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8247B1 - 현열모듈냉방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현열모듈냉방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8247B1
KR101848247B1 KR1020170061978A KR20170061978A KR101848247B1 KR 101848247 B1 KR101848247 B1 KR 101848247B1 KR 1020170061978 A KR1020170061978 A KR 1020170061978A KR 20170061978 A KR20170061978 A KR 20170061978A KR 101848247 B1 KR101848247 B1 KR 1018482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oor
temperature
cooling
air temperature
cool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1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형
Original Assignee
(주)테스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테스코리아 filed Critical (주)테스코리아
Priority to KR1020170061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82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8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82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0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 for the subsequent treatment of primary air in the room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8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 F24F11/83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s to heat-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46Improving electric energy efficiency or sav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8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 F24F11/83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s to heat-exchangers
    • F24F11/8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s to heat-exchangers us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3Exclusively-fluid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 F24F5/001Compression cycle type
    • F25B41/062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F25B49/022Compressor contro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24F2110/12Temperature of the outsid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02Compressor control
    • F25B2600/021Inverter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기 및 실외기에 모듈방식의 실외 및 실내모듈열교환기를 설치함으로써, 여름철에는 실내공기순환팬, 응축기팬 및 프레온계열의 냉매를 이용하는 압축기를 가동하고, 실외온도가 실내온도보다 낮은 봄, 가을, 겨울에는 냉각수라인에 연결된 냉각수펌프로 실외 및 실내모듈열교환기를 가동하여 냉방 용량을 증가시키면서도 압축기의 냉방 부하를 저하시켜 전력소모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현열모듈냉방장치 및 그 제어방법{Cooling equipment of Sensible Module and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현열모듈냉방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제1 하우징(110)과, 상기 제1 하우징(110)의 중앙에 구비되는 응축기팬(120)과, 상기 제1 하우징(110)의 일측에 구비되는 응축기(130)와, 상기 응축기(130)의 인접한 곳에 형성되어 실외온도를 측정하는 제1 온도센서(140)와, 상기 제1 하우징(110)의 타측에 모듈방식으로 결합되는 실외모듈열교환기(150)와, 냉각수 탱크(160)와, 상기 냉각수 탱크(160)의 냉각수를 강제순환시키는 냉각수 펌프(170)로 구성되는 실외기(100);와, 제2 하우징과(210), 상기 제2 하우징(210)의 일측에 형성되어 실내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220)와, 상기 응축기(130)와 연결된 냉매 라인(L2)을 통해 순환하는 냉매를 압축하는 인버터 압축기(230)와, 압축된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밸브(240)와, 상기 제2 하우징(210)의 전면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팽창된 냉매를 증발시켜 흡입된 실내공기를 냉각하는 증발기(250)와, 상기 증발기(250)의 인접한 곳에 형성되어 흡입된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 온도센서(260)와, 상기 증발기(250)의 후면측에 설치되고 상기 냉각수 펌프(170)와 연결된 냉각수 라인(L1)을 통해서 순환하는 냉각수에 의해 상기 증발기(250)를 통과한 공기를 냉각하는 실내모듈열교환기(270)와, 상기 실내모듈열교환기(270)의 인접한 곳에 형성되어 상기 증발기(250)를 통과한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3 온도센서(280)와, 냉각된 공기를 토출시키는 실내공기순환팬(290)으로 구성되는 실내기(200);와, 상기 실외기(100) 및 상기 실내기(2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기(3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열모듈냉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방기는 지속적으로 열이 발생되는 전산실이나 통신실 또는 일반 사무실이나 주택 등의 냉방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냉방기는 다양한 실시예로 구성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되고 있으며, 그 중 하기 특허문헌 1의 “현열교환기를 구비하는 통신기지국의 복합냉방장치와 그 제어방법(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35120호)”은 외기를 이용한 현열교환기와 냉매를 이용하여 냉방을 하는 냉방장치를 복합적으로 사용하였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의 “현열교환기를 구비하는 통신기지국의 복합냉방장치와 그 제어방법”은 대규모 장비 운영으로 인한 고발열시와 외부온도가 높은 계절에는, 냉방 용량을 증가시키고자 추가적인 냉방 장치를 구비하여야 하고, 이로 인해 제조비용과 설치비용이 과도하게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냉방 용량이 커질수록 전력 소모량이 증가하고 유지비용이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35120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기 및 실외기에 모듈방식의 실외 및 실내모듈열교환기를 설치함으로써, 여름철에는 실내공기순환팬, 응축기팬 및 프레온계열의 냉매를 이용하는 압축기를 가동하고, 실외온도가 실내온도보다 낮은 봄, 가을, 겨울에는 냉각수라인에 연결된 냉각수펌프로 실외 및 실내모듈열교환기를 가동하여 냉방 용량을 증가시키면서도 압축기의 냉방 부하를 저하시켜 전력소모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현열모듈냉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증발기 및 실내모듈열교환기의 위치설정 및 제어기의 제어방법에 의해 제1, 2, 3 온도센서로부터 측정된 각각의 공기온도 및 제어기에 입력된 노점온도를 활용하여 전자식 팽창밸브의 개도율을 조절함으로써, 노점온도 이상의 공기온도를 유지하여 응결수가 생기지 않게 하거나, 노점온도 이하로 공기온도를 유지하여 응결수가 많이 발생됨에 따라 제습역할을 가능하게 하는 현열모듈냉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실내기 및 실외기에 각각의 실내 및 실외 모듈열교환기를 장착함에 있어서 기계적 체결에 의하지 않고 실내 및 실외 모듈열교환기를 다수의 팝너트에 의해 고정된 자석에 의해서 각각의 제1, 2 하우징의 일측 또는 타측에 모듈방식으로 결합함으로써, 기존의 실외기 및 실내기에 구조적 변경없이 적용할 수 있어 장착의 용이성 및 호환성을 확보할 수 있는 현열모듈냉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핀튜브를 순환하는 냉각수의 방향을 전환하는 헤더에 자성을 갖는 너트 형상의 헤더캡이 너트 체결 및 분리됨으로써, 냉각수 라인과의 연결 및 배관시 발생할 수 있는 금속(철) 및 이물질을 용이하게 배출하여 제거할 수 있는 현열모듈냉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현열모듈냉방장치 는, 제1 하우징(110)과, 상기 제1 하우징(110)의 중앙에 구비되는 응축기팬(120)과, 상기 제1 하우징(110)의 일측에 구비되는 응축기(130)와, 상기 응축기(130)의 인접한 곳에 형성되어 실외온도를 측정하는 제1 온도센서(140)와, 상기 제1 하우징(110)의 타측에 모듈방식으로 결합되는 실외모듈열교환기(150)와, 냉각수 탱크(160)와, 상기 냉각수 탱크(160)의 냉각수를 강제순환시키는 냉각수 펌프(170)로 구성되는 실외기(100);와, 제2 하우징과(210), 상기 제2 하우징(210)의 일측에 형성되어 실내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220)와, 상기 응축기(130)와 연결된 냉매 라인(L2)을 통해 순환하는 냉매를 압축하는 인버터 압축기(230)와, 압축된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밸브(240)와, 상기 제2 하우징(210)의 전면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팽창된 냉매를 증발시켜 흡입된 실내공기를 냉각하는 증발기(250)와, 상기 증발기(250)의 인접한 곳에 형성되어 흡입된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 온도센서(260)와, 상기 증발기(250)의 후면측에 설치되고 상기 냉각수 펌프(170)와 연결된 냉각수 라인(L1)을 통해서 순환하는 냉각수에 의해 상기 증발기(250)를 통과한 공기를 냉각하는 실내모듈열교환기(270)와, 상기 실내모듈열교환기(270)의 인접한 곳에 형성되어 상기 증발기(250)를 통과한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3 온도센서(280)와, 냉각된 공기를 토출시키는 실내공기순환팬(290)으로 구성되는 실내기(200);와, 상기 실외기(100) 및 상기 실내기(2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기(3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 하우징(110)과, 상기 제1 하우징(110)의 중앙에 구비되는 응축기팬(120)과, 상기 제1 하우징(110)의 일측에 구비되는 응축기(130)와, 상기 응축기(130)의 인접한 곳에 형성되어 실외온도를 측정하는 제1 온도센서(140)와, 상기 제1 하우징(110)의 타측에 모듈방식으로 결합되는 실외모듈열교환기(150)와, 냉각수 탱크(160)와, 상기 냉각수 탱크(160)의 냉각수를 강제순환시키는 냉각수 펌프(170)로 구성되는 실외기(100);와, 제2 하우징과(210), 상기 제2 하우징(210)의 일측에 형성되어 실내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220)와, 상기 응축기(130)와 연결된 냉매 라인(L2)을 통해 순환하는 냉매를 압축하는 인버터 압축기(230)와, 압축된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밸브(240)와, 상기 흡입구(220)에 모듈방식으로 결합되고 상기 냉각수 펌프(170)와 연결된 냉각수 라인(L1)을 통해서 순환하는 냉각수에 의해 상기 흡입구(220)로 흡입되는 공기를 냉각하는 실내모듈열교환기(270)와, 상기 실내모듈열교환기(270)의 인접한 곳에 형성되어 상기 흡입구(220)로 흡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3 온도센서(280)와, 상기 실내모듈열교환기(270)의 후면측에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고 팽창된 냉매를 증발시켜 상기 실내모듈열교환기(270)를 통과한 공기를 냉각하는 증발기(250)와, 상기 증발기(250)의 인접한 곳에 형성되어 실내모듈열교환기(270)를 통과한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 온도센서(260)와, 냉각된 공기를 토출시키는 실내공기순환팬(290)으로 구성되는 실내기(200);와, 상기 실외기(100) 및 상기 실내기(2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기(3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응축기(130) 및 상기 실외모듈열교환기(150)는 각각 2개의 듀얼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외모듈열교환기(150) 및 상기 실내모듈열교환기(270)는 각각 알루미늄핀에 냉각수가 순환하는 동관 및 알루미늄관으로 연결되는 핀튜브(400)로 구성되고, 상기 핀튜브(400)는 다수의 팝너트(500)에 고정된 자석(600)에 의해서 각각의 상기 제1 하우징(110) 및 상기 제2 하우징(210)에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핀튜브(400)의 동관 및 알루미늄관을 순환하는 냉각수의 방향을 전환하는 헤더(700)에 자성을 갖는 너트 형상의 헤더캡(800)이 너트 체결 및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증발기(250)는 상기 실내모듈열교환기(270)로부터 50㎜이상 이격되어 설치되고, 수직축(V)으로부터 30˚∼ 40˚사이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냉방설정온도(Ts), 기준냉방능력값(Q0)을 설정하고, 구동시스템을 ON/OFF하는 제1 단계(S1);와, 상기 실내공기순환팬(290)을 예비운전하는 제2 단계(S2);와, 각각의 상기 제1, 2, 3 온도센서(140, 260, 280)로부터 실내흡입공기온도(T1), 실내중간공기온도(T2), 실외공기온도(T3)를 수신받고, 제1 냉방능력값(Q1)을 계산하는 제3 단계(S3);와, 상기 냉방설정온도(Ts)와 상기 실내흡입공기온도(T1)를 비교하고, 상기 냉방설정온도(Ts)가 실내흡입공기온도(T1)보다 낮으면 제5 단계로 진행되는 제4 단계(S4);와, 상기 실외공기온도(T3)에 1℃를 더한 값이 상기 실내흡입공기온도(T1)보다 낮으면 제6 단계로 진행되는 제5 단계(S5);와, 상기 냉각수펌프(170) 및 상기 응축기팬(120)을 구동한 후 상기 제1 냉방능력값(Q1)과 상기 기준냉방능력값(Q0)를 비교하여 상기 제1 냉방능력값(Q1)이 상기 기준냉방능력값(Q0)보다 크면 상기 냉각수펌프(170) 및 상기 응축기팬(120)의 구동을 유지하고, 상기 제1 냉방능력값(Q1)이 상기 기준냉방능력값(Q0)보다 작으면 상기 냉각수펌프(170), 상기 응축기팬(120) 및 인버터 압축기(230)를 구동하고 상기 팽창밸브(240)를 100% 개방한 후 제7 단계로 진행되는 제6 단계(S6);와, 노점온도(DP)에 0.2℃를 더한 값이 상기 실내중간공기온도(T2)보다 크면 상기 노점온도(DP)에 0.2℃를 더한 값이 상기 실내중간공기온도(T2)보다 작아질때까지 상기 팽창밸브(240)의 개방을 5%씩 순차적으로 감소시키는 제7 단계(S7);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5 단계(S5)에서 상기 실외공기온도(T3)에 1℃를 더한 값이 상기 실내흡입공기온도(T1)보다 높으면 상기 인버터 압축기(230) 및 상기 응축기팬(120)을 구동하고 상기 팽창밸브(240)를 100% 개방한 후 상기 노점온도(DP)와 상기 실내중간공기온도(T2)를 비교하여 상기 노점온도(DP)에 0.2℃를 더한 값이 상기 실내중간공기온도(T2)보다 크면 상기 노점온도(DP)에 0.2℃를 더한 값이 상기 실내중간공기온도(T2)보다 작아질때까지 상기 팽창밸브(240)의 개방을 5%씩 순차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냉방설정온도(Ts), 기준냉방능력값(Q0)을 설정하고, 구동시스템을 ON/OFF하는 제1 단계(S1);와, 상기 실내공기순환팬(290)을 예비운전하는 제2 단계(S2);와, 각각의 상기 제1, 2, 3 온도센서(140, 260, 280)로부터 실내흡입공기온도(T1), 실내중간공기온도(T2), 실외공기온도(T3)를 수신받고, 제1 냉방능력값(Q1)을 계산하는 제3 단계(S3);와, 상기 냉방설정온도(Ts)와 상기 실내흡입공기온도(T1)를 비교하고, 상기 냉방설정온도(Ts)가 실내흡입공기온도(T1)보다 낮으면 제5 단계로 진행되는 제4 단계(S4);와, 상기 실외공기온도(T3)에 1℃를 더한 값이 상기 실내흡입공기온도(T1)보다 낮으면 제6 단계로 진행되는 제5 단계(S5);와, 상기 냉각수펌프(170) 및 상기 응축기팬(120)을 구동한 후 상기 제1 냉방능력값(Q1)과 상기 기준냉방능력값(Q0)를 비교하여 상기 제1 냉방능력값(Q1)이 상기 기준냉방능력값(Q0)보다 크면 상기 냉각수펌프(170) 및 상기 응축기팬(120)의 구동을 유지하고, 상기 제1 냉방능력값(Q1)이 상기 기준냉방능력값(Q0)보다 작으면 상기 냉각수펌프(170), 상기 응축기팬(120) 및 인버터 압축기(230)를 구동하고 상기 팽창밸브(240)를 50% 개방한 후 제7-1 단계로 진행되는 제6 단계(S6);와, 노점온도(DP)가 상기 실내중간공기온도(T2)보다 작으면 노점온도(DP)가 상기 실내중간공기온도(T2)보다 높아질때까지 상기 팽창밸브(240)의 개방을 5%씩 순차적으로 증가시키는 제7-1 단계(S7-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5 단계(S5)에서 상기 실외공기온도(T3)에 1℃를 더한 값이 상기 실내흡입공기온도(T1)보다 높으면 상기 인버터 압축기(230) 및 상기 응축기팬(120)을 구동하고 상기 팽창밸브(240)를 50% 개방한 후 상기 노점온도(DP)와 상기 실내중간공기온도(T2)를 비교하여 상기 노점온도(DP)가 상기 실내중간공기온도(T2)보다 작으면 상기 노점온도(DP)가 상기 실내중간공기온도(T2)보다 높아질때까지 상기 팽창밸브(240)의 개방을 5%씩 순차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실내기 및 실외기에 모듈방식의 실외 및 실내모듈열교환기를 설치함으로써, 여름철에는 실내공기순환팬, 응축기팬 및 프레온계열의 냉매를 이용하는 압축기를 가동하고, 실외온도가 실내온도보다 낮은 봄, 가을, 겨울에는 냉각수라인에 연결된 냉각수펌프로 실외 및 실내모듈열교환기를 가동하여 냉방 용량을 증가시키면서도 압축기의 냉방 부하를 저하시켜 전력소모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증발기 및 실내모듈열교환기의 위치설정 및 제어기의 제어방법에 의해 제1, 2, 3 온도센서로부터 측정된 각각의 공기온도 및 노점온도를 활용하여 전자식 팽창밸브의 개도율을 조절함으로써, 노점온도 이상의 공기온도를 유지하여 응결수가 생기지 않게 하거나, 노점온도 이하로 공기온도를 유지하여 응결수가 많이 발생됨에 따라 제습역할을 가능하게 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실내기 및 실외기에 각각의 실내 및 실외 모듈열교환기를 장착함에 있어서 기계적 체결에 의하지 않고 실내 및 실외 모듈열교환기를 다수의 팝너트에 의해 고정된 자석에 의해서 각각의 제1, 2 하우징의 일측 또는 타측에 모듈방식으로 결합함으로써, 기존의 실외기 및 실내기에 구조적 변경없이 적용할 수 있어 장착의 용이성 및 호환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핀튜브를 순환하는 냉각수의 방향을 전환하는 헤더에 자성을 갖는 너트 형상의 헤더캡이 너트 체결 및 분리됨으로써, 냉각수 라인과의 연결 및 배관시 발생할 수 있는 금속(철) 및 이물질을 용이하게 배출하여 제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현열모듈냉방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인 구조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현열모듈냉방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인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현열모듈냉방장치의 개략적인 전체 모습을 보인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현열모듈냉방장치의 구성 중 실내기의 확대한 모습을 보인 부분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현열모듈냉방장치 제어방법의 제어순서를 나타낸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현열모듈냉방장치 제어방법의 제어순서를 나타낸 순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열모듈냉방장치 및 그 제어방법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열모듈냉방장치는 크게 실외기(100), 실내기(200) 및 제어기(300)로 구성된다.
먼저, 실외기(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실외기(100)는 도 1, 도 3 또는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냉방장치를 작동할 때 발생하는 고온의 바람을 실외로 빼내는 기능을 하는 장비로서, 외관을 이루는 사각형상의 제1 하우징(110)이 형성된다.
상기 제1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상기 실외기(100)의 기능이 수행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하우징(110)의 중앙에 응축기팬(120)이 구비되고, 상기 제1 하우징(110)의 일측에 응축기(13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응축기(130)의 인접한 곳에 실외온도를 측정하는 제1 온도센서(140)가 구비되고, 상기 제1 하우징(110)의 타측에 모듈방식의 실외모듈열교환기(150)가 구비되며, 냉각수가 저장되는 냉각수 탱크(160) 및 상기 냉각수 탱크(160)의 냉각수를 강제순환시키는 냉각수 펌프(170)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실외모듈열교환기(150)는 상기 실내기(100)부터 냉각수 라인(L1)을 순환하는 고온의 냉각수를 열교환하여 저온의 냉각수로 전환시키는데, 알루미늄핀에 냉각수가 순환하는 동관 및 알루미늄관으로 연결되는 핀튜브(400)로 구성된다.
상기, 핀튜브(400)는 다수의 팝너트(pop nut)(500)에 의해 고정된 5,000 가우스(Gauss) 이상의 자석(600)에 의해서 상기 제1 하우징(110)의 일측 또는 타측에 모듈방식으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실외모듈열교환기(150)가 기존의 실외기에 구조적 변경없이 적용되어 장착의 용이성 및 호환성을 제공할 수 있게 해 준다.
또한, 실외모듈열교환기(150)와 후술할 실내모듈열교환기(270)를 연결하여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냉각수 라인(L1)은 XL 플라스틱 계열, 동파이프 또는 강관 파이프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도 2 또는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실외기(100) 내부에 구비된 상기 응축기(130) 및 상기 실외모듈열교환기(150) 외에 추가적으로 상기 실외기(100) 내부에 구비된 상기 응축기(130) 및 상기 실외모듈열교환기(150)을 더 구비하여 기존에 설치된 각각의 상기 응축기(130) 및 상기 실외모듈열교환기(150)의 측면 내부 및 외부에 추가적으로 겹쳐지게 설치함으로써, 상기 응축기(130) 및 상기 실외모듈열교환기(150)의 냉방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때, 추가적으로 설치되는 상기 응축기(130) 및 상기 실외모듈열교환기(150)에 냉매 및 냉각수는 분기하여 각각 통과한 후 모아지는 형태를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실내기(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실내기(200)는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실내의 공기를 냉각시키는 장비로서, 외관을 이루는 사각형상의 제2 하우징(210)이 형성된다.
상기 실내기(200)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로는 이하와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상기 제2 하우징(210)의 일측에 형성되어 실내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220)와, 상기 응축기(130)와 연결된 냉매 라인(L2)을 통해 순환하는 냉매를 압축하는 인버터 압축기(230)와, 압축된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밸브(240)와, 상기 제2 하우징(210)의 전면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팽창된 냉매를 증발시켜 흡입된 실내공기를 냉각하는 증발기(250)와, 상기 증발기(250)의 인접한 곳에 형성되어 흡입된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 온도센서(260)와, 상기 증발기(250)의 후면측에 설치되고 상기 냉각수 펌프(170)와 연결된 냉각수 라인(L1)을 통해서 순환하는 냉각수에 의해 상기 증발기(250)를 통과한 공기를 냉각하는 실내모듈열교환기(270)와, 상기 실내모듈열교환기(270)의 인접한 곳에 형성되어 상기 증발기(250)를 통과한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3 온도센서(280)와, 냉각된 공기를 토출시키는 실내공기순환팬(290)으로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도 7를 참고하여, 제어기(130)에 의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현열모듈냉방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현열모듈냉방장치의 제어방법은 크게 제1 단계(S1)부터 제7 단계(S7)로 이루어진다.
제1 단계(S1)는 냉방설정온도(Ts) 및 기준냉방능력값(Q0)을 설정하고, 사용자의 조작여부 또는 시스템설정에 따라 구동시스템을 구동시키거나 정지하는 단계이다.
제2 단계(S2)는 실내공기순환팬(290)을 예비운전하는 단계로서, 3분에서 5분간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 단계(S3)는 상기 실외기(100) 및 상기 실내기(200)에 설치된 각각의 상기 제1, 2, 3 온도센서(140, 260, 280)로부터 실내흡입공기온도(T1), 실내중간공기온도(T2), 실외공기온도(T3)를 수신받고, 제1 냉방능력값(Q1)을 계산하는 단계이다.
제4 단계(S4)는 상기 냉방설정온도(Ts)와 상기 실내흡입공기온도(T1)를 비교하는 단계로서, 상기 냉방설정온도(Ts)가 실내흡입공기온도(T1)보다 낮으면 제5 단계로 진행되고, 상기 냉방설정온도(Ts)가 실내흡입공기온도(T1)보다 높으면 제1 단계로 이동하게 된다.
제5 단계(S5)는 상기 실외공기온도(T3)와 상기 실내흡입공기온도(T1)를 비교하는 단계로서, 상기 실외공기온도(T3)에 1℃를 더한 값이 상기 실내흡입공기온도(T1)보다 낮으면 상기 냉각수펌프(170) 및 상기 응축기팬(120)을 구동한 후 제6 단계로 진행되고, 상기 실외공기온도(T3)에 1℃를 더한 값이 상기 실내흡입공기온도(T1)보다 높으면 상기 인버터 압축기(230) 및 상기 응축기팬(120)을 구동하고 상기 팽창밸브(240)를 100% 개방한 후 상기 노점온도(DP)와 상기 실내중간공기온도(T2)를 비교하여 상기 노점온도(DP)에 0.2℃를 더한 값이 상기 실내중간공기온도(T2)보다 크면 상기 노점온도(DP)에 0.2℃를 더한 값이 상기 실내중간공기온도(T2)보다 작아질때까지 상기 팽창밸브(240)의 개방을 5%씩 순차적으로 감소시킨다.
제6 단계(S6)는 상기 제1 냉방능력값(Q1)과 상기 기준냉방능력값(Q0)를 비교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1 냉방능력값(Q1)이 상기 기준냉방능력값(Q0)보다 크면 상기 냉각수펌프(170) 및 상기 응축기팬(120)의 구동을 유지하고, 상기 제1 냉방능력값(Q1)이 상기 기준냉방능력값(Q0)보다 작으면 상기 냉각수펌프(170), 상기 응축기팬(120) 및 인버터 압축기(230)를 구동하고 상기 팽창밸브(240)를 100% 개방한 후 제7 단계로 진행된다.
이때, 제1 냉방능력값(Q1)의 계산식은 아래와 같다.
Figure 112017047627312-pat00001
예컨대, 기준냉방능력값(Q0)을 5 RT(Refrigeration Ton, 1T의 물을 24시간동안 얼릴수 있는 능력) 기준인 12,500 KCAL/H로 설정하며, T1이 27℃이고 T3가 13℃이면, 산출냉방능력(Q)은, 수학식 1에 의해서, 0.24(공기비열) X 1.2(공기비중) X 60(단위환산) X 60(풍량 CMM) X (27-13) =14,515 (KCAL/H)가 되어서, 기준냉방능력값(Q0) 대비 제1 냉방능력값(Q1)이 110% 이므로 상기 냉각수 펌프(170) 및 응축기팬(130)을 구동한다.
한편, T1이 27 도이고 T3가 18 도이면, 산출냉방능력(Q)은, 수학식 1에 의해서, 0.24(공기비열) X 1.2(공기비중) X 60(단위환산) X 60(풍량 CMM) X (27-18) =9,331 (KCAL/H)가 되어서, 기준냉방능력 대비 산출냉방능력이 75% 이므로 상기 냉각수 펌프(170)와 상기 응축기팬(130) 및 상기 인버터압축기(230)을 구동하여 냉방능력을 보완한 후 상기 전자식팽창밸브(160)를 100% 개방한다.
제7 단계(S7)는 노점온도(DP)에 0.2℃를 더한 값이 상기 실내중간공기온도(T2)보다 크면 상기 노점온도(DP)에 0.2℃를 더한 값이 상기 실내중간공기온도(T2)보다 작아질때까지 상기 팽창밸브(240)의 개방을 5%씩 순차적으로 감소시키킨다.
즉, 지역 또는 기후 환경에 따라 상기 실외모듈열교환기(150) 및 상기 실내모듈열교환기(270)만의 구동으로 냉방 능력이 충분하면 프레온 계열의 냉매를 이용하는 인버터 압축기(124)를 구동하지 않아 전기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절감할 수 있고, 상기 실외모듈열교환기(150) 및 상기 실내모듈열교환기(270)만의 구동으로 냉방 능력이 부족하면, 상기 인버터 압축기(230)를 동시에 가동하여 냉방 능력을 충분히 보완할 수 있고, 상기 증발기(250)에서 일정한 압력에서 공기의 온도를 낮추어 갈 때 공기 중의 수증기가 포화하여 이슬이 맺힐 때의 온도인 노점온도(DP) 이상의 차가운 공기를 만들어 상대습도의 증가없이 순환공기(A1)를 상기 실내모듈열교환기(270)에서 냉각하는 방식을 통하여 노점온도(DP)에 따라 상기 실내중간공기온도(T2)를 측정하여 상기 팽창밸브(240)의 개방을 조절함으로써, 순환공기(A1)의 온도를 유지하여 응결수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내기(200)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로는 이하와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제2 하우징과(210), 상기 제2 하우징(210)의 일측에 형성되어 실내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220)와, 상기 응축기(130)와 연결된 냉매 라인(L2)을 통해 순환하는 냉매를 압축하는 인버터 압축기(230)와, 압축된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밸브(240)와, 상기 흡입구(220)에 모듈방식으로 결합되고 상기 냉각수 펌프(170)와 연결된 냉각수 라인(L1)을 통해서 순환하는 냉각수에 의해 상기 흡입구(220)로 흡입되는 공기를 냉각하는 실내모듈열교환기(270)와, 상기 실내모듈열교환기(270)의 인접한 곳에 형성되어 상기 흡입구(220)로 흡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3 온도센서(280)와, 상기 실내모듈열교환기(270)의 후면측에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고 팽창된 냉매를 증발시켜 상기 실내모듈열교환기(270)를 통과한 공기를 냉각하는 증발기(250)와, 상기 증발기(250)의 인접한 곳에 형성되어 실내모듈열교환기(270)를 통과한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 온도센서(260)와, 냉각된 공기를 토출시키는 실내공기순환팬(290)으로 구성된다.
이때,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증발기(250)는 상기 실내모듈열교환기(270)로부터 50㎜이상 이격(d)되어 설치되고, 수직축(V)으로부터 30˚∼ 40˚사이의 각도(g)로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수직으로 설치되는 상기 실내모듈열교환기(270)에 비해 넓은 면적으로 실내공기가 흡입되어지는 응결수를 표면에 닿게 하여 응결수의 회수를 더욱 용이하게 해 주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실내모듈열교환기(270)는 상기 실외기(100)부터 냉각수 라인(L1)을 순환하는 고온의 냉각수를 열교환하여 저온의 냉각수로 전환시키는데, 알루미늄핀에 냉각수가 순환하는 동관 및 알루미늄관으로 연결되는 핀튜브(40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핀튜브(400)는 다수의 팝너트(500)에 의해 고정된 5,000 가우스(Gauss) 이상의 자석(600)에 의해서 상기 제2 하우징(210)의 일측에 형성된 흡입구(220)에 모듈방식으로 결합되어, 기존의 실내기에 구조적 변경없이 적용할 수 있어서 장착의 용이성 및 호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냉각수의 열교환 효율을 최대화할 수 있도록, 상기 핀튜브(400)는 냉각수가 직진 방향 또는 왕복 방향으로 순환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핀튜브(400)의 동관 및 알루미늄관을 순환하는 냉각수의 방향을 전환하는 헤더(800)에 1,000 가우스 이상의 자성을 갖는 너트 형상의 헤더캡(800)이 너트 체결 및 분리됨으로써, 냉각수 라인(L1)과의 연결 및 배관시 발생할 수 있는 금속(철) 및 이물질을 용이하게 배출하여 제거할 수 있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하에서는, 도 8을 참고하여, 제어기(130)에 의한 제2 실시예에 따른 현열모듈냉방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현열모듈냉방장치의 제어방법은 크게 제1 단계(S1)부터 제7-1 단계(S7-1)로 이루어진다.
제1 단계(S1)는 냉방설정온도(Ts) 및 기준냉방능력값(Q0)을 설정하고, 사용자의 조작여부 또는 시스템설정에 따라 구동시스템을 구동시키거나 정지하는 단계이다.
제2 단계(S2)는 실내공기순환팬(290)을 예비운전하는 단계로서, 3분에서 5분간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 단계(S3)는 상기 실외기(100) 및 상기 실내기(200)에 설치된 각각의 상기 제1, 2, 3 온도센서(140, 260, 280)로부터 실내흡입공기온도(T1), 실내중간공기온도(T2), 실외공기온도(T3)를 수신받고, 제1 냉방능력값(Q1)을 계산하는 단계이다.
제4 단계(S4)는 상기 냉방설정온도(Ts)와 상기 실내흡입공기온도(T1)를 비교하는 단계로서, 상기 냉방설정온도(Ts)가 실내흡입공기온도(T1)보다 낮으면 제5 단계로 진행되고, 상기 냉방설정온도(Ts)가 실내흡입공기온도(T1)보다 높으면 제1 단계로 이동하게 된다.
제5 단계(S5)는 상기 실외공기온도(T3)와 상기 실내흡입공기온도(T1)를 비교하는 단계로서, 상기 실외공기온도(T3)에 1℃를 더한 값이 상기 실내흡입공기온도(T1)보다 낮으면 상기 냉각수펌프(170) 및 상기 응축기팬(120)을 구동한 후 제6 단계로 진행되고, 상기 실외공기온도(T3)에 1℃를 더한 값이 상기 실내흡입공기온도(T1)보다 높으면 상기 인버터 압축기(230) 및 상기 응축기팬(120)을 구동하고 상기 팽창밸브(240)를 50% 개방한 후 상기 노점온도(DP)와 상기 실내중간공기온도(T2)를 비교하여 상기 노점온도(DP)가 상기 실내중간공기온도(T2)보다 작으면 상기 노점온도(DP)가 상기 실내중간공기온도(T2)보다 높아질때까지 상기 팽창밸브(240)의 개방을 5%씩 순차적으로 증가시킨다.
제6 단계(S6)는 상기 제1 냉방능력값(Q1)과 상기 기준냉방능력값(Q0)를 비교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1 냉방능력값(Q1)이 상기 기준냉방능력값(Q0)보다 크면 상기 냉각수펌프(170) 및 상기 응축기팬(120)의 구동을 유지하고, 상기 제1 냉방능력값(Q1)이 상기 기준냉방능력값(Q0)보다 작으면 상기 냉각수펌프(170), 상기 응축기팬(120) 및 인버터 압축기(230)를 구동하고 상기 팽창밸브(240)를 100% 개방한 후 제7 단계로 진행된다.
이때, 제1 냉방능력값(Q1)의 계산식은 상기 수학식1과 동일하다.
제7-1 단계(S7-1)는 노점온도(DP)가 상기 실내중간공기온도(T2)보다 작으면 노점온도(DP)가 상기 실내중간공기온도(T2)보다 높아질때까지 상기 팽창밸브(240)의 개방을 5%씩 순차적으로 증가시킨다.
즉, 지역 또는 기후 환경에 따라 상기 실외모듈열교환기(150) 및 상기 실내모듈열교환기(270)만의 구동으로 냉방 능력이 충분하면 프레온 계열의 냉매를 이용하는 인버터 압축기(124)를 구동하지 않아 전기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절감할 수 있고, 상기 실외모듈열교환기(150) 및 상기 실내모듈열교환기(270)만의 구동으로 냉방 능력이 부족하면, 상기 인버터 압축기(230)를 동시에 가동하여 냉방 능력을 충분히 보완할 수 있고, 상기 노점온도(DP) 이하로 순환공기(A1)의 온도를 유지하여 응결수를 많이 발생시킴으로써, 제습역할이 수행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현열모듈냉방장치
100: 실외기 110: 제1 하우징
120: 응축기팬 130: 응축기
140: 제1 온도센서 150: 실외모듈열교환기
160: 냉각수 탱크 170: 냉각수 펌프
200: 실내기 210: 제2 하우징
220: 흡입구 230: 인버터 압축기
240: 팽창밸브 250: 증발기
260: 제2 온도센서 270: 실내모듈열교환기
280: 제3 온도센서 290: 실내공기순환팬
300: 제어기
400: 핀튜브 500: 팝너트
600: 자석 700: 헤더
800: 헤더캡
L1: 냉각수라인 L2: 냉매라인
Ts: 냉방설정온도 T1: 실내흡입공기온도
T2: 실내중간공기온도 T3: 실외공기온도
Q0: 기준냉방능력값 Q1: 제1 냉방능력값
DP: 노점온도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 하우징(110)과, 상기 제1 하우징(110)의 중앙에 구비되는 응축기팬(120)과, 상기 제1 하우징(110)의 일측에 구비되는 응축기(130)와, 상기 응축기(130)의 인접한 곳에 형성되어 실외온도를 측정하는 제1 온도센서(140)와, 상기 제1 하우징(110)의 타측에 모듈방식으로 결합되는 실외모듈열교환기(150)와, 냉각수 탱크(160)와, 상기 냉각수 탱크(160)의 냉각수를 강제순환시키는 냉각수 펌프(170)로 구성되는 실외기(100);와, 제2 하우징과(210), 상기 제2 하우징(210)의 일측에 형성되어 실내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220)와, 상기 응축기(130)와 연결된 냉매 라인(L2)을 통해 순환하는 냉매를 압축하는 인버터 압축기(230)와, 압축된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밸브(240)와, 상기 제2 하우징(210)의 전면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팽창된 냉매를 증발시켜 흡입된 실내공기를 냉각하는 증발기(250)와, 상기 증발기(250)의 인접한 곳에 형성되어 흡입된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 온도센서(260)와, 상기 증발기(250)의 후면측에 설치되고 상기 냉각수 펌프(170)와 연결된 냉각수 라인(L1)을 통해서 순환하는 냉각수에 의해 상기 증발기(250)를 통과한 공기를 냉각하는 실내모듈열교환기(270)와, 상기 실내모듈열교환기(270)의 인접한 곳에 형성되어 상기 증발기(250)를 통과한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3 온도센서(280)와, 냉각된 공기를 토출시키는 실내공기순환팬(290)으로 구성되는 실내기(200); 및 상기 실외기(100) 및 상기 실내기(2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기(300);로 구성되는 현열모듈냉방장치를 제어하는 현열모듈냉방장치 제어방법에 있어서,
    냉방설정온도(Ts), 기준냉방능력값(Q0)을 설정하고, 구동시스템을 ON/OFF하는 제1 단계(S1);
    상기 실내공기순환팬(290)을 예비운전하는 제2 단계(S2);
    각각의 상기 제1, 2, 3 온도센서(140, 260, 280)로부터 실내흡입공기온도(T1), 실내중간공기온도(T2), 실외공기온도(T3)를 수신받고, 제1 냉방능력값(Q1)을 계산하는 제3 단계(S3);
    상기 냉방설정온도(Ts)와 상기 실내흡입공기온도(T1)를 비교하고, 상기 냉방설정온도(Ts)가 실내흡입공기온도(T1)보다 낮으면 제5 단계로 진행되는 제4 단계(S4);
    상기 실외공기온도(T3)에 1℃를 더한 값이 상기 실내흡입공기온도(T1)보다 낮으면 제6 단계로 진행되는 제5 단계(S5);
    상기 냉각수펌프(170) 및 상기 응축기팬(120)을 구동한 후 상기 제1 냉방능력값(Q1)과 상기 기준냉방능력값(Q0)를 비교하여 상기 제1 냉방능력값(Q1)이 상기 기준냉방능력값(Q0)보다 크면 상기 냉각수펌프(170) 및 상기 응축기팬(120)의 구동을 유지하고, 상기 제1 냉방능력값(Q1)이 상기 기준냉방능력값(Q0)보다 작으면 상기 냉각수펌프(170), 상기 응축기팬(120) 및 인버터 압축기(230)를 구동하고 상기 팽창밸브(240)를 100% 개방한 후 제7 단계로 진행되는 제6 단계(S6);
    노점온도(DP)에 0.2℃를 더한 값이 상기 실내중간공기온도(T2)보다 크면 상기 노점온도(DP)에 0.2℃를 더한 값이 상기 실내중간공기온도(T2)보다 작아질때까지 상기 팽창밸브(240)의 개방을 5%씩 순차적으로 감소시키는 제7 단계(S7);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열모듈냉방장치 제어방법.
  8. 청구항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단계(S5)에서 상기 실외공기온도(T3)에 1℃를 더한 값이 상기 실내흡입공기온도(T1)보다 높으면 상기 인버터 압축기(230) 및 상기 응축기팬(120)을 구동하고 상기 팽창밸브(240)를 100% 개방한 후 상기 노점온도(DP)와 상기 실내중간공기온도(T2)를 비교하여 상기 노점온도(DP)에 0.2℃를 더한 값이 상기 실내중간공기온도(T2)보다 크면 상기 노점온도(DP)에 0.2℃를 더한 값이 상기 실내중간공기온도(T2)보다 작아질때까지 상기 팽창밸브(240)의 개방을 5%씩 순차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열모듈냉방장치 제어방법.
  9. 제1 하우징(110)과, 상기 제1 하우징(110)의 중앙에 구비되는 응축기팬(120)과, 상기 제1 하우징(110)의 일측에 구비되는 응축기(130)와, 상기 응축기(130)의 인접한 곳에 형성되어 실외온도를 측정하는 제1 온도센서(140)와, 상기 제1 하우징(110)의 타측에 모듈방식으로 결합되는 실외모듈열교환기(150)와, 냉각수 탱크(160)와, 상기 냉각수 탱크(160)의 냉각수를 강제순환시키는 냉각수 펌프(170)로 구성되는 실외기(100);와, 제2 하우징과(210), 상기 제2 하우징(210)의 일측에 형성되어 실내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220)와, 상기 응축기(130)와 연결된 냉매 라인(L2)을 통해 순환하는 냉매를 압축하는 인버터 압축기(230)와, 압축된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밸브(240)와, 상기 흡입구(220)에 모듈방식으로 결합되고 상기 냉각수 펌프(170)와 연결된 냉각수 라인(L1)을 통해서 순환하는 냉각수에 의해 상기 흡입구(220)로 흡입되는 공기를 냉각하는 실내모듈열교환기(270)와, 상기 실내모듈열교환기(270)의 인접한 곳에 형성되어 상기 흡입구(220)로 흡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3 온도센서(280)와, 상기 실내모듈열교환기(270)의 후면측에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고 팽창된 냉매를 증발시켜 상기 실내모듈열교환기(270)를 통과한 공기를 냉각하는 증발기(250)와, 상기 증발기(250)의 인접한 곳에 형성되어 실내모듈열교환기(270)를 통과한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 온도센서(260)와, 냉각된 공기를 토출시키는 실내공기순환팬(290)으로 구성되는 실내기(200); 및 상기 실외기(100) 및 상기 실내기(2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기(300);로 구성되는 현열모듈냉방장치를 제어하는 현열모듈냉방장치 제어방법에 있어서,
    냉방설정온도(Ts), 기준냉방능력값(Q0)을 설정하고, 구동시스템을 ON/OFF하는 제1 단계(S1);
    상기 실내공기순환팬(290)을 예비운전하는 제2 단계(S2);
    각각의 상기 제1, 2, 3 온도센서(140, 260, 280)로부터 실내흡입공기온도(T1), 실내중간공기온도(T2), 실외공기온도(T3)를 수신받고, 제1 냉방능력값(Q1)을 계산하는 제3 단계(S3);
    상기 냉방설정온도(Ts)와 상기 실내흡입공기온도(T1)를 비교하고, 상기 냉방설정온도(Ts)가 실내흡입공기온도(T1)보다 낮으면 제5 단계로 진행되는 제4 단계(S4);
    상기 실외공기온도(T3)에 1℃를 더한 값이 상기 실내흡입공기온도(T1)보다 낮으면 제6 단계로 진행되는 제5 단계(S5);
    상기 냉각수펌프(170) 및 상기 응축기팬(120)을 구동한 후 상기 제1 냉방능력값(Q1)과 상기 기준냉방능력값(Q0)를 비교하여 상기 제1 냉방능력값(Q1)이 상기 기준냉방능력값(Q0)보다 크면 상기 냉각수펌프(170) 및 상기 응축기팬(120)의 구동을 유지하고, 상기 제1 냉방능력값(Q1)이 상기 기준냉방능력값(Q0)보다 작으면 상기 냉각수펌프(170), 상기 응축기팬(120) 및 인버터 압축기(230)를 구동하고 상기 팽창밸브(240)를 50% 개방한 후 제7-1 단계로 진행되는 제6 단계(S6);
    노점온도(DP)가 상기 실내중간공기온도(T2)보다 작으면 노점온도(DP)가 상기 실내중간공기온도(T2)보다 높아질때까지 상기 팽창밸브(240)의 개방을 5%씩 순차적으로 증가시키는 제7-1 단계(S7-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열모듈냉방장치 제어방법.
  10. 청구항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단계(S5)에서 상기 실외공기온도(T3)에 1℃를 더한 값이 상기 실내흡입공기온도(T1)보다 높으면 상기 인버터 압축기(230) 및 상기 응축기팬(120)을 구동하고 상기 팽창밸브(240)를 50% 개방한 후 상기 노점온도(DP)와 상기 실내중간공기온도(T2)를 비교하여 상기 노점온도(DP)가 상기 실내중간공기온도(T2)보다 작으면 상기 노점온도(DP)가 상기 실내중간공기온도(T2)보다 높아질때까지 상기 팽창밸브(240)의 개방을 5%씩 순차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열모듈냉방장치 제어방법.
KR1020170061978A 2017-05-19 2017-05-19 현열모듈냉방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8482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1978A KR101848247B1 (ko) 2017-05-19 2017-05-19 현열모듈냉방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1978A KR101848247B1 (ko) 2017-05-19 2017-05-19 현열모듈냉방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8247B1 true KR101848247B1 (ko) 2018-04-12

Family

ID=61969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1978A KR101848247B1 (ko) 2017-05-19 2017-05-19 현열모듈냉방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824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04847A (zh) * 2019-02-21 2019-04-12 深圳市昆业激光设备科技有限公司 一种制冷系统及激光点焊机
CN110145835A (zh) * 2019-05-17 2019-08-20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空调新风系统
CN113532165A (zh) * 2021-07-15 2021-10-22 新疆大全新能源股份有限公司 一种适用于北方地区的冷却水的冷却系统及工艺
CN114576744A (zh) * 2020-11-30 2022-06-03 中国移动通信集团设计院有限公司 空调系统及控制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25456A (ja) * 2006-02-07 2009-07-09 チャンジョ 21 シーオー.,エルティディ. 通信装備用冷房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1675466B1 (ko) * 2015-03-30 2016-11-11 (주)테스코리아 현열냉방기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25456A (ja) * 2006-02-07 2009-07-09 チャンジョ 21 シーオー.,エルティディ. 通信装備用冷房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1675466B1 (ko) * 2015-03-30 2016-11-11 (주)테스코리아 현열냉방기 제어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04847A (zh) * 2019-02-21 2019-04-12 深圳市昆业激光设备科技有限公司 一种制冷系统及激光点焊机
CN110145835A (zh) * 2019-05-17 2019-08-20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空调新风系统
CN114576744A (zh) * 2020-11-30 2022-06-03 中国移动通信集团设计院有限公司 空调系统及控制方法
CN114576744B (zh) * 2020-11-30 2023-07-14 中国移动通信集团设计院有限公司 空调系统及控制方法
CN113532165A (zh) * 2021-07-15 2021-10-22 新疆大全新能源股份有限公司 一种适用于北方地区的冷却水的冷却系统及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8247B1 (ko) 현열모듈냉방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60238285A1 (en) Heat-recoverty-type refrigerating apparatus
KR101321979B1 (ko) 냉각수를 활용한 수냉식 냉방장치
EP3184936A1 (en) Ground source heat pump system with a cooling function
US11480344B2 (en) Multi-split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106546045A (zh) 变频器冷却装置、空调机组及控制方法
CN107166582B (zh) 空调冷却水系统、空调系统及空调冷却水系统控制方法
CN112944739B (zh) 利用露点温度冷却的双循环制冷系统及其控制方法
KR101964946B1 (ko) 외기온도 보상형 고효율 냉각시스템
CN212132798U (zh) 氟泵与热泵串联式热回收机组
KR101702008B1 (ko) 복합공조 방식의 통신장비용 냉방장치
CN204594038U (zh) 一种风冷冰箱的集中制冷模块
KR100773959B1 (ko) 통신장비용 냉방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213775429U (zh) 一种隧道温湿度调节系统
US20200363136A1 (en) Adaptive condensing device for dual-loop heat pipe air conditioner
CN213367622U (zh) 变频器和制冷系统
CN209877180U (zh) 一种双回路热管空调的自适应冷凝装置
KR100687280B1 (ko) 통신장비용 냉방장치의 이중 열교환 구조
KR100911217B1 (ko) 통신장비용 냉방장치 및 동파방지방법
KR20180105031A (ko) 순환형 수냉식 공기조화기
CN112234803A (zh) 变频器、制冷系统及其控制方法
CN109724286B (zh) 空调系统和空调器
KR20170107212A (ko) 냉각수 리사이클 기능을 가지는 공기조화기
CN105485951A (zh) 利用气液两相分离装置提高制热效率的二氧化碳热泵系统
CN101813347B (zh) 中央空调水系统的节能方法及微能耗水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