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7498B1 - 스태커 크레인의 마스트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스태커 크레인의 마스트 지지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77498B1 KR101677498B1 KR1020150071657A KR20150071657A KR101677498B1 KR 101677498 B1 KR101677498 B1 KR 101677498B1 KR 1020150071657 A KR1020150071657 A KR 1020150071657A KR 20150071657 A KR20150071657 A KR 20150071657A KR 101677498 B1 KR101677498 B1 KR 10167749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st
- roller
- upper rail
- braking
- suppor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Floor-to-roof stacking devices, e.g. "stacker cranes", "retriev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09—Brak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59—Stabiliz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태커 크레인의 마스트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마스트의 일측에 구비되는 롤러지지체, 상기 롤러지지체에 축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상부레일의 측면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동롤러, 및 상기 제동롤러를 축회전을 정지시키는 제동수단을 포함하여, 마스트가 상부레일의 길이방향과 상부레일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흔들리는 것도 최소화함으로써 상부레일에 대하여 마스트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스태커 크레인의 마스트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태커 크레인의 마스트 상단을 상부레일에 대하여 수평하게 지지하는 스태커 크레인의 마스트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류 자동화 분야에서 사용이 확대되고 있는 자동창고 시스템은 하물을 보관하기 위한 랙을 가지는 랙 구조물, 하물을 자동창고 내, 외부로 선택적으로 입고 또는 출고시키는 작업대, 랙 구조물 측면을 따라 설치된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제어장치의 제어에 의해 작업대의 하물을 랙 구조물의 랙에 입고시키거나 랙 구조물의 랙에 안치된 하물을 출고시키는 스태커 크레인으로 구성된다.
자동창고 시스템은 다층 다열 구조로 구획된 다수의 보관 공간을 갖는 랙(rack)과, 랙 전방의 공간을 따라 설치된 이동레일과, 상기 이동레일을 따라 주행하면서 물품을 제어시스템에 의해 정해진 보관 공간에 로딩 및 언로딩하는 스태커크레인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태커크레인은 랙의 바닥과 그 상부 공간에 설치된 하부레일(1)과 상부레일(2), 하부레일(1)을 따라 주행하는 주행대차(3), 주행대차에 직립 상태로 설치된 마스트(4), 마스트에 설치된 승강대(5), 승강대(5)에 설치되어 물품의 로딩 및 언로딩 기능을 수행하는 로딩부(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주행대차(3)가 하부레일(1)을 따라 수평 주행하면서 마스트(4)와 함께 로딩부(6)를 수평이동시키게 되고, 승강대(5)가 로딩부(6)와 함께 마스트(4)를 따라 승하강시켜 목적한 위치의 보관 공간에 물품을 수납하거나 그로부터 물품을 인출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자동창고 시스템이 한국특허 공개번호 10-2006-0122682, 한국특허 공개번호 10-2008-0020437에 개시되어 있다.
한편, 마스트(4)의 상단에는 상부레일(2)을 따라 이동하는 측면지지롤러(50)가 결합브라켓과 함께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측면지지롤러(50)는 상부레일(2)의 측면을 지지할 뿐이므로 마스트(4)가 도 1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흔들릴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주행 후 급정지를 하는 경우에는 관성에 의해 화살표 방향으로의 흔들림이나 쏠림현상이 심해지는데, 이는 부품들간의 결합력을 약화시키거나 마모를 유발하여 이동에 악영향을 주는 간극이 발생하게 되고, 결국 위치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또한, 종래 마스트(4)는 하부레일(3)에서 주행대차(3)에서의 제동력에 의해 정지할 뿐, 상부레일에서는 제동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즉, 마스트(4)의 하단과 달리 상단에는 별도의 스태커 크레인의 마스트 지지장치가 구비되지 전체적으로 신속한 제동이 이루어지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마스트(4)의 상단에 휨모멘트가 발생하면서 흔들림 내지 쏠림현상이 더욱 심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스태커 크레인의 마스트 지지장치가 가지는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마스트가 상부레일의 길이방향과 상부레일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흔들리는 것도 최소화함으로써 상부레일에 대하여 마스트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스태커 크레인의 마스트 지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스태커 크레인의 마스트 지지장치는, 마스트의 일측에 구비되는 롤러지지체, 상기 롤러지지체에 축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상부레일의 측면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동롤러, 및 상기 제동롤러를 축회전을 정지시키는 제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태커 크레인의 마스트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동수단은 상기 제동롤러의 제동롤러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아마추어, 상기 아마추어를 흡인하는 전자코일, 및 상기 롤러지지체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전자코일의 전자기력에 의한 흡인시 상기 아마추어와 마찰접촉하는 브레이크 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태커 크레인의 마스트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코일은 하부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주행대차로 제동신호가 출력될 때 전원이 인가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태커 크레인의 마스트 지지장치에 있어서, 마스트의 일측에 고정결합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에 힌지핀을 중심으로 상기 롤러지지체와 일체로 선회가능하게 결합되는 선회아암, 상부레일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상기 선회아암을 관통하여 상기 지지프레임에 고정결합되는 수평가이드, 및 상기 제동롤러가 상부레일의 외측에 밀착되도록 상기 수평가이드를 따라 상기 선회아암을 상부레일의 측면 쪽으로 가압하는 수평가압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태커 크레인의 마스트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평가이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가압스프링의 압축력을 조절하는 스프링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태커 크레인의 마스트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평가이드의 외주면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스프링캡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1쌍의 캡고정너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태커 크레인의 마스트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회아암에 상기 수평가이드가 수용하는 관통홀이 장공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태커 크레인의 마스트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평가이드의 외주면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선회아암의 관통홀에 끼워지고 상기 수평가압스프링을 지지하는 부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태커 크레인의 마스트 지지장치에 있어서, 마스트의 일측에 고정결합되는 결합브라켓, 상기 결합브라켓에 상부레일 쪽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저면롤러축, 상기 저면롤러축에 축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상부레일의 저면에 접촉하는 저면지지롤러, 및 상기 결합브라켓에 대하여 상기 저면롤러축을 상부레일의 저면 쪽으로 가압하는 수직가압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태커 크레인의 마스트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결합브라켓에 상기 저면롤러축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고정결합되고 상기 수직가압스프링이 끼워져 가이드되는 수직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태커 크레인의 마스트 지지장치에 의하면, 주행대차의 제동시 마스트가 상부레일의 길이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행중에 상부레일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흔들리는 것도 최소화함으로써 상부레일에 대하여 마스트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스태커 크레인을 나타낸 일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태커 크레인의 마스트 지지장치를 나타낸 일 측면도,
도 3 내지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동유닛과 수평지지유닛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동유닛과 수평지지유닛을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도 5의 A-A선을 따라 절개한 측단면도,
도 7은 도 5의 B-B선을 따라 절개한 측단면도,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수직지지유닛을 나타낸 평면도,
도 9는 도 8의 C-C선을 따라 절개한 측단면도,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수직지지유닛을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태커 크레인의 마스트 지지장치를 나타낸 일 측면도,
도 3 내지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동유닛과 수평지지유닛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동유닛과 수평지지유닛을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도 5의 A-A선을 따라 절개한 측단면도,
도 7은 도 5의 B-B선을 따라 절개한 측단면도,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수직지지유닛을 나타낸 평면도,
도 9는 도 8의 C-C선을 따라 절개한 측단면도,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수직지지유닛을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태커 크레인의 마스트 지지장치는, 마스트(4)의 일측에 고정결합되는 지지프레임(10), 상기 지지프레임(10)에 상부레일(2)의 측면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동롤러(22), 상기 제동롤러(22)를 상부레일(2)의 측면 쪽으로 가압하는 수평지지유닛(30), 상기 제동롤러(22)를 축회전을 정지시키는 제동수단, 및 상부레일(2)의 저면을 지지하는 수직지지유닛(40)을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레일(2)의 길이방향을 따라 마스트(4)의 상단 외측에 지지프레임(10)과 수직지지유닛(40)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10)은 마스트(4)의 상단 외측에 볼트로 고정결합되고, 상부레일(2)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10)에는 1쌍의 제동유닛(20)과 수평지지유닛(30)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동유닛(20)은 롤러지지체(21)와, 제동롤러(22), 제동롤러축(23), 및 제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평지지유닛(30)은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일측에 힌지핀(32)을 중심으로 선회가능하게 결합되는 선회아암(31), 상부레일(2)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상기 선회아암(31)을 관통하여 상기 지지프레임(10)에 고정결합되는 수평가이드(34), 상기 수평가이드(34)를 따라 상기 선회아암(31)을 상부레일(2)의 측면 쪽으로 가압하는 수평가압스프링(35), 상기 가압스프링의 압축력을 조절하는 스프링캡(37), 및 상기 스프링캡(37)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1쌍의 캡고정너트(3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선회아암(31)은 상기 지지프레임(10)에 힌지핀(32)으로 힌지결합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핀(32)을 중심으로 상부레일(2)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선회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선회아암(31)의 일측에는 상기 롤러지지체(21)가 고정결합되어 상기 롤러지지체(21)와 상기 선회아암(31)이 일체로 선회하게 된다.
상기 롤러지지체(21)는 원통형 하우징으로 상기 제동롤러축(23)이 관통하여 구비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동롤러축(23)은 제1베어링(23a)과 제2베어링(23b)에 의해 축회전지지된다. 상기 제동롤러축(23)의 상단에는 상기 제동롤러(22)가 고정결합되고, 하단에 상기 제동수단의 일부가 결합된다.
상기 제동롤러(22)는 상기 제동롤러축(23)에 의해 상기 롤러지지체(21)에 대하여 축회전하면서 상기 롤러지지체(21)와 일체로 거동하여 상기 선회아암(31)이 힌지핀(32)을 중심으로 선회할 때 상부레일(2)의 측면에 접촉하게 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가이드(34)는 상기 지지프레임(10)에 외팔보 형상으로 나사결합되어 고정된다. 상기 수평가이드(34)는 상기 선회아암(31)을 관통하여 구비된다. 이를 위해 상기 선회아암(31)에 관통홀(33)이 형성되는데, 상기 관통홀(33)은 장공으로 형성되어 선회아암(31)의 선회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즉, 상기 관통홀(33)은 선회아암(31)의 선단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장공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수평가이드(34)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선회아암(31)이 힌지핀(32)을 중심으로 선회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선회아암(31)의 관통홀(33)에 부싱(36)이 끼워져 있다. 상기 부싱(36)은 상기 수평가이드(34)의 외주면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선회아암(31)의 관통홀(33)에 끼워진다.
상기 수평가이드(34)의 외주면에 수평가압스프링(35)이 끼워지고, 상기 수평가압스프링(35)의 외측에 스프링캡(37)이 끼워진다.
상기 수평가압스프링(35)은 상기 스프링캡(37)의 내부에 삽입되고, 일단이 상기 스프링캡(37)의 내측벽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부싱(36)에 지지된다. 상기 수평가압스프링(35)은 일단이 상기 스프링캡(37)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부싱(36)에 압축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선회아암(31)을 상부레일(2)의 측면 쪽으로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동롤러(22)가 상부레일(2)의 측면에 밀착되어 가압하게 되고, 그로 인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1쌍의 제동롤러(22)가 상부레일(2)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고, 결국 상부레일(2)에 대하여 마스트(4)를 견고하게 지지하게 된다.
상기 수평가이드(34)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스프링캡(37)의 위치를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수평가압스프링(35)의 압축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스프링캡(37)은 1쌍의 캡고정너트(38)에 의해 위치가 고정된다.
상기 1쌍의 캡고정너트(38)는 상기 수평가이드(34)의 외주면에 나사결합되어 스프링캡(37)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제동수단은 상기 제동롤러(22)의 제동롤러축(23)과 일체로 회전하는 아마추어(25), 상기 아마추어(25)를 흡인하는 전자코일(26), 및 상기 전자코일(26)의 전자기력에 의한 흡인시 상기 아마추어(25)와 마찰접촉하는 브레이크 본체(2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레이크 본체(27)는 상기 롤러지지체(21)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브레이크 본체(27)에 상기 전자코일(26)이 고정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동롤러축(23)의 하단에는 회전슬리브(28)가 고정결합되어 있고, 상기 회전슬리브(28)에 상기 아마추어(25)가 고정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동롤러축(23)의 외주면에 단턱부(24)가 형성되고, 상기 단턱부(24)에 쉼부재(29)가 안착되며, 상기 쉼부재(29)의 하부에 상기 회전슬리브(28)가 구비된다. 상기 쉼부재(29)의 두께나 갯수를 조절하게 되면 상기 제동롤러축(23)에 대한 회전슬리브(28)의 간극을 조정할 수 있게 되고, 결국 상기 아마추어(25)와 상기 브레이크 본체(27) 하단의 간극을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전자코일(26)의 흡인력에 따라 상기 아마추어(25)와 상기 브레이크 본체(27) 사이의 간극을 조정하여 제동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아마추어(25)와 상기 브레이크 본체(27)의 마모 정도에 따라 간극을 보정할 수도 있게 된다.
상기 아마추어(25)는 디스크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브레이크 본체(27)의 하단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구비된다. 상기 전자코일(26)의 전류인가에 의해 전자기력이 발생하게 되면 상기 아마추어(25)가 상기 전자코일(26) 쪽으로 흡인되어 이동함으로써 상기 브레이크 본체(27)의 하단면에 접촉하게 된다.
상기 전자코일(26)은 브레이크 본체(27)의 아래쪽으로 노출되지 않게 구비되어 상기 아마추어(25)와 마찰접촉하지 않는다. 상기 브레이크 본체(27)의 하단이 상기 아마추어(25)의 상부면과 마찰접촉하면서 상기 제동롤러축(23)을 정지시키게 된다.
상기 아마추어(25)의 마찰면에 라이닝(25a)을 탈착가능하게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라이닝(25a)은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브레이크 본체(27)의 하단면과 마찰접촉하게 되고, 마모되면 교체가능한 소모성 부품으로 아마추어(25)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 제동롤러(22)는 전자코일(26)에 전원이 미공급되는 경우에는 아이들 상태로 상부레일(2)의 측면을 따라 회전이동하게 되고, 전자코일(26)로 전원이 인가되면 제동롤러(22)의 회전이 정지되면서 상부레일(2)의 측면과 마찰접촉하게 된다. 즉, 제동롤러(22)에 제동이 걸리게 되면 회전이 정지된 상태에서 상부레일(2)을 타고 미끄러지면서 마찰력이 급상승하게 되어 지지력이 극대화되고, 이로 인해 1쌍의 제동롤러(22)가 상부레일(2)을 양쪽에서 물어 잡아 상부레일(2)에 대한 마스트(4)의 움직임을 감소시키게 된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마스트(4)가 흔들리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전자코일(26)은 하부레일(도 1의 도면부호 1)을 따라 이동하는 주행대차(도 1의 도면부호 3)로 제동신호가 출력될 때 전원이 인가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로딩부가 마스트(4)와 함께 설정된 수평위치에 근접하게 되면, 주행대차의 주행모터로는 전원공급을 급감하거나 차단하는 제어신호가 출력되고 주행대차의 제동기구로 제동신호가 출력되는데, 이때 상기 제동유닛(20)의 전자코일(26)로 전원이 인가됨으로써 마스트(4)의 상단, 즉 상부레일(2)에서도 제동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수직지지유닛(40)은 마스트(4)의 일측에 고정결합되는 결합브라켓(41), 상기 결합브라켓(41)에 상부레일(2) 쪽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저면롤러축(43), 상기 저면롤러축(43)에 축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저면지지롤러(44), 상기 결합브라켓(41)에 대하여 상기 저면롤러축(43)을 상부레일(2)의 저면 쪽으로 가압하는 수직가압스프링(45), 및 상기 수직가압스프링(45)이 끼워져 가이드되는 수직가이드(4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브라켓(41)은 마스트(4)의 일측에 고정결합된다. 도 9와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브라켓(41)에는 상기 저면롤러축(43)을 수용하는 축이송공(4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축이송공(42)은 마스트(4)와 평행한 방향을 따라 장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저면롤러축(43)을 가이드하게 된다.
상기 저면롤러축(43)은 상부레일(2)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상기 결합브라켓(41)의 축이송공(42)에 안착되어 상부레일(2) 쪽으로 이동가능하게 된다.
상기 저면지지롤러(44)는 상부레일(2)의 저면에 접촉되고 상기 저면롤러축(43)에 베어링에 의해 축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부레일(2)의 저면을 따라 회전이동하게 된다.
상기 수직가이드(46)는 상기 결합브라켓(41)에 상기 저면롤러축(43)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고정결합되고, 상기 수직가이드(46)의 외주면에 수직가압스프링(45)이 끼워진다.
상기 수직가압스프링(45)의 하단은 상기 결합브라켓(41)에 지지되고 상단은 상기 저면롤러축(43)에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수직가압스프링(45)은 상기 저면롤러축(43)을 상기 축이송공(42)을 따라 상부레일(2) 쪽으로 가압하게 되고, 그로 인해 상기 저면지지롤러(44)가 상부레일(2)의 저면을 가압하면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수직가압스프링(45)에 의해 상기 저면지지롤러(44)가 상부레일(2)의 저면에 가압됨으로써 마스트(4)가 도 1의 화살표 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감소시키게 된다.
상기 결합브라켓(41)의 일측에는 상부레일(2)의 측면을 지지하면서 회전이동하는 1쌍의 측면지지롤러(50)가 축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측면지지롤러(50)는 마스트(4)가 상부레일(2)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감소시키게 된다. 결국, 상기 제동롤러(22)와 저면지지롤러(44)에 의해 마스트(4)가 도 1의 화살표 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되고, 상기 수평지지유닛(30)과 상기 수직가압스프링(45)의 가압력에 의해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 : 지지프레임
20 : 제동유닛
21 : 롤러지지체
22 : 제동롤러
23 : 제동롤러축
23a : 제1베어링
23b : 제2베어링
24 : 단턱부
25 : 아마추어
25a : 라이닝
26 : 전자코일
27 : 브레이크 본체
28 : 회전슬리브
29 : 쉼부재
30 : 수평지지유닛
31 : 선회아암
32 : 힌지핀
33 : 관통홀
34 : 수평가이드
35 : 수평가압스프링
36 : 부싱
37 : 스프링캡
38 : 캡고정너트
40 : 수직지지유닛
41 : 결합브라켓
42 : 축이송공
43 : 저면롤러축
44 : 저면지지롤러
45 : 수직가압스프링
46 : 수직가이드
50 : 측면지지롤러
20 : 제동유닛
21 : 롤러지지체
22 : 제동롤러
23 : 제동롤러축
23a : 제1베어링
23b : 제2베어링
24 : 단턱부
25 : 아마추어
25a : 라이닝
26 : 전자코일
27 : 브레이크 본체
28 : 회전슬리브
29 : 쉼부재
30 : 수평지지유닛
31 : 선회아암
32 : 힌지핀
33 : 관통홀
34 : 수평가이드
35 : 수평가압스프링
36 : 부싱
37 : 스프링캡
38 : 캡고정너트
40 : 수직지지유닛
41 : 결합브라켓
42 : 축이송공
43 : 저면롤러축
44 : 저면지지롤러
45 : 수직가압스프링
46 : 수직가이드
50 : 측면지지롤러
Claims (10)
- 마스트의 일측에 구비되는 롤러지지체;
상기 롤러지지체에 축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상부레일의 측면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동롤러; 및
상기 제동롤러의 축회전을 정지시키는 제동수단;
마스트의 일측에 고정결합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에 힌지핀을 중심으로 상기 롤러지지체와 일체로 선회가능하게 결합되는 선회아암;
상부레일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상기 선회아암을 관통하여 상기 지지프레임에 고정결합되는 수평가이드; 및
상기 제동롤러가 상부레일의 외측에 밀착되도록 상기 수평가이드를 따라 상기 선회아암을 상부레일의 측면 쪽으로 가압하는 수평가압스프링;
을 포함하는 스태커 크레인의 마스트 지지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수단은,
상기 제동롤러의 제동롤러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아마추어;
상기 아마추어를 흡인하는 전자코일; 및
상기 롤러지지체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전자코일의 전자기력에 의한 흡인시 상기 아마추어와 마찰접촉하는 브레이크 본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커 크레인의 마스트 지지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코일은,
하부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주행대차로 제동신호가 출력될 때 전원이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커 크레인의 마스트 지지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가이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수평가압스프링의 압축력을 조절하는 스프링캡;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커 크레인의 마스트 지지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가이드의 외주면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스프링캡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1쌍의 캡고정너트;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커 크레인의 마스트 지지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아암에 상기 수평가이드가 수용하는 관통홀이 장공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커 크레인의 마스트 지지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가이드의 외주면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선회아암의 관통홀에 끼워지고, 상기 수평가압스프링을 지지하는 부싱;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커 크레인의 마스트 지지장치. - 제1항에 있어서,
마스트의 일측에 고정결합되는 결합브라켓;
상기 결합브라켓에 상부레일 쪽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저면롤러축;
상기 저면롤러축에 축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상부레일의 저면에 접촉하는 저면지지롤러; 및
상기 결합브라켓에 대하여 상기 저면롤러축을 상부레일의 저면 쪽으로 가압하는 수직가압스프링;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커 크레인의 마스트 지지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브라켓에 상기 저면롤러축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고정결합되고, 상기 수직가압스프링이 끼워져 가이드되는 수직가이드;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커 크레인의 마스트 지지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71657A KR101677498B1 (ko) | 2015-05-22 | 2015-05-22 | 스태커 크레인의 마스트 지지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71657A KR101677498B1 (ko) | 2015-05-22 | 2015-05-22 | 스태커 크레인의 마스트 지지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77498B1 true KR101677498B1 (ko) | 2016-11-30 |
Family
ID=57707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71657A KR101677498B1 (ko) | 2015-05-22 | 2015-05-22 | 스태커 크레인의 마스트 지지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77498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392299A (zh) * | 2019-09-19 | 2020-07-10 | 上海合益工业自动化科技有限公司 | 一种堆垛机及其动力臂机构 |
CN111531377A (zh) * | 2020-04-20 | 2020-08-14 | 安徽合力股份有限公司 | 一种用于叉车门架单腿槽钢加工的定位支撑装置 |
CN115353031A (zh) * | 2022-09-07 | 2022-11-18 | 安歌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一种转轨堆垛机的导轮结构 |
KR20230142179A (ko) * | 2022-04-01 | 2023-10-11 |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 가이드롤러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박스 픽커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246248A (ja) * | 2006-03-17 | 2007-09-27 | Asyst Shinko Inc | スタッカークレーンの駆動制御装置 |
-
2015
- 2015-05-22 KR KR1020150071657A patent/KR10167749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246248A (ja) * | 2006-03-17 | 2007-09-27 | Asyst Shinko Inc | スタッカークレーンの駆動制御装置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392299A (zh) * | 2019-09-19 | 2020-07-10 | 上海合益工业自动化科技有限公司 | 一种堆垛机及其动力臂机构 |
CN111531377A (zh) * | 2020-04-20 | 2020-08-14 | 安徽合力股份有限公司 | 一种用于叉车门架单腿槽钢加工的定位支撑装置 |
KR20230142179A (ko) * | 2022-04-01 | 2023-10-11 |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 가이드롤러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박스 픽커 |
KR102697087B1 (ko) | 2022-04-01 | 2024-08-22 |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 가이드롤러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박스 픽커 |
CN115353031A (zh) * | 2022-09-07 | 2022-11-18 | 安歌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一种转轨堆垛机的导轮结构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77498B1 (ko) | 스태커 크레인의 마스트 지지장치 | |
EP3290380B1 (en) | A stabilizing device of an elevator car | |
KR20040101036A (ko) | 반송 장치 | |
US20190202249A1 (en) | Towing device for automatic guided vehicle, and automatic guided vehicle provided with the same | |
JPH0413571B2 (ko) | ||
KR20120124390A (ko) | 운반 장치 | |
JP2005224773A (ja) | ビード部用潤滑剤塗布装置 | |
KR20150125067A (ko) | 스태커 크레인의 주행대차 구동장치 | |
JP2007216941A (ja) | 搬送装置 | |
JP3961083B2 (ja) | 電子部品搭載装置 | |
JP2010069914A (ja) | ワーク搬送台車 | |
JP2013189276A (ja) | 昇降装置、搬送装置、搬送方法、搬送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 |
KR20090040629A (ko) | 공작기계용 환봉 소재 자동 공급 장치 | |
US20120328407A1 (en) | Rack stopper system | |
JP2014005114A (ja) | 搬送装置 | |
CN211310583U (zh) | 一种复轨多向移动吊挂装置 | |
JP2016023027A (ja) | 無人搬送車 | |
CN212640964U (zh) | 一种传动控制设备 | |
WO2017179528A1 (ja) | 物品搬送装置(article transport apparatus) | |
KR20110135555A (ko) | 선박의 곡블록용 핀지그 | |
CN216444904U (zh) | 一种克令吊吊装系统快速定位装置 | |
JP2008127172A (ja) | 昇降機構における直動ベアリングの支持構造 | |
JP2012024891A (ja) | 筒体へのワーク挿入方法及びその装置 | |
JP2003002409A (ja) | 自動倉庫 | |
KR101909712B1 (ko) | 산업기계용 디스크 브레이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