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7464B1 - 메쉬 타입의 스트링 부재가 구비된 차량용 시트 - Google Patents

메쉬 타입의 스트링 부재가 구비된 차량용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7464B1
KR101677464B1 KR1020150136073A KR20150136073A KR101677464B1 KR 101677464 B1 KR101677464 B1 KR 101677464B1 KR 1020150136073 A KR1020150136073 A KR 1020150136073A KR 20150136073 A KR20150136073 A KR 20150136073A KR 101677464 B1 KR101677464 B1 KR 1016774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 sheet
string
frame
strings
hollow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6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150136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74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7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74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 B60N2/482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8Seat cove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 B60N2/643Back-rests or cushions shape of the back-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 B60N2/646Back-rests or cushions shape of the cush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0Upholstery springs ; Upholst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쉬 타입의 스트링 부재가 구비된 차량용 시트에 관한 것으로, 플라스틱 기반의 백 시트 프레임 상에 커스터마이징(customizing)이 가능한 메쉬 타입의 스트링 부재가 구비된 차량용 백 시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메쉬 타입의 스트링 부재가 구비된 차량용 시트{Vehicle Seat Equipped with Mesh-type String Elements}
본 발명은 메쉬 타입의 스트링 부재가 구비된 차량용 시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플라스틱 기반의 백 시트 프레임에 커스터마이징(customizing)이 가능한 메쉬 타입의 스트링 부재가 구비된 차량용 백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시트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시트는 한정된 공간과 중량 범위 내에서 안전하고 쾌적하게 승객을 지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차량용 시트는 크게 운전자 또는 승객의 등을 지지하는 시트 백(등받이), 운전 자세를 바로잡고 사고가 났을 때 승객의 머리에 전해지는 충격을 저감시켜 주는 헤드레스트, 그리고 엉덩이를 얹는 쿠션으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통상적으로는 시트의 표면에 씌워져 포장, 표면, 외형의 역할을 하는 시트커버 또는 트림 커버가 구비된다.
차량 중량은 차체가 약 20%, 내장은 약 11%, 그리고 외장품 및 글래스가 약 7% 비중으로 차지하고 있으며, 내장 중에서 시트의 중량은 구체적으로 자동차 1대 당 약 60 내지 180kg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때, 시트의 골격에 해당하는 시트 프레임(frame)은 강철(또는 스틸)과 같은 소재가 주로 사용되어 왔다. 강철은 시트에 요구되는 강성 및 충격 강도를 제공하지만, 여러 개의 개별 부품으로 구성되어 시트 제조 비용을 증가시킨다.
특히, 시트는 차체 다음으로 전체 차량에서 차지하는 중량 비율이 높은 부재이기에, 연비 개선 등을 위하여 시트 경량화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관련하여 최근에는 강철이 아닌 다른 금속 소재(예컨대 마그네슘, 알루미늄)를 이용한 시트 프레임 기술이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금속 소재들은 기존에 사용된 강철에 비해 상당히 중량을 감소시킬 수는 있으나, 금속 소재에 따른 한계는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적 배경 하에서, 플라스틱과 같은 경량 소재로 차량 시트를 제조하고자 하는 시도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플라스틱은 강철보다 훨씬 가벼울 뿐만 아니라, 시트의 특징부가 플라스틱 프레임 내로 통합될 수 있어 유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플라스틱 기반의 시트는 단일 사출 성형 공정을 통하여 제작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주요 시트 업체에서는 열가소성 매트릭스 및 강화 재료(유리 섬유, 탄소 섬유 등)로 이루어진 복합 재료를 단일 피스로 성형하거나, 이로부터 제조된 시트-백 프레임 및 시트-백 커버를 결합시킨 방식으로 적용하거나, 강철 프레임에 플라스틱 프레임을 결합하여 시트의 경량화를 도모하고 있으나, 플라스틱 재질의 백 시트로 전면적으로 적용하고 있지는 않다(미국특허번호 제6,679,558호, 미국특허공개번호 제2009/0058166호 및 제2008/180783호 등).
또한, 종래 플라스틱 기반 프레임이 금속(강철) 기반 프레임 대비 낮은 기계적 물성 또는 강도를 보완하기 위해 플라스틱 프레임에 부가적으로 강화 부재를 결합한 기술 역시 알려져 있다(WO2013/021485, WO2013/021484, WO2013/021482 등). 최근, BASF사에서는 고강성을 갖는 개선된 기계적 물성의 폴리아미드계 수지에 기반하여 플라스틱 시트 프레임의 소재(상품명: Ultramid)를 개발하였으며, 이를 전기 자동차 등에 적용한 사례도 있다.
이와 같이 개선된 기계적 물성을 갖는 플라스틱 기반 시트 프레임은 기존의 금속(강철) 기반 백 시트 프레임에 비하여 중량이 낮을 뿐더러 금속 기반 백 시트 프레임과 동등 이상의 기계적 물성을 갖는 바, 차량 내부 공간 확대와 같은 공간 구성에 바람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전술한 플라스틱 기반 시트 프레임 기술에서는 전체 시트를 종래에 비해 얇은 치수로 제작하여 차량 내부 공간을 넓히는 장점을 활용하기 위해, 금속 재질의 프레임 기반 기술에서 백 어셈블리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시트 커버(예를 들면, 피혁 또는 각종 패브릭 재질)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그러나, 플라스틱 프레임 자체가 외부로 노출되는 방식으로 제작될 경우에는 운전자의 기호에 맞는 방식으로 다양한 미감(색상 등)을 갖는 백 시트를 구성하는데 한계가 있다.
나아가 최근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 제품 분야에서는 소비자가 다양한 색상 및 형상을 갖는 악세서리를 개성 및 기호에 따라 선택하여 교체 가능한 커스터마이징 트렌드가 있으며, 이러한 트렌드는 특정 분야를 넘어 확대되고 있어 관련 시장의 규모도 증가하고 있다.
한편, 종래의 차량용 백 시트에서는 가죽이나 패브릭 재질의 백 시트 면에 운전자 또는 승객의 등 부위가 접촉하여 여름철에 땀을 유발하는 등, 운전 중에 쾌적성을 유지하기 어렵다. 관련하여 사무용 또는 가정용 의자 분야에서는 백 시트 표면을 메쉬 형태로 구성하여 쾌적성을 높이는 기술도 알려져 있으나(한국특허공개번호 제2010-95548호 등), 차량용 백 시트 분야에 적용된 예는 찾기 어렵다. 기껏해야 백 시트 중 운전자 또는 승객과 접촉하는 부위에 메쉬 형태의 천을 별도로 개재한 예가 있을 뿐이다. 더욱이 플라스틱 기반의 백 시트 프레임에 다양한 미감을 부여하도록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한 메쉬 타입 부재를 통합하여 구비한 기술은 찾아볼 수 없었다.
본 발명에서는 쾌적성을 높이면서도 백 시트 전반에 다양한 미감(예를 들면, 형상, 색상, 패턴 및 소재의 질감)을 부여할 수 있어 관련 시장의 커스터마이징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메쉬 타입 부재를 플라스틱 백 시트 프레임 내에 도입(통합)한 차량용 백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시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1 이상의 중공 영역이 형성되고, 플라스틱 소재인 백 시트 프레임; 각각의 스트링이 상기 중공 영역을 가로질러 전체적으로 메쉬 타입의 면을 형성하는 복수의 스트링; 및 상기 중공 영역의 테두리 중 적어도 일부에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스트링 각각의 양 단부와 결합하는 스트링 설치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스트링 설치프레임은 몸체에 복수의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스트링의 양 단부에는 상기 스트링의 직경보다 큰 치수를 가지며 탄성을 갖는 선단부가 형성되어, 상기 선단부가 상기 체결홀에 도입되면 상기 몸체에 걸리도록 구성되는 차량용 백 시트가 제공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스트링 설치프레임은 상기 백 시트 프레임의 내부에 결합되거나, 상기 백 시트 프레임과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르면, 차량용 백 시트 프레임을 경량의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하되, 백 시트 프레임 내에 형성된 중공 영역에 복수의 스트링으로 메쉬 타입의 면을 형성하고, 이와 함께 상기 메쉬 타입의 면을 운전자 또는 승객의 취향 및 개성에 따라 원하는 디자인(구체적으로, 형상, 패턴 및/또는 색상)을 갖도록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 또는 승객의 등 부위와 접촉(밀착)하는 시트 백의 부위에 메쉬 타입의 면을 형성함으로써 경량화 측면에서도 보다 유리할 뿐만 아니라, 쾌적성을 높일 수 있고, 더 나아가 시각적으로도 가벼운 느낌을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기술은 차량용 백 시트 분야에서 새로운 커스터마이징 시장을 형성하는데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등, 많은 장점을 갖고 있기 때문에 향후 광범위한 상용화가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차량용 백 시트의 전체적인 외관과, 복수의 스트링 부위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차량용 백 시트에서 복수의 스트링이 스트링 설치프레임에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일부분을 확대하고 복수의 스트링은 투명선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를 후방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차량용 백 시트의 일 부분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하고, 보조 커버를 추가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하기의 설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를 기술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어떠한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외에도, 본 명세서에서, “상측에 위치한다” 또는 “하측에 위치한다”는 용어는 특정 대상과 접촉된 상태뿐만 아니라 접촉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표현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메쉬”는 편의상 명칭으로서 광의로는 코드(cords), 와이어(wires) 또는 스래드(threads)가 네트워크를 형성하도록 직조되어 구멍(aperture)을 형성하는 패턴 형성 방식을 의미할 수도 있으나, 협의로는 일정 굵기를 갖는 복수의 스트링 전부가 횡(또는 수평) 방향, 종 방향(또는 수직) 또는 경사진 방향으로 평행 배열되어 면을 형성하는 경우, 또는 복수의 스트링 중 일부가 상호 교차하도록 배열하여 부분적으로 구멍을 형성하는 패턴 형성 방식 역시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차량용 백 시트의 전체적인 외관과, 복수의 스트링 부위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용 시트는 백 시트(1), 헤드레스트(2) 및 시트 쿠션(3)을 포함할 수 있다. 헤드레스트(2)는 백 시트(1)의 상단에 위치하여 운전자 또는 승객의 머리를 지지하고, 시트 쿠션(3)은 백 시트(1)의 하부와 연결되어 있다. 또한,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기 주된 구성 부재 이외에도 운전자 또는 승객의 체형에 맞게 수동 또는 자동으로 백 시트를 전후·좌우·상하 방향으로 조절하는 시트 어드저스터(seat adjuster), 백 시트 부재를 조절하여 원하는 운전 자세를 갖도록 하는 리클라이닝(reclining)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시트”는 자동차, 열차 등의 각종 차량용으로 한정되지 않고, 선박이나 항공기용 시트를 포괄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편의상 차량용으로 한정한다. 또한, 차량용 시트는, 특정 차량 용도로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승용차, SUV(sports utility vehicles) 뿐만 아니라, 트럭이나 버스 등을 포함하는 넓은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구체예에 있어서, 백 시트(1)는 중공 영역이 형성된 백 시트 프레임(4), 상기 중공 영역에 메쉬 타입의 면(7)을 형성하는 복수의 스트링(5), 및 스트링 설치프레임(미도시, 도 3 참고)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메쉬 타입의 면(7)은 운전자 또는 승객의 등 부위와 접촉하여 쿠션감과 쾌적감을 부여하는 기능을 제공하며,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백 시트 프레임(4) 내에 형성된 중공 영역에 걸쳐 형성된다.
백 시트 프레임(4)은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플라스틱 소재는 현재 당업계에서 플라스틱 기반의 백 시트 프레임을 제조하는데 사용 가능한 고분자 또는 수지중에서 특별한 제한 없이 선택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플라스틱 소재로 폴리아미드계 고분자,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continuous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 CFRT),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테르, 폴리설폰,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이미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플라스틱 소재의 백 시트 프레임(4)은, 예를 들어 사출 성형, 압축 성형, 압출 성형, 블로우 성형 등 당업계에서 공지된 성형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출 성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운전자 또는 승객의 체형에 따라 등 부위를 감싸주기 위하여 백 양측 단부를 향하여 서서히 융기되어 있는 측면 융기부(6)가 플라스틱 백 시트 프레임과 일체적으로 성형되어 있거나, 또는 별도로 제작되어 플라스틱 백 시트 프레임에 결합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백 시트 프레임(4) 중 일부 영역의 상측에 외관의 미감을 높이거나 기능성을 부가하기 위하여 다른 커버 부재(예를 들면, 플라스틱 재질의 커버)를 배치할 수도 있다.
예시적 구체예에 따르면, 플라스틱 백 시트 프레임(4)은 3차원적 구조로 제조(성형)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프레임 내에 형성되는 중공 영역은 도시된 바와 같이 입체적 두께를 갖게 되고, 그 결과 플라스틱 백 시트 프레임(4)의 전면에 인접한 제1 중공 영역(A) 및 상기 플라스틱 백 시트 프레임의 후면에 인접한 제2 중공 영역(B)이 형성될 수 있다(도 1의 확대도 참고). 그리고 제1 중공 영역(A) 및 제2 중공 영역(B) 각각에 걸쳐 후술하는 방법에 따라 메쉬 타입의 면(7)이 형성될 수 있다(즉, 2개의 메쉬 타입의 면이 형성됨). 택일적 구체예에 있어서, 플라스틱 백 시트 프레임(4)에 단일 중공 영역이 형성되고, 메쉬 타입의 면(7)이 형성될 수도 있다(즉, 단일의 메쉬 타입의 면이 형성됨).
복수의 스트링(5)은 플라스틱 백 시트 프레임(4) 내 중공 영역을 가로지르는 방식으로 연장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스트링(5)은 상기 중공 영역의 테두리 중 적어도 일부에 설치되는 스트링 설치프레임에 결합됨으로써 설치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복수의 스트링(5)은 텐션을 유지하면서 연장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와 같이 연장된 스트링(5) 각각은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종 방향으로 평행 배열될 수 있으며(즉, 하나의 스트링 위에 다른 스트링이 배열됨), 그 이외에도 횡 방향으로 평행 배열 되거나, 경사진 방향으로 평행 배열 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스트링(5) 중 일부는 종 방향으로 평행 배열되고, 다른 일부는 횡 방향으로 평행 배열될 수도 있다. 상기 배열에 따라 복수의 스트링(5)은 중공 영역에 메쉬 타입의 면(7)을 형성하게 된다.
복수의 스트링(5)은 예컨대 고분자 수지, 구체적으로 아크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스트링(5)은 투명 또는 반투명일 수 있으며, 복수의 스트링 중 적어도 일부의 스트링은 다른 스트링과 상이한 색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원하는 미감, 패턴 등에 따라 상이한 색상의 스트링을 혼용할 수 있다.
나아가, 동일한 스트링 내에서도 복수의 색상을 갖도록 하여 다양한 색상의 패턴을 구현하거나, 또는 동일 색상이라도 그라데이션의 효과를 부여할 수도 있으며, 형광 물질이나 인광 물질을 표면에 도포하여 다양한 광 효과를 부여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형광 물질 및 인광 물질은 현재 당업계에서 사용 가능한 물질중에서 특별한 제한 없이 선택될 수 있다.
복수의 스트링(5) 각각은 운전자 또는 승객의 등 부위를 지지하면서 쿠션 기능을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므로, 일정 수준의 탄성을 구비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복수의 스트링(5) 간의 거리는 원하는 패턴, 쿠션감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조절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약 0.1 내지 10 mm, 구체적으로 약 0.3 내지 5 mm, 보다 구체적으로 약 0,5 내지 3 mm 범위일 수 있다. 스트링(5) 각각의 직경은, 예를 들면 약 0.01 내지 5 mm, 구체적으로 약 0.1 내지 3 mm, 보다 구체적으로 약 0.2 내지 1 mm 범위일 수 있다. 다만 상술한 수치 범위는 예시적인 의미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이 상기 수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도 1의 차량용 백 시트에서 복수의 스트링(5)이 스트링 설치프레임(9)에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일부분을 확대하고 복수의 스트링(5)은 투명선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2를 후방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복수의 스트링(5) 각각의 양 단부는 스트링 설치프레임(9)에 결합함으로써 메쉬 타입의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스트링 설치프레임(9)은 백 시트 프레임(4, 도 1 참고)에 형성된 중공 영역의 테두리 중 적어도 일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스트링 설치프레임(9)은 백 시트 프레임(4, 도 1 참고)의 내부에 결합되거나, 상기 백 시트 프레임과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스트링 설치프레임(9)은 백 시트의 외부에서 가시적이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4에 도면부호 8로 표기되어 있는 부재는 경우에 따라 백 시트 프레임이거나, 백 시트 프레임의 내부에 결합되는 별도의 커버 부재(예컨대 플라스틱 소재)일 수 있다. 두 경우 모두 스트링(5)과 스트링 설치프레임(9)의 결합 부위를 덮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스트링 설치프레임(9)의 형태는 특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사각 프레임과 같은 다각 프레임일 수 있으며 또는 백 시트 프레임(4)에 형성된 중공 영역의 양측부에 마주보도록 배치된 바(BAR)형태의 프레임일 수도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들에서는 스트링 설치프레임(9)을 다각 프레임으로 도시하였음을 밝혀둔다. 스트링 설치프레임(9)은 전형적으로는 기계적 물성이 양호한(예를 들면, 고강성의)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스탬핑 등에 의하여 성형된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 스트링 설치프레임(9)과 스트링(5)이 결합을 설명한다. 스트링 설치프레임(9)은 몸체에 복수의 체결홀(9a, 도 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홀(9a)은 등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체결홀(9a)의 홀 크기는 스트링(5)의 직경보다 소정 정도 큰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크기는 후술할 선단부(10)의 치수보다는 작은 크기에 해당할 수 있다.
각각의 스트링(5) 양 단부에는 스트링(5)의 직경보다 큰 치수를 갖는 선단부(10)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스트링(5)의 선단부(10)가 스트링 설치프레임(9)에 형성된 체결홀(9a)에 도입되면, 선단부(10)가 스트링(5)의 직경보다 큰 치수를 가지므로 스트링 설치프레임(9)의 몸체에 걸리게 됨으로써, 스트링(5)이 스트링 설치프레임(9)에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선단부(10)는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스트링(5)과 동일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선단부(10)는 스트링(5)과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일체형의 경우, 선단부(10)는 탄성을 가지므로, 체결홀(9a)에 도입할 때에는 선단부(10)에 외력을 가하여 체결홀(9a)에 삽입 가능할 정도까지 외형을 변형시키고, 체결홀(9a)을 통과한 후에는 선단부(10)의 형태가 탄성력에 의해 복원됨으로써 스트링(5)을 당겨도 선단부(10)가 스트링 설치프레임(9)의 몸체에 걸리게 되어 스트링(5)이 스트링 설치프레임(9)으로부터 이탈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결합형의 경우 스트링(5)의 단부 일부분을 체결홀(9a)에 관통시키고, 상기 단부에 선단부(10)를 결합함으로써 동일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이 때, 결합 방식은 특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볼트 결합 방식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선단부(10)의 형태는 특정되지는 않으나, 체결홀(9a)에의 도입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원뿔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보다 유리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차량용 백 시트의 일 부분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하고, 보조 커버(S)를 추가 도시한 도면이다.
예시적 구체예에 따르면, 차량용 백 시트는 백 시트 프레임(4)의 적어도 일부에 탈착가능하도록 결합하는 1 이상의 보조 커버(S)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커버(S)는 백 시트에 다양한 미감이나 기능을 부여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보조 커버(S)가 백 시트 프레임(4)에 결합하는 방식은 특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백 시트 프레임(4)의 전면과 측부를 감싸는 형태로 결합되거나,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백 시트 프레임(4)의 일부에 홈이 형성되고 보조 커버(S)의 후면에 결합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홈에 끼움 결합하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보조 커버(S)는 스트링(5)과 마찬가지로 예컨대 고분자 수지, 구체적으로 아크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보조 커버(S) 중 적어도 일부는 다른 보조 커버와 상이한 색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원하는 미감, 패턴 등에 따라 상이한 색상의 보조 커버(S)를 혼용할 수 있다. 이 때, 보조 커버(S)와 스트링(5)의 색상 및 패턴을 조합하여 다양한 형태의 백 시트 미감이 창출될 수 있다.
나아가, 동일한 보조 커버(S) 내에서도 복수의 색상을 갖도록 하여 다양한 색상의 패턴을 구현하거나, 또는 동일 색상이라도 그라데이션의 효과를 부여할 수도 있으며, 형광 물질이나 인광 물질을 표면에 코팅하여 다양한 광 효과를 부여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 구체예는 원하는 패턴의 메쉬 타입 면(7)을 형성함에 있어서 비교적 간편하게 다수의 스트링을 배열하고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다수의 스트링의 배열 형태, 색상 등을 조합함으로써 다양한 미감을 부여할 수 있는 커스터마이징 요소를 제공할 수 있다(보조 커버도 조합 가능).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백 시트
2: 헤드레스트
3: 시트 쿠션
4: 플라스틱 백 시트 프레임
5: 스트링
6: 측면 융기부
7: 메쉬 타입 면
8: 커버 부재(또는 백 시트 프레임)
9: 스트링 설치프레임
9a: 체결홀
10: 스트링의 선단부

Claims (9)

1 이상의 중공 영역이 형성되고, 플라스틱 소재인 백 시트 프레임;
각각의 스트링이 상기 중공 영역을 가로질러 전체적으로 메쉬 타입의 면을 형성하는 복수의 스트링; 및
상기 중공 영역의 테두리 중 적어도 일부에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스트링 각각의 양 단부와 결합하는 스트링 설치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스트링 설치프레임은 몸체에 복수의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스트링의 양 단부에는 상기 스트링의 직경보다 큰 치수를 가지며 탄성을 갖는 선단부가 형성되어, 상기 선단부가 상기 체결홀에 도입되면 상기 몸체에 걸리도록 구성되는 차량용 백 시트.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트링 설치프레임은 상기 백 시트 프레임의 내부에 결합되거나, 상기 백 시트 프레임과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차량용 백 시트.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공 영역은 입체적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백 시트 프레임의 전면에 인접한 제1 중공 영역 및 상기 백 시트 프레임의 후면에 인접한 제2 중공 영역을 포함하는 차량용 백 시트.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트링 전부가 수평 방향, 수직 방향 또는 경사진 방향으로 평행 배열되어 상기 메쉬 타입의 면을 형성하는 차량용 백 시트.
청구항 4에 있어서,
(i) 상기 복수의 스트링 중 적어도 일부는 다른 스트링과 상이한 색상을 갖거나, (ii) 동일한 스트링 내에서도 복수의 색상을 갖거나, 동일 색상의 그라데이션의 효과가 부여되거나, 또는 (iii) 형광 물질이나 인광 물질을 표면에 도포하여 광 효과가 부여되는 차량용 백 시트.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부는 원뿔형으로 형성되는 차량용 백 시트.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백 시트 프레임의 적어도 일부에 탈착가능하도록 결합하는 1 이상의 보조 커버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백 시트.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보조 커버는 복수개이며, (i) 상기 복수의 보조 커버 중 적어도 일부는 다른 보조 커버와 상이한 색상을 갖거나, (ii) 동일한 보조 커버 내에서도 복수의 색상을 갖거나, 동일 색상의 그라데이션의 효과가 부여되거나, 또는 (iii) 형광 물질이나 인광 물질을 표면에 도포하여 광 효과가 부여되는 차량용 백 시트.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백 시트;
상기 백 시트의 상단에 위치하는 헤드레스트; 및
상기 백 시트의 하부와 연결되는 시트 쿠션;
을 포함하는 차량용 시트.
KR1020150136073A 2015-09-25 2015-09-25 메쉬 타입의 스트링 부재가 구비된 차량용 시트 KR1016774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6073A KR101677464B1 (ko) 2015-09-25 2015-09-25 메쉬 타입의 스트링 부재가 구비된 차량용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6073A KR101677464B1 (ko) 2015-09-25 2015-09-25 메쉬 타입의 스트링 부재가 구비된 차량용 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7464B1 true KR101677464B1 (ko) 2016-11-18

Family

ID=57537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6073A KR101677464B1 (ko) 2015-09-25 2015-09-25 메쉬 타입의 스트링 부재가 구비된 차량용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746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38100A (en) * 1992-02-24 1994-08-16 Itt Corporation High strength automotive seat frame and method
KR200250589Y1 (ko) * 2001-07-09 2001-10-19 정구범 통기성 의자
JP2006526481A (ja) * 2003-06-05 2006-11-24 スチールケース デベロップメント コーポレイション 座席用の快適表面
JP2015093085A (ja) * 2013-11-12 2015-05-18 コクヨファニチャー株式会社 椅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38100A (en) * 1992-02-24 1994-08-16 Itt Corporation High strength automotive seat frame and method
KR200250589Y1 (ko) * 2001-07-09 2001-10-19 정구범 통기성 의자
JP2006526481A (ja) * 2003-06-05 2006-11-24 スチールケース デベロップメント コーポレイション 座席用の快適表面
JP2015093085A (ja) * 2013-11-12 2015-05-18 コクヨファニチャー株式会社 椅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45032B1 (en) Modular back panel sub-assembly
WO2014061179A1 (ja) 自転車用サドル
CN102741087A (zh) 具有塑料构成或涂塑的功能元件的塑料构成的椅背
JP6142827B2 (ja) 乗物用シート
US9796310B1 (en) Composite one-piece cushion nose
US10220745B2 (en) Inner carrier substrate trim cover attachment
US9849814B2 (en) Vehicle seat
US8632117B1 (en) Armrest assemblies for vehicle doors
US10220750B2 (en) Inner carrier substrate mechanical lock with head restraint guide sleeves
CN101387179B (zh) 车门的门内衬板
KR101677464B1 (ko) 메쉬 타입의 스트링 부재가 구비된 차량용 시트
CN201427530Y (zh) 汽车前座椅及其靠背和座垫之间缝隙的遮挡结构
CN103661146A (zh) 用于车辆内部部分的自支撑减震组件
KR101764770B1 (ko) 메쉬 타입의 스트링 부재가 구비된 차량용 시트
KR101663969B1 (ko) 메쉬 타입의 스트링 부재가 구비된 차량용 시트
GB2565214A (en) A one-piece seat with discrete padding for a racing vehicle
CN205652004U (zh) 一种汽车座椅坐垫
CN212022426U (zh) 一种使用epp和pur的轻量化汽车前座椅靠背
CN202896330U (zh) 一种汽车座椅安装脚的装饰罩
CN105270222A (zh) 车辆用座椅
KR20170037039A (ko)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한 백 쿠션이 구비된 차량용 시트
CN206938532U (zh) 一种用于汽车座椅的集成型电动调节腰托
CN208867986U (zh) 一种焊接式保险杠盖板
CN108297754B (zh) 一种汽车座椅背部覆盖结构
KR20080000379A (ko) 차량 리어시트의 시트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