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6678B1 - 무코팅 합연사를 이용한 썬스크린 블라인드 직물과 그 제직방법 및 썬스크린 블라인드 직물로 이루어진 썬스크린 블라인드 - Google Patents

무코팅 합연사를 이용한 썬스크린 블라인드 직물과 그 제직방법 및 썬스크린 블라인드 직물로 이루어진 썬스크린 블라인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6678B1
KR101676678B1 KR1020150153851A KR20150153851A KR101676678B1 KR 101676678 B1 KR101676678 B1 KR 101676678B1 KR 1020150153851 A KR1020150153851 A KR 1020150153851A KR 20150153851 A KR20150153851 A KR 20150153851A KR 101676678 B1 KR101676678 B1 KR 1016766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yarns
weft
warp
wea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3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일
김선남
조성진
마혜영
김북성
강지만
Original Assignee
(주)제일윈도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일윈도텍스 filed Critical (주)제일윈도텍스
Priority to KR10201501538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6678B1/ko
Priority to PCT/KR2015/011748 priority patent/WO2017078188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6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66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0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 materials from which they are made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26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with characteristics dependent on the amount or direction of twist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44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6Curtain heading tap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8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synthetic polymer-based, e.g. polyamide or polyester fibr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4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41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with specific twist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87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adhesive; fusibl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8Other details
    • E06B9/386Details of lamella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D03D2700/0188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3/00Domestic or personal
    • D10B2503/02Curtain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3/00Domestic or personal
    • D10B2503/03Inside roller shades or bli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ven Fabric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코팅 합연사를 이용한 썬스크린 블라인드 직물 제직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무코팅 합연사로 이루어지고 서로 다른 저융점사의 혼합비율을 갖는 경사와 위사를 이용하여, 썬스크린 블라인드의 이염현상, 올풀림 현상, 쵸크현상, 드레이프성의 개선을 목표로 하고, 경사의 겹침 및 꼬임현상이 없는 2올 바듸를 사용한 평직 조직을 활용하여 Openness factor(공극률) 4% 미만을 획득할 수 있도록 제직하는 방법과 썬스크린 블라인드 직물 및, 썬스크린 블라인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경/위사에 의해 평직형태로 이루어지는 썬스크린 블라인드 직물에 있어서; 상기 경사 및 위사는 무코팅 원사로 이루어지고 서로 다른 비율의 저융점사(LM)가 배합되되, 경사는 경사 굵기D1 내에 LM원사가 0.05D1∼0.08D1의 굵기비율로 혼합되고, 위사는 위사 굵기D2 내에 LM원사가 0.20D2∼0.3D2의 굵기비율로 혼합되며, 제직된 직물내에서 LM원사의 총 비율이 10∼20부피%의 범위내에 유지되도록 또한, 경/위사의 굵기 차이가 20%를 넘지 않도록 LM 원사의 혼용비율이 조절되어, 공극률(Openness factor)을 4% 미만으로 확보 가능하면서, 이염현상, 올풀림현상, 초크현상, 드레이프성이 개선된 썬스크린 블라인드 직물을 제직하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무코팅 합연사를 이용한 썬스크린 블라인드 직물과 그 제직방법 및 썬스크린 블라인드 직물로 이루어진 썬스크린 블라인드{Manufacturing method of fabric for sunscreen blind using Non coating yarn and the fabric material for sunscreen blind and the sunscreen blind thereof}
본 발명은 무코팅 합연사를 이용한 썬스크린 블라인드 직물 제직방법에 관한 것으로, 무코팅 합연사로 이루어지고 서로 다른 저융점사의 혼합비율을 갖는 경사와 위사를 이용하여, 썬스크린 블라인드의 이염현상, 올풀림 현상, 쵸크현상, 드레이프성의 개선을 목표로 하고, 경사의 겹침 및 꼬임현상이 없는 2올 바듸를 사용한 평직 조직을 활용하여 Openness factor(공극률) 4% 미만을 획득할 수 있도록 제직하는 썬스크린 블라인드 직물 제직방법과 그 제직방법에 의해 제직된 썬스크린 블라인드 직물 및, 그 썬스크린 블라인드 직물로 이루어진 썬스크린 블라인드에 관한 것이다.
썬스크린 블라인드는 태양광의 입사가 방지되고, 창문 개구를 어둡게 하거나 적어도 창문 개구를 덮는 모든 종류의 블라인드 중, 어두운 곳에서 밝은 곳이 비쳐 보인도록 설계된 것 즉, 실내에서는 실외가 비쳐보이나 실외에서는 실내가 보이지 않도록 소정의 공극률(Openness factor)을 구비한 블라인드를 말하며, 일광을 차단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블라인드의 차단율(Light Blocking)과 일광이 비쳐보이는 정도를 표시하는 공극률(Openness factor)은 현저한 차이가 있어, 썬스크린 블라인드는 일반 블라인드와는 기본적인 속성이 서로 다른 제품으로 분류된다.
즉, 일반 블라인드는 햇빛차단을 목적으로 하고 있어, 썬스크린 블라인드와 같이 일정한 공극이 존재하지 않을 뿐 아니라, 햇빛투과 방지를 위해 공극이 차단되는 것을 요구하고 있는데 반하여, 썬스크린 블라인드는 실내에서 실외풍경이 비쳐보이도록 하기 위하여 일정한 공극이 존재하도록 형성되어 있어, 햇빛차단용 일반 블라인드와 썬스크린 블라인드는 그 구조에 차이가 있다.
상기 공극률은 썬스크린 블라인드의 가장 큰 요구 특성으로, 블라인드 설치 후 실내에서 실외가 비쳐보이는 특성의 정도를 가름하는 기준이 되며, Openness factor(공극률) 값에 따라 제품의 종류가 구별되는 기준이 된다.
일반적으로 썬스크린 블라인드로 구분되기 위해서는 Openness factor(공극률)가 5%대 이하의 수치를 얻어야 하며, 5%대, 3%대, 1%대의 세 가지 제품군으로 구분된다.
썬스크린 블라인드의 Openness factor(공극률)는 낮은 수치일수록 원사의 표면이 매끈하여 균제도가 높아야 하고(균제도 테스트 결과 1.5 이하의 값을 획득함, 수치가 낮을수록 표면이 더욱 매끈함), 제직시 위사와 경사의 겹침구조사이에 미세하고 일정한 공극을 형성시켜야 하기 때문에 제직조건을 엄격히 제어해야 하므로 기술적으로 더 어려우며, 특히, 4% 미만 Openness factor(공극률)는 원사의 표면이 더욱 매끈하고, 원사의 단면이 제직시 눌려서 퍼지지 않고 제직 후 열처리 작업을 끝낼 때 까지 원형을 유지하고 있어야, 위/경사의 교차부위에 미세한 공극(구멍)의 형태(정사각 형태)가 잘 유지되므로,
종래에는 3%대 Openness factor(공극률) 즉, 4% 미만의 공극률을 구비하는 썬스크린 블라인드는, 장섬유로 이루어진 인조사(폴리사)의 표면을 PVC 코팅처리하여 표면이 매끄럽도록 한 PVC 코팅사를 위/경사로 하여, 썬스크린용 블라인드를 제직하여 사용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PVC 코팅사로 이루어진 종래의 썬스크린 블라인드는 장기간 사용시, 햇빛 또는 실내온도의 영향에 의해 열화현상(오그러짐현상, 처짐현상 등등)이 발생되어 미관을 해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썬스크린 블라인드를 형성하는 PVC 코팅사는 PVC의 유연성 및 가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프탈레이트계 가소제가 첨가되고 있으나, 이러한 가소제는 환경유해물질을 포함하고 있어, PVC 코팅처리시 환경유해물질로 인한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었다. 즉, 프탈레이트계 가소제가 함유된 PVC 제품은 실생활 사용 시, 제품 외부로 환경유해물질이 조금씩 유출되어, 내분비계 장애추정 물질(환경호르몬) 및 중금속 수준의 발암 물질로 작용할 수 있다는 유해성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또한, 종래 썬스크린 블라인드는 인조사의 표면을 PVC 코팅처리한 PVC 코팅사를 사용해야 하므로, PVC 코팅사의 제조에 따른 제조비용 및 원가가 증대되고, 이로 인해 가격 경쟁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PVC 코팅사는 그 표면이 이미 코팅 처리되어 있어, 다양한 색상표현이 불가능하여, 디자인이 한정적일 수 밖에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PVC 코팅사가 아닌 일반 원사(Non Coated Yarn)를 사용해 4% 미만의 Openness factor(공극률)를 획득할 수 있는 썬스크린 블라이드에 대하여, 본 발명의 출원인이 출원한 것도 있으나, 이는 일반원사를 사용하여 썬스크린을 제직할 수 있는 4합 링연사 방식을 제시하면서, 썬스크린 제조를 위해 합연사의 표면을 매끄럽게 하여 균제도를 높이고, 합연사의 원형 단면을 획득하기 위해 4합의 방법과 합연되는 각 원사의 굵기 비율을 지정하였으며, 천연사 등의 방적사를 활용할 경우 모(毛)의 발생을 최소화시켜 Openness factor의 측정이 불가한 것을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선출원 특허는 주어진 조건대로 4합 링연사 후, 동일한 스펙의 원사를 경/위사에 배치하여 썬스크린 직물을 직조하는데 이럴 경우 제직 후 열Setting 작업시 경/위사의 LM원사가 서로 융착을 하게 되는 과정에서 LM원사의 녹는 부분에 경/위사의 염료가 서로 침투하여 색상혼합(이염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고, 주어진 조건하에서 합연사 내에 LM원사의 혼합비율을 높일수록 열Setting과정에서 융착이 더 잘되긴 하였으나 직물이 뻣뻣해져 블라인드의 샤프트(원단을 감아올리는 봉)에 감겨올라가는 특성(드레이프성)이 나빠지는 문제가 생기고, 직물에 탄력이 없어지면서 사소한 스크래치에도 쉽게 자국이 남는 문제(쵸크 현상)가 발생하였으며, 반면에 합연사 내에 LM원사의 혼합비율을 너무 낮추게 되면 열Setting 후 블라인드 제작과정에서 직물의 올풀림 현상(탈봉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어 이를 극복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였다.
또한, Openness factor 4% 미만의 값을 얻기 위해서는 경/위사 각 2올씩 공급되는 평직을 형성함에 있어 각각의 실이 서로 겹치지 않는 구조를 만들어내어 일정하고 미세한 공극이 일정하게 형성되는 것이 필요한데, 기존의 2올바듸 평직 방식으로는 하나의 바듸에 2올의 경사가 공급되면서 경사가 서로 겹치는 상황을 해결하지 못하여, 4% 미만의 Openness factor 값을 얻기 위해 직물의 밀도를 증가시킬수록 경/위사가 겹쳐 직물의 표면에 줄이 생기거나, 표면이 거칠어지는 문제를 발생시켰으며, 1% 대의 Openness factor 값을 얻기 위해 직물의 밀도를 최대로 증가시키면 제직시 압력이 과하게 발생하여 제직이 중단되는 문제가 발생하여 무코팅 일반 원사를 사용하여서는 1% 대의 썬스크린 블라인드를 출시하지 못하는 등 여러 가지 개선될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334216(2003.11.13)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434169(2006.12.11)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20-2012-0000859(2012.02.06)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334473(2013.11.22)
본 발명의 목적은 무코팅 일반 원사(Non Coated Yarn)를 사용하여 Openness factor 4% 미만의 썬스크린 블라인드를 제직하되, 경/위사의 굵기 및 LM 원사의 혼용비율을 조절하여 이염현상, 올풀림현상, 초크현상, 드레이프성의 개선하고, 또한 경사의 겹침 현상을 개선하는 2올바듸 조직을 활용하여 4% 미만의 썬스크린 블라인드를 제직하여도 표면에 위사방향의 줄이 생기거나, 표면이 거칠어짐이 없으며, 1% 대의 Openness factor를 획득하기 위해 경사와 위사의 밀도를 증가시켜도 제직시 압력 발생으로 인한 제직중단 등의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 썬스크린 블라인드 직물과, 그 제직방법 및 썬스크린 블라인드 직물로 이루어진 썬스크린 블라인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경/위사에 의해 평직형태로 이루어지는 썬스크린 블라인드 직물에 있어서; 상기 경사 및 위사는 무코팅 원사로 이루어지고 서로 다른 비율의 저융점사(LM)가 배합되되, 경사는 경사 굵기D1 내에 LM원사가 0.05D1∼0.08D1의 굵기비율로 혼합되고, 위사는 위사 굵기D2 내에 LM원사가 0.20D2∼0.3D2의 굵기비율로 혼합되며, 제직된 직물내에서 LM원사의 총 비율이 10∼20부피%의 범위내에 유지되도록 또한, 경/위사의 굵기 차이가 20%를 넘지 않도록 LM 원사의 혼용비율이 조절되어, 공극률(Openness factor)을 4% 미만으로 확보 가능하면서, 이염현상, 올풀림현상, 초크현상, 드레이프성이 개선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사코팅 되지 않은 무코팅 일반원사(Non Coated Yarn)를 사용하여 창문에 설치시 실외풍경이 비쳐보일 수 있는 공극률(Openness factor)을 4% 미만으로 확보 가능한 썬스크린 블라인드를 제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썬스크린 블라인드 용 직물 제직을 위한 4합 링 합연사 제조시 경/위사에 사용되는 LM원사의 혼합비율을 조절하여, 열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염현상을 극복하여 직물의 Look을 개선하면서도 적정한 LM원사의 혼합비율을 유지하여 올풀림 현상을 극복하고, 직물 표면을 소프트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처리하여 직물 표면에 발생할 수 있는 스크래치를 최소화시키고(쵸크 현상의 개선), 직물이 부드럽게 블라인드 샤프트에 감길 수 있도록 드레이프성을 개선하여 직물의 품질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2올 바듸 세팅시 경사가 서로 겹치지 않도록 하나의 바듸에서 1가닥의 경사를 빼내서 옆의 바듸에서 뽑아낸 1가닥의 경사와 합쳐 같은 승강(Action)이 이루어지도록 세팅되어 있어, 경사빔에서 바듸까지 공급되는 경사에 꼬임 및 겹침이 발생되더라도 바듸를 통과한 후에는 경사 개구의 승강(Action)이 발생하는 2올 1조의 경사에는 꼬임 및 겹침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경사의 개구를 통해 위사가 위입되어 2올 바듸 평직형태로 제직될 경우, 4% 미만의 Openness factor(공극률)를 획득할 수 있는 썬스크린 블라인드 직물을 제직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이러한 경사의 겹침 현상을 개선하는 2올바듸 평직을 사용한 제직방법은 Openness factor 4% 미만의 썬스크린 블라인드 용 원단을 제직하여도 표면에 위사방향의 줄이 생기거나, 직물 표면의 거칠어짐 현상이 없고, 더욱 정교한 직물 조직의 구성을 필요로 하는 1% 대의 Openness factor를 획득하기 위한 경/위사의 밀도증가에도, 제직시 압력 발생으로 인한 제직중단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방법을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은 PVC 코팅 등 별도의 코팅공정 없이 필라멘트사 및 방적사 등등 일반적인 실(yarn)에 의해, 일정한 공극이 유지되고 4% 미만의 Openness factor(공극률)를 구비한 썬스크린 블라인드를 제조할 수 있으며, 그 결과 PVC 코팅공정이 불필요하므로, PVC 가소제로 인한 환경오염 및 환경호르몬 방출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썬스크린 블라인드는 4합 링연사에 의해 합연된 합연사에 의해 제직되도록 되어 있어, 장기간 사용시에도 햇빛, 실내온도 등의 환경으로 인한 열화현상이 발생되지 않고, 변형없이 형상이 장기간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잔털이 많은 천연섬유로 이루어진 원사도 합연에 의해 그대로 사용할 수 있어, 여러가지 색상에 대한 염색이 가능하며, 이로 인해 다양한 질감 및 디자인의 연출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별도의 가공처리 없이 천연소재로 이루어진 원사를 그대로 사용하므로, 천연소재가 구비하고 있는 기능성 및 표현성을 그대로 포함하여 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PVC 사코팅 공정이 불필요하고 오직 링연사 합연 공정 및 단순 열처리 가공만을 필요로 함으로, 기존 방식에 비해 생산원가가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고 링연사 합연 공정 중 난연 성분이 포함된 난연 원착사를 사용할 경우 환경 유해물질이 전혀 포함되지 않은 친환경 난연 썬스크린 블라인드로 제조할 수 도 있어 기존의 썬스크린 블라인드 제직 방법보다 훨씬 우월하고 진보된 방법이며 다양한 제품을 출시할 수 있는 등 많은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제직방법을 보인 블록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썬스크린 블라인드를 보인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제직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경사 세팅방법을 보인 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경사 세팅방법을 보인 또다른 예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무코팅 합연사의 합연과정을 보인 예시도
도 7 은 본 발명 실시예 2 에 따른 직물 확대 사진을 보인 예시도
도 8 은 제직을 위한 경사 세팅방법을 보인 예시도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제직방법을 보인 블록예시도를,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썬스크린 블라인드를 보인 예시도를, 도 3 은 본 발명의 제직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 4, 5 는 본 발명에 따른 경사 세팅방법을 보인 예시도를,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무코팅 원사의 합연과정을 보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은 경/위사에 의해 평직형태로 이루어진 썬스크린 블라인드 직물에 있어서; 상기 경사 및 위사는 무코팅 원사로 이루어지고 서로 다른 비율의 저융점사(LM)가 배합되되, 경사는 경사 굵기D1 내에 LM원사가 0.05D1∼0.08D1의 굵기비율로 혼합되고, 위사는 위사 굵기D2 내에 LM원사가 0.20D2∼0.3D2의 굵기비율로 혼합되며, 제직된 직물내에서 LM원사의 총 비율이 10∼20부피%의 범위내에 유지되도록 또한, 경/위사의 굵기 차이가 20%를 넘지 않도록 LM 원사의 혼용비율이 조절되어, 공극률(Openness factor)을 4% 미만으로 확보 가능하면서, 이염현상, 올풀림현상, 초크현상, 드레이프성이 개선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경사(10)와 위사(20)의 저융점사 혼합비율 한정은 이염현상, 올풀림현상, 초크현상, 드레이프성 개선을 이루기 위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경사(10)의 저융점사 혼합비율을 5∼8% 이내로 한정하는 것은 제직 후 열셋팅 과정에서 서로 다른 색상을 구비하는 경사(10)와 위사(20)의 염료가 서로 침투하여 색상이 혼합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위사(20)의 저융점사 혼합비율을 20∼30%로 한정하는 것은 열셋팅 후 썬스크린 블라인드 직물의 재단 과정에서 저융점사의 부족으로 인한 융착성의 저하로 인해 원단 올풀림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경사(10)와 위사(20)에 혼합되는 저융점사 전체의 비율이 15%±5% 로 유지되어야 하는 것은, 다시 말해 경사(10)에 저융점사가 5∼8%만 혼합되기 때문에 위사에 혼합되는 저융점사의 비율이 늘어나야 경사(10)와 위사(20)간 열융착이 순조롭게 이행되어 올풀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데, 만약 위사에 포함되는 저융점사의 비율이 30%를 초과하게 되면 과다한 저융점사의 사용으로 인한 원단 표면의 탄력저하로 스크래치 자국의 잔존현상이 발생하는, 이른바 쵸크현상이 발생할 수 있어 위사에 사용되는 저융점사의 비율은 30%를 초과할 수 없고, 이렇게 위사에 혼합되는 저융점사의 비율이 20∼30%를 유지하게 되면 제직 후 열셋팅을 하더라도 직물이 뻣뻣하지 않고 소프트한 특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직물이 블라인드 샤프트에 부드럽게 감겨 올라가는 특성, 즉 드레이프성이 개선된다.
또한 이렇게 경사(10)와 위사(20)에 혼합되는 저융점사의 비율이 다름으로 인해 4합 링연사 가공시 경사(10)와 위사(20)의 굵기가 서로 다르게 되면, 그 굵기의 차이가 서로 20%를 넘지 않아야 한다.
썬스크린 블라인드는 경사(10)와 위사(20)를 평직으로 제직하면서 그 직물 조직의 틈으로 일정한 공극을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이며, 그 공극의 형태는 정사각형 형태를 띨수록 제품의 룩(Look)이 좋아지는 특성을 갖고 있다. 썬스크린 블라인드 직물을 제직할 경우 경사(10)와 위사(20)의 굵기 차이가 크면 조직의 틈으로 생기는 공극의 형태가 직사각형 형태를 갖게 되고 이럴 경우 직물의 룩(Look)이 나빠지는 특성을 갖게 되며, 직사각형 형태가 가로로 길게 되면 위사 방향으로 줄무늬가 발생하고, 세로로 길게 되면 경사 방향으로 줄무늬가 발생하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저융점사의 혼합비율을 달리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경/위사의 굵기 차이는 20%를 넘지 않아야 정사각 형태의 공극을 형성할 수 있고, 썬스크린 본연의 룩(Look)을 연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경사 및 위사는 무코팅 합연사로 이루어지고, 상기 무코팅 합연사는 저융점사를 포함하는 다수의 무코팅 원사가 다합 링연사 즉, 3합, 4합, 5합 링연사에 의해 합연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무코팅 합연사로 이루어진 위사 및 경사는 4합 링연사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융점사를 제외한 다수의 무코팅 원사는 필라멘트사, 천연사, 비천연사 등등 사코팅 되지 않은 일반적인 실을 모두 의미한다. 즉, 상기 천연사는 천연섬유로 이루어진 방적사를 의미하고, 상기 비천연사는 목화, 삼베. 린넨(마), 모, 견, 석면 등등 표면에 잔털(毛)이 많은 공지의 천연방적사를 제외한 화학섬유로 이루어진 사코팅 되지 않은 모든 얀(yarn) 즉, 화학섬유로 이루어진 공지의 일반적인 모든 실을 의미한다.
상기 저융점사(LM사, low-melting fiber)는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통상의 저융점사라면 그 종류가 제한되지 않으며, 융점이 110℃ 내지 180℃, 바람직하게는 130 내지 180℃인 것을 사용한다.
이와 같은 저융점사(LM)는 일예로, 폴리우레탄(PU), 폴리에틸렌(PE), 저융점폴리에스테르(LMP) 등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시스부에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수지가, 코어부에는 난연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가 포함된 시스-코어형 폴리에스테르계 필라멘트나 분할형 복합섬유 등도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저융점사가 시스-코어형 폴리에스테르계 필라멘트일 경우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수지로는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등이 포함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 레프탈레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고, 난연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는 인계 난연제와 공중합되어 있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인계 난연제는 통상의 것이면 그 종류가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경사(10)와 위사(20)는 저융점사의 비율만 다를 뿐 링연사 공정은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링연사(ring twister)는 합사기에서 2가닥 이상의 원사를 합친 합사를 연사기의 크릴(creel)에 걸어 공급하거나, 단사를 필요한 가닥수만큼 연사기의 크릴(creel)에 걸고 함께 풀어내면서 꼬임을 주는 것으로, 이와 같은 링연사는 프런트 로울러에서 흘러나오는 실이 링 플랜지(flange)를 따라 회전하는 트래블러(traveller)를 거쳐 스핀들에 의해 회전되는 보빈에 감기게 되고, 상기 보빈에 감기는 실은 트래블러를 걸고 회전하게 되므로, 트래블러는 링 플랜지 위를 활주하면서 회전수만큼 프런트 로울러와 트래블러 사이의 섬유속에 꼬임을 주게 된다. 즉, 링 플랜지를 따라 회전하는 트래블러에 의해 실에 꼬임이 생기면서 보닌에 실이 감기게 된다. 이와 같은 링연사는 연사공정에 있어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공지의 링 연사기를 이용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썬스크린 블라인드 직물의 제직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경/위사에 의해 평직형태로 이루어지는 썬스크린 블라인드 직물 제직방법에 있어서;
무코팅 원사로 이루어지고 서로 다른 비율의 저융점사(LM)가 배합되는 경/위사가 썬스크린 블라인드 제직을 위한 다합 링연사에 의해 준비되는 제직준비단계;
상기 경사(10)와 위사(20)에 의해 평직형태로 이루어진 썬스크린 블라인드 직물(80)이 제직되는 제직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직준비단계는, 경사의 경우, 경사 굵기D1 내에 LM원사가 0.05D1∼0.08D1의 굵기비율로 혼합되고, 위사의 경우, 위사 굵기D2 내에 LM원사가 0.20D2∼0.3D2의 굵기비율로 혼합되며, 제직된 직물내에서 LM원사의 총 비율이 10∼20부피%의 범위내에 유지되도록 또한, 경/위사의 굵기 차이가 20%를 넘지 않도록 LM 원사의 혼용비율이 조절되어, 경사 및 위사가 다합 링연사에 의해 합연되고,
상기 제직단계는, 바듸(Reed)의 양끝단에 위치하는 바듸살 구멍에 각 2올씩의 경사를 인입시키되 위사의 위입을 위한 경사의 개구운동 시, 일측 바듸살 구멍내에 위치하는 1올의 경사와, 이에 인접하는 또 다른 바듸살 구멍내에 위치하는 1올의 경사가 한쌍으로 같은 승강(Action)이 이루어지도록 또한, 바듸살 구멍내에 위치하는 2올의 경사가 서로 번갈아 승강되면서 경사가 개구되고, 경사가 개구된 상태에서 2올의 위사가 위입되어, 4% 미만의 공극률(Openness factor)을 구비하고, 이염현상, 올풀림현상, 초크현상, 드레이프성이 개선된 평직형태의 썬스크린 직물이 제직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직준비단계는 저융점사(LM)를 포함하는 3∼5가닥의 원사가 다합 링연사에 의해 합연하여, 무코팅 원사로 이루어진 경사(10) 및 위사(20)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경사(10)와 위사(20)는 서로 다른 저융점사(LM)의 혼합비율을 갖고, 경사(10)의 경우 이염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저융점사(LM)의 굵기비율이 경사 굵기(D1)의 5∼8% 이내로 한정되며, 위사(20)의 경우 올풀림 방지, 쵸크현상의 개선을 위해 저융점사(LM)의 혼합비율이 위사 굵기(D2)의 20∼30%이내로 한정되고, 드레이프트성 개선을 위해 전체 직물에서 차지하는 저융점사(LM)의 총 비율이 15%±5%의 부피범위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저융점사(LM)의 혼합비율이 달라짐으로 인해 경사(10)와 위사(20)의 굵기가 달라질 경우, 썬스크린 직물의 공극확보를 통한 Look을 유지하기 위해 경사(10)와 위사(20)의 굵기 차이는 20%를 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상기 경사 및 위사는 무코팅 합연사로 이루어지고, 상기 무코팅 합연사(g)는 저융점사를 포함하는 다수의 원사 즉, 3합 또는, 4합 또는, 5합 링연사에 의해 합연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무코팅 합연사(g)로 이루어진 위사 및 경사는 4합 링연사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2,3,4원사(a,b,c,d)의 링연사에 의해 4합의 무코팅 합연사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경사(10)의 경우 제1,2,3,4원사 중 1가닥 만을, 전체 경사(10) 굵기 비율의 5∼8%에 한정될 수 있는 굵기의 저융점사를 사용하여 4합 링연사 하게 되고, 위사(20)의 경우 제1,2,3,4 원사 중 1∼2가닥을 전체 위사(20)의 굵기 비율의 20∼30%에 한정될 수 있는 굵기의 저융점사를 사용하여 4합 링연사 하게 된다.
또한, 상기 링연사는 필라멘트 원사의 경우 제1,2,3,4(a,b,c,d) 원사들을 연계수(TM) 250∼300, 바람직하게는 약 270∼280TM을 구비하도록 하여 1회 링연사 하여 균제도 1.5 이하의 원형 단면을 구비하게 되며, 약 550∼900데니어(de)를 구비하게 된다.
또한, 합연되는 원사가, 천연방적사 등 원사 표면에 털(毛)이 존재하는 원사의 경우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원사(a,b)의 연사에 의해 합연된 제1합연사(e)와, 제3,4원사(c,d)의 연사에 의해 합연된 제2합연사(f)를 링연사에 의해 제1,2합연사의 꼬임방향과 반대방향꼬임으로 상연 한 후, 이를 다시 반대방향으로 소정 연계수(TM)만큼 꼬임을 풀어 주어 최종적으로 연계수(TM) 250∼300, 바람직하게는 약 270∼280 TM 을 구비하도록 4합 링연사한다.
즉,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무코팅 합연사(천연사)의 합연과정을 보인 일예시도로, 천연방적사 등 원사 표면에 털(毛)이 존재하는 원사의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무코팅 합연사(g)는 제1,2원사(a,b), 제3,4원사(c,d)를 링연사하여 제1,2합연사(e,f)를 합연하는 1차연사단계; 제1,2합연사(e,f)를 복합 링연사하여 합연사(h)를 합연하는 2차연사단계; 2차연사단계 후, 합연사(h)를 2차연사단계시의 꼬임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소정연계수 만큼 풀어주는 3차 연사단계에 의해 합연된다.
이때, 상기 무코팅 합연사(g)의 꼬임은 최종꼬임 R을 기준으로 할 경우, 상기 2차연사단계에는 2.0R∼2.5R의 과꼬임을 주고, 상기 3차연사단계에서는 과꼬임된 합연사의 꼬임에 대하여, 1.0R∼1.5R을 풀어주어, 최종적으로 꼬임 R을 구비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직준비단계는 원사를 염색하는 원사염색단계를 더 포함한다. 즉, 상기 준비단계는 4합 링연사 이전에 천연방적사 또는 비천연방적사를 필요로 하는 색상으로 염색하며, 원사를 서로 다른 색상으로도 염색할 수 있다.
상기 제직단계는, 경사 세팅시 각각의 바듸(Reed,31,33,34,35...)에 2올의 경사를 인입하고 인접한 두개의 바듸(31.33)에서 1올씩의 경사(14,11)를 뽑아내어 2올을 하나의 승강1(Action 1)을 구성하도록 하고, 또 인접한 옆의 두 개의 바듸(33,34)에서 또 1올씩의 경사(12,13)를 뽑아내어 2올을 하나의 승강2(Action 2)를 구성하도록 하는 형태를 연속적으로 세팅하여 승강1(Action 1)과 승강2(Action 2)가 교차하여 개구되면서 위사를 인입시켜, 2올 바듸를 사용한 경사가 서로 겹치거나 꼬이지 않는 2올 평직 구조로 썬스크린 직물을 제직하도록 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제직단계를 첨부된 도면에서와 같이, 제1,2,3,4경사(11,12,13,14)를 기준으로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때, 상기 제1,2,3,4경사는 본 발명의 제직단계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경사를 구분하여 칭한 것일 뿐, 반드시 그 순서가 정해져 있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듸의 맨 좌측에 위치한 바듸살 구멍(31)내에 제4경사(14)가 인입되고, 상기 제4경사(14)가 인입된 바듸살 구멍(31)에 인접한 또다른 바뒤살 구멍(33)내로 제1,2경사(11,12)가 인입되며, 상기 제1,2경사(11,12)가 입입된 바듸살 구멍(33)에 인접한 또다른 바듸살 구멍(34)내로 제3,4경사(13,14)가 인입되고, 나머지 바듸살 구멍(35,…)내로 제1,2경사 및 제3,4경사가 순차적으로 직물 폭에 해당되는 올 수 만큼 반복적으로 인입되며, 바듸의 맨 우측에 위치하는 바듸살 구멍(32)에 제1,2,3,4경사 중, 해당되는 하나의 경사가 인입된다. (도 4 에서는 순서에 따라 제3경사(13)가 인입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바듸살 구멍에 인입된 제1,2,3,4경사(11,12,13,14)는, 제4,1경사(14,11)가 합쳐져 승강(Action 1)되고, 제2,3경사가 합쳐져 승강(Action 2)되도록 세팅되어,
위사의 위입을 위한 경사의 개구운동시, 제4,1경사(Action 1)와 제2,3경사(Action 2)가 번갈아가며 승강되면서 경사가 개구되고, 경사가 개구된 상태에서 2가닥의 위사가 순차적으로 위입되어, 평직형태의 썬스크린 블라인드 직물(80)이 제직되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제직된 썬스크린 블라인드 직물은 후가공(열세팅)를 통해 완제품의 썬스크린 블라인드 직물로 완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듸의 맨좌측의 바듸살 구멍(31)부터 맨우측의 바듸살 구멍(32)까지 제1,2,3,4경사가 반복적으로 2올씩 인입되고, 바듸의 양끝단(바듸살 구멍의 외측에 위치하도록)에 제1,2,3,4경사 중 하나의 경사가 위치하도록 경사가 인입되어, 제4,1경사가 합쳐져 승강(Action 1)되고, 제2,3경사가 합쳐져 승강(Action 2)되도록 경사를 세팅하여 제직할 수 있다.
상기 제4,1경사(14,11), 제2,3경사(12,13)의 승강에 의한 경사의 개구운동은 종광(50)의 선택적 승강에 의해 이루어지며, 종광(50)과 바듸(30)를 이용한 직물 제직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직단계는 1개의 바듸살 구멍에 무코팅 합연사로 이루어진 2올의 경사가 끼워지도록 경사가 세팅되되, 각각의 바듸(Reed,31,33,34,35...)에 2올의 경사를 인입하고 인접한 두개의 바듸(31.33)에서 1올씩의 경사(14,11)를 뽑아내어 2올을 하나의 승강1(Action 1)을 구성하도록 하고, 또 인접한 옆의 두 개의 바듸(33,34)에서 또 1올씩의 경사(12,13)를 뽑아내어 2올을 하나의 승강2(Action 2)를 구성하도록 하는 형태를 연속적으로 수행하여 2올 바듸의 경사공급을 세팅하게 되면, 각 2올의 경사는 서로 다른 바듸로 부터 공급되기 때문에 직물 제직시 서로 겹치거나 꼬이지 않는 특성을 갖게 되며, 이로 인해 직물의 조직이 더욱 가지런하게 되고, 일정한 공극을 더욱 잘 형성할 수 있도록 하며, 밀도를 증가시켜도 서로간의 압력이 덜 발생하는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직단계는, 무코팅 합연사를 경사와 위사로 하여 썬스크린 블라인드 직물을 제직할 때의 문제점 즉, 무코팅 합연사의 경우 PVC 사코팅 원사에 비해 합연사의 단면이 원형에 덜 가까운 형태를 유지할 수 밖에 없고, 4합 링연사 공정을 거치더라도 PVC 코팅사에 비해 표면이 거친 특성으로 인해 원사의 균제도도 약간 떨어지는 특성을 가질 수 밖에 없어 PVC 사코팅사를 활용해 썬스크린 블라인드용 직물을 제직했던 제직방식으로는 Openness factor 4% 미만, 특히1% 대의 썬스크린 블라인드용 직물을 제직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제직단계는 경사의 겹침이나 꼬임현상이 제거된다.
즉, 본 발명에 따라, 경사의 겹침이나 꼬임현상이 개성된 제직단계에 의해 2올바듸 평직의 썬스크린 블라인드 직물을 제직하게 되면, 경사(10)와 위사(20)가 더욱 가지런히 배열되어 직물 제직 후 열세팅 과정에서 직물에 열을 가하게 되면 직물의 폭이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약 3∼5%이상 더 수축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경사(10)와 위사(20)간의 간격이 좀 더 줄어들게 되고, 이로 인해 공극의 크기가 더욱 줄어들게 되어 낮은 수치의 Openness factor를 획득하기가 훨씬 용이해지는 특징을 구비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직단계는 경사의 겹침 및 꼬임 문제를 해결함으로 인해 종래보다 약 20% 이상 직물의 밀도를 무리없이 증가시킬 수 있게 되었고, 열셋팅 가공시 경/위사 배열의 가지런함으로 인해 직물조직의 간격이 3∼5% 이상 더 수축됨으로 인한 공극의 크기의 감소현상의 효과로 무코팅 합연사를 활용한 썬스크린 블라인드 용 직물도 1% 대의 Openness factor 값을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만일, 본 발명과 같이, 경사의 겹침 및 꼬임문제를 해결하지 않고 단순 2올바듸 평직을 사용해 썬스크린 블라인드 용 직물을 제직할 경우, 일정수준 이상으로 직물의 밀도를 증가시키면 직물 제직시 경/위사간의 압력의 발생으로 인해 제직중단의 상황을 맞이하게 되고, 경/위사의 배열이 가지런하지 못함으로 인해 열셋팅 과정에서도 직물의 조직 간격이 잘 줄어들지 않고 공극의 크기도 축소되지 않아 1% 대 이하의 Openness factor 값을 획득하는 것이 불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직단계는 위사의 밀도는 경사의 밀도보다 2∼5% 높게 세팅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썬스크린 블라인드 직물이 제직되면, 경/위사가 각 2올씩 서로 겹치지 않는 형태로 제직되게 됨으로써 Openness factor(공극률)가 4% 미만으로 제직될 수 있는 조직을 형성하게 되며, 이 경우 경/위사가 가지런히 공급되게 됨으로써, 직물 제직 후 경사방향으로 직물의 제직축(열셋팅 과정에서 직물이 열을받아 자체적으로 수축되는 현상)이 약 3∼5% 더 발생하게 되므로, 직물 밀도를 세팅할 때 경사의 밀도를 약 5∼8%선으로 감소시켜 주어도 경/위사가 거의 동일한 밀도수준으로 세팅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제직방법에 의해 본 발명은 공극률(Openness factor) 4% 미만으로 확보 가능하면서, 이염현상, 올풀림현상, 초크현상, 드레이프성이 개선된 평직형태의 썬스크린 블라인드 직물(80)이 제직되고, 이와 같이 제직된 썬스크린 블라인드 직물(80)를 구비하는 썬스크린 블라인드(100)가 제직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무코팅 합연사의 4합 링연사에 의해 약 8%의 굵기 차이를 구비하도록 아래와 같이 경사와 위사를 합연하였으며, 상기 경사(10)와 위사(20)에 사용된 저융점사의 총 혼합비율은 18%가 되도록 하였다.
경사 합연
제1원사로 100% 폴리에스테르 300데니어(de) 필라멘트사, 제2원사로 100% 폴리에스테르 300데니어(de) 필라멘트사, 제3원사로 100% 폴리에스테르 150데니어(de) 필라멘트사, 제4원사로 100% 폴리에스테르 저융점사(LM) 50데니어(de)를 4합 링연사하여 저융점사의 혼합비율이 약 6.3%를 구비하는 800데니어(de)의 무코팅 합연사를 경사로 사용하기 위해 합연(TM 280)하였다.
위사 합연
제1원사로 천연섬유인 Hemp Fiber 10%와 Bamboo Fiber 30%를 혼합한 220데니어(de) 천연방적사, 제3원사로 100% 폴리에스테르 300데니어(de) 필라멘트사, 제2원사로 100% 폴리에스테르 150데니어(de) 필라멘트사, 제4원사로 100% 폴리에스테르 70데니어(de) 필라멘트사를 4합 링연사하여 저융점사의 혼합비율이 약 29.7%를 구비하는 740D의 무코팅 합연사를 위사로 사용하기 위해 합연(TM 280)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 에 따른 경사를 2올 바듸(제4,1경사올이 합쳐진 Action 1 과 제2,3경사올이 합쳐진 Action 2 이 번갈아가며 승강되도록)세팅하고, Action 1과 Action 2의 교차에 의해 경사를 개구하면서 2올의 위사를 위입하여 평직형태의 직물을 제직하였으며, 이에 대한 Openness factor를 현미경법에 의해 측정하여 [표1] 및 [표2]에 나타내었다.
이때, 경사의 밀도는 Openness factor 4% 미만의 결과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38T/inch로 세팅하고, 위사의 밀도는 30T∼38T로 2T 간격으로 세팅하였으며, Openness factor 1%대의 결과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경사의 밀도를 42T/inch로 약 10% 증가시켜 세팅하였고, 위사의 밀도는 36T∼44T로 2T 간격으로 세팅하였다.
[표1]
Figure 112015106951596-pat00001
[표2]
Figure 112015106951596-pat00002
[표1]에서와 같이, 썬스크린 블라인드 직물 중 Openness factor 4% 미만을 목표로 하여 경사(10)의 굵기는 800데니어(de), 위사(20)의 굵기는 740데니어(de)로 4합 링연사 한 무코팅 합연사를 사용하여 경사 밀도를 38T/inch로 세팅하고 위사 밀도를 30T/inch 부터 2T 간격으로 테스트한 결과, 위사 밀도 32T 구간에서 Openness factor 3.2%를 획득하였고, 34T 구간에서 3.4%를 획득하였다.
또한 위사용으로 4합 링연사 작업한 740데니어(de) 무코팅 합연사는 균제도 테스트 결과 1.02의 높은 균제도를 확보하였다.
또한 Openness factor 1% 대를 목표로 하여 경사(10)의 굵기는 800데니어(de), 위사(20)의 굵기는 740데니어(de)로 4합 링연사 한 무코팅 합연사를 사용하여 경사 밀도를 42T/inch로 10% 높여 세팅하고 위사 밀도를 36T/inch 부터 2T 간격으로 테스트한 결과, [표2]에서와 같이, 위사 밀도 36T 구간부터 44T 구간까지 0.7~1.3%의 Openness factor 값을 획득하였다. Openness factor 1% 대 구간은 공극이 아주 작게 형성되기 때문에 오차범위가 넓어 위사 밀도차이에 따른 Openness factor 결과 값의 편차가 약 ㅁ1%대로 존재함을 감안할 때 위사밀도 36T∼40T 구간에서도 Openness factor 1%대의 수치를 획득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7 은 본 발명과 종래 썬스크린 블라인드의 공극률(Openness factor)을 대비하기 위한 직물의 확대사진을 보인 예시도로, (가)는 PVC코팅사에 의한 썬스크린 블라인드, (나)는 Openness factor 4% 미만의 무코팅 합연사 썬스크린 블라인드 직물(실시예2의 No.3), (다)는 Openness factor 1%대의 무코팅 합연사 썬스크린 블라인드 직물(실시예2의 No.8), (라)는 빛투과용 일반 블라인드 직물, (마)는 빛차단용 일반 블라인드 직물로,
본 발명에 따른 썬스크린 블라인드 직물(나) 및 (다)는 PVC코팅사에 의한 썬스크린 블라인드(가)와 대비하여도 경사와 위사의 교차부위에 공극이 선명(원사표면에 잔털이 없음)하게 또한 일정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빛투과용 일반 블라인드 직물(라)은 직물 조직사이의 공극이 불규칙적이며 일정한 비율이 지켜지지 않을뿐더러 공극의 형태가 선명하지 않아 Openness factor 측정이 불가하고, 빛차단용 일반 블라인드 직물(마)은 공극자체가 없어,
일정한 공극이 선명하게 유지되는 본 발명에 따른 썬스크린 블라인드 직물(나)은 빛투과 및 차단용으로 사용되는 일반적인 블라인드 직물과 대비할 경우, 현저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 : 경사 (20) : 위사
(30) : 바듸 (31,32,33,34,…): 바듸살 구멍
(40) : 경사빔 (50) : 종광
(80) : 썬스크린 블라인드 직물 (81) : 공극
(100) : 썬스크린 블라인드

Claims (11)

  1. 경/위사에 의해 평직형태로 이루어지는 썬스크린 블라인드 직물에 있어서;
    상기 경사 및 위사는 무코팅 원사로 이루어지고 서로 다른 비율의 저융점사(LM)가 배합되되,
    경사는 경사 굵기D1 내에 LM원사가 0.05D1∼0.08D1의 굵기비율로 혼합되고,
    위사는 위사 굵기D2 내에 LM원사가 0.20D2∼0.3D2의 굵기비율로 혼합되며,
    제직된 직물내에서 LM원사의 총 비율이 10∼20부피%의 범위내에 유지되도록 또한, 경/위사의 굵기 차이가 20%를 넘지 않도록 LM 원사의 혼용비율이 조절되어, 공극률(Openness factor)을 4% 미만으로 확보 가능하면서, 이염현상, 올풀림현상, 초크현상, 드레이프성이 개선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코팅 합연사를 이용한 썬스크린 블라인드 직물.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경사 및 위사는 4합 링연사에 의해 이루어진 무코팅 합연사이고,
    상기 무코팅 합연사(g)는 저융점사를 포함하는 다수의 무코팅 원사가 4합 링연사에 의해 합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코팅 합연사를 이용한 썬스크린 블라인드 직물.
  3. 경/위사에 의해 평직형태로 이루어지는 썬스크린 블라인드 직물 제직방법에 있어서;
    무코팅 원사로 이루어지고 서로 다른 비율의 저융점사(LM)가 배합되는 경/위사가 썬스크린 블라인드 제직을 위한 다합 링연사에 의해 준비되는 제직준비단계;
    상기 경사(10)와 위사(20)에 의해 평직형태로 이루어진 썬스크린 블라인드 직물(80)이 제직되는 제직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직준비단계는, 경사의 경우, 경사 굵기D1 내에 LM원사가 0.05D1∼0.08D1의 굵기비율로 혼합되고, 위사의 경우, 위사 굵기D2 내에 LM원사가 0.20D2∼0.3D2의 굵기비율로 혼합되며, 제직된 직물내에서 LM원사의 총 비율이 10∼20부피%의 범위내에 유지되도록 또한, 경/위사의 굵기 차이가 20%를 넘지 않도록 LM 원사의 혼용비율이 조절되어, 경사 및 위사가 다합 링연사에 의해 합연되고,
    상기 제직단계는, 바듸(Reed)의 각 바듸살 구멍마다 2올씩의 경사를 인입시키되, 바듸(Reed)의 양끝단에 위치하는 바듸살 구멍 또는, 양끝단에 위치하는 바듸살 구멍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바듸의 양끝단에, 1올씩의 경사를 인입시켜,
    위사의 위입을 위한 경사의 개구운동 시, 일측 바듸살 구멍내에 위치하는 1올의 경사와, 이에 인접하는 또 다른 바듸살 구멍내에 위치하는 1올의 경사가 한쌍으로 같은 승강(Action)이 이루어지도록 또한, 바듸살 구멍내에 위치하는 2올의 경사가 서로 번갈아 승강되면서 경사가 개구되고, 경사가 개구된 상태에서 2올의 위사가 위입되도록 하여,
    4% 미만의 공극률(Openness factor)을 구비하고, 이염현상, 올풀림현상, 초크현상, 드레이프성이 개선된 평직형태의 썬스크린 직물이 제직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무코팅 합연사를 이용한 썬스크린 블라인드 직물 제직방법.
  4. 청구항 3 에 있어서;
    상기 제직준비단계에 있어서;
    경사 및 위사는, 제1,2,3,4원사의 4합 링연사에 의해 합연된 무코팅 합연사로 이루어지되,
    상기 무코팅 합연사는 연계수(TM) 250∼300, 균제도 1.5 이하의 원형단면이 구비되도록 합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코팅 합연사를 이용한 썬스크린 블라인드 직물 제직방법.
  5. 청구항 3 에 있어서;
    상기 제직준비단계에 있어서;
    경사 및 위사는, 제1,2,3,4원사의 4합 링연사에 의해 합연된 무코팅 합연사로 이루어지되,
    상기 무코팅 합연사는 제1,2원사의 연사에 의해 합연된 제1합연사와, 제3,4원사의 연사에 의해 합연된 제2합연사를 링연사에 의해 제1,2합연사의 꼬임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과꼬임하여 상연 한 후, 이를 다시 반대방향으로 소정 연계수(TM)만큼 꼬임을 풀어 주어 최종적으로 연계수(TM) 250∼300, 균제도 1.5 이하의 원형단면이 구비되도록 합연되며,
    상기 무코팅 합연사는 최종꼬임 R을 기준으로 할 경우, 2.0R∼2.5R의 과꼬임을 주고, 과꼬임된 합연사의 꼬임을 반대방향으로 1.0R∼1.5R을 풀어주어, 최종적으로 꼬임 R을 구비하도록 4합 링연사에 의해 합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코팅 합연사를 이용한 썬스크린 블라인드 직물 제직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청구항 3 에 있어서;
    제직준비단계는, 원사를 염색하는 원사염색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코팅 합연사를 이용한 썬스크린 블라인드 직물 제직방법.
  10. 청구항 3 에 있어서;
    위사의 밀도는 경사의 밀도보다 2∼5% 높게 세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코팅 합연사를 이용한 썬스크린 블라인드 직물 제직방법.
  11. 청구항 3,4,5,9,10 중 어느 한 항의 썬스크린 블라인드 직물 제직방법에 의해 제직된 썬스크린 블라인드 직물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썬스크린 블라인드.
KR1020150153851A 2015-11-03 2015-11-03 무코팅 합연사를 이용한 썬스크린 블라인드 직물과 그 제직방법 및 썬스크린 블라인드 직물로 이루어진 썬스크린 블라인드 KR1016766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3851A KR101676678B1 (ko) 2015-11-03 2015-11-03 무코팅 합연사를 이용한 썬스크린 블라인드 직물과 그 제직방법 및 썬스크린 블라인드 직물로 이루어진 썬스크린 블라인드
PCT/KR2015/011748 WO2017078188A1 (ko) 2015-11-03 2015-11-04 무코팅 합연사를 이용한 썬스크린 블라인드 직물과 그 제직방법 및 썬스크린 블라인드 직물로 이루어진 썬스크린 블라인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3851A KR101676678B1 (ko) 2015-11-03 2015-11-03 무코팅 합연사를 이용한 썬스크린 블라인드 직물과 그 제직방법 및 썬스크린 블라인드 직물로 이루어진 썬스크린 블라인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6678B1 true KR101676678B1 (ko) 2016-11-17

Family

ID=57542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3851A KR101676678B1 (ko) 2015-11-03 2015-11-03 무코팅 합연사를 이용한 썬스크린 블라인드 직물과 그 제직방법 및 썬스크린 블라인드 직물로 이루어진 썬스크린 블라인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76678B1 (ko)
WO (1) WO201707818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17862A (zh) * 2019-05-16 2019-08-13 浏阳心之夏文化创意有限公司 一种用于装饰物件的仿茅草屋顶夏布及其制作方法
WO2020219302A2 (en) 2019-04-25 2020-10-29 Hunter Douglas Inc. Architectural covering with woven material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4216Y1 (ko) 2003-09-08 2003-11-21 봉상용 필름으로 된 차광막을 갖는 롤 블라인드
KR200434169Y1 (ko) 2006-09-29 2006-12-18 장병철 블라인드용 차양부재, 이를 이용한 롤 블라인드 및 버티컬블라인드
KR20100133834A (ko) * 2009-06-12 2010-12-22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저융점사를 포함하는 원단
KR20120000859U (ko) 2010-07-27 2012-02-06 주식회사 필룩스 블라인드용 원단
KR20130039478A (ko) * 2011-10-12 2013-04-22 류일선 폴리락틱산 원사를 포함하는 블라인드용 원단
KR101334473B1 (ko) 2011-10-14 2013-11-29 오국현 블라인드용 직물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085242A (ko) * 2014-01-15 2015-07-23 (주)제일윈도텍스 친환경 소재로 이루어진 썬스크린 블라인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01000A (ja) * 1997-09-25 1999-04-13 Hagiwara Kogyo Kk 建築工事用ポリプロピレンメッシュシート
KR101020209B1 (ko) * 2008-05-19 2011-03-08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저융점사를 포함하는 원단
KR101865411B1 (ko) * 2011-06-20 2018-06-07 김옥례 입체 커튼지 및 이를 구비한 창문 차단장치
KR101593199B1 (ko) * 2015-09-09 2016-02-12 구정기 린넨직물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4216Y1 (ko) 2003-09-08 2003-11-21 봉상용 필름으로 된 차광막을 갖는 롤 블라인드
KR200434169Y1 (ko) 2006-09-29 2006-12-18 장병철 블라인드용 차양부재, 이를 이용한 롤 블라인드 및 버티컬블라인드
KR20100133834A (ko) * 2009-06-12 2010-12-22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저융점사를 포함하는 원단
KR20120000859U (ko) 2010-07-27 2012-02-06 주식회사 필룩스 블라인드용 원단
KR20130039478A (ko) * 2011-10-12 2013-04-22 류일선 폴리락틱산 원사를 포함하는 블라인드용 원단
KR101334473B1 (ko) 2011-10-14 2013-11-29 오국현 블라인드용 직물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085242A (ko) * 2014-01-15 2015-07-23 (주)제일윈도텍스 친환경 소재로 이루어진 썬스크린 블라인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19302A2 (en) 2019-04-25 2020-10-29 Hunter Douglas Inc. Architectural covering with woven material
EP3959406A4 (en) * 2019-04-25 2023-05-31 Hunter Douglas Inc. ARCHITECTURAL COVERING COMPRISING WOVEN MATERIAL
CN110117862A (zh) * 2019-05-16 2019-08-13 浏阳心之夏文化创意有限公司 一种用于装饰物件的仿茅草屋顶夏布及其制作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78188A1 (ko) 2017-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6678B1 (ko) 무코팅 합연사를 이용한 썬스크린 블라인드 직물과 그 제직방법 및 썬스크린 블라인드 직물로 이루어진 썬스크린 블라인드
KR101606846B1 (ko) 리사이클 폴리에스테르원사를 이용한 복합가공사 및 이를 이용한 블라인드용 직물의 제조방법
CN113584676B (zh) 一种伪装遮障基布的生产方法
JP4155853B2 (ja) 織編物
CN203373482U (zh) 耐气候老化阻燃包芯纱及织物
KR101575671B1 (ko) 친환경 소재로 이루어진 썬스크린 블라인드
US10221505B1 (en) Textile products incorporating banana or raffia fiber and methods of fabricating the same
KR101590231B1 (ko) 연사효과를 가지는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 섬유 및 그 제조방법
KR960000782B1 (ko) 견조 이성분 복합섬유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사구금 장치
CN219972620U (zh) 提花面料
CN112888818A (zh) 织物、特别是用作隐私保护和/或防眩保护的织物和用于制造根据本发明的织物的方法
KR101609564B1 (ko) 차양막용 공기교락사, 그의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차양막
CN105619971B (zh) 一种功能型环保高精度数码色织提花墙布的生产方法
KR102433196B1 (ko) 어플리케이션 선별용 실, 직물 및 그의 제조방법
CN213733876U (zh) 阻燃型全遮光窗帘面料
CN215593316U (zh) 一种环保耐洗型涤纶面料
KR102197100B1 (ko) 원단의 유연성을 개선한 자연스러운 염색 농담차를 가지는 폴리에스테르 혼섬사 및 그 제조방법
KR102234800B1 (ko) 원단의 터치감을 부드럽게 개선한 자연스러운 염색 농담차를 가지는 폴리에스테르 혼섬사 및 그 제조방법
CN219306474U (zh) 遮光窗帘涤纶织物
JPS62210103A (ja) タイヤ補強材
CN115748062B (zh) 一种高清透景窗帘布及制造方法和应用
CN215976215U (zh) 一种高弹性涤纶网络丝
CN219749092U (zh) 防晒牛津纺
KR102641317B1 (ko) 천연가죽 방적사를 포함하는 스웨이드 원단
CN218020583U (zh) 高强度透气梭织面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