, 전력 감지 참조 신호의 파형 지향성도로 하고, 그 후, 전력 감지 참조 신호의 파형 지향성도에 기초하여 스펙트럼 분해를 행하여, 전력 감지 참조 신호의 프리코딩 벡터를 취득한다. 방법 3의 산출 방법은 이하와 같다: 도 10에 나타내는 것처럼 2층의 간섭 리소스 블록을 구비하는 경우에, 인접 셀의 기지국 eNB2 및/또는 eNB3에 있어서는, 제 1 층의 간섭 리소스 블록 RB2″ 및 제 2 층의 간섭 리소스 블록 RB3″ 각각의 프리코딩 벡터는 기지(旣知)이기 때문에, 인접 셀의 기지국 eNB2 및/또는 eNB3은 간섭 리소스 블록 RB2″ 및 RB3″의 프리코딩 벡터에 대해서 각각 쾌속 푸리에 변환을 행하고, 그 후, 쾌속 푸리에 변환 후에 얻어진 결과의 절대값을 취하고, 간섭 리소스 블록 RB2″ 및 RB3″ 각각의 파형 지향성도를 취득하고, 다시 간섭 리소스 블록 RB2″ 및 RB3″ 각각의 파형 지향성도를 겹쳐 맞추고, 겹쳐 맞추어진 전체 파형 지향성도를 취득한다. 그 후, 이 전체 파형 지향성도를 스펙트럼 분해함으로써, 해당 전력 감지 참조 신호의 프리코딩 벡터를 취득함과 동시에, 취득한 프리코딩 벡터에 의해, 인접 셀의 기지국 eNB2 및/또는 eNB3에 의해 해당 전체 파형 지향성도에 대응하는 전력 감지 참조 신호를 설치한다. 간섭 리소스 블록의 층 수(層數)는 본 공개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고, 본 공개의 실시 예의 간섭 리소스 블록은 임의의 층 수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력 감지 참조 신호는, 복조 참조 신호(DM-RS)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를 점유해도, 점유하지 않아도 좋다. 실제로는, 전력 감지 참조 신호의 구체적인 위치는 중요하지 않고, 펑처링 위치와 전력 감지 참조 신호의 위치가 대응하고 있기만 하면 되며, 중요한 것은, 전력 감지 참조 신호의 파형 지향성도가, 각 층의 신호의 파형 지향성도의 총 합과 동일하거나, 또는 근사적으로 동일해야 한다고 하는 점이다. 이 경우, 피간섭 셀은 전력 감지 참조 신호의 수신 전력으로부터 총 간섭 전력을 알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명시의 실시예에 의한 전력 감지 참조 신호의 데이터 신호 위치로의 설치의 도시(圖示)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도 9(a) 및 도 9(b)와 기본적으로 동일하며, 도 11(a) 및 도 11(b)에 있어서 도 9(a) 및 도 9(b)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여기서는 재차 설명하지 않는다.
도 11(b)에는 또, 제 1 층의 간섭 리소스 블록 RB2″ 및 제 2 층의 간섭 리소스 블록 RB3″의 어느 것인가에 설치되는 것이 가능한 전력 감지 참조 신호가 표시되어 있고, 여기서는, 전력 감지 참조 신호를 제 2 층의 간섭 리소스 블록 RB3″상에 설치하면서 또, 제 2 층의 간섭 리소스 블록 RB3″의, 데이터 신호의 송신에 이용하는 리소스 유니트 내에 설치한다고 가정하고, 여기서는 W로 표시한다. 이렇게 해서, 해당 리소스 유니트는 데이터 신호를 송신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서빙셀의 기지국 eNB1은, 도 11(a)의 서빙 리소스 블록 RB1″에 있어서의 그물망 선으로 나타내는 리소스 유니트(W1로 표시함)에 나타내는 것처럼, 자신이 송신하는 리소스 블록 RB1″에 있어서의, 전력 감지 참조 신호 W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펑처링을 행한다. 즉, 서빙 리소스 블록 RB1″의 리소스 유니트 W1에 있어서는 어떠한 신호도 송신하지 않는다. 또, 각 리소스 블록에 있어서의 전력 감지 참조 신호의 위치에서는 직교하고 있기 때문에, 간섭 리소스 블록 RB2″ 및 RB3″를 송신할 때는, 인접 셀의 기지국 eNB2 및/또는 eNB3은, 제 1 층의 간섭 리소스 블록 RB2″에 있어서의 제 2 층의 간섭 리소스 블록 RB3″의 전력 감지 참조 신호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 W1′에 있어서 다시 펑처링을 행하고(도시하지 않음), 이것에 의해, 펑처링된 위치에서는 어떠한 신호도 송신하지 않는다. 이렇게 하여, 제 2 층의 간섭 리소스 블록 RB3″에 있어서의 전력 감지 참조 신호 W의 직교화가 실현된다. 즉, 본 명시의 실시예는, 전력 감지 참조 신호를 다층의 간섭 리소스 블록 중의 한 층에 설치하고, 이 한 층 이외의 다른 층의 간섭 리소스 블록에 있어서의 해당 전력 감지 참조 신호와 동일한 시간 주파수 위치에서 펑처링을 행하여, 어떠한 신호도 송신하지 않도록 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전력 감지 참조 신호는 데이터 신호 전송을 위한 리소스 유니트를 점유하고 있고, 다시 말하면, 전력 감지 참조 신호를 간섭 리소스 블록에 있어서의 데이터 신호의 시간 주파수 위치에 설치하고 있다.
이동 단말 UE1이 서빙 기지국 eNB1로부터 서빙 신호를 수신하고, 및, 동일한 시간 주파수 리소스를 이용하여 인접 셀의 기지국 eNB2 및/또는 eNB3으로부터 다층(예를 들면 2층)의 간섭 신호를 수신했을 때는, 이동 단말 UE1은 전력 감지 참조 신호 W의 위치에 있어서의 신호 전력을 측정할 수 있다. 전력 감지 참조 신호 W의 파형 지향성도는 제 1 층의 간섭 리소스 블록 RB2″ 및 제 2 층의 간섭 리소스 블록 RB3″ 각각의 파형 지향성도의 총 합과 동일하고, 리소스 유니트 W1 및 W1′에서는 어떠한 신호도 전송하지 않기 때문에, 측정된 신호 전력은 제 1 층의 간섭 리소스 블록 RB2″ 및 제 2 층의 간섭 리소스 블록 RB3″의 총 간섭 전력이다. 이렇게 해서, 이동 단말 UE1은 인접 셀 eNB2 및/또는 eNB3으로부터의 간섭 전력을 취득할 수 있다. 또, 측정된 인접 셀 eNB2 및/또는 eNB3으로부터의 간섭 전력이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하고 있으면, 이동 단말 UE1은 임계값을 초과한 해당 간섭 전력을 서빙셀 eNB1에 보고한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명시된 실시예에 의한 전력 감지 참조 신호의 복조 참조 신호의 위치로의 설치 도시(圖示)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도 11(a) 및 도 11(b)와 기본적으로 동일하며, 도 12(a) 및 도 12(b)에 있어서 도 11(a) 및 도 11(b)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여기에서는 재차 설명하지 않는다.
본 공개 실시예에 의하면, 전력 감지 참조 신호를 제 1 층의 간섭 리소스 블록 RB2″ 및 제 2 층의 간섭 리소스 블록 RB3″의 어느 것인가의 복조 참조 신호의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고, 도 12(b)에는, 전력 감지 참조 신호를 제 1 층의 간섭 리소스 블록 RB2″의 복조 참조 신호의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표시되어 있고, 여기에서는 W로 표시한다. 이렇게 하여, 해당 위치에서는 해당 복조 참고 신호를 송신하지 않는다.
이러한 상황에서, 서빙셀의 기지국 eNB1은, 도 12(a)의 서빙 리소스 블록 RB1″에 있어서의 그물망 선으로 표시하는 리소스 유니트(W1로 나타냄)에 나타내는 것처럼, 자신이 송신하는 리소스 블록 RB1″에 있어서의, 전력 감지 참조 신호 W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펑처링을 행한다. 즉, 서빙 리소스 블록 RB1″의 리소스 유니트 W1에 있어서는 어떠한 신호도 송신하지 않는다. 또, 각 리소스 블록에 있어서의 전력 감지 참조 신호의 위치에서는 직교하고 있기 때문에, 간섭 리소스 블록 RB2″ 및 RB3″를 송신할 때는, 인접 셀의 기지국 eNB2 및/또는 eNB3은, 제 2 층의 간섭 리소스 블록 RB3″에 있어서의 제 1 층의 간섭 리소스 블록 RB2″의 전력 감지 참조 신호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 W1′에 있어서 다시 펑처링을 행하고(도시하지 않음), 이것에 의해, 펑처링된 위치에서는 어떠한 신호도 송신하지 않는다. 이렇게 해서, 제 1 층의 간섭 리소스 블록 RB2″에 있어서의 전력 감지 참조 신호 W의 직교화가 실현된다. 즉, 본 명시된 실시예는, 전력 감지 참조 신호를 다층의 간섭 리소스 블록 내의 한 층에 설치하고, 이 한 층 이외의 다른 층의 간섭 리소스 블록에 있어서의 해당 전력 감지 참조 신호와 동일한 시간 주파수 위치에서 펑처링을 행하여, 어떠한 신호도 송신하지 않도록 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전력 감지 참조 신호는 복조 참조 신호의 전송을 위한 리소스 유니트를 점유하고 있으며, 다시 말하면, 전력 감지 참조 신호를 간섭 리소스 블록에 있어서의 복조 참조 신호의 시간 주파수 위치에 설치하고 있으며, 이와 같이 하여 데이터 전송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를 절약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동 단말 UE1이 서빙 기지국 eNB1로부터 서빙 신호를 수신하고, 및, 동일한 시간 주파수 리소스를 이용해 인접 셀의 기지국 eNB2 및/또는 eNB3으로부터 다층(예를 들면 2층)의 간섭 신호를 수신했을 때는, 이동 단말 UE1은 전력 감지 참조 신호 W의 위치에 있어서의 신호 전력을 측정할 수 있다. 전력 감지 참조 신호 W의 파형 지향성도는 제 1 층의 간섭 리소스 블록 RB2″ 및 제 2 층의 간섭 리소스 블록 RB3″ 각각의 파형 지향성도의 총 합과 동일하고, 리소스 유니트 W1 및 W1′에서는 어떠한 신호도 전송하지 않기 때문에, 측정된 신호 전력은 제 1 층의 간섭 리소스 블록 RB2″ 및 제 2 층의 간섭 리소스 블록 RB3″의 총 간섭 전력이다. 이렇게 해서, 이동 단말 UE1은 인접 셀 eNB2 및/또는 eNB3으로부터의 간섭 전력을 취득할 수 있다. 또, 측정된 인접 셀 eNB2 및/또는 eNB3으로부터의 간섭 전력이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하고 있으면, 이동 단말 UE1은 임계값을 초과한 해당 간섭 전력을 서빙셀 eNB1에 보고한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명시의 실시예에 의한 전력 감지 참조 신호의 복조 참조 신호의 위치로의 설치의 다른 도시(圖示)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도 12(a) 및 도 12(b)와 기본적으로 동일하며, 도 13(a) 및 도 13(b)에 있어서 도 12(a) 및 도 12(b)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여기에서는 재차 설명하지 않는다.
본 공개 실시예에 의하면, 전력 감지 참조 신호를 제 1 층의 간섭 리소스 블록 RB2″ 및 제 2 층의 간섭 리소스 블록 RB3″의 어느 것인가의 복조 참조 신호의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고, 위치를 점유당한 복조 참조 신호를 해당 간섭 리소스 블록의 다른 시간 주파수 위치에 설치한다. 도 13(b)에는, 전력 감지 참조 신호(W로 표시함)를 제 1 층의 간섭 리소스 블록 RB2″의 복조 참조 신호의 위치에 설치함과 동시에, 위치를 점유당한 복조 참조 신호(V로 표시함)를 해당 간섭 리소스 블록에 있어서의 데이터 신호의 전송을 위한 시간 주파수 위치에 설치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서빙셀의 기지국 eNB1은, 도 13(a)의 서빙 리소스 블록 RB1″에 있어서의 그물망 선으로 나타내는 리소스 유니트(W1로 표시함)에 나타내는 것처럼, 자신이 송신하는 리소스 블록 RB1″에 있어서의, 전력 감지 참조 신호 W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펑처링을 행한다. 즉, 서빙 리소스 블록 RB1″의 리소스 유니트 W1에 있어서는 어떠한 신호도 송신하지 않는다. 또, 각 리소스 블록에 있어서의 전력 감지 참조 신호의 위치에서는 직교하고 있기 때문에, 간섭 리소스 블록 RB2″ 및 RB3″를 송신할 때는, 인접 셀의 기지국 eNB2 및/또는 eNB3은, 제 2 층의 간섭 리소스 블록 RB3″에 있어서의 제 1 층의 간섭 리소스 블록 RB2″의 전력 감지 참조 신호 W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 W1′에 있어서 다시 펑처링을 행하고(도시하지 않음), 이것에 의해, 펑처링된 위치에서는 어떠한 신호도 송신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제 1 층의 간섭 리소스 블록 RB2″에 있어서의 전력 감지 참조 신호 W의 직교화가 실현된다. 즉, 본 명시의 실시예는, 전력 감지 참조 신호를 다층의 간섭 리소스 블록 중의 한 층에 설치하고, 이 한 층 이외의 다른 층의 간섭 리소스 블록에 있어서의 해당 전력 감지 참조 신호와 동일한 시간 주파수 위치에서 펑처링을 행하여, 어떠한 신호도 송신하지 않도록 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전력 감지 참조 신호는 복조 참조 신호의 전송을 위한 리소스 유니트를 점유하고 있고, 위치를 점유당한 복조 참조 신호를 해당 간섭 리소스 블록의 다른 시간 주파수 위치에 설치하고 있고, 단층 또는 다층의 간섭원에 대해서는, 본 방법은 어느 것도 펑처링의 오버헤드를 보지(保持) 또는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 복조시의 채널 추정의 정밀도를 저하시키는 일도 없다.
이동 단말 UE1이 서빙 기지국 eNB1로부터 서빙 신호를 수신하고, 및, 동일한 시간 주파수 리소스를 이용하여 인접 셀의 기지국 eNB2 및/또는 eNB3으로부터 다층(예를 들면 2층)의 간섭 신호를 수신했을 때는, 이동 단말 UE1은 전력 감지 참조 신호 W의 위치에 있어서의 신호 전력을 측정할 수 있다. 전력 감지 참조 신호 W의 파형 지향성도는 제 1 층의 간섭 리소스 블록 RB2″ 및 제 2 층의 간섭 리소스 블록 RB3″각각의 파형 지향성도의 총 합과 동일하여, 리소스 유니트 W1 및 W1′에서는 어떠한 신호도 전송하지 않기 때문에, 측정된 신호 전력은 제 1 층의 간섭 리소스 블록 RB2″ 및 제 2 층의 간섭 리소스 블록 RB3″의 총 간섭 전력이다. 이렇게 해서, 이동 단말 UE1은 인접 셀 eNB2 및/또는 eNB3으로부터의 간섭 전력을 취득할 수 있다. 또, 측정된 인접 셀 eNB2 및/또는 eNB3으로부터의 간섭 전력이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하고 있으면, 이동 단말 UE1은 임계값을 초과한 해당 간섭 전력을 서빙셀 eNB1에 보고한다.
본 공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간섭으로서의 2층의 리소스 블록 RB″(RB2″+RB3″과 동일함)에 있어서, 제 1 층의 리소스 블록 RB2″ 및 제 2 층의 리소스 블록 RB3″의 어느 것인가의 CSI 참조 신호의 위치를 점유하여 전력 감지 참조 신호를 송신하고, 서빙셀 eNB1에 의해 이동 단말 UE1에 송신되는 서빙 리소스 블록 RB1″의 대응 위치에서 펑처링을 행할 수 있다. 동시에, CSI 참조 신호가 점유된 간섭 리소스 블록에 대응하는 다른 층의 간섭 리소스 블록의 대응 위치에도 펑처링을 행하고 있고, 다시 말하면, CSI 참조 신호는 직교하고 있다. 즉, 전력 감지 참조 신호를 다층의 간섭 리소스 블록 내의 한 층에 설치하고, 이 한 층 이외의 다른 층의 리소스 블록에 있어서의 해당 전력 감지 참조 신호와 동일한 시간 주파수 위치에서 펑처링을 행하여, 어떠한 신호도 송신하지 않도록 한다. 여기서, 전력 감지 참조 신호는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위치를 점유하고 있고, 다시 말하면, 전력 감지 참조 신호를 간섭 리소스 블록에 있어서의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의 시간 주파수 위치에 설치하고 있으며, 이와 같이 하여 데이터 전송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를 한층 더 절약할 수 있다. 이 방법은 펑처링이 초래하는 오버헤드를 저감할 수 있고, 또, 인접 셀 내의 복조 정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일도 없다.
본 공개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간섭원으로서의 2층의 리소스 블록 RB2″ 및 RB3″에 있어서, 어느 층의 간섭 리소스 블록 RB2″ 또는 RB3″의 제어구 내의 위치를 점유하여 전력 감지 참조 신호를 송신하고, 서빙셀 eNB1에 의해 이동 단말 UE1에 송신되는 서빙 리소스 블록 RB1″의 대응의 위치에서 펑처링을 행하고, 위치를 점유당한 간섭 리소스 블록에 대응하는 다른 층의 간섭 리소스 블록의 대응 위치에 있어서도 펑처링을 행할 수 있다. 즉, 전력 감지 참조 신호를 다층의 간섭 리소스 블록 중의 한 층에 설치하고, 이 한 층 이외의 다른 층의 리소스 블록에 있어서의 해당 전력 감지 참조 신호와 동일한 시간 주파수 위치에서 펑처링을 행하여, 어떠한 신호도 송신하지 않도록 한다. 각 리소스 블록에 있어서 펑처링된 리소스 유니트에 있어서는 어떠한 데이터도 송신하지 않는다. 여기서, 전력 감지 참조 신호는 제어구 내의 위치를 점유하고 있으며, 환언하면, 전력 감지 참조 신호의 위치를 간섭 리소스 블록의 제어구 내에 설치하고 있으며, 이 방법은 펑처링이 초래하는 오버헤드를 저감할 수 있고, 인접 셀 내의 복조 정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일도 없고, 인접 셀의 채널 추정의 제도를 저하시키는 일도 없다. 그렇지만, 이 위치는, 사용 가능한 리소스 유니트가 제어구 내에 아직 있는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명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력 감지 참조 신호의 설치의 도시(圖示)이다. 도 14에 표시한 간섭 리소스 블록 RB″에 있어서, 4층의 간섭 리소스 블록을 나타내고, 각 층의 간섭 리소스 블록의 복조 참조 신호를 각각 L0, L1, L2, L3으로 표시하고, 또, 사선으로 표시하는 리소스 유니트로 Rel-8 RS 신호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전력 감지 참조 신호의 위치를 Rel-8 RS 신호와 분리시키는 것, 즉 전력 감지 참조 신호와 각 층의 간섭 리소스 블록에 있어서의 Rel-8 RS 참조 신호의 시간 주파수 위치를 서로 분리시킴으로써, 신호 수신 과정에 있어서 발생하는 불리한 영향을 방지하는 것을 생각해 볼 수 있다.
도 15는, 간섭이 인접 셀의 복수의 단말로부터 오는 경우의 전력 감지 참조 신호의 설치의 도시(圖示)이다. 간섭원이 인접 셀 기지국이 복수의 이동 단말 UE에 송신하는 신호일 때는, 간섭받는 이동 단말 UE1이 복수의 리소스 블록을 점거할(일반적으로는, 시간 및 주파수상에서 연속하는 몇 개인가의 리소스 블록을 포함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간섭받는 이동 단말 UE1의 다른 리소스 블록은, 인접 셀의 다른 이동 단말의 신호에 간섭받을 가능성이 있다. 이 상황에서, 인접 셀의 각 이동 단말이 모두 단층의 신호를 수신했다 하더라도, 서빙셀의 각 리소스 블록의 간섭은 다층일 가능성, 즉, 각 층의 리소스 블록이 인접 셀에 있어서의 다른 이동 단말의 신호로부터 올 가능성이 있다. 이 상황에서, 복수의 이동 단말의 신호로부터의 간섭은, 전력 감지 참조 신호를 이용해 근사(近似)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 설계 방법은, 도 15에 나타내는 것처럼, 다층 간섭 신호의 설계와 동일하다.
도 15에 있어서, 예를 들면 리소스 블록 RB1 및 RB1′는 서빙셀의 기지국 eNB1이 이동 단말 UE1에 송신하는, 대역상에서 연속된 2개의 서빙 리소스 블록이며, 리소스 블록 RB2 및 리소스 블록 RB3은 인접 셀 기지국, 예를 들면 eNB2가 다른 이동 단말 UE2 및 UE3에 각각 송신하는, 대역상에서 연속된 2개의 리소스 블록이다. 도 15에 있어서의 각 리소스 블록의 구조는 전술한 것과 동일하여, 여기서는 재차 설명하지 않는다. 도 15에 나타내는 상황에 있어서, 이동 단말 UE2 및 UE3은 각각 단층의 신호만을 수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서빙셀의 이동 단말 UE1에 대해서는, 도 15에 나타내는 특정한 시간 주파수 리소스상에서, 역시 인접 셀 eNB2로부터의, 2개의 이동 단말 UE2 및 UE3에 송신하는 신호의 간섭을 수신하고 있다. 이 상황에서, 인접 셀의 기지국 eNB2는 그 중의 일부분의 리소스 블록(예를 들면, 1개의 리소스 블록 RB3)상에만 전력 감지 참조 신호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전력 감지 참조 신호의 파형 지향성도는 이 두 층의 리소스 블록 RB2 및 RB3의 파형 지향성도의 총 합과 동일, 또는 근사적으로 동일할 것이다.
도 16은, 간섭이 인접 셀의 복수의 단말로부터 오는 경우의 전력 감지 참조 신호 설치의 다른 예시의 도시(圖示)이다. 도 16에 나타내는 것처럼, 좌측의 복수의 리소스 블록은 서빙셀의 기지국 eNB1이 그 이동 단말 UE1에 송신하는 서빙 리소스 블록이며, 우측의 사선(斜線)으로 표시하는 리소스 블록은 인접 셀 eNB2가 그 중의 이동 단말 UE2에 송신하는 리소스 블록이며, 우측의 횡선(橫線)으로 표시하는 리소스 블록은 인접 셀 eNB2가 그 중의 이동 단말 UE3에 송신하는 리소스 블록이다. 이 상황에서, 인접 셀의 기지국 eNB2는 그 중의 일부분의 리소스 블록상에만 전력 감지 참조 신호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전력 감지 참조 신호의 파형 지향성도는 이동 단말 UE2 및 UE3에 송신하는 모든 리소스 블록의 파형 지향성도의 총 합과 동일할 것이다.
도 17은, 인접 셀 내에 복수의 이동 단말이 존재할 때의 간섭 리소스 블록의 발생의 도시(圖示)이다. 오버헤드 저감을 고려하여, 모든 간섭 리소스 블록 내에 전력 감지 참조 신호의 설치가 필요한 것은 아니다. 이 상황에서, 서로 떨어진 몇 개인가의 리소스 블록에는 1개의 전력 감지 참조 신호가 설치되어 있을 것이고, 전력 감지 참조 신호의 밀도에 대해서, 일종의 옵션은 확정적인 밀도이고, 기지국 내의 신호 스케줄러의 유형 및 이동 단말의 리소스 블록의 할당 정도(인접, 또는 인접하지 않는)에 상관없이, 전력 감지 참조 신호의 밀도는 항상 한결같다. 또 일종의 옵션은 조정 가능한 밀도이고, 예를 들면, 인접하는 리소스 블록의 할당에 대해서는, 전력 감지 참조 신호의 밀도는 비교적 느슨하고, 반대로 인접하지 않는 리소스 블록의 할당에 대해서는, 전력 감지 참조 신호의 밀도는 비교적 긴밀하다. 밀도를 조정할 수 있는 해결 수단에 대해서는, 피간섭 셀에 새로운 전력 감지 참조 신호의 밀도를 통지할 수 있도록, 일반적으로 밀도 조정은 너무 빨라서는 안 된다.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른 선(線)을 이용해 표시하는 리소스 블록은 각각 다른 이동 단말의 리소스 블록이고, 이러한 리소스 블록은 시간 및 주파수상에서 연속하고 있으며, "○"은 전력 감지 참조 신호를 구비한 리소스 블록을 나타낸다. 이 상황에서는, 시간 주파수에서 연속된 복수의 간섭 리소스 블록에 있어서, 일정한 시간 주파수 간격으로 전력 감지 참조 신호를 설치한다.
또, 간섭 셀이 1보다 많은 때는, 각 셀의 전력 감지 참조 신호는 적절한 다중 메카니즘을 가져야만 한다. 시간 분할 또는 주파수 분할 또는 부호 분할의 다중 메카니즘에 기초하여, 전력 감지 참조 신호를 다중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8은, 본 명시의 실시예를 실현하기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본 배치의 도시(圖示)이다. 도 18에 나타내는 것처럼, 본 공개 실시예의 무선 통신 시스템은, 서빙셀 및 인접 셀을 포함하고, 서빙셀 및 인접 셀은 서빙 기지국 eNB1 및 인접 기지국 eNB2를 포함하고 있다. 서빙셀의 이동 단말 UE1은, 동일한 시간 주파수 리소스를 이용하여 서빙 기지국 eNB1로부터 서빙 리소스 블록을 수신함과 동시에, (도면 내에서 파선으로 나타내는 것처럼) 인접 기지국 eNB2로부터 간섭 리소스 블록을 수신한다. 도 18에 나타내는 무선 통신 시스템 내에는, 서빙 기지국 eNB1 내에 배치되는 펑처링 장치(181)와, 인접 기지국 eNB2 내에 배치되는 설치 장치(182)를 더 포함한다. 서빙 기지국 eNB1 및 인접 기지국 eNB2라고 하는 것은 상대적인 표현에 지나지 않고, 이동 단말 UE2에 대해서는, eNB2가 서빙 기지국, eNB1이 인접 기지국이기 때문에, 설치 장치(182) 및 펑처링 장치(181)는, 기지국 eNB1 및 eNB2 내에 각각 배치되어도 된다. 기지국 eNB1 및 eNB2 내에는, 설치 장치(182) 및 펑처링 장치(181) 이외에, 예를 들면 설치 장치(182) 및 펑처링 장치(18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장치 등의 다른 복수의 수단이 더 포함되는데, 그런 것은 구조상은 종래 기술의 기지국 장치와 동일해도 좋기 때문에, 여기서는 상세한 기술(記述)을 생략한다.
본 공개의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기지국 eNB2의 설치 장치(182)는, 그 이동 단말 UE2에 송신하는 리소스 블록(UE1에 있어서는 간섭 리소스 블록) 내에 사용자 고유 참조 신호를 설치하고, 이 사용자 고유 참조 신호는, 해당 리소스 블록에 있어서의 복조 참조 신호이어도 좋고, 위에 설명한 단독으로 설계된 전력 감지 참조 신호이어도 좋다. 기지국 eNB1, eNB2 사이의 통신(당업자가 실현 가능한 어떤 형식이어도 좋음)을 경유하여, 기지국 eNB1은 기지국 eNB2에 의해 간섭 리소스 블록 내에 설치된 사용자 고유 참조 신호의 시간 주파수 위치를 취득하고, 기지국 eNB1 내의 펑처링 장치(181)는, 서빙 기지국 eNB1에 의해 이동 단말 UE1에 송신되는, 간섭 리소스 블록과 동일한 시간 주파수 리소스를 구비하는 서빙 리소스 블록에 있어서, 해당 간섭 리소스 블록상에서 사용자 고유 참조 신호가 설치되어 있는 시간 주파수 위치와 동일한 시간 주파수 위치에 펑처링을 행하고, 펑처링된 시간 주파수 위치에서는 어떠한 신호도 전송하지 않도록 한다.
이동 단말 UE1은, 동일한 시간 주파수 리소스로 해당 서빙 리소스 블록 및 간섭 리소스 블록을 수신한 후에, 인접 셀의 기지국 eNB2로부터 수신한 간섭 전력으로서, 펑처링된 시간 주파수 위치에서, 설치된 사용자 고유 참조 신호의 전력을 측정한다. 측정된 인접 셀의 기지국 eNB2로부터의 간섭 전력이, 어느 소정의 임계값(시스템의 요구에 맞추어 설치 가능)을 초과하고 있으면, 이동 단말 UE1은 서빙셀의 기지국 eNB1에 보고하고, 즉, 측정된 간섭 전력을 서빙셀의 기지국 eNB1에 보고하고, 초과하고 있지 않으면, 측지(測地)된 간섭 전력을 서빙셀의 기지국 eNB1에 보고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기지국 eNB2가 존재하는 셀을 서빙셀로 하고, 기지국 eNB1이 존재하는 셀을 인접 셀로 했을 때는, 서빙셀에 있어서의 이동 단말 UE2에 대해서는, 기지국 eNB1 내에 배치된 설치 장치 및 기지국 eNB2 내에 배치된 펑처링 장치가 상기 방식으로 동작한다. 여기서는 재차 설명하지 않는다.
또, 인접 셀은 1개에 한하지 않고, 시스템 내에 존재할 수 있는 임의의 수량이어도 된다.
도 19는, 본 명시의 실시예를 실현하기 위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9에 나타내는 흐름도의 단계 S1901에서는, 인접 셀의 간섭 리소스 블록 내에 사용자 고유 참조 신호를 설치한다. 도 19에 나타내는 단계 S1902에서는, 서빙셀의 서빙 리소스 블록에 있어서의, 간섭 리소스 블록상에서 사용자 고유 참조 신호가 설치되어 있는 시간 주파수 위치와 동일한 시간 주파수 위치에 펑처링을 행하고, 펑처링된 시간 주파수 위치에서는 어떠한 신호도 전송하지 않도록 한다. 단계 S1903에서는, 펑처링된 시간 주파수 위치에서, 사용자 고유 참조 신호의 전력을, 인접 셀로부터 수신하는 간섭 전력으로서 측정한다. 단계 S1904에서는, 측정된 간섭 전력이 소정의 임계값보다 큰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측정된 인접 셀로부터의 간섭 전력이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하고 있는 경우에는, 공정은 단계 S1905로 진행되고, 단계 S1905에 있어서, 해당 간섭 전력을 서빙셀에 보고한다.
상기의 단계 S1901은 인접 셀의 기지국 eNB2 내에 배치된 예를 들면 설치 장치(182)에 의해 실현되고, 단계 S1902는 서빙셀의 기지국 eNB1 내에 배치된 예를 들면 펑처링 장치(181)에 의해 실현되고, 단계 S1903, 단계 S1904 및 단계 S1905는 예를 들면 서빙셀 eNB1의 이동 단말 UE1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공개 실시예의 방법은 또, 사용자 고유 참조 신호를 다층의 간섭 리소스 블록 중의 한 층에 설치하고, 이 한 층 이외의 다른 층의 간섭 리소스 블록에 있어서의 해당 사용자 고유 참조 신호와 동일한 시간 주파수 위치에서 펑처링을 행하여, 어떠한 신호도 송신하지 않게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공개 실시예의 방법은 또, 사용자 고유 참조 신호를 간섭 리소스 블록 중의 복조 참조 신호로서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공개 실시예의 방법은 또, 사용자 고유 참조 신호를 간섭 리소스 블록 내의 고유의 복조 참조 신호 이외의 새로운 복조 참조 신호로서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공개 실시예의 방법은 또, 전력 감지 참조 신호의 파형 지향성도를 간섭 리소스 블록 내의 전 신호의 파형 지향성도의 총 합으로서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공개 실시예의 방법은 또, 전력 감지 참조 신호를 간섭 리소스 블록 내의 데이터 신호의 시간 주파수 위치에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공개 실시예의 방법은 또, 전력 감지 참조 신호를 간섭 리소스 블록 내의 복조 참조 신호의 시간 주파수 위치에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공개 실시예의 방법은 또, 위치를 점유당한 복조 참조 신호를 다른 시간 주파수 위치에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공개 실시예의 방법은 또, 전력 감지 참조 신호를 간섭 리소스 블록 중의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의 시간 주파수 위치에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공개 실시예의 방법은 또, 전력 감지 참조 신호의 위치를 간섭 리소스 블록의 제어구 내에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공개 실시예의 방법은 또, 전력 감지 참조 신호와 간섭 리소스 블록 내의 Rel-8 RS 참조 신호의 시간 주파수 위치를 서로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공개 실시예의 방법은 또, 해당 인접 셀의 기지국 내에서 프리코딩 벡터 데이터베이스를 탐색해서, 간섭 리소스 블록의 각 층의 신호의 전체의 파형 지향성도에 가장 합치하는 프리코딩 벡터를 찾아내어, 전력 감지 참조 신호의 프리코딩 벡터로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공개 실시예의 방법은 또, 코드북에 기초하여 각 층의 신호의 프리코딩 벡터를 설치함과 동시에, 해당 전력 감지 참조 신호에 대응하는 프리코딩 벡터를 미리 기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공개 실시예의 방법은 또, 간섭 리소스 블록에 있어서의 각 층의 신호의 파형 지향성도를 산출함과 동시에, 각 층의 파형 지향성도를 겹쳐 맞추어, 해당 전력 감지 참조 신호의 파형 지향성도로 하고, 그 후, 해당 전력 감지 참조 신호의 파형 지향성도에 기초하여 스펙트럼 분해를 행하여, 해당 전력 감지 참조 신호의 프리코딩 벡터를 취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공개 실시예의 방법은 또, 시간 주파수가 연속된 복수의 간섭 리소스 블록에 있어서, 소정의 시간 주파수 간격으로 해당 전력 감지 참조 신호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각 단계는 인접 셀의 기지국 eNB2 내에 배치된 예를 들면 설치 장치(182)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공개 실시예의 적응 피드백 방식에 의하면, 상향의 피드백 오버헤드는 효과적으로 저감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 UE가 싱글 수신 안테나이고, 2개의 기지국이 각각 4개의 송신 안테나라고 가정하면, 안테나 간격은 안테나 사이의 페이딩(fading)이 독립 페이딩인 것을 보증한다. 기지국 측에 전부의 채널 정보가 있고, 송신은 최대비(最大比) 송신이라고 가정한다. 이 경우, 적응 피드백 방식이 피드백 오버헤드를 아래의 표와 같이 저감 가능한 것이 1개의 간단한 시뮬레이션에 의해 도출된다.
Figure 112011083873960-pct00010
인접 셀의 간섭 전력을 측정하는 방법은, 협조식 빔 형성의 피드백 오버헤드의 저감에 이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다른 시스템 성능의 향상이나 다른 오버헤드의 저감을 위해서, 다른 통신 시스템에 응용할 수 있는 것은, 당업자에 있어서 자명하다.
본원에 있어서의 상기의 각 실시예는 실례로서의 기술(記述)에 불과하고, 각 실시예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은, 본 공개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는 상기의 각 실시예에 있어서의 다른 부분이나 동작을 재조합하여, 새로운 실시 방식을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며, 동일하게 본 공개 사상(思想)에 적합하다.
본 공개 실시예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및 그들의 조합 방식으로 실현될 수 있지만, 실현 방식은 본 공개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공개 실시예에 있어서의 각 기능 소자(수단) 상호간의 접속 관계는, 본 공개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고, 이 중 1개 또는 복수의 소자는, 다른 임의의 기능 소자를 포함하거나 다른 임의의 기능 소자에 접속하거나 해도 된다.
상기에서는 도면을 조합하여 본 공개의 몇 가지 실시예를 나타내어, 설명했지만, 본 공개의 원칙 및 정신을 일탈하는 일 없이, 이들 실시예에 대해서 변경 및 수정을 행하는 것은 가능하며, 여전히 본 공개의 청구의 범위 및 그 등가물의 범위 내에 들어가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Claims (34)

  1. 셀 내의 단말에 데이터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서빙 리소스 블록과 동일한 시간대 및 동일한 주파수대를 이용하여 송신되는 복수의 간섭 리소스 블록 중 어느 하나의 간섭 리소스 블록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하나의 간섭 리소스 블록을 구성하는 복수의 리소스 유니트 중 적어도 하나의 제 1 리소스 유니트에 참조 신호를 배치하되, 상기 참조 신호는 상기 단말이 상기 복수의 간섭 리소스 블록의 총 전력을 추정하기 위한 신호이고, 상기 복수의 간섭 리소스 블록의 각각의 신호의 파형 지향성도의 총 합과 같게 되도록 설정된 파형 지향성도를 갖고, 상기 서빙 리소스 블록에 있어서, 상기 서빙 리소스 블록을 구성하는 복수의 리소스 유니트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리소스 유니트와 동일한 시간 주파수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리소스 유니트에는 신호를 배치하지 않는 배치 공정과,
    상기 단말에 대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간섭 리소스 블록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리소스 유니트에 배치된 상기 참조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서빙 리소스 블록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리소스 유니트에서는 신호를 송신하지 않는 송신 공정을 포함하는
    참조 신호 배치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간섭 리소스 블록의 총 전력은 하나 또는 복수의 인접 셀로부터의 총 간섭 전력인, 참조 신호 배치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셀은 하나 또는 복수의 인접 셀과의 협조 송신을 행하는, 참조 신호 배치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셀은 하나 또는 복수의 인접 셀과의 협조식 빔 형성을 행하는, 참조 신호 배치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 공정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하나의 간섭 리소스 블록 이외의 간섭 리소스 블록의 각각에 있어서, 각 간섭 리소스 블록을 구성하는 복수의 리소스 유니트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리소스 유니트와 동일한 시간 주파수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 3 리소스 유니트에는 신호를 배치하지 않는, 참조 신호 배치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상기 참조 신호에 기초해서 추정한 상기 복수의 간섭 리소스 블록의 총 전력의 값을 포함하는 채널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 공정을 더 갖는, 참조 신호 배치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리소스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상기 어느 하나의 간섭 리소스 블록에 있어서 송신된 참조 신호에 기초해서 측정한 채널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 공정을 더 갖는, 참조 신호 배치 방법.
  8. 삭제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하나의 간섭 리소스 블록 및 상기 서빙 리소스 블록의 각각을 구성하는 복수의 리소스 유니트는, 제어 신호의 송신에 이용되는 복수의 리소스 유니트와, 상기 데이터 신호의 송신에 이용되는 복수의 리소스 유니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배치 공정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하나의 간섭 리소스 블록에 있어서는 상기 데이터 신호의 송신에 이용되는 복수의 리소스 유니트 중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리소스 유니트를 선택하고, 상기 서빙 리소스 블록에 있어서는 상기 데이터 신호의 송신에 이용되는 복수의 리소스 유니트 중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리소스 유니트를 선택하는
    참조 신호 배치 방법.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 공정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하나의 간섭 리소스 블록을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리소스 유니트 중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유니트에 Rel-8 참조 신호를 배치하고, 상기 Rel-8 참조 신호가 배치되는 리소스 유니트와는 다른 리소스 유니트에 상기 참조 신호를 배치하는, 참조 신호 배치 방법.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하나의 간섭 리소스 블록을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리소스 유니트는, 복조 참조 신호의 송신에 이용되는 리소스 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배치 공정에 있어서, 상기 복조 참조 신호의 송신에 이용되는 리소스 유니트에 상기 참조 신호를 배치하는
    참조 신호 배치 방법.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하나의 간섭 리소스 블록을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리소스 유니트는, 복조 참조 신호의 송신에 이용되는 리소스 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배치 공정에 있어서, 상기 복조 참조 신호의 송신에 이용되는 리소스 유니트와는 다른 리소스 유니트에 상기 참조 신호를 배치하는
    참조 신호 배치 방법.
  1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 공정에 있어서, 상기 참조 신호를 소정의 간격을 갖는 복수의 리소스 블록에 배치하는, 참조 신호 배치 방법.
  1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신호는 전력 감지 참조 신호인, 참조 신호 배치 방법.
  15. 셀 내의 단말에 데이터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서빙 리소스 블록과 동일한 시간대 및 동일한 주파수대를 이용하여 송신되는 복수의 간섭 리소스 블록 중 어느 하나의 간섭 리소스 블록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하나의 간섭 리소스 블록을 구성하는 복수의 리소스 유니트 중 적어도 하나의 제 1 리소스 유니트에 배치된 참조 신호와, 상기 서빙 리소스 블록에 있어서, 상기 서빙 리소스 블록을 구성하는 복수의 리소스 유니트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리소스 유니트와 동일한 시간 주파수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리소스 유니트 이외의 리소스 유니트에 배치된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리소스 유니트에는 신호가 배치되지 않고, 상기 참조 신호는 상기 단말이 상기 복수의 간섭 리소스 블록의 총 전력을 추정하기 위한 신호이며, 상기 복수의 간섭 리소스 블록의 각각의 신호의 파형 지향성도의 총 합과 같게 되도록 설정된 파형 지향성도를 갖는, 수신 공정과,
    상기 참조 신호에 기초해서, 상기 복수의 간섭 리소스 블록의 총 전력의 값을 포함하는 채널 정보를 측정하는 측정 공정을 포함하는
    채널 정보 측정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간섭 리소스 블록의 총 전력은 하나 또는 복수의 인접 셀로부터의 총 간섭 전력인, 채널 정보 측정 방법.
  17.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셀은 하나 또는 복수의 인접 셀과의 협조 송신을 행하는, 채널 정보 측정 방법.
  18.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셀은 하나 또는 복수의 인접 셀과의 협조식 빔 형성을 행하는, 채널 정보 측정 방법.
  19.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하나의 간섭 리소스 블록 이외의 간섭 리소스 블록의 각각에 있어서, 각 간섭 리소스 블록을 구성하는 복수의 리소스 유니트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리소스 유니트와 동일한 시간 주파수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 3 리소스 유니트에는 신호가 배치되지 않는, 채널 정보 측정 방법.
  20.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하나의 간섭 리소스 블록 및 상기 서빙 리소스 블록의 각각을 구성하는 복수의 리소스 유니트는, 제어 신호의 송신에 이용되는 복수의 리소스 유니트와, 상기 데이터 신호의 송신에 이용되는 복수의 리소스 유니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신 공정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하나의 간섭 리소스 블록에 있어서는 상기 데이터 신호의 송신에 이용되는 복수의 리소스 유니트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리소스 유니트가 선택되고, 상기 서빙 리소스 블록에 있어서는 상기 데이터 신호의 송신에 이용되는 상기 복수의 리소스 유니트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리소스 유니트가 선택되는
    채널 정보 측정 방법.
  21.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공정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하나의 간섭 리소스 블록을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리소스 유니트 중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유니트에 배치된 Rel-8 참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Rel-8 참조 신호가 배치된 리소스 유니트와는 다른 리소스 유니트에 배치된 상기 참조 신호를 수신하는, 채널 정보 측정 방법.
  22.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하나의 간섭 리소스 블록을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리소스 유니트는 복조 참조 신호의 송신에 이용되는 리소스 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 공정에 있어서, 상기 복조 참조 신호의 송신에 이용되는 리소스 유니트에 배치된 상기 참조 신호를 수신하는
    채널 정보 측정 방법.
  23.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하나의 간섭 리소스 블록을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리소스 유니트는 복조 참조 신호의 송신에 이용되는 리소스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 공정에 있어서, 상기 복조 참조 신호의 송신에 이용되는 리소스 유니트와는 다른 리소스 유니트에 배치된 상기 참조 신호를 수신하는
    채널 정보 측정 방법.
  24.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공정에 있어서, 소정의 간격을 갖는 복수의 리소스 블록에 배치된 상기 참조 신호를 수신하는, 채널 정보 측정 방법.
  25.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신호는 전력 감지 참조 신호인, 채널 정보 측정 방법.
  2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참조 신호 배치 방법을 실행하는 기지국 장치.
  27. 청구항 15 또는 청구항 16에 기재된 채널 정보 측정 방법을 실행하는 단말 장치.
  28. 셀 내의 단말에 데이터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서빙 리소스 블록과 동일한 시간대 및 동일한 주파수대를 이용하여 송신되는 복수의 간섭 리소스 블록 중 어느 하나의 간섭 리소스 블록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하나의 간섭 리소스 블록을 구성하는 복수의 리소스 유니트 중 적어도 하나의 제 1 리소스 유니트에 참조 신호를 배치하고, 상기 참조 신호는 상기 단말이 상기 복수의 간섭 리소스 블록의 총 전력을 추정하기 위한 신호이고, 상기 복수의 간섭 리소스 블록의 각각의 신호의 파형 지향성도의 총 합과 같게 되도록 설정된 파형 지향성도를 갖고, 상기 서빙 리소스 블록에 있어서, 상기 서빙 리소스 블록을 구성하는 복수의 리소스 유니트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리소스 유니트와 동일한 시간 주파수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리소스 유니트에는 신호를 배치하지 않는 배치 수단과,
    상기 단말에 대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간섭 리소스 블록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리소스 유니트에 배치된 상기 참조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서빙 리소스 블록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리소스 유니트에서는 신호를 송신하지 않는 송신 수단을 포함하는
    기지국 장치.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간섭 리소스 블록의 총 전력은 하나 또는 복수의 인접 셀로부터의 총 간섭 전력인, 기지국 장치.
  30. 제 28 항 또는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상기 참조 신호에 기초해서 추정한 상기 복수의 간섭 리소스 블록의 총 전력의 값을 포함하는 채널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 수단을 더 갖는, 기지국 장치.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 수단은, 상기 어느 하나의 간섭 리소스 블록 이외의 간섭 리소스 블록의 각각에 있어서, 각 간섭 리소스 블록을 구성하는 복수의 리소스 유니트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리소스 유니트와 동일한 시간 주파수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 3 리소스 유니트에는 신호를 배치하지 않는, 기지국 장치.
  32. 삭제
  33. 셀 내의 단말에 데이터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서빙 리소스 블록과 동일한 시간대 및 동일한 주파수대를 이용하여 송신되는 복수의 간섭 리소스 블록 중 어느 하나의 간섭 리소스 블록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하나의 간섭 리소스 블록을 구성하는 복수의 리소스 유니트 중 적어도 하나의 제 1 리소스 유니트에 배치된 참조 신호와, 상기 서빙 리소스 블록에 있어서, 상기 서빙 리소스 블록을 구성하는 복수의 리소스 유니트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리소스 유니트와 동일한 시간 주파수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리소스 유니트 이외의 리소스 유니트에 배치된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리소스 유니트에는 신호가 배치되지 않고, 상기 참조 신호는 상기 단말이 상기 복수의 간섭 리소스 블록의 총 전력을 추정하기 위한 신호이며, 상기 복수의 간섭 리소스 블록의 각각의 신호의 파형 지향성도의 총 합과 같게 되도록 설정된 파형 지향성도를 갖는, 수신 수단과,
    상기 참조 신호에 기초해서, 상기 복수의 간섭 리소스 블록의 총 전력의 값을 포함하는 채널 정보를 측정하는 측정 수단을 포함하는
    단말 장치.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하나의 간섭 리소스 블록 이외의 간섭 리소스 블록의 각각에 있어서, 각 간섭 리소스 블록을 구성하는 복수의 리소스 유니트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리소스 유니트와 동일한 시간 주파수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 3 리소스 유니트에는 신호가 배치되지 않는, 단말 장치.
KR1020117025317A 2009-04-27 2010-04-09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참조 신호를 설치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6804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0910136073.2 2009-04-27
CN200910136073A CN101873601A (zh) 2009-04-27 2009-04-27 在无线通信系统中设置参考信号的方法以及系统
PCT/CN2010/071663 WO2010124553A1 (zh) 2009-04-27 2010-04-09 在无线通信系统中设置参考信号的方法以及系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6614A KR20120016614A (ko) 2012-02-24
KR101680400B1 true KR101680400B1 (ko) 2016-11-28

Family

ID=42998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5317A KR101680400B1 (ko) 2009-04-27 2010-04-09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참조 신호를 설치하는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8) US8825095B2 (ko)
EP (3) EP3337211B1 (ko)
JP (1) JP5591913B2 (ko)
KR (1) KR101680400B1 (ko)
CN (3) CN101873601A (ko)
BR (2) BRPI1016053B1 (ko)
CA (1) CA2760109C (ko)
MY (1) MY166137A (ko)
RU (1) RU2539577C2 (ko)
WO (1) WO2010124553A1 (ko)
ZA (1) ZA20110782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431357B (zh) * 2007-11-08 2012-11-07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数据传输的方法和装置
JP5426023B2 (ja) * 2009-06-23 2014-02-26 アルカテル−ルーセント チャネル状態情報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9295014B2 (en) * 2010-04-16 2016-03-22 Qualcomm Incorporated Diminishing the impact of timing delay in downlink signals
WO2012115445A2 (en) 2011-02-22 2012-08-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equipment and power control method for random access
KR101910475B1 (ko) * 2011-02-22 2018-10-24 삼성전자 주식회사 단말 및 그 단말에서 랜덤 억세스 수행을 위한 전력 제어 방법
CN102761911B (zh) * 2011-04-26 2015-07-29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解调参考信号的发送方法及装置、接收方法及装置
US9325401B2 (en) * 2011-05-13 2016-04-26 Fujitsu Limited Beamforming from multiple transmission sites
CN102291811B (zh) * 2011-08-11 2013-11-20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上行功率控制方法和设备
CN103002526B (zh) * 2011-09-13 2015-06-03 华为技术有限公司 小区切换的控制和测量方法、装置及系统
US9002345B2 (en) 2011-10-12 2015-04-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feedback inform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130039644A (ko) * 2011-10-12 2013-04-22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의 피드백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9509417B2 (en) * 2011-10-13 2016-11-29 Lg Electronics Inc. Method in which a terminal transceives a sig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same
US9369890B2 (en) * 2011-11-07 2016-06-14 Ntt Docomo, Inc. Radio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apparatus, mobile terminal apparatus and interference measurement method
CN104221301B (zh) * 2012-04-10 2018-08-28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在移动通信系统中发送和接收反馈信号的方法和装置
WO2013172746A1 (en) 2012-05-16 2013-11-2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rrange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3172760A1 (en) 2012-05-16 2013-11-2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arrange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3797834B (zh) * 2012-06-04 2017-09-1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测量信号接收功率的方法、终端、基站及系统
US9014109B2 (en) * 2012-06-05 2015-04-21 Hitachi,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bit-level PDSCH muting and/or receiver puncturing in LTE-advanced heterogeneous networks
US9439096B2 (en) * 2012-08-13 2016-09-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to support channel refinement and multi-stream transmission in millimeter wave systems
JP2014131201A (ja) * 2012-12-28 2014-07-10 Ntt Docomo Inc 無線基地局、ユーザ端末、無線通信方法、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WO2014112825A1 (ko) * 2013-01-18 2014-07-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간섭 제거를 지원하기 위한 자원 할당 방법 및 서빙셀 기지국
US8989152B1 (en) * 2013-02-12 2015-03-24 Sprint Spectrum L.P. Systems and methods for symmetrical implementation of inter-cell interference coordination (ICIC) in a radio access network (RAN)
US9136984B2 (en) * 2013-03-20 2015-09-15 Google Inc. Multi-listener wireless medium access method
CN105308889B (zh) 2013-06-19 2018-04-06 Lg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干扰消除的方法及其设备
US9479298B2 (en) 2013-07-08 2016-10-25 Intel IP Corporation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s (DMRS)for side information for interference cancellation
JP6110265B2 (ja) * 2013-09-26 2017-04-05 京セラ株式会社 基地局及びユーザ端末
CN115483956A (zh) * 2014-11-26 2022-12-16 Idac控股公司 高频无线系统中的初始接入
WO2016121251A1 (ja) * 2015-01-29 2016-08-04 ソニー株式会社 装置及び方法
US10306597B2 (en) * 2015-07-21 2019-05-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beam-level radio resource management and mobility in cellular network
US10374777B2 (en) * 2015-08-31 2019-08-06 Qualcomm Incorporated Control signaling in a shared communication medium
US10129859B2 (en) * 2015-10-15 2018-11-13 Qualcomm Incorporated Uplink control channel for low latency communications
JP6800982B2 (ja) * 2015-12-30 2020-12-16 アイディーエーシー 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マルチrat wtruにおける干渉の処理
TWI751181B (zh) * 2016-07-22 2022-01-01 華碩電腦股份有限公司 無線通訊系統中使用波束成形傳送或接收的方法和設備
CN109561433B (zh) * 2016-08-10 2020-03-20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信道发送和接收方法、网络设备及终端
US20180083750A1 (en) * 2016-09-22 2018-03-22 Mediatek Inc. Design For Communication Systems Suffering Burst Error
CN108430071B (zh) * 2017-02-14 2020-06-16 深圳市中兴微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干扰的检测方法及装置
WO2018170863A1 (zh) * 2017-03-23 2018-09-2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波束避让方法及基站
CN108933640A (zh) * 2017-05-24 2018-12-0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干扰协调方法、终端、基站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TWI696372B (zh) * 2017-06-16 2020-06-11 聯發科技股份有限公司 干擾測量方法及裝置
CN110892689A (zh) * 2017-07-13 2020-03-17 株式会社Ntt都科摩 用户终端以及无线通信方法
EP3665792A1 (en) 2017-08-09 2020-06-17 IDAC Holding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beam recovery and management
WO2019030934A1 (ja) * 2017-08-10 2019-02-14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装置、及び測定方法
CN107484192B (zh) * 2017-09-06 2021-01-2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功率处理方法及装置、存储介质
US11558163B2 (en) * 2018-06-02 2023-01-1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ing in LTE/NR coexistence
JP7260762B2 (ja) * 2019-03-26 2023-04-19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通信制御装置、通信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210067461A (ko) * 2019-11-29 2021-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적으로 주파수 자원을 공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23209438A1 (en) * 2022-04-29 2023-11-02 Lenovo (Singapore) Pte. Ltd. Apparatuses and methods for sensing reference signal multiplexing via superimposition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5402B1 (ko) 2000-11-07 2007-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비동기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하향 공유 채널에 사용하는 송신 형식 결합 지시기의 전송 장치 및 방법
US6785341B2 (en) * 2001-05-11 2004-08-3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data in a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communication system utiliz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WO2004077728A2 (en) 2003-02-24 2004-09-10 Flarion Technologies, Inc. Pilot signals for use in multi-sector cells
US7049988B1 (en) 2004-05-25 2006-05-23 Cirrus Logic,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lock mode determination utilizing a fixed-frequency reference signal
US8085875B2 (en) * 2004-07-16 2011-12-27 Qualcomm Incorporated Incremental pilot insertion for channnel and interference estimation
JP4642563B2 (ja) 2005-06-29 2011-03-0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Fsk受信装置
US7751510B2 (en) * 2005-07-26 2010-07-06 Qualcomm Incorporated Simplified channel and interference estimation with dedicated pilot tones for OFDMA
CN101047486B (zh) * 2006-06-23 2010-07-0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干扰检测方法
US8369424B2 (en) * 2006-07-14 2013-02-05 Qualcomm Incorporated Frequency selective and frequency diversity transmission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1123599B (zh) * 2006-08-11 2010-04-21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及数据传输系统和装置
CN101174851B (zh) * 2006-11-03 2012-11-21 华为技术有限公司 邻站干扰检测、干扰邻站识别的方法和装置
US8259603B2 (en) * 2006-12-05 2012-09-04 Nec Corporation Cellular system, communication path quality measuring method, base station, and mobile station
CN101267664B (zh) * 2007-03-15 2012-04-2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参考信号的资源分配和发射方法及装置
KR101140495B1 (ko) * 2007-06-21 2012-06-01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E-utran에 대한 핸드오버 관련 측정 보고
US8948093B2 (en) * 2007-10-02 2015-02-03 Apple Inc. Rank adaptation for an open loop multi-antenna mode of wireless communication
US8351949B2 (en) * 2007-10-16 2013-01-08 Mediatek Inc. Configuring radio resource allocation and scheduling mobile station mechanism for frequency reuse in cellular OFDMA systems
KR20090093758A (ko) * 2008-02-29 2009-09-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효율적인 전력 부스팅 방법
KR101349830B1 (ko) * 2008-03-05 2014-0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간섭 측정 방법
US8675537B2 (en) 2008-04-07 2014-03-1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MBSFN subframes to send unicast information
CN101394263B (zh) 2008-10-29 2012-02-2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上行信道测量参考信号及其带宽范围频域位置的映射方法
EP3179665B1 (en) * 2008-11-04 2021-05-19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743823B2 (en) * 2009-02-12 2014-06-03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ssion with collision detection and mitig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KR101753391B1 (ko) * 2009-03-30 2017-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US9037180B2 (en) * 2011-05-19 2015-05-19 Qualcomm Incorporated Measurements and information gathering in a wireless network environment
US9332523B2 (en) * 2013-05-10 2016-05-03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of offloaded positioning for determining location of WLAN nodes
US9445227B2 (en) * 2013-08-30 2016-09-13 Qualcomm Incorporated Passive positioning utilizing round trip time information
US20150215821A1 (en) * 2014-01-29 2015-07-3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TIME-OF-DEPARTURE (ToD) ADJUSTMENT BASED ON TIME-OF-ARRIVAL (ToA) CORRECTION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Fujitsu, ‘DL Reference Signal Design for 8X8 MIMO in LTE-Advanced’, 3GPP TSG-RAN1 #56, R1-090706, Athens, Greece, February 9-13, 200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PI1016053A8 (pt) 2017-07-11
EP2426971A4 (en) 2017-01-11
US11563540B2 (en) 2023-01-24
KR20120016614A (ko) 2012-02-24
JP5591913B2 (ja) 2014-09-17
US20200119876A1 (en) 2020-04-16
CA2760109C (en) 2016-01-26
JP2012525022A (ja) 2012-10-18
MY166137A (en) 2018-06-06
US20210234655A1 (en) 2021-07-29
RU2539577C2 (ru) 2015-01-20
US11916829B2 (en) 2024-02-27
CN101873601A (zh) 2010-10-27
EP3337211B1 (en) 2019-11-20
US11012212B2 (en) 2021-05-18
EP3337211A1 (en) 2018-06-20
US20240163044A1 (en) 2024-05-16
US10547425B2 (en) 2020-01-28
CN104284342A (zh) 2015-01-14
CA2760109A1 (en) 2010-11-04
BR122020009191B1 (pt) 2020-12-01
RU2011143358A (ru) 2013-06-10
US20180227100A1 (en) 2018-08-09
BRPI1016053B1 (pt) 2020-11-24
US9973313B2 (en) 2018-05-15
EP2426971A1 (en) 2012-03-07
US20120115521A1 (en) 2012-05-10
CN102415121A (zh) 2012-04-11
CN102415121B (zh) 2014-11-12
WO2010124553A1 (zh) 2010-11-04
US20170149544A1 (en) 2017-05-25
CN104284342B (zh) 2017-12-12
EP3589004A1 (en) 2020-01-01
US9544109B2 (en) 2017-01-10
US20230117146A1 (en) 2023-04-20
EP3589004B1 (en) 2020-10-07
US20140334328A1 (en) 2014-11-13
ZA201107825B (en) 2012-12-27
US8825095B2 (en) 2014-09-02
BRPI1016053A2 (pt) 2016-05-10
EP2426971B1 (en) 2018-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040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참조 신호를 설치하는 방법 및 시스템
CN111066366B (zh) 波束故障恢复装置和方法
CN111052840B (zh) 波束故障恢复装置和方法
CN110474734B (zh) 通信方法及装置
US9992688B2 (en)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EP335240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interferen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09535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reference signal and for scheduling
JP7348076B2 (ja) ユーザ装置、無線通信方法、基地局及びシステム
US9538400B2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mobile station,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CN105103467A (zh) 基于无线电条件选择传输模式
US9119082B1 (en) Reference signal design for interference measurement
US20110044187A1 (en) Method for operating a radio station in a mobile network
JP6210158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移動局、送信方法および復調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