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5466B1 - 현열냉방기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현열냉방기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5466B1
KR101675466B1 KR1020150043890A KR20150043890A KR101675466B1 KR 101675466 B1 KR101675466 B1 KR 101675466B1 KR 1020150043890 A KR1020150043890 A KR 1020150043890A KR 20150043890 A KR20150043890 A KR 20150043890A KR 101675466 B1 KR101675466 B1 KR 1016754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indoor
outdoor
air blower
intak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3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6371A (ko
Inventor
박진형
Original Assignee
(주)테스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테스코리아 filed Critical (주)테스코리아
Priority to KR1020150043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5466B1/ko
Publication of KR20160116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63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5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54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24F11/0009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8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 F24F11/0012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 F24F2140/50Lo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어기(100), 실내기(200), 실외기(300)로 구성된 현열냉방기를 이용하여 실내의 온도를 제어하는 현열냉방기 제어방법에 있어서, 실외 댐퍼(210)는 구동시키고 실내공기송풍기(220), 실외공기송풍기(230)는 예비운전하는 예비운전단계(S1);와, 실내설정온도(Ts) 및 기준냉방능력값(Q)을 설정하고, 구동시스템을 ON/OFF 하는 구동설정단계(S2);와, 실내흡입공기온도(Ti), 1차 실내토출온도(Td1), 2차 실내토출온도(Td2)를 수신받고, 제1, 2차 냉방능력값(Q1, Q2)을 계산하는 제어기(100)를 설정하는 제어설정단계(S3);와, 상기 실내설정온도(Ts)와 실내흡입공기온도(Ti)를 비교하고, 상기 실내설정온도(Ts)가 실내흡입공기온도(Ti)보다 낮으면 제2 비교단계로 진행되는 제1 비교단계(S4);와, 실외온도(To)와 상기 실내흡입공기온도(Ti)를 비교하고, 상기 실외온도(To)가 실내흡입공기온도(Ti)보다 낮으면 제3 비교단계로 진행되는 제2 비교단계(S5);와, 상기 실내흡입공기온도(Ti)와 실외온도(To)의 차가 5℃보다 높으면 상기 실내공기송풍기(220)와 실외공기송풍기(230)를 구동하는 제3 단계(S6);와, 상기 2차 실내토출온도(Td2)에 2℃를 더한 값이 상기 실내흡입공기온도(Ti)보다 낮으면 제5 비교단계로 진행되는 제4 비교단계(S7);와, 상기 제1차 냉방능력값(Q1)이 상기 기준냉방능력값(Q)보다 크면 상기 실내공기송풍기(220) 및 실외공기송풍기(230)의 구동을 유지하는 제5 비교단계(S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열냉방기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현열냉방기 제어방법{Sensible air conditioning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현열냉방기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제어기(100), 실내기(200), 실외기(300)로 구성된 현열냉방기를 이용하여 실내의 온도를 제어하는 현열냉방기 제어방법에 있어서, 실외 댐퍼(210)는 구동시키고 실내공기송풍기(220), 실외공기송풍기(230)는 예비운전하는 예비운전단계(S1);와, 실내설정온도(Ts) 및 기준냉방능력값(Q)을 설정하고, 구동시스템을 ON/OFF 하는 구동설정단계(S2);와, 실내흡입공기온도(Ti), 1차 실내토출온도(Td1), 2차 실내토출온도(Td2)를 수신받고, 제1, 2차 냉방능력값(Q1, Q2)을 계산하는 제어기(100)를 설정하는 제어설정단계(S3);와, 상기 실내설정온도(Ts)와 실내흡입공기온도(Ti)를 비교하고, 상기 실내설정온도(Ts)가 실내흡입공기온도(Ti)보다 낮으면 제2 비교단계로 진행되는 제1 비교단계(S4);와, 실외온도(To)와 상기 실내흡입공기온도(Ti)를 비교하고, 상기 실외온도(To)가 실내흡입공기온도(Ti)보다 낮으면 제3 비교단계로 진행되는 제2 비교단계(S5);와, 상기 실내흡입공기온도(Ti)와 실외온도(To)의 차가 5℃보다 높으면 상기 실내공기송풍기(220)와 실외공기송풍기(230)를 구동하는 제3 단계(S6);와, 상기 2차 실내토출온도(Td2)에 2℃를 더한 값이 상기 실내흡입공기온도(Ti)보다 낮으면 제5 비교단계로 진행되는 제4 비교단계(S7);와, 상기 제1차 냉방능력값(Q1)이 상기 기준냉방능력값(Q)보다 크면 상기 실내공기송풍기(220) 및 실외공기송풍기(230)의 구동을 유지하는 제5 비교단계(S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열냉방기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방기는 지속적으로 열이 발생되는 전산실이나 통신실 또는 일반 사무실이나 주택 등의 냉방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냉방기는 다양한 실시예로 구성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되고 있는데, 그 중 하기 특허문헌 1의 “현열교환기를 구비하는 통신기지국의 복합냉방장치와 그 제어방법(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35120호)”은 외기를 이용한 현열교환기와 냉매를 이용하여 냉방을 하는 냉방장치를 복합적으로 사용하였다.
상기 특허문헌 1의 “현열교환기를 구비하는 통신기지국의 복합냉방장치와 그 제어방법”은 기존의 냉방장치에 현열교환기를 연결 사용함으로써, 외기냉방에 의한 에너지 절약이 기대되고 오존층을 파괴시키는 물질을 줄인 HFC계인 대체냉매를 적용하여 지구온난화 현상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였으나, 현열교환기를 사용하는 범위가 제한적이어서 대부분의 냉방을 냉매를 이용한 냉방기에 의존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지역적이나 기후 환경에 따라 현열교환기만으로 충분하게 냉방이 가능한 경우, 불필요하게 냉매를 이용한 냉방장치를 복합적으로 설치함으로써, 사용상의 경제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35120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냉방능력을 설정하고 계산하는 제어기가 구비된 현열냉방기를 이용하여, 냉방능력에 따라 현열교환기 및 인버터압축기의 구동여부를 결정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시키는 동시에 경제성을 높일 수 있는 현열냉방기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현열냉방기 제어방법은, 제어기(100), 실내기(200), 실외기(300)로 구성된 현열냉방기를 이용하여 실내의 온도를 제어하는 현열냉방기 제어방법에 있어서, 실외 댐퍼(210)는 구동시키고 실내공기송풍기(220), 실외공기송풍기(230)는 예비운전하는 예비운전단계(S1);와, 실내설정온도(Ts) 및 기준냉방능력값(Q)을 설정하고, 구동시스템을 ON/OFF 하는 구동설정단계(S2);와, 실내흡입공기온도(Ti), 1차 실내토출온도(Td1), 2차 실내토출온도(Td2)를 수신받고, 제1, 2차 냉방능력값(Q1, Q2)을 계산하는 제어기(100)를 설정하는 제어설정단계(S3);와, 상기 실내설정온도(Ts)와 실내흡입공기온도(Ti)를 비교하고, 상기 실내설정온도(Ts)가 실내흡입공기온도(Ti)보다 낮으면 제2 비교단계로 진행되는 제1 비교단계(S4);와, 실외온도(To)와 상기 실내흡입공기온도(Ti)를 비교하고, 상기 실외온도(To)가 실내흡입공기온도(Ti)보다 낮으면 제3 비교단계로 진행되는 제2 비교단계(S5);와, 상기 실내흡입공기온도(Ti)와 실외온도(To)의 차가 5℃보다 높으면 상기 실내공기송풍기(220)와 실외공기송풍기(230)를 구동하는 제3 단계(S6);와, 상기 2차 실내토출온도(Td2)에 2℃를 더한 값이 상기 실내흡입공기온도(Ti)보다 낮으면 제5 비교단계로 진행되는 제4 비교단계(S7);와, 상기 제1차 냉방능력값(Q1)이 상기 기준냉방능력값(Q)보다 크면 상기 실내공기송풍기(220) 및 실외공기송풍기(230)의 구동을 유지하는 제5 비교단계(S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비교단계(S4)에서, 상기 실내설정온도(Ts)가 실내흡입공기온도(Ti)보다 높으면 상기 구동설정단계(S2)로 이동하고,
상기 제2 비교단계(S5)에서, 상기 실외온도(To)가 실내흡입공기온도(Ti)보다 높으면 인버터압축기(240) 및 실내공기송풍기(220), 실외기송풍기(310)는 구동시키고, 실외공기송풍기(230) 및 실외댐퍼(210)는 정지시키며,
상기 제3 비교단계(S6)에서, 상기 실내흡입공기온도(Ti)와 실외온도(To)의 차가 5℃보다 낮으면 상기 인버터압축기(240) 및 실내공기송풍기(220), 실외기송풍기(310)는 구동시키고, 상기 실외공기송풍기(230) 및 실외댐퍼(210)는 정지시키며,
상기 제4 비교단계(S7)에서, 상기 2차 실내토출온도(Td2)에 2℃를 더한 값이 상기 실내흡입공기온도(Ti)보다 높으면 상기 인버터압축기(240) 및 실내공기송풍기(220), 실외기송풍기(310)는 구동시키고, 상기 실외공기송풍기(230) 및 실외댐퍼(210)는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1차 냉방능력값(Q1)이 상기 기준냉방능력(Q)보다 작으면, 상기 인버터압축기(240) 및 상기 실내공기송풍기(220), 실외기송풍기(310), 실외공기송풍기(230), 실외댐퍼(210)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냉방능력을 설정하고 계산하는 제어기가 구비된 현열냉방기를 이용하여, 냉방능력에 따라 현열교환기 및 인버터압축기의 구동여부를 결정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시키는 동시에 경제성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현열냉방기의 전체 구성을 보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현열냉방기 제어방법에 대한 제어순서를 나타낸 순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열냉방기 제어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발명의 현열냉방기 제어방법은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크게 예비운전단계(S1), 구동설정단계(S2), 제어설정단계(S3), 제1 비교단계(S4), 제2 비교단계(S5), 제3 비교단계(S6), 제4 비교단계(S7), 제5 비교단계(S8)로 구성된다.
상기 예비운전단계(S1)는 실외 댐퍼(210)는 구동시키고 실내공기송풍기(220), 실외공기송풍기(230)는 예비운전하는 단계로서, 이 때, 상기 실내공기송풍기(220)와 실외공기송풍기(230)는 3분간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설정단계(S2)는 실내설정온도(Ts) 및 기준냉방능력값(Q)을 설정하고, 사용자의 조작여부 또는 시스템설정에 따라 구동시스템을 구동시키거나 정지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어설정단계(S3)는 실내기(200)에 설치된 제1, 2, 3, 4 온도센서(260, 270, 280, 290)로부터 실외온도(To), 실내흡입공기온도(Ti), 1차 실내토출온도(Td1), 2차 실내토출온도(Td2)를 수신받고, 이를 토대로 기준냉방능력값(Q)와 제1, 2차 냉방능력값(Q1, Q2)를 비교하여 실외댐퍼(210), 실내공기송풍기(220), 실외공기송풍기(230), 인버터압축기(240), 현열교환기(250) 및 실외기송풍기(310)의 구동을 제어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1 비교단계(S4)는 실내설정온도(Ts)와 실내흡입공기온도(Ti)를 비교하는 단계로서, 상기 실내설정온도(Ts)가 실내흡입공기온도(Ti)보다 낮으면 제2 비교단계로 진행되고, 상기 실내설정온도(Ts)가 실내흡입공기온도(Ti)보다 높으면 구동설정단계(S2)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2 비교단계(S5)는 실외온도(To)와 실내흡입공기온도(Ti)를 비교하는 단계로서, 상기 실외온도(To)가 실내흡입공기온도(Ti)보다 낮으면 제3 비교단계로 진행되고, 상기 실외온도(To)가 실내흡입공기온도(Ti)보다 높으면 인버터압축기(240) 및 실내공기송풍기(220), 실외기송풍기(310)는 구동시키고, 실외공기송풍기(230) 및 실외댐퍼(210)는 정지시킨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제3 단계(S6)에서는 실내흡입공기온도(Ti)와 실외온도(To)의 차가 5℃보다 높으면 실내공기송풍기(220)와 실외공기송풍기(230)를 구동하고, 실내흡입공기온도(Ti)와 실외온도(To)의 차가 5℃보다 낮으면 인버터압축기(240) 및 실내공기송풍기(220), 실외기송풍기(310)는 구동시키고, 실외공기송풍기(230) 및 실외댐퍼(210)는 정지시킨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제4 비교단계(S7)는 2차 실내토출온도(Td2)에 2℃를 더한 값이 실내흡입공기온도(Ti)보다 낮으면 제5 비교단계로 진행되고, 2차 실내토출온도(Td2)에 2℃를 더한 값이 실내흡입공기온도(Ti)보다 높으면 인버터압축기(240) 및 실내공기송풍기(220), 실외기송풍기(310)는 구동시키고, 실외공기송풍기(230) 및 실외댐퍼(210)는 정지시킨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제5 비교단계(S8)는 제1차 냉방능력값(Q1)이 기준냉방능력값(Q)보다 크면 실내공기송풍기(220) 및 실외공기송풍기(230)의 구동을 유지하여 현열교환기(250)로만 현열냉방기를 작동시키는 상태가 된다.
한편, 1차 냉방능력값(Q1)이 기준냉방능력(Q)보다 작으면, 인버터압축기(240) 및 실내공기송풍기(220), 실외기송풍기(310), 실외공기송풍기(230), 실외댐퍼(210)를 구동시키게 되어 인버터압축기(240) 및 현열교환기(250)로 현열냉방기를 작동시키는 상태가 된다.
이 때, 인버터압축기(240)의 가동률은 기준냉방능력(Q)에서 1차 냉방능력값(Q1)의 차로 인해 계산된 2차 냉방능력값(Q2)만큼 가동하게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인해, 상기 제어기(100)가 실외온도(To), 실내흡입공기온도(Ti), 1차 실내토출온도(Td1), 2차 실내토출온도(Td2) 값들과 이 값들을 통해 얻어진 제1차 냉방능력값(Q1)과 기준냉방능력값(Q)을 비교하여 설정된 제어에 따라 상기 현열교환기(250)만 구동하거나 상기 인버터압축기(240) 및 현열교환기(250)를 동시에 구동시킴으로써, 헌열냉방기의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시키는 동시에 경제성을 높이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제어기
200: 실내기
210: 실외 댐퍼 220: 실내공기송풍기
230: 실외공기송풍기 240: 인터버압축기
250: 현열교환기 260: 제1 온도센서
270: 제2 온도센서 280: 제3 온도센서
290: 제4 온도센서
300: 실외기
310: 실외기송풍기
Ts: 실내설정온도 Ti: 실내흡입공기온도
Td1: 1차 실내토출온도 Td2: 2차 실내토출온도
To: 실외온도
Q: 기준냉방능력값
Q1: 제1차 냉방능력값 Q2: 제2차 냉방능력값

Claims (3)

  1. 삭제
  2. 제어기(100), 실내기(200), 실외기(300)로 구성된 현열냉방기를 이용하여 실내의 온도를 제어하는 현열냉방기 제어방법에 있어서,
    실외 댐퍼(210)는 구동시키고 실내공기송풍기(220), 실외공기송풍기(230)는 예비운전하는 예비운전단계(S1);
    실내설정온도(Ts) 및 기준냉방능력값(Q)을 설정하고, 구동시스템을 ON/OFF 하는 구동설정단계(S2);
    실내흡입공기온도(Ti), 1차 실내토출온도(Td1), 2차 실내토출온도(Td2)를 수신받고, 제1, 2차 냉방능력값(Q1, Q2)을 계산하는 제어기(100)를 설정하는 제어설정단계(S3);
    상기 실내설정온도(Ts)와 실내흡입공기온도(Ti)를 비교하고, 상기 실내설정온도(Ts)가 실내흡입공기온도(Ti)보다 낮으면 제2 비교단계로 진행되는 제1 비교단계(S4);
    실외온도(To)와 상기 실내흡입공기온도(Ti)를 비교하고, 상기 실외온도(To)가 실내흡입공기온도(Ti)보다 낮으면 제3 비교단계로 진행되는 제2 비교단계(S5);
    상기 실내흡입공기온도(Ti)와 실외온도(To)의 차가 5℃보다 높으면 상기 실내공기송풍기(220)와 실외공기송풍기(230)를 구동하는 제3 단계(S6);
    상기 2차 실내토출온도(Td2)에 2℃를 더한 값이 상기 실내흡입공기온도(Ti)보다 낮으면 제5 비교단계로 진행되는 제4 비교단계(S7);
    상기 제1차 냉방능력값(Q1)이 상기 기준냉방능력값(Q)보다 크면 상기 실내공기송풍기(220) 및 실외공기송풍기(230)의 구동을 유지하는 제5 비교단계(S8);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비교단계(S4)에서,
    상기 실내설정온도(Ts)가 실내흡입공기온도(Ti)보다 높으면 상기 구동설정단계(S2)로 이동하고,
    상기 제2 비교단계(S5)에서,
    상기 실외온도(To)가 실내흡입공기온도(Ti)보다 높으면 인버터압축기(240) 및 실내공기송풍기(220), 실외기송풍기(310)는 구동시키고, 실외공기송풍기(230) 및 실외댐퍼(210)는 정지시키며,
    상기 제3 비교단계(S6)에서,
    상기 실내흡입공기온도(Ti)와 실외온도(To)의 차가 5℃보다 낮으면 상기 인버터압축기(240) 및 실내공기송풍기(220), 실외기송풍기(310)는 구동시키고, 상기 실외공기송풍기(230) 및 실외댐퍼(210)는 정지시키며,
    상기 제4 비교단계(S7)에서,
    상기 2차 실내토출온도(Td2)에 2℃를 더한 값이 상기 실내흡입공기온도(Ti)보다 높으면 상기 인버터압축기(240) 및 실내공기송풍기(220), 실외기송풍기(310)는 구동시키고, 상기 실외공기송풍기(230) 및 실외댐퍼(210)는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열냉방기 제어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5 비교단계(S8)에서,
    상기 1차 냉방능력값(Q1)이 상기 기준냉방능력(Q)보다 작으면, 상기 인버터압축기(240) 및 상기 실내공기송풍기(220), 실외기송풍기(310), 실외공기송풍기(230), 실외댐퍼(210)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열냉방기 제어방법.
KR1020150043890A 2015-03-30 2015-03-30 현열냉방기 제어방법 KR1016754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3890A KR101675466B1 (ko) 2015-03-30 2015-03-30 현열냉방기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3890A KR101675466B1 (ko) 2015-03-30 2015-03-30 현열냉방기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6371A KR20160116371A (ko) 2016-10-10
KR101675466B1 true KR101675466B1 (ko) 2016-11-11

Family

ID=57146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3890A KR101675466B1 (ko) 2015-03-30 2015-03-30 현열냉방기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546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8247B1 (ko) * 2017-05-19 2018-04-12 (주)테스코리아 현열모듈냉방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1141004A (zh) * 2020-01-07 2020-05-12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器的控制方法、装置和空调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85344A (zh) * 2017-04-01 2017-06-23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空调控制方法及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8338B1 (ko) * 2012-04-10 2014-02-27 김해중 외기 도입 냉방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5120B1 (ko) 2007-08-07 2008-06-05 이상운 현열교환기를 구비하는 통신기지국의 복합냉방장치와 그제어방법
KR20110097203A (ko) * 2010-02-25 2011-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히트 펌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8338B1 (ko) * 2012-04-10 2014-02-27 김해중 외기 도입 냉방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8247B1 (ko) * 2017-05-19 2018-04-12 (주)테스코리아 현열모듈냉방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1141004A (zh) * 2020-01-07 2020-05-12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器的控制方法、装置和空调器
CN111141004B (zh) * 2020-01-07 2022-01-25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器的控制方法、装置和空调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6371A (ko) 2016-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28049B2 (ja) 空調装置
CN112567183B (zh) 空调装置、控制装置、空气调节方法以及存储介质
JP6125039B2 (ja) 空調制御装置
US1016166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heat dehumidification with variable speed outdoor fan
CN105157168A (zh) 一种空调器除湿控制方法、控制器及空调器
JP5911590B2 (ja) 空気調和装置
JP6781395B2 (ja) 空気調和機
KR101675466B1 (ko) 현열냉방기 제어방법
JP2010261617A (ja) 空気調和システム
EP2354692A2 (en) Air conditioner, control method thereof and dehumidifying method thereof
CN108626851A (zh) 一种空调设备的控制方法及空调设备
JP6363428B2 (ja) 熱媒体循環システム
JP5973076B2 (ja) 温水型暖房装置
JP6932264B2 (ja) 空調装置、制御装置、空調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698947B1 (ja) 空調装置、制御装置、空調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912349B2 (ja) 温調システム
WO2018078709A1 (ja) 空調システム、空調制御装置、空調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512655B1 (ko) 실내온도 제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냉난방 방법
JPWO2020035907A1 (ja) 空調装置、制御装置、空調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7170491A1 (ja) 制御装置、空調システム、空調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016601B2 (ja) 空調装置、制御装置、空調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490095B2 (ja) 空気調和システム
KR101153422B1 (ko) 에어컨 운전 제어 방법
KR20150122374A (ko) 공기 조화기의 소비 전력 절감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공기 조화기
US20170146254A1 (en) Green HVAC for commercia buildings/warehouses/multi level residenti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