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7720A - 해양생물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해양생물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7720A
KR20190057720A KR1020170155009A KR20170155009A KR20190057720A KR 20190057720 A KR20190057720 A KR 20190057720A KR 1020170155009 A KR1020170155009 A KR 1020170155009A KR 20170155009 A KR20170155009 A KR 20170155009A KR 20190057720 A KR20190057720 A KR 201900577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marine
control module
feeding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5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2257B1 (ko
Inventor
박용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워터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워터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워터핀
Priority to KR1020170155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2257B1/ko
Publication of KR20190057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77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2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22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Min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60Floating cultivation devices, e.g. rafts or floating fish-far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60Fishing; Aquaculture; Aquafarming

Abstract

본 발명은 풍력발전기 부근의 해상에 설치되고, 그 안의 해양생물의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실험군 모듈; 풍력발전기와 소정거리 떨어진 위치에 설치되고, 그 안의 해양생물의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대조군 모듈; 및 상기 실험군 모듈과 대조군 모듈에서 측정된 측정값들을 비교/분석하여 풍력발전기 부근의 해양생물이 풍력발전기로부터 받는 영향 정도를 산출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해양생물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자연환경에서의 해양생물의 상태를 효과적으로 모니터링하여 환경 분석에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해양생물 모니터링 시스템{Monitoring system for marine life}
본 발명은 일반 해양 및 양식장의 물고기와 같은 해양생물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지속적인 화석연료의 비용증가와 화석연료에서 발생되는 유해 가스로 인한 환경파괴, 화석연료의 고갈 및 핵발전 에너지와 관련된 잠재적인 위험으로 인해, 태양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도록 된 태양광발전과, 바람의 힘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도록 된 풍력발전이 그 대안으로 요구되고 있다.
특히, 풍력발전은 자연상태의 무공해 에너지원으로 현재의 기술에 의한 대체에너지원 중 가장 경제성이 높은 에너지원이다. 이러한 풍력발전은 바람의 힘을 전기에너지로 전환시켜 발생되는 전력을 전력계통이나 수요자에 직접 공급하는 기술로서, 이러한 풍력발전을 이용한다면 산간이나 해안오지 및 방조제 등 부지를 활용함으로써 국토 이용효율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장점 때문에, 풍력발전 시스템은 가장 유력한 대체 에너지원으로 인정을 받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세계기후변화협약과 같은 국제 환경의 변화와 유가상승, 그리고 국내사용 에너지의 96%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현실적인 문제에 대응하기 위하여 풍력발전 시스템에 대한 관심이 높다.
특히, 풍력발전 시스템은 구조나 설치 등이 간단하여 운영 및 관리가 용이하고 무인화 및 자동화 운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최근에 도입이 비약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풍력발전 구조물들은 주로 육상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나, 최근에는 풍력자원량, 미관, 장소의 제약 등의 문제로 인해 해상에 대규모의 풍력단지를 건설하는 추세이다.
한편, 우리나라의 연안에는 해조류 및 어폐류 등을 양식하는 많은 양식장들이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는데, 해양에 풍력발전 시스템을 설치하는 경우, 풍력발전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진동 소음 및 전자파 등이 양식장의 해양생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충분한 환경분석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 중에서 어류에 대한 모니터링은 크게 실험실에서 가능하도록 배양수조 및 장치를 만들어 실험실에서 수행하는 방식과 측정대상이 서식하고 있는 자연환경에서 직접 수행하는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 중, 인위적 환경에서는 연구하고자 하는 대상을 제외한 변인 통제가 수월하고 전력공급 및 기타 관리가 용이한 반면, 실험군에 대한 인위적 조치로 인해 실제 환경과 다소 차이가 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반하여, 자연환경에서 직접 대상 생물을 모니터링하는 방법은 변인통제 및 관리가 매우 어렵고 힘드나, 그 결과에 대해서 직접적인 영향을 반영 및 평가할 수 있기 때문에, 확인하고자 하는 영향 요인 및 자극이 민감한 경우 모니터링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자연환경에서 직접 대상 생물을 모니터링하는 방법은 먹이공급, 적절한 환경에의 대응 및 기타 관리적인 측면에서 매우 어렵고 또한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선행기술문헌 1: 등록특허 제10-0785350호(2007. 12. 18.)
선행기술문헌 2: 등록특허 제10-1675971호(2016. 11. 15.)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자연환경에서의 해양생물의 상태를 효과적으로 모니터링하여 환경 분석에 적용할 수 있는 해양생물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풍력발전기 부근의 해상에 설치되고, 그 안의 해양생물의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실험군 모듈; 풍력발전기와 소정거리 떨어진 위치에 설치되고, 그 안의 해양생물의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대조군 모듈; 및 상기 실험군 모듈과 대조군 모듈에서 측정된 측정값들을 비교/분석하여 풍력발전기 부근의 해양생물이 풍력발전기로부터 받는 영향 정도를 산출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실험군 모듈 및 대조군 모듈은 각각, 유체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그물 형태 또는 다공성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하우징을 부유시키는 부력 부재; 및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의 해양생물의 상태를 검출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이 일정한 형태로 유지되도록 수직방향으로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된 수직 프레임들 및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수평 프레임들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배치된 수평 프레임에 구비되고, 상기 수직 프레임들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하우징 내에서 배양중인 해양생물에 먹이를 공급하는 먹이 공급 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먹이 공급 수단은, 먹이가 충진되어 있는 원판 또는 구 형상의 피딩 볼;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상기 피딩 볼을 이동시키는 이송 수단; 및 상기 이송 수단을 구동하는 구동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대안적으로, 상기 먹이 공급 수단은 상기 수직 프레임과 나란하게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피딩 바를 포함하고, 상기 피딩 바는 먹이를 투입할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 있고, 상기 하우징 내부의 해양생물이 먹이를 먹을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를 향하여 개방된 복수의 슬릿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센서부는 해수면과 나란하게 XY 축을 따라 이동 가능한 라이다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라이다 센서는 레이저 송/수신기 및 신호처리기를 포함하며, 상기 라이다 센서는 레이저 펄스 신호가 해양생물에 도달한 후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하는 ToF 방식 또는 해양생물에 도달한 후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레이저 신호의 위상 변화를 측정하는 PS 방식을 이용하여 해양생물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센서부는 상기 하우징 내의 해수의 온도 및 용존산소량을 측정하는 수질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은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공간들로 구획되고, 각각의 공간에는 소정 수의 해양생물이 수용되며, 상기 센서부는 상기 먹이 공급 수단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으로 먹이가 공급될 때 해양생물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실험군 모듈의 센서부 및 상기 대조군 모듈의 하우징의 대응하는 공간에서의 센서부의 측정값들을 비교하여 해양생물의 상태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실험군 모듈 및 대조군 모듈은 각각, 집광 패널, 상기 집광 패널로부터 수집된 태양광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저장하는 축전지를 포함하고, 상기 축전지는 상기 실험군 모듈 및 대조군 모듈에 구비된 전자 부품들 및 장비들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부가적으로,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IP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IP 카메라는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실험군 모듈 및 대조군 모듈 내의 해양생물을 실시간 촬영 및 녹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해양생물의 먹이 활동 시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자연환경에서의 해양생물의 상태를 효과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풍력발전기 등의 설비가 해양생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해양생물에게 공급되는 먹이가 해수 중에 퍼지지 않도록 하여 먹이 활동을 하는 해양생물의 움직임을 더욱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어, 해양생물의 상태를 더욱 정밀하게 분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양생물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해양생물 모니터링 시스템의 실험군 모듈 또는 대조군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실험군 모듈 또는 대조군 모듈의 하우징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해양생물 모니터링 시스템의 실험군 모듈 또는 대조군 모듈에 사용되는 먹이 공급 수단의 피딩 볼(feeding ball)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피딩 바(feeding bar)가 설치된 하우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도 5의 피딩 바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해양생물 모니터링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참고로, 아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각각의 구성 요소들의 기능을 고려하여 명명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해양생물 모니터링 시스템은 해상 또는 해상 인근에 설치되어 진동/소음 및 전자파 등의 유해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풍력발전기(10) 또는 이와 유사한 설비가 해양생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서, 실험군 모듈(100), 대조군 모듈(200) 및 실험군 모듈(100)과 대조군 모듈(200)의 측정값들을 비교하는 제어 모듈(300)을 포함한다.
먼저, 실험군 모듈(100)은 풍력발전기(10) 부근의 해상에 설치되고, 그 안에서 배양되는 해양생물의 상태를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대조군 모듈(200)은 풍력발전기와 소정거리 떨어진 위치, 즉 풍력발전기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 위치에 설치되고, 그 안에서 배양되는 해양생물의 상태를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제어 모듈(300)은 실험군 모듈(100)과 대조군 모듈(200)에서 측정된 측정값들을 비교 및 분석하여 풍력발전기(10) 부근의 해양생물이 풍력발전기로부터 받는 영향의 정도를 산출한다.
도 2는 실험군 모듈(100)(또는 대조군 모듈(2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서, 여기에서는 실험군 모듈(100)만을 도시하여 설명한다. 실험군 모듈(100)은 가두리 양식장의 형태와 유사하게 이루어진 하우징(110), 하우징(100)을 해상에 부유시키기 위한 부력 부재(120) 및 하우징(110) 내에서 배양되는 해양생물, 예를 들면 어류의 상태를 측정하는 센서부(13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하우징(110)은 유체, 즉 해수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그물 형태 또는 다공성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망 부재(111)를 포함한다. 또한, 하우징(110)은 수직방향으로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된 수직 프레임들(112)을 포함한다. 또한, 수직 프레임들(112)의 상부 및 하부에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수평 프레임들(113)이 배치된다. 이 수직 프레임들(112)과 수평 프레임들(113)에 의해, 하우징(110)은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8각 기둥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물론, 하우징(110)은 사각 기둥을 포함하여 다른 다각 기둥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원 기둥 형태로도 가능하다. 그리고, 프레임들(112, 113) 사이에는 전술한 망 부재(111)가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하우징(110)은 망 부재(111)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공간들로 구획되고(도 3에서 하우징(110)은 8개의 공간으로 구획되어 있음), 각각의 공간에는 소정 수의 해양생물이 수용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0)의 상부에는 지붕 형태의 프레임(114, 도 2 참조)이 설치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하우징(110)은 하부에 닻과 같은 앵커링 부재(115)를 구비할 수 있다. 이 앵커링 부재(115)에 의해, 하우징(110)의 정해진 위치에 유지될 수 있어 안정적으로 해양생물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부력 부재(120)는 하우징(110)의 상부의 둘레에 장착되어 하우징(110)을 해상에 부유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센서부(130)는 하우징(110)의 상부에 구비되어 하우징(110)에서 배양 중인 해양생물의 상태를 검출한다. 이 센서부(130)는 하우징(110)의 상부에 배치된 수평 프레임, 정확하게는 지붕 형태의 프레임(114)에서 해수면을 향하여 배치된다. 또한, 센서부(130)는 우천시 또는 파도 등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방수 기능을 구비하고 조류나 다른 물고기들의 유입에 의해 고장 또는 파손되지 않도록 보호된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수직 프레임들(112) 중 적어도 하나에는 하우징(110) 내에서 배양중인 해양생물에 먹이를 공급하는 먹이 공급 수단(140, 도 2 참조)이 구비될 수 있다. 이 먹이 공급 수단(140)은 예를 들면 어류의 먹이가 충진되어 있는 원판 또는 구 형상의 피딩 볼(141), 하우징(110) 내부에서 수직방향으로 피딩 볼(feeding ball)을 이동시키는 이송 수단(142) 및 이송 수단(142)을 구동하는 구동 모터(14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피딩 볼(141)은 외부가 메시 망(141a)으로 둘러싸이고, 그 내부에 메시 망(141a)의 메시 크기보다 작은 크기의 사료들(141b)이 충진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메시 망(141a) 내부의 사료는 한 덩어리로 압축되어 해수에 천천히 녹아서 풀어질 수 있는 형태일 수 있다. 이송 수단(142)은 체인, 벨트 또는 기타 동력 전달 장치일 수 있고, 이송 수단(142)에는 전술한 피딩 볼(141)이 매달려서 해수 중으로 먹이가 공급될 수 있다. 구동 모터(143)는 수직 프레임(111) 또는 수평 프레임(112)에 지지될 수 있고, 전술한 이송 수단(142)을 구동한다. 여기서, 구동 모터(143)는 정해진 주기에 따라 피딩 볼(141)이 해수 중으로 공급되도록 작동될 수 있다. 그리고, 센서부(130)는 구동 모터(143)의 구동에 의해 피딩 볼(141)이 해수에 공급될 때, 즉 어류들이 피딩 볼(141)의 사료를 먹기 위해 이동할 때, 어류들의 움직임을 측정하도록 작동이 제어된다.
도 5와 6을 참조하면, 대안적으로, 먹이 공급 수단(140)은 수직 프레임들(111)과 나란하게 하우징(110) 내부에 배치되는 피딩 바(144; feeding bar)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피딩 바(144)는 먹이를 투입할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 부재로서, 피딩 바(144)의 내부에는 전술한 피딩 볼(141) 또는 일정 크기의 사료가 투입될 수 있다. 또한, 피딩 바(144)는 하우징(110)의 구획된 공간들에 개별적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피딩 바(144)의 상부에는 피딩 볼(141) 또는 사료를 정해진 주기에 따라 공급할 수 있는 공급 수단(미도시)이 구비된다.
여기서, 피딩 바(144)는 해양생물이 먹이를 먹을 수 있도록 개방된 복수의 슬릿(144a)을 외주면에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피딩 바(144)의 구조에 의해, 피딩 바(144)의 내부에 공급된 피딩 볼(141) 또는 사료는 피딩 바(144)의 외부로 유출되어 풀어지지 않고, 이에 따라 해양생물은 피딩 바(144)의 주변으로 이동하여 먹이 활동을 하게 되는 어느 정도 정해진 이동 경로를 나타낼 수 있다. 그러면, 센서부(130)는 먹이 활동을 위해 이동하는 해양생물의 이동 패턴을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센서부(130)는 라이다 센서(LiDAR sensor)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라이다 센서는 지붕 형태의 프레임(114)의 저면에 설치되어 해수면과 나란하게 XY 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라이다 센서는 레이저 송/수신기 및 신호처리기를 포함한다. 그리고, 라이다 센서는 ToF(Time of Flight) 방식 또는 PS(Phase Shift) 방식을 이용하여 하우징(110) 내부에서 배양중인 해양생물의 움직임을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라이다 센서는 레이저 송신기로부터 송신된 레이저 펄스 신호가 배양중인 해양생물에 도달한 후 반사되어 레이저 수신기로 되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하는 ToF 방식을 이용하여 센서로부터 해양생물까지의 거리를 측정함으로써, 해양생물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라이다 센서는 레이저 송신기로부터 송신된 레이저 신호가 해양생물에 도달한 후 반사되어 레이저 수신기로 되돌아오는 레이저 신호의 위상 변화를 측정하는 PS 방식을 이용하여 센서로부터 해양생물까지의 거리를 측정함으로써, 해양생물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부(130)는 먹이 공급 수단(140)으로부터 하우징(110) 안으로 먹이가 공급될 때, 먹이 활동을 위해 피딩 바(144) 또는 피딩 볼(141) 주변으로 모여드는 해양생물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그 측정값을 제어 모듈(300)로 전달한다. 그러면, 제어 모듈(300)은 실험군 모듈(100)의 센서부(130)로부터 측정된 측정값 및 대조군 모듈(200)의 센서부로부터 측정된 측정값을 비교하여 실험군 모듈(100)의 해양생물이 대조군 모듈(200)의 해양생물과 움직임에 차이가 있는지를 판단함으로써, 풍력발전기의 진동/소음 및 전자파 등이 해양생물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분석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센서부(130)는 하우징(110) 내의 해수의 온도 및 용존산소량(DO)을 측정하는 수질 센서(1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모듈(300)은 전술한 라이다 센서 및 수질 센서(131)의 측정값을 이용하여 해양생물의 상태를 더욱 정밀하게 분석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실험군 모듈(100) 및/또는 대조군 모듈(200)은 전력에 의해 작동하는 전자부품 및 장비들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집광 패널(미도시) 및 집광 패널로부터 수집된 태양광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저장하는 축전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집광 패널은 지붕 형태의 프레임(114)의 상부에 설치되거나, 집광 패널이 프레임(114)으로서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전술한 센서부(130)의 라이다 센서, 수질 센서(131), 구동 모터(143) 등의 전자 부품들은 별도의 전력 공급없이 해상에서 상시 작동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해양생물 모니터링 시스템은 하우징(110)에 설치되는 IP 카메라(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IP 카메라(150)는 방수 카메라로서 하우징(110)의 수직 프레임(111) 상에 설치되어 하우징(110) 내부에서 배양중인 해양생물을 실시간으로 촬영 및 녹화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는 IP 카메라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그리고 원격으로 해양생물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보여준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이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마땅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인 바, 본 발명과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풍력발전기 부근의 해상에 설치되고, 그 안의 해양생물의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실험군 모듈;
    풍력발전기와 소정거리 떨어진 위치에 설치되고, 그 안의 해양생물의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대조군 모듈; 및
    상기 실험군 모듈과 대조군 모듈에서 측정된 측정값들을 비교/분석하여 풍력발전기 부근의 해양생물이 풍력발전기로부터 받는 영향 정도를 산출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해양생물 모니터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험군 모듈 및 대조군 모듈은 각각,
    유체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그물 형태 또는 다공성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하우징을 부유시키는 부력 부재; 및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의 해양생물의 상태를 검출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생물 모니터링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이 일정한 형태로 유지되도록 수직방향으로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된 수직 프레임들 및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수평 프레임들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배치된 수평 프레임에 구비되고,
    상기 수직 프레임들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하우징 내에서 배양중인 해양생물에 먹이를 공급하는 먹이 공급 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생물 모니터링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먹이 공급 수단은,
    먹이가 충진되어 있는 원판 또는 구 형상의 피딩 볼;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상기 피딩 볼을 이동시키는 이송 수단; 및
    상기 이송 수단을 구동하는 구동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생물 모니터링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먹이 공급 수단은 상기 수직 프레임과 나란하게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피딩 바를 포함하고,
    상기 피딩 바는 먹이를 투입할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 있고, 상기 하우징 내부의 해양생물이 먹이를 먹을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를 향하여 개방된 복수의 슬릿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생물 모니터링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해수면과 나란하게 XY 축을 따라 이동 가능한 라이다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라이다 센서는 레이저 송/수신기 및 신호처리기를 포함하며, 상기 라이다 센서는 레이저 펄스 신호가 해양생물에 도달한 후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하는 ToF 방식 또는 해양생물에 도달한 후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레이저 신호의 위상 변화를 측정하는 PS 방식을 이용하여 해양생물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생물 모니터링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하우징 내의 해수의 온도 및 용존산소량을 측정하는 수질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생물 모니터링 시스템.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공간들로 구획되고, 각각의 공간에는 소정 수의 해양생물이 수용되며,
    상기 센서부는 상기 먹이 공급 수단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으로 먹이가 공급될 때 해양생물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실험군 모듈의 센서부 및 상기 대조군 모듈의 하우징의 대응하는 공간에서의 센서부의 측정값들을 비교하여 해양생물의 상태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생물 모니터링 시스템.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험군 모듈 및 대조군 모듈은 각각,
    집광 패널, 상기 집광 패널로부터 수집된 태양광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저장하는 축전지를 포함하고, 상기 축전지는 상기 실험군 모듈 및 대조군 모듈에 구비된 전자 부품들 및 장비들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생물 모니터링 시스템.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IP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IP 카메라는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실험군 모듈 및 대조군 모듈 내의 해양생물을 실시간 촬영 및 녹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생물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170155009A 2017-11-20 2017-11-20 해양생물 모니터링 시스템 KR1019922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5009A KR101992257B1 (ko) 2017-11-20 2017-11-20 해양생물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5009A KR101992257B1 (ko) 2017-11-20 2017-11-20 해양생물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7720A true KR20190057720A (ko) 2019-05-29
KR101992257B1 KR101992257B1 (ko) 2019-06-25

Family

ID=66672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5009A KR101992257B1 (ko) 2017-11-20 2017-11-20 해양생물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225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4788B1 (ko) * 2019-11-01 2020-08-18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해조류의 일차 생산량 측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시스템
CN114132465A (zh) * 2021-11-12 2022-03-04 台山核电合营有限公司 一种水下海洋生物监测装置
KR20220051529A (ko) 2020-10-19 2022-04-26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수중드론과 소나를 이용한 해양 모니터링 시스템
KR102565181B1 (ko) * 2022-09-15 2023-08-0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실시간 해양 생물 모니터링 시스템
KR102565169B1 (ko) * 2022-09-15 2023-08-0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해양 생물에 미치는 전자기장의 영향 관찰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2939B1 (ko) 2022-09-15 2024-03-29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해양 생물 모니터링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4533Y1 (ko) * 2005-06-22 2005-09-02 김성근 해상 및 해중 시설물 감시장치
KR101675971B1 (ko) * 2014-09-05 2016-11-15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양식 어류의 건강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4533Y1 (ko) * 2005-06-22 2005-09-02 김성근 해상 및 해중 시설물 감시장치
KR101675971B1 (ko) * 2014-09-05 2016-11-15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양식 어류의 건강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맹준호 외 3인. 국외 모니터링 사례를 통한 해상풍력발전의 환경적 영향 고찰.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지.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2013년 11월, 제16권, 제4호, pp.276-289 (2013.11.) 1부.* *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4788B1 (ko) * 2019-11-01 2020-08-18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해조류의 일차 생산량 측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시스템
KR20220051529A (ko) 2020-10-19 2022-04-26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수중드론과 소나를 이용한 해양 모니터링 시스템
CN114132465A (zh) * 2021-11-12 2022-03-04 台山核电合营有限公司 一种水下海洋生物监测装置
CN114132465B (zh) * 2021-11-12 2024-02-20 台山核电合营有限公司 一种水下海洋生物监测装置
KR102565181B1 (ko) * 2022-09-15 2023-08-0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실시간 해양 생물 모니터링 시스템
KR102565169B1 (ko) * 2022-09-15 2023-08-0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해양 생물에 미치는 전자기장의 영향 관찰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2257B1 (ko) 2019-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2257B1 (ko) 해양생물 모니터링 시스템
KR100946942B1 (ko) 실시간 해양생물 관측장치 및 방법
Gattuso et al. Free-ocean CO 2 enrichment (FOCE) systems: present status and future developments
CN201397138Y (zh) 极地近岸海洋环境实时监测系统
CN104916111B (zh) 水域冰情监测研究系统
CN104197983A (zh) 水体蓝藻爆发预警的生态修复监测系统
CN103439230A (zh) 一种气泡参数测量方法及测量装置
CN206930663U (zh) 浮标式水质监测装置
Trevathan et al. An IoT general-purpose sensor board for enabling remote aquatic environmental monitoring
Kohut et al. Studying the impacts of local oceanographic processes on adelie penguin foraging ecology
Khan Wireless sensor network based water well management system for precision agriculture
CN113916150B (zh) 潮滩微地貌动态变化检测装置
CN204695545U (zh) 水域冰情监测研究装置
Fullerton et al. Design and analysis of an automated feed-buoy for submerged cages
CN204074617U (zh) 基于超声波的水质传感器自动清洗装置
CN209420658U (zh) 鱼类温度偏好测试实验装置
Hutchings et al. Marine environmental monitoring programmes in South Africa: a review: review articles
Nouguier et al. An automatically operated system for simulating global change temperature and ultraviolet B radiation increases: application to the study of aquatic ecosystem responses in mesocosm experiments
KR102399078B1 (ko) 인공어초 어장 및 해조장 바다숲 모니터링 장치
CN209806891U (zh) 一种海珍品捕捞及可视监测装置
Strehse et al. OpenAquaSense–An open-source sensor prototyping platform for tailor-made marine sensing
KR102061882B1 (ko) 적조 생물의 수직 이동 특성을 이용한 적조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CN206330644U (zh) 便携式自动潮位观测系统
CN109526813A (zh) 鱼类温度偏好测试实验装置
KR101077545B1 (ko) 생태관찰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