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9488B1 - 잔디용 벼과 다년생 잡초 방제제 및 잔디 벼과 다년생 잡초의 방제 방법 - Google Patents

잔디용 벼과 다년생 잡초 방제제 및 잔디 벼과 다년생 잡초의 방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9488B1
KR101679488B1 KR1020147018115A KR20147018115A KR101679488B1 KR 101679488 B1 KR101679488 B1 KR 101679488B1 KR 1020147018115 A KR1020147018115 A KR 1020147018115A KR 20147018115 A KR20147018115 A KR 20147018115A KR 101679488 B1 KR101679488 B1 KR 1016794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ss
perennial
group
controlling
wee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8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8230A (ko
Inventor
시게오 야마다
미치유키 이이다
다카시 사토
Original Assignee
닛뽕소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뽕소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뽕소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98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82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9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94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6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thre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A01N43/647Triazoles; Hydrogenated triazoles
    • A01N43/6531,2,4-Triazoles; Hydrogenated 1,2,4-triazo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Toxic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해, 기존의 잔디용 제초제로는 방제가 곤란한 벼과 다년생 잡초에 대해서도 높은 방제 효과를 나타내고, 또한 방제 효과의 발현이 빠른, 잔디용 벼과 다년생 잡초 방제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잔디 벼과 다년생 잡초의 방제 방법은, 특정한 구조로 나타내는 1,5-디페닐-1H-1,2,4-트리아졸-3-카르복실산아미드 유도체를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방제제를, 벼과 다년생 잡초가 난 잔디에 토양 처리 또는 경엽 처리에 의해 시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잔디용 벼과 다년생 잡초 방제제 및 잔디 벼과 다년생 잡초의 방제 방법{PERENNIAL GRASS WEED HERBICIDE FOR LAWN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ERENNIAL GRASS WEEDS IN LAWN}
본 발명은 벼과 다년생 잡초에 대하여, 단독 사용으로도 높은 제초 효과를 갖고, 또한 잔디류에 대해 약해를 미치지 않고 높은 안전성을 갖는 잔디용 벼과 다년생 잡초 방제제 및 잔디 벼과 다년생 잡초의 방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2년 1월 19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12-008663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잔디는 골프장, 공원, 일반 가정의 뜰, 하천 부지, 과수원 하초 등에서의 미관의 유지, 방재, 레크리에이션의 장소의 제공 등의 목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미관을 유지하면서 잔디를 건전하게 생육시키는 과정에서 문제가 되는 것이 잡초의 방제이다. 잔디에 번식하는 잡초는 잔디의 생육 억제의 원인이 되고, 그 종자가 의복에 부착되거나, 병해충의 온상이 되거나 한다.
잔디에 번식하는 잡초를 방제하기 위해서 제초제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제초제는, 살초 스펙트럼이 좁아, 방제 효과가 불충분한 경우나, 처리 방법이 한정되어 있는 경우가 있고, 또 처리 적기폭 (適期幅) 이 좁은 것이나, 환경에 대한 안전성 등의 여러가지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또한, 동일한 작용성의 제초제의 연속 사용에 의해 저항성을 갖는 잡초의 발생이 관찰되고 있다.
참새피나 띠 등, 잔디에 발생하기 쉬운 벼과 다년생 잡초의 방제에는, 트리플록시술푸론나트륨염 등이 유효하다고 하지만 (특허문헌 1), 실제로는 효과가 부족하다. 벼과 다년생 잡초는 분류상 및 생태적으로 잔디류에 가깝기 때문에, 기존 제초제의 단독 사용에 의해서는, 잔디에 완전히 약해를 미치지 않고, 벼과 다년생 잡초, 특히 띠와 같은 지하경을 갖는 종을 방제하는 것은 곤란하다. 이 문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서, 복수의 기존 제초제 또는 식물 생장 조절제를 병용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지만 (특허문헌 1, 2, 및 3), 약해나, 일부의 잡초종에 효과가 부족거나 한 문제가 있어, 반드시 만족할 수 있는 효과는 얻어지지 않았다.
본 발명에 관련하여, 1,5-디페닐-1H-1,2,4-트리아졸-3-카르복실산아미드 유도체가 제초 활성을 갖는 것은, 특허문헌 4 등에 개시되어 있다. 플루폭삼은, 들잔디나 금잔디 등의 잔디류에 약해가 없고, 또한 잔디에 발생하는 별꽃 등의 광엽 1 년생 잡초나 메히잔디 등의 벼과 1 년생 잡초에 대해 높은 방제 활성을 나타내는 것이 알려져 있다 (비특허문헌 1 참조). 또한, 플루폭삼은, 잔디에 발생하는 콩제비꽃, 질경이, 괭이밥 등의 광엽 다년생 잡초에 대해서도 높은 방제 활성을 나타내는 것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5 참조). 그러나, 플루폭삼이, 잔디에 발생하는 벼과 다년생 잡초에 대해서도 우수한 제초 활성을 갖는 것은 알려지지 않았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3106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30211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3980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3-313779호 WO2008/96675
2003년도 춘하작 잔디 관계 제초제·생육 조절제 시험 성적 집록 (2003년 12월 재단법인 일본 식물 조절제 연구 협회)
본 발명은 벼과 다년생 잡초에 대하여, 단독 사용으로도 높은 제초 효과를 갖고, 또한 잔디류에 대해 약해를 미치지 않고 높은 안전성을 갖는 잔디용 벼과 다년생 잡초 방제제 및 잔디 벼과 다년생 잡초의 방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검토한 결과, 식 (1) 로 나타내는 1,5-디페닐-1H-1,2,4-트리아졸-3-카르복실산아미드 유도체가, 잔디에 대한 안전성이 높고, 토양 처리 또는 경엽 처리에 의해 기존의 잔디용 제초제로는 방제가 곤란하던 벼과 다년생 잡초에 대해 높은 제초 효과를 갖고, 또한, 처리 적기폭이 넓은 제초 활성 성분인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이하의 것을 포함한다.
[1] 식 (1) 로 나타내는 1,5-디페닐-1H-1,2,4-트리아졸-3-카르복실산아미드 유도체를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잔디용 벼과 다년생 잡초 방제제.
[화학식 1]
Figure 112014061518808-pct00001
(식 (1) 중, R 은 무치환의 혹은 불소 원자로 치환된 탄소수 1 ∼ 10 의 알킬기, 탄소수 3 ∼ 7 의 시클로알킬기로 치환된 탄소수 1 ∼ 3 의 알킬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페닐기, 또는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탄소수 7 ∼ 9 의 아르알킬기를 나타내고,
X1 은 할로겐 원자 또는 탄소수 1 ∼ 3 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X2 는 수소 원자 또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내고,
Y1 및 Y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불소 원자를 나타낸다)
[2] 상기 [1] 에 기재된 방제제를, 벼과 다년생 잡초가 난 잔디에 토양 처리 또는 경엽 처리에 의해 시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잔디 벼과 다년생 잡초의 방제 방법.
[3] 상기 잔디가 들잔디, 금잔디, 비로드 잔디, 버뮤다그래스, 세인트 오거스틴 그래스, 크리핑벤트그래스, 켄터키블루그래스, 페레니얼라이그래스, 훼스큐, 및 센터피드그래스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가지의 잔디로 이루어지는 것인 상기 [2] 에 기재된 잔디 벼과 다년생 잡초의 방제 방법.
[4] 상기 벼과 다년생 잡초가 참새피속 (Paspalum) 및 띠속 (Imperata) 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상기 [2] 또는 [3] 에 기재된 잔디 벼과 다년생 잡초의 방제 방법.
[5] 상기 유효 성분을 1 헥타르당 10 ∼ 5000 g 으로 시용하는 상기 [2] ∼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잔디 벼과 다년생 잡초의 방제 방법.
[6] 상기 방제제가 과립 수화제인 상기 [2] ∼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잔디 벼과 다년생 잡초의 방제 방법.
본 발명에 관련된 잔디용 벼과 다년생 잡초 방제제는, 기존의 잔디용 제초제로는 방제가 곤란하던 벼과 다년생 잡초에 대해 높은 방제 효과를 나타내고, 또한 방제 효과의 발현이 빠르다. 또, 잔디류에 대해 충분한 안전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관련된 잔디 벼과 다년생 잡초의 방제 방법에 의하면, 잔디에 약해를 미치지 않고, 또한 기존의 잔디용 제초제로는 방제가 곤란하던 벼과 다년생 잡초에 대해 높은 제초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잔디용 벼과 다년생 잡초 방제제 (이하, 「본 발명의 방제제」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는, 식 (1) 로 나타내는 1,5-디페닐-1H-1,2,4-트리아졸-3-카르복실산아미드 유도체를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이다.
식 (1) 중, R 은 무치환의 혹은 불소 원자로 치환된 탄소수 1 ∼ 10 의 알킬기, 탄소수 3 ∼ 7 의 시클로알킬기로 치환된 탄소수 1 ∼ 3 의 알킬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탄소수 7 ∼ 9 의 아르알킬기, 또는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페닐기를 나타낸다.
무치환의 혹은 불소 원자로 치환된 탄소수 1 ∼ 10 의 알킬기로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이소부틸기, s-부틸기, t-부틸기, n-펜틸기, n-헥실기, n-헵틸기, n-옥틸기, n-노닐기, n-데실기;플루오로메틸기, 디플루오로메틸기, 트리플루오로메틸기, 2,2,2-트리플루오로에틸기, 펜타플루오로에틸기, 2,2,3,3,3-펜타플루오로프로필기, 퍼플루오로프로필기, 퍼플루오로부틸기, 퍼플루오로펜틸기 등을 들 수 있다.
탄소수 3 ∼ 7 의 시클로알킬기로 치환된 탄소수 1 ∼ 3 의 알킬기로는, 시클로프로필메틸기, 시클로펜틸메틸기, 시클로헥실메틸기, 시클로헵틸메틸기, 2-시클로프로필에틸기, 2-시클로펜틸에틸기, 2-시클로헥실에틸기, 2-시클로헵틸에틸기, 3-시클로프로필프로필기, 3-시클로펜틸프로필기, 3-시클로헥실프로필기, 3-시클로헵틸프로필기, 2-시클로프로필-1-메틸-에틸기, 2-시클로펜틸-1-메틸-에틸기, 2-시클로헥실-1-메틸-에틸기, 2-시클로헵틸-1-메틸-에틸기 등을 들 수 있다.
무치환의 탄소수 7 ∼ 9 의 아르알킬기로는, 벤질기, 페네틸기, 3-페닐프로필기 등을 들 수 있다.
페닐기로 치환되는 기, 또는 탄소수 7 ∼ 9 의 아르알킬기로 치환되는 기로는,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등의 할로겐 원자;메틸기, 에틸기 등의 탄소수 1 ∼ 6 의 알킬기;메톡시기, 에톡시기 등의 탄소수 1 ∼ 6 의 알콕시기;니트로기;시아노기;등을 들 수 있다. 페닐기로 치환되는 기, 또는 탄소수 7 ∼ 9 의 아르알킬기로 치환되는 기는, 복수 있어도 되고, 당해 복수의 치환기는 동일하거나 혹은 상이한 것이어도 된다.
이들 중, R 로는, 무치환의 혹은 불소 원자로 치환된 탄소수 2 ∼ 7 의 알킬기가 바람직하고, 불소 원자로 치환된 탄소수 2 ∼ 5 의 알킬기가 보다 바람직하고, 2,2,3,3,3-펜타플루오로프로필기가 더욱 바람직하다.
식 (1) 중, X1 은 할로겐 원자 또는 탄소수 1 ∼ 3 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할로겐 원자로는,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등을 들 수 있다. 또, 탄소수 1 ∼ 3 의 알킬기로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X1 로는, 할로겐 원자가 바람직하고, 염소 원자가 보다 바람직하다.
식 (1) 중, X2 는 수소 원자 또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낸다. 할로겐 원자로는,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X2 로는, 수소 원자가 바람직하다.
식 (1) 중, Y1 및 Y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불소 원자를 나타낸다. 이들 중, Y1 및 Y2 로는, 수소 원자가 바람직하다.
식 (1) 로 나타내는 1,5-디페닐-1H-1,2,4-트리아졸-3-카르복실산아미드 유도체의 구체예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3-313779호 (명세서 중 표 1) 에 기재된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R 이 2,2,3,3,3-펜타플루오로프로필기, X1 이 4 위치 치환의 염소 원자, X2, Y1 및 Y2 가 수소 원자인 화합물 (1-[4-클로로-3-(2,2,3,3,3-펜타플루오로프로폭시메틸)페닐]-5-페닐-1H-1,2,4-트리아졸-3-카르복사미드) 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방제제는 잔디에 대한 안전성이 높고, 토양 처리 또는 경엽 처리를 함으로써, 기존의 잔디용 제초제로 방제가 곤란한 벼과 다년생 잡초나, 기존의 제초제에 저항성을 갖는 잡초에 대해서도 높은 제초 효과를 나타내고, 또한 처리 적기폭이 넓은 제초제이다.
본 발명의 방제제를 사용할 수 있는 잔디로는, 잔디로서 사용되는 초종 (草種) 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들잔디, 금잔디, 비로드 잔디, 버뮤다그래스, 세인트오거스틴그래스, 및 센터피드그래스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난지형 잔디;크리핑벤트그래스, 켄터키블루그래스, 페레니얼라이그래스, 및 훼스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한지형 잔디;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금잔디 (Zoysia tenuifolia) 나, 들잔디 (Zoysia japonica) 를 포함하는 잔디속 (Zoysia) 이 바람직하고, 금잔디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방제제가 방제 대상으로 하는 잡초로는, 벼과 및 광엽의, 1 년생 및 다년생 잡초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잔디용 벼과 다년생 잡초 방제제는, 바람직하게는 벼과 잡초를 방제 대상으로 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벼과 다년생 잡초를 방제 대상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인 방제 대상 잡초로는, 참새피속의 참새피 (Paspalum thunbergii), 큰참새피 (Paspalum dilatatum), 띠속의 띠 (Imperata cylindrica), 참억새속의 참억새 (Miscanthus sinensis), 물억새 (Miscanthus sacchariflorus), 수수속의 시리아수수새 (죤슨그래스, Sorghum halepense), 갈대속의 갈대 (Phragmites australis), 오리새속의 오리새 (Dactylis glomerata), 조아재비속의 큰조아재비 (Phleum pratense), 개밀속의 개밀 (Agropyron tsukushiense), 구주개밀 (Agropyron repens)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참새피속 및 띠속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일종의 벼과 다년생 잡초를 방제 대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잡초로서 구체적으로는, 참새피 (Paspalum thunbergii), 아메리카참새피 (Paspalum notatum), 털큰참새피 (Paspalum urvillei), 큰참새피 (Paspalum dilatatum), 띠 (Imperata cylindrica) 등을 들 수 있다.
보다 높은 방제 효과를 얻을 목적이나 새로운 저항성 발생을 방지하는 관점에서는, 본 발명의 방제제와 다른 농약 활성 성분의 혼합 처리, 체계 처리, 복수 회의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베어내거나 하는 경종적 방제와 조합한 종합 유해 생물 관리 (IPM) 등과 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처리에 의해, 본 발명의 방제제의 사용약량을 저감시키는 효과도 겸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방제제와 혼합할 수 있는 농약 활성 성분은, 액체인지 고체인지, 혹은 유기 화합물인지 무기 화합물인지, 또한 단일 화합물인지 혼합물인지 등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하기에 나타내는 살균제, 살충제, 살진드기제, 식물 생장 조절제, 제초제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 농약 활성 성분은 1 종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혼용함으로써, 효력, 약해, 저항성을 갖는 잡초 발달에 대해, 상가 효과나 현저한 상승 효과가 얻어지는 경우가 있다.
살균제:
염기성 염화구리, 염기성 황산구리 등의 구리제;
황제:티우람, 지네브, 만네브, 만코제브, 지람, 프로피네브, 폴리카바메이트 등.
폴리할로알킬티오제:캡탄, 폴펫, 디클로르플루아니드 등.
유기 염소제:클로로탈로닐, 프탈라이드 등.
유기 인제:IBP, EDDP, 트리클로포스메틸, 피라조포스, 포세틸 등.
벤즈이미다졸제:티오파네이트메틸, 베노밀, 카르벤다짐, 티아벤다졸 등.
디카르복시이미드제:이프로디온, 프로시미돈, 빈클로졸린, 플루오르이미드 등.
카르복시아미드제:옥시카르복신, 메프로닐, 플루톨라닐, 테클로프탈람, 트리클라미드, 펜시쿠론, 티플루자미드, 펜티오피라드 등.
아실알라닌제:메탈락실, 옥사딕실, 푸랄락실 등.
메톡시아크릴레이트제:크레속심메틸, 아족시스트로빈, 메토미노스트로빈 등.
아닐리노피리미딘제:안도프린, 메파니피림, 피리메타닐, 시프로디닐 등.
SBI 제:트리아디메폰, 트리아디메놀, 비테르타놀, 미크로부타닐, 헥사코나졸, 프로피코나졸, 트리플루미졸, 프로클로라즈, 페프라조에이트, 페나리몰, 피리페녹스, 트리폴린, 플루실라졸, 에타코나졸, 디클로부트라졸, 플루오트리마졸, 플루트리아펜, 펜코나졸, 디니코나졸, 이마잘릴, 트리데모르프, 펜프로피모르프, 부티오베이트, 에폭시코나졸, 메트코나졸 등.
항생 물질제:폴리옥신, 블라스티사이딘 S, 카스가마이신, 발리다마이신, 황산디하이드로스트렙토마이신 등.
그 밖의 살균제:프로파모카르브염산염, 퀸토젠, 하이드록시이소옥사졸, 메타술포카르브, 아닐라진, 이소프로티올란, 프로베나졸, 키노메티오나트, 디티아논, 디노캡, 디클로메진, 페림존, 플루아지남, 피로퀴론, 트리시클라졸, 옥소리닉산, 디티아논, 이미녹타진아세트산염, 시목사닐, 피롤니트린, 메타술포카르브, 디에토펜카르브, 비나파크릴, 레시틴, 중조, 페나미노설프, 도딘, 디메토모르프, 페나진옥사이드, 카르프로파미드, 플루술파미드, 플루디옥소닐, 파목사돈 등.
살충·살진드기제:
유기 인 및 카바메이트계 살충제:펜티온, 페니트로티온, 다이아지논, 클로르피리포스, ESP, 바미도티온, 펜토에이트, 디메토에이트, 포르모티온, 말라티온, 트리클로르폰, 티오메톤, 포스메트, 디클로르보스, 아세페이트, EPBP, 메틸파라티온, 옥시디메톤메틸, 에티온, 살리티온, 시아노포스, 이속사티온, 피리다펜티온, 포사론, 메티다티온, 술프로포스, 클로르펜빈포스, 테트라클로르빈포스, 디메틸빈포스, 프로파포스, 이소펜포스, 에틸티오메톤, 프로페노포스, 피라클로포스, 모노크로토포스, 아진포스메틸, 알디카르브, 메소밀, 티오디카르브, 카르보푸란, 카르보술판, 벤푸라카르브, 푸라티오카르브, 프로폭술, BPMC, MTMC, MIPC, 카르바릴, 피리미카브, 에티오펜카르브, 페녹시카르브 등.
피레스로이드계 살충제:페르메트린, 시페르메트린, 델타메트린, 펜발레레이트, 펜프로파트린, 피레트린, 알레트린, 테트라메트린, 레스메트린, 디메트린, 프로파트린, 페노트린, 프로트린, 플루발리네이트, 시플루트린, 시할로트린, 플루시트리네이트, 에토펜프록스, 시클로프로트린, 트랄로메트린, 시라플루오펜, 브로펜프록스, 아크리나트린 등.
네오니코티노이드계 화합물:니텐피람, 이미다크로프리드, 아세타미프리드, 티아메톡삼, 크로티아니딘, 티아클로프리드, 디노테프란, 이미다크로티드, 니티아진 등.
벤조일우레아계 그 밖의 살충제:디플루벤즈론, 클로르플루아즈론, 헥사플루무론, 트리플루무론, 플루페녹스론, 플루시클록스론, 부프로페진, 피리프록시펜, 메토프렌, 벤조에핀, 디아펜티우론, 피프로닐, 카르탑, 티오사이클램, 벤술탑, 황산니코틴, 로테논, 메타알데히드, 기계유, BT 나 곤충병원 바이러스 등의 미생물 농약, 페로몬제 등.
살선충제 : 페나미포스, 포스티아제이트 등.
살진드기제 : 클로르벤질레이트, 페니소브로모레이트, 지코홀, 아미트라즈, BPPS, 벤조메이트, 헥시티아족스, 산화 펜부타주석, 폴리낙틴, 퀴노메티오네이트, CPCBS, 테트라디폰, 아베르멕틴, 밀베멕틴, 클로펜테진, 시헥사틴, 피리다벤, 펜피록시메이트, 테부펜피라드, 피리미디펜, 페노티오카르브, 디에노클로르 등.
식물 생장 조절제 : 지베렐린류 (예를 들어 지베렐린 A3, 지베렐린 A4, 지베렐린 A7), IAA, NAA 등.
제초제 : 아시플루오르펜, 아트라진, 아라클로르, 이속사벤, 이소프로투론, 이마자퀸, 이마제타피르, 이마조술푸론, 에톡시술푸론, 에토푸메세이트, 엔도탈, 옥사디아존, 옥사디아르길, 오리잘린, 오르토벤카르브, 카펜스트롤, 퀴노클라민, 퀸클로랙, 글리포사이트, 글리포시네이트, 클로마존, 클로르프로팜, 시아나진, 디우론, 디캄바, 시클로술파무론, 디클로베닐, 디클로폽-메틸, 디티오필, 시노술푸론, 디플루페니칸, 디펜조콰트, 신메틸린, 술코트리온, 세톡시딤, 다이무론, 티오벤카르브, 테닐클로르, 트랄콕시딤, 트리아지플람, 트리아조페나미드, 트리클로피르, 트리플루랄린, 트리플록시술푸론, 나프로아닐리드, 나프로파미드, 니코술푸론, 파라콰트, 할로술푸론메틸, 비페녹스, 피페로포스, 피라졸레이트, 피리티오백, 피리데이트, 피리부티카르브, 페녹사프로프-에틸, 펜메디팜, 부타미포스, 플라자술푸론, 플람프로프에틸, 플루미클로락-펜틸, 플루티아셋-메틸, 플루메트술람, 프레티라크롤, 프로디아민, 프로파닐, 프로피자미드, 플로라술람, 브로목시닐, 벤술푸론-메틸, 벤조일프로프에틸, 벤타존, 펜디메탈린, 벤푸레세이트, 벤플루랄린, 포메사펜, 메타미트론, 메트술푸론메틸, 메트리부진, 림술푸론, 레나실, ACN, CAT, DCBN, EPTC, MCPP, MDBA, 2,4-D, 2,4-DB 등.
공력 (共力)·해독제·약해 경감제 : 옥타클로로디프로필에테르, 피페로닐부톡사이드, 사이네피린, IBTA, 베녹사코르, 클로퀸토셋메틸, 시오메트리닐, 디클로르미드, 펜클로라졸에틸, 펜클로림, 플루라졸, 푸릴라졸, 메펜피르디에틸, MG191, 나프탈릭 언하이드라이드, 옥사베트리닐 등.
방균·방미·방조 (防藻) 제:트리알킬트리아민,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프로필알코올, 트리스니트로, 클로로부탄올, 프로노폴, 글루타르알데히드, 포름알데히드, α-브롬신암알데히드, 스케인 M-8, 케이슨 CG, NS-500W, BIT, n-부틸 BIT, 이소티오시안산알릴, 티아벤다졸, 2-벤즈이미다졸릴카르바민산메틸, 라우리시딘, 바이오반, 트리클로카르반, 할로카르반, 벤조산, 소르브산, 카프릴산, 프로피온산, 10-운데실렌산, 소르브산칼륨, 프로피온산칼륨, 벤조산칼륨, 프탈산모노마그네슘, 운데실렌산아연, 8-하이드록시퀴놀린, 퀴놀린구리, TMTD, 트리클로산, 트리플루아니드, 이리단백, 난백 리소자임, 벤티아졸, 카밤나트륨, 트리아진, 테부코나졸, 히노키티올, 테트라클로로이소프탈로니트릴, 글루콘산클로르헥시딘, 클로르헥시딘염산염, 폴리헥사메틸렌비구아니드, 폴리비구아니드염산염, 단토프롬, 크라이단토, 피리티온나트륨, 징크피리티온, 덴실, 캇파피리티온, 티몰, 이소프로필메틸페놀, OPP, 페놀, 부틸바라벤, 에틸파라벤, 메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메타크레졸, 오르토크레졸, 파라크레졸, 오르토페닐페놀나트륨, 클로로펜, 파라클로르페놀, 파라클로로메타자일레이트, 파라클로로크레졸, 플루오로폴펫, 폴리리진, 디요오드메틸파라트리술폰, 과산화수소, 안정화 이산화염소, 과아세트산, 나프텐산구리, 노파론 AG300, 염화은, 산화티탄, 은, 인산아연칼슘, 실버에이스, 은아연알루미노규산염, 은아연제올라이트, 홀론킬러, 다이머 136, 벤잘코늄클로라이드, 디데실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벤제토늄클로라이드, 하이아민 3500J, 브롬화세틸암모늄, 세트리미드, 다이머 38, 바닥크 170P, DC-5700, 세틸피리디늄클로라이드, 키토산, 디우론, 프리벤톨 A6, CMI, 2Cl-OIT, OIT, IPBC, TCMSP 등.
이들 중에서도,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농약 활성 성분이, ACN, CAT, DCBN, MCPP, MDBA, 알라클로르, 이속사벤, 이마자퀸, 이마조술푸론, 에톡시술푸론, 엔도탈, 옥사디아르길, 오리잘린, 오르토벤카르브, 카펜스트롤, 퀴노클라민, 시클로술파무론, 디티오필, 시노술푸론, 신메틸린, 테닐클로르, 트리아지플람, 트리클로피르, 트리플록시술푸론, 나프로파미드, 할로술푸론메틸, 비페녹스, 피리부티카르브, 부타미포스, 플라자술푸론, 프로디아민, 프로피자미드, 플로라술람, 벤플루랄린, 펜디메탈린, 메트술푸론메틸, 림술푸론, 레나실 등의 잔디용의 제초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농약 이외의 성분으로서, 비료나 식물 활력제, 착색제 등의 그 밖의 농업용 자재와 혼합 제제화하거나, 혼용 처리하거나, 체계 처리를 실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방제제는 통상, 유기 용매, 증량제, 물 등과 혼합하고, 필요에 따라 계면활성제 그 밖의 제제용 보조제 등을 첨가하여, 수화제, 과립상 수화제, 분말제, 에어졸, 현탁제, 유탁제, 서스포에멀션, 마이크로캡슐 제제, 마이크로에멀션 제제, 페이스트상 제제 등으로 제제화하여 사용된다.
계면활성제로는, 통상적인 농약용 제제에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면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아니온성 계면활성제, 카티온성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C12 ∼ 18), POE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C12 ∼ 18), 자당지방산에스테르 등의 당에스테르형 계면활성제, POE 지방산에스테르 (C12 ∼ 18), POE 수지산에스테르, POE 지방산디에스테르 (C12 ∼ 18) 등의 지방산에스테르형 계면활성제;POE 알킬에테르 (C12 ∼ 18) 등의 알코올형 계면활성제;POE 알킬 (C8 ∼ 12) 페닐에테르, POE 디알킬 (C8 ∼ 12) 페닐에테르, POE 알킬 (C8 ∼ 12) 페닐에테르포르말린 축합물 등의 알킬페놀형 계면활성제;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블록폴리머, 알킬 (C12 ∼ 18)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블록폴리머에테르 등의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블록폴리머형 계면활성제;POE 알킬아민 (C12 ∼ 18), POE 지방산아미드 (C12 ∼ 18) 등의 알킬아민형 계면활성제;POE 지방산비스페닐에테르 등의 비스페놀형 계면활성제;POA 벤질페닐 (또는 페닐페닐) 에테르, POA 스티릴페닐 (또는 페닐페닐) 에테르 등의 다방향고리형 계면활성제;POE 에테르 및 에스테르형 실리콘 및 불소계 계면활성제 등의 실리콘계, 불소계 계면활성제;POE 피마자유, POE 경화 피마자유 등의 식물유형 계면활성제;등을 들 수 있다.
아니온성 계면활성제로는, 알킬술페이트 (C12 ∼ 18, Na, NH4, 알칸올아민), POE 알킬에테르술페이트 (C12 ∼ 18, Na, NH4, 알칸올아민), POE 알킬페닐에테르술페이트 (C12 ∼ 18, NH4, 알칸올아민, Ca), POE 벤질 (또는 스티릴) 페닐 (또는 페닐페닐) 에테르술페이트 (Na, NH4, 알칸올아민),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블록폴리머술페이트 (Na, NH4, 알칸올아민) 등의 술페이트형 계면활성제;파라핀 (알칸) 술포네이트 (C12 ∼ 22, Na, Ca, 알칸올아민), AOS (C14 ∼ 16, Na, 알칸올아민), 디알킬술포숙시네이트 (C8 ∼ 12, Na, Ca, Mg), 알킬벤젠술포네이트 (C12, Na, Ca, Mg, NH4, 알킬아민, 알칸올아민, 시클로헥실아민), 모노 또는 디알킬 (C3 ∼ 6) 나프탈렌술포네이트 (Na, NH4, 알칸올아민, Ca, Mg), 나프탈렌술포네이트·포르말린 축합물 (Na, NH4), 알킬 (C8 ∼ 12) 디페닐에테르디술포네이트 (Na, NH4), 리그닌술포네이트 (Na, Ca), POE 알킬 (C8 ∼ 12) 페닐에테르술포네이트 (Na), POE 알킬 (C12 ∼ 18) 에테르술포숙신산하프에스테르 (Na) 등의 술포네이트형 계면활성제;카르복실산형 지방산염 (C12 ∼ 18, Na, K, NH4, 알칸올아민), N-메틸-지방산사르코시네이트 (C12 ∼ 18, Na), 수지산염 (Na, K) 등의 POE 알킬 (C12 ∼ 18) 에테르포스페이트 (Na, 알칸올아민);POE 모노 또는 디알킬 (C8 ∼ 12) 페닐에테르포스페이트 (Na, 알칸올아민), POE 벤질 (또는 스티릴) 화페닐 (또는 페닐페닐) 에테르포스페이트 (Na, 알칸올아민),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블록폴리머 (Na, 알칸올아민), 포스파티딜콜린·포스파티딜에탄올이민 (레시틴), 알킬 (C8 ∼ 12) 포스페이트 등의 포스페이트형 계면활성제;등을 들 수 있다.
카티온성 계면활성제로는, 알킬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C12 ∼ 18), 메틸·폴리옥시에틸렌·알킬암모늄클로라이드 (C12 ∼ 18), 알킬·N-메틸피리듐브로마이드 (C12 ∼ 18), 모노 또는 디알킬 (C12 ∼ 18) 메틸화암모늄클로라이드, 알킬 (C12 ∼ 18) 펜타메틸프로필렌디아민디클로라이드 등의 암모늄형 계면활성제;알킬디메틸벤잘코늄클로라이드 (C12 ∼ 18), 벤제토늄클로라이드 (옥틸페녹시에톡시에틸디메틸벤질암모늄클로라이드) 등의 벤잘코늄형 계면활성제;등을 들 수 있다.
양쪽성 계면활성제로는, 디알킬 (C8 ∼ 12) 디아미노에틸베타인, 알킬 (C12 ∼ 18) 디메틸벤질베타인 등의 베타인형 계면활성제;디알킬 (C8 ∼ 12) 디아미노에틸글리신, 알킬 (C12 ∼ 18) 디메틸벤질글리신 등의 글리신형 계면활성제;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계면활성제는 1 종 단독으로, 혹은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유탁제, 서스포에멀션, 마이크로캡슐 제제, 마이크로에멀션 제제에서 사용되는 유기 용매로는, 식물유, 석유계 직사슬 탄화수소, 방향족 탄화수소, 예를 들어 알킬화나프탈렌, 바람직하게는 α-메틸나프탈렌;지방족 또는 지환식 탄화수소, 예를 들어 파라핀 또는 시클로헥산;글리콜 그리고 그들의 에테르, 예를 들어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또는 모노에틸에테르;에스테르, 예를 들어 올레산메틸, 이염기산 (아디프산, 글루타르산, 숙신산) 디메틸에스테르류;케톤 예를 들어 시클로헥사논, 이소포론 또는 디아세톤알코올;복소고리 화합물 예를 들어 N-메틸-2-피롤리돈, γ-부티로락톤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유기 용매는 1 종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수화제, 과립 형상 수화제, 분말제에 사용되는 증량제 (담체) 로는, 예를 들어 염화칼륨, 인산염, 인산수소염, 황산암모늄 등의 무기염;천연 광물 분말, 산화규소 등의 흡유성이 높은 무기 합성 증량제;를 들 수 있다. 또한, 자당, 유당 등의 당류;우레아, 전분, 덱스트린, 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유도체, 곡물 분말, 톱밥 등의 유기물;도 증량제로서 들 수 있다. 이들은 1 종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제제에는, 동결 방지제를 첨가할 수도 있다. 동결 방지제의 구체예로는,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디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 종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유탁제, 수화 현탁제에 있어서, 농약 활성 성분 입자의 침강·분리를 방지하기 위해, 하이드록시알킬셀룰로오스 및 그 금속염 등의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비닐알코올 유도체, 폴리비닐피롤리돈, 천연검류, 벤토나이트 등의 증점제를 첨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방제제에는, 필요에 따라 탄산칼슘, 염화칼륨, 황산나트륨 등의 무기염류;시트르산, 말산, 푸마르산, 스테아르산 등의 유기산 및 그들의 염;유당, 자당 등의 당류;알루미나 분말, 실리카겔, 제올라이트,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인산지르코늄, 인산티탄, 산화티탄, 산화아연, 하이드로탈사이트, 카올리나이트, 몬모릴로나이트, 탤크, 클레이 등의 무기 첨가제;갈산n-프로필, 부틸하이드록시아니솔 등의 산화 방지제;트리폴리인산나트륨, 인산이수소나트륨, 인산암모늄 등의 pH 조절제나 완충화제;식용 청색 1 호, 메틸렌블루, 피그먼트레드 48 등의 착색제;방부제;활제;자외선 흡수제;대전 방지제;등의 다른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제제는, 안정제와 같은 고형 또는 액상 보조제, 예를 들어 고형 파라핀, 유동 파라핀, 에폭시화한 또는 에폭시화하지 않은 식물유 (예를 들어 에폭시화한 코코넛유, 채종유 또는 대두유), 소포제 (예를 들어 실리콘오일), 점도 조절제, 결합제, 접착제, 다른 유효 성분 (예를 들어 살세균제, 살곰팡이제, 살박테리아제, 살충제 또는 살진드기제) 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방제제는, 이미 알려진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방제제가 유탁제 (emulsion, oil in water) 인 경우에는, 유효 성분과 유화제 및 유화 안정제를 유기 용매에 용해시킨 용액을 물에 첨가하면서 호모게나이즈하거나, 유효 성분과 유화제 및 유화 안정제를 유기 용매에 용해시킨 용액에 물을 서서히 첨가하면서 호모게나이즈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제제가 현탁제 (suspension concentrate) 인 경우에는, 유효 성분과 젖음제, 분산제, 증점제, 방부제, 소포제 등을 혼합하여 비즈를 충전한 습식 분쇄기로 분쇄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제제가 서스포에멀션 (suspoemulsion) 인 경우에는, 유액제 (emulsion, oil in water) 와 수화 현탁제 (suspension concentrate) 를 쓰리원 모터 등으로 교반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제제가 수화제 (wettable powder) 인 경우에는, 우르막스 (닛소 엔지니어링사 제조) 등의 제트 밀로 공기 분쇄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방제제가 과립 형상 수화제 (water dispersible granule) 인 경우에는, 수화제에 물을 첨가하고 혼련하고 압출하고 건조시켜 정립함으로써 제조되고, 분말제 (dust) 는 원체 (原體) 와 증량제의 일부나 기타 성분을 혼합하여 제트 밀로 분쇄한 농후 분말을 제조하고, 증량제로 희석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제제화된 본 발명의 방제제는, 그대로, 혹은 물 등으로 희석시켜, 종자, 식물체, 수면 또는 토양에 시용된다. 또한, 다른 살균제, 제초제, 비료, 토양 개량제 등과 병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농업용 조성물의 시용량은, 2 종의 유효 성분 화합물의 혼합비, 기상 조건, 제제 형태, 시용 방법, 시용 장소, 방제 대상 병해, 대상 작물 등에 따라 상이한데, 통상 1 헥타르당 유효 성분 화합물량으로 하여 10 ∼ 5000 g, 바람직하게는 200 ∼ 3000 g 이다.
본 발명의 방제제의 산포 방법이나 산포 시기는, 기존의 농약이 취할 수 있는 일반적인 산포 기계나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다.
벼과 다년생 잡초의 방제는, 잡초의 발생 전, 발생 후 어느 시기에 산포해도 높은 효과가 얻어지지만, 보다 높은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약제가 충분히 흡수되고, 게다가 신규 발생을 장기에 방지할 수 있는 점에서 토양 처리가 바람직하다. 벼과 다년생 잡초 이외의 초종에 있어서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를 전여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과립 수화제의 제조
1-[4-클로로-3-[(2,2,3,3,3-펜타플루오로프로폭시)메틸]페닐]-5-페닐-1H-1,2,4-트리아졸-3-카르복시아미드 50.6 질량부, 아니온성 계면활성제 12.0 질량부, 염화칼륨 10.0 질량부, 및 광물성 담체 27.4 질량부를 혼합하고, 얻어진 혼합물을 해머 밀로 분쇄한 것에 물 45 질량부를 첨가하여 혼련하고, 0.7 ㎜ 의 스크린을 사용하여 압출 조립 (造粒) 하고, 건조시켜, 과립 수화제를 얻었다. 얻어진 과립 수화제를 약제 A 로 한다.
대조제로는, 이하의 시판 제제품을 사용한다.
약제 B:펜디메탈린 45 % 플로아블 제제 (상품명:웨이업, BASF 사 제조)
약제 C:프로디아민 40.7 % 플로아블 제제 (상품명:바리케이드, 신젠타사 제조) 및 트리플록시술푸론나트륨염 75 % 과립 수화제 (상품명:모뉴먼트, 신젠타사 제조) 를 각각 소정 농도가 되도록 물로 희석시켜 혼합한 것
약제 D:펜디메타린 45 % 플로아블 제제 (상품명:웨이업, BASF 사 제조) 및 시클로술파무론 66 % 과립 수화제 (상품명:더블업, BASF 사 제조) 를 각각 소정 농도가 되도록 물로 희석시켜 혼합한 것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방제제의 효과에 관한 시험예를 나타낸다.
(시험예 1) 띠 방제 효과
띠 (Imperata cylindrica) 의 덩이 줄기 (길이 약 10 ㎝) 를 1 포트에 6 개, 깊이 5 ㎝ 로 이식하였다. 동일한 날에 물로 소정 농도로 희석시킨 약제 A 및 B 를, 토양 표면에, 산포 수량 200 ㎖/㎡ 로 각각 산포하였다. 온실 내에서 생육시켜, 이식·산포로부터 56 일 경과 후에, 지상부를 회수하여 생중량을 측정하였다. 시험은 3 련으로 실시하여, 평균값을 구하였다. 시험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약제 A 는 띠의 생육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었다.
Figure 112014061518808-pct00002
(시험예 2) 큰참새피 방제 효과
큰참새피 (Paspalum dilatatum) 의 덩이 줄기 (길이 3 ∼ 5 ㎝) 를 1 포트에 6 개, 깊이 5 ㎝ 로 이식하였다. 3 일 후에 물로 소정 농도로 희석한 약제 A 및 B 를, 토양 표면에, 산포 수량 200 ㎖/㎡ 로 각각 산포하였다. 온실 내에서 생육시켜, 산포로부터 56 일 경과 후에, 지상부를 회수하여 생중량을 측정하였다. 시험은 3 련으로 실시하여, 평균값을 구하였다. 시험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약제 A 는 큰참새피의 생육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었다.
Figure 112014061518808-pct00003
(시험예 3) 띠 방제 효과
고속도로 인터체인지 내의 띠 발생지에서 각 100 ㎡ 의 2 구획을 작성하고, 약제 A 를 수돗물로 희석시켜 산포액을 조제하였다.
이 산포액, 약제 C 및 D 를, 분무기를 사용하여 산포 수량 200 ㎖/㎡ 로 각각 산포하여 경엽 처리를 행하였다.
산포로부터 2 개월 및 3 개월 경과 후에 조사를 실시하고, 육안으로 억제의 정도를 확인하여 2 구획의 평균값을 구하였다. 시험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약제 C 및 D 에서는 억제 효과가 부족한 띠를, 약제 A (플루폭삼 50.6 질량% 과립 수화제) 에 의해, 잔디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억제할 수 있었다.
또한, 억제 효과 (%) 는, 무처리구와의 비교로, 0 % ∼ 100 % 의 척도로 달관 조사한 것이다. 0 % 는 무처리구와 완전히 동일하게 띠가 번무하고 있는 일을 의미하고, 100 % 는 띠가 완전히 고사 (枯死) 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Figure 112014061518808-pct00004
(시험예 4) 참새피 방제 효과
골프 연습장 내의 참새피 발생지에서 5000 ㎡ 의 1 구획을 작성하고, 약제 A 를 수돗물로 희석시켜 산포액을 조제하였다.
이 산포액을, 분무기를 사용하여 산포 수량 200 ㎖/㎡ 로 산포하여 경엽 처리를 실시하였다.
산포로부터 2 개월 및 4 개월 경과 후에 조사를 실시하고, 육안으로 억제의 정도를 확인하였다. 시험 결과를 표 4 에 나타낸다. 참새피를, 약제 A (플루폭삼 50.6 질량% 과립 수화제) 에 의해 잔디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장기간 억제할 수 있었다. 또한, 억제 효과 (%) 는, 무처리구와의 비교에서 0 % ∼ 100 % 의 척도로 달관 조사한 것이다. 0 % 는 무처리구와 완전히 동일하게 참새피가 번무하고 있는 것을 의미하고, 100 % 는 참새피가 완전히 고사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Figure 112014061518808-pct00005
이상의 결과로부터, 식 (1) 로 나타내는 1,5-디페닐-1H-1,2,4-트리아졸-3-카르복실산아미드 유도체를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잔디용 벼과 다년생 잡초 방제제는, 벼과 다년생 잡초에 대하여, 단독 사용으로도, 빠르고, 높은 제초 효과를 갖고, 또한 잔디류에 대해 약해를 미치지 않고 높은 안전성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에 관련된 잔디용 벼과 다년생 잡초 방제제는, 기존의 잔디용 제초제로는 방제가 곤란하던 벼과 다년생 잡초에 대해 높은 방제 효과를 나타내고, 또한 방제 효과의 발현이 빠르다. 또, 잔디류에 대해 충분한 안전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관련된 잔디 벼과 다년생 잡초의 방제 방법에 의하면, 잔디에 약해를 미치지 않고, 또한 기존의 잔디용 제초제로는 방제가 곤란하던 벼과 다년생 잡초에 대해 높은 제초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잔디용 벼과 다년생 잡초 방제제 및 잔디 벼과 다년생 잡초의 방제 방법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은 산업상 매우 유용하다.

Claims (6)

1-[4-클로로-3-[(2,2,3,3,3-펜타플루오로프로폭시)메틸]페닐]-5-페닐-1H-1,2,4-트리아졸-3-카르복시아미드를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잔디용 벼과 다년생 잡초 방제제로서,
상기 벼과 다년생 잡초가 띠속인 잔디용 벼과 다년생 잡초 방제제.
제 1 항에 기재된 방제제를, 띠속 잡초가 난 잔디에 토양 처리 또는 경엽 처리에 의해 시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잔디 벼과 다년생 잡초의 방제 방법.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잔디가 들잔디, 금잔디, 비로드 잔디, 버뮤다그래스, 세인트오거스틴그래스, 크리핑벤트그래스, 켄터키블루그래스, 페레니얼라이그래스, 훼스큐, 및 센터피드그래스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가지의 잔디로 이루어지는 것인 잔디 벼과 다년생 잡초의 방제 방법.
삭제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 성분을 1 헥타르당 10 ∼ 5000 g 으로 시용하는 잔디 벼과 다년생 잡초의 방제 방법.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방제제가 과립 수화제인 잔디 벼과 다년생 잡초의 방제 방법.
KR1020147018115A 2012-01-19 2013-01-17 잔디용 벼과 다년생 잡초 방제제 및 잔디 벼과 다년생 잡초의 방제 방법 KR1016794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08663 2012-01-19
JP2012008663 2012-01-19
PCT/JP2013/050772 WO2013108825A1 (ja) 2012-01-19 2013-01-17 芝生用イネ科多年生雑草防除剤、および芝生イネ科多年生雑草の防除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8230A KR20140098230A (ko) 2014-08-07
KR101679488B1 true KR101679488B1 (ko) 2016-11-24

Family

ID=48799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8115A KR101679488B1 (ko) 2012-01-19 2013-01-17 잔디용 벼과 다년생 잡초 방제제 및 잔디 벼과 다년생 잡초의 방제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827698B2 (ko)
KR (1) KR101679488B1 (ko)
TW (1) TWI494060B (ko)
WO (1) WO2013108825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9806A (ja) 1999-07-30 2001-02-13 Ishihara Sangyo Kaisha Ltd 芝生中の多年生イネ科雑草を防除す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8047B2 (ja) * 1987-03-10 1995-08-23 呉羽化学工業株式会社 1,5−ジフエニル−1h−1,2,4−トリアゾ−ル−3−カルボン酸アミド誘導体及び該誘導体を含有する除草剤
WO2008096675A1 (ja) * 2007-02-06 2008-08-14 Nippon Soda Co., Ltd. 芝生用広葉多年生雑草防除剤及び芝生用広葉多年生雑草の防除方法
JP2009269857A (ja) * 2008-05-08 2009-11-19 Hisao Awano 強化除草剤及びその強化除草剤の使用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9806A (ja) 1999-07-30 2001-02-13 Ishihara Sangyo Kaisha Ltd 芝生中の多年生イネ科雑草を防除す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334691A (zh) 2013-09-01
JPWO2013108825A1 (ja) 2015-05-11
JP5827698B2 (ja) 2015-12-02
TWI494060B (zh) 2015-08-01
KR20140098230A (ko) 2014-08-07
WO2013108825A1 (ja) 2013-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02854B2 (ja) 菌類感染から大豆を保護する方法
JP6110811B2 (ja) 広葉多年生雑草の防除方法
DE19911165B4 (de) Entlaubungsmittel
EP1069826B1 (de) Synergistische herbizide mittel auf basis von phosphorhaltigen blattherbiziden, imidazolinonen und wuchsstoffherbiziden
EP2667721B1 (en) Pesticide composition comprising sulphur, an acaricide and an agrochemical excipient
EP3893644A2 (en) Method to control a phythopatogenic fungi selected from uncinula necator, plasmopara viticola and gloeosporium ampelophagum in grapes by compositions comprising mefentrifluconazole
EP1453379B1 (de) Synergistische herbizide mittel enthaltend herbizide aus der gruppe der benzoylpyrazole
KR20140041451A (ko) 농원예용 살균제 조성물
CN106470549B (zh) 活性化合物组合物的用途
EP1315420B1 (de) Herbizide mischungen
US8652498B2 (en) Pesticidal composition
EP2238835B1 (de) Defoliant auf Basis von Thidiazuron und Flufenacet
BG66295B1 (bg) Фунгицидни състави на базата на производно на пиридилметилбензамид и на пропамокарб
US9072302B2 (en) Pesticidal composition containing lambda cyhalothrin and diafenthiuron
EP2150116B1 (de) Defoliant
EP2938192B1 (en) Fungicidal compositions for controlling leaf spots in sugar beets
KR101679488B1 (ko) 잔디용 벼과 다년생 잡초 방제제 및 잔디 벼과 다년생 잡초의 방제 방법
US8119564B2 (en) Herbicidal control using sulfentrazone and metsulfuron
EP0614608B1 (de) Synergistische Mischungen zur Bekämpfung von Ackerfuchsschwanz
US8119565B2 (en) Herbicidal control using sulfentrazone and dithiopyr
KR101869107B1 (ko) 용해된 살충제 및 현탁된 살충제, 알킬 락테이트 및 알콜을 포함하는 무수 조성물
JP4652019B2 (ja) 茎葉散布用の農薬製剤
JP4495468B2 (ja) 芝用病害防除剤
DE4428982C1 (de) Neue synergistische Herbizide, insbesondere zur Bekämpfung von Ackerfuchsschwanz
JP2008056602A (ja) 芝病害防除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