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9686B1 - 센서 유니트, 센서 유니트 제조 방법 및 센서 유니트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센서 유니트, 센서 유니트 제조 방법 및 센서 유니트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9686B1
KR101679686B1 KR1020140085023A KR20140085023A KR101679686B1 KR 101679686 B1 KR101679686 B1 KR 101679686B1 KR 1020140085023 A KR1020140085023 A KR 1020140085023A KR 20140085023 A KR20140085023 A KR 20140085023A KR 101679686 B1 KR101679686 B1 KR 1016796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lead frame
unit
housing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5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6294A (ko
Inventor
장성순
Original Assignee
조익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익훈 filed Critical 조익훈
Priority to KR1020140085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9686B1/ko
Publication of KR20160006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62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9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96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2Measuring direction or magnitude of magnetic fields or magnetic flux
    • G01R33/06Measuring direction or magnitude of magnetic fields or magnetic flux using galvano-magnetic devices
    • G01R33/07Hall effect devices
    • G01R33/072Constructional adaptation of the sensor to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3/00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Measuring differences of linear or angular speeds
    • G01P3/42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01R15/14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 G01R15/20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galvano-magnetic devices, e.g. Hall-effect devices, i.e. measuring a magnetic field via the interaction between a current and a magnetic field, e.g. magneto resistive or Hall effect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2Measuring direction or magnitude of magnetic fields or magnetic flux
    • G01R33/06Measuring direction or magnitude of magnetic fields or magnetic flux using galvano-magnetic devices
    • G01R33/07Hall effect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센서 유니트는 리드 프레임이 연결된 홀 센서가 하우징에 설치된 제1 모듈, 상기 제1 모듈에 설치된 상기 리드 프레임에 케이블이 연결된 제2 모듈 및 부착용 부시와 상기 제2 모듈이 케이스에 설치된 제3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모듈은 상기 부착용 부시와 상기 제2 모듈이 금형 내에 삽입되는 인서트 사출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센서 유니트, 센서 유니트 제조 방법 및 센서 유니트 제조 장치{SENSOR UNIT, METHOD FOR PRODUCING SENSOR UNIT AND APPARATUS FOR PRODUCING SENSOR UNIT}
본 발명은 케이블이 연결된 센서 유니트 및 그 제작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각종 내부 전자 시스템의 배선용 케이블이나, 전기 전자 기기의 안테나, 센서 등의 주요 부품에 연결되어 시스템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케이블들은 여러 종류가 사용되고 있다.
일 예로 자동차용 ABS(Anti-Lock Brake System) 센서 케이블, 즉 ABS용 휠 스피드 센서(Wheel Speed Sensor) 케이블은 일반적으로 2개의 심선으로 구성된 페어 케이블(Pair Cable)로 이루어진다. 페어 케이블의 구성을 살펴보면, 구리 등의 도체로 이루어진 두 도선이 절연체 재질의 내피로 각각 피복되어 두 가닥의 심선을 형성하고, 두 가닥의 심선은 합성수지 재질의 외피로 재피복되어 한 가닥의 센서 케이블을 형성한다.
센서 케이블에는 케이블 타이 밴드(Cable tie band)를 체결하기 위한 밴드 클립이나 고무 재질로 된 그로맷(Grommet)을 비롯하여 여러 종류의 부착물이 부착된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0847738호에는 케이블 컴팩팅 장치만 제시될 뿐 도선을 리드 프레임에 연결시키는 방법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이 기재되지 않는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0847738호
본 발명은 홀 센서에 케이블이 연결된 센서 유니트 및 그 제조 방법,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센서 유니트는 리드 프레임이 연결된 홀 센서가 하우징에 설치된 제1 모듈, 상기 제1 모듈에 설치된 상기 리드 프레임에 케이블이 연결된 제2 모듈 및 부착용 부시와 상기 제2 모듈이 케이스에 설치된 제3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모듈은 상기 부착용 부시와 상기 제2 모듈이 금형 내에 삽입되는 인서트 사출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센서 유니트 제조 방법은 리드 프레임이 연결된 홀 센서를 하우징에 설치하여 제1 모듈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제1 모듈에 설치된 상기 리드 프레임에 케이블을 연결시켜 제2 모듈을 제작하는 단계, 부착용 부시와 상기 제2 모듈을 삽입한 상태로 인서트 사출하여 케이스에 상기 부착용 부시와 상기 제2 모듈이 설치된 제3 모듈을 제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센서 유니트 제조 장치는 제1 모듈에 케이블이 연결된 제2 모듈을 생산하는 용접 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모듈에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리드 프레임이 마련되며, 상기 용접 유니트는 상기 케이블에서 외부에 노출된 도선을 상기 리드 프레임에 용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센서 유니트는 홀 센서에 케이블이 연결된 제2 모듈이 금형 내에 삽입되는 인서트 사출에 의해 형성되는 제3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되는 케이스에 의해 홀 센서가 완전하게 밀폐되므로, 물, 먼지와 같은 외부의 이물질에 의해 홀 센서가 오염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리드 프레임이 연결된 홀 센서가 하우징에 설치된 제1 모듈을 형성한 후, 하우징에 의해 고정된 리드 프레임에 케이블을 연결함으로써 케이블의 연결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후, 한 번의 인서트 사출에 의해 센서 유니트의 케이스 또는 외형이 완성되므로, 생산 공정을 간소화시킬 수 있다.
리드 프레임에 케이블이 연결된 제2 모듈은 인서트 사출에 의해 케이스에 밀착된 상태로 밀폐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이물질의 유입을 신뢰성 있게 방지할 수 있으나, 유지 보수가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이를 위해서 리드 프레임과 케이블의 연결은 추후 유지보수가 필요없을 정도로 견고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해 센서 유니트 제조 장치에는 리드 프레임과 케이블을 용접하는 용접 유니트가 마련될 수 있다.
하나의 센서 유니트에는 복수의 리드 프레임이 마련될 수 있으며, 이들 각 리드 프레임을 케이블에 용접하기 위해 복수 회수의 용접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모듈에 용접 대상이 되는 리드 프레임의 복수인 경우 다양한 방식을 통해 각 리드 프레임을 케이블에 원활하게 용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센서 유니트를 구성하는 제1 모듈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센서 유니트를 구성하는 제2 모듈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모듈의 외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센서 유니트를 구성하는 제3 모듈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센서 유니트의 단면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센서 유니트 제조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센서 유니트 제조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8은 리드 프레임과 도선의 배치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센서 유니트 제조 장치를 구성하는 용접 유니트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센서 유니트 제조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센서 유니트 제조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2는 전극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다른 센서 유니트 제조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4는 다른 전극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센서 유니트를 구성하는 제1 모듈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센서 유니트에는 제1 모듈, 제2 모듈, 제3 모듈이 마련될 수 있다.
제1 모듈은 도 1과 같이 리드 프레임(210)이 연결된 센서가 하우징(100)에 설치된 것일 수 있다. 이때의 센서는 다양할 수 있으며, 일예로 홀 센서(200)일 수 있다.
참고로, 홀 센서(200)는 자동차의 바퀴 회전수를 측정하는 센서로 사용될 수 있다.
리드 프레임(210)은 홀 센서(200)의 단자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홀 센서(200)의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일 수 있다. 리드 프레임(210)은 홀 센서(200)와 케이블(10)의 사이에서 이 둘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내피(45)로 피복된 심선(40) 및 심선(40)을 감싸는 절연 재질의 외피(15)를 포함하는 케이블(10)이 하우징(100)의 일측에 장착되고, 내피(45)를 탈피한 도선(50)이 연결되는 홀 센서(200)가 하우징(100)의 타측에 장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심선(40)이 삽입되는 심선 삽입 구멍(145)이 하우징(100)에 마련될 수 있다. 심선 삽입 구멍(145)으로부터 심선(4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우징(100)의 양 측벽(130)의 일부를 연결하는 심선 홀더(140)가 하우징(100)에 마련될 수 있다. 심선 홀더(140)는 심선(40)이 하우징(10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하고 심선(40)이 홀 센서(200)를 향해 정확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심선(40)이 적어도 두 가닥 이상으로 분기될 때 각각의 심선(40)이 벌어져 꼬이지 않도록 하우징(100)의 바닥면으로부터 스태킹용 돌기(150)가 돌출될 수 있다. 스태킹용 돌기(150)의 수는 심선(40)의 개수보다 1개가 적을 수 있다. 심선(40)이 2개면 도 1과 같이 스태킹용 돌기(150)의 개수는 1개이고, 심선(40)이 3개면 스태킹용 돌기(150)의 개수는 2개일 수 있다.
스태킹용 돌기(150)는 심선 삽입 구멍(145)을 반으로 갈라 각각의 심선(40)이 좌측 및 우측으로 분기될 수 있게 한다. 스태킹용 돌기(150)는 심선 삽입 구멍(145)에 심선(40)이 삽입 완료된 후 심선(40)을 누르는 방향으로 열 융착될 수 있다. 이를 핫 스태킹(hot stacking)이라고 부른다. 스태킹용 돌기(150)의 핫 스태킹이 완료되면 심선(40)은 하우징(100)의 바닥 및 측면에 완전히 밀착될 수 있다.
제1 모듈에는 홀 센서(200)에 자기장을 작용하는 마그네트(23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홀 센서(200)는 감지 대상물과 마그네트(23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마그네트(230)는 홀 센서(200)에 대면될 수 있다. 마그네트(230)와 홀 센서(200) 간의 거리는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해 마그네트(230)는 홀 센서(200)로부터 이격되지 않고 접촉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센서 유니트를 구성하는 제2 모듈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2 모듈의 외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제2 모듈은 제1 모듈에 케이블(10)이 연결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모듈에서 케이블(10)은 제1 모듈에 설치된 리드 프레임(2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살펴보면, 홀 센서(200)에 연결된 리드 프레임(210)은 하우징(100)에 마련된 용접용 구멍을 커버할 정도로 하우징(100)에 설치될 수 있다. 케이블(10)에서 외피(15)와 내피(45)가 탈피된 도선(50)은 적어도 용접용 구멍까지 커버할 정도로 하우징(100)에 설치될 수 있다. 용접용 구멍을 커버하는 리드 프레임(210)과 도선(50)은 연장 방향이 서로 반대이므로, 적어도 용접용 구멍이 형성된 구간에서 서로 겹쳐질 수 있다.
이렇게 겹쳐진 구간은 용접 등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센서 유니트를 구성하는 제3 모듈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제3 모듈은 제2 모듈에 케이스(22)가 씌워진 것일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센서 유니트는 제3 모듈일 수 있다.
차량 등에서 홀 센서(200)가 설정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기 위해, 제3 모듈에는 부착용 부시(25)가 마련될 수 있다. 부착용 부시(25)는 차량 등에 부착되어 홀 센서(200)가 설정 위치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부착용 부시(25)는 나사 등의 체결 수단에 의해 신뢰성 있게 차량 등에 부착될 수 있다. 부착용 부시(25)에는 큰 힘이 인가될 수 있다. 따라서, 부착용 부시(25)가 하우징(100)에 연결된 상태라면 위 힘에 의해 하우징(100)이 훼손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부착용 부시(25)는 하우징(100)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정리하면, 제3 모듈은 부착용 부시(25)와 제2 모듈이 케이스(22)에 설치된 것일 수 있다. 제3 모듈은 부착용 부시(25)와 제2 모듈이 금형 내에 삽입되는 인서트 사출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제3 모듈을 형성하는 케이스(22)는 하우징(100), 홀 센서(200), 리드 프레임(210), 도선(50) 등에 밀착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홀 센서(200) 등이 케이스(22) 내에 신뢰성 있게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흔들림으로 인한 케이스(22)와 홀 센서(200)의 충돌 현상이 원천적으로 방지되므로, 케이스(22)와 홀 센서(200)의 충돌로 인한 홀 센서(200)의 훼손 또는 리드 프레임(210)과 도선(50) 간의 연결 훼손 현상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물 등 외부의 이물질이 제3 모듈로 침투하는 현상을 신뢰성 있게 방지할 수 있다.
제3 모듈에서 케이블(10)과 케이스(22)의 틈으로도 이물질이 유입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케이블(10)의 일부도 인서트 사출 과정에서 금형에 삽입될 수 있다. 일예로, 케이블(10)에서 외피(15)를 포함한 구간이 금형에 삽입될 수 있다. 그 결과 케이블(10)의 외피(15)가 케이스(22)에 의해 꽉 끼이게 되므로 이물질의 유입이 방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센서 유니트는 제1 모듈, 제2 모듈, 제3 모듈의 순서로 제조될 수 있다. 그 과정을 살펴보면, 하우징(100)에 홀 센서(200)를 설치하고, 그 후 케이블(10)을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인서트 사출에 의해 센서 유니트가 완성될 수 있다.
센서 유니트마다 홀 센서(200)의 성능이 동일하도록 하기 위해, 홀 센서(200)와 케이스(22)의 외면 간의 거리는 동일하게 유지되는 것이 좋다.
홀 센서(200)는 하우징(100)에 고정 설치되므로, 하우징(100)의 위치를 각 제품마다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에 의해 홀 센서(200)로부터 케이스(22) 외면까지의 거리 L4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제3 모듈에서 하우징(100)의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하우징(100)에는 보스(110)가 마련될 수 있다. 보스(110)는 인서트 사출에 의해 제3 모듈의 케이스(22)를 형성하는 금형(미도시)의 설정 위치에 끼워질 수 있다.
금형에서 설정 위치에 홈을 형성하고, 하우징(100)의 보스(110)를 해당 홈에 끼운 상태로 인서트 사출을 수행하면 케이스(22)의 외면으로부터 홀 센서(200)까지의 거리 L4는 보스(110)에 의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센서 유니트의 단면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살펴보면, 하우징(100)으로부터 돌출된 보스(110)에 의해 케이스(22)의 외면과 홀 센서(200)까지의 거리 L4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런데, 금형에 끼워지는 보스(110)에 의하면, 인서트 사출 후 케이스(22)의 외부로 보스(110)가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케이스(22)와 보스(110)의 틈으로 물 등 외부의 이물질이 유입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한 특수한 방수 구조로서 보스 날개(120) 및 밀폐 홈(125)이 마련될 수 있다.
보스 날개(120)는 보스(110)의 외주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보스 날개(120)와 하우징(100)의 측벽(130) 사이는 이격되며, 이격된 틈은 밀폐 홈(125)에 해당된다. 밀폐 홈(125)은 보스 날개(120)의 배면과 하우징(100)의 측벽(130)을 서로 이격시킴으로써, 하우징(100)의 측벽(130)과 상기 보스 날개(120)의 배면 사이에 형성되는 밀폐 홈(125)을 형성한다.
누수된 물이 보스(110)와 하우징(100)의 연결 부위의 미세한 틈으로 유입되기 위해서는 도면에 도시된 이물질의 유입 경로 W와 같이 이물질이 보스(110)의 단부를 타고 내려와 보스 날개(120)와 밀폐 홈(125)를 거쳐야 한다. 이렇게 누수가 흐르기는 쉽지 않으므로 방수 효과가 증대될 수 있다.
설령, 누수된 물이나 이물질이 보스 날개(120) 정면을 타고 넘었다고 가정하더라고, 보스 날개(120) 배면에서 다시 경로가 꺾여서 밀폐 홈(125)을 구불구불 지나야 비로소 리드 프레임(210)과 도선(50)의 용접 부분까지 침투할 수 있으므로 보스 날개(120) 배면의 밀폐 홈(125) 구조는 보스 날개(120) 정면의 외주 돌출 구조와 함께 이중 누수 차단 기능을 한다.
도시되지 않은 비교 실시예로서, 보스 날개(120) 또는 밀폐 홈(125)이 없는 경우, 외부에서 유입되는 물 또는 이물질이 보스(110)와 측벽(130) 사이에 직선 방향으로 형성된 틈을 따라 유입될 수 있으므로 누수 가능성을 확실하게 차단할 수 없다.
도 6은 본 발명의 센서 유니트 제조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리드 프레임(210)이 연결된 홀 센서(200)를 하우징(100)에 설치하여 제1 모듈을 제작한다(S 510).
제1 모듈에 설치된 리드 프레임(210)에 케이블(10), 구체적으로 외피(15) 및 내피(45)가 탈피된 도선(50)을 연결시켜 제3 모듈을 제작한다(S 520).
부착용 부시(25)와 제2 모듈을 삽입한 상태로 인서트 사출하여 케이스(22)에 부착용 부시(25)와 제2 모듈이 설치된 제3 모듈을 제작한다(S 530).
이상의 과정을 살펴보면, 센서 유니트의 케이스(22)가 인서트 사출에 의해 한번에 형성되고 있다. 아울러, 인서트 사출에 의해 제1 모듈 전체 및 케이블(10)의 일부가 케이스(22)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이러한 제작 방식에 따르면 공정이 간소해지고, 이물질이 유입되는 현상을 줄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2 모듈을 생산하는 센서 유니트 제조 장치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센서 유니트 제조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제3 모듈은 인서트 사출에 의해 형성되므로, 리드 프레임(210)과 도선(50)의 연결이 끊어지게 되면 케이스(22)를 벗겨내고 수리하기가 곤란하다. 따라서, 리드 프레임(210)과 도선(50)은 어떠한 일이 있어도 연결 상태가 해제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연결되어야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센서 유니트 제조 장치에는 용접 유니트가 마련될 수 있다.
용접 유니트는 제1 모듈에 케이블(10)이 연결된 제2 모듈을 생산할 수 있다. 이때, 제1 모듈에는 하우징(100) 및 하우징(100)에 설치된 리드 프레임(210)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용접 유니트는 케이블(10)에서 외부에 노출된 도선(50)을 리드 프레임(210)에 용접할 수 있다.
이때의 리드 프레임(210)는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일예로, 리드 프레임(210)는 PCB 기판에 설치된 것이거나, 하우징(100)에 설치된 것일 수 있다. 이때의 도선(50)은 하우징(100)에 설치될 수 있다. 용접 유니트에서 이루어지는 용접은 도선(50) 또는 리드 프레임(210)를 직접 녹인 후 굳혀 도선(50)과 리드 프레임(21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것일 수 있다.
가공 장치의 가공 대상물은 케이블(10) 또는 리드 프레임(210)일 수 있다. 케이블(10)에는 심선(40)과, 심선(40)에 피복된 외피(15)가 마련될 수 있다. 심선(40)에는 전도체인 도선(50)과, 도선(50)에 피복된 내피(45)가 마련될 수 있다.
케이블(10)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요소는 보통 외피(15)이다. 따라서, 외피(15) 및 내피(45)에 의해 가려진 도선(50)을 외부에 노출시키기 위해서 외피(15) 및 내피(45)를 도선(50)으로부터 박리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가공 장치에는 절단 유니트(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절단 유니트는 케이블(10)을 구성하는 외피(15) 또는 심선(40)의 내피(45)를 절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절단 유니트에 의해 내피(45)가 박리된 상태의 도선(50)은 용접 등에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일예로, 하나의 도선(50)은 복수의 필라멘트 가닥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필라멘트는 도선(50)을 구성하는 최소 단위로, 전기를 흐를 수 있는 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도선(50)은 하나의 필라멘트로 구성되거나, 복수의 필라멘트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각 필라멘트 가닥이 정리되지 않은 경우라면, 용접 유니트에 의한 가공시 일부 필라멘트 가닥이 다른 도선(50)에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도선(50)의 단면은 원형을 유지할 수 있다. 원형 단면의 도선(50)은 리드 프레임(210)에 접촉할 때, 선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선 접촉된 도선(50)과 리드 프레임(210) 간의 연결은 면 접촉된 소자 간의 연결과 비교하여 견고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이와 같이 하나의 도선(50)이 복수의 필라멘트로 구성된 경우에 예상되는 문제 또는 원형 단면의 도선(50)에 의해 예상되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의 가공 장치에는 단조 유니트(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단조 유니트는 도선(50)을 판 형상의 도판으로 가공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용접 유니트는 원형 단면의 도선(50) 대신 직사각형 단면의 도판을 용접할 수 있다.
단조 유니트에는 도선(50)을 가열하는 가열부(미도시) 및 가열된 도선(50)을 가압하는 가압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가열부 및 가압부에 의해 복수의 필라멘트는 한 덩어리의 도판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도판은 일체의 부재로 이루어진 상태가 되는데, 이를 위해 가열부는 흐물흐물한 소위 젤 상태가 되도록 필라멘트를 가열할 수 있다. 젤 상태의 필라멘트는 가압부의 압력에 의해 다른 필라멘트에 하나로 합쳐질 수 있다.
복수의 필라메트가 일체의 재질로 이루어진 도판과 유사하게 형성됨으로써, 단조 유니트를 거친 케이블(10)은 각 필라멘트의 이탈에 의한 합선 문제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판에서 넓은 부위를 기판에 접촉시킬 수 있으므로, 리드 프레임(210)에 도선(50)을 용이하게 본딩 또는 용접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단조 유니트에서 가공된 케이블(10)의 도판은 용접 유니트에 의해 리드 프레임(210)에 연결될 수 있다. 물론, 이와 다르게 용접 유니트는 원형 단면의 도선(50)을 그대로 리드 프레임(210)에 연결시킬 수도 있다. 또한 복수의 필라멘트 가닥을 갖는 도선(50) 역시 리드 프레임(210)에 직접 연결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용접 유니트에 입력되는 케이블(10)과 하우징(100)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3은 하우징(100)에 결합된 케이블(10)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서는 도선(50)이 단조 유니트에 의해 복수의 필라멘트 가닥이 하나의 덩어리로 합쳐지고, 판 형상으로 가공된 상태가 개시된다. 또한, 리드 프레임(210)는 하우징(100)의 일측에 장착되는 홀 센서(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의 홀 센서(200)는 다양한 회로 소자로 변경될 수 있다.
하우징(100)에 끼워진 도선(50)을 용접 유니트로 입력시키기 위해 팔레트(400)가 이용될 수 있다.
케이블(10) 및 도선(50)은 플렉시블한 성질에 따라 자유롭게 휘어질 수 있다. 이러한 성질에 따르면 도선(50)에서 초기 설계된 위치를 용접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용접 유니트로 입력된 케이블(10) 및 도선(50)은 고정될 필요가 있다. 팔레트(400)는 이와 같이 용접 위치에 도선(50)이 정확하게 위치하도록 가이드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하우징(100)이 마련된 경우 도선(50)은 하우징(100)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팔레트(400)는 하우징(100)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것에 의해 도선(50)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
하우징(100)의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해 팔레트(400)에는 고정부(410) 및 이동부(430)가 마련될 수 있다.
하우징(100)이 전체적으로 도선(5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경우, 고정부(410)는 하우징(100)의 길이 방향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이동부(430)는 하우징(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동부(430)에는 하우징(100)의 일단이 삽입되는 제2 삽입홈(431)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부(410)에는 하우징(100)의 타단이 삽입되는 제1 삽입홈(411)이 마련될 수 있다. 아울러, 고정부(410)에는 하우징(100)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케이블(10)이 삽입되는 리브(413)가 마련될 수 있다.
하우징(100)이 삽입되기 전 이동부(430)는 고정부(4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100)이 제1 삽입홈(411) 및 제2 삽입홈(431)에 삽입되면 이동부(430)는 고정부(410)를 향해 이동하고, 이에 따라 하우징(100)은 길이 방향을 따라 가압될 수 있다. 이때의 가압에 의해 하우징(100)은 팔레트(400)에 고정되며, 하우징(100)에 장착된 케이블(10) 및 도선(50) 역시 팔레트(400)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팔레트(400)에 거치된 도선(50)은 하우징(100)을 통해 그 위치가 고정되고, 용접 유니트로 입력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센서 유니트 제조 장치를 구성하는 용접 유니트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용접에 따르면 많은 열이 도선(50)에 가해질 수 있다. 이때의 열에 의해 도선(50)에 피복된 내피(45) 또는 케이블(10)의 외피(15)가 녹을 수 있으므로, 내피(45) 또는 외피(15)가 녹지 않을 위치에 열이 가해지는 것이 좋다.
일예로, 용접 유니트에 의해 용접이 이루어지는 지점은 외부로 노출된 도선(50)의 중간 지점부터 도선(50)의 끝단까지의 제1 설정 구간 L1 내에서 결정될 수 있다.
물론, 이를 위해서 리드 프레임(210)은 적어도 제1 설정 구간 L1에서 도선(50)에 접촉될 수 있다. 특히, 도 8과 같이 리드 프레임(210)과 도선(50)이 접촉되는 구간이 L2일 때 L1은 L2에 포함되는 것이 좋다. 이에 따르면 열이 도선(50)뿐만 아니라 리드 프레임(210)를 통해서도 방열되므로 내피(45) 또는 외피(15)가 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설정 구간 L1 내에서 용접이 이루어진다고 하더라도 용접 면적이 크면 많은 열이 내피(45) 또는 외피(15)로 전달될 수 있다. 용접 면적을 최소화하기 위해 용접 유니트에는 도선(50) 또는 리드 프레임(210) 중 적어도 하나에 점 접촉하는 전극부(310)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타겟으로 한 점에 대해서만 용접이 이루어지도록 전극부(310)는 가스를 사용하지 않는 전기 용접 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전극부(310)에는 도선(50) 또는 리드 프레임(210)의 용접에 필요한 전력이 제공될 수 있다.
용접을 위해 도선(50)과 리드 프레임(210)는 제2 설정 구간 L2에서 서로 포개어질 수 있다. 전극부(310)에는 제2 설정 구간의 제1 위치에서 도선(50)에 접촉되는 제1 전극부(311), 제1 위치에서 리드 프레임(210)에 접촉되는 제2 전극부(312)가 마련될 수 있다. xy 평면에서 제1 전극부(311)의 위치와 제2 전극부(312)의 위치는 일치할 수 있다.
이때, 제1 전극부(311) 및 제2 전극부(312)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일예로, 도 9에서 제1 전극부(311)가 z축의 음의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 제2 전극부(312)는 z축의 양의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전극부(311)가 도선(50)에 접촉되는 시점과 제2 전극부(312)가 리드 프레임(210)에 접촉되는 시점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전기 용접이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정리하면, 제1 전극부(311)는 리드 프레임(210)을 향하는 방향으로 도선(50)을 가압할 수 있다. 제2 전극부(312)는 도선(50)을 향하는 방향으로 리드 프레임(210)을 가압할 수 있다. 제1 전극부(311)와 제2 전극부(312)에 의해 도선(50)과 리드 프레임(210)은 스폿 용접(spot welding)될 수 있다.
하우징(100)에 의하면, 도선(50) 또는 리드 프레임(210) 중 하나는 하우징(100)에 대면할 수 있다. 일예로 도 8과 같이 리드 프레임(210)이 하우징(100)에 대면 접촉될 수 있다.
도 8은 리드 프레임(210)과 도선(50)의 배치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8을 살펴보면, 리드 프레임(210)이 하우징(100)에 접촉되므로, 리드 프레임(210)에 제2 전극부(312)를 접근시키기가 어려울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용접용 구멍(160)에 의해 해소될 수 있다.
용접용 구멍(160)은 하우징(100)에서 리드 프레임(210) 또는 도선(50)이 대면하는 위치에 천공될 수 있다. 용접용 구멍(160)의 단면적은 전극부(310), 구체적으로 제2 전극부(312)의 단면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제2 전극부(312)는 용접용 구멍(160)에 삽입되고, 도선(50) 또는 리드 프레임(210)를 용접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제2 전극부(312)가 하우징(100)에 접촉하지 않으므로, 하우징(100)이 열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하나의 제2 모듈에 복수의 리드 프레임(210)이 마련된 경우, 각 리드 프레임(210)을 도선(50)에 용접하는 방안을 살펴보도록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센서 유니트 제조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센서 유니트 제조 장치에는 제2 모듈이 거치되고, 하우징(100)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팔레트가 마련될 수 있다.
리드 프레임(210)은 제1 방향을 따라 하우징(100)에 복수로 설치될 수 있다. 도 10에서 제1 방향은 x축 방향일 수 있다. 이때, 각 리드 프레임(210)은 설정 거리 L3만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용접 유니트와 팔레트는 제1 방향을 따라 설정 거리만큼 상대 이동할 수 있다.
일예로 도 10에서는 제1 방향인 x축 방향을 따라 팔레트는 고정되고, 용접 유니트가 제1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예가 개시된다.
2개의 리드 프레임(210)이 L3 간격으로 제1 방향을 따라 배치된 경우, 용접 유니트는 먼저 우측의 리드 프레임(210)을 향하는 방향으로 움직이고 ①, 우측의 리드 프레임(210)과 도선(50)을 용접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용접 유니트가 제1 방향으로 움직이면 용접이 수행된 리드 프레임(210) 또는 도선(50)에 스크래치가 발생하거나, 전극부(310)가 훼손될 수 있다. 따라서, 용접 유니트는 우측의 리드 프레임(21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후퇴할 수 있다 ②. 이와 같이 리드 프레임(210)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용접 유니트는 제1 방향을 따라 설정 거리 L3만큼 이동한다 ③. 이에 따르면 전극부(310)는 제1 방향 상으로 좌측의 리드 프레임(210) 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용접 유니트는 좌측의 리드 프레임(210)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④, 좌측의 리드 프레임(210)과 도선(50)을 용접할 수 있다. 좌측의 리드 프레임(210)에 대한 용접이 완료되면 용접 유니트는 좌측의 리드 프레임(21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⑤. 그리고, 다음 센서 유니트의 우측 리드 프레임(210)의 용접을 위해 W1만큼 이동하여 초기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도 10의 예와 다르게, 제1 방향 상으로 용접 유니트는 고정되고 팔레트가 W1만큼 이동해도 무방하다. 이 경우 용접 유니트는 z축 자유도만 가지면 충분하다. 도 10의 실시예에서 용접 유니트는 x축 자유도 및 z축 자유도를 가질 수 있다.
그런데, 팔레트와 용접 유니트의 상대 이동에 의해 복수의 리드 프레임(210)을 용접하는 실시예는 작업 속도가 느린 문제가 있다. 왜냐하면 용접 유니트가 리드 프레임(210)의 개수만큼 z축 방향으로 왕복해야 하기 때문이다.
용접 유니트가 z축 방향을 따라 한 번만 왕복하는 것에 의해 모든 리드 프레임(210)을 용접하는 것이 좋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용접 유니트에는 제1 방향을 따라 설정 거리 W1만큼 이격된 복수의 전극부(310)가 마련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센서 유니트 제조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살펴보면, 제1 방향을 따라 W1만큼 이격된 2개의 리드 프레임(210)이 마련된 경우, 용접 유니트에는 리드 프레임(210)의 개수에 대응되는 2개의 전극부(31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각 전극부(310)는 전기적으로 병렬로 연결되고, 리드 프레임(210)에 동시에 접촉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2개의 리드 프레임(210)에 대한 용접 작업이 한 번에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이와 다르게 하나의 전극부(310)로 복수의 리드 프레임(210)을 동시에 용접할 수 있다.
도 12는 전극부(310)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용접 유니트에는 전력이 인가되는 전극부(310), 전급부의 단부로부터 복수로 분기되고 리드 프레임(210)에 접촉되는 분기부(320)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각 분기부(320)는 제1 방향을 따라 설정 거리 W1만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분기부(320)는 하우징(100)에 마련된 리드 프레임(210)의 개수만큼 전극부(310)로부터 분기될 수 있다. 도 12에는 2개의 리드 프레임(210)에 대응하여 2개의 분기부(320)가 전극부(310)로부터 분기되고 있다.
2개의 분기부(320)는 2개의 리드 프레임(210)의 이격 거리 W1만큼 이격되고 있으므로, 각 리드 프레임(210)에 동시에 접촉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전극부(310)에 전력이 인가되면 2개의 리드 프레임(210)을 동시에 용접할 수 있다.
그런데, 한 번에 복수의 리드 프레임(210)을 용접하는데 전력이 부족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10과 같이 용접 유니트와 팔레트의 상대 이동에 의해 각 리드 프레임(210)을 하나씩 용접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리드 프레임(210)에 복수의 전극부(310)가 동시에 접촉된 상태에서 선택된 전극부(310)에만 전력을 제공할 수도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다른 센서 유니트 제조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용접 유니트에는 전극부(310)에 전력을 제공하는 전력부(330), 전력부(330)와 각 전극부(310)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선택부(350)가 마련될 수 있다.
m개(여기서, m은 2 이상의 자연수이다)의 전극부(310)가 리드 프레임(210)에 접촉될 때, 선택부(350)는 n개(여기서, n은 m보다 작은 자연수이다)의 전극부(310)를 전력부(330)에 연결시킬 수 있다.
그리고, n개의 전극부(310)에 의한 용접이 완료되면, 선택부(350)는 n개의 전극부(310)와 전력부(330)의 연결을 해제하고, 다른 전극부(310)와 전력부(330)를 연결시킬 수 있다.
도 13에는 m이 2이고, n이 1인 경우가 개시된다.
선택부(350)에는 특정 전극부(310)를 선택하는 스위치가 마련될 수 있다. 도 13에서 해당 스위치는 우선 좌측 전극부(310)에 전력부(330)를 연결시킬 수 있다. 그리고, 좌측 전극부(310)에 의해 리드 프레임(210)의 용접이 완료되면, 기존 연결을 해제하고 우측 전극부(310)에 전력부(330)를 연결시킬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용접 유니트에 의해 2개의 리드 프레임(210)에 전극부(310)가 모두 접촉된 상태에서 리드 프레임(210)이 한개씩 용접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용접 유니트의 이동을 최소화하면서 전력 부족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도 14는 다른 전극부(310)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해당 전극부(310)에는 전력부(330)의 전력이 인가될 수 있다. 그리고, 전극부(310)의 단부에는 분기부(320)가 마련될 수 있다.
분기부(320)는 전극부(310)의 단부로부터 복수로 분기되고 리드 프레임(210)에 접촉될 수 있다.
그리고, 전극부(310)에는 전극부(310)의 길이 방향으로 전극부(310)를 복수의 전극으로 구분하는 절연 부재(39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각 분기부(320)는 각 전극에 연결될 수 있다.
용접 유니트에는 위 전극 중 특정 전극을 선택하는 선택부(350), 특정 전극에 전력을 제공하는 전력부(330)가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전력부(330)에 의해 특정 전극에 전력이 제공된 후, 선택부(350)는 다른 전극을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도 13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복수의 리드 프레임(210)에 각 분기부(320)가 접촉한 상태에서 특정 분기부(320)로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그 결과, 용접 대상인 리드 프레임(210)이 2개 마련될 때, 2개의 리드 프레임(210)은 모두 분기부(320)에 접촉되고, 어느 하나의 리드 프레임(210)의 용접이 완료되면 나머지 하나의 리드 프레임(210)의 용접이 수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케이블 15...외피
20...센서부 22...케이스
25...부시
40...심선 45...내피
50...도선 100...하우징
110...보스 120...보스 날개
125...밀폐 홈 130...측벽
140...심선 홀더 145...심선 삽입 구멍
150...스태킹용 돌기 160...용접용 구멍
200...홀 센서 210...리드 프레임
300...용접 유니트 310...전극부
311...제1 전극부 312...제2 전극부
330...전력부 350...선택부
390...절연 부재
400...팔레트 410...고정부
411...제1 삽입홈 413...리브
430...이동부 431...제2 삽입홈

Claims (12)

  1. 리드 프레임이 연결된 홀 센서가 하우징에 설치된 제1 모듈;
    상기 제1 모듈에 설치된 상기 리드 프레임에 케이블이 연결된 제2 모듈; 및
    부착용 부시와 상기 제2 모듈이 케이스에 설치된 제3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모듈은 상기 부착용 부시와 상기 제2 모듈이 금형 내에 삽입되는 인서트 사출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케이블에서 외부에 노출된 도선과 상기 리드 프레임은 상기 제1 모듈의 하우징의 설정 구간에 서로 겹쳐지는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설정 구간에는 용접용 구멍이 천공되고,
    상기 도선과 상기 리드 프레임은 상기 용접용 구멍에 대면되는 위치에서 서로 용접된 센서 유니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듈에는 상기 홀 센서에 자기장을 작용하는 마그네트가 설치되고,
    상기 홀 센서는 감지 대상물과 상기 마그네트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마그네트는 상기 홀 센서에 대면되는 센서 유니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금형의 설정 위치에 끼워지는 보스가 마련되며,
    상기 인서트 사출에 의해 상기 케이스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홀 센서까지의 거리는 상기 보스에 의해 일정하게 유지되는 센서 유니트.
  4. 리드 프레임이 연결된 홀 센서를 하우징에 설치하여 제1 모듈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제1 모듈에 설치된 상기 리드 프레임에 케이블을 연결시켜 제2 모듈을 제작하는 단계;
    부착용 부시와 상기 제2 모듈을 삽입한 상태로 인서트 사출하여 케이스에 상기 부착용 부시와 상기 제2 모듈이 설치된 제3 모듈을 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모듈을 제작하는 단계는,
    상기 케이블에서 외부에 노출된 도선과 상기 리드 프레임이 상기 하우징의 설정 구간에서 서로 겹쳐지게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설정 구간에 마련된 용접용 구멍을 통해 삽입된 전극부에 의해 상기 도선과 상기 리드 프레임이 용접되는 센서 유니트 제조 방법.
  5. 제1 모듈에 케이블이 연결된 제2 모듈을 생산하는 용접 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모듈에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리드 프레임이 마련되며,
    상기 케이블에는 외부에 노출된 도선이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리드 프레임과 상기 도선이 겹쳐지는 설정 구간에는 용접용 구멍이 마련되며,
    상기 용접 유니트는 상기 용접용 구멍을 통해 상기 리드 프레임과 상기 도선을 용접하는 센서 유니트 제조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 유니트에는 상기 리드 프레임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도선을 가압하는 제1 전극부, 상기 도선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리드 프레임을 가압하는 제2 전극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2 전극부는 상기 용접용 구멍으로 삽입되며,
    상기 제1 전극부와 상기 제2 전극부에 의해 상기 도선과 상기 리드 프레임은 스폿 용접(spot welding)되는 센서 유니트 제조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팔레트;를 포함하고,
    상기 리드 프레임은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하우징에 복수로 설치되며,
    상기 각 리드 프레임은 설정 거리만큼 서로 이격되고,
    상기 용접 유니트와 상기 팔레트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설정 거리만큼 상대 이동하는 센서 유니트 제조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1개의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상기 도선은 복수로 마련되고,
    상기 리드 프레임은 상기 도선의 개수만큼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하우징에 복수로 설치되고,
    상기 각 리드 프레임은 설정 거리만큼 서로 이격되며,
    상기 용접 유니트에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설정 거리만큼 이격된 복수의 전극부가 마련되고,
    상기 각 전극부는 전기적으로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리드 프레임에 동시에 접촉되는 센서 유니트 제조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 유니트에는 상기 각 전극부에 전력을 제공하는 전력부, 상기 전력부와 상기 각 전극부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선택부가 마련되고,
    m개(여기서, m은 2 이상의 자연수이다)의 상기 전극부가 상기 리드 프레임에 접촉될 때, 상기 선택부는 n개(여기서, n은 m보다 작은 자연수이다)의 상기 전극부를 상기 전력부에 연결시키며,
    n개의 상기 전극부에 의한 용접이 완료되면, 상기 선택부는 n개의 상기 전극부와 상기 전력부의 연결을 해제하고, 다른 전극부와 상기 전력부를 연결시키는 센서 유니트 제조 장치.
  10. 제5항에 있어서,
    1개의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상기 도선은 복수로 마련되고,
    상기 리드 프레임은 상기 도선의 개수만큼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하우징에 복수로 설치되고,
    상기 각 리드 프레임은 설정 거리만큼 서로 이격되며,
    상기 용접 유니트에는 전력이 인가되는 전극부, 상기 전극부의 단부로부터 복수로 분기되고 상기 리드 프레임에 접촉되는 분기부가 마련되고,
    상기 각 분기부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설정 거리만큼 서로 이격된 센서 유니트 제조 장치.
  11. 제5항에 있어서,
    1개의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상기 도선은 복수로 마련되고,
    상기 리드 프레임은 상기 도선의 개수만큼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하우징에 복수로 설치되고,
    상기 각 리드 프레임은 설정 거리만큼 서로 이격되며,
    상기 용접 유니트에는 전력이 인가되는 전극부, 상기 전극부의 단부로부터 복수로 분기되고 상기 리드 프레임에 접촉되는 분기부가 마련되고,
    상기 전극부에는 상기 전극부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전극부를 복수의 전극으로 구분하는 절연 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각 분기부는 상기 각 전극에 연결되는 센서 유니트 제조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 유니트에는 상기 전극 중 특정 전극을 선택하는 선택부, 상기 특정 전극에 전력을 제공하는 전력부가 마련되고,
    상기 전력부에 의해 상기 특정 전극에 전력이 제공된 후 상기 선택부는 다른 전극을 선택하는 센서 유니트 제조 장치.
KR1020140085023A 2014-07-08 2014-07-08 센서 유니트, 센서 유니트 제조 방법 및 센서 유니트 제조 장치 KR1016796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5023A KR101679686B1 (ko) 2014-07-08 2014-07-08 센서 유니트, 센서 유니트 제조 방법 및 센서 유니트 제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5023A KR101679686B1 (ko) 2014-07-08 2014-07-08 센서 유니트, 센서 유니트 제조 방법 및 센서 유니트 제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6294A KR20160006294A (ko) 2016-01-19
KR101679686B1 true KR101679686B1 (ko) 2016-12-07

Family

ID=55305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5023A KR101679686B1 (ko) 2014-07-08 2014-07-08 센서 유니트, 센서 유니트 제조 방법 및 센서 유니트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96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3658B1 (ko) * 2018-09-17 2023-06-16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차량용 센싱 장치, 휠 베어링 조립체 및 차량용 센싱 장치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9459B1 (ko) * 2011-09-02 2013-02-04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차량용 센서 조립체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2141U (ja) * 1992-02-29 1993-09-28 日本電気株式会社 ボンディングヘッド装置
JPH06218552A (ja) * 1993-01-27 1994-08-09 Sumitomo Electric Ind Ltd 端子と電線の接続方法
KR100847738B1 (ko) 2007-08-09 2008-07-23 주식회사 유광 자동 케이블 콤팩팅 장치
KR101149733B1 (ko) * 2009-12-29 2012-06-08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스폿용접용 클램핑 지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9459B1 (ko) * 2011-09-02 2013-02-04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차량용 센서 조립체 및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6294A (ko) 2016-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56190B2 (en) Submergible fused receptacle assembly for a vehicle charging inlet
US9385484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waterproof function
KR101470734B1 (ko) 크림프 단자 및 방수 터미네이션
CN110313039A (zh) 线束
EP2381264B1 (en) Structure for assembling current detecting device
US20140000927A1 (en) Bus-bar s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US20150111442A1 (en) Terminal-provided wire,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jig
JP5101974B2 (ja) 金属部品支持体及びその製造方法
CN104064351A (zh) 具有温度传感器的电容器模块
CN101340069B (zh) 电接线盒及其制造方法
US10912152B2 (en) Photographing apparatus for vehicle and heating device
US8366457B2 (en) Wiring structure having a plurality of circuit boards with an insulating sleeve in a terminal insertion hole
JP2018078022A (ja) コネクタ
US9888618B2 (en) Shielded harnes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CN116323163A (zh) 用于制造由具有至少一个管-线插入件的塑料管部以及终端连接器组成的组件的方法
KR101679686B1 (ko) 센서 유니트, 센서 유니트 제조 방법 및 센서 유니트 제조 장치
KR101598046B1 (ko) 센서 모듈 및 센서 모듈의 제조 방법
JP5808939B2 (ja) 導電部材のハンダ付け方法
KR101679689B1 (ko) 가공 장치 및 가공 방법
JP2009123451A (ja) 電線と端子のスポット溶接方法
CN216595493U (zh) 一种加热丝连接结构及视窗罩
CN109476091B (zh) 形成激光焊接连接的方法和复合部件
JP2020535594A (ja) 電気的接続アセンブリ
JP2014229586A (ja) ワイヤハーネス
JP7200892B2 (ja) 回路ユニット、電気接続箱及び回路ユニット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