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5971B1 - 양식 어류의 건강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양식 어류의 건강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5971B1
KR101675971B1 KR1020140119066A KR20140119066A KR101675971B1 KR 101675971 B1 KR101675971 B1 KR 101675971B1 KR 1020140119066 A KR1020140119066 A KR 1020140119066A KR 20140119066 A KR20140119066 A KR 20140119066A KR 101675971 B1 KR101675971 B1 KR 1016759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
sensor
detection unit
degre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9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9474A (ko
Inventor
김호원
이동건
주혜선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19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5971B1/ko
Publication of KR20160029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94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5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59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식장에서 기르는 어류의 건강 상태를 보다 쉽고 빠르게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수면에 부유하여 자신의 요동 정도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검출부에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된 요동 신호에 따라 양식 어류의 건강 레벨을 산출하는 모니터링부로 구성되어, 양식장의 수산 생물들이 전염병에 감염될 때 이를 조기에 분별할 수 있게 되는 양식 어류의 건강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양식 어류의 건강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THE HEALTH OF FARMED FISH}
본 발명은 양식장에서 기르는 어류의 건강 상태를 보다 쉽고 빠르게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양식장에 먹이가 공급되었을 때 양식 어류들이 요란하게 활동하는 정도를 이용하여 어류의 건강 상태를 산출하는 양식 어류의 건강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식장이란 바다 또는 강에서 물은 통과하지만 생물은 통과할 수 없는 격리 구역 안에서 수산 생물을 자라게 하는 양식업을 하는 장소이다.
일반적인 양식장은 바다 또는 강물을 그대로 이용하기 때문에 적조현상, 녹조현상, 기름 유출 등과 같은 오염현상에 그대로 노출되어 양식하는 생물이 폐사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 양식장에서는 환경에 의한 생물의 폐사보다 전염병에 의한 폐사가 훨씬 더 많이 발생한다. 양식장은 격리된 환경임에 따라 양식장 내 생물 간에 전염되는 질병이 발생하면 이는 삽시간에 양식장 전체에 영향을 끼치게 된다.
수산 생물에 전염되는 질병은 바이러스성출혈성패혈증, 림포시스티스, 스쿠티카 등이 있으며, 이러한 질병은 세균 및 기생충, 바이러스와 같은 요인에 의해 발병한다.
일반적으로 감염된 수산 생물은 1주일 내로 폐사하게 되는데, 폐사한 어류를 발견한 다음에는 이미 양식장 전체에 질병이 확산된 상태임에 따라, 원인을 조사하고 알맞은 치료제를 투약하기까지의 시간이 부족하여 큰 피해가 불가피하다.
따라서 양식장의 수산 생물에 질병이 발생하면 이를 조기에 발견하기 위한 기술이 절실한 상황이다.
공개특허공보 10-2014-0065673 : 해상 가두리 자가 진단 시스템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사항을 고려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은 수산 생물 중 감염된 개체는 감염되지 않은 개체보다 활동량이 현저히 낮은 현상에서 착안하여, 수산 생물이 집단으로 가장 활발하게 활동하는 사료 공급 시의 활동 정도를 측정하여 건강 상태를 산출하고, 사용자가 이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양식 어류의 건강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는, 수면에 부유한 상태로 각속도 또는 가속도를 측정하여 자신의 요동 정도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에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된 요동 신호를 근거로 기 설정된 기준 수치와 비교하여 양식 어류의 건강 레벨을 산출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검출부는 각속도 또는 가속도를 측정하여 상기 검출부의 요동 정도를 검출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에서 검출한 요동 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상기 모니터링부로 전송하는 송신기와; 상기 센서 및 상기 송신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출부는 상기 센서로 검출된 요동 정도를 기 설정된 시간동안 저장하였다가 상기 송신기를 통해 전송되게 하는 저장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모듈은 상기 검출부의 요동 운동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자가발전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는 각속도 또는 가속도를 측정하기 위한 관성 센서, 중력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는 음량 또는 음파를 측정하여 소리 신호를 검출하는 소리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송신기는 상기 모니터링부로 상기 요동 신호와 함께 상기 소리 신호도 함께 전송하고, 상기 모니터링부는 양식 어류의 건강 레벨 산출 시 상기 소리신호를 연산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출부의 하측에는 상기 센서 및 상기 전원모듈이 배치되어 상기 검출부의 중량이 하측에 집중되고, 상측에는 상기 송신부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한 요동 신호를 전달받는 수신기와; 상기 수신기에서 수신한 상기 요동 신호를 근거로 기 설정된 기준 수치와 비교하여 양식 어류의 건강 레벨을 산출하는 제어기와; 상기 제어기에서 산출한 상기 어류의 건강 정도 레벨을 출력하는 표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니터링부는 대기 상태인 상기 검출부를 구동시켜 요동 정도를 검출하게 하는 입력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양식 어류의 건강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은, (a) 검출부가 수면에 부유한 상태로 각속도 또는 가속도를 측정하여 자신의 요동 정도를 검출하는 단계; (b) 상기 검출부가 검출한 요동 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모니터링부로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모니터링부가 상기 요동 신호를 근거로 기 설정된 기준 수치와 비교하여 양식 어류의 건강 레벨을 산출하는 단계; (d) 상기 모니터링부가 산출된 양식 어류의 건강 레벨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a)단계 다음으로 상기 검출부가 검출된 요동 신호를 기 설정된 시간동안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b)단계 다음으로 상기 검출부가 검출 종료 조건으로서 요동 정도를 검출한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 이상인지 확인하는 단계; 검출 종료 조건일 경우 상기 검출부가 요동 정도의 검출 및 요동 신호의 전송을 중단하고, 검출 종료 조건이 아닐 경우 (a)단계부터 다시 시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a)단계 이전에 상기 검출부가 검출 조건으로서 요동 정도가 증가하는지 또는 기 설정된 사료 공급 시간인지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검출 조건일 경우 (a)단계가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양식 어류의 건강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첫째, 검출부가 양식장 수면의 출렁임 정도를 검출하고 이를 모니터링부에서 수치화함에 따라 양식장에 서식하는 생물의 전체적인 건강 상태를 수시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둘째, 양식장 내 생물에 의한 수면의 출렁임이 감소하면 이를 기반으로 이상 징후를 판단할 수 있음에 따라, 신속하게 원인 분석 및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셋째, 검출부는 수면의 출렁임에 따른 요동 정도를 검출하지 않을 때 대기 상태에 있게 됨에 따라 전원을 절약할 수 있게 된다.
넷째, 전원모듈이 자가발전장치로 구성됨에 따라 양식장에 배치된 검출부를 수거하여 배터리를 교체할 필요가 없게 된다.
다섯째, 검출부와 모니터링부는 무선 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어 양식장이 아닌 장소에서도 양식 어류의 건강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여섯째, 검출부는 무게 중심이 하측에 있고, 송신기가 상측에 설치됨에 따라 수면 위에 송신기가 위치하게 되어 유체의 방해 없이 모니터링부로 요동 신호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식 어류의 건강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의 검출부가 적용된 양식장 및 검출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식 어류의 건강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의 모니터링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부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식 어류의 건강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의 순서도.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양식장에서 양식하는 어류는 사료가 공급되면 격렬하게 활동하기 시작하여 물 위로 튀어 오르기까지 한다. 복수의 어류가 격렬히 활동함에 따라 양식장의 수면은 크게 출렁이게 된다. 하지만 양식 어류가 질병에 감염 되면 사료가 공급되었을 때 그 활동 크기가 상대적으로 감소하게 되고, 그에 따라 수면의 출렁임도 상대적으로 감소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양식 어류의 활동량 변화를 모니터링하여 양식 어류의 건강 상태를 예측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어류의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양식장에는 수면의 출렁임을 따라 요동하는 자신의 요동 정도를 각속도 또는 가속도를 측정하여 검출하는 검출부(100)가 부유되게 배치되고, 검출부(100)의 검출값은 사용자가 조회할 수 있는 모니터링부(200)로 전송된다. 모니터링부(200)는 전송받은 검출 값을 기 설정된 기준 수치와 비교하여 사용자가 어류의 상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게 양식 어류의 건강 레벨을 산출하고 표시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식 어류의 건강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의 검출부(100)가 적용된 양식장 및 검출부(10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검출부(100)는 어류가 서식하는 양식장에 부유되게 배치된다. 보다 정확한 검출을 위해 검출부(100)는 양식장에 복수개로 배치될 수 있으며, 각각의 검출부(100)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게 하기 위해 추가적인 지지부재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검출부(100)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검출부(100)는 각속도 또는 가속도를 측정하여 검출부(100)의 요동 정도를 검출하는 센서(120)와; 센서(120)에서 검출한 요동 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모니터링부(200)로 전송하는 송신기(130)와; 센서(120) 및 송신기(13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모듈(1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센서(120)는 수면의 출렁임에 따라 요동하는 검출부(100)의 요동 정도를 검출하고 수치화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검출부의 각속도 또는 가속도를 검출한다. 따라서 센서(120)로는 자이로 센서, 중력 센서, 관성 센서, 가속도 센서 등의 센서가 될 수 있다.
송신기(130)는 센서(120)에서 검출한 요동 신호를 모니터링부(200)의 수신기(230)로 전송하는 것으로, 송신기(130)와 수신기(23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다.
검출부(100)는 수면의 출렁임을 따라서 요동함에 따라, 송신기(130)는 수신기(230)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무선 통신으로는 Wi-Fi나 블루투스(Bluetooth), ZigBee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액체에서는 무선 통신 신호가 거의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원활한 무선 통신을 위해 송신기(130)는 검출부(100)의 상측에 설치되고, 나머지 구성들은 검출부(100)의 하측에 밀집되어 검출부(100)의 무게중심이 하측에 집중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검출부(100)의 무게중심이 하측에 집중됨에 따라 수면에 떠 있는 검출부(100)에서 송신기(130)는 수면 위에 위치하는 경우가 더 많아지게 되어 수신기(230)와 보다 원활한 통신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검출부(100)는 센서(120)로 검출된 요동 정도를 기 설정된 시간동안 저장하였다가 송신기(130)를 통해 전송되게 하는 저장모듈(1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검출부(100)가 수면에서 끊임없이 요동함에 따라, 검출되는 요동 신호도 실시간으로 변화한다.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요동 신호를 송신기(130)를 통해 즉시 모니터링부(200)로 전송할 수도 있으나 검출부(100)가 외부 전원의 공급 없이 자체 전원만으로 구동되게 실시되는 경우, 전원 공급이 원활치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저장모듈(110)에는 소정의 시간동안 검출된 요동 정도가 수치화된 상태로 누적 저장된 다음, 저장된 누적 데이터가 기 설정된 양에 도달했을 때 일시에 송신기(130)를 통해 전송함으로 전원의 사용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저장모듈(110)은 전원을 절약하기 위해 양식장에 사료가 공급될 때에만 검출부(100)의 요동 정도를 저장하고, 그 외의 상황에서는 검출부(100)가 센서(120) 또는 송신기(130), 저장모듈(11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절전을 위한 대기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검출부(100)가 대기 상태로 전환되기 위한 조건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는데, 검출부(100)의 요동을 검출하는 시간 범위를 사전에 설정하여 요동 정도의 검출이 시작된 후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대기 상태로 전환되게 할 수 있고, 사용자가 모니터링부(200)로 검출부(100)의 대기 상태 전환을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양식장의 사료 공급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경우, 자동 사료 공급 장치(도시되지 않음)와 연동되어 검출부(100)의 구동이 시작되고 종료되거나, 정해진 사료 공급 시각과 동일한 시각에 검출부(100)가 구동되었다가 잠시 후 종료되게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센서(120)를 통해 연속해서 검출부(100)의 요동 정도를 감시하다가 평균적인 요동 정도보다 큰 신호가 검출되면, 요동 신호가 감소하게 될 때 까지 모니터링부(200)로 요동 신호를 전송하다가 다시 검출부(100)의 요동 정도를 감시하는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양식장에 사료가 공급되어 어류가 격렬한 활동을 시작하면 양식장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크게 증가하는데, 이러한 소음을 이용하기 위해 검출부(100)에는 음량 또는 음파의 크기를 측정하여 해당 소리 신호 값도 저장모듈(110)에 저장되는 소리센서(125)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저장모듈(110)에 저장된 소리 신호는 송신기(130)를 통해 요동 신호가 모니터링부(200)로 전송될 때 함께 전송된다.
소리센서(125)는 요동 신호의 신뢰성을 보강하기 위해 요동 신호와 함께 양식 어류의 건강 레벨을 산출할 때 이용된다.
또한 대기 상태에 있는 검출부(100)는 소리센서(125)로 소음의 변화를 감시하다가 소음이 증가하면 검출부(100)의 대기 상태를 해제하고, 소음이 감소하면 다시 대기 상태가 될 수 있다.
상술된 검출부(100)를 이루는 구성들은 일반적으로 물에 노출되면 손상될 수 있는 전자부품임에 따라, 검출부(100)는 조립 시 이음새에 기밀이 유지되어 내부가 방수되게 하거나, 전자부품들을 방수재로 코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검출부(100)의 완전한 방수를 위해 구성들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모듈(140)은 진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에너지수집(Energy Harvesting)기술이 적용된 자가발전장치로 구성되고, 검출부(100)의 표면은 더 이상 분해할 수 없게 이음새가 제거되는 공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자가발전장치는 검출부(100)가 수면에서 계속 요동하는 것을 이용하기 위해 영구자석 및 코일로 구성된 전자기형 발전 장치가 될 수 있다.
또한 검출부(100)는 수면에 배치되는 것임에 따라 격렬하게 활동하는 어류와의 충돌로 어류가 충격을 받거나 상처를 입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외형은 모서리가 없는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어류가 검출부(100)를 삼킬 수 없게 그 크기는 양식하는 어류의 주둥이보다 더 클 수 있다.
또한 검출부(100)의 요동 정도를 측정하는 것은 양식장 수면의 출렁임을 검출하기 위한 것임에 따라, 검출부(100)가 수면위에 더 잘 부유하게 하기 위하여 검출부(100)는 부피대비 비중이 작은 소재로 제작되거나, 내부 또는 외부에 부력을 강화하는 부재가 추가될 수 있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부(200)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식 어류의 건강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의 모니터링부(200)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모니터링부(200)는 검출부(100)의 센서(120)로 검출된 요동 신호 및 소리 신호를 전송받아 기 설정된 기준 수치와 비교하여 양식 어류의 건강 레벨을 산출하고 사용자가 양식 어류의 건강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 형태의 정보로 출력한다.
사용자가 양식 어류의 건강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 형태의 정보란 도시된 바와 같이 과거 소정의 기간 동안 산출된 양식 어류의 건강 레벨의 평균값과, 최대값, 최소값을 표시하고, 과거에 산출된 레벨 값의 히스토리(history)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 될 수 있다.
특히 매 회 검출되는 양식 어류의 건강 레벨의 히스토리가 그래프로 제공되면, 전염병이 발생하여 양식 어류의 건강 레벨이 꾸준히 하락하게 되었을 때 사용자는 보다 쉽게 문제가 발생했음을 인지할 수 있다.
어류의 건강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모니터링부(200)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장치가 될 수 있고, PC 또는 휴대용 모바일기기에 설치하여 실행하게 되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부(200)의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부(200)는 검출부(100)에서 검출한 요동 신호를 전달받는 수신기(230)와, 수신기(230)에서 수신한 요동 신호를 근거로 기 설정된 기준 수치와 비교하여 양식 어류의 건강 정도 레벨을 산출하는 제어기(210)와, 제어기(210)에서 산출한 어류의 건강 정도 레벨을 출력하는 표시모듈(220)을 포함한다.
수신기(230)는 검출부(100)의 송신기(130)로부터 요동 신호를 전송받는 것으로, 송신기(130)에 대응하는 통신 수단이 된다.
만약 검출부(100)에 소리센서(125)가 포함될 경우, 소리센서(125)에서 검출된 소리 신호도 수신기(230)를 통해 전송받을 수 있다.
제어기(210)는 수신기(230)에서 전송받은 요동 신호로 어류의 건강 정도 레벨을 산출한다.
어류의 건강 정도 레벨은 어류의 건강 상태를 점수로 나타내는 것과 같이, 사용자가 어류의 상태를 쉽게 인지할 수 있는 지표이다.
어류의 건강 정도 레벨은 검출부(100)의 유동 정도를 기반으로 산출되는데, 잔잔한 상태의 수면에 따른 검출부(100)의 유동 정도는 어느 환경에서든 비슷하지만, 사료가 공급되었을 때 수면의 출렁임에 따른 검출부(100)의 유동 정도는 양식장의 너비와 검출부(100)의 위치, 양식하는 어류의 종류, 크기, 개체 수 등의 요인에 따라 상이하다.
따라서 제어기(210)에는 수면이 잔잔할 경우 검출되는 검출부(100)의 요동 정보가 기준 수치로서 기 설정되고, 실제 환경에서 검출되는 요동 정보가 기준 수치보다 상회할 경우 양식 어류의 건강 레벨을 측정한다.
또한 양식 어류의 건강 레벨 중 건강한 상태와 이상이 상태를 분별하기 위한 기준은 본 발명이 실시된 장치를 양식장에 적용한 후, 최초 몇 차례 실제 요동 정도를 검출하여 사용자가 측정된 결과에 따라 직접 설정할 수 있다.
제어기(210)가 요동 신호 및 소리 신호로 어류의 건강 정도 레벨을 산출하는 것은 기 설정된 산출식에 근거하여 산출될 수 있지만, 검출부(100)에서 요동 신호를 수치화하여 모니터링부(200)로 전송해 온다면 그대로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표시모듈(220)은 도 2와 같이 시각적으로 어류의 건강 상태를 확인 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가 될 수 있고, 다른 실시예로서 스피커로 구성되어 검출된 유동 정보에 따른 어류의 건강 정도 레벨을 음성으로 안내하거나, 어류의 활동량이 평균보다 감소한 것으로 검출되면 기 설정된 소리를 출력하는 것으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부(200)는 대기 상태인 상기 검출부(100)를 구동시켜 요동 정도를 검출하게 하는 입력기(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기(240)는 사용자가 대기 상태의 검출부(100)를 구동시켜 요동 정도를 검출하게 하고, 그 밖에 표시모듈(220)에 나타나지 않은 검출 히스토리 검색, 건강여부를 판단하게 될 기준 설정 등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입력기(240)는 모니터링부(200)의 일측에 구성된 누름 버튼이나, 표시모듈(220)이 디스플레이 장치일 경우, 디스플레이의 터치를 입력받는 터치 패널이 될 수 있다.
모니터링부(200)는 검출부(100)와 직접 유선 또는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어 구동되는 장치가 될 수 있고, 개인용 컴퓨터나 스마트폰, 태블릿PC와 같은 휴대용 모바일기기에 설치하여 이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Software), 즉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으로 실시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으로 실시된 모니터링부(200)는 그 구성들이 설치된 장치의 요소를 제어하는 것으로 그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수신기(230)는 PC 또는 스마트폰에 구비된 통신 모뎀을 이용하여 검출부(100)와 통신을 수행하는데, 검출부(100)의 송신기(130)는 Wi-Fi신호를 송출하고, 모니터링부(200)의 수신기(230)에서는 통신 모뎀을 제어하여 해당 Wi-Fi에 접속하는 것으로 요동 신호를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어기(210)는 요동 신호로 어류의 건강 정도 레벨을 산출하는 알고리즘이 포함하게 프로그래밍되어, 설치된 전자기기에 내장된 중앙처리장치(CPU)에 의해 연산을 수행하게 될 수 있다.
그리고 표시모듈(220)은 전자기기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서 어류의 건강 정보를 표시하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가 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식 어류의 건강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식 어류의 건강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검출부(100)가 수면에 부유한 상태로 각속도 또는 가속도를 측정하여 자신의 요동 정도를 검출하는 단계(S03)와, 검출부(100)가 검출한 요동 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모니터링부(200)로 전송하는 단계(S05), 모니터링부(200)가 요동 신호를 근거로 기 설정된 기준 수치와 비교하여 양식 어류의 건강 레벨을 산출하는 단계(S08), 모니터링부(200)가 산출된 양식 어류의 건강 레벨을 출력하는 단계(S09)의 순서를 포함하는 특징을 가진다.
특히 검출부(100)의 전원을 절약하여 사용하기 위한 방법으로, 센서(120)를 통해 검출된 요동 정도(S03)를 기 설정된 시간동안 검출부(100)의 저장모듈(110)에서 일시 저장하는 단계(S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모듈(110)에 일시 저장된 요동 신호는 압축되거나, 수치화된 후 평균값으로 산출된 다음, 검출부(100)의 송신기(130)를 통해 모니터링부(200)로 전송될 수 있다.
검출부(100)가 요동 정도를 검출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전원 절약을 위해 센서(120) 또는 송신기(130), 저장모듈(110) 등의 구성을 정지하는 대기 상태가 될 수 있다.
대기 상태에 있는 검출부(100)(S01)를 다시 구동시키기 위해, 요동 정도를 검출하는 단계(S03) 전, 먼저 검출 조건인지 확인하는 단계(S02)를 포함한다. 검출 조건은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식 어류의 건강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에서 설명했던 바와 같이 요동 정도가 증가할 경우, 또는 기 설정된 사료 공급 시간이 될 수 있다.
또한 요동 정도를 검출(S03)하고 모니터링부(200)로 전송(S05)을 완료한 검출부(100)는 계속 요동 정도의 검출이 필요한 지 검출 조건을 재차 확인(S06)한다. 즉 요동 정도의 검출을 종료해야 하는 지 확인하는 것이다. 만약 검출 종료 조건일 경우, 검출부(100)는 요동 정도의 검출 및 요동 신호의 전송을 중단하여 대기 상태에 진입(S07)한다. 검출 종료 조건이 아닐 경우, 검출부(100)는 재차 요동 정도를 검출(S03)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100 : 검출부 110 : 저장모듈
120 : 센서 130 : 송신기
140 : 전원모듈 200 : 모니터링부
210 : 제어기 220 : 표시모듈
230 : 수신기 240 : 입력기

Claims (13)

  1. 수면에 부유한 상태로 양식장에 사료가 공급되는 때의 각속도 또는 가속도를 측정하여 자신의 요동 정도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에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된 요동 신호를 근거로 기 설정된 기준 수치와 비교하여 양식 어류의 건강 레벨을 산출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검출부는 활동하는 어류와의 충돌로 어류가 상처를 입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모서리가 없는 둥근 외형이고, 어류가 삼킬 수 없게 양식하는 어류의 주둥이보다 크기가 더 크며,
    상기 검출부는 각속도 또는 가속도를 측정하여 상기 검출부의 요동 정도를 검출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에서 검출한 요동 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상기 모니터링부로 전송하는 송신기와, 상기 센서 및 상기 송신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모듈과, 상기 센서로 검출된 요동 정도를 기 설정된 시간동안 저장하였다가 일시에 상기 송신기를 통해 전송되게 하는 저장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저장모듈은 전원을 절약하기 위해 양식장에 사료가 공급될 때에만 상기 검출부의 요동 정도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 어류의 건강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모듈은 상기 검출부의 요동 운동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자가발전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 어류의 건강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각속도 또는 가속도를 측정하기 위한 관성 센서, 중력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 어류의 건강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음량 또는 음파를 측정하여 소리 신호를 검출하는 소리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송신기는 상기 모니터링부로 상기 요동 신호와 함께 상기 소리 신호도 함께 전송하고,
    상기 모니터링부는 양식 어류의 건강 레벨 산출 시 상기 소리신호를 연산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 어류의 건강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의 하측에는 상기 센서 및 상기 전원모듈이 배치되어 상기 검출부의 중량이 하측에 집중되고, 상측에는 상기 송신기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 어류의 건강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한 요동 신호를 전달받는 수신기와;
    상기 수신기에서 수신한 상기 요동 신호를 근거로 기 설정된 기준 수치와 비교하여 양식 어류의 건강 레벨을 산출하는 제어기와;
    상기 제어기에서 산출한 상기 어류의 건강 정도 레벨을 출력하는 표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 어류의 건강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부는
    대기 상태인 상기 검출부를 구동시켜 요동 정도를 검출하게 하는 입력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 어류의 건강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40119066A 2014-09-05 2014-09-05 양식 어류의 건강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6759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9066A KR101675971B1 (ko) 2014-09-05 2014-09-05 양식 어류의 건강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9066A KR101675971B1 (ko) 2014-09-05 2014-09-05 양식 어류의 건강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9474A KR20160029474A (ko) 2016-03-15
KR101675971B1 true KR101675971B1 (ko) 2016-11-15

Family

ID=55542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9066A KR101675971B1 (ko) 2014-09-05 2014-09-05 양식 어류의 건강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597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7720A (ko) * 2017-11-20 2019-05-29 주식회사 워터핀 해양생물 모니터링 시스템
KR102409745B1 (ko) * 2021-07-15 2022-06-15 유병자 양식 어류의 사료계수 자동측정장치
KR20230065673A (ko) 2021-11-05 2023-05-12 주식회사 부상 양식 어류의 실시간 질병 감지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40037499A (ko) 2022-09-15 2024-03-22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해양 생물 모니터링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5158B1 (ko) * 2020-02-19 2022-07-0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양식어류의 질병 감시를 위한 스마트 지원시스템
KR102274057B1 (ko) * 2020-06-12 2021-07-07 대한민국 양식수조내 어류의 먹이활동성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먹이 공급 방법
CN111833203A (zh) * 2020-07-15 2020-10-27 上海览宋科技有限公司 鱼群监控装置
KR102274064B1 (ko) * 2020-08-11 2021-07-07 대한민국 스마트양식장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526138B1 (ko) * 2021-12-24 2023-04-25 유병자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어류 생체반응 모니터링 시스템
CN114609952B (zh) * 2022-04-07 2024-04-26 广州大学 一种基于机器视觉的鱼类养殖监测方法及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0382A (ja) * 2002-02-25 2003-09-0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水棲生物の成育状態監視方法及びその装置
KR101417251B1 (ko) * 2012-02-23 2014-07-14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무선 네트워크 구조를 갖는 양식장 관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13730A (ja) * 1997-05-15 1998-12-02 Hitachi Ltd 水棲生物用自動給餌装置
KR101525845B1 (ko) 2012-11-20 2015-06-10 주식회사 글로비트 해상 가두리 자가 진단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0382A (ja) * 2002-02-25 2003-09-0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水棲生物の成育状態監視方法及びその装置
KR101417251B1 (ko) * 2012-02-23 2014-07-14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무선 네트워크 구조를 갖는 양식장 관리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강민경외 4, 오염 물고기 움직임 분석을 위한 효율적인 특징 추출, 부산대학교 멀티미디어 협동과정외 2, 2002년도 한국정보과학회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29.No.1, pp649~651.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7720A (ko) * 2017-11-20 2019-05-29 주식회사 워터핀 해양생물 모니터링 시스템
KR101992257B1 (ko) * 2017-11-20 2019-06-25 주식회사 워터핀 해양생물 모니터링 시스템
KR102409745B1 (ko) * 2021-07-15 2022-06-15 유병자 양식 어류의 사료계수 자동측정장치
KR20230065673A (ko) 2021-11-05 2023-05-12 주식회사 부상 양식 어류의 실시간 질병 감지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40037499A (ko) 2022-09-15 2024-03-22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해양 생물 모니터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9474A (ko) 2016-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5971B1 (ko) 양식 어류의 건강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9508242B2 (en) Pool alarm system
KR101044468B1 (ko) 낚시찌의 어신감지 무선전송 장치
ES2715882T3 (es) Dispositivo sensor
US20190258278A1 (en) Wireless leak alarm, and wireless valve, apparatus, system and a method thereof
US9894887B2 (en) System for remotely monitoring a feed environment
US20160093187A1 (en) Sound and Temperature Sensors for Environmental Anomaly Detection
US20160353709A1 (en) Device for determining movements of an animal
KR20120033810A (ko) 무선통신 모뎀을 이용한 해양 관측 부이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10277546A1 (en) Tank fullness monitoring system
US9427115B2 (en) Bathtub monitors
CN104914903B (zh) 一种智能化网箱养殖系统及使用方法
US10349646B2 (en) Float with fishing conditions detection
US20180213761A1 (en) Motion Sensing Fish Bite Alarm
CN105766843B (zh) 一种钓鱼提醒装置及方法
US20160021844A1 (en) Litter box aerator
KR20210119993A (ko) 글루 보드를 이용한 동물 트랩 검출 시스템
CN103348958B (zh) 自动钓鱼咬钩侦别装置与方法
CN107205705B (zh) 一种新陈代谢预测方法及装置
CN210426683U (zh) 智能在线液位数据监测报警仪
JP2011013129A (ja) 動き監視システム
JP6959524B2 (ja) 電子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
CN202422402U (zh) 粮食仓储库多点温湿度远程监控仪
CN201583318U (zh) 一种储罐无绳液位报警装置
KR102376895B1 (ko) 밀폐 구역의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