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7962B1 - 커넥터 리테이너 불완전 체결 검출 장치 - Google Patents

커넥터 리테이너 불완전 체결 검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7962B1
KR101677962B1 KR1020160023112A KR20160023112A KR101677962B1 KR 101677962 B1 KR101677962 B1 KR 101677962B1 KR 1020160023112 A KR1020160023112 A KR 1020160023112A KR 20160023112 A KR20160023112 A KR 20160023112A KR 101677962 B1 KR101677962 B1 KR 1016779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retainer
detection block
switch pin
fast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3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호
Original Assignee
김정호
장영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호, 장영학 filed Critical 김정호
Priority to KR1020160023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79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7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79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1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correct or full enga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91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signall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커넥터 리테이너 불완전 체결 검출 장치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리테이너 불완전 체결 검출 장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내부를 통해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되, 커넥터가 결합되는 수용 홈을 가지며, 전방의 이격된 외부 스위치 핀에 접촉 가능하게 돌출되는 스위치 핀을 구비하는 검출블록부와, 상기 검출블록부와 상기 몸체부 사이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스프링부재의 중공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 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커넥터 리테이너 불완전 체결 검출 장치{INCOMPLETE TIGHTENING DETECTION DEVICE FOR RETAINER OF CONNECTOR}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커넥터 리테이너 불완전 체결 검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커넥터 커버 누락 검사와 함께 커넥터의 리테이너가 불완전 체결된 것을 검출할 수 있는 커넥터의 리테이너 불완전 체결 검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배선의 경우, 각각의 와이어를 배선하는 것이 아니라 어느 정도 합쳐진 모양으로 배선을 하는데, 와이어 하네스(Wire Harness)란 그 배선을 종합한 다발을 지칭한다.
이러한 와이어 하네스는 자동차 개발 과정에서 회로가 결정되고, 자료화 및 도면화 작업을 거쳐 부품 생산공장으로 제공된다.
부품 생산공장에서는 여러 가지 공정을 거쳐서 와이어 하네스를 생산하는데, 설계도면의 회로에 맞게 생산되었는가를 검사하는 공정을 거치게 되며, 이때 사용되는 장비를 와이어 하네스 회로검사 시스템이라 한다.
한편, 이 회로검사를 위해서는 와이어 하네스에 결합된 커넥터에 대응하는 홀더 장치와 회로검사기를 와이어로 연결한다.
그런데 이러한 커넥터에는 리테이너(retainer)라는 부재가 체결되는데, 만일 이러한 리테이너가 불완전 체결되었을 경우 이를 보호할 수 있는 방안은 현재까지 소개되어 있지 않고 있다.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06296호(2016.01.19. 공개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문헌에는 선박용 냉각 시스템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리테이너 불완전 체결을 검출할 수 있는 커넥터 리테이너 불완전 체결 검출 장치에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내부를 통해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되, 커넥터가 결합되는 수용 홈을 가지며, 전방의 이격된 외부 스위치 핀에 접촉 가능하게 돌출되는 스위치 핀을 구비하는 검출블록부; 및 상기 검출블록부와 상기 몸체부 사이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스프링부재가 장착되는 한 쌍 의 지지 축;을 포함하는 커넥터 리테이너 불완전 체결 검출 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커넥터에 구비된 터미널의 체결 홈에 체결 돌기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커넥터에 체결되되, 상기 리테이너가 상기 커넥터에 불완전 체결된 경우, 상기 커넥터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리테이너에 의해 상기 검출블록부가 가압되어 상기 커넥터의 삽입 시 상기 검출블록부가 전진함에 따라 상기 스위치 핀이 상기 외부 스위치 핀에 접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부재는 상기 한 쌍의 지지 축 각각에 관통 배치되어 상기 검출블록부를 전방에서 탄성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출블록부를 관통하여 전후로 배치되는 다수의 회로검사 핀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다수의 회로검사 핀은, 상기 리테이너가 상기 커넥터에 완전 체결된 경우, 상기 커넥터에 구비된 터미널과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리테이너 불완전 체결 검출 장치에 의하면, 상기 커넥터의 리테이너 누락 검사와 함께 상기 커넥터의 리테이너가 불완전 체결되었음을 검사할 수 있어 제품의 품질 확보 및 신뢰성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커넥터 홀더에 관하여 간략히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커넥터 리테이너 불완전 체결 검출 장치에서 리테이너가 완전 체결된 상태에서 커넥터가 삽입되기 이전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커넥터 리테이너 불완전 체결 검출 장치에서 리테이너가 완전 체결된 상태에서 커넥터가 삽입되어 회로 검사가 가능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커넥터 리테이너 불완전 체결 검출 장치에서 리테이너가 불완전 체결된 상태에서 커넥터가 삽입되기 이전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커넥터 리테이너 불완전 체결 검출 장치에서 리테이너가 불완전 체결된 상태에서 회로검사에 불필요한 요소(예: 쇼트 등)이 발생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커넥터 홀더에 관하여 간략히 도시한 개념도이다.
기존의 일반적인 경우의 홀더는 몸체부(10)와, 몸체부(10)의 내측으로 결합되는 커넥터(30)를 포함한다. 커넥터(30)의 삽입 시 커넥터(30)의 캡부(31)에 연결된 접촉 핀(50)이 몸체부(10)를 관통하여 전방으로 돌출되며, 이러한 구조에 의해 접촉 핀(50)은 외부 스위치 핀(1)과 접촉될 수 있었다.
그런데 커넥터(30)의 경우 외측으로 리테이너(40)가 구비되는데, 이 리테이너(40)가 불완전 체결되었을 경우에도 이를 쉽게 검사하기 어려운 구조로 이루어져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리테이너 불완전 체결을 검출할 수 있는 커넥터 리테이너 불완전 체결 검출 장치에 제공함에 있다.
도면에서, 도 2는 본 발명인 커넥터 리테이너 불완전 체결 검출 장치에서 리테이너가 완전 체결된 상태에서 커넥터가 삽입되기 이전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커넥터 리테이너 불완전 체결 검출 장치에서 리테이너가 완전 체결된 상태에서 커넥터가 삽입되어 회로 검사가 가능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인 커넥터 리테이너 불완전 체결 검출 장치에서 리테이너가 불완전 체결된 상태에서 커넥터가 삽입되기 이전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인 커넥터 리테이너 불완전 체결 검출 장치에서 리테이너가 불완전 체결된 상태에서 회로검사에 불필요한 요소(예: 쇼트 등)이 발생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리테이너 불완전 체결 검출 장치(100)는 몸체부(110), 검출블록부(120), 그리고 지지 축(170)을 포함한다.
몸체부(110)는 커넥터(130)가 전후로 연결되는 장치의 본체를 의미하는데 반드시 도시된 형상에 제한되지 않으며 이와 다른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검출블록부(120)는 몸체부(110)의 내부에서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검출블록부(120)는 커넥터(130)가 결합되는 수용 홈을 가질 수 있다. 이 수용 홈은 커넥터(130)의 측면 형상 및 크기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검출블록부(120)는 전방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 외부 스위치 핀(1)에 접촉 가능하게 돌출되는 스위치 핀(150)을 구비할 수 있다.
지지 축(170)은 상기 검출블록부(120)와 상기 몸체부(110) 사이에 간격을 두고 바 형상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이러한 지지 축(170)은 스프링부재(예: 코일 스프링 등)(171)의 중공을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라 검출블록부(120)는 전방에서 탄성 지지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는 외력을 통해 전방으로 밀어주는 경우를 제외하곤 스프링부재(171)의 탄성력에 의해 뒤로 밀려나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지지 축(17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간격을 두고 2개가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고서 다양한 개수로 배치될 수 있다.
특히, 리테이너(140)는 커넥터(130)에 구비된 터미널(139)의 체결 홈(139a)에 체결 돌기(140a)가 삽입되는 방식으로 리테이너(140)와 커넥터(130) 간의 체결이 완료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완전 체결된 단면 모습은 도 2 및 도 3을 통해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리테이너(140)의 체결 돌기(140a)는 터미널(139)의 체결 홈(139a)과 상호 체결 가능한 형상을 가질 수 있는데, 반드시 도시된 단면 형상에 제한될 필요는 없다.
그리고 터미널(139)의 후단을 통해 연결된 미 설명된 도면부호 138은 전선을 가리킨다.
이와 같이, 리테이너(140)의 체결 돌기(140a)가 터미널(139)의 체결 홈(139a)에 정 위치로 체결된 것을 '완전 체결'이라 하며, 그렇지 못한 상태로 체결된 것을 '불완전 체결'이라 한다.
만일, 리테이너(140)가 커넥터(130)에 완전 체결된 경우, 커넥터(130)는 검출블록부(120)의 수용 홈에 안정적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외부 스위치 핀(1)에 스위치 핀(150)이 접촉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다수의 회로검사 핀(160)은 커넥터(130) 내부의 터미널(139)과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회로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그런데, 만일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테이너(140)가 상기 커넥터터미널(129)에 불완전 체결된 경우를 살펴볼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커넥터(130)의 결합 시 커넥터(130)의 외측으로 돌출된 리테이너(140)에 의해 검출블록부(120)가 전방으로 가압될 수 있다. 즉, 검출블록부(120)의 전방에 설치된 스프링부재(171)를 탄성 수축시키면서 검출블록부(120)는 전방으로 밀려 날 수 있다.
즉, 리테이너(140)가 커넥터(130)에 불완전 체결되었을 때에는 커넥터(130)를 삽입할 때 검출블록부(120)가 함께 전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결과 검출블록부(120)의 전방에 돌출된 스위치 핀(150)은 전방에 이격 배치된 외부 스위치 핀(1)에 접촉하게 되고, 회로 검사에 불필요한 요소(예: 쇼트 등)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을 통해 사용자는 리테이너(140)가 커넥터(130)에 불완전하게 체결되었음을 쉽고 정확하게 검출해 낼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스위치 핀(1)과 스위치 핀(150)은 별개의 핀 부재로 나타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외부 스위치 핀(1)과 스위치 핀(150)은 단일의 핀 부재 내에서 2개로 분할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별다른 작업 없이도 커넥터(130)에 리테이너(140)가 불완전 체결되었을 때에는 회로 검사가 불가능하도록 터미널(139)과 회로검사 핀(160)이 서로 접촉하지 않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함께, 회로검사 핀(160)이 검출블록부(120)의 후방에 감춰진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회로 검사 시 회로검사 핀에 대한 손상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커넥터의 리테이너가 불완전 체결되었음을 쉽고 빠르게 검출할 수 있는 유리한 기술적 효과를 갖는다. 그 결과 그 결과 제품의 품질 확보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본 발명에 의하면 리테이너가 커넥터의 터미널에 완전 체결된 경우, 커넥터의 결합 시 외부 스위치 핀에 스위치 핀이 접촉되지 않으며 다수의 회로검사 핀과 터미널이 연결되어 회로 검사가 가능해 질 수 있다.
이와 달리 커넥터의 터미널에 리테이너가 불완전하게 체결된 경우 불완전 체결된 리테이너가 검출블록부를 전방으로 밀어 주고, 그 결과 검출블록부의 전방에 결합된 스위치 핀이 외부 스위치 핀에 접촉하게 되어 회로 검사에 불필요한 요소(예: 쇼트 등)이 발생하게 된다. 이를 통해 리테이너가 불완전 체결되었음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 외부 스위치 핀
100: 커넥터 리테이너 불완전 체결 검출 장치
110: 몸체부
120: 검출블록부
121: 수용 홈
130: 커넥터
138: 전선
139: 터미널
139a: 체결 홈
140: 리테이너
140a: 체결 돌기
150: 스위치 핀
160: 회로검사 핀
170: 지지 축
171: 스프링부재

Claims (5)

  1.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내부를 통해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슬라이딩 이동 방향과 나란하게 커넥터가 결합되는 수용 홈을 가지며, 전방의 이격된 외부 스위치 핀에 접촉 가능하게 돌출되는 스위치 핀을 구비하는 검출블록부; 및
    상기 검출블록부와 상기 몸체부 사이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몸체부의 슬라이딩 이동 방향과 나란하게 스프링부재가 장착되는 한 쌍의 지지 축;을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부재는 상기 한 쌍의 지지 축 각각에 관통 배치되어 상기 검출블록부를 전방에서 탄성 지지하며,
    상기 커넥터에 구비된 터미널의 체결 홈에 체결 돌기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커넥터에 리테이너가 체결되되, 상기 리테이너가 상기 커넥터에 불완전 체결된 경우, 상기 커넥터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리테이너에 의해 상기 검출블록부가 가압되어 상기 커넥터의 삽입 시 상기 검출블록부가 전진함에 따라 상기 스위치 핀이 상기 외부 스위치 핀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리테이너 불완전 체결 검출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블록부를 관통하여 전후로 배치되는 다수의 회로검사 핀을 포함하는
    커넥터 리테이너 불완전 체결 검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회로검사 핀은,
    상기 리테이너가 상기 커넥터에 완전 체결된 경우, 상기 커넥터에 구비된 터미널과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커넥터 리테이너 불완전 체결 검출 장치.
KR1020160023112A 2016-02-26 2016-02-26 커넥터 리테이너 불완전 체결 검출 장치 KR1016779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3112A KR101677962B1 (ko) 2016-02-26 2016-02-26 커넥터 리테이너 불완전 체결 검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3112A KR101677962B1 (ko) 2016-02-26 2016-02-26 커넥터 리테이너 불완전 체결 검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7962B1 true KR101677962B1 (ko) 2016-11-21

Family

ID=57538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3112A KR101677962B1 (ko) 2016-02-26 2016-02-26 커넥터 리테이너 불완전 체결 검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796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31118B2 (en) * 2001-06-07 2004-05-04 Sumitomo Wiring System Ltd. Connector inspection apparatus
KR200366392Y1 (ko) * 2004-08-05 2004-11-10 주식회사 신안오토테크 커넥터용 리어 리테이너의 조립 검사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31118B2 (en) * 2001-06-07 2004-05-04 Sumitomo Wiring System Ltd. Connector inspection apparatus
KR200366392Y1 (ko) * 2004-08-05 2004-11-10 주식회사 신안오토테크 커넥터용 리어 리테이너의 조립 검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40407B2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
US20090042445A1 (en) Joint connector
US6316951B1 (en) Inspection unit of a connector inspection apparatus
US5627473A (en) Connector inspection device
US20130316593A1 (en) Joint Connector and Method for Testing for Partial Terminal Insertion
US9118127B2 (en) Connector
KR102039749B1 (ko)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
JP5877563B2 (ja) ワイヤハーネス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KR101677962B1 (ko) 커넥터 리테이너 불완전 체결 검출 장치
JP6051921B2 (ja) コネクタ検査装置
JP3828697B2 (ja) コネクタ導通検査具
JPH0836016A (ja) ワイヤーハーネス部品の検査方法及び検査具
JPH0943297A (ja) コネクタの端子金具検査器
KR101890230B1 (ko) 커넥터의 단자 검사장치
KR101359716B1 (ko) 하네스 회로검사용 홀더
JP3804432B2 (ja) 検査ユニッ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コネクタ検査装置
KR102021084B1 (ko) 피검사체의 단자부 테스트 장치
JPH07254449A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検査装置
JP2874493B2 (ja) コネクタ検査装置
JP2011044377A (ja) 分割コネクタ用導通検査治具および分割コネクタの検査方法
KR101636292B1 (ko) 검사장치
JPH08320355A (ja) コネクタ検査装置
JP6969995B2 (ja) ワイヤハーネスの導通検査装置
JP6309788B2 (ja) コネクタ
JPH07130441A (ja) コネクタ検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