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7545B1 - 생태관찰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생태관찰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7545B1
KR101077545B1 KR1020090069266A KR20090069266A KR101077545B1 KR 101077545 B1 KR101077545 B1 KR 101077545B1 KR 1020090069266 A KR1020090069266 A KR 1020090069266A KR 20090069266 A KR20090069266 A KR 20090069266A KR 101077545 B1 KR101077545 B1 KR 1010775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ecological
image
imaging device
monitoring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9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1839A (ko
Inventor
백국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버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버트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버트론
Priority to KR1020090069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7545B1/ko
Publication of KR20110011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18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7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75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9/00Alarms responsive to two or more different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s, e.g. burglary and fire, abnormal temperature and abnormal rate of flow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17Surveillance camera constructional details
    • G08B13/1963Arrangements allowing camera rotation to change view, e.g. pivoting camera, pan-tilt and zoom [PTZ]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9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exact location of child or item using a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g. GP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태관찰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생태 영상을 촬영하여 송신하는 영상장치(10)와; 상기 영상장치(10)의 전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20)와; 상기 수신 데이터를 신호처리하는 모뎀(30)과; 상기 모뎀(30)의 처리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제 1, 2 모니터링부(40, 40')와; 상기 모뎀(30)의 처리 정보를 DB화 하여 저장 관리하는 데이터 종합 관리서버(50) 및; 상기 관리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60)로 구성되어 자체 부력으로 수면에 노출되는 태양광발전장치를 구비하여 시스템의 작동 전원을 자체적으로 발전함으로써 공급 전원의 중단에 의한 시스템의 작동중단 없이 사방의 영상을 24시간 실시간으로 촬영하여 그 영상을 원격으로 실시간 전송하여 모니터링 할 수 있고, 상하의 길이조절이 가능한 폴대로 촬영위치의 조절이 자유로우면서 닻을 이용하여 위치의 고정을 간편하게 할 수 있으며, 영상장치에 구비되는 부레함체 내에 GPS 수신기를 장착하여 영상의 촬영위치를 정확하게 나타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레함체 외부에 수온센서 및 수질센서를 연결설치하여 영상이 촬영되는 주변의 수온이나 수질 등의 분위기를 함께 모니터링 할 수 있는 각별한 장점이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생태관찰, 원격 모니터링, 영상장치, 모뎀.

Description

생태관찰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Remote monitoring system for life observation}
본 발명은 관찰하고자 하는 생태 영상을 촬영하여 모니터링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체 발전으로 사방의 영상을 24시간 실시간으로 촬영하여 그 영상을 원격으로 실시간 전송하여 모니터링 하고, 촬영위치의 조절이 자유로우면서 위치의 고정을 간편하게 하며, GPS 수신기를 장착하여 영상의 촬영위치를 정확하게 나타낼 수 있으면서 수온센서 및 수질센서 등을 연결 설치하여 영상이 촬영되는 주변의 수온이나 수질 등의 분위기를 함께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생태관찰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연환경의 변화에 따른 생태계의 변화는 각종 공해에 따른 자연환경의 오염 정도를 분석할 수 있는 것으로서, 수중의 생태계뿐만 아니라 지상의 생태계도 지속적으로 관찰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다.
특히 지구상의 물, 즉 수자원은 식수, 생활, 농업 및 공업 등, 인간의 생활에 있어서 필수적이고 광범위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수자원은 지구상에 엄청난 양으로 존재하지만, 환경문제로 인한 수자원의 오염이나 자연의 이상현상 등으로 전 세계적으로 물부족에 의한 기본적인 인간의 생활에 심각한 문제로 대두하고 있고, 이는 수자원이 국가의 경쟁력이 되어 가고 있는 실정이다.
더욱이 경제의 발전 및 성장에 수반하는 산업 및 국민생활의 원동력이 되는 수자원의 안정적인 공급이 필수적이지만, 국내의 수자원이 점차 부족해지는 현재 상황에서 점점 늘어가는 수자원의 수요에 적절한 공급이 이루어져 한다.
그러나 보다 효율적인 수자원의 이용이 중요한 과제로 대두하면서 특히 자연의 이상현상과 수질오염 등에 따른 자연생태계의 변화 및 수자원의 수요증가 등의 제반요인으로 인하여 수자원의 확보 및 관리와 공급 등이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수자원의 수질변화와 수요증가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미래지향적이고 합리적인 수자원 개발계획을 세우는 것이 매우 중요하고, 수자원의 효율적인 이용이 수자원의 개발과 함께 기존의 수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이 되고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수중의 생태계를 지속적으로 관찰하는 것이 우선되어야 한다.
즉, 수중의 생태계를 지속적으로 관찰하여 생태계의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분석결과에 따라 하천 상·하류의 댐들을 상호 연계하여 운영하는 최적운영 방안을 마련함으로써 거시적인 수자원의 활용이 자연과 인간의 친화적인 공생관계를 유지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최근 학교 등에서 학습자는 수중의 하천 상류 내지 하류를 오르내리면서 살고 있는 물고기의 이동사항(어군의 이동) 등 생태계에 관한 학습을 위해 영상 자료나 책자를 통하여 실내에서 학습할 뿐만 아니라 직접 야외의 수변(水邊)공원 즉, 하천 생태계가 양호하게 친환경적으로 조성한 하천주변의 공원으로 방문하여 현장학습을 하고 있다. 또한 수변공원에서 시민들은 기 설치된 하천시설물인 수중보(水中洑)와 어도(魚道) 주변에서 시시각각 변하는 수중 생태계에 대하여 관찰하면서 산책하고 있다.
이러한 관찰학습이나 수변공원의 시설물에서 수중 생태계를 관찰하고자 하는 경우 학습자 또는 시민은 날씨 등의 예보를 확인하거나 날씨상태에 따라 시간 등을 정하여 직접 현장에 방문하는 학습이나 산책을 하고 있다. 특히 관찰학습의 경우, 수중 생태계의 관찰대상 가운데 어군의 이동 등을 관찰하는 때에는 어군이 이동하는 때에만 어군을 관찰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학습자 또는 시민은 수변공원의 하천에 근접 관찰시 어군의 이동이 없어 어군이 나타나지 않아 어군 관찰 실패할 수 있으므로, 시간과 장소에 큰 제약을 받게 되고, 그 비용 또한 상당하여 많은 부담을 초래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실정을 고려하여 개발된 "수중생태 관찰시스템"이 실용신안등록 제0429319호로서 등록실용신안공보에 게시되어 있다.
상기 실용신안등록 제0429319호의 "수중생태 관찰시스템"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중에서 어군의 이동경로 및 수중상태를 쵤영하는데 적합한 장소(수로주변, 수로바닥, 수중보 등)에 설치되고 어군과 수중생태를 촬상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중 촬영장치(100)와; 디스플레이장치가 지상의 적정장소에 배치되고 상기 수중 촬영장치(100)가 촬상하는 영상을 처리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Digital Video Recorder;DVR,200)과; 상기 DVR(200)을 접속하고 상기 DVR(200)로부터 출력하는 영상화면 데이터를 추출하여 관리하는 관리서버(300)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중 촬영장치(100)와 상기 DVR(200)과 상기 관리서버(300)에 이르도록 방수처리되고 영상전기신호를 전송하는 전기신호선(cable; 3)을 구비하고, 상기 수중 촬영장치(100)는 전기신호선(3)을 통하여 각각 연결된 다수개가 설치되는 수중카메라(112, 114,ㆍㆍㆍ, 110n)와, 다수개가 설치되는 마이크(122, 124, ㆍㆍㆍ, 120n)와, 다수개가 설치되는 램프(132, 134,ㆍㆍㆍ, 130n)로 이루어지며, 상기 DVR(200)에는 지상 카메라(152)와 그에 연결된 램프3(1501) 및 마이크3(1502)로 구성되는 지상 촬영장치(150)가 연결되고, 인터넷망을 통해 주제어기(310)와 모뎀(310)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관리서버(300)가 연결됨과 더불어 PC(500a, 500b,ㆍㆍㆍ, 500n)가 와 다수의 디스플레이1(331)과 디스플레이2(332),ㆍㆍㆍ및 디스플레이(330n)가 연결된 구성으로 이루어져 상기 관리서버(300)로 상기 수중 카메라(100) 및 지상 촬영장치(150)에서 획득되는 영상데이터 등의 자료를 여러 사람이 동시에 볼 수 있도록 다수의 디스플레이1(331)과 디스플레이2(332),ㆍㆍㆍ및 디스플레이(330n)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의 "수중생태 관찰시스템"은 수중 촬영장치(100)의 설치위치를 조절하는 수단을 구비하지 않아 수중 촬영장치(100)의 위치를 수중 영상을 필요로 하는 위치로 조절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수중 영상이 얻어지는 곳의 위치도 나타낼 수 없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수중생태 관찰시스템"은 자체적인 발전수단을 구비하지 않아 시 스템을 구동하는 전원을 시스템과는 별도의 장비로부터 지속적으로 제공받지 못하는 경우에는 수중 촬영장치(100) 자체에 내장된 충전배터리를 수시로 교환하지 않으면 일정 기간만 시스템을 작동시킬 수 있으므로 수중 촬영장치(100)가 육지에서 멀리 떨어진 바다 등에 설치될 때에는 수중 촬영장치(100)에 전원을 용이하게 공급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종래 생태 관찰시스템에서 야기되는 여러 가지 결점 및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부레 역할을 부레함체의 자체 부력으로 수면에 노출되는 태양광발전장치를 구비하여 시스템의 작동 전원을 자체적으로 발전하여 공급하는 생태관찰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방의 영상을 24시간 실시간으로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원격으로 실시간 전송하여 모니터링 하고 상하의 길이조절이 가능한 폴대로 촬영위치의 조절이 자유로우면서 닻을 이용하여 위치의 고정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생태관찰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부레함체 내에 GPS 수신기를 장착하여 영상의 촬영위치를 정확하게 나타내고 부레함체 외부에 수온센서 및 수질센서 등을 연결설치하여 영상이 촬영되는 주변의 수온이나 수질 등의 분위기를 함께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생태관찰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생태관찰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은 관찰하고자 하는 생태영상을 전송하여 모니터링 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관찰하고자 하는 생태영상을 촬영하여 유무선으로 송신수신하는 영상장치와; 상기 영상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와; 상기 데이터 수신부와 인터넷 접속되어 데이터 수신부가 수신한 데이터를 신호처리하는 모뎀과; 상기 모뎀에서 신호처리한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제 1, 2 모니터링부와; 상기 모뎀에서 신호처리한 정보를 수신하여 DB화 하여 저장 관리하는 데이터 종합 관리서버 및; 상기 데이터 종합 관리서버(50)에서 관리하는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60)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 생태관찰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에 의하면, 부레 역할을 하는 부레함체의 자체 부력으로 수면에 노출되는 태양광발전장치를 구비하여 시스템의 작동 전원을 자체적으로 발전하여 공급함으로써 공급 전원의 중단에 의한 시스템의 작동중단 없이 사방의 영상을 24시간 실시간으로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원격으로 실시간 전송하여 모니터링 할 수 있으며, 상하의 길이조절이 가능한 폴대로 촬영위치의 조절이 자유로우면서 닻을 이용하여 위치의 고정을 간편하게 할 수 있고, 부레함체 내에 GPS 수신기를 장착하여 영상의 촬영위치를 정확하게 나타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레함체 외부에 수온센서 및 수질센서를 연결설치하여 영상이 촬영되는 주변의 수온이나 수질 등의 분위기를 함께 모니터링 할 수 있는 각별한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생태관찰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 생태관찰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장치의 제 1실시예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장치의 제 2실시예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장치의 제 3실시예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 생태관찰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의 사용상태 예시도로서, 본 발명 생태관찰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은 관찰하고자 하는 생태영상을 전송하여 모니터링 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관찰하고자 하는 생태영상을 촬영하여 유무선으로 원격 전송함과 더불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영상장치(10)와; 상기 영상장치(1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20)와; 상기 데이터 수신부(20)와 인터넷 접속되어 데이터 수신부(20)가 수신한 데이터를 신호처리하는 모뎀(30)과; 상기 모뎀(30)에서 신호처리한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제 1, 2 모니터링부(40, 40')와; 상기 모뎀(30)에서 신호처리한 정보를 수신하여 DB화 하여 저장 관리하는 데이터 종합 관리서버(50) 및; 상기 데이터 종합 관리서버(50)에서 관리하는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60)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상기 영상장치(10)는 통체로 이루어져 부레로서 작용하는 부레함체(11)와; 상기 부레함체(11)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태양전지셀 어레이(12a)와, 상기 태양전지셀 어레이(12a) 윗면에 구비되는 다수의 태양전지셀모듈(12b)과, 상기 부레함체(11) 내에 내장되는 제어부(12c) 및 충전배터리(12d)로 이루어지는 태양광발전장치(12)와; 상기 태양전지셀 어레이(12a) 상에 설치되는 송수신용 안테나(13)와; 상기 부레함체(11)의 중앙 하면에 연결 설치되는 폴대(14)와; 상기 부레함체(11) 내에 장착되는 데이터 송수신수단(15)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16)와; 상기 폴대(14)의 하단에 고정 설치되는 사방을 촬영할 수 있도록 단독 또는 복수로 설치되는 카메라(17a)를 구비하는 촬상장치(17)와; 상기 부레 함체(11)의 하면 일측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위치 고정용 닻(18)으로 이루어져 수중의 생태 영상을 촬영하여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영상장치(10)의 부레함체(11) 외부에는 수온센서, 수질센서, 초음파센서 등을 추가로 연결 설치하여 영상이 촬영되는 주변의 수온이나 수질, 및 음파관련 통신 및 정보 등을 검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영상장치(10)의 폴대(14)는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영상장치(10)에는 폴대(14)와는 별도로 또는 폴대(14)에 내장되는 조명수단(19)을 구비함과 더불어 GPS수신부(A)를 더 구비하는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태양광발전장치(12)의 다수의 태양전지셀모듈(12b)과 태양전지셀 어레이(12a)를 통해 발전되는 전원은 부레함체(11) 내의 제어부(12c)를 통해 충전배터리(12d)에 충전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충전배터리(12d)의 충전전압이 설정된 전압 이상인 경우에 영상장치(10)의 작동용 전원으로 사용되도록 제어부(12c)를 통해 제어하게 된다.
또한 필요시 제어부(12c)에 별도의 인버터를 연결 구성하여 태양광발전장치(12)의 발전 전원은 인버터로 변환한 후 전원을 필요로 하는 곳에 공급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폴대(14)는 조명수단(19)이 내장되는 부분이 투명한 강화유리로 형성하여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촬상장치(17)는 단독 또는 복수로 설치된 카메라(17a)에 의해 스틸(still) 이미지 또는 동영상 촬영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어부(12c)에는 리모콘 수신부를 추가로 구성하여 제어 부(12c)를 리모콘으로 작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데이터 수신부(20)는 상기 영상장치(10)의 촬영영상 데이터를 유무선으로 수신하여 인터넷을 통하여 상기 모뎀(30)으로 전송함과 더불어 수온센서 및 수질센서 등의 검출 데이터를 USN을 통해 수신하여 상기 모뎀(30)으로 전송하는 게이트웨이(gate way)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 1모니터링부(40)는 SMS(short message service)이거나 관제 모니터, 전광판 등이며, 제 2모니터링부(40')는 공공기관이나, 공단 또는 기업체 등의 관제실에 설치되어 있는 모니터 등이다.
상기 데이터 종합 관리서버(50)는 상기 모뎀(30)에서 신호처리한 영상장치(10)의 촬영영상 정보와 수온센서 및 수질센서의 검출 정보를 DB화 하여 저장 관리하는 것으로서, 저장 관리되는 정보를 필요에 따라 출력부(6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상기 영상장치(10)는 태양전지셀 어레이(12a)와, 상기 태양전지셀 어레이(12a) 윗면에 구비되는 다수의 태양전지셀모듈(12b)과, 점검함체(70) 내에 내장되는 제어부(12c) 및 충전배터리(12d)로 이루어지는 태양광발전장치(12)와; 상기 태양전지셀 어레이(12a) 상에 설치되는 송수신용 안테나(13)와; 사방을 촬영할 수 있도록 단독 또는 복수로 이루어진 카메라(17a)를 구비하는 촬상장치(17)와; 상기 촬상장치(17)의 하면에 분리 가능하게 세워져 설치되는 지주(80)와; 상기 지주(80)의 하단에 고정 설치되는 점검함체(70)와; 상기 점검함체(70) 내에 장착되는 데이터 송수신수단(15)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부(16)와; 상기 점검함체(70) 하면에 상부면이 고정되고, 하부면이 지상에 고정되는 지지대(90)로 이루어져 지상의 생태 영상을 촬영하여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영상장치(10)는 조명수단(19)을 더 구비하여 상기 조명수단(19)의 상부에 지지대(19a)를 통해 태양광발전장치(12)의 태양전지셀 어레이(12a)가 설치되고, 조명수단(19) 하면에 촬상장치(17)가 고정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영상장치(10)의 외부에는 온도센서, 습도센서, 기상센서 등을 추가로 연결 설치하여 영상이 촬영되는 주변의 온도와 습도 및 기상상태 등을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점검함체(70) 내에는 GPS수신부(A)를 더 구비하는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상기 영상장치(10)는 단독 또는 복수로 이루어진 카메라(17a)를 구비하는 촬상장치(17)와; 상기 촬상장치(17) 상에 설치되는 태양전지셀 어레이(12a)와, 상기 태양전지셀 어레이(12a) 윗면에 구비되는 다수의 태양전지셀모듈(12b)과, 촬상장치(17) 내에 내장되는 제어부(12c) 및 충전배터리(12d)로 이루어지는 태양광발전장치(12)와; 상기 태양전지셀 어레이(12a) 상에 설치되는 송수신용 안테나(13)와; 상기 촬상장치(17) 내에 장착되는 데이터 송수신수단(15)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16)와; 상기 촬상장치(17) 하면 중앙에 지지축(90a)을 통해 고정되는 지지대(91)와; 지지대의 일측 단부에 고정되는 설치대(92)로 이루어져 설치대로 수목에 설치되어 지상의 생태 영상을 촬영하여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영상장치(10)는 조명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영상장치(10)의 외부에는 온도센서, 습도센서, 기상센서 등을 추가로 연결 설치하여 영상이 촬영되는 주변의 온도와 습도 및 기상상태 등을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촬상장치(17) 내에는 GPS수신부(A)를 더 구비하는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생태관찰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수중의 생태를 관찰하고자 할 때는 도 3에 도시한 제 1실시예의 영상장치(10)를 수중의 생태를 관찰하고자 하는 곳마다 설치한다. 도 6은 5곳에 영상장치(10)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영상장치(10)를 설치할 때는 설치할 위치에서 수중에 닻(18)을 내려 영상장치의 위치를 고정하고, 리모콘으로 제어부(12c)를 작동시켜 제어부(12c)의 제어로 길이조절 폴대(14)의 길이를 조절하여 촬상장치(17)의 카메라(17a)가 관찰하고자 하는 위치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곳에 위치하도록 위치 설정한다.
이와 같이 하면, 부레함체(11) 자체의 부레 작용으로 부레함체(11)가 수면상에 부상되어 있는 상태로 되어 부레함체(11) 상부에 설치된 태양광발전장치(12)의 태양전지셀모듈(12b)과 태양전지셀 어레이(12a)에 의해 발전되는 전원은 부레함체(11) 내의 제어부(12c)를 통해 충전배터리(12d)에 충전되어 영상장치(10)의 작동용 전원으로 사용되게 된다.
그에 따라 촬상장치(17)의 카메라(17a)는 사방의 영상을 24시간 실시간으로 촬영하게 되고, 촬영된 스틸(still) 영상 또는 동영상은 메모리(16)에 저장됨과 더불어 송수신수단(15)과 송수신 안테나(13)를 통해 데이터 수신부(20)로 송신하게 되고, GPS 수신부(A)로부터 촬영되는 곳의 위치정보도 송수신수단(15)과 송수신 안테나(13)를 통해 데이터 수신부(20)로 송신하게 된다.
또한, 이때에는 영상장치(10)의 부레함체(11) 외부에 연결 설치된 수온센서 와 수질센서 등으로부터 검출되는 수온 및 수질 정보 등도 USN을 통해 데이터 수신부(20)로 송신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데이터 수신부(20)에 송신된 데이터는 이에 인터넷 접속되는 모뎀(30)으로 전송되어 신호처리된 후 모니터링을 필요로 하는 SMS(short message service), 관제 모니터, 전광판 등의 제 1모니터링부(40)나 공공기관, 공단 또는 기업체 등의 제 2모니터링부(40')를 통해 모니터링하거나 데이터 종합 관리서버(50)를 통해 영상장치(10)의 촬영영상 정보 및 수온센서 및 수질센서의 검출 정보 등을 DB화 하여 저장 관리하고, 저장 관리되는 정보의 출력이 필요하면, 출력부(60)를 통해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제 1모니터링부(40)나 제 2모니터링부(40'), 데이터 종합 관리서버(50) 및 출력부(60)로부터 생태를 관찰하고자 하는 곳의 위치와 영상뿐만 아니라 수온과 수질 등의 분위기를 실시간으로 모티터링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지상의 생태를 관찰하고자 할 때는 도 4에 도시한 제 2실시예의 영상장치(10)를 생태를 관찰하고자 하는 곳마다 설치하거나 도 5에 도시한 제 3실시예의 영상장치(10)를 생태를 관찰하고자 하는 곳마다 설치한다.
도 4에 도시한 제 2실시예의 영상장치(10)는 점검함체(70)와 지주(80) 및 지지대(90)를 이용하여 지상에 설치하는 것이고, 도 5에 도시한 제 3실시예의 영상장치(10)는 지지축(90a)과 지지대(91) 및 설치대(92)를 이용하여 수목에 직접 설치하는 것이다.
도 4, 5에 도시한 제 2, 3실시예의 영상장치(1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를 설치하게 되며, 각각의 영상장치(10)에 설치되어 있는 태양광발전장치(12)의 태양전지셀모듈(12b)과 태양전지셀 어레이(12a)에 의해 발전되는 전원은 점검함체(70) 또는 촬상장치(17) 내의 제어부(12c)를 통해 충전배터리(12d)에 충전되어 영상장치(10)의 작동용 전원으로 사용되게 된다.
그에 따라 촬상장치(17)의 카메라(17a)는 사방의 영상을 24시간 실시간으로 촬영하게 되고, 촬영된 스틸(still) 영상 또는 동영상은 메모리(16)에 저장됨과 더불어 송수신수단(15)과 송수신 안테나(13)를 통해 데이터 수신부(20)로 송신하게 되고, GPS 수신부(16)로부터 촬영되는 곳의 위치정보도 송수신수단(15)과 송수신 안테나(13)를 통해 데이터 수신부(20)로 송신하게 된다.
또한, 이때에는 영상장치(10) 외부에 연결 설치된 온도센서와 습도센서 및 기상센서 등으로부터 검출되는 온도와 습도 및 기상정보 등도 USN을 통해 데이터 수신부(20)로 송신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데이터 수신부(20)에 송신된 데이터는 이에 인터넷 접속되는 모뎀(30)으로 전송되어 신호처리된 후 모니터링을 필요로 하는 SMS(short message service), 관제 모니터, 전광판 등의 제 1모니터링부(40)나 공공기관, 공단 또는 기업체 등의 제 2모니터링부(40')를 통해 모니터링하거나 데이터 종합 관리서버(50)를 통해 영상장치(10)의 촬영영상 정보 및 온도센서와 습도센서 및 기상센서 등의 검출 정보를 DB화 하여 저장 관리하고, 저장 관리되는 정보의 출력이 필요하면, 출력부(60)를 통해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제 1모니터링부(40)나 제 2모니터링부(40'), 데이터 종합 관리서버(50) 및 출력부(60)로부터 생태를 관찰하고자 하는 곳의 위치와 영상뿐만 아니라 온도와 습도 및 기상센서 등의 분위기를 실시간으로 모티터링 할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발명의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 수중생태 관찰시스템을 나타낸 블럭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생태관찰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장치의 제 1실시예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장치의 제 2실시예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장치의 제 3실시예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 생태관찰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의 사용상태 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영상장치 11 : 부레함체
12 : 태양광발전장치 12a : 태양전지셀 어레이
12b : 태양전지셀모듈 12c : 제어부
12d : 충전배터리 13 : 송수신 안테나
14 : 폴대 15 : 송수신수단
16 : 메모리부 17 : 촬상장치
17a : 카메라 18 : 닻
19 : 조명수단 19a : 지지대
20 : 데이터 수신부 30 : 모뎀
40, 40' : 제 1, 2 모니터링부 50 : 데이터 종합 관리서버
60 : 출력부 70 : 점검함체
80 : 지주 90 : 지지대
90a : 지지축 91 : 지지대
92 : 설치대 A : GPS 수신부

Claims (18)

  1. 관찰하고자 하는 생태영상을 원격으로 전송하여 모니터링 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관찰하고자 하는 생태영상을 촬영하여 원격으로 송신하는 영상장치(10)와; 상기 영상장치(1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20)와; 상기 데이터 수신부(20)와 인터넷 접속되어 데이터 수신부(20)가 수신한 데이터를 신호처리하는 모뎀(30)과; 상기 모뎀(30)에서 신호처리한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제 1, 2 모니터링부(40, 40')와; 상기 모뎀(30)에서 신호처리한 정보를 수신하여 DB화 하여 저장 관리하는 데이터 종합 관리서버(50) 및; 상기 데이터 종합 관리서버(50)에서 관리하는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60)로 구성된 생태관찰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영상장치(10)는 태양전지셀 어레이(12a)와, 상기 태양전지셀 어레이(12a) 윗면에 구비되는 다수의 태양전지셀모듈(12b)과, 점검함체(70) 내에 내장되는 제어부(12c) 및 충전배터리(12d)로 이루어지는 태양광발전장치(12)와; 사방을 촬영할 수 있도록 단독 또는 복수로 이루어진 카메라(17a)를 구비하는 촬상장치(17)와; 상기 촬상장치(17)의 하면에 세워져 설치되는 지주(80)와; 상기 지주(80)의 하단에 고정 설치되는 점검함체(70)와; 상기 점검함체(70) 하면에 상부면이 고정되고, 하부면이 지상에 고정되는 지지대(90)로 구성되어 지상의 생태 영상을 촬영하여 모니터링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관찰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장치(10)는 조명수단(19)을 더 구비하여 상기 태양광발전장치(12)의 하부에 지지대(19a)를 통해 조명수단(19) 및 촬상장치(17)가 고정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관찰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장치(10)의 점검함체(70)에는 타 영상장치(10) 및 데이터 수신부(20)와 데이터 통신을 위한 데이터 송수신 수단(15)과, 상기 영상 장치(10)의 일정 위치에 송수신 안테나(13)와, 데이터 통신하기 전 점검함체(70) 자체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16)로 구성되어 지상의 생태 영상을 촬영하여 모니터링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관찰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장치(10)의 외부에는 온도센서, 습도센서, 기상센서가 추가로 연결 설치되어 영상이 촬영되는 주변의 온도와 습도 및 기상상태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관찰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장치(10)의 지주(80)는 상기 촬상장치(17) 하면에서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관찰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장치(10)는 단독 또는 복수로 이루어진 카메 라(17a)를 구비하는 촬상장치(17)와; 상기 촬상장치(17) 상에 설치되는 태양전지셀 어레이(12a)와, 상기 태양전지셀 어레이(12a) 윗면에 구비되는 다수의 태양전지셀모듈(12b)과, 촬상장치(17) 내에 내장되는 제어부(12c) 및 충전배터리(12d)로 이루어지는 태양광발전장치(12)와; 상기 영상장치(10)의 일정 위치에 설치되는 송수신용 안테나(13)와; 상기 촬상장치(17) 내에 장착되는 데이터 송수신수단(15)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16)와; 상기 촬상장치(17) 하면 중앙에 지지축(90a)을 통해 고정되는 지지대(91)와 지지대의 일측 단부에 고정되는 설치대(92)로 이루어져 설치대(92)로 수목에 설치되어 지상의 생태 영상을 촬영하여 모니터링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관찰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장치(10)에는 조명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관찰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장치(10)의 외부에는 온도센서, 습도센서, 기상센서가 추가로 연결 설치되어 영상이 촬영되는 주변의 온도와 습도 및 기상상태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관찰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장치(10)에 GPS수신부(A)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관찰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090069266A 2009-07-29 2009-07-29 생태관찰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KR1010775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9266A KR101077545B1 (ko) 2009-07-29 2009-07-29 생태관찰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9266A KR101077545B1 (ko) 2009-07-29 2009-07-29 생태관찰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839A KR20110011839A (ko) 2011-02-09
KR101077545B1 true KR101077545B1 (ko) 2011-10-28

Family

ID=43771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9266A KR101077545B1 (ko) 2009-07-29 2009-07-29 생태관찰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75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4829B1 (ko) * 2011-04-05 2013-03-18 모터웰 주식회사 자중 회전 낙하형 수중영상취득장치
KR101813469B1 (ko) * 2015-05-06 2017-12-29 동강엠텍(주) 수중 온도 수집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7755A (ja) 2001-07-26 2003-02-07 Fuji Photo Optical Co Ltd 水中監視システム
KR200429319Y1 (ko) * 2006-08-07 2006-10-20 (주)엘포드 수중생태 관찰시스템
JP2008110656A (ja) * 2006-10-30 2008-05-15 Kenwood Corp 水中撮影ブ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7755A (ja) 2001-07-26 2003-02-07 Fuji Photo Optical Co Ltd 水中監視システム
KR200429319Y1 (ko) * 2006-08-07 2006-10-20 (주)엘포드 수중생태 관찰시스템
JP2008110656A (ja) * 2006-10-30 2008-05-15 Kenwood Corp 水中撮影ブ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839A (ko) 2011-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6942B1 (ko) 실시간 해양생물 관측장치 및 방법
CN203561360U (zh) 生态浮标监测系统
ES2915690T3 (es) Sistema y método para la detección de murciélagos y su impacto en instalaciones eólicas
KR20190019830A (ko) 자가발전이 가능한 IoT 기반의 시설물 관리 시스템
CN110243412B (zh) 一种湿地环境因子采集装置
CN108965798B (zh) 岸滩鸟类的分布式近距离全景监测终端、系统及布局方法
CN103729969B (zh) 嵌入式地质灾害视频监控预警系统及方法
CN210745204U (zh) 一种红树林智能监测预警系统
KR101992257B1 (ko) 해양생물 모니터링 시스템
CN209945423U (zh) 一种湿地环境因子采集装置
CN103175946A (zh) 一种浅水湖泊湖泛自动监测系统及湖泛自动监测方法
KR20100091860A (ko) 파력가동 및 태양전지 병행식 자가발전등부표
CN206776488U (zh) 网箱养殖多参数自动监控系统
CN109238241B (zh) 一种配电线路车载自动巡检系统及其巡检方法
CN102589532A (zh) 海洋台站自动观测系统
KR101077545B1 (ko) 생태관찰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Joslin et al. The wave-powered adaptable monitoring package: hardware design, installation, and deployment
US20110063434A1 (en) Monitor system for monitoring riverbed elevation change at bridge pier
CN206876691U (zh) 一种视频图像和水质参数分流输送的物联网养殖系统
KR20070076922A (ko) 정치망 감시 시스템 및 장치, 방법
KR200429319Y1 (ko) 수중생태 관찰시스템
CN108981795A (zh) 一种无人艇水域环境监测系统
CN113747064A (zh) 一种水下生物自动探测拍摄系统及其方法
CN205408007U (zh) 一种智能移动监控系统
JP3212029U (ja) 遠隔監視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