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4446B1 - 건축물 소방용 스프링클러 수압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건축물 소방용 스프링클러 수압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4446B1
KR101674446B1 KR1020160101553A KR20160101553A KR101674446B1 KR 101674446 B1 KR101674446 B1 KR 101674446B1 KR 1020160101553 A KR1020160101553 A KR 1020160101553A KR 20160101553 A KR20160101553 A KR 20160101553A KR 101674446 B1 KR101674446 B1 KR 1016744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ressure
members
pressure control
pair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1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영
Original Assignee
(주)케이디 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디 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케이디 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60101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44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4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44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temperature var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 소방용 스프링클러 수압 조절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건축물 소방용 스프링클러 수압 조절 장치는, 스프링 클러들로 소방수를 공급하는 공급관에 양단이 연결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 부와; 양단이 상기 케이스 부의 양단에 위치되도록 상기 케이스 부의 공간에 설치되며, 외주 둘레를 따라 간격을 이루는 수압 조절홀들이 형성되는 관 몸체부와; 상기 수압 조절홀들 각각에 배치되는 수압 조절 부재들과; 상기 케이스 부의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수압 조절 부재들을 상기 수압 조절홀들 각각에서의 위치를 가변시켜, 상기 관 몸체부의 내부에서의 유로 면적을 가변적으로 조절하는 조절 장치들과, 상기 스프링 클러들의 주변 온도들을 측정하고, 상기 주변 온도들이 설정된 오차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상기 조절 장치들을 구동시켜 상기 수압 조절 부재들의 위치를 가변시킴을 통해 상기 유로 면적을 가변시키고, 가변되는 상기 유로 면적을 통해 상기 관 몸체부의 내부를 통해 유동되는 소방수의 수압을 가변시키는 수압 조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건축물 소방용 스프링클러 수압 조절 장치{A WATER PRESSURE CONTROLLING DEVICE OF A SPRINKLER}
본 발명은 건축물 소방용 스프링클러 수압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프링 클러의 헤드로 소방수를 공급하는 공급관에 설치되어 각각의 스프링 클러로 공급되는 소방수의 수압을 전체적으로 균일한 수압을 이루도록 함과 아울러, 특정 지역에서의 화재 온도가 상승되는 경우, 해당 위치에 설치되는 스프링 클러로 공급되는 소방수의 수압을 상승시키도록 할 수 있는 건축물 소방용 스프링클러 수압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건출물의 내부 공간에는 화재 발생시 소방수를 분사하는 스프링 클러들이 설치된다.
상기 스프링 클러들은 배관읕 통해 연결되고, 배관에 연결되는 펌프의 펑핑 작동을 통해 소방수를 공급 받아 분사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각각의 스프링 클러들은 소장수가 공급되는 배관으로부터 분기되어 각 설치 위치에 설치된다.
종래에는 각 펌프에 의한 동작에 따라 균일한 수압을 형성하여 스프링 클러에 공급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건출물의 실내 공간에서 발생되는 화재에 의한 온도를 고려하지 않고, 소방수를 분사하도록 하기 때문에, 화재 진압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이에, 종래에는 배관의 유로 면적을 가변시기키 위해 별도의 부재를 번갈아 체결하는 구조를 사용하고는 있으나, 이는 화재 온도에 따라 유동적으로 소방수의 수압을 가변시키도록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0782013호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프링 클러의 헤드로 소방수를 공급하는 공급관에 설치되어 각각의 스프링 클러로 공급되는 소방수의 수압을 전체적으로 균일한 수압을 이루도록 함과 아울러, 특정 지역에서의 화재 온도가 상승되는 경우, 해당 위치에 설치되는 스프링 클러로 공급되는 소방수의 수압을 상승시키도록 할 수 있는 건축물 소방용 스프링클러 수압 조절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건축물 소방용 스프링클러 수압 조절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건축물 소방용 스프링클러 수압 조절 장치는, 스프링 클러들(미도시)로 소방수를 공급하는 공급관(10)에 양단이 연결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 부(100)와; 양단이 상기 케이스 부(100)의 양단에 위치되도록 상기 케이스 부(100)의 공간에 설치되며, 외주 둘레를 따라 간격을 이루는 수압 조절홀들(h)이 형성되는 관 몸체부(200)와; 상기 수압 조절홀들(h) 각각에 배치되는 수압 조절 부재들(300)과; 상기 케이스 부(100)의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수압 조절 부재들(300)을 상기 수압 조절홀들(h) 각각에서의 위치를 가변시켜, 상기 관 몸체부(200)의 내부에서의 유로 면적을 가변적으로 조절하는 조절 장치들(400)과, 상기 스프링 클러들의 주변 온도들을 측정하고, 상기 주변 온도들이 설정된 오차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상기 조절 장치들(400)을 구동시켜 상기 수압 조절 부재들(300)의 위치를 가변시킴을 통해 상기 유로 면적을 가변시키고, 가변되는 상기 유로 면적을 통해 상기 관 몸체부(200)의 내부를 통해 유동되는 소방수의 수압을 가변시키는 수압 조절부(500)를 포함한다.
상기 관 몸체부(200)는, 종단면이 중공 형상을 이루며, 상기 케이스 부(100)의 양단에 체결되는 한 쌍의 연결관(210)과,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연결관(210)을 연결하며, 상기 수압 조절홀들(221)이 형성되는 중앙관(220)을 갖는다.
상기 수압 조절 부재들(300) 각각은, 상기 수압 조절홀들(221) 각각에서 구심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중앙관(220)은, 상기 수압 조절홀들(h) 사이에 형성되는 연결 몸체들(221)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 몸체들(221) 각각은, 서로 이격되는 양단이 상기 한 쌍의 연결관(210)을 연결하는 지지 부재(221a)와, 상기 지지 부재(221a)의 양측에 이격되며, 상기 수압 조절홀들(h) 각각에 배치되는 한 쌍의 가변 지지 부재(221b)와, 상기 한 쌍의 가변 지지 부재(221b)와 상기 지지 부재(221a)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탄성 부재(221c)와, 상기 한 쌍의 가변 지지 부재(221b)와 상기 지지 부재(221a)의 내측 및 외측을 커버하여, 상기 탄성 부재(221c)를 외부로부터 기밀시키는 커버(221d)를 갖는다.
상기 조절 장치들 각각은 신축 가능한 축(511)과, 축을 신축시키는 실린더들(510)을 갖는다.
상기 수압 조절부(500)는, 상기 스프링 클러들 주변의 온도들을 측정하는 온도 센서(520)와, 측정된 상기 온도들이 설정된 오차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상기 실린더들(510)을 구동시켜, 상기 축(511)을 신축시키는 제어기(530)를 포함한다.
상기 실린더들(510) 각각의 축(511)은, 상기 수압 조절 부재들(300) 각각의 외측부로 연장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수압 조절 부재들(300)을, 상기 축(511)에 의해 상기 수압 조절홀들(h) 각각에서 유동되어, 상기 관 몸체부(200)의 내부에 형성되는 상기 유로 면적을 가변시킨다.
상기 수압 조절 부재들(300)의 단면과, 상기 수압 조절홀들(h) 각각의 단면은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수압 조절 부재들(300) 각각의 외측 둘레는, 상기 수압 조절홀들(h) 각각의 내측면과 밀착된다.
상기 수압 조절 부재들(300) 각각과 상기 수압 조절홀들(h) 각각의 사이에는 씰링(미도시)이 설치된다.
상기 수압 조절 부재들(300)이, 상기 수압 조절홀들(h) 각각에서 구심 방향을 따라 유동되는 경우, 상기 한 쌍의 가변 지지 부재(221b)는, 상기 수압 조절 부재들(300) 각각의 양측면에서 가압되어 탄성적으로 밀려 유동된다.
본 발명은, 스프링 클러의 헤드로 소방수를 공급하는 공급관에 설치되어 각각의 스프링 클러로 공급되는 소방수의 수압을 전체적으로 균일한 수압을 이루도록 함과 아울러, 특정 지역에서의 화재 온도가 상승되는 경우, 해당 위치에 설치되는 스프링 클러로 공급되는 소방수의 수압을 상승시키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건축물 소방용 스프링클러 수압 조절 장치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선 A-A를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표시부호 A를 보여주는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이하에서 기재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기재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구비 또는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기재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구비 또는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기재와 기재 상에 (또는 하에) 구비 또는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건축물 소방용 스프링클러 수압 조절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건축물 소방용 스프링클러 수압 조절 장치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선 A-A를 따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표시부호 A를 보여주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 하면, 본 발명의 건축물 소방용 스프링클러 수압 조절 장치는 스프링 클러들(미도시)로 소방수를 공급하는 공급관(10)에 양단이 연결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 부(100)와, 양단이 상기 케이스 부(100)의 양단에 위치되도록 상기 케이스 부(100)의 공간에 설치되며, 외주 둘레를 따라 간격을 이루는 수압 조절홀들(h)이 형성되는 관 몸체부(200)와, 상기 수압 조절홀들(h) 각각에 배치되는 수압 조절 부재들(300)과, 상기 케이스 부(100)의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수압 조절 부재들(300)을 상기 수압 조절홀들(h) 각각에서의 위치를 가변시켜, 상기 관 몸체부(200)의 내부에서의 유로 면적을 가변적으로 조절하는 조절 장치들(400)과, 상기 스프링 클러들의 주변 온도들을 측정하고, 상기 주변 온도들이 설정된 오차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상기 조절 장치들(400)을 구동시켜 상기 수압 조절 부재들(300)의 위치를 가변시킴을 통해 상기 유로 면적을 가변시키고, 가변되는 상기 유로 면적을 통해 상기 관 몸체부(200)의 내부를 통해 유동되는 소방수의 수압을 가변시키는 수압 조절부(500)로 구성된다.
상기 관 몸체부(200)는, 종단면이 중공 형상을 이루며, 상기 케이스 부(100)의 양단에 체결되는 한 쌍의 연결관(210)과,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연결관(210)을 연결하며, 상기 수압 조절홀들(221)이 형성되는 중앙관(2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압 조절 부재들(300) 각각은, 상기 수압 조절홀들(221) 각각에서 구심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중앙관(220)은, 상기 수압 조절홀들(h) 사이에 형성되는 연결 몸체들(221)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 몸체들(221) 각각은, 서로 이격되는 양단이 상기 한 쌍의 연결관(210)을 연결하는 지지 부재(221a)와, 상기 지지 부재(221a)의 양측에 이격되며, 상기 수압 조절홀들(h) 각각에 배치되는 한 쌍의 가변 지지 부재(221b)와, 상기 한 쌍의 가변 지지 부재(221b)와 상기 지지 부재(221a)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탄성 부재(221c)와, 상기 한 쌍의 가변 지지 부재(221b)와 상기 지지 부재(221a)의 내측 및 외측을 커버하여, 상기 탄성 부재(221c)를 외부로부터 기밀시키는 커버(221d)를 갖는다.
상기 조절 장치들 각각은, 신축 가능한 축(511)과, 축을 신축시키는 실린더들(510)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압 조절부(500)는, 상기 스프링 클러들 주변의 온도들을 측정하는 온도 센서(520)와, 측정된 상기 온도들이 설정된 오차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상기 실린더들(510)을 구동시켜, 상기 축(511)을 신축시키는 제어기(530)로 구성된다.
상기 실린더들(510) 각각의 축(511)은, 상기 수압 조절 부재들(300) 각각의 외측부로 연장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수압 조절 부재들(300)을, 상기 축(511)에 의해 상기 수압 조절홀들(h) 각각에서 유동되어, 상기 관 몸체부(200)의 내부에 형성되는 상기 유로 면적을 가변시킨다.
특히, 상기 수압 조절 부재들(300)의 단면과, 상기 수압 조절홀들(h) 각각의 단면은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수압 조절 부재들(300) 각각의 외측 둘레는, 상기 수압 조절홀들(h) 각각의 내측면과 밀착된다.
상기 수압 조절 부재들(300) 각각과 상기 수압 조절홀들(h) 각각의 사이에는 씰링(미도시)이 설치된다.
상기 수압 조절 부재들(300)이, 상기 수압 조절홀들(h) 각각에서 구심 방향을 따라 유동되는 경우, 상기 한 쌍의 가변 지지 부재(221b)는, 상기 수압 조절 부재들(300) 각각의 양측면에서 가압되어 탄성적으로 밀려 유동될 수 있다.
상기의 구성 및 작용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스프링 클러의 헤드로 소방수를 공급하는 공급관에 설치되어 각각의 스프링 클러로 공급되는 소방수의 수압을 전체적으로 균일한 수압을 이루도록 함과 아울러, 특정 지역에서의 화재 온도가 상승되는 경우, 해당 위치에 설치되는 스프링 클러로 공급되는 소방수의 수압을 상승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건축물 소방용 스프링클러 수압 조절 장치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케이스 부
200 : 관 몸체부
300 : 수압 조절 부재들
500 : 수압 조절부

Claims (4)

  1. 스프링 클러들로 소방수를 공급하는 공급관에 양단이 연결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 부;
    양단이 상기 케이스 부의 양단에 위치되도록 상기 케이스 부의 공간에 설치되며, 외주 둘레를 따라 간격을 이루는 수압 조절홀들이 형성되는 관 몸체부;
    상기 수압 조절홀들 각각에 배치되는 수압 조절 부재들;
    상기 케이스 부의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수압 조절 부재들을 상기 수압 조절홀들 각각에서의 위치를 가변시켜, 상기 관 몸체부의 내부에서의 유로 면적을 가변적으로 조절하는 조절 장치들; 및
    상기 스프링 클러들의 주변 온도들을 측정하고, 상기 주변 온도들이 설정된 오차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상기 조절 장치들을 구동시켜 상기 수압 조절 부재들의 위치를 가변시킴을 통해 상기 유로 면적을 가변시키고, 가변되는 상기 유로 면적을 통해 상기 관 몸체부의 내부를 통해 유동되는 소방수의 수압을 가변시키는 수압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소방용 스프링클러 수압 조절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 몸체부는,
    종단면이 중공 형상을 이루며, 상기 케이스 부의 양단에 체결되는 한 쌍의 연결관과,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연결관을 연결하며, 상기 수압 조절홀들이 형성되는 중앙관을 구비하되,
    상기 수압 조절 부재들 각각은, 상기 수압 조절홀들 각각에서 구심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소방용 스프링클러 수압 조절 장치.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관은,
    상기 수압 조절홀들 사이에 형성되는 연결 몸체들을 포함하되,
    상기 연결 몸체들 각각은,
    서로 이격되는 양단이 상기 한 쌍의 연결관을 연결하는 지지 부재와,
    상기 지지 부재의 양측에 이격되며, 상기 수압 조절홀들 각각에 배치되는 한 쌍의 가변 지지 부재와,
    상기 한 쌍의 가변 지지 부재와 상기 지지 부재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탄성 부재와,
    상기 한 쌍의 가변 지지 부재와 상기 지지 부재의 내측 및 외측을 커버하여, 상기 탄성 부재를 외부로부터 기밀시키는 커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소방용 스프링클러 수압 조절 장치.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장치들 각각은, 신축 가능한 축과, 축을 신축시키는 실린더들을 구비하고,
    상기 수압 조절부는,
    상기 스프링 클러들 주변의 온도들을 측정하는 온도 센서와,
    측정된 상기 온도들이 설정된 오차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상기 실린더들을 구동시켜, 상기 축을 신축시키는 제어기를 포함하되,
    상기 실린더들 각각의 축은, 상기 수압 조절 부재들 각각의 외측부로 연장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수압 조절 부재들을, 상기 축에 의해 상기 수압 조절홀들 각각에서 유동되어, 상기 관 몸체부의 내부에 형성되는 상기 유로 면적을 가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소방용 스프링클러 수압 조절 장치.
KR1020160101553A 2016-08-10 2016-08-10 건축물 소방용 스프링클러 수압 조절 장치 KR1016744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1553A KR101674446B1 (ko) 2016-08-10 2016-08-10 건축물 소방용 스프링클러 수압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1553A KR101674446B1 (ko) 2016-08-10 2016-08-10 건축물 소방용 스프링클러 수압 조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4446B1 true KR101674446B1 (ko) 2016-11-10

Family

ID=57484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1553A KR101674446B1 (ko) 2016-08-10 2016-08-10 건축물 소방용 스프링클러 수압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4446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4379B1 (ko) 2016-12-20 2017-07-06 세종종합기술주식회사 소방용 수압 조절 시스템
KR101779182B1 (ko) 2017-05-19 2017-09-18 (주)세종기술단 공동주택용 스프링클러 연결장치
KR101788847B1 (ko) 2017-05-18 2017-10-20 주식회사지티엘이엔지 공동주택용 스프링클러 연결장치
KR101787089B1 (ko) 2017-05-19 2017-11-15 (주)세종기술단 공동주택의 소방배관장치
KR101788844B1 (ko) 2017-05-18 2017-11-15 주식회사지티엘이엔지 공동주택용 소방용 급수장치
KR101847438B1 (ko) 2017-04-27 2018-04-23 (주)진광건설엔지니어링 소방기술 설비의 건축물 소방용 스프링클러 수압조절장치
CN117446200A (zh) * 2023-12-25 2024-01-26 四川航空股份有限公司 一种飞机维修用雾化喷淋除污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5145A (ja) * 1998-07-17 2000-02-02 Nittoc Constr Co Ltd 流動材料圧送管路に用いる定流量弁装置
KR20020040170A (ko) * 2000-11-23 2002-05-30 이계안 소화기
JP2002526722A (ja) * 1998-10-02 2002-08-20 ハンス・エーテイケル・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マシイネン−ウント・アパラーテフアブリーク リング状の固定保持機構を装着、締付けまたは収縮する装置
KR100782013B1 (ko) * 2006-06-30 2007-12-06 김춘일 스프링클러의 수압 보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5145A (ja) * 1998-07-17 2000-02-02 Nittoc Constr Co Ltd 流動材料圧送管路に用いる定流量弁装置
JP2002526722A (ja) * 1998-10-02 2002-08-20 ハンス・エーテイケル・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マシイネン−ウント・アパラーテフアブリーク リング状の固定保持機構を装着、締付けまたは収縮する装置
KR20020040170A (ko) * 2000-11-23 2002-05-30 이계안 소화기
KR100782013B1 (ko) * 2006-06-30 2007-12-06 김춘일 스프링클러의 수압 보정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4379B1 (ko) 2016-12-20 2017-07-06 세종종합기술주식회사 소방용 수압 조절 시스템
KR101847438B1 (ko) 2017-04-27 2018-04-23 (주)진광건설엔지니어링 소방기술 설비의 건축물 소방용 스프링클러 수압조절장치
KR101788847B1 (ko) 2017-05-18 2017-10-20 주식회사지티엘이엔지 공동주택용 스프링클러 연결장치
KR101788844B1 (ko) 2017-05-18 2017-11-15 주식회사지티엘이엔지 공동주택용 소방용 급수장치
KR101779182B1 (ko) 2017-05-19 2017-09-18 (주)세종기술단 공동주택용 스프링클러 연결장치
KR101787089B1 (ko) 2017-05-19 2017-11-15 (주)세종기술단 공동주택의 소방배관장치
CN117446200A (zh) * 2023-12-25 2024-01-26 四川航空股份有限公司 一种飞机维修用雾化喷淋除污装置
CN117446200B (zh) * 2023-12-25 2024-02-23 四川航空股份有限公司 一种飞机维修用雾化喷淋除污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4446B1 (ko) 건축물 소방용 스프링클러 수압 조절 장치
CN104487142B (zh) 柔性干式喷洒器
KR102093665B1 (ko) 관로 방역로봇
RU2016148438A (ru) Форсунка с наружным отражателем в сборе
IL177348A (en) Liquid flow control devices
KR101744664B1 (ko) 소방용 수압 조절장치
KR20070114268A (ko) 드라이 스프링클러 설비 및 밀봉 장치
US10258817B2 (en) Spray head for a uniform fluid distribution and a fluid distribution system
KR101681676B1 (ko) 공동주택의 소방용 스프링클러 연결장치
RU163093U1 (ru) Спринклерный распылитель
KR20220064944A (ko) 전력구 냉각 시스템
RU150225U1 (ru) Распылительная головка для равномерного распределения текучей среды
RU2583905C1 (ru) Моби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постановки водяной завесы
AU2018273738A1 (en) Drain valve assembly
RU2581118C1 (ru) Насадок скрытый выдвижной для установок газового пожаротушения (варианты)
CN205372619U (zh) 一种金属厢式真火燃烧室用喷淋系统
JP2015047471A (ja) 消防用設備の弁装置
KR101754379B1 (ko) 소방용 수압 조절 시스템
KR101915532B1 (ko) 동파 방지 기능을 갖는 소방수 공급 설비
AR110331A1 (es) Boquilla de control de flujo y aparato comprendiendo una boquilla de control de flujo
RU187077U1 (ru) Дождевальная установка
ES2681274T3 (es) Ensamblado integrado de válvula de control de fluido y de accionador de válvula
CN114517852A (zh) 一种具有液压调节式防火风口
RU2667177C2 (ru) Регулируемое дросс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20130112265A (ko) 분기배관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