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8043B1 - 비패턴 웨이퍼 검사 장치 - Google Patents

비패턴 웨이퍼 검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8043B1
KR101678043B1 KR1020090131974A KR20090131974A KR101678043B1 KR 101678043 B1 KR101678043 B1 KR 101678043B1 KR 1020090131974 A KR1020090131974 A KR 1020090131974A KR 20090131974 A KR20090131974 A KR 20090131974A KR 101678043 B1 KR101678043 B1 KR 1016780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fer
value
region
reference value
measu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1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5506A (ko
Inventor
김병철
정호형
신동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31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8043B1/ko
Priority to US12/977,710 priority patent/US8898028B2/en
Publication of KR20110075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55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8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80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00Testing or measuring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Reliability measurements, i.e. testing of parts without further processing to modify the parts as such; Structural arrangements therefor
    • H01L22/10Measuring as part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 H01L22/12Measuring as part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for structural parameters, e.g. thickness, line width, refractive index, temperature, warp, bond strength, defects, optical inspection, electrical measurement of structural dimensions, metallurgic measurement of diffus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5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object to be examined
    • G01N21/9501Semiconductor waf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5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object to be examined
    • G01N21/9501Semiconductor wafers
    • G01N21/9503Wafer edge inspe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sting Or Measuring Of Semiconductors Or The Like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Abstract

비패턴 웨이퍼 검사 장치가 제공된다. 비패턴 웨이퍼 검사 장치는 광을 조사하는 광원, 광원으로부터 조사되어 웨이퍼에 반사된 광을 검출하는 검출부, 및 검출부가 검출한 광을 수량화된 측정값으로 변환하고, 이를 바탕으로 웨이퍼의 결함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하되, 웨이퍼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포함하고, 검출부는 순차적으로 웨이퍼의 제1 및 제2 영역에 반사된 광을 검출하고, 판단부는 검출부가 순차적으로 검출한 웨이퍼의 제1 및 제2 영역에 반사된 광을 각각 수량화된 제1 및 제2 측정값으로 변환하고, 제2 측정값을 제1 기준값과 비교하여 웨이퍼의 제2 영역의 결함 여부를 판단하되, 제1 기준값은 제1 및 제2 측정값의 평균값과 제1 및 제2 측정값의 산포를 나타내는 특성값을 이용하여 산정된다.
비패턴 웨이퍼, 결함, 기준값, 평균, 산포

Description

비패턴 웨이퍼 검사 장치{Device for inspecting non-pattern wafer}
본 발명은 비패턴 웨이퍼 검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웨이퍼의 각 영역별로 서로 다른 기준값을 적용하여 비패턴 웨이퍼의 결함을 검사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소자는 웨이퍼(wafer) 상에 다수의 막을 형성하고 이를 패터닝(patterning)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형성된다. 이 때 각 막의 형성 공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파티클(particle), 보이드(void), 디스로케이션(dislocation) 등의 결함(defect)이 소정의 허용한도를 넘게되면 완성된 반도체 소자의 품질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함 발생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웨이퍼의 결함을 검사하는 장치가 웨이퍼 검사 장치이며, 이러한 웨이퍼 검사 장치는 소정의 패턴이 형성된 웨이퍼를 검사하는 패턴(pattern) 웨이퍼 검사 장치와 소정의 패턴이 형성되지 않은 웨이퍼를 검사하는 비패턴(non-pattern) 웨이퍼 검사 장치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웨이퍼 상에 다수의 막을 형성하는 반도체 공정에서 웨이퍼 상에 형성되는 막은 설비 특성상 그 두께가 균일하지 못하고 국부적인 단차가 형성될 수 있고, 표면 거칠기(roughness) 또한 영역별로 차이가 날 수 있다. 또한, 웨이퍼의 고온 처리 과정으로인해 웨이퍼의 휨 현상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이렇게 국부적으로 단차가 형성되거나 표면 거칠기가 차이나거나 휨 현상이 발생한 웨이퍼를 검사하는데 있어서, 동일한 기준값을 적용하여 웨이퍼의 전 영역을 검사할 경우 이러한 국부적인 특성을 고려하지 못한 상태에서 결함 검사를 수행하기 때문에 신뢰성있는 검사 결과를 얻기 어렵다. 그리고 이는 곧 제품 불량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웨이퍼 상에 형성된 다수의 막의 형상 및 특성을 충분히 고려하여 비패턴 웨이퍼의 결함을 검사하는 장치가 필요하며, 이는 제품 신뢰성 향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신뢰성이 향상된 비패턴 웨이퍼 검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태양(aspect)에 따른 비패턴 웨이퍼 검사 장치는 광을 조사하는 광원, 광원으로부터 조사되어 웨이퍼에 반사된 광을 검출하는 검출부, 및 검출부가 검출한 광을 수량화된 측정값으로 변환하고, 이를 바탕으로 웨이퍼의 결함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하되, 웨이퍼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포함하고, 검출부는 순차적으로 웨이퍼의 제1 및 제2 영역에 반사된 광을 검출하고, 판단부는 검출부가 순차적으로 검출한 웨이퍼의 제1 및 제2 영역에 반사된 광을 각각 수량화된 제1 및 제2 측정값으로 변환하고, 제2 측정값을 제1 기준값과 비교하여 웨이퍼의 제2 영역의 결함 여부를 판단하되, 제1 기준값은 제1 및 제2 측정값의 평균값과 제1 및 제2 측정값의 산포를 나타내는 특성값을 이용하여 산정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른 비패턴 웨이퍼 검사 장치는 광을 조사하는 광원, 광원으로부터 조사되어 제1 및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웨이퍼에 반사된 광을 검출하는 검출부, 웨이퍼의 일면을 지지하되 제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지지부, 및 검출부가 검출한 웨이퍼의 제1 및 제2 영역에 반사된 광을 각각 수량화된 제1 및 제2 측정값으로 변환하고, 제1 측정값을 제1 기준값과 비교하여 웨이퍼의 제1 영역의 결함여부를 판단하고, 제2 측정값을 제2 기준값과 비교하여 웨이퍼의 제2 영역의 결함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하되, 제1 기준값과 제2 기준값은 서로 다르고, 판단부는 제1 또는 제2 측정값이 일정 범위 밖으로 벗어나면 제1 또는 제2 측정값이 일정 범위 이내가 되도록 지지부를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른 비패턴 웨이퍼 검사 장치는 광을 조사하는 광원, 광원으로부터 조사되어 웨이퍼의 센터 영역 및 엣지 영역에 반사된 광을 검출하는 검출부, 웨이퍼의 일면을 지지하되 일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지지부, 및 검출부가 검출한 웨이퍼의 센터 영역에 반사된 광을 수량화된 제1 측정값으로 변환하고, 제1 측정값을 제1 기준값과 비교하여 웨이퍼의 센터 영역의 결함여부를 판단하고, 웨이퍼의 엣지 영역에 반사된 광을 수량화된 제2 측정값으로 변환하고, 제2 측정값을 제1 기준값과 다른 제2 기준값과 비교하여 웨이퍼의 엣지 영역의 결함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하되, 제1 기준값은 판단부가 기 변환한 측정값들과 제1 측정값의 평균과 소정의 계수를 곱한 기 변환한 측정값들과 제1 측정값의 표준편차의 합으로 산정되고, 제2 기준값은 제1 기준값에 소정의 오프셋값을 더하여 산정되고, 판단부는 제1 또는 제2 측정값이 일정 범위 밖으로 벗어나면 제1 또는 제2 측정값이 일정 범위 이내가 되도록 지지부를 일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고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 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들에서 잘 알려진 소자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비패턴 웨이퍼 검사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비패턴 웨이퍼 검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비패턴 웨이퍼 검사 장치의 웨이퍼 영역 구분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Ⅲ′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 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비패턴 웨이퍼 검사 장치의 기준값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비패턴 웨이퍼 검사 장치의 지지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비패턴 웨이퍼 검사 장치는 광원(10), 검출부(20), 판단부(30), 지지부(40), 입력부(50) 및 출력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광원(10)은 광을 조사하는 부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원(10)은 소정의 입사각으로 검사공간(5) 내에서 검사대기 상태에 있는 웨이퍼(100) 표면의 특정 위치에 광을 조사하는 부분일 수 있다. 이러한 광은 예를 들어 레이저광일 수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고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검출부(20)는 광원(10)으로부터 조사되어 웨이퍼(100)에 반사된 광을 검출하는 부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검출부(20)는 광원(10)으로부터 조사되어 웨이퍼(100) 표면의 특정 위치에 소정의 반사각을 갖고 반사된 광을 검출하는 부분일 수 있다. 여기서 광원(10), 웨이퍼(100) 및 검출부(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두 같은 검사공간(5) 내에 위치할 수 있다.
광원(10) 및 검출부(20)는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한 제1 방향(X) 또는 제2 방향(Y)으로 동일한 속도로 이동하며 일면이 지지부(40)에 고정되어 이동하지 않는 웨이퍼(100)의 전 영역을 검사할 수 있다. 또한, 광원(10) 및 검출부(20)는 이동하지 않고, 지지부(40)가 제1 방향(X) 또는 제2 방향(Y)으로 이동함으로써 일면이 지지부(40)에 고정되어 지지부(40)와 같이 이동하는 웨이퍼(100)의 전 영역을 검사할 수도 있다.
판단부(30)는 검출부(20)가 검출한 광을 수량화된 측정값으로 변환하고, 이를 바탕으로 웨이퍼(100)의 결함 여부를 판단하는 부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판단부(30)는 검출부(20)가 검출한 광을 예를 들어 광 강도와 같은 수량화된 측정값으로 변환하고 이를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웨이퍼(100)의 결함 여부를 판단하는 부분일 수 있다. 여기서, 웨이퍼(100)의 결함은 파티클(particle), 보이드(void), 디스로케이션(dislocation), 적층 결함(stacking fault) 및 계면 결함(interface faul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비패턴 웨이퍼 검사 장치의 판단부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웨이퍼(100)는 센터(center) 영역(130) 및 엣지(edge) 영역(140)을 포함할 수 있다. 센터 영역(1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이퍼(100)의 정 중앙 및 그 주변 영역을 의미할 수 있고, 엣지 영역(14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이퍼(100)의 가장자리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증착 설비 및 증착 공정 상의 특성으로 인해 웨이퍼(100)의 센터 영역(130) 상에 증착된 막(145)의 두께는 웨이퍼(100)의 엣지 영역(140) 상에 증착된 막(145)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막(145)의 두께를 고려한 웨이퍼(100)의 센터 영역(130)의 두께는 엣지 영역(140)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이제 판단부(도 1의 30)가 웨이퍼(100)의 센터 영역(130)의 결함 여부를 판 단하는 방법과 웨이퍼(100)의 엣지 영역(140)의 결함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웨이퍼(100)의 센터 영역(130)에 포함된 제1 영역(110)에 반사된 광을 검출부(20)가 검출하면 판단부(30)는 이를 수량화된 제1 측정값(200)으로 변환할 수 있다. 그리고 판단부(30)는 제1 측정값(200)과 제1 변동 기준값(300)을 비교하여 제1 측정값(200)이 제1 변동 기준값(300)보다 클 경우 웨이퍼(100)의 제1 영역(110)을 결함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센터 영역(130)의 제1 변동 기준값(300)은 다음의 수학식 1로부터 구해질 수 있다.
제1 변동 기준값 = 평균값 + K * σ
여기서 평균값은 판단부(30)가 기 변환한 측정값들(198, 199)과 제1 측정값(200)의 평균값일 수 있다. 비록 도 4에는 판단부(30)가 기 변환한 2 개의 측정값들(198, 199)만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이해를 돕기위한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판단부(30)가 기 변환한 측정값들은 훨씬 더 많을 수 있다. 즉, 평균값은 판단부(30)가 기 변환한 측정값들과 제1 측정값(200)의 누적 평균값일 수 있다.
K는 소정의 계수로서, 입력부(5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값일 수 있다.
σ는 판단부(30)가 기 변환한 측정값들(198, 199)과 제1 측정값(200)의 산포를 나타내는 특성값(예를 들어 표준편차)일 수 있다. 여기서, 마찬가지로 판단 부(30)가 기 변환한 측정값들은 도 4에 도시된 것 보다 훨씬 더 많을 수 있다.
이와 같이 구해진 제1 변동 기준값(300)과 제1 측정값(200)을 비교하여 제1 측정값(200)이 제1 변동 기준값(300)보다 크면 웨이퍼(100)의 제1 영역(110)을 결함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음 웨이퍼(100)의 센터 영역(130)에 포함된 제2 영역(120)에 반사된 광을 검출부(20)가 검출하면 판단부(30)는 이를 수량화된 제2 측정값(210)으로 변환할 수 있다. 그리고 판단부(30)는 제2 측정값(210)과 상기 수학식 1과 같이 구해진 제1 변동 기준값(300)을 비교하여 제2 측정값(210)이 제1 변동 기준값(300)보다 클 경우 웨이퍼(100)의 제2 영역(120)을 결함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변동 기준값(300)을 계산하는데 필요한 평균값은 판단부(30)가 기 변환한 측정값들(198, 199, 200)과 제2 측정값(210)의 평균값일 수 있다. 한편, σ는 판단부(30)가 기 변환한 측정값들(198, 199, 200)과 제2 측정값(210)의 산포를 나타내는 특성값(예를 들어 표준편차)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이처럼 제1 변동 기준값(300)을 계산하고 이를 측정값(200, 210)과 비교할 경우 보다 신뢰성 있는 웨이퍼(100)의 결함 검사가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웨이퍼(100)의 제2 영역(120)에 결함이 존재하나 웨이퍼(100) 표면 단차 등의 영향으로 측정값이 작게 측정된다고 할 때, 제1 변동 기준값(300)과 제2 측정값(210)을 비교하지 않고, 고정 기준값(400)과 제2 측정값(210)을 비교할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단부(30)가 웨이퍼(100)의 제2 영역(120)을 결함으로 판단하지 못할 수 있다.
다음 도 1,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웨이퍼(100)의 엣지 영역(140)에 포함된 제3 영역(125)에 반사된 광을 검출부(20)가 검출하면 판단부(30)는 이를 수량화된 제3 측정값(220)으로 변환할 수 있다. 그리고 판단부(30)는 제3 측정값(220)과 제2 변동 기준값(500)을 비교하여 제3 측정값(220)이 제2 변동 기준값(500)보다 클 경우 웨이퍼(100)의 엣지 영역(140)에 포함된 제3 영역(125)을 결함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엣지 영역(140)의 제2 변동 기준값(500)은 다음의 수학식 2로부터 구해질 수 있다.
제2 변동 기준값 = 평균값 + K * σ + S
여기서 평균값, K, σ는 앞에서 설명한 것과 모두 동일한 바 중복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S는 소정의 오프셋(offset)값으로서, 입력부(5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값일 수 있다. 도 5에는 양의 값을 갖는 오프셋값(S)이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오프셋값(S)은 필요에 따라 음의 값을 가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해진 제2 변동 기준값(500)과 제3 측정값(220)을 비교하여 제3 측정값(220)이 제2 변동 기준값(500)보다 크면 웨이퍼(100)의 제3 영역(125)을 결함으로 판단할 수 있다.
나머지 웨이퍼(100)의 엣지 영역(140)에 포함된 제4 영역(127)에 반사된 광을 검출부(20)가 검출하면 판단부(30)가 이를 수량화된 제4 측정값(230)으로 변환 하고, 이를 제2 변동 기준값(500)을 비교하여 제2 변동 기준값(500)보다 클 경우 웨이퍼(100)의 엣지 영역(140)에 포함된 제4 영역(127)을 결함으로 판단하는 것은 앞서 설명한 것과 동일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이처럼 제1 변동 기준값(300)에 소정의 오프셋값(S)을 더하여 제2 변동 기준값(500)을 계산하고 이를 측정값(220, 230)과 비교할 경우 보다 신뢰성 있는 웨이퍼(100)의 결함 검사가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웨이퍼(100)의 제4 영역(127)에 결함이 존재하지 않으나 웨이퍼(100) 표면 단차 등의 영향으로 측정값이 크게 측정된다고 할 때, 제1 변동 기준값(300)에 오프셋값(S)을 더한 제2 변동 기준값(500)과 제4 측정값(230)을 비교하지 않고, 제1 변동 기준값(300)과 제4 측정값(230)을 비교할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단부(30)가 웨이퍼(100)의 제4 영역(127)을 결함으로 판단할 수 있다.
비록 도 2 및 도 3에는 웨이퍼(100)의 센터 영역(130)과 엣지 영역(140)의 두께가 다른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웨이퍼(100)의 센터 영역(130)과 엣지 영역(140)은 두께는 동일하나 표면 조도가 서로 다를 수도 있다. 즉, 두께는 같으나 표면 조도가 서로 다른 웨이퍼(100)의 센터 영역(130)과 엣지 영역(140)에 대해서도 앞서 설명한 방법으로 웨이퍼(100)의 결함 측정이 가능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지지부(40)는 웨이퍼(100)의 일면을 지지하되 일 방향(예를 들어 제3 방향(Z))으로 이동 가능한 부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부(40)는 웨이퍼(100)의 일면을 지지하되 판단부(30)의 제어에 따라 일 방향(예를 들어 제3 방향(Z))으로 이동하여 웨이퍼(100)에 반사된 반사광의 반사각을 조절하 는 부분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6을 참조하면, 판단부(30)는 검출부(20)가 웨이퍼(100)에 반사된 광을 검출하면 이를 수량화된 측정값으로 변환하는데, 만약 이 값이 상한값(610)과 하한값(620)으로 이루어진 범위 밖인 범위밖 측정값(720)라면, 판단부(30)는 지지부(도 1의 40))를 일 방향(예를 들어 제3 방향(Z))으로 이동시켜 측정값이 상한값(610)과 하한값(620)으로 이루어진 범위 이내인 범위내 측정값(710)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한값(610)과 하한값(620)은 입력부(도 1의 5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값일 수 있다.
이처럼 판단부(30)가 지지부(40)를 일방향(예를 들어 제3 방향(Z))으로 이동시켜 측정값을 상한값(610)과 하한값(620)으로 이루어진 일정 범위 이내가 되도록 하면, 웨이퍼(100) 상의 단차를 자동으로 고려할 수 있는바 보다 신뢰성 있는 웨이퍼(100)의 결함 검사가 가능할 수 있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입력부(50)는 사용자로부터 커맨드(command)를 입력받아 이를 판단부(30)에 제공하는 부분일 수 있다. 앞서 설명했듯이 사용자는 입력부(50)에 대한 이러한 커맨드 입력을 통해 판단부(30)의 결함 판단에 필요한 K, 오프셋값(S), 상한값(610), 및 하한값(620)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출력부(60)는 판단부(30)가 변환한 측정값 및 웨이퍼(100)의 결함여부 등을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부분일 수 있다.
다음,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패턴 웨이퍼 검사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패턴 웨이퍼 검사 장치의 웨이퍼 영역 구분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Ⅷ- Ⅷ′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패턴 웨이퍼 검사 장치의 구성 및 동작은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비패턴 웨이퍼 검사 장치와 동일한바 중복된 자세한 설명은 여기서 생략한다. 여기서는 그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웨이퍼(100)는 기본 영역(150) 및 마스킹 영역(16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앞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비패턴 웨이퍼 검사 장치의 경우 웨이퍼(100)를 센터 영역(130)과 엣지 영역(140)으로 구분하였으나, 여기서는 기본 영역(150) 및 마스킹 영역(160)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한편, 도 8을 참조하면 증착 설비 및 증착 공정 상의 특성으로 인해 웨이퍼(100)의 기본 영역(150) 상에 증착된 막(145)의 두께는 웨이퍼(100)의 마스킹 영역(160) 상에 증착된 막(145)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막(145)의 두께를 고려한 웨이퍼(100)의 기본 영역(150)의 두께는 마스킹 영역(160)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판단부(도 1의 30)가 웨이퍼(100)의 기본 영역(150) 및 마스킹 영역(160)의 결함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은 기본적으로 앞서 설명한 일 실시예에 따른 비패턴 웨이퍼 검사 장치와 동일하나, 여기서는 웨이퍼(100)의 마스킹 영역(160)의 결함 여부를 판단할 때, 웨이퍼(100)의 기본 영역(150)의 결함 여부를 판단할 때보다 오프 셋값(S)를 더 고려한다.
또한, 도 7에는 웨이퍼(100)의 마스킹 영역(160)이 부채꼴 형태로 형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웨이퍼(100)의 마스킹 영역(160)은 웨이퍼(100)상 임의의 영역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패턴 웨이퍼 검사 장치의 웨이퍼(100)의 마스킹 영역(160)은 입력부(도 1의 5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웨이퍼(100)의 임의의 영역이 지정된 영역일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웨이퍼(100)의 두께를 고려하여 웨이퍼(100)의 일정 영역에 옵셋값(S)이 반영되도록 마우스 등을 통해 지정할 수 있다. 또한 비록 도 8에는 기본 영역(150)과 마스킹 영역(160)의 두께가 서로 다른 것이 예시되어 있으나 표면 조도가 서로 다른 영역을 기본 영역(150) 및 마스킹 영역(160)으로 지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웨이퍼(100)의 각종 특성(예를 들어 두께, 표면 조도 등)에 따라 웨이퍼(100)상의 임의의 영역을 지정하고, 각 영역의 측정값에 대해 서로 다른 기준값을 적용하여 결함 검사를 수행하게 되면 보다 신뢰성 있는 웨이퍼(100)의 결함 검사가 가능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비패턴 웨이퍼 검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비패턴 웨이퍼 검사 장치의 웨이퍼 영역 구분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Ⅲ′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비패턴 웨이퍼 검사 장치의 기준값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비패턴 웨이퍼 검사 장치의 지지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패턴 웨이퍼 검사 장치의 웨이퍼 영역 구분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Ⅷ- Ⅷ′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광원 20: 검출부
30: 판단부 40: 지지부
50: 입력부 60: 출력부
100: 웨이퍼 130: 센터 영역
140: 엣지 영역 145: 막
150: 기본 영역 160: 마스킹 영역

Claims (10)

  1. 광을 조사하는 광원;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어 웨이퍼에 반사된 상기 광을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검출부가 검출한 광을 수량화된 측정값으로 변환하고, 이를 바탕으로 상기 웨이퍼의 결함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웨이퍼의 일면을 지지하되, 상기 웨이퍼의 일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웨이퍼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검출부는 순차적으로 상기 웨이퍼의 상기 제1 및 제2 영역에 반사된 광을 검출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검출부가 순차적으로 검출한 상기 웨이퍼의 상기 제1 및 제2 영역에 반사된 광을 각각 수량화된 제1 및 제2 측정값으로 변환하고, 상기 제2 측정값을 제1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웨이퍼의 상기 제2 영역의 결함 여부를 판단하되,
    상기 제1 기준값은 상기 제1 및 제2 측정값의 평균값과 상기 제1 및 제2 측정값의 산포를 나타내는 특성값을 이용하여 산정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제1 또는 제2 측정값이 일정 범위 밖으로 벗어나면 상기 제1 또는 제2 측정값이 상기 일정 범위 이내가 되도록 상기 지지부를 상기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비패턴 웨이퍼 검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측정값의 산포를 나타내는 특성값은 상기 제1 및 제2 측정값의 표준편차값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기준값은 상기 평균값과 상기 표준편차값에 소정의 계수를 곱한 값의 합인 비패턴 웨이퍼 검사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커맨드를 입력받아 이를 상기 판단부에 제공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소정의 계수는 상기 커맨드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값인 비패턴 웨이퍼 검사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퍼는 제3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검출부가 검출한 상기 웨이퍼의 상기 제3 영역에 반사된 광을 수량화된 제3 측정값으로 변환하고, 상기 제3 측정값을 상기 제1 기준값에 오프셋(offset)값을 더하여 산정된 제2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웨이퍼의 상기 제3 영역의 결함 여부를 판단하는 비패턴 웨이퍼 검사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영역의 상기 웨이퍼 두께인 제1 두께와 상기 제3 영역의 상기 웨이퍼 두께인 제2 두께는 서로 다른 비패턴 웨이퍼 검사 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커맨드를 입력받아 이를 상기 판단부에 제공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오프셋값은 상기 커맨드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값인 비패턴 웨이퍼 검사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영역은 상기 커맨드를 통해 상기 웨이퍼의 임의의 영역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영역인 비패턴 웨이퍼 검사 장치.
  8. 삭제
  9. 광을 조사하는 광원;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어 제1 및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웨이퍼에 반사된 상기 광을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웨이퍼의 일면을 지지하되, 상기 웨이퍼의 일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지지부; 및
    상기 검출부가 검출한 상기 웨이퍼의 상기 제1 및 제2 영역에 반사된 광을 각각 수량화된 제1 및 제2 측정값으로 변환하고, 상기 제1 측정값을 제1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웨이퍼의 상기 제1 영역의 결함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2 측정값을 제2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웨이퍼의 상기 제2 영역의 결함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기준값과 상기 제2 기준값은 서로 다르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제1 또는 제2 측정값이 일정 범위 밖으로 벗어나면 상기 제1 또는 제2 측정값이 상기 일정 범위 이내가 되도록 상기 지지부를 상기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비패턴 웨이퍼 검사 장치.
  10. 광을 조사하는 광원;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어 웨이퍼의 센터 영역 및 엣지 영역에 반사된 상기 광을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웨이퍼의 일면을 지지하되, 상기 웨이퍼의 일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지지부; 및
    상기 검출부가 검출한 상기 웨이퍼의 상기 센터 영역에 반사된 광을 수량화된 제1 측정값으로 변환하고, 상기 제1 측정값을 제1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웨이퍼의 상기 센터 영역의 결함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웨이퍼의 상기 엣지 영역에 반사된 광을 수량화된 제2 측정값으로 변환하고, 상기 제2 측정값을 상기 제1 기준값과 다른 제2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웨이퍼의 상기 엣지 영역의 결함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기준값은 상기 판단부가 기 변환한 측정값들과 상기 제1 측정값의 평균과 소정의 계수를 곱한 상기 기 변환한 측정값들과 상기 제1 측정값의 표준편차의 합으로 산정되고,
    상기 제2 기준값은 상기 제1 기준값에 소정의 오프셋값을 더하여 산정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제1 또는 제2 측정값이 일정 범위 밖으로 벗어나면 상기 제1 또는 제2 측정값이 상기 일정 범위 이내가 되도록 상기 지지부를 상기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비패턴 웨이퍼 검사 장치.
KR1020090131974A 2009-12-28 2009-12-28 비패턴 웨이퍼 검사 장치 KR1016780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1974A KR101678043B1 (ko) 2009-12-28 2009-12-28 비패턴 웨이퍼 검사 장치
US12/977,710 US8898028B2 (en) 2009-12-28 2010-12-23 Non-pattern wafer inspec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1974A KR101678043B1 (ko) 2009-12-28 2009-12-28 비패턴 웨이퍼 검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5506A KR20110075506A (ko) 2011-07-06
KR101678043B1 true KR101678043B1 (ko) 2016-11-22

Family

ID=44188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1974A KR101678043B1 (ko) 2009-12-28 2009-12-28 비패턴 웨이퍼 검사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898028B2 (ko)
KR (1) KR1016780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68379B2 (en) * 2012-03-14 2016-06-14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Systems and methods of controlling semiconductor wafer fabrication processes
US9417281B1 (en) * 2014-09-30 2016-08-16 Checkpoint Technologies Llc Adjustable split-beam optical probing (ASOP)
FR3045156B1 (fr) * 2015-12-11 2017-12-22 Soitec Silicon On Insulator Procede de detection de defauts et dispositif associe
US10641876B2 (en) 2017-04-06 2020-05-05 Quanergy System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mitigating LiDAR interference through pulse coding and frequency shifting
CN111239152B (zh) * 2020-01-02 2023-11-17 长江存储科技有限责任公司 晶圆检测方法、装置和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48070A (ja) * 2004-10-22 2006-06-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センサデータの補正方法及びインターロックシステムのインターロック評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91239A (en) * 1992-09-30 1994-03-01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leveling semiconductor wafers
JP2000124271A (ja) 1998-10-15 2000-04-28 Sony Corp 欠陥検査装置
JP2001004347A (ja) * 1999-06-22 2001-01-12 Mitsubishi Electric Corp 欠陥検査装置
DE60131698T2 (de) * 2000-05-31 2008-10-30 Tokyo Electron Ltd. Thermische Behandlungsvorrichtung und Verfahren
US7280200B2 (en) * 2003-07-18 2007-10-09 Ade Corporation Detection of a wafer edge using collimated light
KR20050010667A (ko) * 2003-07-22 2005-01-28 삼성전자주식회사 비 패턴형성 웨이퍼 결함 검사방법
US7190458B2 (en) * 2003-12-09 2007-03-13 Applied Materials, Inc. Use of scanning beam for differential evaluation of adjacent regions for change in reflectivity
KR20070069605A (ko) 2005-12-28 2007-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웨이퍼의 결함 검출 방법
JP4898713B2 (ja) * 2008-01-17 2012-03-21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ノロジーズ 表面検査装置および表面検査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48070A (ja) * 2004-10-22 2006-06-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センサデータの補正方法及びインターロックシステムのインターロック評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5506A (ko) 2011-07-06
US20110161014A1 (en) 2011-06-30
US8898028B2 (en) 2014-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8043B1 (ko) 비패턴 웨이퍼 검사 장치
JP4773155B2 (ja) 基板に形成されたパターンの検査方法、及びこれを行うための検査装置
US8913237B2 (en) Device-like scatterometry overlay targets
KR102137848B1 (ko) 스펙트럼 감도 및 프로세스 변동에 기초한 측정 레시피 최적화
US20100007872A1 (en) Surface inspecting method and device
KR20080100363A (ko) 웨이퍼의 특성을 판정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JP2006091017A (ja) 組み合わされたx線反射率計及び回折計
TW201937152A (zh) 子解析度缺陷偵測
KR100684104B1 (ko) 결함 검사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결함 검사 장치
KR100576364B1 (ko) 시편 검사장치의 기준값설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준값설정방법
JP2011040681A (ja) マスク欠陥の形状測定方法及びマスク良否判定方法
KR100431112B1 (ko) 반도체 제조시 마이크로 구조화 표면의 제조 프로세스를광학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2010236968A (ja) 検査方法及び検査装置
KR100738809B1 (ko) 웨이퍼 표면 검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8379196B2 (en) Method for judging whether semiconductor wafer is non-defective wafer by using laser scattering method
JP2010101714A (ja) パターン検査のためのパラメータ決定装置、プログラム、及び方法
KR20070033106A (ko) 반도체 소자의 오버레이 측정 방법 및 오버레이 측정시스템
CN111638226B (zh) 检测方法、图像处理器以及检测系统
US862509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specting substrates
KR20110118820A (ko) 편광 이미징
KR20070080165A (ko) 웨이퍼 스테이지의 평탄도 감지 장치 및 그 방법
US20090107399A1 (en) System and Method of Measuring Film Height on a Substrate
WO2024100849A1 (ja) エージング条件の評価装置及び設定方法
JPH07209203A (ja) 外観検査装置および外観検査方法
KR20050028521A (ko) 불량 검출이 가능한 패턴 검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패턴불량 검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