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7040B1 - 경운기 모의 운전 장치 - Google Patents

경운기 모의 운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7040B1
KR101677040B1 KR1020140148637A KR20140148637A KR101677040B1 KR 101677040 B1 KR101677040 B1 KR 101677040B1 KR 1020140148637 A KR1020140148637 A KR 1020140148637A KR 20140148637 A KR20140148637 A KR 20140148637A KR 101677040 B1 KR101677040 B1 KR 1016770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imulated
steering
signal
clu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8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2968A (ko
Inventor
김유용
김병갑
김진오
신승엽
윤남규
염성현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401486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7040B1/ko
Publication of KR20160052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29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7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70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G09B9/02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경운기와 유사한 환경에서 경운기의 모의 운전을 수행할 수 있는 경운기 모의 운전 장치는 하부 구조체, 경운기 운전 몸체, 회전축부, 모의운전 센싱부, 조향각 측정부, 모의운전 제어부 및 모의운전 표시부를 포함한다. 상기 경운기 운전 몸체는 상기 하부 구조체 상에 배치되고, 사용자에게 경운기 운전대 모형을 제공한다. 상기 회전축부는 상기 경운기 운전 몸체가 상기 하부 구조체로부터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하부 구조체 및 상기 경운기 운전 몸체 사이를 연결한다. 상기 모의운전 센싱부는 상기 경운기 운전 몸체에 장착되고, 상기 사용자의 모의 운전에 따른 모의운전 센싱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조향각 측정부는 상기 회전축부를 중심으로 상기 경운기 운전 몸체가 회전될 때 형성되는 상기 경운기 운전 몸체의 조향각을 측정하여 조향각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모의운전 제어부는 상기 모의운전 센싱부로부터 제공된 상기 모의운전 센싱신호 및 상기 조향각 측정부로부터 제공된 상기 조향각 신호를 이용하여 모의운전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생성한다. 상기 모의운전 표시부는 상기 모의운전 제어부로부터 제공된 상기 모의운전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경운기 모의운전 상태를 표시한다.

Description

경운기 모의 운전 장치{A SIMULATED DRIVING DEVICE OF CULTIVATOR}
본 발명은 경운기 모의 운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경운기를 실제 유사한 환경에서 모의로 운전 연습을 수행할 수 있는 경운기 모의 운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사고가 자주 발생하듯 농기계에 의한 사고도 종종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농기계 사고는 농업 생산 활동에 수반되는 농작업, 운반ㅇ이동, 작업 준비 및 점검 중에 발생한 사고로 농작업 사고와 교통사고로 구분될 수 있다.
우선, 농작업 사고는 트랙터, 경운기와 같은 농기계를 사용하여 농작업을 하던 중에 발생한 사고이고, 교통사고는 도로 상에서 자동차, 오토바이 등과 같은 운송 수단과 충돌이나 추돌하여 발생되는 사고를 의미한다.
한편, 농기계 중 하나인 경운기에 대한 사고에 대해 살펴보면, 2011년 전국 300개 표본 마을에서 조사한 결과, 2010년 경운기의 농작업 사고 발생빈도는 100대당 0.79건으로 농업기계 중 가장 높았으며, 사고의 78.6%는 운반ㅇ이동 중에 발생하였으며, 2010년 경운기의 교통사고 발생빈도도 100대당 0.18건이었다.
이러한 농작업 사고 원인은 91.1%가 운전자 부주의, 운전 미숙, 피로 누적, 수면 부족 등의 인적 요인과 관련되어 있었고, 교통사고 원인도 99.1%가 전방주시 태만, 오조작 등의 인적 요인과 관련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자동차와 달리 경운기는 핸들에 의해 조향이 이루어지지 않고 좌우 조향클러치로 구동바퀴의 동력을 차단하여 조향되므로, 커브가 있는 내리막길에서 의도하는 방향과 반대로 조향되어 일어나는 사고가 많은 편이다.
이러한 사고는 경운기의 조향 특성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실제 경운기에 탑승하여 주행하거나 작업하는 연습을 통해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하지만, 동일한 상황을 실제 경운기에 탑승하여 연습하는 것은 생명의 위험이 있으므로, 실제와 유사한 환경에서 운전연습을 실시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경운기와 유사한 환경에서 경운기의 모의 운전을 수행할 수 있는 경운기 모의 운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경운기 모의 운전 장치는 하부 구조체, 경운기 운전 몸체, 회전축부, 모의운전 센싱부, 조향각 측정부, 모의운전 제어부 및 모의운전 표시부를 포함한다.
상기 경운기 운전 몸체는 상기 하부 구조체 상에 배치되고, 사용자에게 경운기 운전대 모형을 제공한다. 상기 회전축부는 상기 경운기 운전 몸체가 상기 하부 구조체로부터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하부 구조체 및 상기 경운기 운전 몸체 사이를 연결한다. 상기 모의운전 센싱부는 상기 경운기 운전 몸체에 장착되고, 상기 사용자의 모의 운전에 따른 모의운전 센싱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조향각 측정부는 상기 회전축부를 중심으로 상기 경운기 운전 몸체가 회전될 때 형성되는 상기 경운기 운전 몸체의 조향각을 측정하여 조향각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모의운전 제어부는 상기 모의운전 센싱부로부터 제공된 상기 모의운전 센싱신호 및 상기 조향각 측정부로부터 제공된 상기 조향각 신호를 이용하여 모의운전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생성한다. 상기 모의운전 표시부는 상기 모의운전 제어부로부터 제공된 상기 모의운전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경운기 모의운전 상태를 표시한다.
상기 경운기 모의 운전 장치는 상기 회전축부와 연결되어, 상기 경운기 운전 몸체의 회전시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 반발력을 제공하는 회전 반발력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의운전 시뮬레이션 데이터는 모의운전의 주행속도를 나타내는 주행속도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의운전 제어부는 상기 주행속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주행속도가 증가될수록 상기 회전 반발력이 감소되도록 상기 회전 반발력 제공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회전 반발력 제공부는 회전 반발력 생성유닛 및 회전 반발력 전달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반발력 생성유닛은 상기 모의운전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회전 반발력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회전 반발력 전달유닛은 상기 회전 반발력 생성유닛 및 상기 회전축부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회전 반발력 생성유닛에서 생성된 상기 회전 반발력을 상기 회전축부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회전 반발력 생성유닛은 상기 모의운전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고, 회전 부하에 의해 상기 회전 반반력을 생성하는 서보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 반발력 전달유닛은 상기 서보 모터의 회전 속도를 감속하여 상기 회전축부로 전달하도록 상기 서보 모터 및 상기 회전축부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회전 반발력을 상기 회전축부로 전달하는 감속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향각 측정부는 회전력 전달유닛 및 조향각 측정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력 전달유닛은 상기 회전축부와 연결되고, 상기 회전축부와 함께 회전하여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조향각 측정유닛은 상기 회전력 전달유닛으로부터 전달된 상기 회전력을 측정하여 상기 조향각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조향각 신호를 상기 모의운전 제어부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회전력 전달유닛은 제1 풀리, 타이밍 벨트, 제2 풀리 및 풀리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풀리는 상기 회전축부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부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타이밍 벨트는 상기 제1 풀리에 감겨 배치되고, 상기 제1 풀리의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2 풀리는 상기 제1 풀리와 이격되어 상기 타이밍 벨트에 감겨지도록 배치되고, 상기 타이밍 벨트를 통해 전달된 상기 제1 풀리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풀리축은 상기 제2 풀리와 연결되어 상기 제2 풀리와 함께 회전하고, 상기 제2 풀리의 회전력을 상기 조향각 측정유닛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조향각 측정유닛은 상기 풀리축과 연결되어 상기 풀리축의 회전력을 측정하여 상기 조향각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조향각 신호를 상기 모의운전 제어부로 출력하는 포텐셔 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운기 운전 몸체는 회전 지지판, 메인 몸체부, 제1 손잡이부 및 제2 손잡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지지판은 상기 회전축부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부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메인 몸체부는 상기 회전 지지판 상에 배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손잡이부들은 상기 메인 몸체부로부터 서로 대응되도록 일측을 향해 각각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모의운전 센싱부는 주 클러치, 변속기 모듈, 제1 조향 클러치, 제2 조향 클러치, 조속 제어유닛, 감압 제어유닛 및 시동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 클러치는 상기 제1 및 제2 손잡이부들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되고,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동작되어 상기 모의운전 제어부로 주 클러치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변속기 모듈은 상기 메인 몸체부의 일측에 장착되고,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동작되어 상기 모의운전 제어부로 변속기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1 조향 클러치는 상기 제1 손잡이부에 장착되고,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동작되어 상기 모의운전 제어부로 제1 조향클러치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2 조향 클러치는 상기 제2 손잡이부에 장착되고,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동작되어 상기 모의운전 제어부로 제2 조향클러치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조속 제어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 손잡이부들 중 상기 주 클러치가 장착되지 않은 다른 하나에 장착되고,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동작되어 상기 모의운전 제어부로 조속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감압 제어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 손잡이부들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되고,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동작되어 상기 모의운전 제어부로 감압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시동 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 손잡이부들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되고,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동작되어 상기 모의운전 제어부로 경운기 시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주 클러치는 주 클러치 동작부, 주 클러치 연결부 및 주 클러치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 클러치 동작부는 상기 제1 및 제2 손잡이부들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되고,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주행, 클러치 및 브레이크 중 어느 하나로 동작될 수 있다. 상기 주 클러치 연결부는 상기 주 클러치 동작부와 연결되어, 상기 주 클러치 동작부의 동작에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주 클러치 센서부는 상기 메인 몸체부에 장착되어 상기 주 클러치 연결부와 연결되고, 상기 주 클러치 연결부의 이동을 감지하여 상기 주 클러치 동작부의 동작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주 클러치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주 클러치 신호를 상기 모의운전 제어부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주 클러치 연결부는 주 클러치 연결봉, 주 클러치 연결블럭 및 연결 볼베어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 클러치 연결봉은 상기 주 클러치 동작부와 연결되어, 상기 주 클러치 동작부의 동작에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주 클러치 연결블럭은 상기 주 클러치 연결봉과 연결되어 상기 주 클러치 연결봉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연결 볼베어링은 상기 주 클러치 연결블럭 및 상기 주 클러치 센서부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주 클러치 연결블럭에 의한 이동력을 상기 주 클러치 센서부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주 클러치는 상기 메인 몸체부 및 상기 주 클러치 센서부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주 클러치 연결부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주 클러치 연결부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주 클러치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속기 모듈은 주 변속부 및 부 변속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 변속부는 주 변속레버를 통한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복수의 주 변속 단수들 및 중립 중 어느 하나로 동작되어 주 변속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모의운전 제어부로 상기 주 변속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부 변속부는 부 변속레버를 통한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복수의 부 변속 단수들 중 어느 하나로 동작되어 부 변속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모의운전 제어부로 상기 부 변속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부 변속 단수들 중에는 외부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로터리 조작 단수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로터리 조작 단수에서는 상기 부 변속레버를 통한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복수의 로터리 변속 단수들 중 어느 하나로 동작되어 로터리 변속 신호가 생성되어 상기 모의운전 제어부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제1 조향 클러치는 제1 조향클러치 동작부, 제1 조향클러치 연결부 및 제1 조향클러치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조향클러치 동작부는 상기 제1 손잡이부에 장착되고,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상기 제1 조향클러치 연결부는 상기 제1 조향클러치 동작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조향클러치 동작부의 동작에 의해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1 조향클러치 센서부는 상기 제1 조향클러치 연결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조향클러치 연결부의 이동에 따라 경운기의 제1 바퀴로의 동력 전달 및 동력 끊음 중 하나로 동작되는 것을 나타내는 상기 제1 조향클러치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모의운전 제어부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2 조향 클러치는 제2 조향클러치 동작부, 제2 조향클러치 연결부 및 제2 조향클러치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조향클러치 동작부는 상기 제2 손잡이부에 장착되고,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상기 제2 조향클러치 연결부는 상기 제2 조향클러치 동작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2 조향클러치 동작부의 동작에 의해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2 조향클러치 센서부는 상기 제2 조향클러치 연결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2 조향클러치 연결부의 이동에 따라 경운기의 제2 바퀴로의 동력 전달 및 동력 끊음 중 하나로 동작되는 것을 나타내는 상기 제2 조향클러치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모의운전 제어부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조속 제어유닛은 조속제어 동작부, 조속제어 연결부 및 조속제어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속제어 동작부는 상기 제1 및 제2 손잡이부들 중 상기 주 클러치가 장착되지 않은 다른 하나에 장착되고,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상기 조속제어 연결부는 상기 조속제어 동작부와 연결되어 상기 조속제어 동작부의 동작에 의해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조속제어 센서부는 상기 조속제어 연결부와 연결되어 상기 조속제어 연결부의 이동에 따라 경운기의 엔진의 회전 속도를 나타내는 상기 조속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모의운전 제어부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모의운전 센싱부는 상기 회전 지지판 및 상기 메인 몸체부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어 고정되고, 상기 제1 조향클러치 센서부, 상기 제2 조향클러치 센서부 및 상기 조속제어 센서부를 수용하는 센서 하우징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의운전 제어부는 신호 전송 모듈 및 모의운전 제어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호 전송 모듈은 상기 회전 지지판 상에 배치되어 고정되고, 상기 모의운전 센싱부 및 상기 조향각 측정부와 연결되어 상기 모의운전 센싱신호 및 상기 조향각 신호를 제공받으며, 상기 모의운전 센싱신호 및 상기 조향각 신호를 외부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모의운전 제어유닛은 상기 신호 전송 모듈과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어 상기 모의운전 센싱신호 및 상기 조향각 신호를 제공받고, 상기 모의운전 센싱신호 및 상기 조향각 신호를 이용하여 모의운전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모의운전 시뮬레이션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모의운전 표시부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모의운전 표시부는 상기 회전 지지판 상에 배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경운기 모의 운전 장치는 상기 회전 지지판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축부를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하부 구조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구조체는 바닥 지지부, 하부 지지판 및 복수의 지지 기둥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지지판은 상기 바닥 지지부 상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축부를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며, 상기 조향각 측정부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지지 기둥들은 상기 바닥 지지부 및 상기 하부 지지판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하부 지지판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지지판 상에는 상기 회전축부를 중심으로 동일 원주 상에 이격되어 배치되어, 상기 회전축부를 보조하여 상기 회전 지지판을 지지하는 복수의 몸체 지지 돌기들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경운기 모의 운전 장치에 따르면, 경운기 운전 몸체를 통해 사용자에게 경운기 운전대 모형을 제공하면서, 모의운전 표시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경운기 모의운전 상태를 표시함에 따라, 상기 사용자는 실제 경운기를 탑승하지 않고도 실제와 유사한 환경에서 경운지 운전연습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회전 반발력 제공유닛이 상기 경운기 운전 몸체의 회전시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 반발력을 제공함에 따라, 상기 사용자는 실제 경운기의 핸들을 회전시킬 때 느끼는 힘을 동일하게 느끼며 경운기 운전 연습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경운기 모의 운전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경운기 모의 운전 장치에서 신호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경운기 모의 운전 장치 중 회전각 측정부 및 회전 반발력 제공부를 확대해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해서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경운기 모의 운전 장치 중 변속기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의 회전각 측정부 및 회전 반발력 제공부를 일측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경운기 모의 운전 장치에서 추가된 신호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경운기 모의 운전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경운기 모의 운전 장치에서 신호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며, 도 3은 도 1의 경운기 모의 운전 장치 중 회전각 측정부 및 회전 반발력 제공부를 확대해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경운기 모의 운전 장치는 하부 구조체(100), 경운기 운전 몸체(200), 회전축부(300), 모의운전 센싱부(400), 조향각 측정부(500), 회전 반발력 제공부(600), 모의운전 제어부(700) 및 모의운전 표시부(8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구조체(100)는 평평한 바닥에 배치되어, 상기 경운기 운전 몸체(200), 상기 회전축부(300), 상기 모의운전 센싱부(400), 상기 조향각 측정부(500), 상기 회전 반발력 제공부(600), 상기 모의운전 제어부(700) 및 상기 모의운전 표시부(800)를 지지한다.
예를 들어, 상기 하부 구조체(100)는 바닥 지지부(110), 하부 지지판(120) 및 복수의 지지 기둥들(13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닥 지지부(110)는 평평한 바닥에 배치되고, 상기 하부 지지판(120)은 상기 바닥 지지부(110) 상에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지지 기둥들(130)은 상기 바닥 지지부(110) 및 상기 하부 지지판(120)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하부 지지판(120)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경운기 운전 몸체(200)는 상기 하부 구조체(100) 상에 배치되고, 사용자에게 경운기 운전대 모형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상기 경운기 운전 몸체(200)는 회전 지지판(210), 메인 몸체부(220), 제1 손잡이부(230) 및 제2 손잡이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 지지판(210)은 상기 하부 구조체(100) 상에 배치되고, 상기 메인 몸체부(220)는 상기 회전 지지판(210) 상에 배치되어 고정되며, 상기 제1 및 제2 손잡이부들(230, 240)은 상기 메인 몸체부(220)로부터 서로 대응되도록 일측을 향해 각각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손잡이부(230)는 경운기의 좌측 손잡이이고, 상기 제2 손잡이부(240)는 경운기의 우측 손잡이일 수 있다.
상기 회전축부(300)는 상기 하부 구조체(100)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배치되고, 상기 경운기 운전 몸체(200)가 상기 하부 구조체(100)로부터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하부 구조체(100) 및 상기 경운기 운전 몸체(200) 사이를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축부(300)는 상기 하부 지지판(120) 및 상기 회전 지지판(21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 지지판(120)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회전 지지판(210)은 상기 회전축부(300)가 회전할 때, 상기 회전축부(300)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 지지판(120) 상에는 상기 회전축부(300)를 중심으로 동일 원주 상에 이격되어 배치되어, 상기 회전축부(300)를 보조하면서 상기 회전 지지판을 지지하는 복수의 몸체 지지 돌기들(12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모의운전 센싱부(400)는 상기 경운기 운전 몸체(200)에 장착되고, 상기 사용자의 모의 운전에 따른 모의운전 센싱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모의운전 센싱부(400)는 주 클러치(410), 변속기 모듈(420), 제1 조향 클러치(430), 제2 조향 클러치(440), 조속 제어유닛(450), 감압 제어유닛(460) 및 시동 유닛(47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해서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이하, 도 1,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상기 주 클러치(410)는 상기 제1 및 제2 손잡이부들(230, 240) 중 어느 하나, 예를 들어 상기 제1 손잡이부(230)에 장착되고,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동작되어 상기 모의운전 제어부(400)로 주 클러치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주 클러치(410)는 주 클러치 동작부(412), 주 클러치 연결부(414) 및 주 클러치 센서부(41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 클러치 동작부(412)는 상기 제1 손잡이부(230)에 장착되고,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주행, 클러치 및 브레이크 중 어느 하나로 동작될 수 있다. 상기 주 클러치 연결부(414)는 상기 주 클러치 동작부(412)와 연결되어, 상기 주 클러치 동작부(412)의 동작에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주 클러치 센서부(416)는 상기 메인 몸체부(220)에 장착되어 상기 주 클러치 연결부(414)와 연결되고, 상기 주 클러치 연결부(414)의 이동을 감지하여 상기 주 클러치 동작부(412)의 동작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주 클러치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주 클러치 신호를 상기 모의운전 제어부(700)로 출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주 클러치 센서부(416)는 상기 주 클러치 연결부(414)와 연결되어 직선 운동을 할 수 있는 주 클러치 직선운동부(미도시)와, 상기 주 클러치 직선운동부의 이동을 통해 상기 주 클러치 동작부(412)의 주행, 클러치 및 브레이크 동작들을 각각 감지할 수 있도록 3개의 주 클러치 동작센서들(미도시)과, 상기 메인 몸체부(220)에 장착되어 상기 주 클러치 직선운동부 및 상기 주 클러치 동작센서들을 수용하는 주 클러치 센서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주 클러치 동작센서들은 상기 주 클러치 동작부(412)의 주행, 클러치 및 브레이크 동작들 각각 감지하여 상기 주 클러치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모의운전 제어부(700)로 상기 주 클러치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 클러치 연결부(414)는 주 클러치 연결봉(414a), 주 클러치 연결블럭(414b) 및 연결 볼베어링(414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 클러치 연결봉(414a)은 상기 제1 손잡이부(230)을 따라 연장되어 일단부가 상기 주 클러치 동작부(412)와 연결되고, 상기 주 클러치 동작부(412)의 동작에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주 클러치 연결블럭(414b)은 타단부가 상기 주 클러치 연결봉(414a)과 연결되어 상기 주 클러치 연결봉(414a)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연결 볼베어링(414c)은 상기 주 클러치 연결블럭(414b) 및 상기 주 클러치 센서부(416)의 주 클러치 직선운동부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주 클러치 연결블럭(414b)에 의한 이동력을 상기 주 클러치 직선운동부로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연결 볼베어링(414c)이 상기 주 클러치 연결블럭(414b) 및 상기 주 클러치 직선운동부 사이를 연결함에 따라, 상기 주 클러치 연결봉(414a)이 약간의 상하 운동을 포함한 직선 운동을 하더라도 상기 주 클러치 직선운동부에서 직선 운동의 이동력만 발생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주 클러치(410)는 상기 메인 몸체부(220) 및 상기 주 클러치 센서부(416)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주 클러치 연결부(414)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주 클러치 연결부(414)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주 클러치 스프링(41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주 클러치 스프링(418)은 상기 주 클러치 센서부(416)의 주 클러치 센서하우징 및 상기 주 클러치 연결블럭(414a)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사용자는 상기 주 클러치 동작부(412)의 주 클러치 레버를 당겨서 주행, 클러치 및 브레이크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때, 실제 경운기와 같은 반발력을 느낄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경운기 모의 운전 장치 중 변속기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도 1, 도 2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상기 변속기 모듈(420)은 상기 메인 몸체부(220)의 일측에 장착되고,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동작되어 상기 모의운전 제어부(700)로 변속기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변속기 모듈(420)은 상하 이웃하게 배치되어 일체화된 주 변속부(422) 및 부 변속부(4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 변속부(422)는 주 변속레버를 통한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복수의 주 변속 단수들 및 중립 중 어느 하나로 동작되어 주 변속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모의운전 제어부(700)로 상기 주 변속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주 변속 단수들에는 1단, 2단, 3단 및 후진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부 변속부(424)는 부 변속레버를 통한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복수의 부 변속 단수들 중 어느 하나로 동작되어 부 변속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모의운전 제어부(700)로 상기 부 변속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부 변속 단수들에는 저단 및 고단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고, 여기서 상기 고단은 상기 부 변속레버를 당겼을 때 형성되는 단수로, 상기 주 변속 단수들을 두 배한 단수를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부 변속 단수들 중에는 외부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로터리 조작 단수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로터리 조작 단수는 상기 부 변속 단수들에서의 저단일 수 있다.
상기 로터리 조작 단수에서는 상기 부 변속레버를 통한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복수의 로터리 변속 단수들 중 어느 하나로 동작되어 로터리 변속 신호가 생성되어 상기 모의운전 제어부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로터리 변속 단수들에는 상기 부 변속레버를 좌측으로 이동시킬 때 형성되는 잘게 구동 단수, 상기 부 변속레버를 중간에 위치할 때 형성되는 중립 구동 단수, 및 상기 부 변속레버를 우측으로 이동시킬 때 형성되는 굵게 구동 단수가 포함될 수 있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상기 제1 조향 클러치(430)는 상기 제1 손잡이부(230)에 장착되고,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동작되어 상기 모의운전 제어부(700)로 제1 조향클러치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조향 클러치(430)는 제1 조향클러치 동작부(432), 제1 조향클러치 연결부(434) 및 제1 조향클러치 센서부(43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조향클러치 동작부(432)는 상기 제1 손잡이부(230)에 장착되고,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상기 제1 조향클러치 연결부(434)는 상기 제1 조향클러치 동작부(432)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조향클러치 동작부(432)의 동작에 의해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조향클러치 연결부(434)는 실제 경운기와 같이 와이어일 수 있다. 상기 제1 조향클러치 센서부(436)는 상기 제1 조향클러치 연결부(434)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조향클러치 연결부(434)의 이동에 따라 경운기의 제1 바퀴로의 동력 전달 및 동력 끊음 중 하나로 동작되는 것을 나타내는 상기 제1 조향클러치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모의운전 제어부(700)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경운기의 제1 바퀴는 경운기의 좌측 바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2 조향 클러치(440)는 상기 제2 손잡이부(240)에 장착되고,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동작되어 상기 모의운전 제어부(700)로 제2 조향클러치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조향 클러치(440)는 제2 조향클러치 동작부(442), 제2 조향클러치 연결부(444) 및 제2 조향클러치 센서부(44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조향클러치 동작부(442)는 상기 제2 손잡이부(240)에 장착되고,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상기 제2 조향클러치 연결부(444)는 상기 제2 조향클러치 동작부(442)와 연결되어 상기 제2 조향클러치 동작부(442)의 동작에 의해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조향클러치 연결부(444)는 실제 경운기와 같이 와이어일 수 있다. 상기 제2 조향클러치 센서부(446)는 상기 제2 조향클러치 연결부(444)와 연결되어 상기 제2 조향클러치 연결부(444)의 이동에 따라 경운기의 제2 바퀴로의 동력 전달 및 동력 끊음 중 하나로 동작되는 것을 나타내는 상기 제2 조향클러치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모의운전 제어부(700)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경운기의 제2 바퀴는 경운기의 우측 바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조속 제어유닛(450)은 상기 제1 및 제2 손잡이부들(230, 240) 중 상기 주 클러치(410)가 장착되지 않은 다른 하나, 예를 들어 제2 손잡이부(230)에 장착되고,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동작되어 상기 모의운전 제어부(700)로 조속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속 제어유닛(450)은 조속제어 동작부(452), 조속제어 연결부(454) 및 조속제어 센서부(45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속제어 동작부(452)는 상기 제2 손잡이부(240)에 장착되고,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조속 레버를 좌우로 이동시켜 동작될 수 있다. 상기 조속제어 연결부(454)는 상기 조속제어 동작부(452)와 연결되어 상기 조속제어 동작부(452)의 동작에 의해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속제어 연결부(454)는 실제 경운기와 같이 와이어일 수 있다. 상기 조속제어 센서부(456)는 상기 조속제어 연결부(454)와 연결되어 상기 조속제어 연결부(454)의 이동에 따라 경운기의 엔진의 회전 속도를 나타내는 상기 조속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모의운전 제어부(700)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감압 제어유닛(460)은 상기 제1 및 제2 손잡이부들(230, 240) 중 어느 하나, 예를 들어 상기 제1 손잡이부(230)에 장착되고,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감압 레버를 당기거나 밀어 동작되어 상기 모의운전 제어부(700)로 감압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감압 제어신호는 실제 경운기의 엔진이 회전하는데 걸리는 부하를 감소시키는 여부를 판단하는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시동 유닛(470)은 상기 제1 및 제2 손잡이부들(230, 240) 중 어느 하나, 예를 들어 상기 제1 손잡이부(230)에 장착되고,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동작되어 상기 모의운전 제어부(700)로 경운기 시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시동 유닛(470)은 자동차의 시동부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상기 사용자가 시동키를 상기 시동 유닛(470)에 삽입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시동 신호가 상기 시동 유닛(470)에서 생성되어 상기 모의운전 제어부(700)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시동 유닛(470)에 의한 경운기의 시동은 상기 감압 제어유닛(460)에 의해 경운기의 엔진이 감압된 이후에만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모의운전 센싱부(400)는 상기 회전 지지판(210) 및 상기 메인 몸체부(220)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어 고정되고, 상기 제1 조향클러치 센서부(436), 상기 제2 조향클러치 센서부(446) 및 상기 조속제어 센서부(456)를 수용하는 센서 하우징(4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센서 하우징(480)은 상기 메인 몸체부(220)와 인접하게 상기 회전 지지판(210) 상에 배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조향클러치 센서부(436), 상기 제2 조향클러치 센서부(446) 및 상기 조속제어 센서부(456)는 모두 와이어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들로서, 상기 센서들 이외에 와이어를 이용하는 센서가 상기 센서 하우징(480) 내에 수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도 6은 도 3의 회전각 측정부 및 회전 반발력 제공부를 일측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이하, 도 1, 도 2, 도 3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상기 조향각 측정부(500)는 상기 회전축부(300)를 중심으로 상기 경운기 운전 몸체(200)가 회전될 때 형성되는 상기 경운기 운전 몸체(200)의 조향각을 측정하여 조향각 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조향각 측정부(500)는 상기 하부 지지판(120)에 장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조향각 측정부(500)는 회전력 전달유닛(510) 및 조향각 측정유닛(5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력 전달유닛(510)은 상기 회전축부(300)와 연결되고, 상기 회전축부(300)와 함께 회전하여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조향각 측정유닛(520)은 상기 회전력 전달유닛(510)으로부터 전달된 상기 회전력을 측정하여 상기 조향각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조향각 신호를 상기 모의운전 제어부(700)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력 전달유닛(510)은 상기 회전 지지판(210)과 마주하는 상기 하부 지지판(12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조향각 측정유닛(520)은 상기 바닥 지지부(110)과 마주하는 상기 하부 지지판(120)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회전력 전달유닛(510)은 제1 풀리(512), 타이밍 벨트(514), 제2 풀리(516) 및 풀리축(51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풀리(512)는 상기 회전축부(300)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부(300)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타이밍 벨트(514)는 상기 제1 풀리(512)에 감겨 배치되고, 상기 제1 풀리(512)의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2 풀리(516)는 상기 제1 풀리(512)와 이격되어 상기 타이밍 벨트(514)에 감겨지도록 배치되고, 상기 타이밍 벨트(514)를 통해 전달된 상기 제1 풀리(512)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풀리축(518)은 상기 제2 풀리(516)와 연결되어 상기 제2 풀리(516)와 함께 회전하고, 상기 제2 풀리(516)의 회전력을 상기 조향각 측정유닛(52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풀리축(518)은 상기 하부 지지판(120)을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2 풀리(516) 및 상기 조향각 측정유닛(520) 사이를 연결함으로써, 상기 제2 풀리(516)의 회전력을 상기 조향각 측정유닛(520)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향각 측정유닛(520)은 상기 풀리축(518)과 연결되어 상기 풀리축(518)의 회전력을 측정하여 상기 조향각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조향각 신호를 상기 모의운전 제어부(700)로 출력하는 포텐셔 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반발력 제공부(600)는 상기 회전축부(300)와 연결되어, 상기 경운기 운전 몸체(200)의 회전시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 반발력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 반발력 제공부(600)는 회전 반발력 생성유닛(610) 및 회전 반발력 전달유닛(6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반발력 생성유닛(610)은 상기 모의운전 제어부(700)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회전 반발력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회전 반발력 전달유닛(620)은 상기 회전 반발력 생성유닛(610) 및 상기 회전축부(300)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회전 반발력 생성유닛(610)에서 생성된 상기 회전 반발력을 상기 회전축부(300)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회전 반발력 생성유닛(610)은 상기 모의운전 제어부(700)에 의해 제어되고, 회전 부하에 의해 상기 회전 반반력을 생성하는 서보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 반발력 전달유닛(620)은 상기 서보 모터의 회전 속도를 감속하여 상기 회전축부(300)로 전달하도록 상기 서보 모터 및 상기 회전축부(300)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회전 반발력을 상기 회전축부(300)로 전달하는 감속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상기 모의운전 제어부(700)는 상기 모의운전 센싱부(400)로부터 제공된 상기 모의운전 센싱신호 및 상기 조향각 측정부(500)의 조향각 측정유닛(520)로부터 제공된 상기 조향각 신호를 이용하여 모의운전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상기 모의운전 제어부(700)는 신호 전송 모듈(710) 및 모의운전 제어유닛(7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호 전송 모듈(710)은 상기 회전 지지판(210) 상에 배치되거나 상기 회전 지지판(210)에 부착되어 고정되고, 상기 모의운전 센싱부(400) 및 상기 조향각 측정부(500)와 연결되어 상기 모의운전 센싱신호 및 상기 조향각 신호를 제공받으며, 상기 모의운전 센싱신호 및 상기 조향각 신호를 외부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모의운전 제어유닛(720)은 상기 회전 지지판(210)으로부터 떨어진 임의의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신호 전송 모듈(710)과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신호 전송 모듈(710)로부터 상기 모의운전 센싱신호 및 상기 조향각 신호를 제공받는다. 상기 모의운전 제어유닛(720)은 상기 모의운전 센싱신호 및 상기 조향각 신호를 이용하여 모의운전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모의운전 시뮬레이션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모의운전 표시부(8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의운전 시뮬레이션 데이터는 임의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추후에 사용자별 모의운전 능력을 평가할 때 활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모의운전 제어부(700)에서 생성된 상기 모의운전 시뮬레이션 데이터는 모의운전의 주행속도를 나타내는 주행속도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의운전 제어부(700)는 상기 주행속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주행속도가 증가될수록 상기 회전 반발력이 감소되도록 상기 회전 반발력 제공부(70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주행속도가 증가될수록 상기 회전 반발력이 감소되어, 상기 사용자는 실제 경운기 운전과 동일한 느낌으로 경운기의 조향각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신호 전송 모듈(710)가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신호 전송 모듈(710)은 생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의운전 제어유닛(720)이 상기 회전 지지판(210) 상에 배치되거나 상기 회전 지지판(210)에 부착되어 고정되고, 상기 모의운전 센싱부(400) 및 상기 조향각 측정부(5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모의운전 표시부(800)는 상기 모의운전 제어유닛(720)과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어, 상기 모의운전 제어유닛(720)로부터 제공된 상기 모의운전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제공받고, 상기 모의운전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경운기 모의운전 상태를 표시한다. 이때, 상기 모의운전 표시부(800)는 상기 회전 지지판(210) 상에 배치되어 고정되어, 상기 경운기 운전 몸체(200)의 회전시 함께 회전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는 상기 모의운전 표시부(800)가 상기 모의운전 제어유닛(720)과 직접 연결되어 제어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와 다르게 상기 모의운전 표시부(800)는 상기 신호 전송 모듈(710)을 경유하여 상기 모의운전 제어유닛(720)과 연결되어 제어될 수도 있다.
도 7은 도 1의 경운기 모의 운전 장치에서 추가된 신호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하, 도 1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본 실시예에서, 도 1에서는 명확히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모의운전 센싱부(400)는 받침대 조작부(490), 전조등 조작부(491), 방향지시등 조작부(492), 풋 브레이크 조작부(494), 측면 경사각 센서부(495) 및 로터리 높이 센서부(49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받침대 조작부(490)는 상기 제1 및 제2 손잡이부들(230, 240) 중 어느 하나에 부착되고,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동작되어 받침대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받침대 제어신호를 상기 모의운전 제어부(7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전조등 조작부(491)는 상기 제1 및 제2 손잡이부들(230, 240) 중 어느 하나에 부착되고,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동작되어 전조등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전조등 제어신호를 상기 모의운전 제어부(7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방향지시등 조작부(492)는 상기 제1 및 제2 손잡이부들(230, 240) 중 어느 하나에 부착되고,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동작되어 방향지시등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방향지시등 제어신호를 상기 모의운전 제어부(7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풋 브레이크 조작부(494)는 상기 경운기 운전 몸체(200)의 하부에 부착되고, 상기 사용자의 발을 통한 조작에 의해 동작되어 풋 브레이크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풋 프레이크 제어신호를 상기 모의운전 제어부(7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측면 경사각 센서부(495)는 상기 경운기 운전 몸체(200)의 일부, 예를 들어 상기 메인 몸체부(220)에 부착되고, 상기 경운기 운전 몸체(200)의 측면 기울어짐에 대응하는 측면 경사각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측면 경사각 신호를 상기 모의운전 제어부(7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로터리 높이 센서부(495)는 상기 경운기 운전 몸체(200)의 일부, 예를 들어 상기 메인 몸체부(220)에 부착되고, 경운기에서의 로터리 미륜 높이에 대응하는 로터리 높이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로터리 높이 신호를 상기 모의운전 제어부(7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모의운전 센싱부(400)는 도 2 및 도 7에서 이외에도 일반 경운기에서 센싱할 수 있는 모든 신호를 센싱하여 상기 모의운전 제어부(7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모의운전 센싱부(400)는 쟁기방향를 나타내는 쟁기방향 신호 및 쟁기각도를 나타내는 쟁기각도 신호를 생성하여, 각각을 상기 모의운전 제어부(7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의운전 제어부(700)는 도 2 및 도 7에 포함된 센싱 신호들과 그 외 기타 센싱 신호들을 모두를 이용하여 상기 모의운전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의운전 센싱부(400)에서 생성되는 센싱 신호들에는 디지털 신호와 아날로그 신호를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디지털 신호에는 상기 주 클러치 신호, 상기 제1 및 제2 조향클러치 신호들, 상기 주 변속 신호, 상기 부 변속 신호, 상기 경운기 시동신호, 상기 감압 제어신호, 상기 받침대 제어신호, 상기 전조등 제어신호, 상기 방향지시등 제어신호, 상기 쟁기방향 신호, 상기 쟁기각도 신호 등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아날로그 신호에는 상기 조속 제어신호, 상기 조향각 신호, 상기 풋 프레이크 제어신호, 상기 측면 경사각 신호, 상기 로터리 높이 신호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경운기 운전 몸체(200)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경운기 운전대 모형을 제공하면서, 상기 모의운전 표시부(800)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경운기 모의운전 상태를 표시함에 따라, 상기 사용자는 실제 경운기를 탑승하지 않고도 실제와 유사한 환경에서 경운지 운전연습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 반발력 제공유닛(600)이 상기 경운기 운전 몸체()200의 회전시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 반발력을 제공함에 따라, 상기 사용자는 실제 경운기의 핸들을 회전시킬 때 느끼는 힘을 동일하게 느끼며 경운기 운전 연습을 수행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하부 구조체 110 : 바닥 지지부
120 : 하부 지지판 122 : 몸체 지지 돌기
130 : 지지 기둥 200 : 경운기 운전 몸체
210 : 회전 지지판 220 : 메인 몸체부
230 : 제1 손잡이부 240 : 제2 손잡이부
300 : 회전축부 400 : 모의운전 센싱부
410 : 주 클러치 412 : 주 클러치 동작부
414 : 주 클러치 연장부 414a : 주 클러치 연결봉
414b : 주 클러치 연결블럭 414c : 연결 볼베어링
416 : 주 클러치 센서부 418 : 주 클러치 스프링
420 : 변속기 모듈 422 : 주 변속부
424 : 부 변속부 430 : 제1 조향 클러치
432 : 제1 조향클러치 동작부 434 : 제1 조향클러치 연결부
436 : 제1 조향클러치 센서부 440 : 제2 조향 클러치
442 : 제2 조향클러치 동작부 444 : 제2 조향클러치 연결부
446 : 제2 조향클러치 센서부 450 : 조속 제어유닛
452 : 조속제어 동작부 454 : 조속제어 연결부
456 : 조속제어 센서부 460 : 감압 제어유닛
470 : 시동 유닛 480 : 센서 하우징
500 : 조향각 측정부 510 : 회전력 전달유닛
512 : 제1 풀리 514 : 타이밍 벨트
516 : 제2 풀리 518 : 풀리축
520 : 조향각 측정유닛 600 : 회전 반발력 제공부
610 : 회전 반발력 생성유닛 620 : 회전 반발력 전송유닛
700 : 모의운전 제어부 710 : 신호 전송 모듈
720 : 모의운전 제어유닛 800 : 모의운전 표시부

Claims (23)

  1. 하부 구조체;
    상기 하부 구조체 상에 배치되고, 사용자에게 경운기 운전대 모형을 제공하는 경운기 운전 몸체;
    상기 경운기 운전 몸체가 상기 하부 구조체로부터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하부 구조체 및 상기 경운기 운전 몸체 사이를 연결하는 회전축부;
    상기 경운기 운전 몸체에 장착되고, 상기 사용자의 모의 운전에 따른 모의운전 센싱신호를 출력하는 모의운전 센싱부;
    상기 회전축부를 중심으로 상기 경운기 운전 몸체가 회전될 때 형성되는 상기 경운기 운전 몸체의 조향각을 측정하여 조향각 신호를 출력하는 조향각 측정부;
    상기 모의운전 센싱부로부터 제공된 상기 모의운전 센싱신호 및 상기 조향각 측정부로부터 제공된 상기 조향각 신호를 이용하여 모의운전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생성하는 모의운전 제어부; 및
    상기 모의운전 제어부로부터 제공된 상기 모의운전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경운기 모의운전 상태를 표시하는 모의운전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운기 운전 몸체는
    상기 회전축부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부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 지지판;
    상기 회전 지지판 상에 배치되어 고정된 메인 몸체부; 및
    상기 메인 몸체부로부터 서로 대응되도록 일측을 향해 각각 연장된 제1 및 제2 손잡이부들을 포함하며,
    상기 모의운전 센싱부는
    상기 제1 및 제2 손잡이부들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되고,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동작되어 상기 모의운전 제어부로 주 클러치 신호를 출력하는 주 클러치;
    상기 메인 몸체부의 일측에 장착되고,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동작되어 상기 모의운전 제어부로 변속기 신호를 출력하는 변속기 모듈;
    상기 제1 손잡이부에 장착되고,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동작되어 상기 모의운전 제어부로 제1 조향클러치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조향 클러치;
    상기 제2 손잡이부에 장착되고,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동작되어 상기 모의운전 제어부로 제2 조향클러치 신호를 출력하는 제2 조향 클러치;
    상기 제1 및 제2 손잡이부들 중 상기 주 클러치가 장착되지 않은 다른 하나에 장착되고,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동작되어 상기 모의운전 제어부로 조속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조속 제어유닛;
    상기 제1 및 제2 손잡이부들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되고,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동작되어 상기 모의운전 제어부로 감압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감압 제어유닛; 및
    상기 제1 및 제2 손잡이부들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되고,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동작되어 상기 모의운전 제어부로 경운기 시동 신호를 출력하는 시동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기 모의 운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부와 연결되어, 상기 경운기 운전 몸체의 회전시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 반발력을 제공하는 회전 반발력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기 모의 운전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의운전 시뮬레이션 데이터는 모의운전의 주행속도를 나타내는 주행속도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모의운전 제어부는
    상기 주행속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주행속도가 증가될수록 상기 회전 반발력이 감소되도록 상기 회전 반발력 제공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기 모의 운전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반발력 제공부는
    상기 모의운전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회전 반발력을 생성하는 회전 반발력 생성유닛; 및
    상기 회전 반발력 생성유닛 및 상기 회전축부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회전 반발력 생성유닛에서 생성된 상기 회전 반발력을 상기 회전축부로 전달하는 회전 반발력 전달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기 모의 운전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반발력 생성유닛은 상기 모의운전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고, 회전 부하에 의해 상기 회전 반반력을 생성하는 서보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반발력 전달유닛은 상기 서보 모터의 회전 속도를 감속하여 상기 회전축부로 전달하도록 상기 서보 모터 및 상기 회전축부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회전 반발력을 상기 회전축부로 전달하는 감속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기 모의 운전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각 측정부는
    상기 회전축부와 연결되고, 상기 회전축부와 함께 회전하여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력 전달유닛; 및
    상기 회전력 전달유닛으로부터 전달된 상기 회전력을 측정하여 상기 조향각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조향각 신호를 상기 모의운전 제어부로 출력하는 조향각 측정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기 모의 운전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력 전달유닛은
    상기 회전축부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부와 함께 회전하는 제1 풀리;
    상기 제1 풀리에 감겨 배치되고, 상기 제1 풀리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타이밍 벨트;
    상기 제1 풀리와 이격되어 상기 타이밍 벨트에 감겨지도록 배치되고, 상기 타이밍 벨트를 통해 전달된 상기 제1 풀리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제2 풀리; 및
    상기 제2 풀리와 연결되어 상기 제2 풀리와 함께 회전하고, 상기 제2 풀리의 회전력을 상기 조향각 측정유닛으로 전달하는 풀리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기 모의 운전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각 측정유닛은
    상기 풀리축과 연결되어 상기 풀리축의 회전력을 측정하여 상기 조향각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조향각 신호를 상기 모의운전 제어부로 출력하는 포텐셔 미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기 모의 운전 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 클러치는
    상기 제1 및 제2 손잡이부들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되고,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주행, 클러치 및 브레이크 중 어느 하나로 동작되는 주 클러치 동작부;
    상기 주 클러치 동작부와 연결되어, 상기 주 클러치 동작부의 동작에 따라 이동되는 주 클러치 연결부; 및
    상기 메인 몸체부에 장착되어 상기 주 클러치 연결부와 연결되고, 상기 주 클러치 연결부의 이동을 감지하여 상기 주 클러치 동작부의 동작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주 클러치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주 클러치 신호를 상기 모의운전 제어부로 출력하는 주 클러치 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경운기 모의 운전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주 클러치 연결부는
    상기 주 클러치 동작부와 연결되어, 상기 주 클러치 동작부의 동작에 따라 이동되는 주 클러치 연결봉;
    상기 주 클러치 연결봉과 연결되어 상기 주 클러치 연결봉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하는 주 클러치 연결블럭; 및
    상기 주 클러치 연결블럭 및 상기 주 클러치 센서부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주 클러치 연결블럭에 의한 이동력을 상기 주 클러치 센서부로 전달하는 연결 볼베어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기 모의 운전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주 클러치는
    상기 메인 몸체부 및 상기 주 클러치 센서부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주 클러치 연결부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주 클러치 연결부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주 클러치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기 모의 운전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기 모듈은
    주 변속레버를 통한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복수의 주 변속 단수들 및 중립 중 어느 하나로 동작되어 주 변속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모의운전 제어부로 상기 주 변속 신호를 전송하는 주 변속부; 및
    부 변속레버를 통한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복수의 부 변속 단수들 중 어느 하나로 동작되어 부 변속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모의운전 제어부로 상기 부 변속 신호를 전송하는 부 변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기 모의 운전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부 변속 단수들 중에는 외부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로터리 조작 단수가 포함되고,
    상기 로터리 조작 단수에서는 상기 부 변속레버를 통한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복수의 로터리 변속 단수들 중 어느 하나로 동작되어 로터리 변속 신호가 생성되어 상기 모의운전 제어부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기 모의 운전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향 클러치는
    상기 제1 손잡이부에 장착되고,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동작되는 제1 조향클러치 동작부;
    상기 제1 조향클러치 동작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조향클러치 동작부의 동작에 의해 이동하는 제1 조향클러치 연결부; 및
    상기 제1 조향클러치 연결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조향클러치 연결부의 이동에 따라 경운기의 제1 바퀴로의 동력 전달 및 동력 끊음 중 하나로 동작되는 것을 나타내는 상기 제1 조향클러치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모의운전 제어부로 전달하는 제1 조향클러치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조향 클러치는
    상기 제2 손잡이부에 장착되고,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동작되는 제2 조향클러치 동작부;
    상기 제2 조향클러치 동작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2 조향클러치 동작부의 동작에 의해 이동하는 제2 조향클러치 연결부; 및
    상기 제2 조향클러치 연결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2 조향클러치 연결부의 이동에 따라 경운기의 제2 바퀴로의 동력 전달 및 동력 끊음 중 하나로 동작되는 것을 나타내는 상기 제2 조향클러치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모의운전 제어부로 전달하는 제2 조향클러치 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기 모의 운전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조속 제어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 손잡이부들 중 상기 주 클러치가 장착되지 않은 다른 하나에 장착되고,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동작되는 조속제어 동작부;
    상기 조속제어 동작부와 연결되어 상기 조속제어 동작부의 동작에 의해 이동하는 조속제어 연결부; 및
    상기 조속제어 연결부와 연결되어 상기 조속제어 연결부의 이동에 따라 경운기의 엔진의 회전 속도를 나타내는 상기 조속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모의운전 제어부로 전달하는 조속제어 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기 모의 운전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모의운전 센싱부는
    상기 회전 지지판 및 상기 메인 몸체부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어 고정되고, 상기 제1 조향클러치 센서부, 상기 제2 조향클러치 센서부 및 상기 조속제어 센서부를 수용하는 센서 하우징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기 모의 운전 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의운전 제어부는
    상기 회전 지지판 상에 배치되어 고정되고, 상기 모의운전 센싱부 및 상기 조향각 측정부와 연결되어 상기 모의운전 센싱신호 및 상기 조향각 신호를 제공받으며, 상기 모의운전 센싱신호 및 상기 조향각 신호를 외부로 전달하는 신호 전송 모듈; 및
    상기 신호 전송 모듈과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어 상기 모의운전 센싱신호 및 상기 조향각 신호를 제공받고, 상기 모의운전 센싱신호 및 상기 조향각 신호를 이용하여 모의운전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모의운전 시뮬레이션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모의운전 표시부로 전송하는 모의운전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기 모의 운전 장치.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의운전 표시부는
    상기 회전 지지판 상에 배치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기 모의 운전 장치.
  21. 삭제
  22. 하부 구조체;
    상기 하부 구조체 상에 배치되고, 사용자에게 경운기 운전대 모형을 제공하는 경운기 운전 몸체;
    상기 경운기 운전 몸체가 상기 하부 구조체로부터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하부 구조체 및 상기 경운기 운전 몸체 사이를 연결하는 회전축부;
    상기 경운기 운전 몸체에 장착되고, 상기 사용자의 모의 운전에 따른 모의운전 센싱신호를 출력하는 모의운전 센싱부;
    상기 회전축부를 중심으로 상기 경운기 운전 몸체가 회전될 때 형성되는 상기 경운기 운전 몸체의 조향각을 측정하여 조향각 신호를 출력하는 조향각 측정부;
    상기 모의운전 센싱부로부터 제공된 상기 모의운전 센싱신호 및 상기 조향각 측정부로부터 제공된 상기 조향각 신호를 이용하여 모의운전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생성하는 모의운전 제어부; 및
    상기 모의운전 제어부로부터 제공된 상기 모의운전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경운기 모의운전 상태를 표시하는 모의운전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운기 운전 몸체는
    상기 회전축부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부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 지지판;
    상기 회전 지지판 상에 배치되어 고정된 메인 몸체부; 및
    상기 메인 몸체부로부터 서로 대응되도록 일측을 향해 각각 연장된 제1 및 제2 손잡이부들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 구조체는
    상기 회전 지지판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축부를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고,
    바닥 지지부;
    상기 바닥 지지부 상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축부를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며, 상기 조향각 측정부가 장착된 하부 지지판; 및
    상기 바닥 지지부 및 상기 하부 지지판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하부 지지판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 기둥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기 모의 운전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지지판 상에는
    상기 회전축부를 중심으로 동일 원주 상에 이격되어 배치되어, 상기 회전축부를 보조하여 상기 회전 지지판을 지지하는 복수의 몸체 지지 돌기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기 모의 운전 장치.
KR1020140148637A 2014-10-29 2014-10-29 경운기 모의 운전 장치 KR1016770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8637A KR101677040B1 (ko) 2014-10-29 2014-10-29 경운기 모의 운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8637A KR101677040B1 (ko) 2014-10-29 2014-10-29 경운기 모의 운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2968A KR20160052968A (ko) 2016-05-13
KR101677040B1 true KR101677040B1 (ko) 2016-11-18

Family

ID=56022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8637A KR101677040B1 (ko) 2014-10-29 2014-10-29 경운기 모의 운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70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0806A (ko) * 2016-11-29 2018-06-07 (주)토탈소프트뱅크 농용트랙터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훈련 평가 장치와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7543B1 (ko) * 2017-10-12 2019-06-11 최화열 경운기용 주행 안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580672B1 (ko) * 2021-01-06 2023-09-20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전동이동장치용 시뮬레이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방법
KR102448383B1 (ko) * 2021-01-14 2022-09-28 주식회사 바로텍시너지 자가발전 및 네트워크에 의한 다인 팀 운동이 가능한 조정 시뮬레이터
RU2766642C1 (ru) * 2021-04-28 2022-03-15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Системы Точного Земледелия» Тренажер-симулятор параллельного вождения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ой автотракторной техник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2010A (ja) * 2000-07-14 2002-01-31 Honda Motor Co Ltd 二輪車用ライディング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
JP2007166945A (ja) 2005-12-20 2007-07-05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移動農機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69593B2 (ja) * 1995-02-28 2005-07-06 株式会社タイトー 模擬操作力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2010A (ja) * 2000-07-14 2002-01-31 Honda Motor Co Ltd 二輪車用ライディング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
JP2007166945A (ja) 2005-12-20 2007-07-05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移動農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0806A (ko) * 2016-11-29 2018-06-07 (주)토탈소프트뱅크 농용트랙터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훈련 평가 장치와 그 방법
KR101923148B1 (ko) * 2016-11-29 2019-02-27 (주)토탈소프트뱅크 농용트랙터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훈련 평가 장치와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2968A (ko) 2016-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7040B1 (ko) 경운기 모의 운전 장치
JP6649477B2 (ja) ロボットおよびロボット制御システム
KR101510255B1 (ko) 농업용 트랙터의 모의 운전 교육장치
DE102016118840A1 (de) Aktiver adaptiver haptischer Multifunktionsknauf
TW201738542A (zh) 固定式測功健身裝置
JP5416441B2 (ja) 乗用型田植機
CN102218217B (zh) 方向性游戏控制器
US20150185110A1 (en) Vehicle drive system testing apparatus
CN105477856A (zh) 旋转虚拟现实模拟器
JP6511902B2 (ja) 作業車両の変速制御装置
CN107985300A (zh) 自动反转行进方向的拖拉机、特别是等直径式或具有后履带的拖拉机
JP6596229B2 (ja) シミュレータ
CN103455083B (zh) 扶手单元
KR20080047742A (ko) 양손 장애인을 위한 차량 운전 시스템
JP2009265429A (ja) 農作業機械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
KR101816547B1 (ko) 경운기 모의운전 장치
CN113164809A (zh) 电动滑板车
KR101370833B1 (ko) 자전거 시뮬레이션 게임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2154494B (zh) 用于模拟驾驶摩托车的装置及相应方法
JP7388515B2 (ja) 作業車両
JP7234827B2 (ja) 作業車両
US11993920B2 (en) Work machine control system
JP5693833B2 (ja) 乗用型農作業機
JP4918107B2 (ja) 移動農機
JP5773549B2 (ja) 移動農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