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7089B1 - 공동주택의 소방배관장치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의 소방배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7089B1
KR101787089B1 KR1020170062184A KR20170062184A KR101787089B1 KR 101787089 B1 KR101787089 B1 KR 101787089B1 KR 1020170062184 A KR1020170062184 A KR 1020170062184A KR 20170062184 A KR20170062184 A KR 20170062184A KR 101787089 B1 KR101787089 B1 KR 1017870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fire
water
branch
communic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2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욱제
Original Assignee
(주)세종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종기술단 filed Critical (주)세종기술단
Priority to KR1020170062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70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70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70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21Devices for positioning or connecting of water supply li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형 화재로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서 화재 감지 범위를 넓히고 유사시 소방장비로의 안정된 급수가 지속해서 이루어지도록 하는 공동주택의 소방배관장치에 관한 것으로, 소화액 급수를 위한 배관구조물과, 소방장비를 연결하는 급수기를 포함한 공동주택의 소방배관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관구조물은, 제1,2메인관; 상기 제1메인을 따라 병렬로 연통하는 다수의 제1급수관과, 상기 제2메인관을 따라 병렬로 연통하는 다수의 제2급수관을 포함하고: 상기 급수기는, 상기 제1급수관과 연통하는 제1중공과, 상기 제1중공에서 분기하게 연통하는 제1분기공을 형성하고; 상기 제1급수관에 연결되는 고정유닛: 상기 제1,2급수관과 각각 연통하는 제2중공과, 상기 제2중공에서 분기하게 연통하며 단면이 사각형상을 이루는 제2분기공과, 상기 제2분기공과 연통하게 형성된 수용공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공에 삽입되며 열팽창액이 충진된 유리 재질의 받침벌브와; 상기 받침벌브로 열 전달하도록 일단이 상기 받침벌브와 접하고 타단이 외부에 인출된 열전봉과; 하단이 상기 받침벌브에 안착하도록 상기 수용공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되 상단은 제2분기공으로 인출하게 배치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이동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단이 상기 받침대의 상단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단은 제2분기공의 내면에 형성된 걸림홈에 삽탈하며 상기 제2분기공을 개폐하도록 사각형상을 이루며 여닫이 방식으로 동작하는 폐쇄판과; 상기 제2분기공과 연통하여 인출하게 구성되는 인출튜브;를 각각 포함하는 제1,2분기유닛: 상기 제1,2분기공과 각각 연통하는 집수공과, 상기 집수공에서 상기 인출튜브와의 연통을 위해 개구 형성된 개구공을 형성하고; 상기 개구공을 여닫이로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집수공에 급수된 소화액이 공급되도록 소방장비를 연결하는 연결유닛:을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공동주택의 소방배관장치{APPARATUS FOR FIRE FIGHTING PIPE OF AN APPARTMENT HOUSE}
본 발명은 대형 화재로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서 화재 감지 범위를 넓히고 유사시 소방장비로의 안정된 급수가 지속해서 이루어지도록 하는 공동주택의 소방배관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형 화재로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서 공동주택을 포함한 빌딩 및 각종 지하시설 등에는 다양한 종류의 소방장비가 설치되고, 상기 소방장비로의 소화액 공급을 위한 급수 배관이 구축된다. 일반적으로 소방장비는 소화전 및 스프링클러가 대표적인데, 이러한 소방장비는 소화액을 분사해서 화재를 진압한다.
그런데 대부분의 급수 배관은 하나의 소방장비가 다수의 소방장비를 직렬로 설치해 급수하도록 되므로, 유사시 급수원과 인접한 소방장비는 충분한 수압의 소화액 발수가 가능하나, 급수원으로부터 멀리 위치한 소방장비는 화재 진압에 부족한 수압의 소화액 발수가 이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수압이 낮은 소방장비로는 충분한 수량의 소화액이 공급되지 못하므로, 화재 진압 자체가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 또한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소방장비별로 별도의 급수펌프를 설치하기도 하지만, 이는 소방장비의 설치 비용을 증가시키므로 바람직하지 않았다.
또 다른 해결 방법으로 소방장비 간의 간격을 넓혀서 그 수를 최소화하는 대안이 있었으나, 소방장비의 일종인 스프링클러의 경우에는 스프링클러 자체가 화재감지 기능을 갖추므로, 간격이 멀어질수록 화재감지 기능 또한 약화되어서 화재를 조기에 감지해 진압하는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선행기술문헌 1. 등록신안등록번호 제10-0518655호(2005.10.04 공고)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화재진압을 위한 충분한 수압과 급수량을 소방장비에 공급하고 화재감지 범위 또한 넓힐 수 있어서 효율적인고 안정된 화재진압을 가능하게 한 공동주택의 소방배관장치의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소화액 급수를 위한 배관구조물과, 소방장비를 연결하는 급수기를 포함한 공동주택의 소방배관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관구조물은, 제1,2메인관; 상기 제1메인을 따라 병렬로 연통하는 다수의 제1급수관과, 상기 제2메인관을 따라 병렬로 연통하는 다수의 제2급수관을 포함하고:
상기 급수기는,
상기 제1급수관과 연통하는 제1중공과, 상기 제1중공에서 분기하게 연통하는 제1분기공을 형성하고; 상기 제1급수관에 연결되는 고정유닛:
상기 제1,2급수관과 각각 연통하는 제2중공과, 상기 제2중공에서 분기하게 연통하며 단면이 사각형상을 이루는 제2분기공과, 상기 제2분기공과 연통하게 형성된 수용공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공에 삽입되며 열팽창액이 충진된 유리 재질의 받침벌브와; 상기 받침벌브로 열 전달하도록 일단이 상기 받침벌브와 접하고 타단이 외부에 인출된 열전봉과; 하단이 상기 받침벌브에 안착하도록 상기 수용공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되 상단은 제2분기공으로 인출하게 배치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이동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단이 상기 받침대의 상단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단은 제2분기공의 내면에 형성된 걸림홈에 삽탈하며 상기 제2분기공을 개폐하도록 사각형상을 이루며 여닫이 방식으로 동작하는 폐쇄판과; 상기 제2분기공과 연통하여 인출하게 구성되는 인출튜브;를 각각 포함하는 제1,2분기유닛:
상기 제1,2분기공과 각각 연통하는 집수공과, 상기 집수공에서 상기 인출튜브와의 연통을 위해 개구 형성된 개구공을 형성하고; 상기 개구공을 여닫이로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집수공에 급수된 소화액이 공급되도록 소방장비를 연결하는 연결유닛:을 포함하는 공동주택의 소방배관장치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화재진압을 위한 충분한 수압과 급수량을 소방장비에 공급하고 화재감지 범위 또한 넓힐 수 있어서 효율적인고 안정된 화재진압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방배관장치의 설치 배관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방배관장치의 설치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방배관장치의 단면모습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소방배관장치의 일구성인 분기유닛을 단면화해 보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에 표시한 '가' 구간을 확대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고,
도 6은 도 3에 표시한 '나' 구간을 확대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내용이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방배관장치의 설치 배관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방배관장치의 설치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실시의 소방배관장치는, 제1,2메인관(MP, MP')과, 제1메인(MP)을 따라 병렬로 연통하는 다수의 제1급수관(10, 10', 20, 20', 30, 30')과, 제2메인관(MP')을 따라 병렬로 연통하는 다수의 제2급수관(40, 40', 41, 41')을 포함하는 배관구조물을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의 소방배관장치는, 제1급수관(10, 10', 20, 20', 30, 30') 및 제2급수관(40, 40', 41, 41')을 따라 일렬로 배치해 연결되어서 제1급수관(10, 10', 20, 20', 30, 30'; 이하 '10, 20, 30') 및 제2급수관(40, 40', 41, 41'; 이하 '40, 41')으로부터 공급된 소화액을 스프링클러 등의 소방장비(200)에 급수하는 급수기(1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배관구조물은 하나의 급수기가 제1급수관(10, 20, 30)과 제2급수관(40, 41) 각각으로부터 소화액을 공급받는다. 결국 급수기(100)는 서로 다른 2개의 루트로부터 소화액을 공급받아 동작한다.
급수기(100)는, 제1급수관(20, 30)과 연통하게 고정되는 고정유닛(120)과, 소방장비(200)와 고정유닛(120)을 서로 연통시키는 연결유닛(110)과, 고정유닛(120)과 일렬로 배치되도록 제1급수관(10, 20)과 연통하게 고정되고 연결유닛(110)과의 연통을 위한 인출튜브(133)를 구비하는 제1분기유닛(130)과, 제2급수관(40, 41)과 연통하게 고정되고 연결유닛(110)과의 연통을 위한 인출튜브(133')를 구비하는 제2분기유닛(130')을 포함한다.
이렇게 구성된 본 실시의 급수기(100)는 공공주택의 천장(C) 또는 벽체에 설치되어서, 소방장비(200)가 화재를 감지하면 제1급수관(10, 20, 30)에서 공급되는 급수를 소방장비(200)에 전달한다.
한편, 본 실시의 급수기(100)는 제1,2분기유닛(130')에 화재 감지를 위한 수단을 구성해서, 소방장비(200) 자체뿐만 아니라 제1분기유닛(130)도 화재를 감지할 수 있고, 화재 감지시 제1,2분기유닛(130, 130')이 제1급수관(10, 20) 및 제2급수관(40, 41)으로부터 각각 공급되는 급수를 소방장비(200)에 전달한다. 물론, 소방장비(200)는 제1,2분기유닛(130, 130')으로부터 공급된 급수를 받아 발수한다.
본 실시에서 상기 수단은 제1,2분기유닛(130, 130')으로부터 인출하게 구성된 열전봉(137, 137')을 각각 포함하며, 열전봉(137, 137')은 화재에 따른 열을 제1,2분기유닛(130, 130')으로 전열하고, 상기 열을 받은 구성요소는 제1,2분기유닛(130, 130')을 개구해서 제1 및 제2급수관(10, 40)과 제1,2인출튜브(133, 133')를 각각 연통시킨다. 따라서 본 실시의 급수기(100)는 소방장비(200) 자체의 화재 감지 기능과 더불어서 제1,2분기유닛(130, 130') 두 곳으로의 화재 감지 기능을 더 갖추고, 이를 통해 소방배관장치의 화재 감지 기능을 강화한다.
상기 배관구조물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1,2메인관(MP, MP')에 각각 제1,2급수관(10, 20, 30, 40, 41)이 연통하며, 제1,2급수관(10, 20, 30, 40, 41)은 각각 제1,2분기유닛(130, 130')을 매개로 하나의 급수기(100)에 소화액을 급수한다. 이는 급수기(100)의 연결유닛(110)의 급수경로를 다양화해서, 유사시에는 다수의 급수경로로부터 충분한 수압량의 소화액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각 구성을 아래에서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방배관장치의 단면모습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소방배관장치의 일구성인 분기유닛을 단면화해 보인 사시도이다.
본 실시의 급수기(100)의 고정유닛(120)은 제1급수관(20, 30)과 연통하는 제1중공(121)과, 제1중공(121)으로부터 분기되는 제1분기공(122)을 구성한다. 따라서 제1급수관(20)으로부터 공급되는 소화액은 제1중공(121)을 통해 다른 제1급수관(30)으로 이송되고, 제1중공(121)과 연통하는 제1분기공(122)을 통해 연결유닛(110)으로 이송된다.
본 실시의 급수기(100)의 연결유닛(110)은 제1분기공(122)과 인출튜브(133, 133')와 소방장비(200)를 연통시키는 집수공(111)을 구성한다. 따라서 제1분기공(122)에서 이송된 소화액이 집수공(111)을 통해 소방장비(200)에 이송되고, 인출튜브(133, 133')에서 이송된 소화액도 집수공(111)을 통해 소방장비(200)로 이송된다. 계속해서 연결유닛(110)은 인출튜브(133, 133')를 연결하면서 연결유닛(110)과 집수공(111)을 연통시키는 개구공(112)을 구성하며, 개구공(112)을 여닫이로 개폐하는 도어(113)를 더 포함한다.
연결유닛(110)과 연결된 소방장비(200)는 집수공(111)에 집수된 소화액이 발수되는 하나 이상의 발수구(201, 202)를 구성하며, 제1분기공(122)을 향해 입설된 지지대(210)와, 제1분기공(122)의 출구를 덮어 밀폐하는 패드(220)와, 지지대(210)에 안착해서 제1분기공(122)의 밀폐가 지속되도록 패드(220)를 지지하며 열팽창액이 충전된 유리 재질의 마개 벌브(230)를 포함한다. 따라서 지지대(210)에 안착한 마개 벌브(230)는 패드(220)가 제1분기공(122)의 출구를 덮어 밀폐하도록 받치고, 화재 시 열팽창액의 부피 증가로 마개 벌브(230)가 깨지면서 수압에 의해 패드(220)가 분리되어, 제1분기공(122)의 소화액이 집수공(111)으로 공급된다.
제1,2분기유닛(130, 130')은 제1급수관(10, 20) 및 제2급수관(40, 41)과 각각 연결되며, 이를 위해서 제1분기유닛(130)은 제1급수관(10, 20)과 연결되고, 제2분기유닛(130')은 제2급수관(40, 41)과 연결된다. 결국, 제1급수관(10, 20)에서 급수된 소화액은 제1분기유닛(130)이 받아 인출튜브(133)를 통해 연결유닛(110)에 유입되고, 제2급수관(40, 41)에서 급수된 소화액은 제2분기유닛(130')을 통해 연결유닛(110)으로 유입된다. 결국, 연결유닛(110)에 연결된 소방장비(200)는 유사시 소화액을 안정적으로 공급받는다.
이하에서는 제1,2분기유닛(130, 130')의 각 설명을 위해서 제1분기유닛(130)으로 통일해 설명하며, 본 설명의 구성과 구조는 제1급수관(10, 20)을 제2급수관(40, 41)으로 대체해서 제2분기유닛(130')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제1분기유닛(130)은 급수 방향을 기준으로 고정유닛(120) 이전의 제1급수관(10, 20)과 연통하는 제2중공(131)과, 제2중공(131)으로부터 분기되는 제2분기공(132)을 구성한다. 따라서 제1급수관(10)으로부터 공급되는 소화액은 제2중공(131)을 통해 다른 제1급수관(20)으로 이송되고, 제2중공(131)과 연통하는 제2분기공(132)을 통해 인출튜브(133)로 이송된다. 또한 제1분기유닛(130)은 제2분기공(132)으로 인입출하도록 이동가능하게 내설되는 받침대(134)와, 분기공(132)을 여닫이로 개폐하도록 받침대(134)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폐쇄판(135)과, 받침대(134)를 받치며 열팽창액이 충전된 유리 재질의 받침벌브(136)와, 일단이 받침벌브(136)에 접속하며 제1분기유닛(130)으로부터 인출하도록 설치되는 열전도성 재질의 열전봉(137)을 포함한다.
따라서 받침벌브(136)는 받침대(134)의 상단이 제2분기공(132)으로 인출하도록 받치면, 받침대(134)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폐쇄판(135)의 상단은 걸림홈(138)에 삽입돼 고정되면서 제2분기공(132)을 밀폐한다. 반면 열전봉(137)의 일단이 화재로 인한 열을 받아 받침벌브(136)와 접하는 타단으로 열전하면, 받침벌브(136)의 열팽창액은 부피가 증가하여 유리 재질의 받침벌브(136)는 깨뜨리고, 받침벌브(136)에 지지된 받침대(134)는 수용공(139a)으로 삽입되어서, 폐쇄판(135)의 상단이 걸림홈(138)으로부터 이탈한다. 물론 수압은 폐쇄판(135)을 밀어 회동시켜서 제2분기공(132)을 개방시킨다. 결국, 제2분기공(132)의 소화액이 인출튜브(133)로 공급된다.
폐쇄판(135)은 제2분기공(132)에서 회동하여 제2분기공(132)을 개구하거나 폐구해야 하므로, 폐쇄판(135)의 원활한 회동과 개폐를 위해 제2분기공(132)은 단면이 사각형상을 이루고, 폐쇄판(135) 역시 이에 상응하는 사각형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제1분기유닛(130)은 받침벌브(136)를 수용하며 받침대(134)가 인입출하도록 내설되는 수용공(139a)과, 수용공(139a)을 통기하는 통기공(139b)을 구성한다. 따라서 수용공(139a)에 수용된 받침벌브(136)는 받침대(134)를 받쳐 지지하고, 열전봉(137)의 전열로 받침벌브(136)가 깨지면 받침대(134)는 수용공(139a)을 따라 인입된다.
도 5은 도 3에 표시한 '가' 구간을 확대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다.
본 실시의 연결유닛(110)과 소방장비(200) 간의 연동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도 5의 (a)도면에서 보인 바와 같이, 제1분기공(122)은 소방장비(200)의 패드(220)에 의해 밀폐되어서, 제1분기공(122)의 소화액이 집수공(111)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때, 지지대(210)에 안착된 마개 벌브(230)는 패드(220)를 단단히 받쳐 지지하므로, 제1분기공(122)은 패드(220)에 의해서 밀폐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참고로, 본 실시의 지지대(210)는 자체 열전도율을 높이기 위하여 통열공(211)을 형성할 수 있고, 마개 벌브(230)가 안착된 지지대(210)의 상단에는 마그네틱 부재(212)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해서 패드(220)는 마그네틱 부재(212)의 자력에 반응하는 자화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참고로, 마그네틱 부재(212)는 통열공(211)과 연통하는 관통공(미인출)을 구성해서, 통열공(211)을 통해 전열된 열기가 마그네틱 부재(212)를 거쳐 마개 벌브(230)에 효과적으로 미치도록 한다.
도 5의 (b)도면에서 보인 바와 같이, 화재로 인한 열이 지지대(210)를 통해 마개 벌브(230)로 전열되면, 마개 벌브(230)에 충전된 열팽창액이 팽창해서 마개 벌브(230)를 깨뜨리고, 패드(220)는 마개 벌브(230)의 소멸로 인해 지지대(210)의 상단으로 낙하해 안착된다. 결국, 제1분기공(122)의 소화액은 집수공(111)으로 유입되어서 발수구(201, 202)를 통해 외부로 발수된다. 추가로 지지대(210)가 마그네틱 부재(212)를 포함하면, 소화액의 수압으로 낙하하는 패드(220)가 지지대(210)의 상단에 정확하게 위치하게 된다.
한편, 도어(113)는 인출튜브(133)와 연통하는 개구공(112)을 여닫이로 개폐하는데, 고압의 소화액이 제1분기공(122)을 통해 집수공(111)으로 유입되면, 도어(113)를 밀어 개구공(112)을 지속해 폐구하고, 이를 통해 소화액의 개구공(112) 유입을 제한한다. 물론 도어(113)는 수압에 따라 여닫히는 구조이므로, 소화액이 인출튜브(133)를 통해 개구공(112)으로 유입되면 도어(113)는 수압에 의해 열린다.
도 6은 도 3에 표시한 '나' 구간을 확대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의 (a)도면에서 보인 바와 같이, 제1분기유닛(130)은 제2중공(131)과 제2분기공(132)을 구성하고, 폐쇄판(135)은 제2분기공(132)을 폐구해서 제2중공(131)의 소화액이 제2분기공(132)으로 유입하는 것을 차단한다. 이를 위해 폐쇄판(135)은 수용공(139a)에서 인입출하는 받침대(134)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받침대(134)는 수용공(139a)에 수용된 받침벌브(136)에 지지된다. 이때 받침벌브(136)가 안정하게 구성되면 받침대(134)의 상단은 수용공(139a)으로부터 인출해서 폐쇄판(135)을 밀어올리고, 이를 통해 폐쇄판(135)의 상단은 걸림홈(138)에 삽입되어서 자체 회동 없이 제2분기공(132)을 폐구해서 제2중공(131)의 소화액 유입을 저지한다.
계속해서, 도 6의 (b)도면에서 보인 바와 같이, 발생 화재로 인해 가열된 열전봉(137)이 받침벌브(136)로 전열하면, 받침벌브(136)에 충전된 열팽창액이 팽창해서 받침벌브(136)를 깨뜨리고, 받침대(134)는 받침벌브(136)의 소멸로 인해 수용공(139a)을 따라 이동해서 그 상단이 수용공(139a)으로 인입한다. 이를 통해 폐쇄판(135)은 받침대(134)를 따라 이동해서 상단이 걸림홈(138)으로부터 이탈한다.
결국, 도 6의 (c)도면에서 보인 바와 같이, 제2중공(131)의 소화액의 수압은 폐쇄판(135)을 밀어 제2분기공(132)을 개구하고, 이를 통해 제2종공(131)의 소화액은 제2분기공(132)으로 유입되어서 인출튜브(133)를 통해 연결유닛(110)의 집수공(111)으로 이송된다.
참고로, 본 실시의 열전봉(137)은 통기를 위한 통열공(137a)이 형성되어서, 화재로 인한 화염의 열기가 통열공(137a)을 통해 받침벌브(136)에 효과적으로 전열되게 한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해 설명했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급수기 110; 연결유닛
111; 집수공 112; 개구공 113; 도어
120; 고정유닛 121; 제1중공 122; 제1분기공
130, 130'; 제1,2분기유닛 131; 제2중공
132; 제2분기공 133; 인출튜브 134; 받침대
135; 폐쇄판 136; 받침벌브 137; 열전봉
138; 걸림홈 139a; 수용공 139b; 통기공
200; 스프링클러 210; 지지대 211; 통열공
212; 마그네틱 부재 220; 패드 230; 마개 벌브

Claims (1)

  1. 소화액 급수를 위한 배관구조물과, 소방장비를 연결하는 급수기를 포함한 공동주택의 소방배관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관구조물은, 제1,2메인관; 상기 제1메인관을 따라 병렬로 연통하는 다수의 제1급수관과, 상기 제2메인관을 따라 병렬로 연통하는 다수의 제2급수관을 포함하고:
    상기 급수기는,
    상기 제1급수관과 연통하는 제1중공과, 상기 제1중공에서 분기하게 연통하는 제1분기공을 형성하고; 상기 제1급수관에 연결되는 고정유닛:
    상기 제1,2급수관과 각각 연통하는 제2중공과, 상기 제2중공에서 분기하게 연통하며 단면이 사각형상을 이루는 제2분기공과, 상기 제2분기공과 연통하게 형성된 수용공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공에 삽입되며 열팽창액이 충진된 유리 재질의 받침벌브와; 상기 받침벌브로 열 전달하도록 일단이 상기 받침벌브와 접하고 타단이 외부에 인출된 열전봉과; 하단이 상기 받침벌브에 안착하도록 상기 수용공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되 상단은 제2분기공으로 인출하게 배치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이동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단이 상기 받침대의 상단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단은 제2분기공의 내면에 형성된 걸림홈에 삽탈하며 상기 제2분기공을 개폐하도록 사각형상을 이루며 여닫이 방식으로 동작하는 폐쇄판과; 상기 제2분기공과 연통하여 인출하게 구성되는 인출튜브;를 각각 포함하는 제1,2분기유닛:
    상기 제1,2분기공과 각각 연통하는 집수공과, 상기 집수공에서 상기 인출튜브와의 연통을 위해 개구 형성된 개구공을 형성하고; 상기 개구공을 여닫이로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집수공에 급수된 소화액이 공급되도록 소방장비를 연결하는 연결유닛: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소방배관장치.
KR1020170062184A 2017-05-19 2017-05-19 공동주택의 소방배관장치 KR1017870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2184A KR101787089B1 (ko) 2017-05-19 2017-05-19 공동주택의 소방배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2184A KR101787089B1 (ko) 2017-05-19 2017-05-19 공동주택의 소방배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7089B1 true KR101787089B1 (ko) 2017-11-15

Family

ID=60386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2184A KR101787089B1 (ko) 2017-05-19 2017-05-19 공동주택의 소방배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708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2044B1 (ko) 2021-12-16 2022-11-03 (주)삼인이에스 화재확산 방지를 위한 소방용 소방배관장치
KR102588211B1 (ko) 2022-12-27 2023-10-12 (주)유원건축사사무소 화재확산 방지를 위한 소방용 소방배관장치
KR102624604B1 (ko) * 2023-03-07 2024-01-15 (주)정안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화재확산 방지를 위한 소방용 소방배관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13825A (ja) 2009-03-16 2010-09-30 Hochiki Corp 消火設備
KR200457601Y1 (ko) 2011-07-28 2011-12-28 (주)동신소방 열감지식 소화기의 연쇄 작동구조
KR101674446B1 (ko) 2016-08-10 2016-11-10 (주)케이디 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 건축물 소방용 스프링클러 수압 조절 장치
KR101681676B1 (ko) 2016-07-29 2016-12-01 (주)하일기술단 공동주택의 소방용 스프링클러 연결장치
KR101702662B1 (ko) 2009-08-27 2017-02-03 닛코메탈 가부시키가이샤 스프링쿨러 권출배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13825A (ja) 2009-03-16 2010-09-30 Hochiki Corp 消火設備
KR101702662B1 (ko) 2009-08-27 2017-02-03 닛코메탈 가부시키가이샤 스프링쿨러 권출배관
KR200457601Y1 (ko) 2011-07-28 2011-12-28 (주)동신소방 열감지식 소화기의 연쇄 작동구조
KR101681676B1 (ko) 2016-07-29 2016-12-01 (주)하일기술단 공동주택의 소방용 스프링클러 연결장치
KR101674446B1 (ko) 2016-08-10 2016-11-10 (주)케이디 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 건축물 소방용 스프링클러 수압 조절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2044B1 (ko) 2021-12-16 2022-11-03 (주)삼인이에스 화재확산 방지를 위한 소방용 소방배관장치
KR102588211B1 (ko) 2022-12-27 2023-10-12 (주)유원건축사사무소 화재확산 방지를 위한 소방용 소방배관장치
KR102624604B1 (ko) * 2023-03-07 2024-01-15 (주)정안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화재확산 방지를 위한 소방용 소방배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7089B1 (ko) 공동주택의 소방배관장치
KR101658935B1 (ko) 건축물의 소방용 스프링클러 장치
US11207553B2 (en) Water mist protection for forced ventilation interstitial spaces
KR101662590B1 (ko) 스프링클러 방식의 건물용 소방장치
MX2008011510A (es) Sistema de extincion de incendios.
KR101654704B1 (ko) 정역회전 스프링클러 방식의 건물용 소방장치를 구비한 화재 통합 관리 시스템
JP2012192012A (ja) 消火設備
KR20130045503A (ko) 소방용 소화장치
NO312443B1 (no) Anordning ved sprederdyse
US6102066A (en) Condensate drain for an automatic sprinkler system of the dry-pipe type
KR101704409B1 (ko) 공동주택의 스프링클러 소방용수 공급장치
CN209900480U (zh) 一种适用于地下车库的消防系统
KR101788844B1 (ko) 공동주택용 소방용 급수장치
KR100589038B1 (ko) 지하공동구의 화재 진압용 폼소화시스템
KR101788847B1 (ko) 공동주택용 스프링클러 연결장치
KR101779182B1 (ko) 공동주택용 스프링클러 연결장치
KR102462044B1 (ko) 화재확산 방지를 위한 소방용 소방배관장치
RU2536226C2 (ru) Система водяного пожаротушения
US20240189638A1 (en) Fire suppression system
KR102588211B1 (ko) 화재확산 방지를 위한 소방용 소방배관장치
CN218685950U (zh) 一种嵌入式安全消防柜
PT2998002T (pt) Sistema de extinção de gás inerte
CN108939354B (zh) 一种机柜抽屉式灭火装置
KR102273307B1 (ko) 공동주택용 소방장치
KR101993232B1 (ko) 건축물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용 스프링클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